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항 신항과 북항의 균형발전을 위한 운영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필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Summary of Research Results In Northeast Asia, to pursue the improvement of its function, and to build a combined port with a information base space, which provides total distribution servi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vision, as of May, 2013, under the third master plan of trading ports, a goal was set to handle 20.7 Mil TEU and to develop shipment of 26 new ports including private sector investment by 2020 with Busan Port Authority and it has been carried in stages. Recently, the increasing cargo flow of Busan port has slowed and this representative national harbor faces a crisis because there is a raising possibility that the volume of its imports and exports might decrease in several years. One the other hands, because Busan Port was separated into New Port and North Port, the cargo flow of North Port has been gradually transferred to New Port since 2011. The output of New Port to handle the cargo was 55 percent in 2012, while North Port handled only 45percent. As a result, New Port has overtaken North Port on this matter and been predicted to increase more than 60 percent of there cargo volume in 2013. Moreover, the berth occupancy rate also has been transferred to New Port from North Port.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operation plan for dealing with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port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New Port, while North Port should promote the stability of operation through working with New Port, cooperation with port authority and competition in good faith. Consequent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have an operation plan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Busan ports. If the plan is not set up right away, Busan port would degenerate since it hasn't secured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other Northeast Asian harbors. In this thesis, three solutions are considered for balanced development of both ports through operation efficiency gain. First, in order to invigorate the continuous-move of New Port and North Port, transportation system of both ports needs to be expanded to marine from overland concentrated transportation. To make it available, port authority should support them with incentive and induce their shipping companies concurrently touch at port to participate voluntarily until they settle down stably. Second, operation efficiency should be pursued through volume prediction, reasonable distribution of North Port and New Port and prevention of volume concentration phenomenon to certain terminal. Also steps need to be taken through specialized marketing and operation methods that best suit for terminals. Third, it is necessary to run a unified operation company from mutual developing cooperation of terminals to maintain the optimal stevedorag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m by free economy since there is oversupply, thus, harbor authority's close supervision and control the rate is required. Through that, undervalued rate of Busan Port compared to neighboring competitors will be recovered to normal and stop draining national wealth. All those efforts will be a driving force to Busan Port's balanced development.

      • 빅데이터를 활용한 부산항 환적화물 물동량 이상치 탐지 분석

        박미혜 한국해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산항의 환적화물은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8.27%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 다. 이는 국내 환적화물 물동량의95%를 차지하나, 2016년 9월 한진해운사태를 비롯해 미국 대통령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중국 환율 조작국 지정 등의 경제 기조와 세계 교역량의 감소와 선대의 축소 등으로 인한 물량 감소는 부산항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선사에서 마케팅을 위해 활용하고 있 는 자료로는 부산항에 신고된 수출입 환적 화물의 물량 통계뿐이다. 물론 원시 데이터는 있지만 공개되지 않고 있고, 월별 년별 집계된 데이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부산항 전체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 항만, 각 선사별로 부산항으로 환적 되는 물량의 변화가 어떤지, 특별히 나타나는 이상치는 없는지 분석하는 자료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변화되고 있는 환적화물의 흐름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부산항이 데이터 기반 마케팅 관점에서 환적 화물의 부산항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을 위한 자 료는 부산항만공사의 Port-MIS 자료 중 부산항을 경유하는 환적화물 자료 및 를 활용한다. 또한 터미널에서 관리하고 있는 COARRI, CODECO 자료도 포함 했다. 부산항 전체는 시계열분석 방법의 하나인 ARIMA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 고, 국가별, 포트별 선사별 분석에서는 이동평균법(MA)방법을 사용하여 신뢰수 준 95%하에서 벗어나는 것을 이상치로 간주하였다. 또한 해당 이상치를 감지한 국가 및 항만에 대해서 상세하게 분석하여 어떤 국가에서 어떤 항만, 어떤 선사 의 환적화물 물량이 이상이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이며, 다른 경쟁 항만은 어떤 일이 있어나고 있는지 환적화물 물동량 패턴을 분석하여 항만공사, 항만청, 선 사, 터미널 운영사 등 부산항을 이용하는 항만 주체들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 고자 한다.

