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성숙도와 집단따돌림 피해정도간의 관계

        유지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현상과 부모-자녀관계, 심리· 사회적 성숙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학교 적응, 또래관계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으나 직접적으로 집단따돌림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논문이 거의 없었다. 그리고 한국청소년상담원을 비롯한 여러 기관, 서적과 설문조사 등에서 집단따돌림 피해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눈치가 없고 친구관계 유지능력이 부족하며 미성숙하다는 보고가 있으나 성숙도와 집단따돌림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연구는 없었다. 또한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성숙도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를 통해 부모-자녀관계가 직접적으로 집단따돌림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성숙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숙도를 매개로 한 경로모델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서울, 경상도에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581부가 사용되었다. 평가도구는 촉진적 의사소통 척도, 가족의 응집성 척도, 심리· 사회적 성숙도 척도, 집단따돌림 피해척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집단따돌림 피해정도와 부모-자녀관계(촉진적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성), 성숙도의 하위요인들(자존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친화력 등)에서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부모-자녀관계와 성숙도가 긍정적일수록 집단따돌림 피해정도가 낮았다. 둘째, 자녀의 심리· 사회적 성숙도는 부모-자녀관계의 하위요인들(개방성, 수용성, 긍정적 존중, 가족의 응집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자녀관계와 자녀의 심리· 사회적 성숙도의 밀접한 관련성을 시사한다. 또한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부모-자녀관계가 심리· 사회적 성숙도를 22% 설명하였다. 셋째,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를 예언하는 심리· 사회적 성숙도의 하위요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에서는 사회유능성, 정서적안정성 순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심리· 사회적 성숙도의 하위요인들이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를 약 13% 설명하였다. 넷째,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를 예언하는 부모-자녀관계 하위요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에서 가족의 응집성과 수용성이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의 하위요인들이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를 약 5% 설명하였다. 다섯째, 심리· 사회적 성숙도를 매개변인으로 한 경로분석에서는 모든 직접, 간접효과를 고려한 모델보다 회귀분석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던 가족의 응집성이 집단따돌림에 주는 직접효과를 제외한 모델이 더 간명하고 적합한 모델이었다. 마지막으로 성별, 학교급별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변인들로는 자기효능감, 정서적안정감, 성정체감, 가족의 응집성, 집단따돌림 피해정도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변인들로는 수용성과 의사소통능력이었다. 또한 학교급별로 알아본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변인들로는 정서적 안정성, 성정체감, 학교 적응력, 가족의 응집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자들을 위한 개인상담이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 가족치료도 함께 이루어져야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피해자 개인의 성숙도를 증가시키는 프로그램 방안에 대한 모색을 제안한다. 그러나 가정환경 외의 지지그룹이나 소속된 집단과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간과하였고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단체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객관적인 정보를 얻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피해와 가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학생들을 구분하지 못했다. 이런 제한점은 추후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Victimization or bullying means that a student is being bullied and exposed repeatedly over time to the perpetr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social maturity would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on severity of victimization. The two hypotheses were gener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s follows : First, there will b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Second, psycho-social maturity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and severity of bulled victim.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five hundred and eighty one middle & high school in Seoul city, Kyonggy & Gyougsang provinces. The five hundred and eighty one subjec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garding mate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y using SPSS 10.0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sycho-social maturity sub-factors, and the severity of bulled victim were calcul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sub-factors and psycho-social maturity sub-factors were, the lower the severity the bulled victim suffered. Second, there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child subfactor and psycho-social maturity variables. Third, the psycho-social maturity subfactor buffered the impact of bulled victim(F = 40.082, P<.001). In general, the psycho-social maturity factor was able to explain 22% of the severity of bulled victim. Fourth, only family cohesion and acceptance in parent-child's subfactor variables were able to reduce the severity of bulled victim. Fifth,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the adolescents functioned as a mediating variable the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severity of bulled victim. Except family cohesion, all the variables were able to predict the severity of bulled victim directly or indirectly. That is,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psycho-social maturity of the adolescents were able to reduce the severity of the bulled victim directly or indirectly.

