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류기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국내 수출입의 대부분이 해상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해운산업과 항만산업은 수출입 중심의 우리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자동화 터미널 시설을 갖춘 신항 개장, 신 해운동맹 출범에 따른 선석 조정, 해운 선사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의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동량 유치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글로벌 선사 물동량 유치를 위해서 정기선 항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노력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상에 연결정도 중앙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항만은 싱가포르항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제 연도별 부산항 주요 국가 항만별 처리 물동량 순위와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간 순위 비교 결과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부항만이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의 허브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 항로 수는 증가하더라도 해당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이 중소형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상 부산항이 싱가포르항 기항을 위한 피더항(Feeder Port)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are the most important national industry for Korea’s export-oriented economy since most of our trades are done through shipping. Busan Port, which handles 75% of domestic container freight volume, strives to attract more freight volume through improvements such as opening automated terminal facility, in Busan New Port, adjusting the berth from forming a new shipping alliance, and establishing networks with shipping companies. Additionally, Busan Port, which has a global network, is expected to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for container liner routes and expand freight line services to secure more global freight volumes.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 of container liner route patter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6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centrality of world’s key ports and examines maritime network’s infrastructure connected to Busan Port. Analysis of the port with high degree of centralization, close proximity, and mediation center to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 route network was Singapore Port. Additionally, analysis of annual ranks of freight handling volume of key national ports was different from Busan Port’s container liner route network centralit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astern port of China, which occupies a high percentage of the volume of cargo handled by Busan Port, is not a hub port of Busan ​​Port when viewed on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liner network.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container liner services in Busan Port increases, it is estimated that the vessels assigned to the liner services will be small to medium in size or that Busan Port will become a feeder port for the Port of Singapore.

      •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인력수급 저해요인 분석연구

        나인권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제 무역의 핵심인 해운·항만 물류산업은 고부가가치산업이자 국가 기간산업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또한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물류인력 양성을 위한 많은 연구와 정책들이 발표되었지만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업체는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글로벌 복합물류 중심기지로 부산항 신항 배후물류단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인력의 원활한 수급이 필수요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비교적 범위가 넓었던 해운·항만 인력 양성 및 수급에 관련한 연구에서 세분화하여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의 인력수급 저해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인력수급 저해요인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방법론을 통해 인력난의 원인을 파악하고,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인력수급 활성화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먼저, 항만배후단지의 개념 및 기능, 부산항 신항 항만배후단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조사에서 도출한 요인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고 물류센터 종사자를 인사담당자와 직원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T-test 분석, 저해요인에 대한 중요도 평가, 만족도 수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결과 저해요인으로 기업신뢰도, 근로환경, 경제적 보상 및 복리후생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T-test 분석결과 인사담당자와 직원 간 만족도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력수급 저해요인의 중요도 평가결과 근로환경 요인의 저임금, 열악한 환경, 과도한 업무량 및 업무시간이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직원의 만족도 수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3가지 요인(기업신뢰도, 근로환경, 경제적 보상 및 복리후생) 모두 직원의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저해요인이 개선되더라도 직접적으로 직원의 만족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각 업체에서 임금 인상, 인센티브, 복리후생에 관련하여 나름의 개선방안을 진행하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노력들이 현실적으로 직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단편적이고 일회성에 그치는 정책들을 지양하고 구성원들이 피부와 와 닿을 수 있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부산항 VTS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ly, as ship is getting bigger and high speed and icreasing in dangerous freight, countries through which these ship pass very frequently have been confronted severe environment problem called by sea pollution. As the result, the campaign which is trying to restrict to sail in their sea zone is rising and it's role has been assigned to Vessel Traffic Service (VTS). VTS with fundamental surveillance device had begun in LIVERPOOL of England and in 1960, it spread out to EUROPE, after it, it was installed in North America, and were provided worldwide in 1980. In korea, since POHANG port had introduced three step level VTS in Jan. 1993, VTS is running in 14 ports nationwide. Especially for BUSAN port, the greatest trade port in domestic, As it's role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militarily, by investing 7.5 billions of national budget to it, and after 2 year's construction period from 1996, in Dec. 1998, VTS with cutting-edge equipment has been running. This study is to analyze achievement by operation of VTS based on experiences in operation of VTS of BUSAN port for the sake of improving quality in VTS and the trend of sea accident by comparing "before installation of VTS " with "After installation of VTS" and therefore, we estimated the value of VTS. and also by generalizing the opinion and complain of sea traffic controller who have much experience in management of sea traffic for several years, we analyzed several problems in operation of VTS of BUSAN port and then delivered the guide line for improving of VTS and last we delieved the plan for activating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VTS. From above survey and research, we have came 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ing First, b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sea accident happened before and after of installation of VTS, we came to know that the accidents such as collision, strand of ship have been decreased remarkably. this means VTS of BUSAN port have great contribution to prevention of sea accident. Second, we have analyzed 7 problems of VTS operation in BUSAN port. Third, we provided 7 plans for effective operation system of VTS suitable for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BUSAN port.

