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과 미디어 수업을 통한 의미구성과 재현

        박길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943

        현대사회에서 미디어는 학생들의 정신세계, 행위양식, 사고체계, 신념체계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은 미디어를 통해서 사회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며,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살아간다. 따라서 사회과 수업에서 학생들이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과 합리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민주시민이 되기 위해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이 요청된다. 본 연구목적은 사회과 수업에서 미디어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민주시민의 자질을 양성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 현대사회에서 '미디어를 통한 교육'과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사회과 수업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관련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교육에서 '미디어를 통한 교육'과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가지는 이론적 함의는 무엇인가? 둘째, 사례 교사의 미디어관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미디어를 통한 교육을 실시하는 L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K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다섯째, 미디어를 통한 교육과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사회과 수업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디어를 통한 교육을 실행하는 L교사와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실행하는 K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미디어를 통한 교육을 실시하는 L교사는 '미디어 읽기를 통한 의미구성'을 사회과 수업에서 접근하였다.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K교사는 '미디어 제작과 표현활동을 통한 의미재현'을 프로젝트학습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기간은 2003년 4월부터 10월까지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과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먼저 두 사례 교사의 미디어 읽기와 의미재현의 유형을 범주화하고, 교사와 학생들이 수업과정에서 사용한 언어적·비언어적 기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미디어를 통한 교육과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사회과 수업에 주는 이론적 함의를 밝혔다. 미디어를 통한 교육에서 학생들은 적극적인 미디어 읽기를 통해 객관적인 사실, 지식, 정보의 확인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와 함께 거기에 내재된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비판적으로 읽어 낼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에서 학생들은 미디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제작과 표현활동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상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두 교사의 미디어관에서 서로 다른 특징이 나타났다. L교사는 적극적인 미디어 '읽기'를 통해서 교과내용의 설명, 사고, 이해, 탐구 및 문제해결을 바탕으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미구성 능력을 가진 민주시민을 육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적극적인 미디어 읽기를 권장하지만, 기본적으로 의미해석의 중심은 교과내용과 미디어 텍스트에 두고 있다. K교사는 미디어 '제작과 표현활동'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감성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는 학생들이 작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비판적인 미디어 수용자가 될 수 있다는 수용자 중심적인 미디어관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미디어를 통한 교육을 실시하는 L교사의 수업에서 여러 가지 미디어 읽기 유형과 미디어 읽기를 통한 다양한 의미구성이 나타났다. 미디어 읽기 유형은 '설명과정으로서 사진 읽기'와 '창의적 사고과정으로서 사진 읽기', '사고과정으로서 신문 읽기'와 '탐구과정으로서 신문 읽기',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웹 자료 읽기'와 '정보 이해과정으로서 웹 광고 읽기'로 나타났다. 이들 유형은 설명, 이해, 사고라는 사회과 수업과정의 논리와 탐구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이라는 사회과 수업방법론에 결부되어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그것은 교사가 미디어 읽기를 통해서 학생들이 사회현상이나 사실에 내재된 인과관계를 설명하고, 현상이나 사실들 사이를 유기적으로 이해하고, 풍부하게 사고하고,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디어 읽기를 통한 의미구성 과정'은 이해, 사고, 설명, 탐구 및 문제해결의 논리가 추구되는 수업절차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공통적인 특징은 수업의 진행과정에 따라서 외시적·함축적·신화적 의미가 순차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외시적 의미는 주로 수업의 도입에서 객관적인 사실, 정보, 지식의 확인을 통해 구성되었다. 이것은 주로 교사의 질문을 통해서 드러났다. 함축적 의미는 주로 수업 도입에서 설정된 주제가 가지고 있는 쟁점을 확인하는 심화학습 과정에서 구성되었다. 이것은 주로 비교의 방법이나 쟁점이 되는 가치 갈등의 문제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서 드러났다. 신화적 의미는 학생들이 특정한 사회문화적 현상이나 사실에 대해서 이야기하거나, 설명하거나, 이해하는 방식을 통해 구성되었다. 이것은 주로 수업 마무리 활동에서 상상적 글 쓰기나 미디어 제작을 통해서 드러났다. 넷째,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K교사의 수업에서 미디어 제작과 표현활동은 활동적·상징적·영상적 의미재현으로 나타났다. 먼저 활동적 의미재현에서 학생들은 미디어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인간의 몸도 하나의 미디어로써 소통의 매개가 된다는 것을 다양한 몸짓 기호를 통해 재현하였다. 상징적 의미재현에서 학생들은 방송국의 본질과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방송국의 이미지를 로고, 로고송, 마스코트를 통해서 상징적으로 재현하도록 하였다. 영상적 의미재현에서 학생들은 카메라 촬영, 샷의 종류와 이들이 영상화면에서 의미가 구성되는 방식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미디어 이해에 기초해서 학생들은 사회문화적 현상을 영상작품을 통해서 재현하였다. 이상과 같은 K교사의 미디어에 대한 교육에서 나타난 의미재현의 특징은 교사의 미디어 교육의 신념에 기초한다. 먼저 K교사는 미디어 제작과 표현활동이 논리성에 의해 강화되는 감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K교사는 학생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생각, 느낌을 몸짓·상징·영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풍부하고 자유로운 표현을 통해 감성을 함양하는 것이 미디어 교육의 가장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K교사는 미디어의 의미, 기능, 언어, 문법을 중심으로 한 기본적인 미디어 이해가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미디어 수용자를 육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를 통한 교육과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사회과 수업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미디어를 통한 교육이 사회과 수업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면, 첫 번째는 미디어 읽기가 사회과 수업과정의 원리와 수업방법론과 결부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미디어를 통해서 제공되는 사실, 정보, 지식의 확인은 교과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세 번째는 학생들이 미디어에 재현된 함축적인 의미를 읽어 냄으로써 사회현상이나 사실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 번째는 미디어 읽기를 통해서 이데올로기적 특징을 읽어냄으로써 비판적인 사고력을 가진 민주시민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사회과 수업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면, 첫 번째는 미디어의 기능, 언어, 문법을 비롯한 미디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미디어를 통해서 의미가 생산되고 재현되는 과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두 번째는 학생들이 인간의 몸짓을 비롯한 다양한 언어적·비언어적 기호가 다른 사람들에게 정보나 생각을 전달하는 미디어라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미디어 교육은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추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세 번째는 학생들이 미디어 제작을 함으로서 사회현상이나 사실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이슈화하여 작품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현상을 객관적이고 구조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연구결과로 보아 사회과 수업에서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를 통해서 사회문화적 현상이 가지는 의미를 적극적으로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며, 창조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민주시민을 육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미디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통해서 자신들의 일상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 대해서 객관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동적인 미디어 수용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를 통해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특성을 가진 사회집단들과 합리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information-based society,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great influence on students' mental world, the way of behavior, and the system of conviction. Students understand sociocultural phenomena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media. They live surrounded by complicated media-based environment where they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have more interes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which allows students to get correct understanding on sociocultural phenomena that media provides and to raises them as democratic citizens who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rationally. Media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however, has been used as a supportive means only providing simple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requests media education that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have systematic understanding on media.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education through media' and 'education about media'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information-based society where overall understanding on media has significance in raising democratic citizens.