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외 어린이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현황 비교 분석

        김희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관 교육은 미술관의 소장품과 기획 전시품을 활용한 생생한 감동을 주는 미술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의 장을 제공한다. 또한 현대 조형 예술을 쉽고 친근감 있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으로써 미술관의 방문을 자신 생활의 일부로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삶의 질적 향상을 이루어주며 미술 문화의 이해를 돕는데 중요한 교육 활동을 한다. 개인적 발견, 창조적 활동, 직접적 참여가 강조되는 미술관 교육의 개방적인 접근 특성은 미술관 교육의 대상으로서 성인뿐 아니라 특히, 어린이에게 흥미로운 체험을 통한 교육적 가능성을 부여하기에 더없이 적절한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미술관에서의 어린이대상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의 개념 및 교육적 의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유형과 방법 등 미술관 교육의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미국의 워싱턴 국립 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1937년부터 교육 프로젝트를 통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뉴욕 현대 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개관 전인 1915년부터 어린이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클리블랜드 미술관(The Cleveland Museum of Art)과 영국 런던 국립 미술관(The National Gallery, London), 테이트 미술관(Tate Gallery, Liverpool), 대영 박물관 (The British Museum of Art) 3곳,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립현대미술관 부설 어린이 미술관,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삼성 미술관 부설 어린이 박물관 3곳의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며 어린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 전문 인력에 의한 개발 및 진행, 시간별 운영방법, 유형과 교수 방법을 비교·분석하고 미술교육의 발전을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미술관 교육이 발달한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여러 나라가 있지만, 미국과 영국의 미술관을 선정한 이유는 많은 최근의 정보를 가장 활발히 소개하고 있는 점과 연구자의 언어적 제한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헌 연구와 사례를 통하여 국내외 어린이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미국과 영국의 미술관의 경우 학교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의 영역이 미술과목을 중심으로 역사, 과학, 예술, 사회문제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연계가 이루어져 있다. 반면 국내의 미술관 교육프로 그램의 주제와 내용의 영역은 주로 추상화, 한국화, 현대미술, 공예 등 조형예술에 한정되어 있어 여러 분야를 학습 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된다. 어린이들이 조형예술작품을 통해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생활환경 속에서 미적대상을 발견하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창조성을 키울 수 있는데 강조점을 두고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는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전문 인력에 의한 개발 및 진행에 있어서 오랜 연구와 사전 준비를 통해 미국과 영국의 미술관은 교육 담당 부서를 두고 학교에서 실시하지 못하는 미술관 교육의 장점을 통해 독창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미술관의 교육부에서는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하는데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 있는 내용을 미술관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가 상호협조 계획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들과 상호 협력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등의 적극성을 보여주고 있어 학교 교육의 보조역할 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을 대신하는 역할까지도 담당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어린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미술관에서의 교육활동은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나 미술관을 학교와 연계성을 가지고 사회 교육차원으로서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며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은 최근의 일로 그 기간이 매우 짧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교육을 담당할 전문 인력의 부족과 예산 부족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이 일시적인 행사로 그치는 경우가 많은데 확실한 지원정책으로 질 좋은 프로그램의 정착이 절실히 요구된다. 셋째는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시간별 운영방법에 있어서 미국과 영국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은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정기적으로 제공횟수를 늘려 단계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연령별, 학년별로 세분화하여 현재와 같이 방학이나 주말에 주로 이용할 수 있어 제공 기간의 폭이 상당히 많으며 빈도가 적어 제한적이다. 어린이의 학습 능력은 연령, 환경, 지적, 사회적, 정신적 성장에 따라 다르므로 어린이들의 연령과 학습 능력에 알맞게 교육하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직접 참여함으로써 더욱 계발되어진다. 따라서 어린이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연령별, 학년별로 세분화하여 지속적, 단계적으로 구성해 어린이들에게 계속적인 참여의 기회를 부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는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유형과 교수 방법을 비교해 본 결과 공통적으로 국내외의 미술관에서 모두 다양한 유형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차이점은 미국과 영국의 미술관 프로그램은 웹 기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어린이들이 미술 교육을 보다 쉽고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의 경우는 프로그램에 실기 형식이 모두 포함되므로, 실제 제작 방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은 미술관의 소장품이나 전시 활동 등과 연관시켜 교육할 수 있는 장점을 살리고 미술작품을 이해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교육과 놀이의 개념을 혼합하여 어린이들이 미술작품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 관심, 즐거움을 불러일으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문화의 장(場)인 미술관에서 학교 수업 내용과의 연관 및 미술사에 관한 충분한 예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관과 어린이들과의 의사소통 매개를 활발히 진척시키고 총체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미술관 교육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An art museum education may give children diverse and extensive experiences through possession and planning exhibition at art museums. Also it may give them an opportunity to access art items easily and intimately and subsequently provide a class room for an art education. As one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ies, it may help children to understand an art culture and, if possible, will become a part of children's life, An art museum education emphasizes things such as direct participation, individual discovery and creative activity. Thus open access to an art museum education as ' a n optimum medium may make children as well as adults experience an art culture and make their life active, exciting and cre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rt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at art museum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o suggest an advanced program of art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uture. The method of study lies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rt museum education like the concept of art museum, educational meaning, the type and teaching methods of an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Three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The National Gallery of Art in Washington D.C,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New York, The Cleveland Museum of Art in Cleveland Ohio: three art museums in England: The National Gallery in London, the. Tate Gallery in Liverpool, the British Museum of Art in London: three art museums in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Kwachun, Korea, Seoul Art Center in Seoul, the Samsung Children's Museum in Seoul, were selected. The reason why I selected the art museum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is that they have much recently more advanced information.