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학수송모델 기반의 부산지역 PM2.5 발생 기여도 분석

        김민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부산지역 PM2.5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AMx(Comprehensive Air Quality Model with Extensions)-PSAT(Particulate Source Apportionme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PM2.5 및 PM2.5 구성성분별 기여도를 지역별, 배출원별로 분석하였다. 부산지역은 남쪽과 동쪽으로 바다가 있고, 남쪽 해안에 해상선박배출원이 있으며, 남서쪽 일부에는 공업 지역이 있다. CAMx 수치모의 통계분석 결과, 동북아시아 배출량 과대, COVID-19로 인한 배출량 저감 미반영으로 과대모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PM2.5 농도 추이는 비교적 잘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산지역 PM2.5 생성에 관한 지역별 기여도는 중국과 부산내 영향이 가장 높았다. 중국 영향은 계절적으로 겨울철에, 지리적으로는 부산 서쪽지역이 더 많이 받았다. 배출원별 기여도는 도로이동오염원, 선박배출원, 사업장, 비산먼지, 도로재비산 순으로 높게 PM2.5 나타났다. 국외 지역 PM2.5 기여도는 겨울철이 가장 높게, 다음으로 남서계열 바람이 주로 나타나는 봄부터 초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봄부터 초여름에는 선박 배출원 기여도가 높았다. 부산내 기여도를 공간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업장 배출원과 인접할수록 사업장 배출원의 기여도가 높았고, 도로배출원, 도로재비산, 비산먼지 배출원은 도로 통행량이 많은 부산 시가지에 높게 나타났으며, 선박배출원은 풍상측에 선박배출량이 많이 위치한 태종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산 내부의 PM2.5 생성 기여율은 중국지역의 PM2.5 생성 기여율에 비해 월별 변동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소별 중국 영향은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산 내부 영향은 측정소 위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PM2.5 구성성분 중 1차 PM2.5로 분류되는 FPRM(Fine Other Primary Particulate), PEC(Primary Elemental Carbon), POA(Primary Organic Carbon)는 국지적으로 배출원과 근접한 위치에서 높게 나타났다. PEC는 선박배출원이 위치한 지역, PSO4는 해안가 선박배출원 인근, FPRM은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부산지역 PM2.5 발생 기여 특징을 비교하고자 2021년 2월 6일~8일, 6월 19일~21일 고농도 사례를 분석하였다. 2월 사례는 남서풍과 북서풍이 주풍향으로 중국 지역 기여도 66.7 %로 높았고. 6월 사례는 남풍이 주풍향으로 중국 지역 기여도 30.5 %, 부산 내부 기여도 27.3 %로 나타났다. 공간적으로 두 사례 모두 부산 내부 배출원 기여도는 부산 시가지와 남쪽 지역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6월 사례에서는 남풍의 영향으로 기여 농도 중 최고 농도의 분포가 부산 내륙 쪽으로 이동하였다. PM2.5 구성성분별 부산지역 내 배출원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두 사례 모두 도로와 선박배출원 기여도는 PEC가 높게, 비산먼지와 도로재비산 배출원은 FCP(FPRM+FCRM)가 높게, 비산업 에너지 연소 및 농업, 생물성 연소등을 포함하는 기타 오염원은 PNH4가 높게 나타났다. PNO3(Particulate Nitrate) 기여도를 살펴보면, 겨울철 사례에서 PNO3 기여도 중 72.2 %가 중국 영향이었고 부산 내부 배출원 기여도는 1.0 %로 낮게 나타났다. 기온이 높은 6월 사례에서는 PNO3 중 11.2 %가 중국 영향이었고, 부산내부 영향은 31.3%로 도로, 선박, 사업장 배출원 기여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6월에 남풍의 영향으로 부산 내부로 오염 물질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나, PNO3 반응 및 이동속도, 기온이 PNO3 생성에 미치는 영향, 연직방향의 PNO3 이동경로 고찰 등 보다 자세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CAMx-PSAT를 이용하여 부산지역 PM2.5 생성에 특정지역, 특정배출원이 기여하는 비율을 정량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부산지역 PM2.5 저감을 위한 방법론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구체적인 방안 제시를 위해서는 기상에 따라 달라지는 PM2.5 생성과 이동 특징을 고려한 배출원 삭감 등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부산지역 영화산업의 특화 전략 연구

        윤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부산은 ‘영화산업 없는 영화도시’다. 세계적 위상을 지닌 영화제로 성장한 부산국제영화제(BIFF) 영향으로 영화도시의 이미지는 갖고 있지만, 그에 걸맞은 성장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즉, 영화 기획, 제작, 배급 등을 전문으로 하는 영화사가 적고 영화산업 매출액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이제껏 부산지역을 영화산업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고 부분적으로 정책화되기도 했지만 가시적인 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영화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부산이 서울보다 비교 우위에 있거나 적어도 대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영화 부문의 특화 영역을 찾아 집중 육성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 영화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10년 전에 비하면 시장규모가 2배 이상 증가하였지만, 2016년 이후부터는 연간 2% 수준으로 성장세가 둔화되었다. 국내 영화산업은 메이저 기업 중심의 공고한 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독립 영화사들이 메인스트림에 진입하기 어려운 구조다. 메이저 기업이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함에 따라 투자, 제작, 후반작업, 홍보 등의 영화 업종 대부분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부산의 영상산업 인프라는 다른 지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자, 부산영상위원회 설립을 시작으로 영화촬영스튜디오, 영상후반작업시설, 영화의전당, 문화콘텐츠콤플렉스, 아시아영화학교, 영화체험박물관, 영상산업센터 등이 잇따라 건립되었다. 하지만 우수한 영상산업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데도 부산 영화산업 생태계는 여전히 자생적으로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지 못했다. 부산은 여러 면에서 영화산업 도시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미 아시아 영화도시의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고, 미래 산업 먹거리로서 영화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지자체의 의지도 강하다. 부산에서 이미 영화 비즈니스를 하고 있거나 시작하려고 하는 영화산업 플레이어들의 변화도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한 내적 기반이 부족하고 각종 영화 행사와 프로그램이 교류에 머무르고 산업으로 확대되지 못하는 현실은 일정한 한계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화 전략이 부재한 것도 영화산업 성장 지체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부산 영화산업의 특화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영화산업의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특화 교육을 통한 영화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둘째, 지역 특화 영화콘텐츠를 발굴하고 허브를 조성해야 한다. 국내 영화산업의 구조와 부산의 지리적 여건을 고려하면 부산에서 특화하기에 가장 적합한 영화 장르는 호러다. 호러영화는 신인배우를 캐스팅하여 저예산으로 제작 가능하고, 상업적인 규모로 개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호러영화제, 아시아호러콘텐츠페어 등을 통해 ‘호러영화 전문도시’의 이미지를 확산하고 호러영화 제작을 위한 좋은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최근 웹툰, 해외영화 리메이크 등 원작이 있는 IP를 활용하여 제작된 영화 흥행작이 많이 나옴에 따라 국내 영화계에서는 IP 확보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부산에서는 아시아필름마켓, 지스타(G-Star), 부산웹툰페스티발 등을 통해 영화콘텐츠 IP의 허브를 조성하고, 경쟁력 있는 부산영화가 제작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아시아 영화산업의 중심도시로 변모하는 것이다. 