      •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지각이 자기효능감과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양환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지각이 자기효능감과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3학년 363명(남: 176명, 여: 18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4)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 α=.56∼.95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기대에 대한 일치가 가장 높은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외에도 통제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갈등은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모의 기대에 일치하는 정도가 높고, 부모가 통제할수록,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고, 부모와 갈등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증상에 대해서는 갈등이, 스트레스 대처에 대해서는 정서적 지원이 높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부모와 갈등이 많은 중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증상이 높고,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는 중학생일수록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에 대한 존경과 정서적 지원이 높은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적대는 중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이 있었다.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에 대한 존경이 가장 높은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통제와 정서적 지원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갈등은 행복에 대해 부적 영향력이 있었다. 그러므로 부모를 존경하고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는 중학생일수록 생활에서 만족하고 더욱 행복하였다. 부모와 적대적인 중학생은 생활만족도가 낮았으며, 부모와 갈등이 있는 중학생은 행복 수준이 낮았다. 주요어: 부모자녀관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행복,정서적 지원, 부모기대일치, 부모존경, 통제, 갈등

      •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비동거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전유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self-soothing and adaptation in college life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early adulthood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family life educatio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argeting 257 college students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verall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gratitude‘ to father was 4.22 and that to mother was 4.30.'indebtedness’ to father 4.06 and that to mother 4.13, ‘intimacy’ with father was 3.48 and that with mother was 3.71, ‘respect’ to father was 4.04 and that to mother was 4.19. Regarding the ‘conflict’ indicating the negative emo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nflict” with father was 1.85 and that with mother was 1.87, which showed lower levels than the other variables. Regarding the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was 2.31 points with father and 2.29 with mother. Regarding sub-variables, self-soothing showed 4.87, self-disclosure showed 4.83, physical soothing showed 4.80 and resilience showed 4.49 points respectively. Lastly, regard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ademic adaptation showed 4.78, social adaptation showed 3.43, physical adaptation showed 3.21 and attachment to college showed 3.35 points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the variables which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titude’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ere resilience, physical soothing,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lictual independence. The variables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btedness’ were soci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tim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egarding 'conflict', only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in resilience,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Regarding ‘respect’,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in resilience, physical soothing,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ird, regarding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ve influences that college students related variables affect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gratitude’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showed 21.9% to father and 19.7% to mother. In related variables, ‘gratitude’ to father was identified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is low, attachment to college is higher, subjective economic level is higher and the father has brothers. And, ‘gratitude’ to mother was identified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are lower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is higher. Explanatory power of ‘intimacy’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s 31.5% with father and 24.6% with mother.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of father and mother showed low conflictual independence. As the social adaptation was higher, ‘intimacy’ with parents was identified to be higher. Regarding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ve influences on ‘confli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explanatory power was identified 22.9% with father and 23.0% with mother respectively. Regarding variables related both to father and mother, higher conflictual independence with parents was identified in the cases of boarding and lodging. ‘Respe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as identified 28.7% to father and 27.6% to mother. Regarding the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to father, ‘respect’ to father was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were lower,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higher, the grade was lower and the subjects had brother. ‘Respect’ to mother was higher as the subjects had lower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higher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and were lower grade students. There is a meaning in that this study showed that conflictual independence, self-sooth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have affected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f early adulthood children and that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family life education to improv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본 연구는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갈등적 독립, 자기위로, 대학생활 적응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25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은 '고마움’은 아버지 4.22점, 어머니 4.30점, '죄송함’은 아버지 4.06점, 어머니 4.13점, ‘친밀함’은 아버지 3.48점, 어머니 3.71점, ‘존경’은 아버지 4.04점, 어머니 4.19이었으며, 부모자녀간의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갈등’은 