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 현미경을 이용한 병리학 실습 교재의 개발

        전진은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번 연구에서 비록 학생들이 관찰해야 할 전체 증례 중 일부에 대해서만 가상현미경을 제공하였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고, 가상현미경을 학습과 가르침을 촉진하는 편리한 도구로서 쉽게 받아들였으며, 개인용 컴퓨터를 활용하는 학습방법과 도구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아 앞으로 가상현미경이 형태학 학습과 가르침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외 많은 대학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과 가르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 강의를 하거나 실습 교육에 컴퓨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의학 교과서나 실습 도감 또는 가상현미경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거나, CD-ROM으로 제작하여 학습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천연색 그림과 영상 자료로 구성된 병리학 교재를 사용한 평가에서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해력과 기억력이 증가하며 학습 시간이 감소되고, 반복 학습과 연상 작용으로 학습 효과가 뛰어났다. 일부 대학에서는 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의학 학습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가상현미경은 형태학 분야에서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학습과 가르침 도구이다. 학생 실습용으로 필요한 수만큼 특수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면 많은 비용이 들지만 가상현미경은 한 장의 슬라이드만 스캔하면 무한 복제가 가능하며, 자료를 인터넷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참고표시와 주석을 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가상현미경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인터넷 접속이 불편한 경우 파일형태로 학생에게 제공하려면 DVD-ROM 등 대용량 저장매체가 필요하다는 접은 가상현미경을 도입하는데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가상현미경은 연속적인 저배율을 보기에는 편리하지만 아직은 기술적인 문제로 광학현미경과 같이 초점 레벨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려워 염증 세포를 구분하는 등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능력에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과 함께 여러 초점 레벨에서 스캔함으로써 미세한 초점 조정을 프로그램상에서 실현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시도되고 있으며, 해상도를 높여 고화질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면서 가상슬라이드 파일 크기를 점점 줄이고 있어서 가까운 시일 내에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멀지 않은 장래에 병리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광학현미경을 사용하는 실습에서 겪었던 여러 문제점들의 일부를 가상현미경을 통하여 해결하여 학습과 가르침을 촉진하는 편리한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적인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실습에서는 유리 슬라이드가 파손되면 새것으로 대체해야 하고 충분한 교육용 유리 슬라이드 세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파라핀 블록에서 다수의 절편을 깎아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유리 슬라이드의 절편이 다양하여 어떤 경우에는 중요한 병변이 소실되어 없는 유리 슬라이드가 제작되기도 한다. 가상현미경은 증례를 대표하는 중요한 병변을 포함한 유리 슬라이드를 스캔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실습에서는 학생들이 주위 학생이나 교수와 토의하고 싶어도 자신이 보고 있는 궁금한 소견을 정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쉽지 않지만, 가상현미경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같은 영상을 보면서 토론하고 질문할 수 있어서 상호작용 학습에 더욱 좋은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1대의 개인용 컴퓨터를 1명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였으나, 2명이 한조가 되어 실습하면 학생들이 즘 더 병리학에 흥미를 유지하고 협력을 유발하여 증례에 몰입하면서 서로에게 유익한 토의를 할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광학현미경으로 유리 슬라이드를 관찰하였을 때보다 가상현미경을 사용하였을 때 주어진 시간에 더 많은 복습과 토론이 가능하였다. 많은 의과대학에서 기관바탕교육과정 등 수직 또는 수평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하면서 광학현미경과 유리 슬라이드를 이용한 실습시간이 점점 줄어들어 병리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떨어지고 병리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가상현미경은 병리학에 대한 새로운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미경의 도입으로 학생들에게 양질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훌륭한 학습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그와 같은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현미경 실습과 더불어 증례에 대한 임상정보 등 추가 정보를 인터넷으로 제공하면 증례학습식 실습도 가능해 학생들의 병리학 학습뿐만 아니라 임상-병리 학습이나 문제바탕학습에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터넷을 통하여 가상현미경을 제공한 대학에서는 임상증례와 연계하여 가상현미경을 이용한 실습 시험도 성공적으로 적응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과 가르침 교재는 지식의 양이 많고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며 영상을 통한 학습이 필요한 의학과 같은 분야에는 필수적인 교육 매체이지만 많은 비용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 대한 저항, 지원의 부족, 전문성의 부족 등으로 인해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술과 재정적 문제 때문에 설문조사에서 많은 학생들이 원했던 참고표시나 주석을 단 가상현미경을 제공할 수 없었다. 