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권소영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차이를 비교하여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 구성원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특수교육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부모의 참여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와 아버지 의 인식 차이가 있는가? -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기관 유형에 따라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인식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있는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 유치부, 병설/단설 유치원 특수학급, 통합 유치원/어린이집, 장애인 복지관, 장애전담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발달지체 영·유아의 어머니 160명, 아버지 94명 총254명을 연구 대상으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현황,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부모 요구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검증, t검증,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참여 현황은 연구 대상자의 91%가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고 했으며,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부모상담, 부모교육, 어머니·아버지 교실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고, IEP/IFSP 계획에 참여,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참여 횟수는 1년에 1회(29%), 2회(21%)의 비율이 높았고, 참여했던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38.2%)”, “보통이다”(41.2%)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들의 인식차이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 차이는 가족지원 프로그램 하위 영역 중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제외한 6개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냈으며 부모참여, 부모상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10개 문항에서 어머니와 아버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더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기관에 따라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인식 차이는 25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참여, 부모교육, 비 장애 형제모임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학교 유치부, 장애전담 어린이집 부모들이 타 교육기관의 부모들보다 낮은 인식 수준을 타나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요구에서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자녀 양육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인식과 자세, 자녀와 자녀가 받고 있는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우선순위로 응답하였으며, 참여를 어렵게 하는 이유로 직장생활과 가사 및 육아활동을 우선순위로 하였으며, 개선방안으로 가족지원 프로그램 실시 시 발달지체 자녀를 돌볼 프로그램 및 장소 마련과 성공적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우선순위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활동과 장애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의 변화와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 복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관련 서비스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셋째, 가족문제와 요구를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IFSP 작성과 이를 통한 가정, 기관, 전문가들과의 팀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의 가족지원 센터 설치와 이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 연계, 부모지원 및 탁아시설 프로그램 지원과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족 구성원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가족-교사 간, 가족 간의 긍정적 관계개선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지역의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는 연구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디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버지 역할수행과 어머니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신향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장애란 일시적으로 있다가 없어지는 상태가 아니고 일생을 지속하는 결함의 상태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가족의 부담이 지속적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스트레스가 존재한다. 아동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일차적 보호양육자인 어머니의 디스트레스는 상당한다. 따라서 디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디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원으로서의 아버지 역할수행과 어머니 대처방식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대처방식은 이들의 디스트레스(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발달장애아동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어머니 대처방식간의 상호작용은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에 위치한 종합복지관, 장애인 복지관과 학령기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어머니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디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울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Derogatis의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을 사용하였다. 아버지 역할수행의 측정은 김진숙의 아버지 역할수행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처방식은 Carver의 COPE Inventory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9.0을 이용하여 백분율(%),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과 위계 다중회 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 수준은 평균 2.22점으로 5점 척도로 측정했을 때 보통 수준이하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어머니의 우울은 負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높아질수록 어머니의 우울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들에 대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발달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사회사업의 개입은 아버지들의 가족 내 역할수행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어머니의 대처방식은 어머니의 우울과 負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어머니의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은 어머니의 우울과 負의 관계는 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발달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개입시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개인별, 집단별 프로그램과 아버지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복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Rearing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 brings a variety of stressors to parents. In most cases, the burden and distress of mother as primary care giver is large. Since mother with a developmentally child is a primary care giver, so it is important to find factors related to reducing mother's distress. Among various factors reducing mothers' distress, this study focused on their coping and their husband's social suppor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1) Is father's role involvement related to reducing mothers' distress? 2) Is mother's coping related to reducing mothers' distress? 3)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father's role and mother's coping influence on the distress(depression) of mother?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two site, Seoul and Kyunggi-do. Mother's depression was measured by a subscale of the Derogatis' Symptom checklist-90-Revision, father's role was measured by Kim Jin-Sook' FRIS, and coping was measured by the COP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a primary method of the data analysis.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father was negatively related to mothers'. In this result, the higher a father's role is, the lower a mother's coping is. Second, effects of mothers' coping on their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reducing their distres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ping and distress seemed to be changed according the levels of father's rol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social work practice should focused on developing programs for increasing father's role as a way of reducing mothers' distress.