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foreign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Korean programs and analyzed. Through research papers and actual examples of the art museums, the results are studied and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art educational programs investiga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were focused on an art directly connected with history, science and social problem, while Korean programs were limited to art-applied such as abstract painting, korean painting, modern art and industrial Design. It was thought that the opportunity for children to see and learn through the programs in Korea might be limited. Second, there has been an educational department at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In the department,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managed for a long time. The department has carried out original and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and emphasizes connection and cooperation among school, community and art museums. Also it has done 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eachers at school and with public officers from the community and has developed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children. It has helped school education as well as community education and furthermore extended to conduct educational activities instead of the school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educational department in art museums in Korea. An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 at art museums for children in our country is just developing on a small scale and will be expanded. There was little connection and cooper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among school, community and art museums in Korea. Third, art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at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are open regularly and continuously and thus children can take part in them autonomously and regularly if they have time. On the other hand, art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are open irregularly and intermittently.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m for very short periods such as a weekend or holidays. The limitation makes it difficult to participate in the art museum programs. Fourth, art museum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are more diverse and scientific than those in Korea. The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make children more excited and amused than those in Korea may do. Through Web-based educations, the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and England may make children experience art education more diversely and extensively so that they can see, think and create their own ideas on an art and others. Therefor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in art museums should be expanded to their daily life as well as their school educational programs. Also various science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gram. Hopefully the programs need to be diverse and extensive and open effectively, so that children may know how to play with an art and how to make their life happy with an art, which may help children find, think, and create true and new ideas and things for the future.

      • 현대미술관 미술교육프로그램 연구 : 대전시립미술관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경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미술관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미술관마다 특성에 맞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개관한지 얼마 되지 않은 대전시립미술관은 지역 실정과 정서에 맞는 미술관교육을 하기 위해서 미술관의 모든 조직이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보강되어 알찬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연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시립미술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을 확립하기 위해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미술관 교육의 특성과 역사를 살펴보았고, 미술관 교육의 기능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구성의 단계와 방법을 파악한 다음,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검토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대전의 문화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대전시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실태, 문제점 등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다섯 가지의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앞으로 대전시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에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대전시립미술관 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미술관을 찾는 모든 계층을 망라하는 다양하고 폭 넓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둘째,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제공과 운영 방식, 프로그램 운영 기간과 시기 확대 등의 개선, 셋째, 대전시립미술관의 효율적인 미술관 교육을 위한 교육전문가와 전문교육지도자 양성이다. 미술관 교육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려면 미술관 안에 교육담당 전문부서가 확보되어야 하고, 교육담당큐레이터(educator), 전시작품에 대한 안내 해설자(docent)교육, 인턴쉽과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과 교육 그리고 다른 기관의 전문가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넷째, 「미술관회」제도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미술관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담당부서가 필요한데 교육담당부서를 새로 만든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시작한 제도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다시 보완하여 「현대미술관회」를 도입하고 있듯이, 현 체제에서는 대전시립미술관도 이러한 「미술관회」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미술관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한 길이라 여겨진다. 다섯째, 미술관은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통합미술교육시스템 구축으로, 생활과 미술이 조화된, 여러 사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했으면 한다. 미술품과 전시활동, 미술과 건축 등 미술관에서만 활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미술과목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의 전 교육 과정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와의 연계프로그램 개발로 학교미술교육의 보완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들이 흥미롭게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새로운 미술활동영역을 넓혀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와같이 대전시립미술관 미술교육의 효율적인 체계확립을 위해서 개선 방안으로 제시한 다섯 가지의 과제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논의와 검토를 거쳐 실정에 맞게 실현되었으면 한다. The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has been a strong interest recently because of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rt museum education. It is necessary especially for the recently opened Art Museum of Daejon City to examine that all the formation systematically consolidates, and reinforces to fit the regional conditions and its atmosphere for fine education. Therefore, I, the researcher, hope to find the systematic and substantial plan to recognize the problems and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capacity of the Art Museum of Daejon City, First of all, I have looked at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history of art museum education through document study. I have also looked at the type, phase of composition and method of education that concretely shows through the art museum education capacity. Then I 'have enforced the case study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foreign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inally, I have recognized the present cultural condition of Daejon through a survey. Then, with the contents, managem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Art Museum of Daejon City. I have produced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I propose five solution for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education program of Art Museum of Daejon City. The first step in order to bring improvement to the Art Museum of Daejun City is to produce wide variety of programs that attract audiences of all social class. Second, improvement in providing efficiency of programs, management system, program management term, and opportunity expansion is requested upon. Third, for efficient art museum education, proper training of education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director is