아버지 1.85점, 어머니 1.87점으로 나머지 변인들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갈등적 독립에서는 아버지는 2.31점, 어머니는 2.29점이었으며, 자기위로는 하위변인별로 스스로 위로하기는 4.87점, 자기노출은 4.83점, 신체적으로 위로하기는 4.80점, 회복력은 4.49점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은 학문적 적응이 4.78점, 사회적 적응이 3.61점, 정서적 적응이 3.43점, 신체적 적응이 3.21점, 대학에 대한 애착이 3.35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성은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고마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부적인 상관관계는 갈등적 독립이었다. ‘죄송함‘에 대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사회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친밀함'은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갈등’은 갈등적 독립만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부적인 상관관계는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으로 나타났다. '존경'은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관련 변인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고마움’은 전체 설명력이 아버지 21.9%, 어머니 19.7%로 관련변인은 아버지는 갈등적 독립이 낮고 대학에 대한 애착이 높고 주관적 경제수준 높을수록, 형제가 있을수록 '고마움'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고마움'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친밀함’의 설명력은 아버지 31.5%, 어머니 24.6%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의미한 영향변인은 갈등적 독립이 낮으며, 사회적 적응이 높을수록 부모에 대한 '친밀함'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갈등’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 22.9%, 어머니 23.0%의 설명력을 보였고, 부모 모두 관련변인으로는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기숙과 하숙일수록 부모에 대한 갈등을 나타냈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존경'은 아버지 28.7%, 어머니 27.6%로 아버지의 유의한 영향변인은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고, 저학년이며 형제가 있을수록 아버지에 대한 '존경'이 높았고, 어머니는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과 부모학력이 높은 저학년일수록 어머니에 대한 '존경'이 높았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갈등적 독립, 자기위로, 대학생활 적응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혔고,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아동의 부자유친성정(父子有親性情)과 자아분화 및 대인관계 성향간의 관계

        박수영 숙명여자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우리문화의 전통적인 부모자녀관계를 반영하는 부자유친성정이 현대 부모자녀관계에도 내재되어 전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최초의 부모자녀관계 경험이 개인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져 온 자아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부모자녀관계를 대표하는 부자유친성정과 서양이론을 토대로 하면서 아동의 개별화를 강조하는 자아분화가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남녀 아동 656명과 부모 296쌍이었다. 부모를 대상으로 부자유친성정척도, 아동을 대상으로 부자유친성정척도, 자아분화, 대인관계성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자신의 부모에 대해 지각하는 부자유친성정은 자녀가 그 부모에 대해 지각하는 부자유친성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한국의 부모자녀관계는 동일체감을 바탕으로 한 헌신적 관계로서 부모에게서 자녀에게로 깊이 전수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부모의 권위에 대한 지각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동의 부자유친성정은 자아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개인의 정서 조절이나 가족 간 정서적 교류를 반영하는 영역에서 그 영향력이 컸다. 다시 말해서, 자아분화의 대인관계적 측면을 제외하고 개인의 정서적 안정감을 예측할 수 있는 하위 영역에 대해 아동의 부자유친성정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자유친성정이 혈육지정의 심정적 결속이기에 아동의 자아가 발달하고 분화되어 가는데 기본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때 안정감은 문화적으로 채색된 부모자녀관계를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자아가 분화되어 가면서 나타나는 대인관계 방식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차이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부모와의 일체감과 헌신을 바탕으로 한 심정적 결속은 아동의 타인에 대한 포용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자아분화의 긍정적 기능에 따라 아동의 지배 우월적이거나 자기 과시적인 대인관계 성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우리 문화권에서 관계란 조화와 수용, 하나됨을 강조하는 반면, 서양에서는 개인의 고유성, 남과 다른 독특성, 자신감과 성취에 대해 강조하는 명백한 차이를 드러낸 결과이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아분화의 순기능만을 강조하다면 이는 연구와 실제 적용상의 모순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아동의 대인관계, 사회성에 대한 평가 역시 단일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보다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차원의 평가가 요구된다. 나아가 아동의 대인관계와 더불어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여러 가지 교육에서 이러한 점들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thre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how 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in the modern generation, what influences the ear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have on the child's self differentiation,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two different cultural virtues : 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vs. child's individuation of the western culture on a chil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656 students and 296 pairs of their parents from 4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Seoul. The study was executed by surveying them with questionnaire which examines 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of the parents and of the children and the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ollowing is the brief points of the study. First, if a parent has perceived his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with his own parent as a positive one, then his child has the same positive perception toward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parent's relationship with his own parent influences relationship with his child, too. 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 is based on 'we'ness which means they devote themselves to each other and this is transmitted through generation after generation and still is in effect.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differentiation of a child, particularly on affect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among family members. That is, the traditional bonding helps a child build emotional stability besid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under the category of self differentiation. Lastly, the Korean traditional bonding has a meaningful impact on a child's acceptance of others and social behavior which are correlated to the foundation of the traditional bonding: the ‘we'ness and the devotion to each other.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 child's self differentiation which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he Western culture, a child's dominance-ascendance, ostentation-narc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clination increased. This explains the Korean traditional virtue focuses mainly on harmonious relationship, acceptance of others and unity; on the contrary, the western values individual originality, uniqueness, self confidence, self achievement.