      • 부산항 신항과 북항의 균형발전을 위한 운영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필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Summary of Research Results In Northeast Asia, to pursue the improvement of its function, and to build a combined port with a information base space, which provides total distribution servi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vision, as of May, 2013, under the third master plan of trading ports, a goal was set to handle 20.7 Mil TEU and to develop shipment of 26 new ports including private sector investment by 2020 with Busan Port Authority and it has been carried in stages. Recently, the increasing cargo flow of Busan port has slowed and this representative national harbor faces a crisis because there is a raising possibility that the volume of its imports and exports might decrease in several years. One the other hands, because Busan Port was separated into New Port and North Port, the cargo flow of North Port has been gradually transferred to New Port since 2011. The output of New Port to handle the cargo was 55 percent in 2012, while North Port handled only 45percent. As a result, New Port has overtaken North Port on this matter and been predicted to increase more than 60 percent of there cargo volume in 2013. Moreover, the berth occupancy rate also has been transferred to New Port from North Port.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operation plan for dealing with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port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New Port, while North Port should promote the stability of operation through working with New Port, cooperation with port authority and competition in good faith. Consequent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have an operation plan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Busan ports. If the plan is not set up right away, Busan port would degenerate since it hasn't secured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other Northeast Asian harbors. In this thesis, three solutions are considered for balanced development of both ports through operation efficiency gain. First, in order to invigorate the continuous-move of New Port and North Port, transportation system of both ports needs to be expanded to marine from overland concentrated transportation. To make it available, port authority should support them with incentive and induce their shipping companies concurrently touch at port to participate voluntarily until they settle down stably. Second, operation efficiency should be pursued through volume prediction, reasonable distribution of North Port and New Port and prevention of volume concentration phenomenon to certain terminal. Also steps need to be taken through specialized marketing and operation methods that best suit for terminals. Third, it is necessary to run a unified operation company from mutual developing cooperation of terminals to maintain the optimal stevedorag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m by free economy since there is oversupply, thus, harbor authority's close supervision and control the rate is required. Through that, undervalued rate of Busan Port compared to neighboring competitors will be recovered to normal and stop draining national wealth. All those efforts will be a driving force to Busan Port's balanced development.

      • 상해항 개발에 대비한 부산항의 경쟁전략

        이희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Shanghai port is on development with the growth of Chinese Economy. Besides, Chinese government is planning to handle the cargos by themselves as well as the strategy that develops Shanghai port into the centre of the port for logistics in North-East Asia is going on. This plan is going to be a big mena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recognition of the ideal and the present for the development of Busan port and environment of port Therefore, The thesis shows the ports of comparative superiority and comparative inferiority and what the strategy Busan port has to consider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Busan port which targets on the centre of the port for logistics and Shanghai port which is developing rapidly in intense competitions of ports.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usan port should expand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transportation by sea and railroad with the geographical advantage and increment of the cargos in North-East Asia. It needs to build the network of transshipment up between China and Japan as well. in a long-term, for a bigger market of the cargo transportation, The railroads should be united. Second, Busan port should entice liner corporations to be in the port with discriminations of port's services. In oder to entice liner corporations, the port should consider the improvement of the incentive system, the integration of the port's information system, the improvement of towing system and pilotage system, the allowance that alliance-liner-corporations take the right to manage the container terminals. Third, Busan New Port that is going on construction and the hinterland with early build of port's infrastructure should get involved enough port's facilities and the value add service with port's cluster. Fourth, the port's sales needs to be forged. It is necessary to make a environment, lifting unnecessary regulation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do business in Busan port so that the port's sales is fulfilled.