현재 병리학의 광범위한 중요 증례에 대하여 주석을 단 가상현미경 세트는 lowa 대학 웹 사이트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효과적인 학습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회와 협동하여 각 대학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개발한 학습 교재를 정규 교과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협동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험을 얻었다. 첫째, 국내에서 최초로 가상현미경을 제작하여 학생들의 병리학 실습에 사용하였다. 둘째, 선택된 증례별로 새로운 파라핀 블록에서 가상현미경 스캔용 및 광학현미경 실습용 유리 슬라이드를 동시에 제작하여 학생들이 비교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가상현미경을 사용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가상현미경을 학습과 가르침을 촉진하는 편리한 도구로서 쉽게 받아들였다. 또한 이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이번에 적용한 가상현미경은 개인용 컴퓨터에 자료를 저장해 놓고 직접 사용하거나 근거리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접속하여 사용하였으며, 인터넷을 통한 접속은 기술적인 문제로 시도하지 않았다. 둘째, 가상현미경으로 사용한 증례의 수가 5예로 부족하였기 때문에 분석한 학생들의 설문결과가 가상현미경을 완벽하게 도입한 실습에 대한 결과로 전적으로 반영할 수는 없다. 셋째, 현재 전산 실습실이 협소하고 비치된 컴퓨터의 수가 부족하여 여러 군으로 나누어 실습을 진행하여 진행이 매끄럽지 못하여 학생들이 실습에 불편을 겪었다. 넷째, 가상현미경에 참고 표시나 주석을 추가하면 학습에 더 많은 효과를 줄 수 있으나 기술 및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시도하지 못했다. 저자는 병리학을 학습하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병리학 실습에 도움을 주고자 학생들이 실습시간에 관찰해야 할 증례 중 일부의 유리 슬라이드를 새로 제작하여 고배율로 스캔하고 디지털 영상으로 제작한 가상현미경을 개발하였으며, 학생 실습에 적용하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개인용 컴퓨터를 활용하는 학습도구인 가상현미경을 쉽게 받아들였고, 광학현미경을 사용하는 실습에 비하여 가상현미경을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앞으로 가상현미경이 병리학 학습과 가르침을 촉진하는 편리한 도구로서 기관바탕교육과정 등 통합교육과정에서 형태학 실습 시간의 제한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상현미경을 포함하여 잘 구조화된 수업을 진행한다면 병리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상현미경은 학생들의 효율적인 병리학 실습에 도움이 되고 병리학 학습 효과를 높이는 방법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To facilitate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pathology laboratory class, it has been realized that students should be given an environment with repeated learning situ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that pathologists need in order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using virtual microscope. Methods: The virtual microscope was produced from high resolution images scanned by commercial slide scanner from newly made teaching glass slides. The final teaching material was then published on the personal computer in the computer laboratory, classroom, and medical library. This material can be easily browsed by exclusive browser. Results: The comments from all users of the teaching material used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user-friendly and appropriate for searching and reviewing. The users could assess information easily before and after the laboratory sessions. The quality of the images in this material was appropriate for reviewing. All users from our university were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virtual microscope was user friendly. Conclusion: Therefore, the teaching material using virtual microscope in this study was helpful for medical students studying and teaching pathology. Furthermore, this trial may induce others to develop pathology teaching materials.