      •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대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및 유아학습신념의 영향

        신소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아버지와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와 관련된 변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아버지와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이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대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부모자녀관계가 매개하는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아학습신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대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만 3, 4, 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467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은 성민경과 김지현(2021)의 ‘부모-자녀 놀이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역할신념은 Bonney와 Kelley(1996)의 부모역할신념척도(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 BCRP)를 조윤진과 임인혜(2016)가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하고 타당화 한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신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자녀관계는 Gerald(1994)의 부모자녀관계척도(Parent-Child Relationship Inventory, PCRI)를 이은해, 김명순, 전혜정 그리고 이정림(2008)이 수정한 ‘부모-자녀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학습신념은 송명숙과 옥선화(2005)의 Stipek, Milbum, Clements와 Daniels(1992), Sy(2002)의 척도를 기초로 송명숙과 옥선화(2005)가 개발한 ‘유아기 자녀의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 Cronbach’s α 신뢰도 분석, 편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과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대해서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 순으로 영향력을 가진다. 셋째,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자녀관계가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뿐만 아니라 그 신념을 바탕으로 유아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부모자녀관계가 향상될 때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학습신념이 조절한다. 아버지의 부모역할수준이 높으면 놀이상호작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데, 능동적인 관점의 유아학습신념 수준이 높으면 그 향상폭은 극대화 된다. 이 연구는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부모자녀관계, 유아학습신념의 영향을 밝히고 더 나아가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가 매개효과를 가지며, 능동적인 관점의 유아학습신념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버지가 부모역할에 대해 만족하는 신념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아버지가 유아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유아의 학습에 대해 능동적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여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ther-related variables that have effect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Variables expected to have effect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re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In detail, this study examined (1) whether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2) what is the relativ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3) whether parent-child relationships mediate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nd (4) whether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moderates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467 fathers who had children aged 3~5 was conducted. As study tools, the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Scale by Sung Min-kyung & Kim Ji-hyun (2021) was used for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nd in order to examine parental role belief, this study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Paternal Role Belief Scale, developed/validated by Cho Yoon-jin & Lim In-hye (2016), according to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 (BCRP) by Bonney and Kelley (1996). As to parent-child relationships, this study us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 developed by Lee Un-hai, Kim Myoung-soon, Jun Hey-jung & Lee Jeong-rim, by modify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ventory (PCRI) developed by Gerald (1994). As to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this study used the Parental Belief Scale on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developed by Song Myung-sook & Ok Sun-hwa (2005), based on the scales of Stipek, Milbum, Clements & Daniels (1992), and Sy (2002).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reliability analysi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Second,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had biggest effect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nd it was followed by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in order. Third, parent-child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This finding seems to imply the fact that in order to activate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it is necessary for a father to have a parental role belief and to perceive his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positively based on the belief, thus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ourth, children’s educational belief moderated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When the level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is higher, play interaction is carried out more frequently. In other words, the level of fathers’ belief on young children’s learning from an active perspective is higher, the width of improvement will be maximize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ducational belief on the improvement of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nd then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educational belief from an active perspective. Study findings seem to propose the fact that in order to improve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it is necessary for a father to have a satisfactory belief in his parental role, to perceive his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positively, and to have an active view of children’s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seemingly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 부·모·자녀를 대상으로

