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자간의 갈등을 가진 청소년의 부자관계 개선에 관한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김연경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Father's roles are changing in today's society. Fathers' role of breadearner, which was the typical role of men, became relatively less important; instead, the increased expectation of a caregiver as a parent caused them to be newly perceived as co-caregivers and attract more attention and social support. Despite such a social atmosphere, the Youth Status Survey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4 showed that fathers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t they failed to have enough talks with their child than mothers and that adolescents were even more likely to feel lack of talks with their father than with their mother. In particular, older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think of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 negatively due to conflicts and lack of conversation and father-son relationships may become weaker due to reduced father-son communication, reduced roles of father, and lowered contents and quality of the roles as the son is in a higher developmental stage. In this context, adolescence requires psycho-emotional support to cope with conflicts with the objective of promoting father-son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rt therapy to affect the negative image of father perceived by 13-year-old boys complaining of somatization due to conflicts with their father and improve father-son relationships. A consent to research was obtained through initial counseling and interviews with mothers and an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in a total of 20 sessions―a session on a weekly basis and 50 minutes per session―from February 7 to July 18, 2015. For pretest and posttest, comparative analysis of House-Tree-Person (HTP) test and Kinetic Family Drawing (KFD) was carried out to complement the case results. An expert provided supervision during the course of this case and a clinical psychologist analyzed and examined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 on the improvement in father-son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through art therap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art therapy enabled adolescents to encounter the negative image of their father, give insight to their needs for recognition and love as well as for full acceptance by their father, and see their relationships with father improved. The adolescents felt rage but had weak brushing pressure, produced nerveless, passive, and monotonous drawings in general, and failed to bring their inner conflicts to the surface, as found in pretest with HTP test; then, they expressed their fear and frustration, thanks to improved self-esteem, hoped to let their inner state known, and showed greater needs for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 as found in posttest. In KFD,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divide family members for independent existence, maintain a psychologically safe distance among them, and perceive and cope with discomfort and problems among them in posttest than in pretest. To put the results together, the approach with art therapy contributed to father-son relationships by providing adolescents in conflict with their father wit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negative awareness of father, psychological tension, and anxiety, encounter a distorted image of father and their needs for recognition, promote active self-thinking, and get new awareness of their father.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ll the adolescents having problems with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 In the social trend of the increase in concern about fathers' role of co-caregiver, however, it is expected that case studies on art therapy will be conducted on a continuous basis to make in-depth analysis of good father-s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that may help development in adolescence. 현대사회에서 아버지의 역할은 변화되고 있다. 기존 남성의 역할을 대표하던 부양자 역할은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감소하고, 부모로서의 양육자 역할에 대한 기대가 커지게 되어 공동양육자로서 새로운 인식과 관심, 사회적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도 2014년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청소년 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부모들에게 자녀와의 대화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했을 때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자녀와의 대화가 충분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관점에서도 아버지와의 대화 부족을 훨씬 많이 느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아버지와의 관계는 갈등과 대화 부족으로 부정적으로 지각되며, 아버지-아들의 관계는 아들의 발달단계가 높아질수록 아버지-아들간의 의사소통의 기능, 아버지의 역할, 내용과 질은 감소하여 소원해지는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청소년기는 부자간의 관계 증진을 위해 갈등에 대처하는 심리·정서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버지와의 갈등으로 신체화 증상을 호소하는 만 13세 남자 청소년에게, 미술치료가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정적 아버지상에 영향을 주어 부자관계 개선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로는, 초기상담과 어머니와의 면접을 통해 연구의 동의를 구하고, 기간은 2015년 2월 7일부터 2015년 7월 18일까지 주 1회 50분 동안 총 20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와 동적 가족화(KFD)를 비교 분석하고 사례 결과를 보완하였다. 또한, 본 사례를 진행하는 동안 전문가의 슈퍼비전을 받았으며 사전·사후검사 결과는 임상심리사를 통해 분석과 점검을 받았다. 미술치료를 통한 청소년의 부자관계 개선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를 통해 청소년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아버지상을 직면할 수 있었고, 아버지로부터 온전히 수용되고 인정과 사랑을 받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를 통찰함으로써 부자관계가 긍정적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에서 사전 극심한 분노감을 느끼는 데 비해 전반적인 그림의 필압이 약하고 무기력하며 대체적으로 소극적이고 단조로운 그림을 그림으로 인해 내적 갈등을 표면화시키지 않았다가, 사후에 자아 증대로 인하여 자신의 두려움과 좌절감을 바깥으로 표출하고 자신의 내적 상태가 알려지기를 바라며 아버지와의 관계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어 나타났다. 이는 동적 가족화(KFD)에서도 사전보다 사후에는 가족 내 구성원 간의 구획을 나누어 각자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도록 하고 상호 간 심리적 안전거리를 유지하여 가족 간 불편감과 문제를 인식해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본 사례의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적 접근은 부자간의 갈등을 가진 청소년에게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심리적 긴장, 불안을 표출시키고, 왜곡된 아버지상과 인정받고 싶은 자신의 욕구를 직면하게 하여 능동적 자기 사고를 발전시켜 아버지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해 줌으로써 부자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일 사례로써 부자관계 문제를 가진 모든 청소년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최근 공동양육자로서의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사회적 추세에 따라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을 돕는 부자간의 원만한 소통과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미술치료 사례 및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효 윤리체계에 의한 모차르트(W.A. MOZART)의 효 음악 연구 : 모차르트(W.A. MOZART)의 부자관계를 중심으로