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s; First, what 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education through media' and 'education about media'? Secon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in the way of understanding media in case of the teachers observed? Third, what is the feature found in the class of teacher L who did 'education through media'? Fourth, what is the feature found in the class of teacher K who did 'education about media'? Fifth, what is the implication of 'education through media' and 'education about media'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arried out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was done with teacher L's 'education through media' and teacher K's 'education about media'. Teacher L, who tried 'education through media', approaches '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edia reading' from the aspect of a social studies single curriculum. Teacher K, who tried 'education about media', approaches 'representation of meaning through media production and expressional activities' with Project-Based Learn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tensively from April 2003 to October 2003. I observed their classes and interviewed teachers and students in depth. The research materials are categorized into two parts, the pattern of media reading and the pattern of representation of meaning. The meaning of the linguistic or non-linguistic signs that students and teachers used in each class a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s; First, it show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education through media' and 'education about media'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Education through media' helps students not only confirm objective facts,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read its immanent ideological meaning critically with the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context through active media reading. Meanwhile, 'education about media' allows students to cultivate abilities to understand sociocultural phenomena objectively by constructing and representing realities by the medium of media in the process of media works and expressional activities based on broad understanding about media. Second, it finds that there i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eachers in the way of understanding media. Teacher L intended to raise democratic citizens who can explain, think,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nd ultimately have creative and critical meaning constructing competence through active media reading. For this purpose, she encouraged students to read media actively.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was focused on the contents of textbook and media text. Meanwhile, teacher K intended to cultivat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and sensibility through 'media production and expressional activities'. For this, she had students join the production activities themselves. Through such work, she found that students accept media with active and critical attitude, leading to her active audience-centered media understanding. Third, in teacher L's class which focused on 'education through media', various patterns of 'media reading' and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media reading' showed a characteristic phenomenon. The patterns include 'photograph reading as a process of explanation', 'photograph reading as a process of creative thinking', 'newspaper reading as a process of thinking', 'newspaper reading as a process of inquiring', 'reading web-based materials as a process of problem solution', and 'reading web-based materials 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information'. Thos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oces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explanation, understanding, thinking, learning by inquiry, and problem solution learning. They result from the fact that through media reading teachers induce students to explain features found in sociocultural facts or phenomena, explain them organically, think in rich and sophisticated way, search social issues intensively, and solve problems rationally.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media reading' was proceeded with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f class that the logic of understanding, thinking, explanation, and problem solution pursued. I found that there is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as the class proceeds, denotative meaning, connotative meaning, and mythological meaning are constituted in order. Denotation is mainly constituted in the process that students confirm simple facts, information, and knowledge from media. Connotation of sociocultural features is constituted in the process of in-depth learning that the issues picked up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the class are discussed. It is shown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son or confirmation of value complication problem. Mythological meaning is constituted through the way that students describe, explain, and understand a specific sociocultural phenomenon or fact. It is shown through imaginative writing and media production in the finishing activities of the class. It is also constituted through symbolical meaning of linguistic or non-linguistic signs and it discloses ideological fabrication. Fourth, in teacher K's class which focused on 'education about media', media production and expressional activities show active, symbolical, and audio-visual meaning representation. In active meaning representation, the teacher encouraged students to comprehend meaning and function of media and represent that human's body is able tohave communicational function as media through various expressional activities. In symbolical meaning representation, the teacher had students set up the purpose and feature of a broadcasting station first, constitute logo, logo song, and mascot as a symbol that matches well with the image of the station, and finally represent the meaning of the station using the symbols. In the process of iconic meaning representation, the teacher helped students understand images on screen and camera photographing, kind of shots, and how they constitute meaning on the screen and have objective understanding on media representation by producing media.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representation found in teacher K's media education is mainly based on two educational convictions of teacher K's. First, teacher K is convinced that media production and expressional activities are able to embody education for sensibility that is enforced by logicality. She regards it as alternative media education to induce students to express more richly and freely and raise sensibility through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thinking, and feeling with motion, symbol, and works. She is also convinced that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media, ranging from its meaning, function, language to its grammar, helps to raise active media audience who recognize media objectively and accept it critically. She insists that it is possible through students' media production experience and such experience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media that they access everyday objectively and recognize it critically. Fifth, the implication of education through media and education about media in social study class is analyzed like follows; in education through media, there are various constitutions in pattern of media reading associated with the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teaching method. Such media reading allows us to raise democratic citizens who are able to confirm facts, information, and knowledge, furthermore, understand sociocultural context, and rea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Media production and expressional activities in education about media enable students not only to comprehend its communicational function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function, grammar, and language of media, but also to find another meaning from daily social?cultural phenomena through media production process and understand media critically and objectively through discussing process. To sum up,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media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cultivate critical and creative meaning constructing competence through active media reading and understand the function of media that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rationally with comprehension of media, ultimately raises democratic citizens who are able to criticize and understand sociocultural phenomena that media provides through media production and expressional activitie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ducation in February, 2004.