부산이 국내에서 의미 있는 규모의 제2의 영화산업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영화산업 특화도시를 조성해야 하며 아시아 영화의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영화산업의 순환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수도권에 비해 경쟁 우위에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부산 영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특화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영화산업의 특화 전략도 중요하지만 사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지역 영화주체의 적극적인 의지와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부산시에서 영화정책을 수립하는 데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현재 부산에 있는 영화계, 학계 등 영화주체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부산에서 마음껏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Busan is ‘The city of film without film industry.’ Busan has an image of film town due to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BIFF), which has developed into a world class film festival, but it does not have any engine of growth up to its status. That is, it has only a few of film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companies and extremely scarce sales of film industry. They have discussed how to develop Busan into a city of film industry and part of the discussion has become policies to be implemented, but without visible improvement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tries to find a way to develop the film industry in Busan, by suggesting concrete strategies for intensively fostering specific areas of film industry in Busan, which have either comparative advantage over Seoul or at least the same competitiveness as that of Seoul.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developed constantly for last ten years, with its market size more than doubled. However, its growth has slowed down since 2016, with an average of 2 percent a year. Korean film industry is dominated by a few major companies, thus difficult for new independent film companies to enter. Since the major film companies operate mostly in and around Seoul, most film companies including investment, production, post-production and marketing are centered on Seoul. Busan has an excellent infrastructure for film industry, especially when compared to other cities in Korea. As BIFF has achieved a successful result, a series of infrastructures have been established, starting from Busan Film Commission to film studios, post-production facilities, Busan Cinema Center, Busan Cultural Content Complex, Busan Asian Film School, Busan Museum of Movies and Busan Visual Industry Center. However, notwithstanding all those excellent infrastructures for film industry, Busan still does not have an autogenous system for its film industry. Busan ha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city of film industry in several aspects. It already has the image of the movieland of Asia, and the local government of Busan has a definite intention to foster the film industry in Busan into one of the futurity industries to be developed. Its potential for a successful film industry is strengthened by changes in players in the film industry which are operating or about to start to operate in Busan. Still,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re are limits in that there is scarce system to produce film content and that various kinds of film-related events and programs still remain as mere exchanges, without developing and expanding into a film industry. In addition, absence of specialized plan is another factor for the belated growth of film industry in Busan. Taking these circumstances into account, this study suggests specialize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Busan film industry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nstitutional base for the film industry should be reinforced. Policies to support an ingenerate film industry should be established and professional manpower for film industry should be trained through a customized education. Secondly, film content and film-hub specialized for the city of Busan should be discovered and fostered. When the structure of Korean film industry and the geographic condition of Busan are taken into account, the best film genre specialized for Busan is horror. It is because a horror movie is possible to be produced with low budgets as it could cast rookies, and to be released with a commercial scale. To follow this strategy, it is needed that Busan should expand its images into ‘a city specialized for horror movies’ through the Asia Horror Film Festival and Asia Horror Content Fair, and that an operating environment to produce horror films should be created. Recently,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ies has been a key issue in the film industry, as many films produced using IP with originals such as web-comics and remake copyright of foreign films were successfully released. Thus Busan needs to foster a hub for IPs for film content through Asia Film Market, G-Star and Busan Webtoon Festival, as well as to make conditions to produce competitive Busan films. Thirdly, Busan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center of Asia’s film industry. For Busan to become the 2nd largest film industry with significant size in Korea,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specialized city for Asian film industry and foster a circulating ecosystem of film industry for film business of Asia. Therefore it would be effective for Busan to concentrate on Southeast Asia with competitive advantage over Seou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strategies specialized for fostering the film industry in Busan. Specialized strategies for film industry must be important, but what is more important for effective outcomes of those strategies must be enthusiastic will and decisive determin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actors of the film industry in Busan. Lastl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able to be read as a useful policy material by the local government of Busan and that circumstances for creating films in Busan would be made so that major actors of film industry in Busan could be able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 東北亞經濟圈의 形成과 釜山地域 港灣物流産業의 競爭力 提高方案