      • 유아 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발달 수준 조사 분석

        김순복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발달 평가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아교육 전 과정에 걸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ㆍ교사에 의한 유아의 발달 영역별 평가를 체계적으로 조사ㆍ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취학 전 유아의 발달 수준 자료를 수집하여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기관 유형별로 유아의 발달 수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는 국립교육평가원(1995)의 유아발달 수준검사로 7개 발달 영역(운동기능 발달수준, 지각 발달수준, 언어발달수준, 학습에 대한 관심 및 창의성, 수ㆍ과학발달수준, 표현력 발달수준, 사회성 발달수준)에 있어서의 유아 발달 수준을 교사용과 부모용으로 나누어 검사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의 공립유치원ㆍ사립유치원ㆍ구립어린이집ㆍ개인어린이집을 대상으로 6세아 각각 60명씩 총 240명을 무선 표집 하였으며 480부의 평가지를 대상으로 교사용과 부모용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평가한 유아발달 수준은 대부분의 발달영역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평가 점수로는 구립어린이집이 가장 높고 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개인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평가한 유아발달 수준은 대부분의 발달영역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회성발달영역에서만 개인어린이집과 사립유치원ㆍ공립유치원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점수로는 사립유치원이 가장 높고 공립유치원, 구립어린이집, 개인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ference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mong types of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specially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To examine the research problem, 240 6-years-old children were tested by using the 'child developmental level test', with 144 items in seven sub-areas(motor skills, perception, language, eager to learning and creativity, math and science, expression, social) based on 'Developmental Level Test for Early Childhood(National Education Assessment Institute, 1996). The major findings from analyses wete as follows.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were varied by types of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First, the developmental levels in teacher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 the developmental levels in parent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의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현은주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 소재 장애인복지관, 사설 치료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자녀 어머니 172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척도, 장애수용 척도, 양육행동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ver.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자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 차이검증 결과, 발달장애자녀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장애명에서 주요 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 차이검증 결과,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인 직업유무, 모연령, 모학력, 돌봄시간에서 주요 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경제적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온정·수용행동은 감소하고, 거부·제재행동과 허용·방임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장애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장애수용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이 양육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장애수용이 높을수록 온정·수용행동이 증가하고 거부·제재행동과 허용·방임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장애수용이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수용행동, 거부·제재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허용·방임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 증진을 통해 양육스트레스 반응은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증진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상담·심리적 요구를 이해하는 기초가 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효과적인 발달장애자녀 부모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또는 심리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전지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 만 6세에서 만 18세 사이의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56명을 대상으로 양육 부담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팬텀변수를 이용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대처방식에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은 역경 후 성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매개변인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적극적 대처는 역경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소극적 대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다섯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부담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소극적 대처는 적극적 대처에 선행하여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 부담과 역경 후 성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들의 세 변인 간 관계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축적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적극적 대처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소극적 대처와 적극적 대처사이의 경로를 밝힘으로써 스트레스 대처기술 훈련에 관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학에 기초한 역경 후 성장 과정을 촉진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밝히고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상담 개입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중년기 발달장애인 특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김지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년기 발달장애인 특화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당사자의 경험을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년기 발달장애인 특화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40세 이상 중년기 발달장애인 15명을 대상으로 3회기의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9월 30일부터 2020년 12월 11일까지 약 4개월간 수행되었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특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경험은 26개의 의미 단위, 16개의 하위 구성요소, 4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상위 구성요소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전 삶’,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계기’,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후 삶’,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의 의미’이다. 