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력사』에 나타난 북한의 역사인식

        강진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6

        본고는 주체사관의 원리를 검토하고 그 내용이 『세계력사』의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의 역사인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체사관의 주요원리는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 민족혁명 중심의 역사인식, 수령과 후계자의 역할 강조로 나누어진다. 그 중 주체사관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이다. 이로부터 출발하여 주체사관은 역사의 본질은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이며, 인류역사의 성격을 인민대중의 창조적 역사라고 본다. 또한 인민대중의 자주성과 창조성을 일깨우기 위한 역사의 추동력을 자주적 사상의식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인민대중이 역사발전의 자주적 주체가 되려면 반드시 수령의 지도를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여 실질적인 역사발전의 주체를 수령으로 귀결시킨다. 이와 같은 주체사관의 원리는 북한 세계사 교육의 목표와 교과편제, 『세계력사』의 서술에도 반영된다. 그 결과 『세계력사』에서도 역사발전의 주체는 인민대중이며 이들의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활동으로 사회가 개조되고 역사가 발전한다고 설명된다. 특히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투쟁으로 보기 때문에 노예폭동, 농민봉기, 반제민족투쟁과 해방운동은 역사발전의 합법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사건으로 중시한다. 이에 반해 인민대중과 대립되는 왕이나 노예주와 같은 지배계급의 착취, 종교, 수정주의,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판과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하지만 사회역사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혁명운동은 고도의 의식적인 운동이며 심각한 계급투쟁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령과 후계자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본래 주체사관에서 수령은 김일성을, 후계자는 김정일을 뜻하지만 『세계력사』에서는 해당 사회의 혁명을 지도하는 대표자를 의미하며 이들의 지위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이보다 더 강조되는 것은 세계 각국의 반제민족해방투쟁에 기여한 김일성의 지도력과 혁명업적이다. 『세계력사』에서 김일성은 앞서 나타난 지도자들 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영향력 강한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어 북한 사회주의의 우수성을 정당화한다. 이처럼 주체사관은 『세계력사』에 반영되어 세계사 학습을 통해 주체사상을 고양하며 민족자주사상과 애국주의 함양을 지향한다. 이를 통해 『세계력사』는 주체사상의 이론을 정교화하고, 대중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정치사상교육의 일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main elements of juche(self-determination) ideology reflected in Segyeryoksa. The main elements of juche ideology include: a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a historic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popular revolutions; and the central roles of the suryong(revolution leader) and his successor. The essential of element of theses is the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This historical view is the bedrock of juche ideology, which argues that the essence of human history is in the endless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for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The ideology claims that the historical impetus that awakens the popular masses to their creativity and capacity to determine their own lives is a voluntary or self-determination centered ideology. But asserts that the popular masses must obey a suryong in order to becom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there by transferring the role of leading historical evolution to one single leader. The elements of juche ideology form the foundation of the objective of the North Korea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Segyeryoksa. Segyeryoksa asserts that th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are the popular masses, whose voluntary demand and creative activities reform the society and lead the progress of history. Because juche ideology locates the impetus of historical evolution in the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to gain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such historical events as slave riot, peasant uprising, and anti-imperial nationalist movement and independence fight are treated as the evidence supporting such view on history. But renders scathing criticisms and negative judgments on the exploitation of ruler(such as king and slaveholder), religion, revisionism, and imperialist invasion and colonialism. The book goes on to assert that, since revolutionary struggles for the sake of social and historical evolution required a highly sophisticated consciousness and accompany serious class conflicts, such struggles require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suryong and his successor. In juche ideology, these positions are personalized: the suryong refers to Kim il-sung, while his successor refers to Kim Jong-il. Segyeryoksa, however, includes all leaders of revolutions in a given society under the category of suryong, whose roles and positions in the history of society could not be emphasized more. Even more emphasized, however, are the leadership and accomplishments of Kim il-sung who is depicted as having made crucial contributions to the liberation of peoples of various nations from oppressive and exploitative forces. Kim il-sung is described in Segyeryoksa as incomparably superior to all the previous leaders of world revolutions, and his power and influence justify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 version of socialism. Segyeryoksa seeks to inculcate students in juche ideology by teaching them a highly selective version of world histor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book is to instill strong ideologies of self-determination and patriotism in students. Segyeryoksa, in other words, is an elaboration of juche ideology and is an political tool used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ideology.