        유승민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1

        음악은 항상 그 사회와 시대의 사상 및 흐름, 예술적 사고 등을 대표한다. 즉, 음악은 인간사회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하고 지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위대한 음악가 한사람이 탄생되기 까지는 그 시대의 환경과 가정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가는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이에 가정은 인간이 사회화되는 최초의 집단이며, 인간의 도덕성의 형성에 있어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집단이다. 우리사회에서 이러한 가정의 체계를 유지해 주는 핵심적인 윤리가 “효”라고 할 수 있다. 효는 부모 자녀 상호간의 주고받음, 즉 교환과 나눔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고, 효 정신에는 우선적으로 부모의 선행적 사랑과 희생이 전제되어 있으며 이것이 효 정신의 출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효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방법으로 박철호 교수의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를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의 부자관계”에 나타난 효를 분석하고, 모차르트의 음악 안에 담겨진 효의 내용을 찾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을 알아보았다. Ⅱ장에서는 효 윤리가 동서양을 걸쳐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주요한 윤리적 덕목이기 때문에 효에 대해 보편적인 분석의 틀을 구축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점에서 보편화 가능성이 높은 분석의 틀을 구축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구축한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를 분석의 도구로 삼아, ‘모차르트의 생애’를 중점으로 하여 모차르트와 아버지 레오폴트(Leopld)와의 부자관계에 나타난 효를 순종의 효, 친애의 효, 존속의 효, 대리의 효와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모차르트의 부자관계"에 나타난 네 가지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로는 모차르트가 위대한 음악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수없이 길었던 힘든 여행들을 순종으로 따랐고, 아버지 레오폴트의 친애야말로 존속을 위한 희생과 사랑이 있었기에 ‘천상의 음악가’로서 모차르트는 대리의 효를 명백히 보여주었다. Ⅳ장에서는 "모차르트의 부자관계"에 드러난 효를 분석해본 결과를 바탕으로 모차르트의 음악세계에 나타난 내용을 네 가지 변수 중 ‘친애의 효’를 중점으로 하여 효음악의 내용을 찾고자 하였다. 그가 35세의 짧은 삶 속에서도 600곡이 넘는 곡을 작곡한 위대한 천재음악가로써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사랑’이라는 배경이 깔려 있었고, 아버지의 헌신적인 노력이 이뤄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결과를 정리하고, 효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네 가지변수의 내용을 통한 "모차르트의 부자관계"가 체계론 적인 관점에서 볼 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상호작용에 의한 관계의 망을 형성함을 강조하였고, 이를 통한 가정의 통합성과 존속이 이루어짐을 나타냈다. 이러한 부자간의 교환과 나눔, 상응과 일치의 윤리는 가정이란 울타리를 벗어나 사회와 국가라는 더 넓은 장소와 구조 속에서 발전되어진다고 확신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효를 연구하여 음악과의 접목을 시킴으로써 성공적인 사회인을 만들고, 건강한 정신의 인간상을 만들기에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부자간의 사랑이 효를 정립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초가 됨을 수립하고, 효음악의 중요성과 가치를 알리는데 보탬이 되길 바란다. Music represents the ideas, trend and artistic thoughts of the society and times all the time. In other words, music evolves and maintains in close relation with human society. In addi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 environment and home of the times play the key role in making a great musician. In this regard, home is the primary group where human beings are socialized by giving the greatest influence to formalization of human morality. Hyo is the core ethics to maintain the system of home in this society. Hyo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xchanging and sharing among parents and children, on the premise that it begins with parents' love and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I aim to analyze Hyo presented in the relation between Wolfgang Amadeus Mozart and his father on the basis of 「Hyo Ethical System of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by professor Chul-ho Park. Then I intend to figure out the contents of Hyo revealed in Mozart's works. In Chapter 1, I investigated the aim, methods and contents of this study. In Chapter 2, I analyzed the framework with high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Hyo in that Hyo is critical ethical value across the world. In Chapter 3, I analyzed hyo in the relation between Mozart and his father, Leopld, by focusing on Mozart's lif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Chpater 2, in relation with Hyo of obeyance, Hyo of love, Hyo of continuance and Hyo of representation. After analyzing the four variables in the relation with his father, it turned out that Mozart had followed the endless and tough journey to be a great musician. In addition, he clearly had showed Hyo of representation as a "heavenly musician" thanks to love and sacrifice for his son of Leopld. In Chapter 4, I aimed to find out the contents of Hyo music centering on Hyo of love among the four variables revealed in Mozart's music. It is love and devoted efforts of his father that made him a great genius musician who composed more than 600 works for the short period time of 35 years. In Chapter 5, 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mphasized Hyo. Then I stressed that the relation between Mozart and his father formed the net of relation by interactions rather than by independent existence, from the systematic perspective, and showed that home could be integrated and continued through this. It is safe to say that the principle of exchanging and sharing, correspondence and accord between father and son develops in wider place and structure, society and nation, beyond the limit of home. In this respect, successful members of society and human beings with sound mind should be developed by connecting this study on Hyo and music. In addit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ing love between father and son into Hyo, and show the importance and value of Hyo music.