첫 번째 상위 범주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전 삶’이다. 중년기 발달장애인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 심리적 우울을 경험하고 있었다. 부모의 병환 또는 사망으로 버팀목의 상실을 경험하며, 학령기 이후 지속적인 서비스 이용이 어려워 서비스의 단절과 이른 은퇴로 직업재활 서비스로 배제를 경험하였다. 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은 나이에 주어진 역할이 없이 가정 안에서 지루하고 심심한 일상의 지속을 경험하고 있었다. 두 번째 상위 범주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계기’이다. 중년기 발달장애인은 가족의 돌봄 부담이 증가하며 가족 구성원의 선택에 의해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으며, 사회적 고립감이 심화됨에 따라 당사자가 정기적인 외부 활동의 필요성을 느껴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세 번째 상위 범주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후 삶’이다.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후 다양한 문화·여가활동을 경험하였다. 동료 이용인과 종사자와 관계를 맺어가며 외로움을 환기하고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게 되었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은 서비스 참여에 있어 몇 가지 제약들을 경험하고 있었다. 활동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체력 소진이 빨라 마음처럼 되지 않는 활동 참여 수준을 보였으며, 40대와 50대의 체력수준의 차이에 따른 활동 수준의 차이를 경험하고 있었다. 현실적인 어려움으로는 서비스를 언제까지 이용할 수 있을지 모르는 막연함과 이용료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을 통해 삶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을 통해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가장 크게 경험하였으며, 자기 주도성이 증진되며 규칙적인 생활 패턴의 변화로 생활의 활력이 증진되었다. 네 번째 상위 범주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의 의미’이다. 중년기 발달장애인에게 특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경험은 ‘배움의 장소’, ‘삶의 활력소’, ‘삶의 안식처’, ‘또 다른 집’이다. 중년기 발달장애인에게 주간보호서비스는 지속적인 학습에 노출되고 기능의 퇴화를 예방하는 ‘배움의 장소’이다.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프로그램으로 매일 아침에 갈 곳이 생겼다는 것만으로도 소중하며 일상의 활력과 즐거움을 주는 ‘삶의 활력소’이다. 또한, 가정에서 벗어나 휴식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삶의 안식처’로써 역할하고 있었다. 주간보호서비스의 이용은 무역할 과 무소속의 상태인 중년기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의 장’이 생겼다는 의미를 가지며 능동적이며 행복한 하루의 삶을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요소였다. ‘또 다른 집’으로써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생활공간이자, 서비스에서 만나는 동료 이용인과 종사자와의 가족같이 지내며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일상이 더욱 풍요롭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제시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단절을 방지하기 위한 중년기 발달장애인 대상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거시적인 차원의 장애인복지 지원정책의 부재로 지역사회 내에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중년기 발달장애인 특화 주간보호서비스 제공 기관이 확충되어야한다. 셋째,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신체적 건강지원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건강지원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연령대를 세분화한 차별화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령대에 따라 활동 피로감, 활동 참여 수준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및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중년기 발달장애인은 경제활동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주간보호서비스의 이용료 부담이 완화되어야한다. 본 연구가 주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바탕으로 첫째, 정기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중년기 발달장애인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둘째, 당사자와 그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공기관 영역별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셋째,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노후준비와 자립생활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 specialized day care service used by the middled aged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gather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fifteen middle aged users of the service who were over forty years old and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Each user had three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Data gathering took place over the course of four months, from September 30th in 2020 through December 11th in 2020.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experience of the middle-aged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specialized day care service resulted in twenty-six semantic units, sixteen subcomponents, and four upper components. The four upper components are ‘Previous Life of Using Day Care Service,’ ‘Motive of Using Day Care Service,’ ‘Post Life of Using Day Care Service,’ and ‘Meaning of Using Day Care Service.’ The first upper component is ‘Previous Life of Using Day Care Service.’ The users experienced physical transitions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caused by aging. They went through family loss such as the death or diseases of their parents. The users did not have access to day care services because they had not used the service past secondary school. Moreover, the users had difficulty accessing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ir early retirement. Furthermore, while the users had the desire to do day to day activities, since they did not have a certain given role, they lived tedious home lives. The second upper component is ‘Motive of Using Day Care Service.’ Some users used the service because they did not want their family members to feel the burden of care. In this case, the users handed over their initiative of using service to family members. The other users used the service in order to mitigate social isolation. In this case, the users generally longed for participation in regular outdoor activity services. The third upper component is ‘Post Life of Using Day Care Service.’ The users who used the service went through various cultural leisurely activities. They established relationships with fellow users and workers, vented their loneliness, and formed new social networks with others. Meanwhile, some users encountered several restrictions while using services. For example, some users encountered several restrictions while using services. For example, some users whose physical energy ran out quickly were exhausted easily so that they used the services less often. Furthermore, there was a gap of activity level between 40s and 50s. Also, some users had realistic concerns such as financial issues to pay the service fees. Th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day care services experienced life changes. The greatest part of the change was that the participants were changed psychologically in a positive way. Moreover, the level of the users’ self-direction was improved, and their vitality of life was increased by having a regular life pattern. The fourth upper component is ‘Meaning of Using Day Care Service.’ The specialized day care service for middled aged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like ‘a learning place,’ ‘a vitalizing place,’ ‘a restful place,’ and ‘another home (or a place like home)’ for users. Firstly, the service is like ‘a learning place,’ because the service continuously offers education and tries to prevent degeneration in the user’s aging function. Secondly, the service is like ‘a vitalizing place,’ because the service provides users a place in which they are able to go, participate, engage with others, and do entertaining things so that users feel refreshed. Thirdly, the service is like ‘a restful place,’ because the users using the service have a peaceful time that they have in their households. The specialized day care service gives an opportunity to have a place to do activities for users who do not feel like they belong anywhere. By so doing, the service becomes a significant place to make the lives of users active and pleasurable. Fourthly, the service is ‘another home (or a place like home).’ Users spend a majority of their time in day care services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fellow users as well as workers. By doing so, the lives of service users become abundant. Based on the result, this paper contains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the local community should initiate a daycare service policy customized for middle-aged users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event their service disconnection. This is because due to the lack of policies to support services for the users at a macro level, the majority of the users have not been provided appropriate services within the community. Secondly, the specialized day care service institutions for the middle-aged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to be expanded. Thirdly, physical health support and psychological health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 middle-aged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rthly, day care servic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users’ ages. The services are to be supported differently because there is a remarkable interval of the level of fatigu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depending on the users’ ages. Fifthly, the quality of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programs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in order to activate the users’ social interaction. Sixthly, daycare service fees should be reduced because some users cannot afford to pay. Based on this study, we found several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erefore, based on the implications, we proposed the following statements: Firstly, we suggested a follow-up study of the middle ag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a difficulty to use regular services. Secondly, we suggested the need for research by provider area to develop customized services to support parties and their families. Third, we proposed a follow-up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the life of the middle aged group hav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their retirement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 유아 발달을 위한 자연놀이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길영신 중부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발달을 위한 자연놀이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의 실제적 측면에서 현장 적용에 효과적인 실천적 개입 방안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자연놀이의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2006년부터 2020년 2월까지의 국내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유아 대상 자연놀이를 수행하고 효과를 검증한 연구 중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총 52편의 논문과 87개의 사례수를 중심으로 종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자연놀이가 유아의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기에 유아교육에서 자연놀이가 더욱 중요하게 반영되고, 적극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유아 자연놀이의 메타분석 결과 전체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남으로써, 유아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성발달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자연놀이는 정서발달과 사회성발달, 인지발달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신체발달, 언어발달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효과크기에 있어서는 신체발달이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자연놀이는 자연에서의 다양한 놀이와 움직임을 통한 신체 활동량 증가로 운동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스스로 몸을 움직임으로써, 공간과 지각능력을 발달시키고, 유아의 다른 영역에서의 발달에도 영향을 주고받음으로써, 전인적인 유아 발달에 