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과 후 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 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도

        강화란 우석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atisfaction and demand of children -lower grade students in the primary school- and par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 For getting data on satisfaction and demand of children and par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 questionnaire was performed on following subjects; - 107 children and 90 parents in 5 primary schools in JEOLLABUKDO. - 184 children and 62 parents in 20 kindergartens in JEOLLABUKDO. - 144 children and 22 parents in 8 local children care centers(study rooms) in JEOLLABUKDO.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demand for after-school program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Firs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cally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for after-school program. But two sub-areas of satisfaction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Parents have more satisfaction on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area', but children have more satisfaction on `environment and equipment area'. Second, parents have higher demand about the after-school program than children. Third, children have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primary school than parent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tivity contents area', `environment area' and `equipment area',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eacher area'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area'. Fourth, parents have higher demand about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primary school than children. Fif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kindergarten. But in the teacher area it happen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satisfaction of parents is higher than of children. Sixth,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demand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kindergarten. Parents have higher demand in 4 sub-areas than children. Seven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local children care center. Eigh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demand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local children care center. But parents have higher demand in 'teacher area'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area' than children. 2. Comparison with the facility type about the satisfaction and the demand of children for the after-school program. Firs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6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children'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irstaid and having medicines' Second, children do not have the difference of the demand about teacher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And children have the high demand degree about sub-questions for the teacher. Third, children's satisfaction about the activity content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does no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nd children have the high satisfaction degree about sub-questions for the activity contents. Four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demand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activity contents of the after-school program. But the greater part of children answered that activity contents is helpful. Fif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6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children'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about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tool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various books' and `various musical instruments'. Six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demand according to facility type for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tools. And children have the high demand degree about sub-questions for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tools. Seven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4 questions of 7 questions for the children'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about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division of space for studying and playing', `space for the rest' and `space for the after-school program'. Eigh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demand according to facility type for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s. And children have the high demand degree about sub-questions for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s. 3. Comparison with the facility type about the satisfaction and the demand of parents for the after-school program. Firs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4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par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teacher.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fairness for children', `relationship with parents', `respect for children's opinion' and `firstaid and having medicines' Second,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6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parents' demand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teacher.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irstaid and having medicines' Third,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3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par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activity content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to wash hands after activity', `teaching the teacher in charge of activity', `operating various program' and `regular teaching the children about the table manners'. Four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5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parents' demand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activity content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o wash hands after activity', `activity according to the plan' and `teaching the teacher in charge of activity'. Fif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3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par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tool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pace for th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ing goods', `various art materials', `various books', `tools for the science experimentation' and `study materials'. Six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7 questions of 8 questions for the parents' demand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tool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ools for the science experimentation'. Seven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3 questions of 7 questions for the par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ir conditioner', `division of space for studying and playing', `space for the rest', and `sanitary facilities'. Eigh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2 questions of 7 questions for the parents' demand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for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s. Bu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uitable indoor space', `air conditioner', `division of space for studying and playing', `space for the after-school program' and `sanitary facilities'. 