      • 親生子關係 訴訟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김나현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Parental relationships are the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which results from the natural kinship and a legal parent-child relationship by adaption which is deemed a parent-child relationship legally. The biological child is a child who has the blood-relationship with parents, which is divided into two types in which are a bastard illegitimate child and legitimate child under marriage. And the legitimate child is divided into a child under marriage who is presumed to be biological and a child under marriage who is not presumed to be biological. In a suit on the dispute of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in Civil Law, there are Denial of a legitimate child, Determination on fatherhood, Request for an affiliation, Revocation of an affiliation for the purpose of extinguishing or newly generating legitimate child in blood relationship by virtue of the judicial judgment, and otherwise, in case of having a dispute with other specific person as to whether a parent-child relationship exists legally, there is a suit on Confirmation as to whether a relationship with a legitimate exists. Since the parental relationship is settled naturally by blood relations except a bastard illegitimate child and a father-son relationship with its father, no matter how it is written in the Family Registration Register, it can be asserted whether the parental relationship exists or not. However, The period during which a suit on whether a relationship with a legitimate exists is filed is not restricted. In case of death of one side of the concerned persons, a suit is filed against a prosecutor within 2 years from the day when he/she knows the death. In case that the person concerned files a suit, he/she should file a suit against both parent and child. Like above, the suits relating to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should proceed with a suit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such as person concerned, and period of filling etc. Therefore, I will analyze the function of suits, standing to sue, detailed reasons of suits, exclusion period, judicial precedent focusing on litigation on a dispute of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surrounding occurrence of the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e natural blood relationship on this paper and I will examine the problems of such suits and the methods of improvement. (Subject words :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mother-son relationship, father-son relationship. suits related to biological parental relationship) 자연의 혈연관계에 있는 친생자관계와 법률상 친생자관계로 의제되는 법정친자인 양친자관계가 있다. 친생친자는 부모와 혈연관계에 있는 자(子)로서 부모의 혼인상태에 따라 혼인중의 출생자와 혼인외의 출생자로 나누어지고, 혼인중의 출생자는 다시 친생자의 추정을 받는 혼인중의 출생자와 친생자 추정을 받지 않는 혼인중의 출생자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 민법상 혈연관계에 있는 친생자관계 다툼에 관한 소송으로 친생자관계를 판결로서 소멸시키거나 새로 친생자관계를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친생부인의 소, 부(父)를 정하는 소, 인지청구의 소, 인지취소의 소, 이와는 다른 특정인 사이에 법률상의 친생자관계의 존부에 관하여 다툼이 있는 경우에 그것을 확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친생자관계존부확인의 소송이 있다. 친생자관계는 혼인 외의 출생자와 그 부와의 부자관계를 제외하고는 자연의 혈연으로 정해지므로 가족관계등록부에 어떻게 기재되어 있는가를 불문하고 친생자관계의 존부를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친생자관계 존부확인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은 제한이 없으나, 당사자 일방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 사망을 안 날로부터 2년 내에 검사를 상대로 하여 소를 제기하여야 하며, 이해관계인이 소를 제기하는 때에는 부모와 자를 쌍방을 상대방으로 하여 소송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처럼 친생자관련 소송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소송을 진행하여야 하며 소를 제기할 수 있는 당사자, 제소기간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른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자연의 혈연관계에 기초한 친생친자관계의 발생을 둘러싼 친생자관계에 다툼에 관한 소송을 중심으로 하여 소의 기능, 당사자 적격, 소의 구체적인 사유, 제척기간, 판례 등을 분석하여 이런 소송의 문제, 또 제척기간이 지나서 소를 제기하는 경우 판결이 당사자에게 어떠한 이익이 있는지 연구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 주제어 : 친생자, 모자관계, 부자관계, 친생자관련소송 )