      • Nomogram for Prediction of Pathologic Complete Remission Using Morphometric Change and Biomarker Expression in Rectal Cancer After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 직장암의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후 형태계측 변화와 바이오마커 발현을 이용한 병리학적 완전관해

        Hur, Hyuk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787

        직장암의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치료 후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예측하기 위해 수 많은 분자 수준의 표지자와 영상학적 도구들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양의 치료 반응 평가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은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바이오마커 및 내시경 소견을 분석함으로써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예측하는 노모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양 검체는 2011년 11월에서 2014년 4월 사이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기 전의 직장암 환자 120명으로부터 전향적으로 채취되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종료 후 8주 뒤에 전직장간막 절제술로 근치적 수술을 받았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분석을 통하여 신선 종양 검체로부터 7 개의 바이오마커 (p53, p21, Ki-67, VEGF, CD133, CD24, CD44)의 mRNA 발현 수준을 평가하였다. mRNA의 발현 정도는 GAPDH의 발현 정도에 따라 교정 (목표 Ct – GAPDH Ct)하여 ΔCt로 나타내었다. 병리학적으로 완전관해를 보이지 않은 검체의 mRNA에 대한 완전관해를 보인 검체의 mRNA의 상대적인 양은 두 검체의 2-ΔCt 값의 상대비로 계산하였다. 낮은 ΔCt와 높은 2-ΔCt 값은 mRNA의 발현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시경 검사는 선행 항암방사선 치료 전과 후(선행 항암방사선 치료 종료 후 4주 뒤)에 실시하였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임상적으로 완전 관해를 판단한 기준은 육안적으로 종양이 보이지 않고, 백색 반흔 혹은 적색 반흔이 남아있는 경우로 하였다. 임상적 변수 또한 평가하였다. 병리학적 완전관해 예측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임상변수 및 생물학적 변수를 로지스틱 회기 모형을 이용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80명의 훈련 집합(training set)에 대하여 노모그램 (Nomogram)을 개발하고 40명의 외부 검증 집합 (validation set)에서 검증을 시행하였다, 식별력과 검정력은 곡선하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과 눈금측정평면도 (calibration plot)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병리학적 완전관해는 24명 (30%)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7개의 바이오마커 중, 4개의 바이오마커 (p53, p21, Ki67, CD133)의 mRNA 발현 수준은 병리학적 완전관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53의 낮은 발현 및 또는 p21, Ki67, CD133의 높은 발현을 보이는 환자들에서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후 시행한 내시경 검사 상 임상적인 완전관해를 보인 27명의 환자 가운데 병리적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는 17명 (63.0%)이었다. 종양의 위치가 낮은 환자들이 종양이 직장의 중간부에 위치한 환자에 비하여 더 높은 병리적 완전관해율을 보였다 [19 (38.8%) vs. 5(16.1%), p = 0.031]. 로지스틱 회기모형을 통해 종양의 위치,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후의 내시경 소견, 4 개의 바이오마커 (p53, p21, Ki67, CD133)가 병리적 완전관해와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 개의 바이오마커,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후의 내시경 소견 및 종양의 위치를 이용한 다변량 예측모델을 기반으로 구축한 노모그램 (nomogram)은 훈련 집합 (AUC=0.945) 및 검증 집합 (AUC=0.922) 내에서 양호한 식별력을 보였다. 눈금측정평면도 (calibration plot)는 두 집합 모두에서 실제 병리학적 완전관해와 예측된 병리학적 완전관해의 확률이 유의하게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예측하기 위한 노모그램은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후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보여 수술 없이 경과 관찰을 하거나 괄약근 보존수술을 시행할 수 있는 대상환자를 선별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치료 방침 결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Numerous molecular markers and imaging tools have been studied to predict pathologic complete remission (pCR) after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for rectal cancer. However, none of these has not shown definite outcom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mogram to predict pCR by analyzing relevant biomarkers and endoscopic findings. Tumor specimens have been collected prospectively from 120 patients before preoperative CRT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between November 2011 and April 2014. All patients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with total mesorectal excision at 8 weeks after completeness of preoperative CRT. Using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mRNA expression levels of seven candidate biomarkers (p53, p21, Ki-67, VEGF, CD133, CD24, CD44) were evaluated from fresh tumor samples before CRT. The expression of mRNA was indicated with ΔCt by correction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GAPDH (target Ct – GAPDH Ct). The relative quantity of mRNA in pathologic complete remission (pCR) tissue to that in non-pCR tissue was calculated from the relative ratios of 2-ΔCt between two conditions. Lower ΔCt and Higher 2-ΔCt mean higher expression of mRNA. Endoscopic evaluation has been done pre- and post-preoperative CRT. Clinical complete remission by endoscopic finding was no visualization of tumor, white scar, and red scar. Clinical variables were also evaluat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clinical and biologic variables were used to make a predictive model for pCR. Nomogram was developed in a training set (n=80) and validated in external validation set (n=40). Both discrimination and calibration were measured by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UC) and calibration plot, respectively. The pCR was shown in 24 patients (30%). Among seven biomarker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four biomarkers (p53, p21, Ki67, CD133)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CR in training set. Patients showing low expression of p53 and/or high expression of p21, Ki67, CD133 exhibited a significantly greater pCR rate. Among 27 patients showing endoscopic clinical complete response (cCR) after preoperative CRT, 17 patients (63.0%) demonstrated pCR. Lower tumor location showed a higher pCR rate than middle tumor [19 (38.8%) vs. 5(16.1%), p = 0.031].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umor location, endoscopic finding after preCRT and four biomarkers (p53, p21, Ki67, CD133)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CR. Based on the multivariate prediction model with these variables, a nomogram were drawn for prediction for pCR, and which showed good discrimination ability in training set (AUC=0.945) and validation set (AUC=0.922). The calibration plot demonstrated good agreement between actual and predicted pCR in both patient set. The nomogram for prediction of pCR may be useful in treatment decisions after preoperative CRT to select complete responders for a wait-and-see policy or sphincter preserving surgery.