본 연구는 방과 후 교실을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만족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5개교, 어린이집 20개 시설, 지역아동센터(공부방) 8개소에서 초등학교 내 방과 후 교실의 아동 107명과 부모 90명, 어린이집 내 방과 후 교실의 아동 184명과 부모 62명, 지역아동센터(공부방) 내 방과 후 교실 아동 144명과 부모22명, 총 아동 435명과 부모 174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만족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 만족 및 요구에 대한 차이 첫째,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재교구’ 와 ‘환경 및 시설설비’ 하위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재교구에 대해서는 부모들이 아동들보다 더 만족하였으나 ’환경 및 시설설비‘에서는 아동들의 만족이 부모들보다 훨씬 더 높았다. 둘째,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보다 더 높았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아동들의 만족이 부모들보다 더 높았다. ‘활동내용’ 과 ‘환경 및 시설설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 및 ‘교재교구’ 영역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보다 더 높았다. 다섯째, 어린이집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 하위 영역 중 ‘교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부모들의 만족이 아동들 보다 더 높았다. 여섯째, 어린이집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 ‘활동내용’, ‘교재교구’, ‘환경 및 시설설비’ 4개 하위영역 모두 에 대해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보다 보다 훨씬 더 높았다. 일곱째, 지역아동센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덟째, 지역아동센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 와 ‘교재교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의 요구 보다 더 높았다. 2.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시설유형별 아동의 만족 및 요구 비교 첫째, 교사에 대한 8개 문항 중 ‘학부모와의 상호관계’와 ‘응급처치 및 약품구비’ 문항에서만 시설에 따른 아동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학부모와의 상호관계’면에서 어린이집 아동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만족이 가장 낮았고, ‘응급처치 및 약품구비’면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만족이 가장 높은 반면 초등학교 아동의 만족이 가장 낮았으나 조사 대상 아동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둘째, 교사에 대한 시설유형별 아동의 요구는 차이가 없었지만 교사에 대한 하위 문항마다 요구도가 높았다. 셋째, 활동내용에 대한 시설유형별 아동의 만족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활동내용의 각 하위문항마다 만족 정도가 높았다. 넷째, 방과 후 프로그램 활동내용에 대한 시설에 따른 아동의 요구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활동내용의 각 하위 문항마다 과반 수 이상의 아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교재교구에 대한 8개 하위 문항 중 ‘다양한 도서’ 와 ‘다양한 악기’ 문항에서만 시설별 아동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다양한 도서’에서 어린이집 방과 후 아동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아동의 만족이 가장 낮았다. ‘다양한 악기’ 에서는 어린이집 아동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만족이 가장 낮았다. 여섯째, 교재교구에 대한 시설별에 따른 아동의 요구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교재교구의 각 하위 문항에 대한 아동의 요구는 높았다. 일곱째, 환경 및 시설설비의 7개 하위문항 중 ‘학습·놀이 활동 공간구분’ ‘휴식 공간’ ‘방과 후 프로그램 전용 공간’ 문항에서 시설별 아동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놀이 활동 공간구분’과 ‘휴식 공간’에서 어린이집 아동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아동의 만족이 가장 낮았으며, ‘방과 후 프로그램 전용 공간’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만족이 가장 낮았다. 여덟째, 환경 및 시설설비에 대한 시설별에 따른 아동 요구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각 하위문항에 대한 아동의 요구도는 높았다. 3.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시설유형별 부모의 만족 및 요구 비교 첫째, 교사에 대한 8개 하위문항 중 ‘아동에 대한 공평성’ '학부모와의 상호관계‘ ’아동의견 존중‘ ’응급처치 및 약품구비‘ 문항에서 시설유형별 부모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에 대한 공평성’ '학부모와의 상호관계‘ ’아동의견 존중‘에서는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부모의 만족이 가장 낮았으며 ’응급처치 및 약품구비‘에서는 어린이집 부모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부모의 만족이 가장 낮았다. 둘째, 교사에 대한 8개 하위문항 중 ‘학부모와의 상호관계’ 와 ‘응급처치 와 약품구비’ 문항에서 시설유형별 부모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에 대한 두 문항 모두 초등학교 부모의 요구가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부모의 요구가 가장 낮았다. 셋째, 활동내용에 대한 8개 하위문항 중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기’, ‘활동 후 손 씻기’, ‘활동 전담 교사지도’,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규칙적인 중ㆍ간식 및 식사예절지도‘ 5개 문항에서는 시설유형별 부모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활동내용에 대한 5개 문항 모두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기’, ‘활동 후 손 씻기’, ‘규칙적인 중ㆍ간식 및 식사예절지도’에서 초등학교 부모의 만족이 가장 낮았고 ‘활동 전담 교사지도’,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에서는 어린이집 부모의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넷째, 활동내용에 대한 8개 하위문항 중 ‘활동 후 손 씻기’, ‘계획에 따른 활동’, ‘활동 전담 교사지도’ 문항에서 시설유형별 부모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활동 후 손 씻기 ’, ‘계획에 따른 활동’, ‘활동 전담 교사지도’ 면에서 초등학교 부모의 요구가 가장 높았고 ‘활동 후 손 씻기 ’와 ‘활동 전담 교사지도’에서 어린이집 부모의 요구가 가장 낮았고 ‘계획에 따른 활동’에서는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요구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다섯째, 교재교구에 대한 8개 하위문항 중 ‘체육활동 공간 및 운동기구’, ‘다양한 미술 재료’, ‘다양한 도서’, ‘과학실험 기구’, ‘학습자료(학습지, 한자, 영어책 등) 문항에서 시설유형별 부모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체육활동 공간 및 운동기구’, ‘다양한 미술 재료’, ‘학습자료(학습지, 한자, 영어책 등)에서 어린이집 부모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다양한 도서’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부모의 만족이 ‘과학실험 기구’에서는 초등학교 부모의 만족이 각각 높았다. ‘체육활동 공간 및 운동기구’, ‘다양한 도서’, ‘학습자료(학습지, 한자, 영어책 등)에서는 초등학교 부모의 만족이 가장 낮았고 ‘다양한 미술 재료’에서는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만족이, ‘과학실험 기구’에서는 어린이집 부모의 만족이 각각 가장 낮았다. 여섯째, 교재교구에 대한 8개 하위문항 중 ‘과학실험 기구’ 문항에서만 시설유형별 부모 요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요구가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부모의 요구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지만 교재교구에 대한 전체 부모들의 요구도는 매우 높았다. 일곱째, 환경 및 시설설비에 대한 7개 하위문항 중 ‘냉ㆍ난방시설’, ‘학습ㆍ놀이 공간 구분’, ‘휴식 공간’, ‘위생적인 시설’ 문항에서 시설유형별 부모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냉ㆍ난방시설’, ‘학습ㆍ놀이 공간 구분’, ‘휴식 공간’에서 어린이집 무모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위생적인 시설’에서는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만족이 가장 높았다. 시설설비에 대한 네 개 문항 모두에서 초등학교 부모의 만족이 가장 낮았다. 여덟째, 환경 및 시설설비에 대한 7 문항 중 ‘적합한 실내 공간’, ‘냉ㆍ난방시설’, ‘학습ㆍ놀이 공간 구분’, ‘방과 후 프로그램 전용 공간’, ‘위생적인 시설’ 문항에서 시설유형별 부모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적합한 실내 공간’, ‘냉ㆍ난방시설’, ‘방과 후 프로그램 전용 공간’, ‘위생적인 시설’에서 초등학교 부모의 요구가 가장 높았고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요구가 가장 낮은 반면 ‘학습ㆍ놀이 공간 구분’에서는 지역아동센터 부모의 요구가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부모의 요구가 가장 낮았다.

