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우자선택 과정과 심리갈등 : 기독교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김미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foundation of a healthy and happy marriage life begins with selecting a spouse. However, since many desires are involved in man and woman relationship and there is no perfect person who is able to satisfy all these desires, conflicts are experienced in the period of associating with the opposite sex and in making decision of marriage. Moreover, as for Christians, selecting a spouse is even more difficult and complex because faith issu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viewpoint, covers, in various and integrated view of psychology, sociology and theology. a series of processes which Christian women experience That is to analyze the process how they reach marriage after overcoming the conflict that occurs in selecting a spouse so that to find out by what value Christian women evaluate their spouse and through what way they can finally get married.For this study, us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7 Christian married women had taken place, and the data from it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the grounded theory. The result interpreted by psychology, sociology and Christian counseling are as follows.First of all, I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very step, between relationship aborted before marriage and relationship reached marriage. That is, the latter has fewer ''cause and effect'', but more ''intervening'' which help overcoming conflicts and sustaining the relationship, and more ''strategic approach to the reciprocal acts'' than the former.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as influence of psychological maturity of faith through developing maturity and experience of failure. And also the contents of core theme become various but deep as the level of commitment to each other gets deeper.Secondly, their conflict and solution in the process of choosing a spouse can be classified to 3 types. That is, ''experienced faith-initiated type'', ''intimate sharing oriented type'', ''selection criteria-priority type''. Every type is similar in cause and effect conditions, core theme and interrelationship, intervening, strategic approach to the reciprocal acts. These results show that not every Christians have the same process of choosing a spouse, but get to marriag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unique characters. Thirdly, this study, having compared, in the view of social exchange theory that an individual takes ''cost and benefit''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decision of marriage, the core theme to intervening of conflicts, has found out following point. Every spouse candidates has both ''benefit conditions and ''cost conditions''. And a man and an woman are attracted to each other when heshe anticipate hisher partner can compensate the cost condition that heshe is short of, and heshe can compensate the partner''s part that is not enough. A compensation and a cost about inter-exchange condition is valued rather by the level of compensation condition which motivates himherself than by objective evaluation. One decides to marry when heshe realizes that the level of compensation is high.Fourthly, every person experiences different phases in finding God''s guide in choosing a spouse. A case where one is to convict God''s will through clear faith experiences. Another case where choosing according to our free will and personal taste, and the last case is to pray to God to find God''s will when one is not sure which to choose with hisher wisdom and evaluation. However, what we need in any of these situations is to have enough time and situation analysis in order to get to know the other part. Some try to find out God''s will about a potential spouse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 or external signs, but more important thing is one''s internal feelings or impressions. In short, Following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each other can be the way to find God''s will more clearly.Fifthly, an ideal spouse, who is coincident with one''s own anticipation and idea, does not exist, but is made and found through interaction (or reciprocal act) between each other. Therefore, there is no absolute conviction, but factors of doubt and uncertainty exist when selecting a spouse and deciding to marry. However, even though there is no absolute conviction, one can enjoy peace about one''s choice with enough confidence. Things that make it difficult to choose a spouse is one''s attitude asking God to make a whole map of marriage life in order to get answers for every single question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everything.In general, one who knows oneself well and clearly recognizes the reality of marriage is able to make a good selection of a spouse and a decision to marry. So the ability of selecting a spouse is not only needed at the point of decision, but is also related to one''s personality and whole life. In this period prayer plays a key role.For this, Christian counselors and church ministers should not suggest general rules to apply to everyone, but try to understand one''s unique characters and help himher interpret hisher value and feeling. Church communities should also make a atmosphere where one is able to express honestly ''who heshe is'' and ''what heshe wants'' among them. And afunctional education program seems to be necessary.