      • 魏晋南北朝時代의 病理學史에 관한 硏究

        이병욱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775

        本論文爲了對魏晋南北朝時代的病理學理論的水準進行一番考察, 以'對于病理學發展過程的硏究'爲主題, 對當時的著作『鍼灸甲乙經』, 『小品方』, 『名醫別綠』等分別進行了較深入的硏究. 硏究方法: 首先以『中醫病因病機學』的分類方式將關于病因病機的內容分出來, 作了目錄, 然後利用電腦將那些書籍從頭開始依次按分類方法將其揷入該內容的目錄底下, 用此方法將有關聯的內容進行了收集. 下一階段, 把以相似的內容聚在一起的文章對病理學理論的理解程度上, 重新進行分類後下了如下結論. 1.『鍼灸甲乙經』主要踏襲了『內經』, 在病因方面認爲: 有六淫, 時間, 地域等自然因素和飮食, 房勞等生活因素, 還有怒喜思悲恐等情志因素和以體形和構成因素爲中心的體質因素, 瘀血等內生因素和誤治等其他因素. 在病機方面認爲: 有以脾肺腎爲中心, 說明邪氣和臟腑, 經絡之間關係的臟腑病機, 有說明外邪的侵犯和發病過程的經絡病機, 還有說明氣血的生成和循環的氣血病機和水液代謝有關聯的三焦病機等. 2.『小品方』爲整理當時的韓醫學知識的著作. 在病因方面認爲: 有六淫, 時間, 地域, 毒氣, 疫려等自然因素和飮食, 勞倦, 房勞傷等生活因素, 有怒喜思悲恐等情志因素, 有正氣和胎前因素等體質因素和瘀血, 痰飮等內生因素, 還有蟲, 中毒, 誤治等其他因素. 在病機方面認爲: 有以心脾胃腎爲中心, 說明水穀及水液代謝的臟腑病機和對于氣血不足方面有極少說明的氣血病機, 認爲應當區分傷寒和溫疫. 3.『名醫別錄』則在病因方面認爲: 有六淫, 邪氣, 毒氣, 毒려, 惡氣等自然因素和飮食, 勞倦等生活因素, 有怒喜思悲恐等情志因素和瘀血, 痰飮等內生因素, 有外傷, 蟲獸, 誤治等其他因素. 在病機方面認爲: 有對于整個臟腑的特徵性疾患逐各進行了論述的臟腑病機, 說明從氣血不足及循環障碍而誘發出來的各種疾患的氣血病機等. 以上述結論爲基礎, 對于和當時的政治.社會.思想.經濟背景之間的關聯性進行了硏究. 硏究結果表明: 不單單是病理學, 所有韓醫學理論和臨床醫學的發展都是適應時代要求的方向進行發展, 魏晋南北朝時代的著作『鍼灸甲乙經』, 『小品方』, 『名醫別綠』也是適應時代的要求, 雖然在醫學理論方面尙無全面的改革或突出的新理論的開發, 但是對于當時社會所迫切需要的內容方面有較深而較仔細的硏究. 因此, 通過這次硏究, 本人得到了如下結論: 魏晋南北朝時期的韓醫學理論是繼承前人的學問, 通過將其深化的過程, 爲隋唐醫學的發展奠定了基礎. 本論文爲了對魏晋南北朝時代的病理學理論的水準進行一番考察, 以'對于病理學發展過程的硏究'爲主題, 對當時的著作『鍼灸甲乙經』, 『小品方』, 『名醫別綠』等分別進行了較深入的硏究. 硏究方法: 首先以『中醫病因病機學』的分類方式將關于病因病機的內容分出來, 作了目錄, 然後利用電腦將那些書籍從頭開始依次按分類方法將其揷入該內容的目錄底下, 用此方法將有關聯的內容進行了收集. 下一階段, 把以相似的內容聚在一起的文章對病理學理論的理解程度上, 重新進行分類後下了如下結論. 1.『鍼灸甲乙經』主要踏襲了『內經』, 在病因方面認爲: 有六淫, 時間, 地域等自然因素和飮食, 房勞等生活因素, 還有怒喜思悲恐等情志因素和以體形和構成因素爲中心的體質因素, 瘀血等內生因素和誤治等其他因素. 在病機方面認爲: 有以脾肺腎爲中心, 說明邪氣和臟腑, 經絡之間關係的臟腑病機, 有說明外邪的侵犯和發病過程的經絡病機, 還有說明氣血的生成和循環的氣血病機和水液代謝有關聯的三焦病機等. 2.『小品方』爲整理當時的韓醫學知識的著作. 在病因方面認爲: 有六淫, 時間, 地域, 毒氣, 疫려等自然因素和飮食, 勞倦, 房勞傷等生活因素, 有怒喜思悲恐等情志因素, 有正氣和胎前因素等體質因素和瘀血, 痰飮等內生因素, 還有蟲, 中毒, 誤治等其他因素. 在病機方面認爲: 有以心脾胃腎爲中心, 說明水穀及水液代謝的臟腑病機和對于氣血不足方面有極少說明的氣血病機, 認爲應當區分傷寒和溫疫. 3.『名醫別錄』則在病因方面認爲: 有六淫, 邪氣, 毒氣, 毒려, 惡氣等自然因素和飮食, 勞倦等生活因素, 有怒喜思悲恐等情志因素和瘀血, 痰飮等內生因素, 有外傷, 蟲獸, 誤治等其他因素. 在病機方面認爲: 有對于整個臟腑的特徵性疾患逐各進行了論述的臟腑病機, 說明從氣血不足及循環障碍而誘發出來的各種疾患的氣血病機等. 以上述結論爲基礎, 對于和當時的政治.社會.思想.經濟背景之間的關聯性進行了硏究. 硏究結果表明: 不單單是病理學, 所有韓醫學理論和臨床醫學的發展都是適應時代要求的方向進行發展, 魏晋南北朝時代的著作『鍼灸甲乙經』, 『小品方』, 『名醫別綠』也是適應時代的要求, 雖然在醫學理論方面尙無全面的改革或突出的新理論的開發, 但是對于當時社會所迫切需要的內容方面有較深而較仔細的硏究. 因此, 通過這次硏究, 本人得到了如下結論: 魏晋南北朝時期的韓醫學理論是繼承前人的學問, 通過將其深化的過程, 爲隋唐醫學的發展奠定了基礎.