      • 미디어에 관한 그리스도론적 이해 :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 이해를 중심으로

        김재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우리는 오늘날 미디어가 단순한 전달 수단을 넘어서 문화로까지 인정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일생, 곧 태어나기 전부터 죽을 때까지 미디어 환경에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서 잘 알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가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대표적인 나라로서 세계 어느 나라보다 미디어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미디어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디어 교육이 많이 미흡하다는 것을 잘 설명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1973년, 한국 가톨릭 교회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미디어 교육을 실시했지만 미디어 교육의 확산이나 중요성은 여전히 지지부진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이라는 잘못된 인식은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하였다.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점은,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의 활용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기 때문에,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틀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미디어를 사용할 줄은 알지만 미디어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는 것이고 이것은 곧 미디어에 관한 이해가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필자는 미디어에 관한 이해의 부제를 인식하게 되었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교육을 위한 체계적이고 총론적이며 기초적인 ‘미디어 이해’를 시도해보고자 했다. 먼저, 역사적으로 미디어는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시대에 따라 교회가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금까지 지배적인 미디어 이론과 대안적인 미디어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미디어에 대한 경험들을 제시했다. 그리고 여기서 드러난 신학적인 요소들과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그리스도론에 접근하여 양자간의 차이성 속의 유사성을 발견하는 유비의 방법론으로 미디어를 이해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고찰된 것을 통해 오늘날 미디어에 관한 이해에서의 실천적인 방향들을 모색해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미디어에 관한 교회의 이해로서, 시대별로 발표된 가톨릭 교회의 매스 미디어에 관한 교령과 훈령 및 그 외의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교회의 미디어에 관한 이해와 그 속에 드러나는 신학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대안으로서 마샬 맥루한(M. McLuhan)에 따른 미디어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한계는 무엇이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맥루한의 이론에 의한 미디어의 역사에 따른 시대구분과 그의 중심적 테마인 ‘미디어는 메시지다’에 드러난 미디어에 관한 이해를 고찰해보았다. 3장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와 2장에서 제시한 마샬 맥루한에 따른 미디어에 관한 이해를 유비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먼저, 오늘날의 그리스도론의 동향을 살핌으로써 서로 다른 두 학문간의 유비의 필요성 및 타당성 등을 제시하여 유비적 고찰의 가능성을 마련하고,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한 하느님 나라와 메시지를 살펴봄으로써 맥루한의 미디어 이해와의 유비적 고찰을 시도하여 미디어와 예수 그리스도 간에 차이점 속의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맥루한의 미디어와 예수 그리스도는 일치하지만,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긍정성과, 미디어(예수 그리스도)와 콘텐츠(예수의 행적)와 메시지(하느님 나라)가 동일한지의 여부가 차이점으로 존재하지만, 그 영향력이 미디어 자체와 예수 그리스도 자체라는 데 유사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 속의 유사성은 미디어와 콘텐츠와 메시지가 하나이고 그렇게 되어야 함을 상기시키고 있으며, 맥루한의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경구도 이러한 일치성을 이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늘날 미디어 연구나 이해에 있어서 미디어 자체에 관한 인식 없는 콘텐츠 중심의 연구나 이해는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연구의 방향성도 상실하게 된다. 왜냐하면 여전히 미디어와 콘텐츠를 따로 분리해서 전혀 상관없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콘텐츠의 의미 분석에만 치중된 콘텐츠 중심적 연구는 미디어를 제대로 해석해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영향력 또한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한다. 이것은 3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미디어와 예수 그리스도가 유비적으로 관찰되어질 때 질서화된 관계성이 포착되면서도 그 영향력의 긍정성은 다르게 비추어진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미디어에 관한 콘텐츠 중심적 이해의 문제는 미디어에 대한 두려움과 오해로 드러난다. 이러한 두려움과 오해는 마치 태초에 말씀이 창조 사업에 함께 하셨고 그 말씀이 사람이 되어 오셔서 인간을 구원으로 이끄는데도 사람들은 그 빛을 깨닫지 못한 것과 같다(요한 1,1-5 참조). 그러나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신앙고백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이미 알고 있으며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늘 쇄신하려 노력한다. 이것은 십자가 사건 이후의 제자들을 통해 잘 드러난다. 예수의 죽음으로 그분의 가르침을 비롯한 자신들의 정체성 등 모