      • 초등학생의 방과후 스포츠 활동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문제행동,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재연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of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would affec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school adjustment, defining how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the problem behaviors are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ould influence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school adjustment, the study selected fif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1 city, C2 city and J city, Chungcheongbuk-do as a population, and extracted a total of 979 samples by using the quota sampling method. The analysis was, then,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what this study had chosen as a research tool, and the first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was verified after the discussion with a group of experts. The second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performed, and both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were confirmed. Working on the measuring items of the verified validity, the study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xtract a research model. SPSS 18.0 and AMOS 18.0 were applied to carrying out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test, the one-way variance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clusions gained from the extracted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cused on gender and found out that the male students were having the parents-children problem communication more than the female students were and that those male students had more overt problem behaviors than the female students did. The female students would prefer the open communication as they have intrinsic problem behaviors. They were considered to be good at adapting themselves to school. In terms of the grade, the fifth graders were observed to have the open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more than the sixth graders do. It was learned that those students joining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ere having the open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more often as committing fewer problem behaviors, doing better with the school adjustment.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ould less engage in the problem communication but actively cooperate on school functions. When it comes to how frequently th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hen the participation frequency was higher, the student felt less inferior as they kept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learned so far, the study suggests that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have good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 among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 to conduct educational programs and personality training to help the students with their lives at school. The study also recommends this activity after-school class as a solution to any problem in relation to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is an important chance for the students to work their several problems out, and if they keep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ey will be eventually able to improve their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s they adjust themselves to school even more efficiently, alleviating the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as observ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school adjustmen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changed by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as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caused by depression, inferiority, rebelliousness and kleptomania as it was making positive changes in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which would include their lives at school, relationships with teachers but also peer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functions. Regarding the problem behaviors changed by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such behavior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yet, how much negatively they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mild comparing to the seriousness of that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ose who were not attending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Those findings are a proof for how necessary it is for schools to keep providing the students with chances and motivations to jo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continuously. As long as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is designed systematically, the class is very much likely to help the students improve an ability to have the positiv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solving any problem with themselves either at school or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That is why the field of education needs to offer a chance to the students to jo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in which they could meet friends all the time. There, the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a bond of sympathy between each other, promoting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he students, then, will be able to reduce possibilities of their committing intrinsic and/or overt problem behaviors. Third, the study work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to see if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could affec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a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the problem behaviors, except for the school adjustment. Not only tha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changed by th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as determined to decrease the problem behaviors, helping the students with their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oblem behaviors changed by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in relation to the school adjustment were understood to be relatively unimpressive comparing to the non-participants. Considering that, it is possible enough to regard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as some effective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way to resolve issues such as maladjustment and school violence caused by conflicts with families and peers which are, now, rampant in this modern society.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school should think about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psychological·emotional issues of the students most carefully before they try to systematically design various activity after-school class programs, encouraging the students to join. To conclude,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school adjustment, and that being the case, the study, now, believes that this organized activity after-school class, which would attract the students to continuously join with interest,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have the positiv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s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That would eventually resolve any problems caused by the school maladjustment but prevent school violence. After all, the study argues that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will be an educational alternative good and solid enough to keep the students healthy physically, emotionally,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Having been sure of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ctivity after-school class, the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xp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class, school should try everything they can do to convince the students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fter school either every day or on weekends as doing the best to establish the human·material infrastructure which would help them to design both efficient and systematic activity after-school class programs.