      • 치료 표적이 되는 유전자 재배열을 가지고 있는 갑상선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김미화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55

        서론: 유전자 재배열은 암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진단 및 예후 예측 표지자로 사용되고 있다. 갑상선암에서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가장 흔히 발견되지만, 유전자 재배율도 6–80%로 다양한 빈도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특정 유전자 재배열에 대한 표적 치료제들이 개발이 되면서 임상적으로 그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치료표적이 되는 유전자 재배열을 갖고 있는 환자들을 비용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분화갑상선암 환자 들을 대상으로 유전자 재배열의 빈도를 확인하고, 이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병리학적 소견을 통해 유전자 재배열이 의심되어 검사를 진행한 환자와 무작위로 포함되어 검사된 환자의 유전자 재배열 빈도 차이를 조사하여 병리소견을 통한 선별의 효용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분화갑상선암 환자들 중에서 내분비 전문 병리학자가 유전자 재배열이 의심되는 갑상선암 환자 44명을 선별하여 전향적으로 유전자 재배열 검사와 Pan-TRK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병리 슬라이드 소견을 바탕으로 다결절성 침윤, 광범위한 기질의 섬유화, 혼합된 다양한 성장양상과 다양한 정도의 핵의 이형성, 종양세포의 투명한 세포질 변화, 그리고 빈번한 림프절 전이를 보이는 경우가 해당되었다. 또한 45명의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분화갑상선암 환자들도 무작위로 포함되어 총 89명의 환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의 수술병리조직에서 mRNA를 추출한후, Archer 사의 Fusionplex panel을 이용하여 유전자재배열을 분석하였고 각 유전자 재배열 빈도를 국내 외 발표된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다음으로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TERT 프로모터 돌연변이와 유전자 재배열과의 연관성, pan-TRK 면역조직화학 염색의 NTRK 유전자 재배열 예측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에 포함된 89명의 환자들의 나이의 중앙값은 46.9세였고 28명 (31.5%)가 남성이었다. 갑상선 유두암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환자가 83명 그리고 갑상선 여포암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FTC) 환자가 6명이었다.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89명의 분화갑상선암 환자 들 중 55명 (61.8%)의 환자 들에서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 TERT 프로모터 변이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는 한 명도 없었다. 치료 표적이 되는 유전자 재배열 중에서NTRK 유전자 재배열 (NTRK3 19.1%, NTRK1 6.7%)이 25.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RET (17.9%), 그리고 ALK (7.9%) 유전자 재배열 순서로 많았다. 이는 다른 연구 들에서 보고한 빈도보다 높았으나, 무작위로 포함시킨 환자만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에는 전체 유전자 재배열 40%, RET 15.6%, NTRK3 6.7%, NTRK1 4.4%, ALK 4.4%로 다른 연구들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빈도를 보였다. 내분비 병리학자가 조직학적 소견을 보고 선별한 44명의 환자 중 유전자 재배열은 37명 (84.1%)에서 보여 무작위 선별된 환자들의 40.0%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p <0.001), 특히 NTRK3의 경우 조직학적 소견을 보고 선별한 환자 군에서는 34.1%에서 발견되어 무작위 선별된 환자들의 빈도 (6.7%)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p = 0.003). 유전자재배열은 전형적 갑상선 유두암 (classic PTC)에서 8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여포변이 유두암 (follicular variant-PTC) 환자에서 21.1%로 확인되었다.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55명의 환자들의 나이는 중앙값 41.6세 (사분위수 34.3–51.6)로 유전자 재배열이 없는 환자들에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젊었다 (p<0.001).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환자들의 원발 종양의 크기는 중앙 값 1.6 cm (사분위수0.9–2.2)로 재배열이 없는 경우인 3.0 cm에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작았다 (p<0.001). 하지만 육안적 및 현미경적 갑상선 외 침윤은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환자 중에서 40 명 (72.7%)에서 확인되어 유전자 재배열이 없는 경우 (38.2%)에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많았다(p=0.002).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갑상선암은 경부 림프절 전이도 38 명 (69.1%)에서 보여 유의미하게 더 많았고 (p=0.003), 림프침범 (lymphatic invasion)도 49 명 (89.1%)에서 나타나서 유전자 재배열이 없는 환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았다 (p<0.001). 44명의 pan-TRK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환자 44명 중, 12명은 양성, 32명은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이 검사의 NTRK 유전자 재배열 예측에 대한 민감도는 58%, 특이도는 96%, 그리고 각각 92%와 75%의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보였다. 결론: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분화갑상선암 환자에서는 비교적 많은 61.8%에서 유전자 재배열이 확인되었다. 병리 슬라이드 소견에서 다결절성 침윤, 광범위한 기질의 섬유화, 혼합된 다양한 성장양상과 다양한 정도의 핵의 이형성, 종양세포의 투명한 세포질 변화 등을 확인하고 유전자 재배열이 의심되어 선별한 환자 들의 유전자 재배열은 무작위 선별된 환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NTRK3 유전자 재배열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었다. 유전자 재배열이 있는 분화 갑상선암 환자들은 재배열이 없는 환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나이가 어렸으며, 원발 종양의 크기는 작았으나 갑상선 외 침윤과 림프절 전이는 오히려 더 많았다. TERT 프로모터 변이가 있는 경우에는 유전자 재배열을 동반한 환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Pan-TRK 면역조직화학염색은 민감도는 비교적 낮고, 특이도는 높은 검사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B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분화갑상선암에서의 유전자 재배열의 빈도와 유전자 재배열의 있는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비용 효과적인 선별 검사와 진단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은 갑상선암 환자들 특히 방사성요오드 불응성 전이 갑상선암 환자들의 개별화된 표적치료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자궁내막암에서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와 VEGF, MVD 그리고 MMP-2,-9의 발현간의 상관성