기초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연놀이 유형 중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을 실행한 혼합놀이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크기에 다양한 혼합 놀이가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자연놀이 유형을 실외놀이, 숲 놀이, 산책놀이, 텃밭놀이, 흙․모래놀이, 혼합놀이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자연놀이는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을 실행한 혼합놀이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효과크기도 혼합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발달을 위한 자연놀이 적용 시 단일놀이 형태보다는 가변적 상황이 존재하는 자연의 잠재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혼합 놀이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재자의 역할과 자연환경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연놀이를 계획할 때 자연놀이에 적합한 연령, 인원수, 적정 기간, 실험처치의 횟수 등을 활용한 연구와 실험이 적극적으로 진행됨으로써,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적정한 조절변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자연놀이에 의한 유아 발달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는 조절변인을 분석해 본 결과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설명하는 조절변인은 유아 연령과 실험집단의 크기, 실험처치 기간, 실험처치 횟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놀이를 계획할 때 자연놀이에 적합한 연령, 인원수, 적정 기간, 실험처치의 횟수 등을 활용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놀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실천이 요구되며, 올바른 자연놀이의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끊임없는 노력과 성찰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literature with the effects of natural play and methods of interv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results by using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R) and method of Meta-analysis. With Meta-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mos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natural play, by calculating the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To achieve this objective, 52 scholarly articles and 87 published cases (from 2006 to February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the overall effects of natural play for young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indicating a considerably large effect size of 1.40(95% CI 1.22∼1.59),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al, cognitive, languag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or natural play research that was conducted on dependent development variable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had multiple research papers compared to research that was conducted on phys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by showing the highest effect size of physical development in natural play,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natural play is effective for physical development. By dividing the effect type of natural play into outdoor play, forest play, walk play, garden play, soil and sand play, and mixed play,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the greatest number of researches in mixed play with more than two activities, while also having the largest effect siz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variables that explain the heterogeneity of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natural pla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such variables were young children's age, size of experimental group,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and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

      •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화병에 관한 연구 :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조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화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전주, 거제도, 광주에 있는 복지관, 초등학교, 특수학교, 치료교육기관, 재활병원에서 치료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158명이었고,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문제행동 질문지, 양육스트레스 척도, 화병 척도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3단계 매개 회귀분석,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화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화병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의 화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화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화병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 자체가 어머니의 화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이고 간접적으로 화병을 유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장애아 어머니의 화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화병연구를 최초로 시도 한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장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화병연구와 화병상담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상현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o help support self-reliance as the need for self-reli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emphasized due to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care policies. As part of the Community Care implemented by Jangbong Hyerimwon in 2019, the primary community care for the disabled (practices, research manual), how to develop a guidebook for local lif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econd basic study of the “Individual Evaluation Indicators for Developmental Disabled Persons” conducted by Hyerimwon Jangbong in 2020 as a continuous project. In the literature study o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tailed questions reviewed by field experts were extracted, and expert surveys and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actical evaluation indicators that enabl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ead a stable life in all areas of life through validation.