      •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문제점과 경쟁력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용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문제점요인에 대한 순위검정결과에 의하면, 비효율적인 컨부두 노무공급체제가 가장 문제가 큰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신항개발로 인한 요율경쟁의 격화, 신항 배후물류단지 시설의 미흡성, 국내항만간의 과당 경쟁, 북항과 신항간의 연계수송체계의 미흡성, 과다한 내륙운송비용, 북항내 TOC 난립으로 가격경쟁력 상실, 북항내 TOC의 물동량 유치능력 취약성, 북항내 TOC의 대선사 협상력 취약성 그리고 북항내 TOC의 재무구조 및 경영능력의 취약성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선사들은 북항과 신항간의 연계수송체계의 미흡성이 가장 문제가 큰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터미널은 신항개발로 인한 요율경쟁의 격화가 가장 문제가 큰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어 다소간의 인식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로, 부산항 터미널 경쟁력 요인에 대해서는 높은 환적화물비중(b4), 원할한 피더네트워크 구축(b5), 항비 수준(b9), 하역계약조건과 노무조건(b12) 그리고 비 지정 장기화물 규제완화(b13)인 5개 변수는 중요도와 현황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나머지 변수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저렴한 항비(b1), 고객서비스 제공능력(b3), 항만대기시간 최소화 능력(b6), 항만 배후부지 조성 활성화(b7), 위험화물 처리시설 설치(b14), 입출항 서류간소화 및 신속화(b15) 등 6개 변수는 중요도에 비하여 부산항은 상대적으로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높은 항만생산성(b2), 적극적인 항만마케팅 능력(b8), 환적화물 인센티브 규모(b10), 환적화물 인센티브 실효성(b11)은 그 중요도에 비하여 현황 수준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경쟁력 영향요인에 대한 선사와 터미널사가 느끼는 차이 여부를 보면, 첫째로, 저렴한 항비 수준에 대해서는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지만, 현황 수준에 대해서는 터미널이 약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항만 생산성에 대해서는 선사에 비하여 터미널이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현황수준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항만배후부지는 항비 수준과는 반대로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지만, 현황수준에 대해서는 터미널에 비하여 선사가 보다 좋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항비 수준이나 환적화물 볼륨인센티브규모에 대해서는 선사나 터미널 모두 중요도와 현황수준에서 선사에 비하여 터미널이 보다 높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환적화물 인센티브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현황은 거의 차이가 없고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는 터미널이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위험화물 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중요도나 현황이 모두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현황수준에서 선사에 비하여 터미널이 보다 높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상기 변수이외의 변수들은 선사와 터미널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셋째로, 부산항 터미널 과잉경쟁 및 수송체계 미흡성에 대한 문제점은 화물유치능력과 피더네크워크 및 항만배후물류부지 구축에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규제완화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터미널 운영능력의 미흡성은 화물유치능력이나 피더네트워크 및 항만배후부지 구축 그리고 규제완화요인과는 무관한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로, 화물유치능력 제고요인이나 환적화물유치요인은 부산항 물동량 증대와 동북아 허브항만화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규제완화요인은 부산항 물동량 증대와 동북아 허브항만화 효과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류기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국내 수출입의 대부분이 해상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해운산업과 항만산업은 수출입 중심의 우리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자동화 터미널 시설을 갖춘 신항 개장, 신 해운동맹 출범에 따른 선석 조정, 해운 선사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의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동량 유치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글로벌 선사 물동량 유치를 위해서 정기선 항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노력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상에 연결정도 중앙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항만은 싱가포르항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제 연도별 부산항 주요 국가 항만별 처리 물동량 순위와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간 순위 비교 결과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부항만이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의 허브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 항로 수는 증가하더라도 해당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이 중소형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상 부산항이 싱가포르항 기항을 위한 피더항(Feeder Port)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are the most important national industry for Korea’s export-oriented economy since most of our trades are done through shipping. Busan Port, which handles 75% of domestic container freight volume, strives to attract more freight volume through improvements such as opening automated terminal facility, in Busan New Port, adjusting the berth from forming a new shipping alliance, and establishing networks with shipping companies. Additionally, Busan Port, which has a global network, is expected to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for container liner routes and expand freight line services to secure more global freight volumes.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 of container liner route patter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6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centrality of world’s key ports and examines maritime network’s infrastructure connected to Busan Port. Analysis of the port with high degree of centralization, close proximity, and mediation center to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 route network was Singapore Port. Additionally, analysis of annual ranks of freight handling volume of key national ports was different from Busan Port’s container liner route network centralit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astern port of China, which occupies a high percentage of the volume of cargo handled by Busan Port, is not a hub port of Busan ​​Port when viewed on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liner network.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container liner services in Busan Port increases, it is estimated that the vessels assigned to the liner services will be small to medium in size or that Busan Port will become a feeder port for the Port of Singapore.