        김현 고신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726

        연구배경 및 목적 : 최근 여러암종에서 신생혈관 형성과 단백질 분해효소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씨 종양세포의 생물학적 성질 및 예후 추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위해서는 신생혈간의 형성과 암세포의 기저막층 융해, 세포외 기질의 분해과정이 필수적이다. 혈관 형성 인자로 대표적인 것이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ICF)이라. VICF는 종양세포에서 생성분비되어 종양 주변의 기질의 혈관 투과성 및 혈관 형성에 관여하고, 최근 연구에서는 VICF 발현 정도와 미세혈관 밀도 (microvessel density, MVD)가 환자의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인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가 암의 침윤과정에 필수적인 기저막과 세포외기질의 융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여 암의 진행 및 전이에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자궁내막암에서 VICF 발현정도와 미세혈관밀도 그리고 MMP-2,-9 발현정도를 살펴보고 이들과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들과의 연관성을 보아 이들의 새로운 보조적 예후인자로써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9년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고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환자 중 병리학적으로 재검토가 가능했던 62예를 대상으로 예후와 관련된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그 환자들의 조직학적 표본으로 VEGF, MVD, MMP-3, MMP-9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조사하여 이들의 발현과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자궁내막암에서 VEGF 양성발현율은 84.5%(49/58), MMP-2 양성발현율은 76.8%/3(42/56), MMP-9 양성발현율은 76.4%(42/55)였誤고 미세혈관 밀도의 평균값은 19.4±8.6이었다. VEGF 발현유무와 종양의 미세혈관 밀도 그리고 MMP-2,-9 발현유무는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들과는 모두 통계학적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궁내막암에서 VEGF, MVD, MMP-2,-9 사이의 상관관계는 서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62예의 자궁내막암 중 조직을 대상으로 VEGF, MVD, MMP-2,-9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여 이들의 발현과 내막암등의 예후인자 즉, 나이, 조직학적 유형, 병기, 분화도, 근층침범깊이, 림프절 전이유무, 출전 CA-125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또 이들 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두 통계학적으로 연관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와,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들은 지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좀 더 많은 증례에 의한, 그리고 생존율에 근거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umor angiogenesis and degradation of subepithelial basement membrane and extracellular matrix are essential steps for tumor growth, invasion, progression and metastasl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tumor angiogenetic process and strong VEGF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icrovessel density and poor outcome of endometrial cancer patient.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a family of enzymes appear to play a key role in degradations of basement membrane and extracellular matrix, and is responsible for cancer invasion, progression and metastasis and b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of pat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VEGF, MVD and MMPs in endometrial cancer and then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with prognostic parameters of endometrial cancer. Materials & Methods: We studied clinl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62 endometrial cance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operated at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3, and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VEGF, microvessel density. MMP-2, and MMP-9 by using immunohistochemistry, then compared these data with the established prognostic parameters of endometrial cancer.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VEGF and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The MVD also showed no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lc parameters but p-value was close to 0.05 in CA-125 level (p=0.051). In MMP-2,-9,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VEGF and MVD.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VEGF, MVD and MMP-2,-9. Condus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VEGF and MMP-2,-9 and MVD were not correlated with prognostic parameters such as stage, histology, grade, myometrial invasion depth, lymph node metastasis and preop CA-125 level in this study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EGF, MVD and MMP-2,-9. It was regarded that there need further study with more cases and based on survival in the future.