        문수경 숙명여자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탐색하여 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성별, 연령, 출생순위에 따른 부모-자녀관계를 아버지-자녀관계와 어머니-자녀관계로 각각 구분하고,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을 유기체 변인, 미시체계 변인(가정환경, 또래환경, 학교환경), 중간체계 변인, 외체계 변인, 거시체계 변인으로 나누어서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9개의 초,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남녀 425명과 그들의 부, 모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부모-자녀관계 척도, 기질 척도,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갈등 척도, 부모의 지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학교적응 척도, 부모의 학업 기대 척도, 또래지향 척도, 효 의식 척도, 부모용 질문지는 자녀에 대한 태도 척도, 자녀관 척도에 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t-test,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 연령, 기질에 따라 부모-자녀관계는 차이가 있다.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기질의 안정성과 사회성이 높을수록 전체적인 부모-자녀관계는 긍정적이었다. 청소년의 출생순위에 따른 부모-자녀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모든 생태학적 체계는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하위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유기체 변인으로는 여자 청소년이, 연령이 어릴수록, 안정성과 사회성이 높을수록, 가정환경 미시체계 변인 중에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자율적이고, 부모간 갈등이 적을수록, 부모 모두의 정서적, 경제적 지원이 많을수록, 또래환경 미시체계 변인 중에는 또래의 지지가 높을수록, 또래에게 조언을 적게 하고 또래에게 치중하지 않을수록, 학교환경 미시체계 변인 중에는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수업에 적극적일수록, 학교규칙을 잘 지킬수록 전체적인 부모-자녀관계는 친밀함이 높았다. 중간체계 변인은 부모의 학업기대가 높을수록, 부모-자녀의 친구관계가 좋을수록 부모-교사관계가 좋을수록, 외체계 변인은 부모가 부모교육에 참여할수록 부모를 존경하였다. 거시체계 변인은 자녀의 효 의식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정적 가치가 높을수록, 청소년은 부모에 대한 고마움이 많았다. 셋째, 청소년의 전체적인 부모-자녀관계와 하위 영역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생태체계 변인군은 미시체계 변인군이었다. 이는 미시체계가 가장 중요한 생태학적 체계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가정환경 미시체계 변인군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넷째, 설명력이 높은 변인군을 중심으로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관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다. 그리고 자녀의 효 의식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자율적일수록, 학교수업에 적극적일수록, 부모간 갈등이 적을수록,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많을수록, 또래의 조언 요구가 적을수록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첫째, 생태학적 모든 체계는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둘째,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생태체계는 미시체계 변인군으로서 그 중 가정환경 미시체계의 영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거시체계의 영향이었으며, 셋째,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일 변수는 미시체계 변인 중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부와 모를 함께 표집함으로써 양방적인 차원에서 부모-자녀관계를 연구하였으므로 내용의 타당도를 높였다는 점,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생태학적으로 접근하여 종합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교육적 차원으로 환류되어 아동, 청소년, 부모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ecological variables. The ecological factors explored in this study were such variables as 4 organism, 12 microsystem(i.e., family, peer group and school), 3 mesosystem, 2 exosystem and 2 macrosystem variables. The subjects were 425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cruited from 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wangju, Junlanamdo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used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s temperament, parents attitude to children, parents-child communication, inter-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parents support,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parents expectation, peer-oriented attitude group preference, Filial conception, children attitude and parents conception of children by parents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chical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1. Ecological system variables propo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influence adolesc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2.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belonged to microsystems, especially that of family environment, followed by macrosystem variables. 3.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parents emotional support.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microsystem variables wer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for both father-child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Therefore,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program-developers and educator should integrate these microsystem variables into their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foster parent-child relationship.

      •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은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부모자녀관계와 조망수용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에 관련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자녀관계에 따라 자녀의 조망수용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자녀관계에 따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용인시 수지에 위치한 C 어린이집 유아 40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들의 연령은 만 3세 20명 (범위 43 - 54개월, 평균 49 ) 과 만 5세 유아 20명(범위 67- 80 개월, 평균 72 )이다.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에게 의사소통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문항 구성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대화법을 분석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신건호(1996)의 연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에게는 각각 조망수용능력 검사와 친사회적 행동동기 검사를 하였다. 조망수용능력검사는 Hudson, Forman과 Brion (1982)의 조망수용도구를 기초로 신현옥 (1995)이 사용했던 검사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동기 검사는 Dreman과 Greenbaum (1973)이 공동 제작한 검사 도구로 권옥자(198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결과는 SPSS(1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편차를 제시하고 필요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관계와 연령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관련 변인들간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두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Indpendent Sample)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와 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망수용능력이 증가하지만 부모자녀관계가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친사회적 행동에 있어서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친사회적 행동은 증가하였고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자녀관계가 인간지향적일 때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는 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부모자녀관계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그 관계가 인간지향적일 때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를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방법에서 지위지향적인 관점보다는 인간지향적인 관점을 가져야 하며, 그들이 자신의 자녀이기 이전에 한 인간이라는 관점과 시각으로 바라보는 부모들의 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부모들의 자세는 결국 자녀의 조망수용능력을 길러주게 되고 친사회적 행동도 발달시켜 '더불어 사는 사회' 에 공헌하는 유아로 성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s of parent child interacti on on child's perspective t 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so as to help parents wi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ole as a parent and to provide them with some related funda mental information. To achieve the purpose,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hat we had to focus on in our research : 1. Does parent - child int eraction have any effect on child's per spective taking ability? 2. Does parent - child int eraction have any effect on child's prosocial behavior? 