      • 호세아서에 나타난 하느님 사랑에 관한 성서 신학적 고찰 : 호세 11, 1-11을 중심으로

        하철민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67

        오늘날 우리 사회는 수많은 학문과 정보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진정한 해방과 자유의 의미를 찾지 못해 갈팡질팡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의 시대 상황 안에서 우리는 과연 하느님과 관계를 계속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인가. 구약성경 안에서 이스라엘 민족들은 하느님의 사랑으로 이집트에서 나올 수 있었다. 그런데 이스라엘 민족들은 출애굽 사건들을 ‘기억’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우상숭배를 통해 하느님으로부터 멀어져만 갔다. 이스라엘 역사(歷史) 안에서 하느님은 끊임없이 역사(役事)하시는 ‘살아계신’ 하느님이시다. 그래서 이런 이스라엘의 배신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보며 혼자 괴로워하시는 아버지이시다. 이를 깨닫고 하느님께로부터 멀어졌던 그들의 마음을 다시 하느님께로 돌리고자 노력했던 예언자가 호세아 예언자였다. 호세아 예언자는 심판과 징벌을 예고하면서도, 동시에 회개하라고 간절히 외치며 ‘하느님의 사랑’을 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세아서에 나타난 하느님 사랑에 관한 성서 신학적 고찰’을 통해서 하느님과 이스라엘 간의 역동적인 관계 안에서 ‘살아계신 하느님의 사랑’을 고찰해보았다. 특히 호세아서 11장에서 ‘부자관계로 표현된 하느님의 사랑’을 중심으로 ‘하느님의 어버이적 사랑’이 개진되었다. 본 연구는 네 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내용들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에서는 호세아서의 전반에 관한 이해(理解)를 돕기 위해 호세아 예언자의 활동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호세아 예언자의 삶의 자리를 살펴본 후, 호세아서와 이스라엘의 고대 전승을 통해 호세아서가 구약 전반에 자리하고 있는 위치를 살펴보았다. 호세아 예언자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회고함으로써 그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새로운 길을 보여 주었다고 말하고 있다. 즉 야훼께서 행하신 출애굽 전승과 광야 전승이 과거에 나타난 야훼의 위대한 업적을 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새로운 출애굽과 광야가 있을 것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고 보는 것이다. 그리고 제2장에서는 구약성경 안에서의 하느님의 사랑을 살펴본 후, 호세아서 안에서의 하느님의 사랑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하느님의 사랑은 보편적인 사랑이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특수한 사랑임을 알 수 있었다. 이 하느님의 특수한 사랑은 당신의 마음속의 어떤 심리적 현상으로 머물러 있지 않고 다른 어떤 가시적인 행위 즉, ‘계약’이라는 개념으로 표출되었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민족들에게 넘치도록 풍성한 생명을 주셨고, 그들을 ‘계약’이라는 수직적인 개념을 뛰어넘어 ‘아들’이라는 따뜻한 사랑의 수평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부르셨던 것이다. 따라서 제3장에서는 ‘하느님의 어버이적 사랑’이 담겨 있는 호세아서 11장을 주제본문으로 설정하고 주석하였다. 그리고 이 비평 본문과 주석을 통하여 제4장에서 ‘부자관계로 표현된 하느님의 사랑’에 관해 자세히 살펴보았는데, 구약성경 안에서 ‘아버지-아들’에 관한 비유는 고대 근동 여러 문헌에서도 나타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대한 영향이 없지 않은 호세아 예언자도 호세아서 11장에 하느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부자관계로 표현하였다. 곧 호세아서 11장에 부자관계로 표현된 하느님의 사랑은 하느님과 이스라엘의 역동적인 관계 안에서 살아계신 하느님의 ‘???’로 말미암아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하느님으로부터 멀어지려고만 하는 백성들을 보며 아파하시는 분, 그러나 그들을 끌어안으시려 하시는 분, 바로 그분께로 다시 가야 하는 새 출애굽의 지평을 열어주는 호세아 예언자의 마음이 11장 안에 담겨 있는 듯하다.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내용들을 한마디로 정리해 본다면, 온갖 여러움과 불신, 고통, 절망 속에서도 하느님을 저버리지 말고 하느님 아버지께서 그러하셨듯이 우리도 조건 없는 사랑을 신앙인으로서 보여야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하느님과의 관계를 지속하는 길이다. 호세아 예언자가 출애굽을 상기시키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낸 것은 그 때 우리를 돌보아주었던 하느님을 ‘기억’하고 다시 하느님의 품으로 돌아오라는 것이다. 우리의 역사(歷史) 안에서 역사(役事)하시는 하느님은 지금도 우리를 위해 사랑의 손길을 내밀고 계시는 ‘살아계시는 하느님’이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 아버지의 지극한 사랑을 항상 ‘기억’하며 하느님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Old testament Israel could go out Egypt to love of God. But They forgot to ‘remember’ which is an event Exodus. And became estranged from God through idol worship. God is ‘living of God’ In history of Israel that public works constantly. So he is troubled in spite of betray of Israel. Hosea is realized it. And then he tried return to God. Hosea told not only judgment and disciplinary punishment but also repentance for convey a message which is ‘love of God’ So, this paper focuses on ‘A Biblical-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Love of God in the book of Hosea’ to the Love of God which is living in dynamic relation between God and Israel. Especially, this manuscript considered ‘Love of God who is father’ focuses on ‘Love of God expressed to relation father-son’. There are 4 chapters to the paper. First of all, in order to provide the background of the book of Hosea,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n works a prophet Hosea and walks of life the prophet Hosea. And this manuscript considered that this book of Hosea position in Old testament in how to look into ancient tradition of Israel. The prophet Hosea speaks about a new way to live that by recollection of there's history. that is, to be a based on look to new Exodus and wilderness in future, go on doing saying about great achievements of Yahweh Reflection on the past which is Yahweh worked in tradition of Exodus and wilderness. In the second chapter, in order to lead the subject text, the Love of God in Old testament and Love of God in the book of Hosea. We looks here that the Love of God is not universality love but specially love about Israeli people. Specially love of God had expressed to conception of ‘covenant’. This specially love of God was expressed a concept ‘covenant’. So God gave a life to Israeli people enough. Accordingly in the third chapter, subject text setting up 11 chapter of book of Hosea which in ‘love of God who is father’ before a commentary. And then in the fourth chapter, manuscript look into about ‘love of God expressed relation father and son’. But the metaphor about ‘father and son’ be found in Ancient Near East literature too. Under this effect the prophet Hosea wrote 11 chapter of book of Hosea. To summarize the arguments given so far, we should look unconditionally love as a believer like Father with an open heart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difficulties, disbelief, suffering, and pains, without deserted God. This is a way which in continue on relation of God.