      • 심방 세동 환자의 심방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연구 : 심방 중격 결손에 동반된 심방 세동과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 세동 환자의 비교

        곽재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723

        서론: 심방 중격 결손을 가진 성인 선천성 심기형 환자에서 발생하는 심방 세동의 경우, 좌심방 용적 보다는 우심방 용적이 심하게 확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후천성 승모판막 질환의 환자에서 보일 수 있는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인데,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이 서로 다른 두 질환 군의 심방 세동 환자들의 병리학적인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24명의 연속된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나누었는데, 1군은 심방 중격 결손만을 가진 환자 (8명), 2군은 심방 세동을 동반한 심방 중격 결손 환자 (6명), 3군은 심방 세동을 동반한 승모판막 질환 환자 (10명) 였다. 심장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 전 양측 심방의 용적을 측정하였다. 연구자는 환자들의 심방 조직을 수술 과정 중의 일환으로 채취하였으며, 얻어진 심방 조직에 대하여 Periodic acid-Schiff, Smooth muscle actin, Sirius Red, Masson’s Trichrome 등의 특수 염색 방법을 통해 심방 용적 증가에 따른 조직 섬유화, 글리코겐 침착 등의 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조직병리학적 변화의 정도는 양성율, 강양성율로 나타내어, 각 군 간, 조직 간에 이들 지표가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고, 이들 지표와 심방 용적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우심방의 용적은 2군에서 3군에 비하여 늘어나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못했으며, (65.6 ± 26.7 (2군), 49.2 ± 30.6 (3군) ml/m2, p=0.329), 반대로 좌심방의 용적은 2군에 비하여 3군에서 유의하게 확장되어 있었다(92.0 ± 39.5 (3군), 29.7 ± 16.9 (2군) ml/m2, p<0.001). 그러나, 염색된 심방 조직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성율, 강양성율은 이러한 수술 전 측정된 심방 용적의 늘어난 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 못했고, 각 군 간, 각 심방 조직 간의 비교에서도 심방 용적의 증가 정도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결론: 수술 전 심방 용적의 확장 정도와 심방 조직에 발생하는 병리학적인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즉, 심방 중격 결손 환자 및 승모판막 질환 환자에서 심방 세동이 발생하였을 때, 용적이 늘어난 심방의 종류와 상관 없이 양측 심방 모두에서 비슷한 정도의 병리학적인 변화가 발생하였다. Introduction: Atrial fibrillation (AF) in adult atrial septal defect (ASD) patients accompanies enlarged right atrium (RA) with not so much enlarged left atrium (LA), which is the opposite of patients with AF and mitral valvular disea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the pathological change in the atrium of AF from different etiologies, ASD and mitral valvular disease.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July 2011, 24 consecutive adult patients were enrolled. Group 1 had only atrial septal defect patients (n=8), group 2 had atrial septal defect with AF (n=6), and group 3 had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with AF (n=10). Preoperative atrial volumes were measured using echocardiography. We obtained atrial tissues during surgical procedures, and stained these atrial tissues with method of Periodic acid-Schiff, Smooth muscle actin, Sirius Red, Masson’s Trichrome to detect the interstitial fibrosis or glycogen replacement in each atrial tissue. The severity of histopathological change of atrial tissue was represented with “positivity” and “strong positivity” after analyzing of digitalized image of above staining, an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ilation of atriums and degree of pat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tissues. Results: RA volume was enlarged in group 2 compared to group 3 (65.6versus 51.2 ml/m2, p=0.329), and LA volume was enlarged in group 3 compared to group2 (92.0 versus 29.7 ml/m2, p<0.001). However, in the pathologic analysis of these atrial tissues, “positivity” and “strong positivity” did not show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gree of atrial volume and also did not represent the degree of atrial volume in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groups and atrial tissues. Conclusions: The similar degree of pathologic changes occurred in both atrium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regardless of which atrium was dilated more significantly or the degree of atrial dilation.