      • 제주지역의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문지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전반적인 운영 체계, 급․간식 및 안전 관리, 교직원 구성, 시설 및 행․재정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방과후 과정의 전반적인 운영 체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방과후 과정의 급·간식 및 안전 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방과후 과정의 교직원 구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방과후 과정의 시설 및 행·재정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제주도에 소재하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방과후 과정 업무를 담당한 교사 89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5년 1월 5일(월) ~ 1월 23일(금)까지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빈도분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과정의 전반적인 운영 체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는 목적은 교육과 보호를 통합한 프로그램의 제공이라고 하였고, 방과후 과정 운영의 필요성은 학부모의 요구이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방과후 과정의 교육내용 중 가장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사회성을 기르는 활동과 기본적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활동이라고 대부분 인식하였다.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고려하는 사항 중 1순위는 학부모의 요구를 수렴, 2순위는 교육부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선정한다고 하였다.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은 대부분 외부강사와 방과후 과정 기간제 교사가 함께 가르치고 있었고, 외부강사를 채용한 특성화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육을 통하여 유아들이 발달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은 유아들이 편안한 휴식과 자유로운 놀이로 운영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방학 중 방과후 과정 운영의 어려움 1순위는 교사의 자기 연찬 및 재충전의 시간 부족, 2순위는 방학 중 방과후 과정 관리 책임 부담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방과후 과정 급·간식 및 안전 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급·간식 준비의 어려움으로 주문, 품의, 급·간식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안전관리를 위해 보안시설이 완비되고 보안 담당자가 배치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방과후 과정을 위한 교직원 구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든 유치원에 3세대 하모니 자원봉사자가 배치(2014년에만 해당)되었고,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방과후 과정 시간제 근무 교사(4시간)이 배치되었지만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면서 이상적인 교사의 배치는 방과후 과정 전담교사(정교사)라고 인식하였다. 넷째, 방과후 과정 시설 및 행·재정 지원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면서 가장 필요한 시설 및 설비 중 1순위는 방과후 과정 전용 교실이고 2순위는 조리시설로 이를 위한 예산 지원의 확대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방과후 과정 예산 중 가장 많이 소요되는 항목 중 1순위는 간식비로 나타났고, 2순위는 특성화 프로그램비라고 하였다.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면서 집행하기 어려운 예산은 학비지원 업무와 방과후 과정 담당 인건비로 나타났다.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면서 행·재정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은 행정업무 경감을 위해 행정실무 인력 배치로 인식하였다.

      • 방과후 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경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inions elementary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s have on extra-curriculum classes after school and to provide them with better supporting materials and proper directions in order to improve extra-curriculum classes after school based on the results they answered. Many people tend to consider the main purpose of extra-curriculum classes after school is to improve the elementary students' inborn potentials and capabilities, however, more frequently the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consider the main purpose they are taking the classes is to improve and supplement only th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t school than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the students select their classes, and they think their classes are suitable and helpful. In addition, the satisfactory degree the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 teachers have about the qua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is on the whole fair among three possible choices, that is, very satisfactory, fair, and unsatisfactory. In the question items asking about how to manage the classes, parents gave high marks on the inter-school cooperation programs, while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gave low grades on those programs. In other question items inquiring about how to allocate the students into proper levels, all the three groups, that is, the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 teachers, gave high marks on grouping like advanced, intermediate, or low level class according to students' levels of abilities, moreover teachers needed those allocated classes more strongly than students and parents did. As some drawbacks of extra-curriculum classes after school we have found out the facilities of schools are not enough and out-of-date, that parents are expecting too much for the classes, and that the instructors are not fully qualified enough.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drawbacks they think followings are required. First,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 have to be taught. Second, a variety of courses have to be open. Thir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is required. Fourth, instructors' teaching capabilities as well as personalities are highly required.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in the elementary school extra-curriculum education activities must be activated as effective means to cut down parents' private education budget, as well as to develop students inborn potentials and their aptitude. In addition, for the fulfillment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demand to these extra-curriculum education, various and different kinds of courses have to be ope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s in which students are allocated depending upon their abilities also have to be adopted at full range, and finally well-qualified instructors from off-school should be chosen carefully.