        김재승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부산지역경제를 새롭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대응전략이 필요하겠지만 항만도시 부산의 지경학적 위상을 감안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항만물류산업의 육성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항만도시 부산은 앞으로 어떤 지역보다도 역동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동북아지역을 배후지로 갖고, 동북아의 대륙과 해양을 잇는 관문위치에 있어 해상과 육상의 화물흐름에 중요한 결절지(結節地)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역내국가간의 경제협력 및 국제 분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동북아지역의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 지역 국가간에는 앞으로 긴밀한 네트워크가 구축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부산은 이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부산항은 동북아 허브항(Hub Port)으로서 그 기능을 담당하게 될 좋은 기회를 맞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의 항만들은 물리적 취약성 및 간선항로상의 이탈로 인하여 상당기간 부산항을 통하여 환적(화물)서비스에 의존할 전망이며, 일본의 남부 지역 항만이나 러시아, 북한 등도 부산항을 경유하여 원거리 운송을 도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부산항이 동북아의 해상물동량을 파악하고 로지스틱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면 부산은 동북아 국제물류중심 도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하에서 본 논문은 동북아경제권의 형성가능성과 전망, 그로 인한 기대효과를 논의한 후 항만도시 부산의 지경학적 위상에 대하여 살펴 본 다음, 동북아지역 주요경쟁항만의 물류산업현황과 경쟁력을 비교 평가함과 동시에 향후 항만물류산업의 여건변화에 따른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처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부산지역 물류산업의 경쟁력제고를 위해서는 첫째, N-DOCK시스템 운영을 통해서 물류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고, 둘째, 복합 물류단지를 구축하고, 셋째, 물류산업의 구조조정과 그 활성화를 도모하고, 넷째, 물류중심형 자유무역지대의 설치와 함께 환적기능을 강화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종합물류정보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body has been debated in several aspects for the past 10 years, as the cold war ended, and neoliberalism and new economic regionalism have been a trend. But the economic cooperation and regional union have not been realized in this area yet and even the least agreement on the goal itself and the specific form has not been made among the nations in this area. However, the trade volume and the scope of economic cooperation have been increasing among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China's economic reform and liberalization have made a milestone for this development since Deng Xiaoping's speech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hina in 1992. The necessity of free trade agreement among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appeared much needed after China's entrance to WTO and the following far stronger desire for economic integration among ASEAN nations. Japan has a great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free trade zone which seems feasible as a resul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long-term cooperation and prosperity of whole East Asian countries. Free trade zone is a form of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which trade liberaz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More and more countries have been adopting this form since 1990. The obstacles of the full-scale trade liberalization among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competing relations in some parts. But trade liberalization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benefits including the correction of distorted resource distribution, the vitalization of trade and investment and the promotion of industrial restructure, and security and diplomatic benefits such as reinforcement of right to say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 this environmental context, the position of Busan as the third nation in the volume of container operation heightened. Busan is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northeast Asian economic region, because it is an intersection of two axes. One axis is East-Sea-rim economic region (Busan-Nigata-Bladibostoc) and Yellow-Sea-rim economic region (Qingdao-Shanghai-Seoul-Busan-Hukuoka). The other is unified continental economic region(South Korea-North Korea-Russia-China) and Korea-Japan-Strait economic region(Busan-Kyushu). Especially Busan is also the central city as an intersection of BESETO belt(Beijing-Seoul-Tokyo) and VPS belt(major ports in Russia, Korea and China). In this thesis, port logistics is defined as the economic activities for taking an effective advantage of the limited time and space when suppliers and consumers use the logistic infrastructure including terminal function. Recent changes of port logistics environment caused by the formation of northeast Asian economic zone made ports in this area compete severely with one another for being the nucleus port which can be the very source of high added-value. This means that Busan also can get in the central position only by having competitiveness against the other ports in northeast Asia in the process of being a nucleus port. The port logistics competitiveness of Japan's Gobe Taiwan's Kaoshoeing and Korea's Busan is evaluated by five factors such as logistic cost, logistic facilities, logistic industry, logistic policies and logistic informationization. The outcome is that while Busan is somewhat competitive in logistic cost and logistic informationization, it is not in the other 3 factors. So I suggest 5 tasks for improving the logistic competitiveness of Busan. First, the reduction of logistic cost with the operation of ON-DOCK system. Second, the establishment of composite logistic complex. Third, the restructure and vitalization of logistic industry. Forth, setting up of logistics-oriented free zones and reinforcement of transshipment function. Finally, building composite logistic information net. The next task for beefing up Busan logistics competitiveness will be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each factors, and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municipal organizations and private sector for making Busan the very center of logistics in northeast Asia.