      • 남.북한 세계사 교과서 비교 연구 : 중국 근대사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임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8

        세계는 21세기를 맞아 탈냉전이라는 세계사적 변혁의 영향으로 급격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지금 통일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양되어 통일이 실현 가능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와 한반도 내외의 상황변화를 고려해 우리는 통일을 대비한 통일교육의 모색과 교육제도 정비 및 남과 북이 서로 이해하고 화합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교육방안들을 준비해 나가야 한다. 북한교육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이후 다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북한의 교육과정, 이데올로기교육과 관련이 있는 국어, 역사, 도덕과목의 연구는 타교과목에 비해 진전되어 왔다. 최근의 남·북한 역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남·북한 역사인식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남·북한 국사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경향을 바탕으로 북한의 '세계력사' 교과서를 비교대상으로 남·북한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 근대사에 대한 서술내용을 분석하여 서술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중등학교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일반적 체제를 살펴 남·북한 교육의 이념적 배경을 이해한다. 둘째, 남·북한 중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 정책비교, 교과서 외형적 체제, 내용구성 체제를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와 특징을 알아본다. 셋째, 위와 같은 목적을 보다 분명히 밝히기 위하여 서술내용을 분석, 남·북한 세계사 중국 근대사부분의 주요 항목내용을 살펴보고 일본 교과서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서로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밝혀 역사인식의 방법을 알아본다. 비교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북한 세계사 교육목표는 체제유지를 위한 시민형성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남한은 사회현상의 통합적 인식 문제해결을 통한 개인·국가·인류발전에 기여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적 자질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북한은 사회주의가 요구하는 시민 즉, 사회와 인민을 위해 투쟁하는 혁명가를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남·북한 세계사 교과서의 내용조직은 교육목표의 차이에 기인하여 뚜렷한 차이를 드러낸다. 남한의 학습중점내용은 시대별로 서술하되 문화의 형성과 전파, 수용의 입장이 강화되어 있는 반면 북한의 교과서는 계급투쟁의 입장에서 학습내용이 정해져 있다. 또한 북한을 중심으로 하는 편향된 시각으로 국제관계를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어 변화하는 국제관계의 이해를 돕지 못하고 있다. 중국 근대사 서술에 있어서 남한의 교과서는 정치사와 문화사적 관점이 혼합된 문화·사상의 발달과 통치체제의 변화라는 내용을 선정하여 서술하고 있고 북한의 교과서는 중국의 모든 시대적 변화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간의 투쟁의 역사로 인식하고 각 시대별 농민투쟁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남·북한 모두는 일본 교과서의 제국주의적 입장 서술형식과 달리 중국의 근대사를 반봉건적, 반제국주의적 성격을 강조하는 공통된 서술방식을 띠고있다. 이는 식민사학에서 제시된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극복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진 결과로 양측이 공통된 서술형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남·북한 세계사교과는 교과개념 및 교과내용에서 차이점과 더불어 공통적인 역사인식의 서술형식도 보이고 있다. 앞으로 통일을 대비한 역사과의 세계사 내용이 더 이상 이질화의 길을 걷지 않도록 통일을 대비한 교육제도의 정비, 학회차원의 공동연구를 통한 남·북한 역사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Under the 21st century's post Cold War system the drastic change of the world influence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Far East Asia.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considered as practicable one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social concerns about the unification. For this reason, some rational educational agenda should be prepared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te and Korean surroundings; the educational system reorganization. the consciousness changeover, and the educational exploration for the unification. Since 1980s, studies for the instruction of North Korea have been carried our in several fields of education. Especially the progresses in the Korean, history, and ethics are notable; these have close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course analysis and the ideology training.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They have placed emphasis only on the differences of the history perceptions. Also the study about 'The World History' hasn't been as active as about 'The History'. This study analyzes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in approaches for the modern history of China especially in periods of the socialist state; that is the same establishment as that of North Korea. The detailed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three. The first i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South and North Korea from the aims and the systems of the middle school education. The second is to catch the differ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textbooks for a world history from analysis of the policy issues, the outward structural appearances, and the contents system. The last is to compare the history awareness in textbooks especially for the modern China.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are like this. The educational aim of a world history is brought up the citizens to maintain the social system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South Korea. South Korea focuses on fostering the basic requirements for the democratic citizen. North Korea aims training revolutionists required to struggle for their nation and people. The structure of history textbook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se educational philosophies. The main focus of South Korea lies on the description with the times and the sequences of the culture; generation, propagation, and adoption. By comparison, the North Korea interest on the class struggle. The North Korea centered view also gives a constrained coverage to the international affairs. This is then good for nothing in the international dynamics. In describing the modern China, South Korea's two main topics are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system in a view of political and cultural way. Otherwise, the North Korea considers all historical change as the results of struggle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classes. So the main topic is the fight of the peasants. South Korea's attitude for describing history of modern china is in accord with North Korea's in some points ; emphasizing anti-feudal and anti-imperialistic features. This means there are common efforts to overcome the heteronomy and stagnation based on the colonial history. Conclusively,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mmon consciousness although there are more differences than analogies in the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Additionally these efforts figure out many understandings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 active progres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basic research on the history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can help to restore homogeneity in history awareness and to prepare the post-unification.