      • 放課後 兒童指導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考察

        하정선 明知大學校 地方自治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산업사회에서 IMF라는 경제적 위기를 겪으면서 여성의 사회적 참여욕구가 증가되고 국가의 인적자원인 기존의 여성들이 취업확대로 인해 맞벌이 부부의 증가, 편부, 편모가정 등 다양한 가족형태의 생성으로 방과후 돌봐야 할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다. 즉 학령기 아동들이 방과후 자기보호 아래 장시간동안 혼자 독립적으로 생활해야 하므로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 심리적 불안상태에 빠지거나 과도한 TV시청, 부적절한 비디오시청, 아동유기, 성폭행, 성추행 등 사회적 불안요소의 증가로 사회적 문제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방과후 아동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영유아보육시설, 초등학교, 사회복지관, 민간공부방 등 방과후 아동지도를 담당하는 기관에서 나름대로의 주어진 여건과 환경아래 일정한 프로그램으로 아동지도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위 기관들의 본질적인 기능은 따로 있고 방과후 아동지도는 부수적으로 담당하는 실정이므로 아동지도·관리 시 파생되는 문제점과 한계점 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학령기의 아동들의 복지적 측면에서 보호와 교육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과후 아동지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학령기 아동들이 방과후 보호자의 귀가 전까지 위험과 사고에 노출되지 않고 오후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편부모, 취업모, 맞벌이부부 등은 안심하면서 생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요성 때문에 학령기 아동들에 대한 방과후 지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육아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정, 사회, 국가가 책임져야 할 공동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방과후 아동지도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방과후 아동지도의 개념적 의미, 필요성, 목적을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특징, 내용과 운영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방과후 아동지도는 학령기 아동들의 안전하게 보호, 지도함에 큰 의미를 두고 있어 그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방과후 아동지도의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위해 우선적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둘째, 전문적인 지도교사의 양성이 필요하며 셋째, 방과후 아동지도만을 위한 전문적 시설이 확충되어야 하고 셋째, 사교육비 절감 위해 학습지도 외의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시급하고 넷째, 저임금의 유급자원봉사자등을 채용함으로서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다. 21세기의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은 편부모, 기혼여성의 취업기회를 확대시키고 그로인해 남겨진 학령기 아동들의 안전과 보호, 지도하기 위해 방과후 지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초등학교 시기는 일생을 통해 생활습관과 학습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습관 형성과 함께 아동들이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성장,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아동들이 사회적으로 보호받을 권리와 사회와 어른들은 아동들을 보호, 교육시킬 의무감을 인식하고 더 이상 어른들의 방치로 발생하는 아동문제가 사회문제로 발전하지 않도록 국가와 사회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우리들의 과제이다. Korean economy was hit hard by what is called IMF bailout program, which stimulated unemployed women to make both ends meet by getting jobs. The expansion of women's places in labor market has given rise to different family style from traditional ones, including double-income family, family with only a mother and family with only a father. Accordingly, a growing number of children need to be taken care of after school. School-age children living alone without their parents' protection are easy to be exposed to bad environment such as excessive TV watching, sensational video tapes, sexual assault and sexual harassment. Under this situation, the demand for after-school care programs is growing high. Actually, distinguished programs are employ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hild-care institutes, elementary schools, local community centers and private institutes to prevent children from facing bad environment. However, above institutes have clear limitations in terms of children's protection in that they tend to have their own function and regard after-school care programs as additional tasks. That explains why government should make initiatives to care school-age children. This situation gave a great impetus to the implementation of new after-school care programs for school-age children. In after-school care programs, children are supposed to be kept from dangerous environment after school and make use of thei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parents feel free at their work owing to the programs. This paper studied the concepts, necessities, aim, features, contents and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so as to develop them. This study suggests major findings as follow: First, financial aid from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s key to success for after-school care programs. Second, new professional teachers should be trained. Third, new programs are required to be invented to save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Forth, paid volunteers might be hired to meet labor force shortage. Korean society's transition to knowledge-based society in 21st century has expanded married women and parents' opportunities for job hunting, giving impetus to the programs which protect children after school. Children's characters are developed in elementary school years. Children's phys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begin at that tim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children have right to be protected and adults have duty to protect them. We all should be committed not to let the juvenile problems develop into social problems.