      • 부산지역 실경공연의 방향성 연구

        심지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modern society, various cultural performances are being held by expanding the real foundations of cultural enjoyment. Unlike in the past, modern people aim for has shifted from material abundance to cultural abundance. Local artists, art organizations, and cultural contents are at the center of cultural richness in the region. In particular, as the demand for culture grows, many local autonomous entity and performers in Korea are trying to design various types of works based on the story of community. As the voice about the importance of localized special contents gradually grew, a movement of change began to take place to try new performances beyond traditional indoor performances. During this process, China's Landscape Performance was received favorable comment and attracted to domestic performances, and many landscape performance in Korea were planned and performed. As the domestic interest in the landscape performance continues, there have been many landscape performance produced and performed in Busan. In this research,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andscape performance in Busan area by examin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performance, and in addition this researcher is going to carry out a study to examine the desired direction.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analyzed the China’s Landscape Performance “Impression Series” as a main study subject, which is based on the stories and materials of the region and has been successfully evaluated. “Impression Series” is a performance using nature itself as a real performance hall beyond the limited art space. In addition, it is also contributing to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by directing stories of community and participating local people actively as actors. The “Impression Series” is not only directed based on local stories but also created a new cultural stage for the audience b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As the demand for the culture and arts of modern people has increased so much, interest in landscape performance has increased in the domestic performance industry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benchmark the “Impression Series” of China. In sequence, I was able to analyze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andscape performance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landscape performance “Impression Series” of China and domestic representative landscape performance, which were intended to apply “Impression Series”, and landscape performance in Busan area. The landscape performance is that based on natural view or cultural assets created a new performing arts b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such as a Cutting-edge lighting, sound, image. The cast for the performance not only professional actor but also local people. The landscape performance’s characteristic is that stages combining with nature, storytelling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local cultural performances. However,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loss of differentiation and scarcity due to indiscriminate making, performance suspension or extinction for an indefinite period, indiscriminate imitation follow - up. Last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I proposed 4 kinds of method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landscape performance in Busan area as well as differentiate landscape performance in Busan area from landscape performance in other area. Landscape performance in Busan area’s the biggest problem is that lack of budget to make and manage performance, out of the essence direc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proposed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 for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and audiences, the regularization of category performances and category expansion, the development of local representative performances, and a special promotion strategy. In particular, I intensively focused on regularizing the existing landscape performance “Lonely Castle” and “Eobang” and upgrading them by developing new contents.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 landscape performance of Busan area will become a sustainable differentiated performance and a platform for local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to expand their performances. 현대사회에서 문화향유의 실질적 기반이 확대됨으로써 다양한 문화공연이 폭넓게 펼쳐지고 있다. 과거와 달리 현대인들은 물질적 풍요보다는 문화적 풍요를 추구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문화적 풍요를 이끌어가는 중심에는 예술인과 예술단체,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문화 수요 증가에 따라 국내의 많은 지자체와 공연 관계자들은 지역사회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생산하고 있다. 지역특화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점차 커지면서 전통적인 실내 공연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연을 시도하려는 변화의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실경공연(實景公演)이 국내 공연 관계자들에게 호평과 주목을 받으며 국내에서도 다수의 실경공연 작품들이 기획ㆍ공연되었다. 실경공연에 대한 국내 관심이 계속되는 가운데 부산에서도 실경공연이 제작ㆍ공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경공연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부산지역 실경공연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은 지역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제작하여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중국의 실경공연 <인상시리즈(印象系列)>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했다. <인상시리즈>는 제한적인 예술 공간을 뛰어넘어 자연 그 자체를 실제 공연장으로 이용한 공연이다. 이와 더불어 지역의 이야기로 연출하고 지역민이 직접 배우로 참여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인상시리즈>는 지역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스토리를 구성했을 뿐 아니라 최첨단 기술을 총동원하여 관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의 장을 마련했다. 