required. In order to administrate art museum education systematically, professional educational station should be maintained and educator, docent, and the professionals from different facilities should be available. Also, internship program and volunteer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duca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art museum management. Fourth,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the system of [Misulgyan Hoi] to the Art Museum of Daejon City. In order to operate art museum efficiently, the educational station is more than necessary. Nevertheless, it is not an easy task to create a new educational station. Therefore, the system of adaptation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ems like a solution. Just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preserves the system originally star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 introduce the [Misulgyan Hoi], similar adaptation seems like the best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Art Museum of Daejon City. Last, school and the community should join in with the art museum to plan and produce various public educational programs to meet the audiences' requests. Making the most use of the resources that are only available in the art museums such as artwork and architecture exhibits should stren6then the subject of art in elementary schools. This plan of join program with the community will not only effect on the maintenance side, but it will also lead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process to open up a new art market. I present five tasks to improve on the efficiency of the Art Museum of Daejon City. I hope these proposals become the basis for the discussions and careful examination to fit the circumsta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rt Museum of Daejon City.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조사 연구 :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황아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이 근래에 들어 급증하고 있다. 현대사회가 복잡, 다양해짐에 따라 학교교육은 그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고 탈학교교육을 부르짖는 입장까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사회교육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학교교육의 보완적 기능은 물론 대안적 기능 및 학교교육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연장선상에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이다. 즉, 사회교육은 학교가 사회의 제반문제를 전적으로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이를 만회하고자 하는 데서 얻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정규교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적인 교육활동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학교에 다니지 않는 성인과 노인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을 전제로 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에서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미술관은 미술품을 수집, 보존하여 일반 대중의 즐거움과 교육을 위해 공개, 전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항구적 시설을 의미한다. 미술관은 비영리적이고 공익적인 조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갤러리(gallery)와는 구분된다. 미술관은 학교의 미술교육과 달리 표현 뿐 아니라 미술사, 감상과 비평교육까지 가능하며 전문인력 확보에 유리한 사회교육기관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고 각 미술관을 비교분석을 통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개념과 역사, 조직, 사회교육의 정의와 사회교육관련 법규, 성인학습자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내 미술관 일곱 곳과 국외미술관 일곱 곳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 지 살피고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성격과 방향을 분석을 통해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미술관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은 교양교육의 차원과 전문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주로 실기강좌와 이론강좌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공립 미술관의 경우는 실기강좌와 이론강좌 모두가 실시되지만 일부 사립미술관은 미술사와 관련한 이론강좌만 실시되고 있었고 양자 모두 일반인을 위한 교양교육의 차원의 강좌만이 진행되고 있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삼성미술관은 전문가와 일반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비교적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교육담당자(Educator)의 경우는 삼성미술관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대부분 미술학이나 미술사를 전공한 큐레이터들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 비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었다. 해외 미술관의 경우, 모던 아트 뮤지엄과 휘트니 미술관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었다. 대영박물관은 미술관 직원이나 프리랜서 교육담당자가 프로그램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었다. 미술관의 운영에 있어 미술관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잘 고려되어 대중과 친숙한 기관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사례 연구의 결과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기본적으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은 대중을 미술관으로 유인하고 홍보하며 미술소비자를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인식해야 한다.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에서 비롯되는 요구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며 계층별 연령별로 나뉘어 개발되어야 한다. 전문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질적 향상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의 형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교수-학습과정이 강조되는 현재의 실기나 이론위주의 강좌들은 학교교육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은 컴퓨터나 인터넷이 없으면 생활이 힘들 정도로 컴퓨터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Web을 기반으로 사이버 교육을 기획하거나 소장품 혹은 전시 작품과 관련하여 CD롬 타이틀 등이 개발, 보급하는 등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각 미술관의 홈페이지에서 소장품을 찾아보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 프로그램으로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술 장르(문학이나 음악)와 전시를 연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미술관이 사회가 요구하는 복합문화센터의 역할을 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역할을 하게 된다. 넷째. 전문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각 미술관이 미술관 인력을 선출할 때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교육전문 인력을 반드시 선출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이 보다 전문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져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효율성이 더해져야 한다. Critics about school education are recently increasing. Due to the complex and diverse change of modern society, school education reveals its limitation and some cried for an post-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of the social education is extended. It is understood that the roles of social education are preservative as well as the alternative function in the prolong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In other word, social education is a idea to support school education when it is unable to fulfill various social needs. Extended meaning of the social education includes all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ies besides the formal school education and the limited meaning of it is only includes the adults and old people who do not attend a school. This paper is focused on a limited means of social education groping the possibility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for adult. Museum is defines as a permanent Facility for public benefit by collecting and preserving art works to exhibit, promoting general public enjoyment and education. Museum is different from gallery for it is non-profitable and public interest organization. Not like an art education from school, museum is able to teach history of art, savor of works, as well as practice criticism and it is an institution of social education remunerative for securing specially trained people. This study is percei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Museum and groping a way to future improvement by discovering problems in museum education progra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museum.