      • 釜山港의 港灣機能에 관한 小考

        이성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247807

        A port represents a collection of physical facilities and services designed to serve as an interchange point between land and sea transport. Therefore, the existence meaning and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harbor gives a problem to adapt the rapidly changing means of world sea transport. One of the decisive factor in the growth of mordern harbor is the change of sea transport system. A typical example in this new sea transport is containerization besides palletization, roll on/roll off, barge-earring, pre-sling and so on. The development of this transport system raises questions of containerization of harbor facilities, improvement of equipment, door to door and combined transport system. To cope with these variations of international sea transport,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present reform measures to become higher harbor facilities of Busan port. In our country Busan port is a largest scale commercial port and a good harbor having the oldest tradition. As a result of epoch-making success of the first, second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s transport demand of sea freight has been increasing rapidly, Busan port is compelled to expand harbor facilities and become overall harbor maintenance and enlargement. In succession the first and second step Busan port development work, the third step Busan port development work is under construction from 1985. 12 to 1990. 12. But in spite of the expansion of Busan harbor faciliti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cluding incapability of earring out an increasing materials mobilization amount and so on. As the question at issue of Busan harbor physical distribution(packing, loading and unloading, transport, custody and communication) system we can mention incompletion of packing standardization, variety of packing charges, insufficient mechaniz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facilities, inadequate utilization of pallet and container and so on. For physical distribution rationalization we must establish curtailment of distribution expenditure, saving of resources, synthetic distribution rationalization plan, etc. As, the problem being based on insufficiency of Busan harbor facilities, particularly in container, there has come out insufficient phenomenon of facilities after 1981. To get solved such a defect in container wharf facilities we can state enlargement of Incheon port utilization, the selection of an area for container facilities near Busan, the deliberation of a substitution area for container wharf, such as Woolsan, Masan etc. Consequently there is no other fitting alternative except developing new wharfs. It is the best plan and the present problem to make the most of container treatment of Busan new wharfs.