현대인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국내 공연 업계에서는 실경공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고, 중국 <인상시리즈>를 벤치마킹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중국의 <인상시리즈>와 이를 적용하고자 했던 국내의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실경공연의 개념과 특성, 한계를 고찰하였다. 실경공연은 지역의 자연경관 또는 문화자산을 무대로 삼아 최첨단 조명, 음향, 영상 등의 기술을 융합하여 재현하는 공연예술을 말한다. 출연진 구성이 기존의 전문배우들뿐 아니라 지역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공연이라 할 수 있다. 실경공연은 자연과 융합한 무대 구성,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지역민 참여형 문화공연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무분별한 제작에 따른 독자성 상실, 공연의 무기한 중단과 소멸, <인상시리즈>의 기계적인 모방과 답습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실경공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타(他)지역 실경공연과 차별화 할 수 있는 발전 방안을 4가지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부산지역 실경공연은 공연 제작과 운영에 필요한 예산 부족, 실경공연의 본질 왜곡과 연출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민과 관객 참여형 신규 콘텐츠 개발, 실경공연의 정기화와 범주 확대, 지역 대표 실경공연 콘텐츠 육성, 향유층 특화 홍보전략 수립을 제안하였다. 특히, 기존 부산지역 실경공연인 <외로운 성>과 <어방(漁坊)>을 정기화하면서 새로운 콘텐츠 개발을 통해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지역 실경공연이 지속적으로 차별화된 공연으로 발전하고 지역문화 예술단체의 공연 기회가 확대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부산지역 기업의 대 아시아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이희철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Recently the world economy is closely connected mutually in the more extensive area such as the finance, system as well as the foreign trade than any time in the past, and not only the trade of goods but also the movement of production factors between the nations is progressed actively. This global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appears also in the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international extension of overseas direct investment. In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factors for which the enterprises in Busan Area performs overseas direct investment. First we analyze the direct investment decision factors of the companies in Busan Area targeting Asian area except for China, next, we analyze the decision factors on the direct investment of the companies in Busan Area targeting China by means of the data by each region in China. As for the analysis method of investment decision factors, we divided into manufacturing business and non-manufacturing and used a panel regressive analysis through panel regressive analysis and spatial effect analysis, and through this analysis, we analyzed the decision factors of overseas direct investment of the enterprises in Busan Area based on a horizontal combination theory and vertical combination theory out of direct investment decision theo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overseas direct investment of the companies in Busan Area showed a steady rising trend after 2000, went a little slow ow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after then shows a rapid recovery trend. In respect of industry, the investment in the manufacturing business centered on a small and medium company covers the biggest weight, while in respect of country, China, Philippines, Vietnam cover most of Asian area in the same order. However, in case of China, direct investment is decreasing recently, and especially we can witness the direct investment in the manufacturing business is reduced largel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Asian area save China it shows a considerable increase in respect of the cases of declaration or investment amount. This shows the tendency that owing to the change of investment environment in China the direct investment with the center of production-oriented manufacturing business moves from China into Asian area. Secondly, when seeing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ecision factor of direct investment of Busan Area companies toward Asian countries, GDP, population(POP) and opening level(OPEN) appeared as a positive(+) meaningful variable in the direct investment of manufacturing business and non-manufacturing business. When seeing the analysis on the export and overseas direct investment of Busan Area enterprises toward Asian countries, it appeared as a positive(+) meaningful variable in manufacturing business, but appeared as a meaningless variable statistically in non-manufacturing business. This means that in case of FDI of manufacturing business the export of raw materials and intermediary goods through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increased and market-oriented and production efficiency-oriented properties appeared in the same time but in case of FDI of non-manufacturing business it has market-oriented property. Thirdly, in view of the result of the spatial effect model analysis of direct investment of Busan Area companies toward Asian countries, the direct investment of manufacturing business⋅non-manufacturing business targeting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the direct investment of relevant region by the region in the direct investment of manufacturing business⋅non-manufacturing business by each region of China cast a positive effect to increase direct investment of both relevant region and neighboring region. But in case of direct investment of non-manufacturing business targeting Asian countries save China, it appeared that the direct investment of relevant country did not affect the direct investment of a neighboring country. 오늘날 세계 경제는 무역뿐 아니라 금융, 통상법규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의 교역뿐만 아니라 생산요소의 국가 간 이동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제 활동의 세계화는 기업 경영 활동에서도 해외직접투자 등을 통하여 국제적 확대가 진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를 수행하게 되는 요인을 분석한다. 