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녀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부모중재 유형에 대한 만족도 : 심리적 반발심과 외로움을 매개로

        송경선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자녀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 부모의 스마트폰 중재 유형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스마트폰 과의존이 발생시키는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소유하게 되는 나이도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그래서 부모의 스마트폰 중재 유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스마트폰 중재 방법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시킬 수 없다. 같은 방법도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높은 만족도를 보일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심리적 특성에 따라 어떤 부모 중재 유형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지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녀의 심리적 특성은 심리적 반발심과 외로움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부모중재유형은 제한적 중재, 설명적 중재, 공동 사용으로 분류하였다.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4학년, 5학년, 6학년 중 본인의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취합된 124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심리적 반발심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제한적 중재, 설명적 중재, 공동 사용 부모 중재 유형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제한적 중재, 설명적 중재, 공동 사용 부모 중재 유형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Statistics 28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기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 부모 중재 유형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첫 번째, 심리적 반발심이 강할수록 부모의 제한적 중재, 설명적 중재, 공동 사용 유형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제한적 중재 유형에 대해 가장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설명적 중재, 공동 사용 유형 순이었다. 두 번째,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자녀는 제한적 중재 부모 유형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어떻게 중재해야하는지 부모의 입장에서 중재 유형을 분석하기 이전에 자녀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이 과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types of parental mediation to children's smartphone use according to the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s. The issues caused by smartphone overdependence are growing more serious every day with the age of the first smartphone ownership dropping graduall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types of parental mediation to children's smartphone use, but the mediation methods cannot be applied to everyone in the same way. Even the same methods can result in different level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Some might have high satisfaction, and others might not. It is time to carry out a profound analysis of which parental mediation type leads to children's high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psychological reactance and loneliness. The types of parental mediation to children's smartphone use are categorized into restrictive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and co-u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30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possessed a smartphone, and 124 questionnaires returned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Statistics 28 program to examine satisfaction with the parental mediation types including restrictive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and co-u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loneliness. The analysis results show differences in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 parental mediation types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states. First, stronger psychological reactance led to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arents' restrictive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and co-use. Children ha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strictive mediation, which was followed by instructive mediation and co-use in the order. Secondly, children who felt lonely a lot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strictive mediat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it was more important to figure out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 than analyzing the mediating types in the position of parents over how to mediate children's smartphone use and that this process should be a priority,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부모중재 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명숙 삼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2

        국문 초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부모중재 유형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이명숙 지도교수 : 김정미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 및 몰입경향성의 실태,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모중재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유아의 스마트몰입경향과 부모중재유형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기기 몰입의 심각성과 부정적 영향력을 인식하므로 적극적인 부모중재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부모중재 유형, 또래유능성 의 차이은 어떠한가? 3.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모중재 유형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5.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부모중재 유형이 유아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어린이집․유치원을 선정하여 만4세, 5세 201명 유아의 어머니와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배부 및 수집은 2017년 1월 14일부터 2월 14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대상 분석을 위해 배경변인과 측정변인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 등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 또래 유능성, 부모중재 유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중재 유형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전반적인 실태는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스마트기기 최초 사용시기가 낮은 연령일수록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부모의 무의식적인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태도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인식하고 과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낮추기 위한 부모의 직·간접적인 개입의 필요성이 있다. 둘째,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경향은 가상세계지향성이 가장 높았으며, 몰입경향성 전반에 있어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래유능성의 경우, 친사회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사용에 있어 부모중재 유형에서 긍정적 중재의 경우, 여아보다 남아에게 유의미하게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에 따라 중재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30대 부모가 40대 부모에 비해 긍정적 중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이 높을수록 또래유능성은 전체적으로 낮았다. 즉, 일상생활 장애가 또래유능성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높을수록 또래유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일상생활장애가 또래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스마트기기 사용에 부모중재 유형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방임이 또래유능성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가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대한 영향력에 대해 인식하고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때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하며,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 시 유아의 대화를 나눔으로써 스마트기기 사용에 유아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줘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부모중재 유형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가 스마트기기 사용에 부모의 긍정적 중재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여 또래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올바른 방법을 지도하도록 긍정적 부모중재 혹은 다양한 부모중재 콘텐츠에 관련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부모가 어떠한 방법으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해 중재하느냐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 혹인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서 유아일 경우 현재에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이후 발달과정에 있어 악영향으로 미칠 수 있는 가변성이 크기 때문에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정서교양의 중재효과