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history, structure of museum as well as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 of social education have been looked up in the reference documents and books. Also, characters of adult learners and roles of museum as a soci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This paper is focus on studying critical point of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domestic museums along with research and analyze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ven domestic museums and seven foreign museums.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Korean museum is divided by liberal arts and professional dimension. Public museum often have the theory and skill courses but some private museum is limited on theory courses only. However, the courses are literally a liberal art dimension in both case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Samsung Museum comparatively well separated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courses among all. An Educator who develops and manages the educational program in museum was not likely found except Samsung Museum. Curators, who studies history of art or aesthetics took the place most of the time. The education programs in museum are passively carried out compares to the importance of its need. Foreign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and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for example are well organized with several programs for different people such as elders and disables. In case of The British Museum, freelance educator and museum employees involves in developing the program.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useum work together on public considered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museum. Result of above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e improvement ideas of the adult education in domestic museum reaches to few points list as follow: First of all, basically museum related people must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once again. Museum education program induces people and play important role of expending and reproducing art consumer. Secondly, museum must understand special traits and diversity of adult learners. The program developer must actively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adult learners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es and age groups. Also, mor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curriculum must follow. Thirdly, changing form of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structing and learning centered courses of skill and theory class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Nowaday, Computer based life style become so common that life with out Internet and computer is unthinkable for many people. Therefore, searching for new ways such as planning of cyberspace education based on web and developing CD ROM title related to displayed art works of the museum is necessary. It is also great improvement nowadays that we could look up the possessed art works of specific museum through Internet. However, developing original education program to stimulate the interest for learning must be introduce soon. Also, provide new programs such as exhibition with different genre of art is recommendable. Museum will function greatly as a multi-literary center which society demands from it. Lastly, specially trained people must be secured. If each museum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they must hire professional educator. In order to renew the education in muse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by specialist will elevate efficiency of program practice.

      • 광주시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대중문화의식 향상 방안

        안수빈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대중들의 문화적 욕구는 정서적 교류와 체험활동을 통한 창의력 개발이 가능한 교육의 기회와 환경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교육활동들의 변화 중에서 특히 미술관에서의 교육은 작품 감상을 통한 감성교류와 참여 학습이 가능한 장소로서 동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활동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지역을 대표하여 각각의 독특한 특색과 문화를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하는 지역미술관에서는 획일적인 실기체험 위주의 미술교육프로그램과 전시설명, 안내를 담당하는 도슨트(Docent) 시스템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은 광주시립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의 대중문화의식 향상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광주시립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 지역사회의 문화에 미치는 역할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내․외적으로 미술관 프로그램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교육의 방법론과 프로그램을 모색해보고 제시함으로써 미술관이 갖는 교육적 잠재성을 이끌어내고, 지역민의 대중문화의식 향상에 극대화된 학습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의 개념을 알아보고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에 대해 정리 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광주시립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들을 알아보고 그 중 지난 2015년에 진행 되어진 여름미술캠프의 사례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알아보았다. 또한 YMCA와 함께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문화센터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진행되는 상록인문학 강좌의 연도 별 인원수를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매년 강좌수가 늘어난 것에 비해 인원수는 줄어들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구성은 반복되어 광주시립미술관 만의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이다. 광주시립미술관은 틀에 박힌 교육프로그램에서 벗어나 광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문화가 중요시 되고 있는 지역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모든 계층이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친근한 미술관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흥미롭고 새로운, 대중이 참여하기 쉬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미술관이 작품을 보존하고 보관만 하는 공간이 아닌 지역민의 문화의식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기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1세기에 들어서 미술교육이 사회적으로 더욱 중요해 지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미술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가 적고, 미술에 관심이 없는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시키며, 지역미술관 이미지 변화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수도권으로만 향하던 지역민의 발길을 지역미술관으로 돌릴 수 있을 것이며, 미술문화를 접하는 지역민의 대중문화 의식 함양에 큰 변화를 줄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대중문화의식 함양에 기여하는 차기 연구 논문이 나오길 기대한다.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을 중심으로