      •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구약에 나타난 대인관계 실패모형 분석 및 기독교상담

        이숙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the recovery of relationships through analyzing the characters of the Old Testament which showed failure cases in relationships due to the low self-esteem. Self-esteem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well as oneself. It is seen that the people who have the high self-esteem form the amicable relationships and respect others. The Bible introduces numerous persons, presenting the problems that are faced by human beings during the course of life and the interpersonal models. Investigating the origin of problems, human beings committed a sin to God and they were corrupted. Their sin gave birth to the severance of the intimate relation with God, resulting in low self-esteem and wrong self-identity. Inherently, Adam and Eve who were created by the image of God lost the recognition of the true existence. As a consequence, human beings got into low self-esteem. This low self-esteem is the root cause leading to the failure of relationships with God, oneself, and others. This study attempts to take a theoretical approach toward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sis, it presents married couple's relationship model (Adam and Eve), brothers' relationship model (Cain and Abel), and father-son's relationship model (Noah and Son) as the personal relationship types with low self-esteem.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ed the cause and effect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based on the biblical understanding for each case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models. Human beings are existence to have the soul. The corruption due to sin is the primary cause of failure in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who have the soul. The Love of God, 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the fellowship of the Holy Spirit are only ways to solve this problem. A full recovery of failure in personal relationships is not possible with human centered humanism. Self-esteem can be recovered with the Christian counseling which is guided by the Bible and Holy spirit. In conclusion, Christian counseling can solve the problems of those who need counseling based on the Bible, which reveals the words of God and the love of Christ through the cross. Clients of Christian counseling can fully recover self-esteem and are transformed into beings who ascribe their glory to God through solving the problem and changing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약에 나타난 실패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기독교상담적으로 해결방안을 접근하는 것이다. 자아존중감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대부분의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은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인정한다. 성경에 소개된 인물들은 거의 두려움, 실패, 좌절 등의 문제를 겪었다. 그 문제의 근원을 살펴보면 인간이 하나님께 범죄하고 타락하여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가 단절됨으로써 낮은 자아존중감과 잘못된 자아정체감을 갖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본래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아담과 하와는 죄로 말미암아 그들의 진정한 실존에 대한 인식을 상실하였다. 인간은 이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등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낮은 자아존중감은 하나님, 자기 자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실패로 이끄는 근본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이 이론을 근거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인간들의 대인관계 유형으로 부부관계 모형(아담과 하와), 형제관계 모형(가인과 아벨), 부자관계 모형(노아와 아들)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대인관계 모형의 성경적 이해, 갈등의 원인과 결과, 갈등의 해결방안을 기독교상담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낮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은 죄로 인한 타락이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성령님의 도우심이다. 낮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실패의 온전한 회복은 영혼을 다루지 않는 인간중심적인 일반적인 상담방법으로는 불완전하며 기독교상담적 방법으로만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기독교상담은 상담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으로 변화시켜 온전한 자아존중감의 회복과 온전한 대인관계를 이루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존재로 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 발달단계에 따른 아버지-아들의 관계 : 아들이 지각한 아버지 역할과 아버지-아들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여진경 신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연구는 아버지-아들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들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역할, 아버지-아들의 의사소통의 기능, 내용과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 B구와 H구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600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Canfield(1995)의 아버지 역할 수행 척도(Fathering Practices Scale:FPS)와 의사소통 기능, 내용과 질은 이기숙(1988)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ANOVA 분석, 교차표(X2)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버지의 역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아들이 성장할수록, 아버지가 역할을 잘 수행하지 않는다고 지각하고 있다. 둘째, 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버지-아들의 의사소통 기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들이 성장할수록,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채널방향성은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은 상호방향적인 형태를, 중학생은 아버지가 주로 송신하거나 상호방향적인 형태를 주로 취한다. 셋째, 아버지-아들의 의사소통 내용 중 나의 일상, 아버지의 일상, 집안 행사, 오락 및 여가활동, 생활철학, 종교, 성교육, 친척 및 가족관계, 일상의 감정교환, 연예가 소식과 관련되어서 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넷째, 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버지-아들의 의사소통의 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들이 성장할수록, 아버지와 아들의 의사소통의 질적 수준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아들의 발달단계와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아버지-아들의 관계는 아들의 형제수, 아버지의 종교,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위 결과를 통해, 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버지-아들의 관계는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아버지-아들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두세대를 함께 대상으로 하여 관계의 차이와 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작업이 추후 연구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on through developmental stages focusing on father's rol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father-s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ould be the basic resource to make much better relationship.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urvey study among 600 male students including the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new town areas of P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nd some differences in father's role through son's developmental stages. Father of elementary students played higher levels of parental role than those of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it showe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function, content, fun between father-son through son's development stages,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the quality differences in father-son communication through son's developmental stages. Elementary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father-son communication quality than those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it showe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 in son development & people social quality ; son's brother of number, religion of father, family structu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has been changing through son's development stages. If fathers can recognize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ir sons, they would be required suitable changes and adaption whenever their sons' development stages are going up.