      •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 및 어머니의 성취압력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한수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private activities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ir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private activities and their mothers' achievement pressure.The subjects were 142 children of 4 and 5 years of age attending a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ir mother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rivat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assessed by partially revis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Hong, Eun-ja(2001) and Park, Ji Yeon(2004). In order to assess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on her child, an instrument developed by Hong, Eun-ja(2001) was used.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ere assessed with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Behar & Stringfield, 1974).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93.3 percent of the children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private activities. Four-year-old-children spent 194 minutes per week participating in private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lessons they took were four in average. Five-year-old children spent 319 minutes per week participating in private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lessons they took were 4.8 in average.Second, the number of lessons and the time they sp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age. Five-year-old children spent more time and took more lessons than four-year-old children. Five-year-old children of working mothers took more lessons than 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hildren's participation in private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mother's achievement pressure.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children's participation in private activities and their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본 연구는 4, 5세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 및 어머니의 성취압력에 따라 교실에서 보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정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유치원 중 임의 표집한 한 곳의 유치원에 다니는 4, 5세 유아 142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박지연(2004)과 홍은자(2001)의 질문지의 내용 중에서 조기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성취압력은 홍은자(2001)가 사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Behar와 Stringfield(1974)의 The Preschool BehaviorQuestionnaire(PBQ)를 사용하였다. 유아가 경험하고 있는 방과후 사교육의 현황은 방과후 사교육의 경험유무,시간,개수와 종류를 통해 조사하였다. 방과후 사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유아의 연령 및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성취압력에 따라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독립변인별로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과 어머니의 성취압력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의 연령별로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4,5세 유아의 99.3%가 방과후 사교육을 받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세 유아는 현재 일주일에 평균 193분(3시간 13분)정도의 방과후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그동안 평균 4개의 방과후 사교육을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5세 유아는 일주일에 방과후 사교육을 평균 319분(5시간 19분)정도 받고 있으며, 그동안 평균 4.8개의 방과후 사교육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아가 경험하고 있는 방과후 사교육 시간과 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5세 유아가 4세 유아보다 방과후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더 길고, 개수도 더 많았다. 5세 유아의 경우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특성 중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자녀가 경험한 방과후 사교육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비취업모의 자녀가 취업모 자녀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방과후 사교육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성취압력에 따라 유아가 받는 방과후 사교육 시간과 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셋째,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과 어머니의 성취압력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결론적으로 본 연구 대상 유아들의 대다수가 유치원 교육 이외에 방과후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4세보다는 5세 유아가 방과후 사교육을 받는 시간과 개수가 더 많았다. 이러한 유아의 방과후 사교육 경험의 정도는 어머니의 특성 중 취업여부와 관련이 있었으며, 방과후 사교육 경험 정도와 어머니의 성취압력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김태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fter-school instructors' career plann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fter-school instruc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 the course of influenc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First, th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individual's perception regarding the after-school instructors' career planning,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the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between the after-school instructors' career planning,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rough this relationship, the research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of after-school instructor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fter-school instructors to enhance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reby improving career development.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or after-school instructors who are performing after-school education in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measuring career planning (Steers, 1976), informal learning activity (Choi, 2009),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Greenhaus, Parasuraman, & Wormley, 1990; Johnson, 2001; Mobley, Jaret, Marsh & Lim, 1994).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s a meas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Cronbach󰡑s alpha confirmed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awarenes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also,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as used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as conducted. Also for fit index, RMR, GFI, CFI, TLI, and RMSEA were used. Five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career planning of the after-school instructors, it was showed tha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after-school instructors' career planning by age, year of experience and average number of lessons per week.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levels between the groups by age, region and average number of lessons per week was shown by the result of analysis on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y of the after-school instructors. Third,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level of education, year of experience, region and average number of lessons per week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the after-school instructors. Fourth, the career planning,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research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of the after-school instructors' career planning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Specifically, it was verified that career planning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directly influenc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planning also indirectly influence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effect of career planning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mediation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본 연구는 방과후 강사들의 경력계획, 주관적 경력 성공, 무형식 학습 활동의 관계를 규명하고, 방과후 강사의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방과후 강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이 지닌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 무형식 학습 활동, 주관적 경력 성공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의 인식 수준을 측정하고, 둘째,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 무형식 학습 활동,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방과후 강사의 주관적 경력 성공을 향상 시키고 이를 통해 경력 개발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내 방과후학교 교육을 수행하는 방과후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경력계획(Steers, 1976)을 측정하는 문항, 무형식 학습 활동(Choi, 2009)을 측정하는 문항, 주관적 경력 성공(Greenhaus, Parasuraman, & Wormley, 1990; Johnson, 2001; Mobley, Jaret, Marsh & Lim, 1994)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및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 )를 산출하였다. 