      • 부산항 고부가가치 수리산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훈 한국해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의 중심 항만들은 배후부지에서 반제품의 조립‧재가공‧포장 등의 작업이나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용품공급‧선박급유‧선박수리 등을 통해서 부가가치를 얻고 있다. 부산항은 그동안 세계 주요 간선항로 상에 위치해 있다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비교적 낮은 항만이용료를 주요 경쟁 수단으로 삼아왔다고 볼 수 있다. 부산항은 우리나라의 총 수출화물 중 47%와 컨테이너 처리량의 95%를 담당하며 하역 및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에 집중해왔었다. 이제 부산항은 단순한 컨테이너 물동량처리항만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도약할 필요성이 있다. 부산항이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저조한 것은 컨테이너 물동량증가에 정책 방향이 치중되어 선박수리‧선용품공급‧선박급유 등 항만 서비스산업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부산항을 고부가가치항만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항만운영 전략뿐만 아니라 항만연관산업과 유기적인 발전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부산항은 유리한 입지조건과 우수한 기술 및 노동력, 연구시설 등을 바탕으로 수리조선산업이 발달하여 과거로부터 지역의 주요 특화 산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부산항 고부가가치 수리산업의 발전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부산항의 수리산업 여건을 분석하여 수리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수리조선산업의 특성과 세계 수리조선산업의 구조와 환경에 대하여 살펴보고 수리조선산업 및 조선기자재산업의 시장변화와 경쟁변화를 파악하여 수리조선산업과 조선기자재산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둘째로는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수리조선산업 및 조선기자재 산업의 관계를 고찰하고, 셋째로는 부산항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고가 선박용 엔진 산업 모델 제시와 함께 수리조선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부산항의 수리조선산업과 조선기자재산업의 개선방안으로는 대규모 수리조선 단지 조성방안과 조선기자재 산업과의 연계 육성 그리고 동북아 허브항으로써 선박기항이라는 이점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항만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분야로서는 선용품공급업, 선박급유업, 선박수리업, 컨테이너수리업, 예·도선업, 금융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부산항은 수리조선산업, 조선기자재산업, 선용품공급업, 환경산업, 선박유류공급업과의 유연한 연계성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을 유도할 수 있는 항만이라야 선진항만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산항의 고부가 가치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수리산업의 활성화 방안만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부산항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해양플랜트, 조선기자재, 선박관리업, 해양관광 등의 항만관련산업의 연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부산항 VTS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ly, as ship is getting bigger and high speed and icreasing in dangerous freight, countries through which these ship pass very frequently have been confronted severe environment problem called by sea pollution. As the result, the campaign which is trying to restrict to sail in their sea zone is rising and it's role has been assigned to Vessel Traffic Service (VTS). VTS with fundamental surveillance device had begun in LIVERPOOL of England and in 1960, it spread out to EUROPE, after it, it was installed in North America, and were provided worldwide in 1980. In korea, since POHANG port had introduced three step level VTS in Jan. 1993, VTS is running in 14 ports nationwide. Especially for BUSAN port, the greatest trade port in domestic, As it's role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militarily, by investing 7.5 billions of national budget to it, and after 2 year's construction period from 1996, in Dec. 1998, VTS with cutting-edge equipment has been running. This study is to analyze achievement by operation of VTS based on experiences in operation of VTS of BUSAN port for the sake of improving quality in VTS and the trend of sea accident by comparing "before installation of VTS " with "After installation of VTS" and therefore, we estimated the value of VTS. and also by generalizing the opinion and complain of sea traffic controller who have much experience in management of sea traffic for several years, we analyzed several problems in operation of VTS of BUSAN port and then delivered the guide line for improving of VTS and last we delieved the plan for activating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VTS. From above survey and research, we have came 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ing First, b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sea accident happened before and after of installation of VTS, we came to know that the accidents such as collision, strand of ship have been decreased remarkably. this means VTS of BUSAN port have great contribution to prevention of sea accident. Second, we have analyzed 7 problems of VTS operation in BUSAN port. Third, we provided 7 plans for effective operation system of VTS suitable for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BUSAN port.