      • 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에 관한 연구 : : 지역 청년과 지방대생의 취업 과정을 중심으로

        나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한국 사회에서 출신지역과 학벌은 사회 문화적으로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청년세대에게 출신지역과 학벌은 더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입시와 취업 과정, 더 나아가 전체적인 생애까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에 재현되고 있는 출신지역과 학벌에 집중하며 특정 집단에 속해있는 청년들의 입시 및 취업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정구조에 주목한다. 출신지역과 학벌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지역청년과 지방대생으로 연구대상을 특정하고, 이들의 감정구조를 신자유주의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에 앞서 기존의 미디어에 재현되었던 출신지역과 학벌을 살펴보았고, 미디어 재현을 통해 비판적인 한국 사회의 실태가 드러나기도 하지만 오히려 사교육이나 명문대 중심의 교육 열풍을 확산시키는 이면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자유주의의 청년세대와 공정성, 차별과 소외를 합리화시키는 도구이자 시스템으로 자리 잡게 된 그 관계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윌리엄즈(Raymond Williams)의 감정구조(structures of feelings) 개념을 활용하여 이 연구의 분석을 시도했고, 사회변화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윌리엄즈의 감정구조와 부르디외의 상징폭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미디어에 재현되는 출신지역과 학벌을 살펴보기 위해 청년세대가 겪는 고충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지방대, 지역에 주목하는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텍스트 분석과 함께 실제 청년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사회 문화적 함의를 효율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심층 인터뷰도 시행하였다. 텍스트 분석의 대상은 KBS 스페셜 <우리반 15등 김유진 : 지방대생 이야기> 다큐멘터리와 tvN의 <미생>, <이번 생은 처음이라> TV드라마를 선정하였다. 현시대의 청년들은 학벌주의적 사고로 나타나는 차별과 불합리한 제도를 정당성의 맥락에서 받아들이고 있었다. 학벌주의적 가치와 세계관에 적응하고, 학벌의 획득으로 결정되는 승자독식 체계에 순응하며 차별과 경쟁을 합리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각자의 삶을 진단하며 맞춰놓은 기준에 따라 평균, 평균 이상을 바라보는 모습을 보였다. 나다움은 학력으로 규정되었고, 미디어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학력과 출신지역이 이들의 성격과 특성, 계열체의 정당성을 부여받았다. 한편, 학벌을 취득한 명문대생 역시 학벌이 형성하는 낙인과 사회적 편견의 모순에 내몰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벌은 노력과 성취의 이름이나 반면에 경쟁과 도구화의 이름일 수 있었다. 결국 학벌주의 사고는 무력감과 박탈감, 잘못된 체제에 대한 순응과 타협을 주입하며 또 다른 편견을 생성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 청년과 지방대생에게는 지역적 특성과 출신 고등학교의 특성, 가족주의가 많이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대다수 청년에게 ‘서울’과 ‘명문대’는 성공이 깃든 환상의 공간으로 여겨졌다. 부모의 교육열, 집안의 경제적 수준, 부모와의 유대관계가 입시 과정과 취업 과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등, 지역적 차이와 경제적 수준이 격차를 생성하고 있었다. 현 사회의 출신지역과 학벌은 청년들을 구분 짓는 도구로 쓰이며, 학벌로 인한 평가와 판단은 청년들에게 곧 정당화, 합리화를 요구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관행은 청년세대의 감정을 통솔하고 군림하는 구조로 자리 잡게 되었다. In Korean society,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have many socio-cultural meaning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have more influence on the youth generation, and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ntrance examination, employment process, and even overall lif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being reproduced in the media, and focuses on the structures of feelings that appear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employment process of young people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For in-depth discussions on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specified as local youth and provincial college students, and their structures of feelings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Prior to the research analysis, we looked at the areas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s that were reproduced in the existing media, and although the media reproduction revealed the situation of critical Korean socie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ackground to spreading the education craze centered on private education and prestigious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generation of neoliberalism and fairness, and the relationship that has become a tool and system to rationalize discrimination and alienation was also examined. Using Raymond Williams' structures of feelings,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attempted, and Williams' structures of feelings and Bourdieu's symbolic violence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as a tool for analyzing social change. In order to examine the areas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that are reproduced in the media, text analysis was conducted on programs that directly deal with the hardships experienced by the youth generation and pay attention to local universities and region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efficiently examine the impact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n actual young people along with text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text analysis were the KBS <Kim Yu-jin: Story of a Local University Student> documentary, tvN <Misaeng> and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TV dramas. Young people in the modern era were accepting discrimination and unreasonable systems that appeared in academic thinking in the context of legitimacy. It was adapting to academic values and worldviews, adapting to a winner-take-all system determined by the acquisition of academic background, and rationalizing discrimination and competition. In addition, they looked at the average and above the average according to the standards set while diagnosing their lives. “Being me” was defined as a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media were given thei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legitimacy of their affiliate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prestigious university students who acquired academic background were also driven to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stigma and social prejudice formed by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discipline could be the name of effort and achievement, or on the other hand, the name of competition and instrumentation. Eventually, academic thinking was creating another prejudice by injecting a sense of helplessness, deprivation, compliance with the wrong system, and compromise.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local characteristics, high school characteristics, and familyism were reflected a lot for local youth and provincial college students, and for most young people, “Seoul” and “A prestigious university” were considered fantasy spaces with success. Regional differences and economic levels were creating gaps, with parents' enthusiasm for educa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ties with parents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entrance examination process and employment process. In the present society, the region of origin and educational background are used as tools to differentiate young people, and evaluation and judgment based on academic background immediately demanded just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the young people. These social atmospheres and practices have been established as a structure that controls and dominates the emotions of the young generation.