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and used to counsel man & woman relationship problems of people who are going out with someone or who are wanting to go out but have fears. Since man & woman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youth and unmarried men and women, they have many curiosities. Especially, it can be used as an instrument to help understand the prudence of deciding marriage for those cases where one is not sure whether or not it is God''s will to marry the one heshe is currently going out with, or one concerning how to manage a newly appeared option. 건강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의 기초는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남녀의 만남에는 여러 가지 욕구가 얽혀있고 이 욕구를 모두 충족시켜줄만한 완벽한 사람은 없기 때문에 교제 과정과 결혼 결정에 있어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게다가 기독교인의 배우자 선택에는 신앙이 개입되기 때문에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심리․사회․신학적인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입장에서 기독 여성의 배우자 선택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이를 극복하고 결혼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여, 기독 여성들이 어떠한 가치로 배우자를 평가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결정인 결혼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법을 설정하여, 기독교 기혼여성 7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고 이를 토대이론의 패러다임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심리․사회학적 그리고 기독교 상담학적으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혼전 중단 관계와 결혼에 이른 관계를 비교해보았을 때 각 과정마다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해 내었다. 즉 전자보다 후자에서 인과적 요인은 줄어들고 갈등해결과 관계지속에 도움이 되는 중재조건과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늘어나게 되는데 이는 발달적 성숙과 실패 경험을 통한 심리적 신앙의 성숙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호간의 개입수준이 깊어짐에 따라 중심 현상의 내용은 다양하면서도 깊어진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의 배우자선택과정에서 갈등 내용과 해결방법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신앙체험 주도형’, ‘친밀감 공유 중심형’, ‘선택기준 우선형’이며 각 유형은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및 맥락, 중재조건, 작용 상호작용에서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같은 기독교인이라고 해서 배우자를 선택과정이 동일하지 않으며 각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결혼에 이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본 연구는 개인들이 결혼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보상과 비용을 고려한다는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갈등의 중심현상과 중재조건을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모든 배우자 후보는 보상조건과 비용조건을 함께 가지고 있되 한 쌍의 남녀 서로가 끌리는 것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인 비용요인을 상대방이 보상해 줄 수 있고, 상대의 부족한 부분을 자신이 보상해줄 수 있을 때이다. 상호 교환하는 조건에 대한 보상과 비용은 객관적인 평가보다 개인에게 의미와 동기를 부여하는 조건의 보상수준이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그 보상수준이 높다고 인지할 때 결혼을 결정하게 된다.넷째, 각 사람마다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발견하는 과정은 다르게 나타난다. 즉 분명한 신앙체험으로 하나님의 뜻에 대해 확신을 갖는 선택, 우리의 자율과 개인적인 취향을 따를 수 있는 선택, 선택사항 앞에서 자신의 지혜와 판단으로는 확신이 서지 않아서 하나님의 뜻을 찾기 위해 기도해야 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의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은 상대방을 알기 위한 충분한 시간과 상황분석이다. 어떤 사람들은 외적인 조건이나 사인들에 따라 배우자 후보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확인하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내적인 감정들이나 인상들이다. 요컨대 서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밟는 것이 하나님의 뜻을 더 분명하게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다섯째, 자신의 기대와 이상에 부합하는 이상형의 배우자는 현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져가고 발견되어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우자를 선택하고 결혼을 결정할 때 절대적 확신은 있을 수 없고 의심과 불확실성의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절대적 확실성이 없을지라도 자신의 선택에 대해 충분한 자신감을 가지고 평화를 누릴 수 있다. 배우자 선택을 어렵게 하는 것은 모든 의문들에 대답을 얻으려하고, 모든 의미를 완벽히 이해하기 위해 하나님이 결혼 전체에 대한 지도를 만들어주기를 바라는 태도이다.총체적으로 보았을 때,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결혼에 대해 분명한 현실인식을 하고 있는 사람이 배우자 선택과 결정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우자 선택의 능력은 결정해야 할 그때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인격과 삶 전체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 과정에는 기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 상담가나 교회의 목회자들은 배우자 선택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들을 모든 사람에게 적용하여 제시하기보다 각 개인의 독특성을 파악하고 그의 마음속의 가치와 감정을 해석하도록 도와야한다. 그리고 교회 공동체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한다. 이와 더불어 기능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진행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데이트 과정에 있는 사람들이나 데이트를 하고는 싶지만 두려움을 가진 사람들의 이성문제를 상담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성 문제는 많은 청소년들과 미혼남녀에게 중요한 문제이므로 그들이 이성교제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은 많다. 특히 현재 데이트하는 상대와 결혼을 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인지의 여부 혹은 새로운 대안의 출현에 대한 대처 등으로 고민하는 사례들을 위해 결혼 결심의 신중함을 이해시키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기혼여성의 배우자선택요인과 결혼만족도