      • 환적화물 증대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부산항의 관점에서

        류시춘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두자리수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던 동북아 역내항로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1997년 아시아권의 외환 및 금융위기와 일본의 장기 불황으로 그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현상은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뿐만 아니라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에서도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기존 부산 북항은 물론 부산 신항의 활성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부산항을 둘러싼 세계, 동북아지역의 컨테이너 물동량 변화 추이와 함께 제반 해운  항만 환경 변화요인 등을 기존 선행 연구자료를 통해 먼저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과거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부산항 중심의 분석 시각과 촛점으로 좁혀 보다 실질적이고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코자 부산항을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항만관련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실무자 및 전문가들의 견해를 설문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첫째, 부산항 환적화물 둔화원인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부산항 이용 종사자들은 최근 부산항 환적물동량 둔화를 대부분이 강하게 문제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부산항에서 환적화물은 부산항 발전 및 부산경제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원인으로 국내화물의 급격한 증가는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환적화물 둔화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중국화물의 직기항 증가라고 대부분의 부산항 종사자들은 답변하였다. 둘째, 부산항 환적화물 처리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질문에서는 부산항의 가장 커다란 환적체계의 문제점으로는 컨테이너부두의 선석 및 야드공간 부족으로 불가피하게 발생되고 있는 일반 재래부두 중심의 환적시스템이라는 답변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를 위한 개선 방법으로는 이런 재래부두 환적체계를 개선코자하는 다양하고 실질적인 노력들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최근 부산항 환적화물의 급격한 감소세를 다시 반전시키기 위한 항만당국의 정책적 대안 및 과제에 대하여 부산항 이용 항만종사자들의 업종에 따른 선호도 분석 결과는 첫번째로 하역업체의 경우 “부산항의 환적화물 인센티브 제도를 실질적인 물동량 증대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항만 배후단지내 투자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신규 화물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부두의 환적화물 처리체계를 점진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신항의 운영사로 글로벌선사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순으로 언급하였다. 두번째로 선사의 경우는 “항만 배후단지내 투자기업을 적극 유치하기 위한 노력”과 “신항 운영사로 글로벌선사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순으로 답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항만관련 산업계에서는 “항만 배후단지내 투자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에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확인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부산항의 환적화물 증대를 위하여 항만당국이 현재 추진중이거나 추진예정인 정책들이 그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부산항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업종별 성격과 특성에 맞는 좀 더 정교하고 친밀한 정책 수립과 실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너무 많은 기대치를 가지고 광범위하게 수립된 정책은 차칫 투입된 노력에 비하여 제대로 된 성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부산항 신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정경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trading port is a logistic hub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a sort of SOC (Social Overhead Capital) which has a big impact on the growth of the local and national industries, and it's a place where many different parties such as port authority, shipping and logistic company, consignor and local inhabitants are bound up with, so it is advised that issues on development and operation have to be discussed by formation of mutual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policy making. In this study, a case of Busan New Port is introduced and the formation of mutual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policy making related to the port are critical because facilities are already in use at the same time while still being built and financed by many different parties such as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s. Besides, BPA(Busan Port Authority) in charge of operating Busan Port is a public enterprise but has a limited role in the sector of establishing port policy. Likewise, a new cooperation system is urgent as the participation opportunity of local government which is guaranteed by the law of port authority getting limited as BPA is now being supervised by central government followed by the newly formated operating public firm law. This study aimed at drawing new governance establishment scheme by formation of desirable policy participation of subjects which share the common interests. Details of new governance plan is reviewed from 3 different points of view; systematic improvement plan, functional role sharing between participating parties and reformation plan f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aw and system. From the result of actual survey, establishment of Busan New Port governance need to be formed in the way of pursuing common value for various subjects based on their multiplicity, communications, arbitrations, port administrative experience, expertise and representativeness of all subjects. Secondly, functional roles between participating parties are need; central government have to set mid-long term port development plan synthetically and empower local government's role by transferring of authority involved in port administration and supporting finance. Local government has to effort for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authority in port and set up a foundation of relevant preparations to avoid port development policies highly depend on central government. Subsidiary organizations which provide gas, electricity etc make effort to establish guidelines that are derived from port development scheme and operations. Also, enterprises are asked to encourage participations in governance consider the competitiveness of the whole Busan Port and related associations such as labour union needs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governance or else in associates organizations accompanied by open discussion regarding current issues. Finally, supports on operations of logistic facilities and moved in firms get strengthened by law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lead integration of shipping, harbour, logistics industries. Furthermore, independency and self-governing system of port administration need to be promoted by revision of law related to operation of public firm. 항만 특히, 무역항은 산업 생산물의 물류 거점으로서 당해 국가 내지 지역의 산업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회간접자본이다. 무역항은 항만관리기관, 선사, 화주, 물류기업 및 지역주민 등 여러 주체간의 이해관계가 형성되는 곳으로 개발과 운영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를 이해관계 주체의 정책 참여와 협력체제의 형성을 통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대상인 부산항 신항은 개발 중인 신규 항만으로서 이미 개발된 항만시설은 실제 가동되고 있는 점, 위치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경계 수역인 점, 항만개발의 주체가 정부 및 정부출자기관인 부산항만공사와 민간기업으로 다원화되어 있는 점, 항만권역이 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역으로 함께 지정되어 있는 점 등을 볼 때, 이해관계 주체의 정책 참여와 협력체제의 형성이 더욱 필요하다. 그러나 부산항의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항만공사는 항만공사법에 의한 정부출자 공기업 형태의 조직으로 항만정책 수립, 관련기업 지원분야 등에서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부산항만공사가 항만공사법보다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의 우선적 적용대상이 됨으로써, 항만공사법이 보장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참여기회가 제한을 받게 되어 새로운 협력체계의 모색이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의 관련 이해관계 주체의 바람직한 정책참여 및 협력체제 형성을 통해, 항만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항만 거버넌스의 형성, 참여주체간의 기능적 역할 분담, 법․제도적 개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부산항 신항 거버넌스의 형성은 설문분석 결과, 관련주체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주체간의 의사조정기능을 가져야하며, 항만관리의 경험과 전문성, 대표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체의 공동가치를 추구하는 형태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주체간의 기능적 역할로는 우선 중앙정부의 경우, 지역별로 특화된 중장기 항만계획을 종합적으로 수립하고, 항만의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참여 및 역량을 확대하고, 거버넌스 구축에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을 늘려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는 항만관련 전문성을 강화하고, 국가의존형 항만개발․운영 형태를 벗어나기 위하여 자체 재원을 투입하는 등의 노력과 함께 효율적인 항만운영을 위한 지원체제의 확립에 주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에 가스, 전기 등 기반시설을 제공하는 유관기관의 경우, 항만개발계획에 맞춘 지원체계의 마련과 지원업무별 가이드라인 설정 등이 요구되고, 기업의 경우, 거버넌스 참여와 함께 투자 및 고용확대, 부산항 전체의 경쟁력을 고려한 기업운영이 필요하며, 노조 등 관련단체는 거버넌스 참여 확대와 함께 현안문제에 대한 개방적인 협의자세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법․제도적 개선으로는 해운항만경제특구제도의 도입으로 입주 기업의 경영과 물류시설 운영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행정절차를 간소화하여 해운항만산업의 집적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고,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하여 항만관리의 독립성과 자치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동북아 메가허브항(Mega Hub Port)을 위한 부산항의 항만 경쟁력 강화 방안