3. Is ther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ship between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 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40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C kindergar tn located in Suji, Yongin. The children group was consisted of twenty 3- year - old childr en (range = 43- 54 months , mean age = 49 months) and twenty 5- year - old children (range = 67- 80 months, mean age = 72 months ). W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to determine parents ' communication types. To do this, we modified the in strument s that Shin Keon - ho(1996) developed to analyzet he communication types. As for children, we performed the tests to determine child's perspectve taking ability and the motive of child' s prosocial behavior, respectively. In order to test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we modified to use the in struments that Shin Hyeon - ok (1995) developed based on those of Hdson, Forman and Brion (1982). And we also modified to use the instrument s that Dr eman and Greenbaum (1973) co- dev eloped then Kwon Ok- ja (1987) modified, in order to test the motive of child's prosocial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0.0%). For the analysis , we presented the values of average and deviation for each group and did the statistical analysis .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tems of parent child interaction and ages, we used the two- way ANOVA. An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ed factors and performed the Independent Sample T - test to measure the difference between values of two groups. To sum up the results : First, it was showed that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high when its age was also high. But parent child interaction was showed not to have any positive effects on child' sperspective taking ability. Secondly, the older children showed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the younger ones. And itwas showed that parent child interaction had effects on child'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s of parent child interaction on child's prosocial behavior were great, especially when it was person - oriented. Thirdly, it was showed that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closely related to it s pro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we noted that parent child int eraction affected child's prosocial behavior, especially when it was person - oriented and also that a child showed more prosocial behaviors when it had higher perspective taking ability. Parent child interaction was closelyrel ated to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o build a sound parent child relationship, therefore, we have to try to keep the person - orient ed communications with our children rather than the position - oriented ones and also to regard them as a person with human right equal to ours. If we take such attitudes, then it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and they will be growing in harmony with our society.

      • 부모교육 참여가 자녀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강경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부모교육 참여가 자녀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의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교육 참여가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며, 둘째, 부모 교육 참여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가족유형, 부모의 직업유형, 부모의 학력,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른 변화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강원도 6개시·군(춘천, 홍천, 화천, 철원, 양구, 인제)에서 실시한 좋은 학부모교실에 참여한 부모 141명이다. 부모 양육태도는 4개 하위영역(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과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는 하위영역(심리적 만족도, 생활문화 만족도, 의사소통 만족도) 척도를 가지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설문지의 각 문항을 점수화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12.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빈도, 백분율과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사후와 사전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참여가 양육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형, 부모의 직업유형에 따른 양육태도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부모의 학력, 소득수준에 따른 양육태도에 있어 점수 변화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유형, 부모의 직업유형, 부모의 학력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있어 점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교육 참여가 자녀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법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n parents education on parent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These objectives are set by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child-rearing attitudes of parents to influence and, second,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is the impact on satisfaction.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type, parental education, parental income level, differences were due to the change. 6 This study initiation, the province's (Chuncheon, Hongcheon, Hwacheon, Cheorwon, Yanggu, Inje) conducted in 141 parents participated in a parent class people. Parenting the four sub-regions (affectionate attitude, rejective attitude, self-attitude, controlling attitude) and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areas (psychologic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cultur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pre-test and measure Each post-test was conducted. The data for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analysis SPSS / WIN 12.0 program for statistical and analytical methods used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to test the reliability of Cronbach's α was used. Second, the study subject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percentage,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Thir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ccording to the rearing of post-and pre-parent - child relationship to determin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in a nurturing attitude change was a positive influence.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hange in parenting attitud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parents'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points raised in the attitude chang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type, education of parents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 difference in scor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n parents education on parent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impact was shown. Applying conversation Rear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f the parent and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s and positive difference in satisfaction can be a useful program to impr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