      • 혼인중 출생자의 부자관계 결정원리에 관한 연구

        남미화 韓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3

        친생추정 제도는 혈연의 존부 판별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전제로 혼인의 본질에 근거한 경험칙에 의존하여 혼인중의 포태라는 사실로부터 혈연상의 부자관계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유전자관계의 존부 판별이 과거보다 용이해지면서 과거의 기준에서 합리적으로 제정된 친생추정의 기준이 크게 변한 오늘날의 상황에 따라가지 못하고 점차 그 합리성 또한 상실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혼인중의 출생자에 관한 부자관계 결정에 대한 재검토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친생추정의 제도가 현대 발전된 의료과학기술 밑 혼인, 가족 문화의 변화로 그 문제점들이 들어나고 있는 점을 직면하여 혼인성립의 날로부터 200일내에 출생한 자,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자, 친생부인의 소의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친생추정 제도 자체의 필요성에 다하여 검토하고, 이러한 검토의 바탕으로 친생추정 제도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혼인성립의 날로부터 200일후부터 혼인관계 종료시까지 출생한 자녀와 관련된 친생추정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이어 법 제844조 제2항에서 규정한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자에 대해 검토한 후 문제해결의 방안으로 친생추정제도의 구조를 전면적으로 개정하는 방식으로 정리할 필요는 있으나 친생추정의 예외 및 해소방안으로서의 비송사건절차를 새로 규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다만 법원의 허가, 모의 친생부인 청구, 혈연부의 인지 허가 청구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지에 대해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된다. The system of presumption of paternity, is based on the empirical rules based on the essence of marriage, assuming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siblings. However, since the discrimination of the existence of genetic relationship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easier than in the past, the criteria of the rational presumptive standard of the past have not been able to follow the present circumstances, and the rationality gradually disappears. It was also necessary to reexamine the decision of the rich relationship with the birth of the child.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system of presumption of paternity was born within 200 days from the date of the birth of the marriage in the face of the problems of the marriage under the modern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the family culture. The birth of the child and the part of the wife of the wife of the wife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system of self-esteem. We examined the problem of estimating parental involvement with a chil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fter reviewing the birth within 300 day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marriage prescribed in Article 844 (2) of the Act, it is necessary to sort out the structure of the estimation system of the parent as a whole, but the exception And adopts a new regime for non-complaint case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Howev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the permission of the court, the request of a mock biological mother.