        윤다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 museum of arts have an oblig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and the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he exhibition, preservation and research of artistic materials. UNESCO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elf-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 1965 and 1972.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also define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 of today many times. Korea laid the foundation of museum education with the Gyeongju Children's Museum School in 1954 and it has been developed with various course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Folklore Museum,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Art,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few studies have been made for regional museum of art. In the case of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museum education has not been researched. Most of the articles deal with the artistic value of the artists exhibited in the museum of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museums and the locality based on SWOT analysis of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First, domestic museum of art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Art,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institutions in Changwon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Regarding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hich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he current education status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frequent visitors want to have were identified. Considering that the basic education program is not implemented, and it can cooperate with Changdong Art Village, social education program was selected. Considering there are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nearby and it has spacious parking lot, school-linked education program was selected. In the interviews with adult visitors,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have educational programs as municipal museum of art. Based on this finding, <Preview World Art Travel: France> and < Meeting with local artists> were planned. In the interviews with adult visitors,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have educational programs as municipal museum of art. Based on this finding, <Preview World Art Travel: France> and <Meeting with local artists> were plann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s the art education to be a meaningful art study focusing on expression, appreciation and experiential activities . However, in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there is only exhibition explan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Therefore, <Youth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experiential area and <’Looking Back the days with History of Masan> reflecting appreciation area and locality area were planned. As a result, educational programs necessary for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ere developed. Here,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way to secure future educational significance. First, an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organized for visitors to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hen monitoring the number of visitors, the main visitors were adults and youths. Although there were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there was no program for adolescents who are another main visitor group. To activate museum education, it is needed to provide a program for teachers and students as students of nearby schools regularly visit the museum as a field trip or a circle activity due to the free term system. Second, education for appreciation and experience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15 should be established.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appreciation and experience more than expression because they are the areas to be utilized in real life. Educational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se issues should be implemented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xecuted in appreciation and experience area. Third, education programs match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should be selected. Each museum of art has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its own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through SWOT analysis. The museum has many works of Moonshin, possesses round gallery, and exhibitions of great people from Masan.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such characteristics should be researched and planned. To activat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capacity of the education program responsible person is very important. In case of school linked educational program, museum, school and teachers should make effort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in a mutual cooperative way. If this educational program is activated, the goal to nurture holistic people can be achieved by nurturing aesthetic sensibility, which is the purpose of the art class. In addition, the museum contributes to lifelong education and can secure future visitors through the educational role. In social education programs, the educational curator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interests and needs of adult learners and specialized education for adults considering various obstacles should be in place. Through this, the museum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the direction that adult learners can achieve their self-realization and change life viewpoints

      •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성곡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강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관이 과거에 미술품을 수집, 보존, 연구하는 기관이었다면 현대로 오면서 미술관은 대중과 미술품 사이에서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는 교육적 기관으로서 변화하고 있다. 미술관이 공공의 사회적인 기관으로서 교육적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소수의 전공자들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외국의 경우에는 일찍부터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관람객 개발 측면에서 미술관 교육이 적극적으로 운영 되어지고 있다.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사진으로 만나던 미술품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에서 학교나 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특히 유아의 경우 미술관 교육은 미술관이라는 새로운 건물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시작되며 미술품을 실제로 직접 보고 생각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통하여 감상능력의 개발과 창의력, 미적 감수성 등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서는 유아에게 미술관에 대한 친근감을 갖게 함으로서 성인이 되어서도 문화적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교육의 발생과 전개 과정, 프로그램 유형을 살펴보고 현재 유아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외국의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에 대해서 조사, 비교, 분석하여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학부모 요구도 설문,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기본으로 하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미술관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이 우리의 삶 속에서 문화로서 자리 잡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관과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역사, 프로그램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의 대상이 되는 유아 미술 표현의 특징,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는 현황조사로 국내·외의 유아 대상 프로그램 현황을 인터넷과 방문을 통하여 조사하여 off line과 on line으로 구분하여 비교 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서울지역의 6개 미술관, 외국의 경우는 미국지역의 6개 미술관을 선정하였다. 세 번째로는 설문조사로 자녀를 미술관 교육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학부모님들을 대상으로 미술관 교육에 대한 기대와 요구도를 설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행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2002년, 2003년 성곡 미술관의 유아 대상 프로그램 사례를 연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이용한 결과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유아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부모님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가족단위의 프로그램이나 지역상의 여건으로 교육을 제공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타지역으로 직접 찾아가는 형식의 프로그램, 혹은 유치원 단위의 단체 프로그램이나 거리에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on line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외에 감상 교재나 미술관의 소장품을 이용한 cd-rom을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집이나 유치원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인의 양성과 미술관내에서 교육부서의 독립이 요구된다. 