먼저 아시아 지역과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부산지역 기업의 직접투자 결정요인을 분석하며, 다음으로 중국의 각 성⋅시별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 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투자결정요인 분석 방법에서는 제조업과 비제조업으로 나누어 패널회귀분석과 공간효과모형을 이용한 패널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직접투자 결정 이론 중 수평적 결합이론과 수직적 결합이론에 기초하여 부산지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2000년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하여 다소 주춤하다가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중소기업 중심의 제조업 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의 순으로 아시아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최근 직접투자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의 직접투자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경우 신고건수나 투자 금액 면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의 투자환경 변화로 생산요소 지향적인 제조업 중심의 직접투자가 중국에서 아시아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부산지역 기업의 대 아시아 국가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결과를 보면 제조업․비제조업의 직접투자에서는 국내총생산(GDP), 인구(POP) 및 개방도(OPEN)가 정(+)의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부산지역기업의 아시아 국가의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의 분석을 보면 제조업에서는 정(+)의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제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국제 분업을 통한 원자재 및 중간재의 수출이 증가하게 되어 시장 지향적 및 생산효율 지향적 특성이 동시에 나타났다고 할 수 있으나 비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경우는 시장 지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부산지역 기업의 대 아시아 국가 직접투자 공간효과모형 분석의 결과를 보면, 중국을 포함한 대 아시아 국가에서 제조업⋅비제조업 직접투자와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제조업 직접투자 및 중국 각 성⋅시별 제조업⋅비제조업 직접투자에서 지역별 해당 지역의 직접투자는 해당 지역뿐 아니라 인접 지역의 직접투자를 증가시키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비제조업 직접투자의 경우 해당 국가의 직접 투자는 인접 국가의 직접투자와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공간효과를 고려한 부산지역 기업의 대아시아 국가와 대 중국 권역별 투자결정 요인의 규명의 분석은 부산지역기업의 대 아시아 국가 및 대 중국 권역별 투자전략 수립에 일조를 할 것이다. 공간효과가 없는 부산지역 비제조업의 대 아시아(중국 제외) 국가 직접투자의 경우 신규투자보다는 현지 기업 등과의 전략적 제휴 또는 인수⋅합병을 모색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임금 활용 등 생산요소지향을 목적으로 하는 직접투자에서 현지시장 진출 등 시장지향적 직접투자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서 가장 큰 투자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직접투자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는 토지 비용, 물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부산지역 기업들이 인도네시아나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생산지를 재이전하거나, 투자환경 악화로 부산으로 다시 돌아오기를 희망하는 기업의 증가 등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중소기업청 등 관계 기관의 직접투자에 관한 정책과 지원에도 변화가 필요하며, 해외 진출 기업의 지역 복귀를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 부산지역음식 선호도의 차이와 관광지 이미지 및 관광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 20-30대를 대상으로

        한지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d in Busan on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each menu in Busan, the differences in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participate intention in touris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tourists who visited Busan from 01 to 15th of October, 202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of food in Busa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In terms of tourism resources, fish, meat, soup, soup, and noodles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001, fish in the tourist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05, and meat, soup, noodles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001.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In food, fish, meat, s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001, nood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01, and fish, meat, s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001, and nood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05. Second, the preference for food in Busan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residential area). The average value and ranking of preference by gender, age, and region were different. However, the overall sample of pork soup, wheat noodles, puffer sashimi and soup, busan fish sauge, wandang, and bear eel showed a high average value of 4.0, while the preference of Sashimi, Catfish Maeuntang and Totorimuk, Busan yangkchang, Moonhyun machang, Dongrae pajeon, Grilled goat and chicken·duck baeksook, Small clam soup, Anchovy, muchim·tang·grilled were low. There was a difference.,This difference in preference can be judged through information search through online before visiting local food. Third,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food in Busan by menu. In Dongrae pajeon, Grilled goat and chicken·duck baeksook, Haeundae galbi, cheoulma, Busan Yangkukchang, munhyeon machang, seaweed soup, puffer sashimi and s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p<.05, and seafood, pork soup and sashimi showed a difference in **p<.001. Fourth, the preference of food in Busa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ourism. Fish, meat, and noodles a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001, and Tang and Kook were rejected. The reason why Tang and Kook were rejected is that tourists want to experience various foods, while Busan has developed marine products, while other cities have less food for Tang and Kookryu. Fifth,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residential area). It is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 were the average of tourism resources and tourist environment, while the food and mobility were 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urism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of tourist destinations are high because the tourist attractions in Busan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share the marine and urban tourism. Sixth,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tourist destination for the whole sample, and in the tourism resources and the tourist environment, it showed a difference in ***p<.001, and in the food and mobility, it showed a difference in ***p<.01, Especially, it is superior to other factors(3.60) and very excellent(3.53) in the tourist environment, so Busan city proves that it has the best natural environment as a tourist destin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urists visiting Busan will prefer sashimi and related foods as they have a high image as a marine city and in <Table 4-1>, the items of food that they want to experience first in Busan tourist attractions were sashimi, seafood, eel grilled and bear eel(117, 33.1%).