        박홍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y assist for port policy of The State. And I will study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in marine transport · port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subject of The Port of Busan for mega hub port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concentrates on literature study through journal article, inside data of relation agency and analysis of preceding study.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modify Two Port plan, which is port policy of The State with One Port plan for the Port of Busan. And it can lead to th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Hub & Spoke service besides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with the revitalization of developing New Port of Busan.

      • 빅데이터를 활용한 부산항 환적화물 물동량 이상치 탐지 분석

        박미혜 한국해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산항의 환적화물은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8.27%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 다. 이는 국내 환적화물 물동량의95%를 차지하나, 2016년 9월 한진해운사태를 비롯해 미국 대통령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중국 환율 조작국 지정 등의 경제 기조와 세계 교역량의 감소와 선대의 축소 등으로 인한 물량 감소는 부산항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선사에서 마케팅을 위해 활용하고 있 는 자료로는 부산항에 신고된 수출입 환적 화물의 물량 통계뿐이다. 물론 원시 데이터는 있지만 공개되지 않고 있고, 월별 년별 집계된 데이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부산항 전체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 항만, 각 선사별로 부산항으로 환적 되는 물량의 변화가 어떤지, 특별히 나타나는 이상치는 없는지 분석하는 자료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변화되고 있는 환적화물의 흐름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부산항이 데이터 기반 마케팅 관점에서 환적 화물의 부산항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을 위한 자 료는 부산항만공사의 Port-MIS 자료 중 부산항을 경유하는 환적화물 자료 및 를 활용한다. 또한 터미널에서 관리하고 있는 COARRI, CODECO 자료도 포함 했다. 부산항 전체는 시계열분석 방법의 하나인 ARIMA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 고, 국가별, 포트별 선사별 분석에서는 이동평균법(MA)방법을 사용하여 신뢰수 준 95%하에서 벗어나는 것을 이상치로 간주하였다. 또한 해당 이상치를 감지한 국가 및 항만에 대해서 상세하게 분석하여 어떤 국가에서 어떤 항만, 어떤 선사 의 환적화물 물량이 이상이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이며, 다른 경쟁 항만은 어떤 일이 있어나고 있는지 환적화물 물동량 패턴을 분석하여 항만공사, 항만청, 선 사, 터미널 운영사 등 부산항을 이용하는 항만 주체들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 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