      •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이 MZ세대의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블루의 조절효과

        조윤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대한민국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이러한 현상의 중심에는 청년층의 인구이동 문제가 자리 잡고 있고, 청년층의 인구이동 문제는 일자리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국가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MZ세대들이 지역 뉴스를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선택하고 집중하여 이용하게 되는 뉴스 이용동기가 심리적 모델인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취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코로나 블루 현상이 MZ세대들의 취업을 하기 위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함께 고려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MZ세대들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현황의 특성을 살펴보면 MZ세대들은 하루에 15분에서 30분 동안, 그 다음은 15분 미만 시간 순으로 뉴스 이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가 뉴스 소비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유튜브 등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이었으며 소셜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역 뉴스 영역은 경제, 고용(일자리), 안전, 복지시설과 정책, 문화시설, 의료환경, 주거, 교육, 정치, 상업시설, 기타 순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MZ세대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동기가 취업에 대한 계획행동이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연구가설 1-1, 1-2, 1-3을 세웠으며 연구결과, MZ세대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동기가 정보성 요인일 때는 태도와 취업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성 요인일 경우에는 태도, 주관적 규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 요인일 경우는 취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성 요인일 경우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성 요인일 경우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2>에서는 취업에 대한 계획행동이론 요인이 MZ세대의 취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연구가설 2-1, 2-2, 2-3을 세웠으며 연구결과, 취업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요인 태도, 주관적 규범, 취업 효능감은 MZ세대의 취업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3>에서는 코로나 블루 현상이 MZ세대의 취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취업 효능감과 취업의도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 영향을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연구가설 3-1, 3-2, 3-3을 세웠으며 연구결과, 취업에 대한 계획행동이론 요인 주관적 규범, 취업 효능감은 코로나 블루 요인의 조절 영향으로 MZ세대의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4>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동기가 MZ세대의 취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연구가설 4-1을 세웠으며 연구결과, 흥미성, 유사성 이용동기가 취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문제 5>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동기와 취업의도 간 관계에서 취업에 대한 계획행동이론 요인이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연구가설 5-1, 5-2, 5-3을 세웠으며 연구가설 5-1의 연구결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동기 정보성, 흥미성, 신뢰성, 유사성, 상호작용성 요인과 취업의도 간 관계에서 취업에 대한 태도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가설 5-2의 연구결과, 정보성, 흥미성, 신뢰성, 유사성, 상호작용성 이용동기와 취업의도 간 관계에서 취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가설 5-3의 연구결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역 뉴스 이용동기 흥미성 요인과 취업의도 간 관계에서 취업에 대한 취업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지역 뉴스 이용동기가 취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적인 분석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문이 취업의도를 예측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효과성을 보여주며, 이는 향후 MZ세대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경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는 정보전달과 커뮤니케이션 형성의 주요 수단으로 우리 생활에 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원주민인 청소년들은 인지적, 정서적 발달 과정 중에 있으며 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학교, 가정, 사회에서 다양한 미디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인터넷 활용, 스마트 기기 활용, 자아 표현, 참여성, 비판적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인 의사 표현, 경청 및 이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2022년 11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약 10일간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 223명을 임의 표집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203명의 자료를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 능력의 설문지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을 추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 분석,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주요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디어 교육은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인 중 인터넷 활용 능력과 자아 표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제한형 중재는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대화형 중재는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자아 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미디어 교육은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 표현과 경청 및 이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대화형 중재가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 표현과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 하위요인별로 세부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미디어 교육 정책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천 전략과 가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으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초기 청소년을 임의 표집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더 다양한 지역, 학년 등을 고려한 표집을 통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미디어 교육을 학교와 가정 미디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기관, 정부 기관에서 실시되는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를 제안한다.