        이선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배우자 선택요인과 결혼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라 배우자 선택요인과 결혼만족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며 이러한 변인들이 결혼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성공적인 결혼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초혼이면서 결혼년수 5년 이하의 주부 27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Cronbach'□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요인분석, t검증, ANOVA, Duncan의 다중비교 검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혼여성의 배우자 선택요인과 결혼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17개의 배우자 선택요인 중 중간점수(3점)를 상회한 요인은 외적요인에서 건강상태 (M=3.49), 직업(M=3.43), 가정환경(M=3.37), 학력(M=3.14)순 이었고 내적요인에서는 성격 (M=4.27), 가치관(M=4.03), 대인관계의 원만성(M=3.91), 성취욕(M=3.71), 정서적 성숙(M=3,70), 자아분화도(M=3.63), 애정의 표현정도(M=3.35), 유머감각(M=3.24), 매력정도(M=3.13)등 9개 요인이었다. 배우자 선택시 고려도가 높은 요인은 외적요인 중에서는 건강상태이고 내적요인 중에서는 배우자의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결혼만족도는 중간점수인 62.5보다 높은 91.75로 대체로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른 배우자 선택요인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배우자 선택요인의 차이를 보면 출생순위가 중간인 집단이 배우자의 출생순위를 덜 고려하고 장녀인 집단이 배우자의 자아 분화도를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배우자의 가정 환경, 정서적 성숙, 자아분화도, 가치관을 더 고려하였고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이 배우자의 성격을 덜 고려하였다. 또, 결혼전 자영업에 종사했던 여성들이 배우자의 가정환경, 자아분화도, 가치관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생가족의 형태(핵가족, 확대가족)에 따라서는 배우자 선택의 어떠한 요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적 변인에 따른 배우자선택요인의 경우, 성역할 태도가 중간인 집단이 배우자의 가정환경, 대인관계의 원만성을 더 고려하였고 근대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집단이 배우자의 출생순위를 덜 고려하였으며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보인 집단이 배우자의 정서적 성숙, 성취욕, 가치관을 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중간인 집단이 배우자의 매력정도를 더 고려하였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은 배우자의 성취욕, 자아분화도, 성격을 더 고려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이 배우자의 정서적 성숙을 덜 고려하였다. 그리고 자아분화도가 높은 집단이 배우자 선택시 배우자의 자아분화도, 가치관, 성격을 더 고려하였다. 3.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 결혼년수가 적은 집단, 자녀수가 적은 집단, 주부의 직업이 없는 집단의 경우 결혼 만족도가 높았고 심리적 변인에 따라서는 자아분화도와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 근대적 성역할 태도를 보인 집단의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4. 배우자선택요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배우자의 성격 가치관·정서적 성숙·대인관계의 원만성·자아분화도·건강상태·성취욕·매력정도·유머감각·애정의 표현정도의 순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분화가 잘 된 주부일수록, 배우자 성격의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결혼만족도를 38% 설명해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기혼여성의 배우자선택요인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결론을 내리면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배우자 선택시 외적 조건에 치중하기보다는 상대방의 내면에 가치를 두는 성숙된 자세를 지니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mate selecting factors and, marital satisfaction, concentrated on married women, to examine the difference among mate selection factors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276 wives, living in kwangju that having passed under 5 years after marriage without divorce experienc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est. The data were analyzed Cronbach' □,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In mate selection, factor of high-degree was personality, view of value, personal relations, achievement, emotional mature, self-differentiation, degree of affection's expression, sense of humor, charm and condition of health. Scores of internal factors were higher than median. Internal factors' average was higher than external factors' average. Respondents' marital satisfaction score showed 91.75 and this score was higher than median score(62.5). 2. The external factor of mate sel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gree of education, career, order, and sex-role attitude. The internal factor of mate sel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gree of education, career, order,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sex-role attitude. 3. As correlating mate selectional factors to marital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appears in the mate's personality, view of value, emotional mature, personal relations, self= differentiation, condition of health, achievement, charm, sense of humor and degree of affection's expression. 4. Married women's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self-esteem, personality and child's number that were explained about 38% by these variables. In conclusion, to happy marital life must be loved her own self, and above all considered internal factors like personality than external factors in mate s election.