미술관내에 교육부서가 따로 있지 않고 전시파트에서 행사로 담당하거나 혹은 다른 교육 기관에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관 내에 교육 분야를 독립적인 부서로 운영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질을 높이고 자기 미술관의 실정에 맞는 다양하고 개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대상 분석, 미술관의 환경, 목표 설정, 타 교과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경험주의를 기본으로 한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미술품을 직접 볼 수 있는 미술관의 최대 이점을 고려할 때 미술관에서의 수업은 전시와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전시감상 → 실기활동 → 실기 작품감상으로 진행되는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미술품을 접하게 되고 보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만드는 경험을 통해서 미술관에 대하여 친근감을 갖게 되고, 미술을 삶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In the past, an art museum was an institution which collected, preserved, and studied art works. However, currently, it changes into an educational organization which connects public people to the world of art works and promotes mutual understandings among them. In spite of such educational function that an art museum could perform as a public entity, Koreans understood art museums just as a special place accessible by only few special experts in the art field. Contrarily,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art museums' educational function from the past, and they have developed and operated many different education programs for various age groups that can be achieved by art museums. This has been taking a special meaning in terms of developing future audience. The education carried out at art museums is distinguished from the ones performed at schools or other institutions because students can see real art works personally but not through picture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children's education at an art museum begins as the children enters the building of art museum, and their appreciation abilities, creativities, and esthetic sensitivities can be developed and enhanced as they look at, think of, and participate in the art works directly. Furthermore, education by an art museum for children increases its importance when it helps children have friendly feelings toward art museums so that they can enjoy art work culture when they grow up. In this thesis, the origin, developmental process, and program types of education by art museums will be studied, and the current status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operated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be inquired, analyzed, and compared for their improvem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tself to the area of development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by review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collecting parent's requests through surveys and actual field experiences, and offering specific procedures for developing such program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future direction by which art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gets established in our life as one of cultural aspects. To achieve the purposes, firstly the concepts and histories of art museum, art museum education and the types of programs will b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and the necessity of art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will be inquired. Secondly, status research of programs for children both in Korean and other countries will be made by personal visits and through internet research, and then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between off line and on line will be made. For this work, six art museums in Korea and 6 art museums in the U.S.A. were chosen. Thirdly, parent's expectations and requests about the art museum education were surveyed with the subject of parents who want their children participating in education by art museum. Lastly, to inquire the actu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the cases of art museum program for children, the year of 2002 and 2003, created by Sungkok Art museum were studied. Through the aforesaid methods and studies, the author reached the conclusions regarding the methods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the directions for their improvements as follows: First, various types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children's participation. Programs targeting family units will be effective because by children's nature children education carried out at art museum requires parent's accompany. In case that a program is only for children, Docent or special lectures for parents should be offered simultaneously. It is also found that art museums concentrate within Seoul and the benefits of art museum education go only to the children living in Seoul. Therefore, group program for pre-school unit, reach-out programs that art museums go beyond its location, or on-line programs accessible for every one regardless of distance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o art works for more children, appreciation materials and CD-Rom containing art museum's art works should be developed. To achieve these goals, firstly, art museum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s educational function, and business sector should provide financial investment and supports into this field. Secondly, professionals for this field should be raised, and the independency of education department within a art museum should be procured. Compared to the number of children who want to participate in a program, the number of programs are very few, and the professionals who can develop such programs are in short. Besides, many art museums do not have a separate education department which should be in charge of education programs, and thus personnel handling exhibit events takes care of children education programs. Some museums even entrust other educational organiz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ir education programs. By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department operate education programs, the quality of such programs will improve, and under such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uitable for and satisfying its own needs is possible. For a long term purpose such as acquiring future audience, art museums should put more efforts on the developing and advertising education programs rather than looking them just as events. Thirdly,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empirical teaching method approache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subject analysis, museum's environments, goals, and relations to other subject matters. Especially, class activities should be adjusted to subject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procurement of professionals from various fields is required. Currently, most of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performed by art museums offers only practical works but their class room activities should be offered in the connection of exhibition events which maximize the strength of art museum. By participating in the class periods containing the courses of appreciation of displayed works, practical activities, and practical work appreciation, children will be naturally exposed to art works, and by doing practical works they can develop friendly feelings toward art museums from childhood, and become to accept arts as one aspect of their living.