      • Arthur Miller 작품 속에 나타난 부자관계의 양상 연구 : All My Sans와 Death of a Salesman을 중심으로

        김효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2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in Arthur Miller' s two plays: All My Sons and Death of a Salesma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that Miller pursues in his plays undergoes the following changes. As the son grows older, he frees himself from his mother' s absolute protection, he accepts discipline thrust on himself by his father, and so comes under the restriction of his father' s authority. As a full - fledged man, however, he doesn' t remain in the father' s realm and, at last, he comes to understand the fact that a father is also a man. Hence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continues. Miller didn' t intend to describe only the conflict itself between father and son in his early plays. All My Sons and Death of a Salesman show us clearly that father' s deeds took place as an inevitable consequence, they have become the misdeeds in a sense, and continually their sons have been affected in a way by their father' s wrong deeds. In his early two plays of the 1940' s, the relation of the father and son has dealt not only with the problem of the family but with the problem of man and society. In All My Sons, Joe Keller' s sin lies in the lack of his care for other families beyond his family and the lack of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other parents' children. His excessive emphasis upon "family integrity" and the subsequent loss of social responsibility destroy the happiness of his neighbors as well as that of his family. It' s not until he is faced with an undeniable fact that he is compelled to see what he did and who he really was, by the very son that he had loved and he had lived for. Through death, he expiates himself of his irresponsible behavior against society. In Death of a Salesman, Willy Loman also never sees into himself and the reality of society correctly. Unlike Joe Keller, however, he did not commit any crime against society. In this respect, Willy' s case is distinguished from Joe Keller' s. Willy' s tragedy is caused by his anachronistic view of social success and twisted moral values. He has pursued the "American Dream" all his life, but his struggle to make his dream come true is frustrated in a dehumanized society where human dignity is sacrificed in favor of maximum production and profit. Finally, Willy is compelled to face reality by his son' s appeal for it with tears, which serves as proof of their failure together. He realizes, however, that he is loved by his son and is forgiven by him. With this, he finds the meaning of his existence again - his fatherhood, for which he has always striven. He sacrifices himself so willingly that he can not only justify his dream and his ideal but also claim his authority as a father through the bequest of insurance money. However, Willy' s tragedy is not limited to himself alone. Miller, through Willy' s suicide, criticizes the values and morals of a dehumanized industrial society which ruins a man's dignity, and, instead, emphasizes the responsibility of society for its members - of a society where individuals is nothing but an illusion. Based upon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in Miller' s early plays, this thesis has dealt with the individual' s responsibility toward for society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Keller and his sons in All My Sons, and conversely Willy' s twisted moral values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in Death of a Salesman. Miller' s views of the family and society in his two plays which were written half a century ago are very suggestive ones even for us who live at this moment.