      • 기독교적 결혼관 확립과 배우자 선택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

        이충호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81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기독교적 결혼관 확립과 배우자 선택을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기존 결혼준비 프로그램을 개관하고, 기독교적 결혼관을 고찰하고, 배우자 선택이론의 적응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 개관에서 기독교적 결혼관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많이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성경에 기초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경에서 말하는 결혼관과 신학자들의 결혼관과 전통적인 결혼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나라 청년들이 확립해야할 결혼관을 제시하였다. 배우자 선택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으나 신앙인의 배우자 선택연구가 부족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앙에 의해 배우자를 선택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이론들을 기초로 본 연구는 성경과 신학자들이 제시하는 기독교적 결혼관을 가르쳐 주고 이를 기초로 한 배우자 선택을 목표로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먼저 기독교적 결혼관 확립을 위한 요소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창조적 질서로서의 결혼관이다. 창조적 질서로서의 결혼관은 결혼의 신성함을 가르쳐 준다. 둘째 둘이 떠나 한 몸을 이룸의 결혼이다. 둘이 떠나 한 몸을 이룬다는 것은 두 사람이 완전히 독립한 한 개체임을 가르쳐 준다. 셋째 영속성으로서의 결혼이다. 영속성으로서의 결혼이란 결혼이 둘만의 결정이 아닌 하나님의 개입을 전제로 한 결합이라는 것을 가르쳐 준다. 다음 배우자를 선택에 대한 것으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유사성이 많은 배우자이다.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배우자는 유사성이 많은 배우자라는 것이다. 둘째 동반자적 배우자이다. 남과 여의 관계는 수직적인 관계이거나 하나가 하나에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의 인격체가 함께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프로그램 실시는 1회기를 60분짜리 7회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은 집단 형태로 이루어지고, 찬양, 기도, 강의, 설문지작성, 토의 등의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한 회기씩 7주간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집중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앞으로 이 프로그램은 교회에서나 일반 기독교 단체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개발 연구가 실제적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점이 제한점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young men, who are preparing wedding, to assist establishment of christian outlook on marriage and selection of their spouses. For this purpose, I tried to make a general survey of the existing wedding­preparation program, to consider Christian outlook on marriage, and to apply selection theory of spouse in this study. With respect to the overview of the preceding studies, there are lots of the existing studies about Christian outlook on marriage, but these studies are based on the Bible. Therefore, I suggested the outlook on marriage to be established by our young men with the study outlook on marriage in the Bible, theologists' outlook on marriage, and traditional outlook on marriage in this study. Studies on selection of spouse were performed, but the studies for believers are insufficient, so I suggested the theory and method to select spouse with religion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theories, I showed the Christian outlook on marriage suggested by the Bible and theologists in this study and set the goal to select spouse based this outlook, then constructed the program. In the program, three components were suggested to establish the Christian outlook on marriage. The first component is an outlook on marriage as a creative order. This outlook on marriage points out divinity of marriage. The second is a marriage as a logic of 'Two become one'. 'Two become one' suggests that two persons are independent object respectively. The third is a marriage as perpetuity. Marriage as perpetuity means a marriage is a combination based on not decision of both persons but intervention of the God with the presupposition. Then, I suggested two facts about selection of spouse. The first is that persons should select their spouse with lots of similarity. Spouse suitable to oneself is a spouse with lots of similarity. The second is a spouse like companion.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s not a vertical or subordinate relationship but a parallel relationship of two characters. Programs are constructed to perform a set by dividing 60 minutes of 7 sessions. All programs were performed as a group type and applied to methods like praise, prayer, lecture, making a questionnaire, and performed for the fixed time concentratively.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used in churches or common Christian institutes widely in future. However, Whether this study on development these program has actual effects is not verified.