      • 國內 美術館의 美術 敎育 프로그램(Program) 實態 硏究 : 2003年度를 中心으로

        이지현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本 論文은 國內 美術館의 교육 實態에 대한 硏究로서, 단순한 展示空間으로서만이 아닌 社會機關으로서 미술관이 지닌 교육적 役割을 强調한다. 現代미술관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認識되어지는 機能은 바로 교육이다. 西洋의 境遇는 歷史的으로 그 用語의 語原에서 비롯된 調査·硏究의 기능으로부터 蒐集·管理·保存의 기능을 지나, 자연스럽게 大衆과의 疏通을 위한 교육의 기능 강조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韓國의 경우는 日帝總督府 치하에서 發足하게 된 近代미술관의 出發이라든지, 解放 이후 겪게된 미군정과 6.25라는 大動亂으로 인해, 이러한 것들이 自體 發生的으로 이뤄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그 교육적 目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普及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이 現實이다. 그러나 文化帝國主義時代 혹은 知識基盤社會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現今, 平生學習의 場을 마련해주는 基礎的 土臺로서 더 나아가 國益創出에 寄與할 수 있는 장으로서, 미술관을 교육의 장으로 活用하는 것이 반드시 必要하다. 이와 관련하여 국가에서는 평생교육法을 마련하여 制度的인 뒷받침을 提供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의 중요성을 再考하고, 현재 서서히 펼쳐가고 있는 교육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미술관 교육의 活性化에 기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實施하였다. 첫째, 文獻硏究를 통해 미술관에 관한 理論과 최근의 動向을 整理하고, 미술관의 기능變遷과 현대의 역할 조사를 통해, 그 교육의 중요성을 考察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인터넷 資料檢索, 訪問조사 및 面談 등의 事例조사·연구를 통해 2003년도 국내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program)의 現況을 조사하고, 이들 중 미술과 관련된 것들로만 制限하여 分析하였다. 그리고 크게 國·公·私立, 地域, 교육對象, 교육內容의 네 基準에 따라 분석하였다. 셋째, 조사·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국내 미술 교육의 問題點과 구체적인 改善方案을 提示하고, 앞으로의 發展 可能性을 가늠해보았다. 이상과 같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결과, 국내 미술관 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다음의 結論에 도달하였다. 첫째, 교육실시 미술관의 擴大가 요구된다. 둘째, 사립미술관의 교육 프로그램 數를 확대·調節해야한다. 셋째, 지역미술관의 교육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關心과 支援이 摸索되어야한다. 넷째, 교육대상의 選定에 있어 고른 分配가 이루어져야한다. 다섯째, 교육내용에 있어 다양한 장르(genre)를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을 살리고, 參加·體驗型의 교육형태를 指向함과 특히, 한국미술의 正體性을 確立할 수 있는 프로그램 開發이 모색되어야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트선재센터(Artsonje Center)와 석봉도자기미술관은 뛰어난 예로서, 국내 미술관 교육의 나아갈 바를 示唆해주고 있다. 지금까지 미술관 교육과 관련된 先行 연구들은, 대부분이 학교 鑑賞교육의 補助者 역할로서 미술관 교육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일부가 사회교육기관으로서 觀覽者 층과의 連繫性을 고려한 교육과 그 方法論을 연구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직접 실시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統計 연구로서, 드문 본 논문은 다양한 方式의 接近을 통해, 국내 미술관 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러한 실태 연구들이 계속 실시되어 한국문화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미술관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The paper describes actual condition of fine arts education of the museums in the nation, and puts emphasis on educational roles of the museums not by simple display space only but by social facilities. Modern museum regards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In the Western countries, they made an etymological study of the words historically, and collected, managed and kept it, and put emphasis on educational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masses naturally. In Korea, however, modern museum started to run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was under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suffered from the 1950-1953 Korean War, so that it could not carry out museum education by itself. Therefore, the people's cognition on educational purposes was low to distribute education improperly. These days, in so called the era of cultural imperialism and information-knowledge-based society, they need to make use of the museum as the base of lifetime learning place and to contribute to national interests creatio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enacted the Law of Lifetime Education to support the purpose systemat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museum as a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and inspected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activities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in the n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First, I arranged theories and latest trends of museum by literature research and investigated function changes and today's roles of museum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Second, I made use of literature research, Internet material retrievals, interview survey, interview and other case study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of museum education program in the nation, and examined only fine arts related material based on four standards, that is, 1) national museum, public museum and private museum, 2) regions, 3) education objects, 4) educational contents, etc. Third, based on the investigated contents, I presented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 of the fine arts education in Korea, and forecast future development opportunit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es and case study, I suggest improvement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First, the museum having education function is demanded to expand. Second, the number of private museum education program needs to expand and adjust it. Third, local museum education activities are to be given positive interests and supports. Fourth, education objects are to be evenly selected. Fifth, various genres of educational contents are to be made, and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type of education is to be adopted, and in particular, the program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fine arts need to be developed. Both Artsonje Center at Seoul and Seokbong Ceramic Museum at Sokcho Gangwon Province are good examples enough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museum education in the nation. Most of precedent studies on museum education covered museum education as an assistant of school appreciation education so far. Only some of the studies covered the education and methodology considering connections with visitor group as a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The study is rare statistical one on the education program being implemented to make use of various kinds of approaches and is to be of help to forecast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in the nation. I hope that actual condition studies like this study are to be made continuously to raise the values of Korean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 청소년을 위한 미술관교육프로그램과 향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우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current age of industrialization, the youth are forced to face lots of problems due to loss of humanity and do-humanization. Specifically, the juvenile problems can be defined as the cultural deficiency. These are serious problems to the youth who are sensitive and have strong desires. However, there aren't many cultural areas if which the youth can form their own culture and acquire the cultural knowledge. If art museums work as a field of art and cultural exchange and support the young, they can help their proper growth through art and culture. The education of art museums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complements the school education and provides balanced opportunities of art education. However, there are few art education programs provided for the young in art museum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to promot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in art museums. For the purpose, it examined and analysed the present condition of art education