      •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시간 동기 모델의 설계와 구현

        고영수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943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들이 적절한 관계를 가지고 표현됨으로써, 일시에 많은 정보를 프리젠데이션 대상에게 전달하여 프리젠테이선의 의도를 보다 명확하게 하며 이해를 쉽게 한다. 프리젠테이션 구성시 미디어들 간의 관계는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로 구분되며, 이들 관계를 사용자들이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야만 의미 있는 프리젠테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들의 시간, 공간 관계 조절은 멀티미디어 프리젠데이션 시스템 개발시 해결해야 할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시간 동기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미디어간의 시간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명세법과 명세들을 프리젠테이션 시간 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고,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시된 명세법은 단순한 구조로 다양한 형태의 시간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되는 미디어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불분명한 명세를 할 경우에도 제시된 명세 변환 모델에 의해 모호함을 제거하여 정확한 프리젠테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시된 명세법과 명세 변환 모델을 사용하여 구현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객체 지향 개념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들을 손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하였다. In multimedia environment, more than one media are expressed with proper relations, and a lot of informations are given to the user at a time. So the user can catch the purposes of the presentations more easily and understand them more obviously. The presentation is based on the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 and the relations between media should be quite controllable in order to constitute the meaningful presentation. Therefore presentation designers must consider at first the controllability of the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 of the media for developing multimedia presentation system. In this paper I have suggested a 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for multimedia presentation and designed a model which translates specifications into temporal informations for presentation. The specification suggested in this paper can express the various temporal relations. Although the user makes an ambiguous specifications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s about presentation media, he can have explicit presentation using the specifications translation model which eliminates the vagueness of specifications. This presentation system which is constructed on the suggested specification and translation model, is object oriented one. So the user can deal with a lot of various media easily with this system.