      • 배우자 선택과 외모 : 서울에 거주하는 대졸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최계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35

        The single males and females who have become as old as marry others feel in selection of their spouses that such factors as personality, appearance, financial ability, love and family environment a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ingles' perception of one of such factors or 'appearance' counted as most important by the singl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were taken; first,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designed to check if the singles were candid or not regarding their spouse candidates' appearance. Second, the reasons why they counted "appearance" as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selection of their spouses were reviewed. Third, the elements of "appearance" affecting their selection of spouses most were examined. To this end, 72 college graduate singles who were using a marriage information and agency service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In addition,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for 6 males (aged 29), 6 females (aged 28) and 4 agency staff including the CE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ur-fold conditions or factors affecting their selection of spouses, namely, "appearance", "personality", "financial ability" and "love" were presented for the subjects, who were requested to count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or factor among them. 1.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only 4% of the male subjects and 3% of the female subjects counted "appearance" as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selection of their spouses, but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contradicted such a finding; they confessed that "appearance" was essential. In response to the indirect question "how important is 'appearance' for your selection of spouse?", 72% of males and 56% of females answered it was important. 2.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asons why the singles preferred "appearance" for their selection of spouses could be analyzed as follows; (1) Most of them counted a hereditary reason. In other words, most of them wanted to have a better-looking child, and therefore, wanted to marry a better-looking partner. Most of them feel that they are not good-looking or short, and therefore, want their hereditary or physical inferiority to be improved by better-looking spouse's genes. On the other hand, those singles who feel themselves good-looking want their child to look better than themselves. (2) Most of the subjects point out that better-looking people are more easily admitted to the society because of their good first impression and that such handsome or beautiful people can be more confident in their social life, being loved by more people. (3) Most of the subjects seem to expect that their physical disadvantages can be overcome by the other's genes. In other words, they seem to want their physical disadvantages improved by their spouse's genes. In particular, the older the singles are, they tend more to marry "beautiful women" in order to surmount their sense of inferiority. 3. 50% of the male subjects counted "facial appearance" as most important, while 56% of the female subjects regarded "constitution" as most important. 4.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how to improve the physical disadvantages, it was found that 36% of the male singles wanted their candidate spouses to perform diet programs to look slimmer, while 67% of the female singles wanted their candidate spouses to be slimmer. 39% of the male singles and 44% of the female singles opposed any plastic surgery. Summing up, "appearance" as condition for selection of spouses is inevitable in reality. Love does not mean "meeting in the sky and falling like a star". It cannot be realized all of a sudden. Love will be achieved through long efforts. It is a complicated emotion. Deeper love will lead mostly to marriage. In other words, people do not meet their partners on condition that they look good. Accordingly, we need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that our young people should understand their partners better and that they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ir selection of spouses. In this regard, we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eaching our young people that the marital life is not a fantasy but a reality.

      • 결혼시장에서 여성의 교환자원에 관한 연구