또한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 무형식 학습 활동, 주관적 경력 성공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적합도 지수는 통계량, RMR, GFI, TLI, CFI, RMSEA 지수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방과후 강사들의 경력계획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은 연령별, 경력 년한별, 주 평균 강의 횟수별로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강사들의 무형식 학습 활동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방과후 강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연령별, 지역별, 주 평균 강의 횟수별로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강사들의 주관적 경력 성공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방과후 강사의 주관적 경력 성공은 학력별, 경력 년한별, 지역별, 주 평균 강의 횟수별로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 무형식 학습 활동,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경력계획, 무형식 학습 활동, 주관적 경력 성공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후 강사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구 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직·간접 효과로는 경력계획과 무형식 학습 활동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경력계획이 무형식 학습 활동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 경력 성공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 학습 활동을 매개로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임성주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4, 5, 6학년 360명(방과후 체육활동 참여 143명, 방과후 체육활동 비참여 74명, 미술활동 참여 41명, 음악활동 참여 47명, 언어활동 참여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성별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나.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학년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다.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유무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라.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기간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마.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종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바. 방과후 체육활동 이외의 다른 영역 참여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성별과 참여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고, 학년과 참여기간, 참여종목, 기타 영역 참여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이와 같은 통계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성별에 따라 정신건강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정신건강의 5개 영역 중 우울에서는 여학생들의 평균이 남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에서는 남학생들의 정신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민성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는 평균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예민성에서도 남학생들의 정신건강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학년에 따라 정신건강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유무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참여유무에 따른 정신건강 비교에서는 강박증, 불안, 예민성, 우울, 적대감의 5개 영역에서 모두 비참여의 평균이 참여의 평균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즉,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한 경우에 정신건강의 5개 영역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정신건강의 5개 영역 중 우울에서는 참여기간이 짧을수록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에서는 참여기간이 길수록 정신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종목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강박증, 불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예민성, 우울, 적대감의 3개 영역에서 모두 대인, 개인, 단체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즉, 단체종목에 참여한 아동이 개인, 대인종목에 참여한 아동보다 예민성, 우울, 적대감의 정신건강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여섯째, 방과후 체육활동 이외의 다른 영역 참여에 따른 정신건강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정신건강의 5개 영역 중 우울에서는 미술활동, 언어활동, 음악활동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신건강 영역 중 우울에서는 음악활동이 미술활동과 언어활동보다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서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방과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여 다변화시키고, 각급 학교에서는 학교실정과 여건에 따라 최소 3~4가지 영역 이상의 특성화된 방과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인근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는 현장 교사들이 1인 1특기 함양을 위해 각종 연수 실시 및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재학생 등 예비교원들의 체육활동을 포함한 특기 함양 교육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find out how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ffect children, I surveyed 360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in Gangneung (143 students took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41 fine arts classes; 47 music classes; 55 language classes; 74 did not participate in any after-school activities). The students recorded their feelings after participating in various after-school activities based on their individual assessment. The questions to be verified are as follows: (a)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mental health of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b)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e and mental health of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c)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children's mental health? (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children's mental health? (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children's mental health? (f)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after-school activities and children's mental health? To answer questions (a) and (c), I carried out the t-test and for other questions I use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For the results that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variables, I carried out Scheffe test for the purpose of accuracy. The results that I obtain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of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does not influence their mental health. Girls, however,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boys. Girls also showed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han boys. Second, grade of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did not influence their mental health. Third,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participation influenced children's mental health.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such activities exhibited healthier results in all 5 categories (obsession, anxiety, 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than those that did not participate. Fourth, the length of participation did not influence children's mental health. Only in depression category did shorter period of participation exhibit stronger feeling of depression. Fifth, the type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partly influenced children's mental health. In obsession and anxiety categories, however,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group activities were found healthier than those that did not participate. Sixth,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other after-school activities exhibited survey results that were similar to those of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nly in depression category was musical activities found out more effective than fine arts and linguistic activities. In conclusio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mental health. Therefore, we need to diversify and improve current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by working together with neighboring elementary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pecial training courses for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education universities so that they become prepared to teach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평가준거 및 도구 개발