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enu of local food in Busan has the lowest preference. This means that Busan has many revolving door restaurants, but there is no special difference from other restaurants in other regions. Therefore, in order for Busan to maintain its image as a marine tourism city, it is necessary to use special tableware that tourists can not experience in other regions through menu improvement or menu differentiation of existing specialty restaura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are many tourist attractions and various food stree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purpose of tourists using specific tourist attractions or food streets will be different. Howev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by grouping the subjects into one individual without subdividing them. Therefore, in the post-incense study, it is hoped that the detailed results will be obtained by selecting a specific food street or tourist destination

      •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 발전에 관한 연구 :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박민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 발전에 관한 연구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Modern Fiber Art In Busan -Focused on Busan Fiber Design Association 조형디자인학과 박 민 경 지 도 교 수 박 수 철 현대섬유미술에서의 개념은 염직공예에서 순수미술 분야로 파급된 것으로 섬유미술이 도입되면서부터 섬유미술 형식이 평면적 형식으로부터 부조적 이거나 입체적 형식 그리고 나아가 환경 설치 미술로까지 확장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결국 이러한 변화 양상은 현대섬유미술이 영향을 받았던 현대미술의 흐름과 일치됨을 알 수 있다. 현대섬유미술은 재료의 선택과 소재 영역의 확대로 여러 변화 속에서 조형예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실험하고 작가와 관객, 예술 공간과 상업적 공간, 환경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총체 예술(Total Art)’로 발전 하였다. 현대섬유미술에 있어서 조형개념은 다변화로서 과거로부터의 그 개념과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표현 재료와 표현 영역의 확장으로 섬유미술은 평면적 시각에서 입체적 공간으로, 더 나아가 환경 설치로 확대해 가고 있다. 인간정신의 자유로운 주관을 표현하려는 조형의지를 나타낸 많은 예술작품 중에서도 특히, 섬유미술은 섬유만이 갖고 있는 특성인 풍부한 질감과 재료자체의 친밀감으로 인해 많은 작가들에게 소재로 선택되고 있다. 섬유미술은 실용적 의미를 넘어서 미적 수단으로서 공간과 함께 입체구조를 가지는 환경조형으로서도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고 있다. 섬유미술의 경향은 작가의 자율성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태 추구에 의해 그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새로운 공간의 인식과 공간 이미지의 확산으로 탈장르의 경향을 띄며, 새로운 소재 개발의 방법론으로 섬유미술은 표현양식으로서 총체적 예술 영역의 자리를 굳히고 있다. 섬유미술은 과거의 단순한 공예적 차원에서 벗어나 폭넓은 창작활동의 수단은 물론이며, 상업적 공간에서도 기능적 역할과 공간조형예술로서 인식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오랜 역사를 지닌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작품경향과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론인 인터뷰 면담의 해석을 토대로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발전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고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발전과 개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대섬유미술 작가들과 질적 연구방법으로의 인터뷰 면담을 토대로 조사 연구하여,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현대섬유미술의 변천과정을 토대로 현대 섬유미술의 문제의식과 목표를 명확히 제기하여 새로운 가치로 개선하고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이 영구적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산지역의 현대섬유미술은 새로운 영역확장과 전환을 맞이하여 한국 섬유예술의 대열에서 앞장 설 수 있으며, 나아가 세계 현대미술의 주류와 맥락을 나란히 하고자 한다. 주요어: 현대섬유미술, (사)부산섬유조형디자인협회, 현대섬유미술의 변천 과정, 부산지역 현대섬유미술의 발전

      •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시장상황이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오철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부가 2017년 8월 2일 발표한 ‘8·2 부동산 대책’ 이후 부산 지역 부동산 가격이 100주 이상 연속 하락하면서 거래량과 주택가격 동반 하락을 겪는 등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있는 현 시점에서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측면에서는 부산 지역 조정대상지역 선정으로 인한 대출제한, 양도세 중과, 전매제한, 그리고 1순위청약자격제한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부산 지역 시장상황 측면에서는 부산 지역 아파트 공급물량, 부산 지역 주택가격, 그리고 부산 지역 부동산 전망 측면에서 각각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일반투자자 및 부동산업 종사자 341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방법론은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각각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조정대상지역 선정은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정대상지역 선정에 따른 대출제한 및 양도세 강화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상황 중 현재 부산 지역 부동산 공급물량 초과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산 지역 비관적인 부동산 전망 및 낮은 수준의 부동산 가격은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가분석에서 그 외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유세 강화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리 인하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 조정대상지역 부동산 보유 여부 및 조정대상지역 부동산 투자계획 여부에 따라 부산 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2019년 현 시점에서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는 정부정책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 지역 부동산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정부 규제정책의 완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부산 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효과는 향후 정부당국이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부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경기 부진과 함께 부동산 침체가 부산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이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며 연구의 시사점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하나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정부정책, 시장상황,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

      • 부산 지역 화자들의 모음 음운현상 연구 : 10대와 60대 화자를 중심으로