        장은영 중앙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사회는 결혼의 양상이 변화되고 있다. 결혼 선택시기, 동기, 규범 등 과거의 제도적이고 정형화된 결혼의 양상들이 점차 사라지면서 선택적이고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그중 결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연상이어야 한다는 연령에 대한 규범은 여성의 고학력화, 사회진출 증가, 경제력 향상,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점차 감소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결혼의 연령차이에 대한 규범이 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결혼을 결정할 때 교환되는 자원의 특성과 결혼생활에 줄 수 있는 보상을 교환이론을 적용하여 결혼 5년 이내의 여성을 대상으로 부부연령차이별로 분석?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결혼 5년 이내의 기혼여성 275명이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SPSS Wi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26세-30세 사이의 둘째 이하가 많았다. 교육수준은 비교적 높았고, 핵가족형태의 자녀가 없거나 1명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결혼 당시 대부분 전문직과 사무직에 100만원 미만의 수입을 가지고 있었고, 종교는 기독교가 대부분이었다. 결혼형태는 연애혼이 많았고, 1년-3년의 교제 기간을 가졌으며, 결혼결정시 부부 중 한사람이 더 적극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부부 연령차별 결혼의 개인 및 부모관련 자원의 특성을 보면, 종교는 세 집단 모두 동질혼적인 성향을 띄고 있었고, 남편 장남과 아내 차녀 이하의 결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사자들의 사회경제적 자원은 학력에서는 동질혼적 특성을 보였고, 직업유형이나 수입면에서는 남성우위적인 성향을 보였다. 부모관련 자원은 학력, 직업, 수입 모두 이질혼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어서, 현대사회에서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교환자원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자원과 심리적 자원도 결혼 결정에 교환자원으로서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자원 역시 결혼 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 연령차이별 교환자원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없었다. 부부 모두 결혼 전에 동일한 종교를 가지고 있어서 동질혼적 교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순위별 결합은 남편 장남- 아내 차녀이하의 결혼이 높았다. 당사자들의 사회경제적 자원에서 학력은 부부 동일학력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직업이나 수입면에서는 남성우위적인 성향이 높았다. 부모관련자원의 차이는 교환자원으로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세 집단 모두 양가부모의 학력은 동일학력이 높았지만, 아내연하집단은 직업유형에서 시댁직종우위가, 수입에서 시댁직종우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정서적 자원과 심리적 자원의 차이를 보면,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 없이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회적지지 자원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 없이 세 집단 모두 남편주변 지지가 아내주변 지지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교환자원에 따른 결혼 보상의 차이를 보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정서적 영역, 상호작용 영역, 역할 영역 모두 아내 연하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아내 연상 집단은 역할 영역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결혼 보상의 평균값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교환자원에 따른 결혼보상의 차이에서는 개인적 자원은 동일한 종교일수록 가치영역에서, 동일한 직업유형인 경우가 아내직종우위형보다 결혼보상의 정서적 영역과 상호작용영역에서, 그리고 남편과 아내 모두 둘째 이하와의 결혼이 상호작용 영역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모관련자원은 양가부모의 학력이 동일했을 때 결혼보상의 상호작용영역에서 높은 보상감을 나타냈다. 정서적 자원이 결혼보상에 주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심리적 자원은 모성애적 성향이 높을수록 결혼의 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자원은 친정 부모나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결혼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보상에 대한 교환자원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내연상 집단에서는 정서적 자원과 개인적 자원의 종교변수에 따라 결혼보상이 높게 나타났다. 부부동갑집단에서는 정서적 자원과 심리적 자원에서 결혼보상과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모성애적 성향과 열정감이 높을수록, 결혼 보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내 연하 집단에서는 정서적 자원, 심리적 자원, 사회적지지 자원이 높을수록 결혼 보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에서 부부의 연령차이는 이제 사회적 통념을 벗어난 개인의 다양한 선호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부부간 연령차이는 자원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이 연상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과도기적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즉, 결혼을 선택하는 남성과 여성들은 남녀 연령차이에 대한 통념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기성세대 혹은 주변인들은 아직까지도 "정상적 결혼"에서 연령차이에 대한 신화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둘째, 결혼에서 교환되는 개인 및 부모관련 자원은 동질적이거나 남성우위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종교, 학력에서는 동질혼적이고, 수입과 직업유형은 남성우위의 경향을 따르고 있어서 부부간의 연령에 관계없이 물질적인 자원교환에서 남성우위의 결혼이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적으로 전통적 규범을 벗어나고 있지만, 사회경제적 지위면에서 내혼적 성향과 남성우위의 선호 경향은 여전히 잔존함을 볼 때 전통적 측면과 현대적 변화가 공존함을 볼 수 있다. 셋째, 교환자원에서 정서, 심리적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된다는 점이다. 정서적 자원의 중요성은 연령차이에 관계없이 모두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현대 결혼에서 "애정적 결합", "정서적 동기"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현대의 부부들은 사랑에 대한 욕구가 충족될 수록 결혼 보상감이 향상될 수 있음으로 부부관계에서 애정을 유지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配偶者選擇過程과 結婚適應度間의 關係