        정인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415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의 다양한 행동문제에 대하여 부모, 특히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 변인과 정서지능, 학교생활 적응능력, 특히 학교 성적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으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구명해 봄으로써 아동 및 청소년 지도에 올바른 시사점을 얻고자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중재 효과를 검증해 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216명이며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척도는 Baenes &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에 관한 척도인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하영(1991)이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은 검사지를 ,정서교양척도는 고려대학교에서 제작된 정서교양검사지(92문항의 표정지각,정서강도판별,사회적 정서의 이해, 감정조절)와, 정서지능척도는 문용린(1997)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학교생활적응능력척도는 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호권(1965)의 ‘표준 적응 검사지’와 유상철(1982)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참고로 하여 임정순(1993)이 초등학생에게 알맞게 수정․보완한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와 학업성취도(국어, 수학, 과학, 사회, 4과목총점, 평균점수까지 사용)결과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교양 척도 총점과 문용린의 정서지능 척도 총점 모두에서 부모의사소통과 학교적응, 학교성적 척도 측정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상호간에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소들과의 관계 분석에서 정서지능(문용린)은 교사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교우관계 순서로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교양은 교우관계 ,교사관계에만 특별히 높은 상관을 나타내 정서지능(문용린)과 정서교양 척도에서 기능적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정서지능과 부모의사소통 학교적응 학교성적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학생 성별요인, 정서지능과 정서교양의 각 하위 요인 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정지각, 정서활용, 아버지 의사소통, 학교성적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나머지 모든 척도의 총점에서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사소통과 학교적응 학교성적과의 상관 결과치 대 각각의 척도에 정서지능의 하위요소별 변인과의 상호작용 결과치를 대응시켜 학교적응과 학교성적의 통계적 향상효과를 측정한 결과 정서교양요소 중 정서강도판별과 문용린의 정서지능 척도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부모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 학교성적 향상에 매우 유의한 높은 중재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정서지능, 학교적응, 학교성적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정서교양의 중재는 학교적응과 학교성적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추론 해 볼 수 있으며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학생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천할 수 있는 정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측요인과 예방요인 : 이용동기, 애플리케이션 유형,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부모중재를 중심으로

        전소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35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effects of parental mediation on such addiction, with focus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this study measured the adolescents' motivation for using smartphone and the adolescents' usage of mobile application, and examined the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and parental medi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s a factor to prevent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motivation for smartphone use and the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by gender, it was found that male adolescents were primarily driven to be potentially addicted to smartphone usage by a symbolic and / show-off motivations, while female adolescents were primarily driven to be potentially addicted to smartphone usage by a symbolic and / show-off motivations, as well as using smartphone as a source of spending time. On the other hand, motivation to pursue relationships through smartphon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addiction to smartphones i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econ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applications and smartphone addiction, it was found in case of male adolescents that applications on game, news search, and photo / video capture applications increase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For female, applications on SNS, games, and news search increases the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Third, by analyzing between parental media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instructive mediation and autonomy support mediation appear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mart phone addiction for female adolescents. In contrast, parental mediation do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reducing the potential smartphone addiction for male adolescents. Fourth, upon analyzing the mediatied effect of self - determination between parental medi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t was found that parental support of autonomy of adolescents decreased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s this increaseds the adolescent's autonomy in their use of smartphone. In contrast,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appeared to be an arbitration method of increasing the risk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s this decreased the autonomy of adolescents in their use of smartphones. Meanwhile, parental instructive mediation and involvement mediation had no direct effect on reducing the risk of adolescents’smartphone addiction; however, parental instructive mediation had indirect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by improving the adolescents’ sens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while parental involvement mediation also proved to indirectly reduce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by improving the adolescents’ sense of competence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of all, this study is singificant in that we were able to figure out what specific factors increased the use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by examining their respective motivation for using smartphones and use of mobile applications. In addition, to prevent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parental mediation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and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ediation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conclude that there is a need for effective parental intervention to prevent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by comparing parent mediation based on existing parental mediation methods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Fur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y acknowledging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on parental mediation by way of assessing the intermediary effect of self-determination between parental mediation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confirmed parental mediation which increases self-determination. 본 연구는 심각해지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주목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원인을 파악하고,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부모중재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측정하고 중독을 예방하는 요인으로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부모중재와 자기결정성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상징성/ 과시 동기가, 여학생은 상징성/과시 동기, 시간보내기 동기가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계성 추구 동기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분석결과 남학생의 경우 게임 애플리케이션, 최신 정보검색, 사진/영상 촬영 애플리케이션이 중독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SNS 애플리케이션, 게임, 최신정보검색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중재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분석결과 설명형 중재와 자율성 지지 중재가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을 줄이는 중재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을 줄이는데 부모중재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중재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자녀의 자율성을 높여 스마트폰 중독위험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한형 중재는 자녀의 자율성, 관계성을 떨어뜨려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을 높이는 중재방식으로 나타났다. 설명형 중재, 관여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을 줄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설명형 중재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높여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을 줄이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관여는 유눙성, 관계성을 높여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을 줄이는 중재방식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먼저 청소년 남학생, 여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을 높이는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요인을 자세하게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부모중재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부모중재와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부모중재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부모중재를 제시하여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부모중재 연구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부모중재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자기결정성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부모중재 연구 한계점을 살펴보고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부모중재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