        임현성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부에서는 사교육비 절감과 사회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2005년부터 ‘특기ㆍ적성교육 활동’, ‘방과후 교실’, ‘수준별 보충학습‘ 등의 교육활동을 포괄한 ’방과후 학교‘의 시범 운영을 도입하였으며, 적극적으로 방과후 학교를 지원하여, 방과후 학교 시범연구학교 수를 늘리고 있다. 이렇게 양적으로 방과후 학교가 늘어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다. 방과후 학교가 긍정적인 효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방과후 학교의 전반적인 사항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평가 없이는 계획이나 정책수행의 성공여부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추후의 계획을 수립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또한 방과후 학교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하여 방과후 학교의 효과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세분화된 평가도구를 통해 전 과정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전국에서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해 세분화된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의 평가준거를 추출하고, 둘째, 평가준거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셋째,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의 목적이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며, 방과후 학교 담당자와 실무자들에게 의사결정과 정보를 제공해 주기 위해 의사결정 평가모형 중 CIPP 평가모형을 근간으로 하였다. 탐색조사는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변인에 맞는 하위 평가영역을 설정하였으며, 하위 평가영역에 맞는 26개의 평가준거를 추출하여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이를 가지고 방과후 학교 전문가를 대상으로 탐색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48개의 평가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조사와 본조사 모두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조사 결과 ‘담당자의 전문 자격’ 평가항목이 평균값과 요인부하량, 상관계수값이 모두 낮게 나타나 이 문항을 제외하고 47개 평가항목으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는 프로그램 요구 및 상황, 프로그램 목표, 예산, 인적관리, 시설 및 지원환경, 프로그램 학습 자료, 프로그램 운영 및 내용,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 적용, 프로그램 성과라는 12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평가도구는 부산지역에서 방과후 학교를 시행중인 초등학교 3개교를 대상으로 평가도구를 적용시켜 보았다. 본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평가도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진다. 첫째, 자체적인 평가를 통하여 각 학교별 방과후 학교가 어느 정도의 운영 수준을 가지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다. 둘째, 방과후 학교를 시행하고 있는 학교가 스스로 개선하기 위해 어느 정도 노력하고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셋째, 평가를 통해 방과후 학교의 우수한 모델을 찾고, 개선된 방과후 학교 운영 방향을 국가가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고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과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후속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중소도시형이나 농어촌형의 평가도구가 확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평가항목에 배점을 적용시킨 평가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and social polarization, Korean government began trial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including 'education for talent and aptitude development', 'the after class', 'complementary learning' and other education activities in 2005. It has also vigorously supported the After- school, raising the number of schools that conduct the trial operation of it. As the increasing After-School problems related to it are raising. The overall conditions of the After-School need to be evaluated before the After-School generates positive consequences. That is because without assessing the After-School,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possibility of the success of plans or policies about it. Also, it becomes difficult to devise follow-up plans about it.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After-School are scarce, examining the whole process of the After-School through a detailed evaluation tool is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After-School.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detailed tool to evaluate the After-School program being vigorously carried out around the nation. It presents three specific goals: first, devising an evaluation criterion for the school program; second,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criterion; third, developing the evaluation tool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is study, the goal of the evaluation lies in improving the After-School program. In order to offer school administrators and staff a decision making and information, it was based on CIPP evaluation model out of decision facilitation models. During the pilot study, utilizing CIPP evaluation model, a subordinate evaluation domain that corresponded to the cause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was set up and evaluation items were produced after devising 26 evaluation standards fitting the subordinate evaluation domain. Then, the pilot study involving the experts of the After-School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the main study with 48 evaluation questions was carried out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Both the pilot study and the main study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al analysis. The main study revealed that the mean, the factor loading,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evaluation item "staff's professional qualification" were all low. Using 47 evaluation items except for the item "staff's professional qualification", the evaluation tool for the After-School program was developed. The evaluation tool was composed of 12 domains such as program demand and context, program goal, budget, personnel management, facilities and support environment, program learning materials, program operation and contents, program activity, program satisfaction, program evaluation, program application and program performance.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was applied to three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that operate the After-School. The evaluation tool for the After-School has the following expectations. First, through its evaluation, each school can check how well it is operating its After-School program. Second, schools that operate the After-School program can find what is the problem with their program and how hard they are working to improve the problems. Third, through the evaluation, the nation can find an exemplary model and specifically present improved guide on th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However, the study has some limitations, and thus further works are neede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n the basis of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further studies involv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Second, an evaluation tool suitable for smaller cities or country needs to be developed. Third, an evaluation index that distributes marks among evaluation item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