      •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직장암의 임상병리학적 소견

        곽민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709

        대장직장암에서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지만,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직장암의 경우, 관련된 임상병리학적 소견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에 저자는 대장직장암의 간전이에 관여하는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의 임상적 의의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1996면 8월부터 2002년 4월까지 대장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을 시행 받았던 5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중 수술 당시 동시성 간전이가 있었던 36예와 간전이가 없었던 509예, 그리고 간 전이가 없었던 509예 중 2002년 4월 시점에서 이시성 간전이가 있었던 34예와 간전이가 없었던 475예에서 발생부위, 육안소견, 종양의 크기, 세포 분화도, 장막침운 여부, 혈관침습, 신경주위침습, 림프절 전이여부 등과 같은 임상병리학적 소견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총 36명(7%) 환자에서 수술 당시 동시성 간전이가 있었으며 간전이가 있었던 환자에서는 장막침윤, 혈관침습, 신경주위침습, 림프절 전이가 간 전이가 없었던 환자에 비해 의미있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다변량 분석으로 간전이가 있는 환자와 관련된 독립변수는 림프절 전이 여부로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p=0.009). 509명 환자중 34명(6.7%)의 환자에서 이시성 간전이가 있었으며 간 전이가 없었던 환자와 비교할 때, 장막침윤, 혈관침습, 림프절 전이가 이시 성 간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많이 관찰되었으며(p<0.05) 다변량 분석시 혈관침습 여부가 병리학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5). 결론적으로 대장 및 직장암의 동시성 및 이시성 간전이에서 특징적인 임상병리학적 소견은 각각 림프절 전이와 혈판침습 여부로 생각되며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후속치료 방침을 계획하고 향후추적관찰에 대한 원칙을 확립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ognostic factors of colorectal cancer have been well-known before and various studies relating them have been reported. In that case of colorectal cancer with liver metastases, however, the prognostic factors or clinicopathologic feature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colorectal cancer with liver metastases and to evaluate their clinical significance. From August 1996 to April 2002, 545 paitents who underwent radical surgery for primary colorectal cance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Colorectal cancers with synchronous liver metastases and without metastases at that time of surgery were 36 cases and 509 cases, respectively. Of 509 cases without metastases, 34 cases had metachronous liver metastases up until April 2002, and the others had not.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ch as tumor location, gross findings, size, cell differentiation, serosal, vascular, perineural, and lymph node invasions, of cancers with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metastas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cancers without metastases, respectively. The serosal, vascular, perineural, and lymph node invasions were more frequent in the cases with synchronous liver metastases than in those without metastases(p<0.05).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es, the lymph node inva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independent variable in the cases with synchronous metastases (p=0.009). The serosal, vascular, and lymph node invasions were more frequent in the cases with metachronous liver metastases than in those without metastases(p<0.05)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es, the vascular inva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rognostic factor in the cases with metachronous metastases(p=0.015). In conclusion,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 were considered as lymph node and vascular invasion, respectively. Therefore, closed observation and careful postoperative follow-up should be needed in those cases of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