      • 남자 청소년의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에 관한 연구

        최정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52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이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무엇을 체험하며, 그 체험 속에 관통하는 관계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남자 청소년의 목소리로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자 했으며, 남자 청소년의 체험 속에 드러난 아버지와의 관계의 본질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살고 있는 남자 청소년 6명(중학생 2명, 고등학생 4명, 16세∼18세)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보이지 않는 벽’, ‘불거지는 갈등’, ‘성장의 길목에서의 아버지’, ‘마음 속 아버지의 자리’, ‘아버지와 가족’, ‘희망사항’이라는 총 6개의 대주제와 그 아래 18개의 하위 주제를 통해 남자 청소년과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각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보이지 않는 벽’에서는 '각자 따로’, ‘닫힌 대화’, ‘마주할 시간 부족’, ‘불편한 아버지’의 주제가, ‘불거지는 갈등’에서는 ‘일방적인 아버지’, ‘지적하는 아버지’, ‘공부로 가로막힌 관계’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성장의 길목에서의 아버지’에서는 ‘아버지의 무관심 속 모험행동’, ‘진로에 대한 갈등과 아버지’, ‘명찰만 아버지’, ‘내 삶의 주변인 아버지’의 주제가, ‘마음 속 아버지의 자리’에서는 ‘추억 속 아버지’, ‘든든한 아버지’, ‘나는 아버지의 아들’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아버지와 가족’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의 나’, ‘또 다른 모습의 아버지’의 주제가, ‘희망사항’에서는 ‘내가 아버지가 되면’, ‘아버지에게 바라는 소망’이라는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체험의 구조 속에서 ‘거리두기’, ‘부재 속의 고투’, ‘두 마음의 부딪침’, ‘보이지 않는 끈’이라는 4개의 체험의 의미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남자 청소년의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로부터 신체적, 정서적으로 거리를 두면서 분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대부분은 아버지와 접촉하기를 꺼렸고 아버지를 불편하게 생각했으며, 아버지와 같이 집에 있을 때에도 혼자 방에서 시간을 보내며 의식적으로 자기만의 영역과 공간을 구분 지었다. 자신의 주체적 사고와 판단이 커지고 자기 의지가 강해지면서 아버지의 명령이나 지시를 침범으로 느꼈고 저항과 거부감을 나타냈다. 또, 아버지의 지배적인 권위 앞에 긴장하며 아버지를 ‘화를 잘 내고’, ‘무서운' 존재로 느꼈고 다가가기 어려워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의 모습을 탈이상화된 기반 위에서 재평가하고 판단하였으며, 아버지와의 관계를 현실적으로 재조정하는 모습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보다 자신의 세계를 자율적이고 독자적으로 열어나가기 원했으며, 아버지는 ’같이 있는 거 같은데 또 멀리 있는‘, ‘좀 더 먼 사람’이 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와 피상적인 관계 속에서 심적으로 겉도는 면이 컸다. 아버지와 삶을 나누지 않았고, 아버지로부터 관심이나 애정을 느끼기 어려웠다. 자신의 고민과 갈등을 이해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 아버지는 부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아버지는 ‘한 집에 같이 살고’, ‘용돈을 주며’, 경제적인 것을 책임져주는, ‘그냥 돈을 벌어오는 사람’으로 느껴질 뿐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업에 대한 힘겨운 부담과 불투명한 진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힘들고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내고 있었으며, 다양한 모습의 ‘성장통’을 겪고 있었지만, 아버지는 아들의 문제에 별다른 관여와 도움을 주지 않았다. 그들은 아버지를 ‘말만 아빠’, ‘쓸모없는 존재’라고 언급하기도 했으며, 아버지의 심리적 부재에 방어적으로 대응하며 무감각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아버지와의 관계는 파편화된 경험으로 채워질 뿐 깊은 질성(質性)을 느끼기 어려웠으며, ‘중요한 타자’로서 아버지의 의미는 축소되어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와의 빈약한 정서적 유대 속에서 힘겨운 고투를 지속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양가적인 감정이 자주 부딪쳤다. 아버지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독립적인 것을 원하면서도 동시에 의존하고 연결되고 싶은 욕구가 존재했다. 그들은 마음 한편에서 아버지를 비난하며 밀어내는 모습을 보이다가도 또 한편에서는 아버지를 수용하며 아버지와 보다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어 했다. 또, 아버지가 자신에게 관심을 두거나 도움을 주는 것이 오히려 어색하고 힘들 것 같다는 이야기를 했지만, 아버지의 무관심을 섭섭해 하며 아버지가 자신에게 보다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랬다. 연구참여자들은 두 마음의 ‘사이’를 자주 넘나들었고, 이러한 대립되는 마음은 ‘이중’ 공간에서 저울질을 하며 부딪쳤다. 그들에게 드러나는 ‘사이’는 보다 홀로서기를 연습하는 갈등의 공간이었고, 성숙을 위한 실험의 무대이기도 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과 아버지 사이에는 서로가 인식하는 동질성이 있었으며, 무의식적으로 연결된 무언의 힘이 존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버지를 바라보며 자신도 언젠가 가장으로서 아버지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는 미래의 남성적 삶을 그려보기도 했고, 아버지의 모습을 내재화하며 긍정적, 부정적 행동을 동일시하기도 했다. 또, 어려운 상황이나 힘든 일을 겪을 때 아버지를 기억하고 되살려내기도 했으며, 아버지와 경험했던 소소한 일들은 새로운 세계를 꿈꾸고 탐색하는 연결고리가 되어 미래의 꿈과 진로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아들은 아버지로부터 더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기도 했으며, 아들과 아버지는 활동과 취미를 공유하며 돈독한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또, 아버지와 몸으로 전달되는 신체적 감각은 또 다른 일체감을 갖게 하였다. 아버지로부터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전달된 가치와 태도는 아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부지불식중에 아들의 삶 속에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남자 청소년의 관점에서 남자 청소년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통해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의 의미를 밝혀봄으로써, 청소년기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범주화된 영역에서 유형화된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에서 포착하지 못하는, 고유하고 개별적인 관계 체험의 내용을 보다 섬세하게 담아냄으로써 남자 청소년이 아버지와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와 갈등, 바람 등을 인식하고, 청소년기 부자관계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빈곤가정의 부부갈등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부자관계를 매개변인으로

        박에스더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children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this, it was to provide the need of father Education and Marital Education for improve marital relationship and Father-children relationship, restore Family Heal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5 poor children in poverty who are 4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currently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Pusan area.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the statistics program of SPSS/WIN 18.0. and AMOS/WIN 18.0. The analysis methods we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ies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marital 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lso, marital conflic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negative Father-children relationship of Father-children relationship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econd, the higher marital conflict of children's awareness was, the higher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 higher positive Father-children relationship of children's awareness was, the lower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ird, path analysis demonstrated that Father-children relationship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is analysis also revealed that marital conflict had a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uthor proposed the needs of Comprehensive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and the intervention should be on the entire family rather than an individua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