      • 큐레이터 바바라 런던(Barbara London)의 MoMA 미디어아트 전시 기획 연구

        황유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 art exhibitions that Barbara London has been planning at MoMA for 40 years and to study the results of media art exhibitions in Barbara London, which developed and expanded media art from the beginning. Barbara London has been a curator who has led MoMA's media art exhibition and program since the 1970s by discovering the possibility of media art, and has brought media scalability by planning media art exhibitions such as sound art, video art, and net art in MoMA centered on fine art. Chapter 2 analyzes the background and changes at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media art media. First, the mixed concepts in the use of the term 'media' are summarized and the differences from 'new media' are described. As an 'early' media art curator, the term 'media' rather than 'new media' was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Barbara London. By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changes of the time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media art,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developed from simple work listing to educational and communication purposes, and the increase in audience-participating works led to changes in the way of installing and appreciating works. Chapter 3 derived media analysis of the MoMA media art exhibition planning in Barbara London. Sound Art: Visualization of musical elements, Video Art: Realization of timeliness and interactivity, and presentation of online exhibition and archiving directions. First, the visualization of the musical elements of sound art was analyzed that sound was brought into the exhibition hall to create a place where art and music were exchanged. Representative examples were "Sound Art" in 1979 and "Sounding: A Contemporary Score" in 2013. The "Sound Art" exhibition is the first example of incorporating the term ‘sound art’ into MoMA, and "Sounding: A Contemporary Score" is considered the first large-scale sound art exhibition of MoMA. The second is the realization of timeliness and interactivity of video art. Video art artists' individual exhibitions were held more than 30 times out of 56 exhibitions, and representative video art artists Bill Viola(1951- ), Nam June Paik(1932-2006), and Dan Graham(1942-2022) were selected to analyze howvideo art's characteristics of timeliness and interactivity were implemented in the exhibition. A third example of presentation of online exhibition and archiving directions was the series "A Video Curator's Dispatch", which has been held in China, Russia and Ukraine, Japan since 1999, and the case of net art, "Tony Usler: Timestream". In the case of "Video Curator's Dispatch", the onlineization of art-related content took place at a time when it was not active, and the non-mainstream nature of net art was all suggested as a practice of curriculum. Chapter 4 derived the results of the MoMA media art exhibition planning in Barbara London as an early media art curator. First, by presenting the media art methodology, the use of black boxes, headsets, and earphones, which were traditional media art installation practices, was avoided, museum fatigue was alleviated, and it was expanded outdoors and online. In other words, Barbara London tried to provide visitors with a new environment and experience. Second, with the advent of the World Wide Web(WWW) era in 1989, with the initial construction of online exhibition and archiving, a new type of online exhibition and archiving was established amid the expansion of one-man media due to the emergence of personal laptops. Third, with the lighting of Asian media art, media art in Asia, which had few cultural exchanges such as China and Japan, was easily accessible online, and efforts were made to dismantle the Western-centered perspective. Fourth, in charge of media-related programs and collections, MoMA media art contents were diversified and diversified. Compared to media art exhibitions and online contents that are currently explosively developed and in progress, exhibition planning and curator research were insufficient, and mainly focused on art history and artist research. Therefore, by analyzing the exhibition planning performance of Barbara London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radigm shift in the art world in the future as an early example of media art. 본 연구의 목적은 바바라 런던이 40년 동안 MoMA에서 기획해온 미디어아트 전시를 매체적으로 분석하고 미디어아트를 초기부터 발전·확장시킨 바바라 런던의 미디어아트 전시 기획 성과를 연구하는 데 있다. 바바라 런던은 1970년대부터 미디어아트의 가능성을 발견하여 MoMA의 미디어아트 전시·프로그램을 이끌었던 큐레이터로서 순수 미술 중심의 MoMA에 사운드아트, 비디오아트, 넷아트 등 미디어아트 전시를 기획하면서 매체 확장성을 가져왔다. 2장에서는 미디어아트 매체의 출현 당시 시대적 배경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미디어’ 용어 사용에 있어서 혼재되어있는 개념을 정리하고 ‘뉴미디어’와의 차이점을 서술하였다. ‘초기’ 미디어아트 큐레이터로서 바바라 런던을 분석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춰 ‘뉴미디어’가 아닌 ‘미디어’ 용어를 사용하였다. 미디어아트 출현에 따른 시대적 배경과 변화를 분석하여, 전시 목적이 단순 작품 나열에서 교육·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발전해갔고, 관객 참여적 작품이 증가하면서 작품 설치 및 감상 방법 등에 변화를 가져온 점을 연구하였다. 3장에서 바바라 런던의 MoMA 미디어아트 전시 기획을 매체적으로 분석하여 3가지 특징을 도출해냈다. 사운드아트: 음악적 요소의 시각화, 비디오아트: 시간성과 상호작용성 구현, 온라인 전시 및 아카이빙 방향성 제시이다. 첫 번째, 사운드아트: 음악적 요소의 시각화는 사운드를 전시장으로 들여와 미술과 음악이 교류하는 장을 만든 점을 분석하였다. 대표 사례로는 1979년 〈사운드아트(Sound Art)〉와 2013년 〈사운딩: 현대 악보(Sounding: A Contemporary Score)〉를 선택하였다. 〈사운드아트〉전은 ‘사운드아트’라는 용어를 MoMA에 접목시킨 첫 사례이며 〈사운딩: 현대 악보〉는 MoMA의 첫 규모있는 사운드아트 전시로 평가받는다. 두 번째, 비디오아트: 시간성과 상호작용성 구현이다. 비디오아트 작가의 개인전을 전체 56회의 전시 중 30회 이상 차지할 만큼 다수 진행하였는데, 대표적인 비디오아트 작가인 빌 비올라(Bill Viola, 1951- ), 백남준(Nam June Paik, 1932-2006), 댄 그레이엄(Dan Graham, 1942-2022)을 선정하여 비디오아트의 특징인 시간성과 상호작용성이 전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가 및 작품의 선정은 전시 기획의 시작으로서 미디어아트 큐레이터로서 바바라 런던이 추구하고자 했던 전시 방향성을 읽어볼 수 있었다. 세 번째, 온라인 전시 및 아카이빙 방향성 제시의 사례로는 1999년부터 중국, 러시아·우크라이나, 일본에서 진행된 〈비디오 큐레이터의 디스패치(A Video Curator’s Dispatches)〉시리즈와 넷아트의 사례인 〈토니 아워슬러: 타임스트림(Tony Oursler: Timestream)〉을 선정하였다. 〈비디오 큐레이터의 디스패치〉의 경우, 미술 관련 콘텐츠 온라인화가 활발하지 않던 시기에 진행되었다는 점과 넷아트의 비주류적 성격을 놓고 보았을 때, 모두 당시 주요 문화에서 탈피하여 박물관·미술관에서 실험하기 어려운 유형을 큐레토리얼의 실천으로서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초기 미디어아트 큐레이터로서 바바라 런던의 MoMA 미디어아트 전시 기획의 성과를 4가지로 도출하였다. 첫 번째, 미디어아트 설치의 방법론 제시로 기존 관행이었던 블랙박스 탈피와 헤드셋·이어폰 사용을 지양하고 뮤지엄 피로를 완화시키며 전시장 내부의 공간에서 벗어나 야외, 온라인으로 확장시켰다. 즉, 바바라 런던은 새로운 환경과 경험을 관람객들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온라인 전시 및 아카이빙 초기 구축으로 1989년 월드와이드웹(WWW)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개인 노트북 출현에 따른 일인 매체의 확장 속에서 새로운 전시 유형으로서 온라인 전시 및 아카이빙 기반을 구축하였다. 세 번째, 아시아 미디어아트의 조명으로 중국, 일본 등 문화적 교류가 적었던 아시아 지역의 미디어아트를 온라인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형성하면서 서구 중심적 관점을 해체하고자 노력하였다. 네 번째, 미디어 관련 프로그램과 컬렉션을 담당하며 MoMA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다양화·다각화하였다. 현재 폭발적으로 발전·진행 중인 미디어아트 전시와 온라인 콘텐츠에 비해 전시 기획 및 큐레이터 연구는 미비하였고 주로 미술사 및 작가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미디어아트에 대한 시작부터 현재까지 바바라 런던의 전시 기획 성과를 분석하여 미디어아트의 초기 사례로서 향후 미술계의 패러다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