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Ability Skill Assessmen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five field experts and advisors reviewed detailed questions on the self-reliance-related scal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stablished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two professors in rehabilitation related departments, three doctoral level, eight field experts, and two parties participated, and I-CVI (Item level-Content Validity Index) Content validity was also verified through. Third, the factors derived through factor analysis were confirmed as questions that can diagnose the degree of self-sufficiency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Fourth, a score calculation equation was presented by calculating the weight by factor loading. Fifth, by applying the developed question, an example was provided as a method of using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self-sufficiency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of self-reliance i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reflect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opinions of 5 field experts, we developed six areas consisting of 'Basic', 'Self-management', 'Daily life at home', 'Community use', 'Daytime activities', and 'Special considerations'. A survey questionnaire containing 34 factors and 178 detailed factors was established. Seco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quality index of Nam Se-hyun (2012), 15 experts were surveyed for the validity of the item content. In the contents investigated at that time, Polit's explanation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content tangibility ratio (I-CVI). Focusing on suitability, ‘Seat management’, ‘Daily life at home’, and ‘Community use’. A questionnaire for self-reliance assessment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as completed, which included 4 domains consisting of ‘daytime activities’, 25 factors, and 143 detailed factors. Overall, the experts' opinions on the suitability of the questions were on average 4.22 or higher, and the validity was 0.79~1.00. Thir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surveyed 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tandard workplaces, and general companies used by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 total of 1204 copies were collected, but 1076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errors. Fourth,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basic domain was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in this study result, the factor analysis was not conducted because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actors of independence. The final question consists of 127 components, covering 4 areas and 25 components. The factor loading amount and eigenvalue of the previous factor analysis were used as weight calculation for index development. Fifth, as a result of calculating scores based on the calculated weights, examples of application using weights were presented for 2 cases (non-independent and independent). It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development research on the self-reliance ability evaluation index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ot only a tool at the level of inspection by employees, but also concrete establishment and practice in self-reliance. In addition, by using this tool, we cultivate evaluation experts who can support to prepare for self-reliance, specify the contents of services in all area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nd support policies and systems to increase the degree of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ystem will have to be supported.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preparation for stable independence while performing family, school, and social activities due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disability when it comes to self-reli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lf-reliance ability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valuated and the necessary support and training to be provided so that they could become stable and independent was prepared. 2019년 장봉혜림원에서 실시한‘실천하는 커뮤니티 케어’의 일환으로 1차 발달장애인 커뮤니티케어(실천편, 연구편), 지역생활안내서 매뉴얼을 개발되었다. 본 연구자는 연속사업으로 진행된 2020년 장봉혜림원에서 2차로 실시한‘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기초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발달장애인 대상 관련 문헌연구를 현장전문가의 의해 검토 된 세부 문항을 추출하여 전문가 조사와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검증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안정적인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실천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전문가 5인과 지도교수는 발달장애인의 자립 관련 척도에서 세부 문항을 검토하여 설문 조사지 기초를 세웠으며, 둘째, 내용전문가로서 재활 관련 학과 교수 2인과 박사급 3인, 현장 전문가 8명, 당사자 2인이 참여하였으며 I-CVI(Item level-Content Validity Index)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들로 발달장애인 자립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로 확정하였다. 넷째, 요인적재량으로 가중치를 산출해서 점수계산식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문항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의 활용방안으로 예시를 제공하였다. 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과 현장전문가 5명의 의견을 반영하여‘기본’, ‘자기관리’, ‘가정 내 일상생활’, ‘지역사회 이용’,‘낮 시간 활동’, ‘특별 고려사항’으로 구성된 6개의 영역과 34개 요인, 178개 세부요인이 담긴 설문조사지 기초를 세웠다. 둘째,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남세현(2012)의 보조공학 서비스 품질 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15명에게 설문을 통해서 문항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그 때 조사했던 내용에서도 Polit의 설명을 인용해서 내용내탕도 비율(I-CVI)을 분석하였다. 