      •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포지셔닝 분석에 관한 연구

        강용석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산항은 2020년 기준으로 약 2,182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7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 세계 2위의 환적 컨테이너 처리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해, 청도, 심천 등 중국 항만의 급격한 성장, SCM 발달, 중국 상해항을 중심으로 한 Cabotage 허용, COVID-19에 따른 리쇼어링 등 부산항의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나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크고 작은 변화들이 발생하고 있다. 다양한 부산항 관련 연구에도 불구하고, 부산항 물동량 변화를 기반으로 부산항 북항 및 신항의 개별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한 포지셔닝 분석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부산항 각 터미널의 경쟁력이 부산항 전체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허핀달-허쉬만 지수(HHI 지수) 그리고 BCG Matrix를 통해 부산항 내 개별 터미널이 시장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2012년부터 2020년간의 연도별 데이터를 활용한 HHI 지수를 통해 부산항 북항권역의 자성대, 신선대, 감만, 신감만 부두와 신항권역의 신항 1부두, 신항 2부두, 신항 3부두, 신항 4부두, 신항 5부두 등 9개 컨테이너 터미널의 집중도를 분석하고자 하며, 추가로 해당 터미널의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연평균성장률을 도출하여 BCG Matrix를 통한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입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항 9개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 간 운영에 있어서 경쟁의 정도를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연도별로 HHI 지수를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13년에 0.127로 가장 낮고, 2019년이 0.13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분석 기간 매년 0.13 정도의 비교적 낮은 집중도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9개 전용 터미널이 부산항 내 선석을 나눠 가지면서 독과점 현상 없이 치우치지 않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CG Matrix 분석 결과, 수입이 높고 안정적이며 성장세에 있다고 해석되는 Stars 범주에 위치한 터미널은 도출되지 않았다. Question Marks 범주에 5개 터미널, Dogs 범주에 3개 터미널 및 Cash Cows 범주에 1개 터미널이 위치했다. 따라서 터미널들은 Stars 범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CG Matrix 동적 분석 결과, 전반적인 부산항의 물동량은 지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터미널별 처리물량은 서비스의 안정성, 효율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른 기항하는 선대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증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터미널의 운영정책이 경쟁력 확보의 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Busan Port handled approximately 21.82 million TEU as of 2020, positioning itself as the world's 7th largest container handling port and the world's 2nd largest transshipment container handling port. However, in recent years, large and small changes that can affect the continuous maintenance or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have occurred, such as the rapid growth of Chinese ports such as Shanghai, Qingdao, and Shenzhen, cabotage permission centered on Shanghai ports in China, reshoring in response to COVID-19, etc. In spite of various studies related to Busan Port, positioning analysis studies targeting individual container terminals of the North Port and New Port of Busan Port based on changes in the freight volume of Busan Port are quite limited. Given that the competitiveness of each terminal in Busan Port can be the basis for securing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sitions of individual terminals in Busan Port in the market through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and BCG Matrix. Using yearly data from 2012 to 2020, the concentration levels of major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HHI with Jaseongdae, Sinseondae, Gamman, Shingamman, New Port Pier 1, New Port Pier 2, New Port Pier 3, New Port Pier 4, New Port Pier 5, among major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In addition, the relative market shares and average annual growth rates of the relevant terminals will be derived to analyze the competitive positions of the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through the BCG Matrix.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competitiveness of nine dedicated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was analyzed by year from 2012 to 2020 through the HHI.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HHI was the lowest at 0.127 in 2013 and the highest at 0.139 in 2019, bu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levels of about 0.13 were derived every year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nine dedicated terminals share berths in Busan Port, are not biased without monopoly, and compete fiercely. Second, the BCG Matrix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no terminals located in the Star range, which are interpreted as having high income and being stable and in a growth trend, were not derived. Five terminals were located in the Question Marks category, three terminals in the Dogs category, and one terminal in the Cash Cow categor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terminals need efforts to advance to the star category. Third, as a result of the dynamic analysis of the BCG Matrix, the overall cargo volume of Busan Port was shown to continuously to increase, but the handling volumes by terminal were shown to fluctuate frequentl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alling fleet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service stability and efficiency. Through the foregoing, the terminals’ operating policies were derived as a major factor in securing competitiveness.