        김혜선 淑明女子大學校 1992 국내박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교제과정과 합의과정으로 구성된 배우자선택과정이 결혼생활을 위한 전제과정이라는 가정하에, 교제과정 변인과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와 결혼적응도간의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세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교제과정 중의 상호작용이 합의정도에 영향을 주며 합의정도는 이후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본 연구는 매개변인을 구성하는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 척도와 종속변인을 구성하는 부인의 결혼적응도 척도를 사용하여 결혼지속년수가 만1년에서 만5년이내인 초혼의 기혼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결과해석 과정에서 실증적인 연구를 보완하고자 이혼한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제과정 변인,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 결혼적응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다음 교제과정 변인과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간의 관계,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와 결혼적응도간의 관계, 그리고 교제과정 변인과 결혼적응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제과정 변인,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 결혼적응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 교제과정 변인 중 교제빈도는 한달에 1-9회 만남이 39.3%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10회 정도 만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제기간은 만1년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2년 4개월 정도 교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결정은 과반수(70.4%)가 상대방을 신뢰하고 가치관을 수용하며 여러 면에서 동질적이라고 느끼는 2, 3 단계에서 이루어졌다. 2.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8가지 하위영역에서의 합의정도도 높은 편이었다. 그리고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는 개인적, 환경적 조건(성장배경, 결혼연령, 결혼유형, 교육수준) 중 결혼유형과 교육수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즉 중매결혼의 경우보다 연애결혼의 경우, 교육수준이 고졸이하인 경우보다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가 높았다. 3. 결혼적응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4가지 하위영역 모두 높은 편이었다. 4.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제과정 변인은 교제 빈도로, 단순히 교제기간, 결혼결정단계 보다는 만나는 빈도가 상대방을 파악하고 결혼생활 영역에 대해 합의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하위영역별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제과정 변인은 교제빈도였으며, 교제기간은 성격 및 가치관 영역의 합의정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혼적응도는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결혼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영역은 성격 및 가치관 영역, 여가생활 영역, 역할 영역, 친족관계 영역, 사회활동 및 교제 영역 순으로 결혼적응도의 총분산을 3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결혼적응도는 교제과정 변인 중 결혼결정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세 변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전체와 하위영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먼저 전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서로의 역할 및 가치관이 수용되는 단계에서 결혼을 결정할 수록 결혼적응도가 높으며, 만나는 빈도가 높을수록 배우자 선택과정 중에 상대방을 파악하고 결혼생활에 대해 합의한 정도가 높으며, 그 결과 결혼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서로의 역할 및 가치관이 수용되는 단계에서 결혼을 결정할 수록 결혼적응도가 높으며, 교제과정 중 만나는 빈도가 높을수록 8가지 결혼적응 영역에 대해 배우자선택과정 중 합의하는 정도가 높으며, 또한 교제기간이 길수록 상대방의 성격 및 가치관을 파악하는 정도가 높으나 이들 영역 중 성격 및 가치관 영역, 여가생활 영역, 역할 영역, 친족관계 영역, 사회활동 및 교제 영역에 대한 합의정도가 높을수록 결혼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가설 모형이 부분적으로 지지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서 볼 때, 배우자선택과정은 단순히 낭만적 사랑만을 키워가는 과정이 아니라 결혼생활 적응을 위해 필수적으로 전제가 되는 과정으로 이후 결혼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더우기 오늘날처럼 부부중심가족으로 변화되는 시점에서는 부부간의 애정과 친밀성이 부부 관계 및 가족을 지속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이 되므로 서로를 잘 파악하고 결혼 생활에 대해 충분히 합의한 후 결혼을 결정하는 자세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성격 및 가치관은 인생의 지표로 결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20여년이나 상이한 생활환경에서 성장해온 남녀가 서로의 성격 및 가치관에 대한 파악없이 조화로운 결혼생활을 영위해가는데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충분히 파악한 상태에서 결혼을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로를 파악하며 이후 결혼생활 문제에 대해 합의할 수 있는 책임감있는 배우자선택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사회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며, 결혼생활에 대해서도 환상이 아니라 실제로서 느낄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ate selection process consisted of dating and courtship stage and mutual agreement stage is the precondition for marriage, aims to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3 variables -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The emphasis is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s during the dating period and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Actu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The subjects were 600 wives, having passed 1-5 years after marriage without divorce experience. Scales were given to the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and marital adjustment for quantitative analysis. Interviews were also carried out with divorced women for the complementary purpose. Data analyses are as follows. In order to read the general trend of variables of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aken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and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respectively. Path analysis was also taken for those 3 variables mentioned in advanc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above procedures. 1. The most frequent case in dating frequency was 1-9 times a month showing 39.3 % of the respondents, in dating length 42% had just 1 year. 2.