적합성을 중심으로‘자리 관리’,‘가정 내 일상생활’,‘지역사회이용’. ‘낮 시간활동’으로 구성된 4개의 영역과 25개요인, 143개 세부요인이 담긴 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전문가들의 문항에 대한 적합성 의견은 평균 4.22이상, 타당도 0.79~1.00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성된 설문지는 발달장애인이 이용하는 장애인이용시설, 장애인거주시설, 표준사업장, 일반회사 등을 대상기관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04부가 수거되었으나 그 중 오류를 제외한 유효한 1076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본영역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기본 정보로써 본 연구결과에서는 자립요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요인분석을 실시하지 않았다. 최종문항은 127개로 4개의 영역과 25개의 구성 요인으로 확정되었다. 지표 개발을 위한 가중치 계산으로 앞선 요인분석의 요인적재량과 고유값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산출된 가중치를 토대로 점수를 계산한 결과 2케이스(미자립과 자립)에 대해 가중치를 이용한 적용 예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제언하며, 발달장애인 자립능력 평가지표 개발연구가 단순히 실무자가 점검하는 수준의 도구뿐만 아니라, 자립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수립과 실천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도구를 활용하여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고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모든 영역별 서비스 내용을 구체화 하며 발달장애인의 자립정도 및 자립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제도 지원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발달장애인의 경우에는 자립을 하는데 있어 장애유형의 주요 특성 등으로 인해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활동을 하면서 안정적인 자립이 되기 위한 준비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자립능력을 평가하여 안정적인 자립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과 훈련을 제공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별·학년·학습지 유무에 따른 쓰기오류유형 분석 및 쓰기발달에 관한 연구

        정인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 basic material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to develop writing skills in lower grades at elementary schools. Among many factors affecting writing development, this study checked into the influence affecting writing developing in lower grades with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 and analysis of writing error types depending on an academic year, sex and home-school material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writing examination among lower grade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Y city, Chonlanamdo. They consist of 70 men and 75 women. Grade distribution shows 49 first grades, 49 second grades, 47 third grades. 100 students out of 145 studied home-school materials, and the rest 45 doesn’t. This study examined their writing skills and performed writing evaluations to analyze error types in writing. Students were provided notes as evaluation sheets and wrote freely with the topic of ‘Sports Day’.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by this procedure. First, from the analysis result of writing error type depends on sex, grade and home-school material, it suggests every type of errors appears more frequently in the male group. Based on the result of errors depend on sex, it turned out ‘writing as a sound’, ‘omission’, ‘replacement’ and ‘abuse of conjunction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ut the differences in ‘insertion’ and ‘number of syllables’ were rather meaningless. It implies teachers and researchers in writing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sexual differences in writing instructions. As the grades are getting higher, students made fewer errors in ‘writing as sounds’, ‘omission’, ‘insertion’ and ‘abuse of conjunctions’. However, the number of syllable replacements was increased in the higher grades. It suggests that as the vocabularies they know are getting increased, they can replace word with other syllables and vocabularies. Result of writing error type with the factor of home-school material, the students who study home-school materials made less errors in ‘writing as sounds’, ‘omission’, ‘replacement’, ‘insertion’, ‘abuse of conjunctions’ and ‘number of syllables’ than who don’t study. This implies home-school material factor affects to writing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result of distributed analysis to see if the differences are meaningful or not, it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number of syllables of ‘writing as sounds’ and ‘replacement’. This suggests that we shouldn’t emphasize the effect of home-school materials too much as a factor which affects writing develop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 depending on sex, grades, home-school materials, the rate of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 showing the writing development depending on sex implies that the male group is higher than the female group in all areas of ‘the number of total syllables and vocabularies’ and ‘the number of exact syllables and vocabularies’. ‘The number of total syllables and vocabularies’ and ‘the number of exact syllables and vocabularies’ have increased as the grade goes up. However, the number of sentences increased between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but it is rather decrease between second grade and third grade. Accuracy of exact number of syllables and vocabularies was rather lower than first grad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factors affecting writing development is not only grades, but many various factors. Moreover, it turned out the number of total and accurate syllables and total and accurate vocabularie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from the result of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 depend on grades, but it is hard to fin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entences. It