        우혜리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A regional language refers to a language used in a specific region. As Busan became a metropolis, the Busan regional language was more influenced by standard languages and other regional languages than befor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peech of teenagers, representing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and the speech of those in their 60s, representing the elderly, to find out how much the Busan regional languag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especially focusing on the vowel phonological phenomena. First, in Chapter 1,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reveal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ing aspects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the Busan regional langu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changes over time. In Chapter 2,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Busan region, which will be covered in this paper, was established,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were examined. 19 consonants, 7 vowels, and 9 double vowels were set. Then, Monophthongization, Labialization, and Umlaut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which were cover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were examined. Chapter 3 analyzed the words uttered by informants in the Busan region through the research data to find out the realization of the vowel phonology phenomenon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In this study, among the vowel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Busan regional language, Monophthongization, Labialization, and Umlaut were subdivided and studied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set in this paper. Spee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ta reading and speech induction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set above, Monophthongization selected nine words containing each of the nine double vowels, and asked informants to read the sentences containing the corresponding words. The words are 'gyehoek, gyeongnyeok, gyuje, pyohyeon, gyaut, twigim, dwaeji, gwolli, gwaja'. After examining Monophthongization, the realization aspect of Labialization and Umlaut was analyzed. First, First, the words that occured Labialization and Umlaut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of Kim Young-sun (2001) and Choi Hyun-jeong (2012) and the speech of Busan people. The selected wor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pronunciation heard in the recording and the vowel formant analysis data through Praat while inducing informants to speak naturally. Labialization selected 'dudeurida, bappeuda, meogeora, deowora', and Umlaut selected 'geoda, danggida, ganda, jogeum, nupyeora' as investigative words. Fiv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eens and five females in their 60s from the Busan area were selected as informants. The gender of the informant is all female, and neither the informant nor the informant's parents have lived in another area for more than two years. The teenage informant was a student in high school. After collecting the data, I listened to how the utterances sounded, wrote down the pronunciations, and obtained the vowel formants through Praat. Speech was analyzed through data obtained from pronunciation and vowel forma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studied the location and pronunciation of articulations uttered by each informant.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e speech of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60s were compar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tandard speech and informants' speech,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peech between those in their 60s and those in their teens. 지역어란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부산 지역어는 부산이 대도시화되면서 표준어와 타 지역어의 영향을 이전보다 더 많이 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젊은 세대를 대표하여 10대의 발화와, 노년층을 대표하여 60대의 발화를 비교하여 부산 지역어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많이 변했는지 그 실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히 모음 음운현상 중심으로 부산 지역어 음운현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1장에서 연구의 배경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부산 지역어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게 되었다. 부산 지역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부산 지역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모습이 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룰 부산 지역의 음운체계를 설정하고, 부산 지역어의 음운현상을 알아보았다. 하였다. 자음은 19개, 모음은 단모음을 7개, 이중모음을 9개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에는 기존 논의에서 다룬 부산 지역어의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은 조사한 자료를 통해 부산 지역 제보자들이 발화한 단어를 분석하여 부산 지역어의 모음 음운현상의 실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지역어의 모음 음운현상 중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를 본고에서 설정한 음운체계에 따라 세분화시켜 연구하였다. 발화 자료는 자료 읽기와 발화 유도 대화를 통해서 수집하였다. 단모음화는 앞서 설정한 음운체계에 따라 9개의 이중모음이 각각 들어가는 단어를 9개 선정하였고, 해당 단어가 들어가는 문장을 제보자들에게 읽도록 하였다. 해당 단어는 ‘계획, 경력, 규제, 표현, 갸웃, 튀김, 돼지, 권리, 과자’이다. 단모음화를 살펴본 후에 원순모음화와 전설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김영선(2001)과 최현정(2012)의 연구와 부산 사람들의 발화에서 원순모음화와 전설모음화가 일어나는 단어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단어를 제보자들이 자연스럽게 발화하도록 유도하면서 녹음에서 들리는 발음과 Praat를 통한 모음 포먼트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원순모음화는 ‘두드리다, 바쁘다, 먹어라, 더워라’, 전설모음화는 ‘(~하는) 거다, 당기다, 간다, 조금, 눕혀라’를 조사 단어로 선정하였다. 제보자는 부산 지역 출신의 10대 여자 고등학생 5명과 60대 여자 5명으로 하였다. 제보자의 성별은 모두 여성으로, 제보자와 제보자의 부모님 모두 2년 이상 타 지역에 거주한 적이 없다. 10대 제보자는 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를 수집 후 발화가 어떻게 나는지 청취하여 발음을 적고, Praat을 통해 모음 포먼트를 구하였다. 발음과 모음 포먼트를 구한 자료를 통해 발화를 분석하였다. Praat은 음성 분석 프로그램으로, 포먼트를 분석하여 조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제보자들이 해당 모음을 어느 위치에서 어떤 발음으로 발화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한 자료를 토대로 10대와 60대의 발화를 비교하여 표준 발화와 제보자들의 발화 차이, 60대와 10대의 발화 차이 유무를 알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