        이재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효능감,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 어 중재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효능감,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수준 차 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효능감,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간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와 H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만3~만5세 어머니 321명 중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 koc와 Barut(2016)가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된 척도를 만 5세 유아의 부모에 맞게 번안수정한 김지선(2019)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박현희, 이경화(2020)가 개발한 척도를 연구자와 유아 교육전문가 1인과 협의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끝으로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수준을 측정을 측정하기 위해 Warren과 Kelly (2002), Nikken과 Schols (2015)의 척도를 참고하여 번안 및 수정·보완한 윤보람(2020)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ANOVA, Sheffe’s 사후분석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전체 평균값은 M=4.17(SD=.75)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기능적 리터러시가 비판적 리터러시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전체 평균값은 M=3.70(SD=.62)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양육행동효능감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 전체 평균값은 M=3.70(SD=.61)으로 보통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제한적 중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수준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연령, 학력, 취업 여부, 자녀와의 대화 시간, 가구 소득에 따라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전체, 부모효능감 전체,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전체 수준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의 취업 여부, 자녀와의 대화 시간, 월평균 가구 소득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시간, 자녀 연령에 따라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전체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성별,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시간, 성별에 따른 결과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효능감,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변인 전체 및 각 하위요인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특성 중 스마트미디어 중재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어머니 연령, 어머니 학력, 취업 여부, 자녀와 대화 시간, 가구 월 소득을 통제 변인으로 투입하였고, 어머니의 비판적 리터러시, 어머니의 양육행동효능감, 사회적역할수행효능감이 유의미한 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즉 어머니의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효능감과 사회적역할수행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효과적인 스마트미디어 중재를 위해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더불어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적 지원도 시급히 마련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미디어 융합시대 방송플랫폼 수용성 연구 : 수용자 선택요인의 플랫폼별 적소비교를 중심으로

        임성원 중앙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943

        다양한 방송플랫폼의 등장은 급속한 방송시장 환경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디어 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확대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미디어 지형은 미디어기술?콘텐츠?이용자 사이의 변화관계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미디어 연구는 고립주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미디어간의 연계적 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과는 달리, 미디어에 대한 연구는 개별 미디어에 주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융합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향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미디어 연구는 정책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물론 수용자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디어 효과 측면에 대한 연구의 확장으로 이 역시 미디어 중심적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발전과 매체의 확장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는 무엇보다 수용자의 선택이라는 측면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과 사회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과 공진화론적 시각에 근거하여 방송플랫폼간의 경쟁구조 및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방송플랫폼 선택모형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그렇게 도출된 선택요인이 실제 현실적으로 적용되기에는 몇몇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하나의 변인이 특정 플랫폼의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하더라도, 해당 변인이 또 다른 플랫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실제 수용자의 선택에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해당 플랫폼의 실질적 선택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나아가 수용자들이 보다 우선시하는 선택요인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실제 플랫폼 선택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기능적 대안성 논의를 고찰하고, 새로이 적소분석에 대한 논의를 접목하여 멀티플랫폼시대의 경쟁적 플랫폼 선택 모형에 대한 보완적 확장을 시도하였다. 여기서 적소분석을 새롭게 제기하는 이유는, 적소분석이 다양한 선택이론들과는 달리 플랫폼간 비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소분석의 경우 플랫폼 속성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 비교는 가능하지만, 경쟁력이 있다고 도출된 속성이 해당 플랫폼에 대한 수용자의 선택을 이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즉 플랫폼별로 많은 자원을 확보하고 있는 속성에 대해서는 밝힐 수 있지만, 그런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검증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수용자의 선택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플랫폼의 기술 속성에 중점을 두고 적소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 측면을 중요시하기 위해 선택이론을 이론적 근간으로 제시하였으며, 융합시대의 방송환경에 적합한 효율적 분석을 시도하기 위해 적소분석과의 접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멀티플랫폼 시대, 수용자의 방송플랫폼 선택요인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선택 이론들을 새롭게 구성하여 통합적 수용자 선택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수용자들은 방송플랫폼을 선택할 때 이동성/콘텐츠/시청각/경제성/용이성/이미지/서비스 등의 7개 차원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방송플랫폼별로 경쟁력 있는 수용자 선택요인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케이블TV, 위성방송, 위성DMB, 지상파DMB, IP-TV 등의 지속적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요인을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측면에 대해 다른 방송플랫폼과 어떤 경쟁구조를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수용자마다 다른 기준에서 방송플랫폼을 선택하고, 다른 특성을 선호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수용자의 선택 유형에 따른 차별적 수용성을 살펴보았다. 수용자의 방송플랫폼 선택유형은 이동성지향군, 콘텐츠지향군, 이미지지향군, 경제성무시군, 서비스지향군, 시청각지향군으로 도출되었으며, 개별 수용자군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선택요인과 그에 대한 방송플랫폼간의 경쟁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플랫폼선택요인에 기반한 방송플랫폼별 콘텐츠 전략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24개 장르를 방송플랫폼 선택 요인을 기준으로 새롭게 범주화를 시도하였으며, 그에 따라 영상콘텐츠, 이동콘텐츠, 다양콘텐츠, 배제콘텐츠, 전문콘텐츠, 지양콘텐츠, 뉴스콘텐츠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콘텐츠군의 속성과 개별 방송플랫폼의 속성을 비교하여 방송플랫폼별 표적 집단과 적절 콘텐츠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