suggests sentences are developing slower that vocabularies and syllables. As a result of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 appearance depends on home-school material, ‘the number of total syllables and vocabularies’, ‘the number of accurate syllables’ and ‘the number of sentences’ showed higher appearances in the student who study home-school material, but ‘the exact number of accurate vocabularies was rather higher in the students who don’t study. Therefore t-verification has been conducted to see if existence of home-school material is statistically important to the number of syllables and vocabularies of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 It turned o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es. Third, It has been found the correlation of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es showing writing development is very high from the result of suggestion of correlation among quantitative measurement indexes. This shows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and vocabularies’, ‘the total number of accurate syllables and vocabularies’ and ‘the number of sentences’ has credibility as a criteria of writing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쓰기발달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이다. 쓰기 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중 본 연구는 성별·학년·학습지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쓰기발달의 양적측정지표와 쓰기오류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쓰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전남 Y시 S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쓰기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성비는 남자가 70명, 여자가 75명이었으며 학년분포는 1학년이 49명, 2학년이 49명, 3학년이 47명이며 총 145명 가운데 학습지를 한 학생은 100명, 학습지를 하지 않은 학생은 45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쓰기능력 평가와 쓰기오류유형 분석을 위하여 실시한 쓰기검사는 줄 공책 형식으로 만들어진 검사지로 제공하였으며 ‘운동회’라는 주제를 주고 자유롭게 쓰도록 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수행한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학년·학습지 유무에 따른 쓰기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모든 쓰기오류유형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 ‘소리 나는 대로 쓰기’, ‘생략’, ‘대치’ 그리고 ‘접속사 과다사용’ 음절수의 평균차이는 의미 있는 차이로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삽입’ 음절수의 평균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현장교사와 쓰기 교육의 연구자가 쓰기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쓰기지도에도 성차를 고려한 교수가 있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소리 나는 대로 쓰기’, ‘생략’, ‘삽입’, 그리고 ‘접속사 과다사용’의 쓰기오류 출현율이 감소하였지만 ‘대치’ 음절수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알고 있는 단어수가 증가하여 다른 음절이나 단어로 대치해서 쓰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년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 ‘소리 나는 대로 쓰기’, ‘생략’, ‘삽입’, 그리고 ‘대치’ 음절수의 차이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 유무에 따른 쓰기오류유형의 결과는 학습지를 한 학생이 ‘소리 나는 대로 쓰기’, ‘생략’, ‘대치’, ‘삽입’, 그리고 ‘접속사 과다사용’ 음절수가 학습지를 하지 않은 학생보다 그 오류가 낮았다. 이는 학습지 변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쓰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 준다. 그 차이가 의미 있는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 결과, ‘소리 나는 대로 쓰기’와 ‘대치’ 음절수의 평균차이는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만 ‘삽입’, ‘접속사 과다사용’ 그리고 ‘생략’ 음절수의 평균차이는 의미 없는 차이를 보임으로써 쓰기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학습지 변인에 대한 효과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별·학년·학습지 유무에 따른 쓰기 발달의 양적측정지표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쓰기발달을 보여주는 양적측정지표의 출현율은 ‘총 음절수’, ‘정확한 음절수’, ‘총 단어수’, ‘정확한 단어수’, ‘문장 수’ 모두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양적측정지표의 평균차이가 의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 문장 수는 성별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총 음절수, 정확한 음절수, 총 단어수 그리고 정확한 단어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효율적인 쓰기지도를 위해 성별을 고려한 교수방법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학년에 따른 쓰기발달의 양적측정지표의 출현율을 제시한 결과 ‘총 음절수’, ‘정확한 음절수’, ‘총 단어수’, ‘정확한 단어수’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문장 수는 1학년과 2학년 사이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학년과 3학년 사이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음절수와 정확한 단어수의 정확율을 제시하여 분석한 결과 2학년의 정확한 음절수와 정확한 단어수의 정확율이 1학년보다 오히려 낮아짐을 확인 하였다. 이는 쓰기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년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인이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학년에 따른 양적측정지표의 분산분석 결과 총 음절수와 정확한 음절수, 총 단어수와 정확한 단어수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문장 수의 차이는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문장은 단어나 음절에 비해 더 늦게 발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학습지에 따른 쓰기발달의 양적측정지표의 출현율을 살펴보면 ‘총 음절수’, ‘정확한 음절수’, ‘총 단어수’, ‘문장 수’는 학습지를 한 학생이 학습지를 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출현율을 보이지만 정확한 단어수는 학습지를 하지 않은 학생이 학습지를 한 학생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학습지 유무가 양적측정지표의 음절수나 단어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인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양적측정지표 모두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쓰기발달에 미치는 영향으로 학습지 효과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해석이라는 것을 함께 시사해주고 있다. 셋째, 양적측정지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쓰기발달을 보여주는 양적측정지표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총 음절수’, ‘정확한 음절수’, ‘총 단어수’, ‘정확한 단어수’, ‘문장 수’가 초등학교 저학년수준에서 쓰기발달 척도로 신뢰성이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성별·학년·학습지 유무에 따른 쓰기오류유형을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쓰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쓰기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