for the young and its programs provided in art galleries and museums. Based o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focus should be given on nurturing of museum professionals to lead art museums to be a field of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Second, for activation of education provided through art museums, a general curriculum through which art class at school is complementarily adjusted should be presented. Third, for effective education provided through art museums, the museums should be equipped with advanced audio-vidual instruments and teaching aids. Forth, art museums should provide a variety of learning programs through experiences such as participation in music concerts, seminars and movie watching for the young. Through the programs, the young become familiar with the museums. Fifth,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s to use regional cultural areas should be developed. Sixth, to keep up with the trend of the 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t museum home pages should be presented on-line. They are able to attract great attention from the young. To sum up, art museum education should be linked with school education through development of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esentation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models. Therefore, the young will be familar with and feel emotionally stable if the education. For active art museum education, educational staff in museums and schools should cooperate each other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linked with school curriculum, and art teachers should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education, and put their best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 백남준 아트센터를 활용한 중학교 수업안 사례 연구

        이상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현대 사회는 급변하는 현상 속에서 효율화, 전문화의 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인 배경 속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계층의 인재를 육성 하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현재 7차 교육 과정의 체제는 주체적이고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교육의 방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는 문화 예술분야를 자연스럽게 생각해 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미술에 관한 교육의 중요성은 인식되고 있다. 그 이유는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미적인 감수성을 높이고 상상력, 창의력, 사고력을 증진하며 문화적인 향유를 높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접근해 볼 수 있는 기관인 미술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이곳에서 실행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미술교육의 변화로 보여 지는 교육방침은 이해감상학습으로 이를 미술관 교육에서 접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렇듯 미술관과 학교교육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소통이 필요하다고 보면서 미술관에서 학교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인식되고 있다. 미술관의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백남준 아트센터에서 실행해 보며 이곳의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연구해 보았다. 먼저 미술관 교육의 정의, 특징, 중요성을 참고자료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현재 실행하고 있는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사례는 국내미술관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리움, 시안미술관에서의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알아보았고 국외미술관에서는 뉴욕현대미술관, 휘트니미술관, 테이트미술관의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보여 진 결과들을 비교하고 차이점도 생각해 보았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이를 담당하는 교육부서, 전문 인력, 교사의 참여도,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면에서 국내외 미술관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국내 미술관에서 운영되는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미흡한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생각해 낸 것을 바탕으로 백남준 아트센터를 활용한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을 구상해 보았다. 백남준 아트센터에서 청소년을 위한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우선 이에 맞는 세부적인 교육대상을 선정하였고 교육 프로그램의 개요와 운영계획 또한 실질적인 학습으로 이어 갈 수 있는 단계별로 구성된 학습지도안을 만들어 제시해 보았다. 즉, 현재 미술교육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면서 미술관과 학교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인식하고 이를 백남준 아트센터에 활용하면서 이곳의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교과연계교육프로그램을 생각해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곳의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functions of efficiency and specialization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on this social background, fostering various and creative capable people has been the main task. The current 7th curriculum aims at nurturing independent, self-regulating and creative men of talent. The areas of culture and art are expected to influence this direction for creative and autonomous education, among which,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has been acknowledged. That is because art education is anticipated to enhance students’ aesthetic sensitivity, imaginative power, thinking skills and cultural enjoyment. Therefore, as a part of this, the education in art galleries is also being emphasized, and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learning as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present art education can be offered through the education in art galleries. In this way, the activ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art galleries and schools is necessar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art galleries linked to schools is also being regarded important. This research aims a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by art galleries in connection with schools, giving the youth the chance to experience school-linked educational programs in Nam June Paik Art Center, and vitalizing the educational program here. First,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the education in art galleries were examined through references, and the cases of the current art gallery-school-cooperated educational programs were analyzed. As for the cases in Korean art galleries, the school-connected educational programs i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Samsung Museum of Art-Leeum, and Cyan Museum of Art and as for the ones overseas, those in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and Tate Gallery were studied,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some differences in those domestic and foreign art galleries were found out in their program management, the educational departments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charge of thes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se programs. In particular, some weaknesses were foun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run by Korean art galleries. All these being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educational program in connection with schools utilizing Nam June Paik Art Center was sugges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young cooperated by schools in Nam June Paik Art Center, first, the targets for education were selected in details, a lesson plan organized in steps were created and suggested so that the outline and the management plans of the educational program could help more substantial learning. In other words, the changes in the present art education were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in art galleries were examined to supplement them, and as for the measure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linked to schools, the subject-related educational program making use of Nam June Paik Art Center were performed with the purpose to vitalize its educationa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