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was generally rather high and 8 subareas were the same. Marriage typ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decisive factors in marital consensus level. A love marriage had higher consensus level than arranged marriage and college degree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3. Marital adjustment was also high in total and 4 subareas were the same. 4. Dating frequency had more influenced on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mutual agree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It also had effects on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but dating length only on the consensus level of personality and value subareas. 5.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had an effect on marital adjustment. Following factors were another effective ones which explained 38% of the whole; personality and values, leisure, attitude toward roles, in-law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6. Marital adjustment was effected by marriage decision stage among the variables of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7. We have examined cause-effect relationships of three variables devided into total and subareas. Marital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case of deciding the marriage when they understood each other's personality and values and attitude toward roles. High frequency of dating made better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each other. It improved marital adjustment to admit the other's role and value when having examined the subareas. More frequently they met, higher level of consensus they made longer period of dating helped to accept reasonally the partner's personality and values. The field of personality and value, leisure, attitude toward roles, in-law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had many influences on marital adjustment. Therefore we have found hypothetical model was partly supported. Above remarks suggest that the mate selection process is not the stage just for romantic affections, but the preliminary stage for the successful marital adjustment. We are in nuclear family system now. Then the importance of dyadic affections and intimacies have increased for maintaining family life. It seems significant to decide marriage after full consensus about marital life. Successful decision for marriage has to include understanding each other's personality and values because both have grown up in different living patterns longer than 20 years. Hereby we are in the need of efficient programs in order to accept marriage in the view of actual life.

      • 결혼적령기 남녀의 자아이미지와 배우자이미지 선택요소의 상관관계 연구

        송정화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한국의 결혼적령기 미혼 남녀의 결혼관과 자아이미지를 분석하고 자아이미지에 따른 배우자의 선호하는 이미지요소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결혼관에 대해 이해하고 이미지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미혼남녀에게 이성을 만남에 있어서 조금 더 호감을 보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동기를 부여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그리고 기타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0-30대 미혼남녀 400명에게 ‘기본신상조사, 결혼관, 배우자이미지, 자아이미지 척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37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의 분석은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은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서 안해도 됨이 가장 많았으며, 반드시 해야 함도 높게 나타났다. 결혼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랑하기 때문이 가장 많았으며, 결혼 전 교제기간에서는 1-2년이 가장 많았고, 결혼시기에서는 결혼에 대한 준비된 자세 될 때가 가장 많았다. 혼전 성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는 사랑한다면 가능이 가장 많았고, 연령의 차에서는 상관없다가 많았으며, 선호하는 배우자 선택방법에서느 연애결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전 이성교제 필요성에서는 매우 그렇다가 가장 많앗으며, 결혼은 한번만 해야한다에서는 그렇다가 가장 많았고, 결혼 조건은 비슷한 사람과 해야한다에서는 그렇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의 외적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에서 태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상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 외에는 말시, 얼굴 생김새, 몸매, 옷차림, 키, 피부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배우자의 내적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신뢰감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 인격, 긍정적 사고, 지신감, 습관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배우자의 사회적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밀감, 인간관계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이미지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의바른이 가장 높은 이미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안한, 활동적인, 사교적인, 자부심을 가진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화려한, 스치스런, 섹시한, 이성적인, 개인을 중시하는 이미지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 배우자이미지 선택 고려사항과 자아이미지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이미지 선택 고려사항에서는 외적 이미지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배우자의 외적 이미지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이미지가 배우자 선택 외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표본 전체 대상일 경우 자아이미지가 현대적이고 편안한 이미지가 아닐수록 배우자의 외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표본 전체 대상일 경우 자아이미지가 편아한 이미지일수록 배우자의 내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일 경우 자아이미지가 현대적이고 활동적이며, 개성적인 이미지가 아닐수록 배우자의 사회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