      • 동북아 메가허브항(Mega Hub Port)을 위한 부산항의 항만 경쟁력 강화 방안

        박홍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y assist for port policy of The State. And I will study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in marine transport · port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subject of The Port of Busan for mega hub port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concentrates on literature study through journal article, inside data of relation agency and analysis of preceding study.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modify Two Port plan, which is port policy of The State with One Port plan for the Port of Busan. And it can lead to th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Hub & Spoke service besides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with the revitalization of developing New Port of Busan.

      •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인력수급 저해요인 분석연구

        나인권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제 무역의 핵심인 해운·항만 물류산업은 고부가가치산업이자 국가 기간산업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또한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물류인력 양성을 위한 많은 연구와 정책들이 발표되었지만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업체는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글로벌 복합물류 중심기지로 부산항 신항 배후물류단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인력의 원활한 수급이 필수요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비교적 범위가 넓었던 해운·항만 인력 양성 및 수급에 관련한 연구에서 세분화하여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의 인력수급 저해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인력수급 저해요인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방법론을 통해 인력난의 원인을 파악하고,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인력수급 활성화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먼저, 항만배후단지의 개념 및 기능, 부산항 신항 항만배후단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조사에서 도출한 요인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고 물류센터 종사자를 인사담당자와 직원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T-test 분석, 저해요인에 대한 중요도 평가, 만족도 수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결과 저해요인으로 기업신뢰도, 근로환경, 경제적 보상 및 복리후생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T-test 분석결과 인사담당자와 직원 간 만족도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력수급 저해요인의 중요도 평가결과 근로환경 요인의 저임금, 열악한 환경, 과도한 업무량 및 업무시간이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직원의 만족도 수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3가지 요인(기업신뢰도, 근로환경, 경제적 보상 및 복리후생) 모두 직원의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저해요인이 개선되더라도 직접적으로 직원의 만족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각 업체에서 임금 인상, 인센티브, 복리후생에 관련하여 나름의 개선방안을 진행하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노력들이 현실적으로 직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단편적이고 일회성에 그치는 정책들을 지양하고 구성원들이 피부와 와 닿을 수 있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부산항의 동북아 허브항 가능성에 관한 연구 : 6대 항만 비교를 중심으로

        홍란주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quantity of sea-transported good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the Northeast Asia, the necessity of the hub-port in the region was raised, and several ports are severely competing for the position. Facing the ever-weakening economy, Busan has been trying to capitalize its port advantage to develop its economy. Therefore, Busan is now pursuing the hub-port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Busan port as the hub-port and the problems concerned.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region's 6 largest ports as to port facilities and cargo traffics, and performed SWOT analysis. The examination showed that Shanghai and Busan are the strongest competitors. Busan's strenghts were; ①the location on the main trunk line, ②better recognition than Shanghai, ③harbor organization know-how. Busan's weaknesses were; ①its port charges being higher than Shanghai, ②having difficulty in taking the cargo traffics because of Yangsan(China) port's preoccupation. Now Busan port is facing the three problems; ①the decrease of cargo traffics, ②the lack of various transportation systems, ③government's two-port system with Busan and Kwangyang. The study reveals that, for Busan port to become the hub-port, it should solve the three matters. First, Busan needs to pursue the transshipment system and distribution-network among foreign countries to increase container-processing volume. Second, Busan should diversify the rear transportation networks, currently too much focused on the land transportation. Third, the government should intensively support Busan port discarding the two-port policy. Currently Busan port is supplementing its insufficiencies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hub position; ①the redevelopment of Buk-hang, ②the expansion of the effective port facilities and hinterland logistics park through the development of Busan New 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