      •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의 변화

        정하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151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변화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3년 개정된 교육강령과 교과서를 이전 것과 비교하여 세계사 교육관과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식, 서술 내용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변화의 원인을 북한의 대·내외적 상황을 통해 밝히려 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은 그 위상이 약화되었다. 사상 과목과 실용적 과목이 강조되어 역사 과목의 시수가 감소하면서, 세계사 영역의 시수가 감소했다. 과거 한국사의 학습목적이었던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의 함양은 세계사까지 포괄하는 학습목적이 되었다. 한국사와 세계사가 통합된 목적은 세계사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사의 우수성을 부각 하려는 조선민족제일주의 교양에 있었다. 한편, 지식경제시대에 대응한다는 교육개혁의 방향에 따라 세계사 교육의 목적‧목표에서는 실용적· 실제적 측면이 강화되었다. 세계사 교육에서 민족주의가 강화된 것은 김정은 집권 직후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포괄하는 논리인 김정일애국주의가 교육강령 전반에 걸쳐 강 조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본주의 진영의 대중문화 유입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방어논리로서 민족성과 민족 유산을 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세계사 학습내용은 한국사와 비교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되었으며, 북한식의 한국사 시대구분을 기준으로 배치되었다. 이처럼 세계사 학습에 서는 세계사 고유의 내적 논리나 학문 체계보다 한국사 시대구분에 따른 한국사와의 비교가 중시되었다. 내용 조직상 통사 중심의 한국사와 주제 중심의 세계사라는 구성 방식 의 큰 틀은 변화하지 않았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은 화학적인 결합 이라기보다는 이전의 학습 주제를 몇 개씩 묶어 기계적으로 재배치한 형태로 나타났다. 세계사 서술 내용에서는 세 가지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민족적 우월성을 동방 혹은 아시아로 확장하여 설명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둘째, 반침략‧반제국주의적 서술이 강화되었다. 셋째, 마르크스와 레닌의 활동과 사상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다. 이러한 서술상의 변화는 민족적 우수성을 강조하는 조선민족제일주의, 탈냉전 시기 미국 중심 국제 질서에 대항하는 반미의식의 심화, 강화된 수령론과 같은 북한식의 역사인식이 과거에 비해 강하게 투영된 것이다. 따라서 김정은 집권 이후 세계사를 자민족, 자국사 중심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