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대한 연구 : '실용음악'의 대학제도 진입과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장혜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81

        이 논문은 근대적 의미의 국내 대중음악계가 형성된 이후 대중음악이 문화적으로 정당화되어가는 과정을 대중음악의 학제화 발전 과정의 역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불과 20여 년 전만 해도 실용음악과라는 언표는 일상의 차원에서 회자되는 종류의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대중음악이 사회적·제도적으로 위상의 변화를 겪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서울예술대학교에 처음으로 설립된 실용음악과는 이제 대중음악계의 주된 주체로 존재한다. 일부 대중음악 평론가를 비롯한 연구자들과 대중음악 현장에서는 실용음악과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대중음악의 권력을 획득해가는 양상이 경제적인 논리에 의한 것이라는 해석을 한다. 그렇다면 이전까지는 학교에서 배척되어 오거나 경제적 이득을 보장해 줄 수 없었던 대중음악은 어떻게 학교에 진입하거나 자본을 담보해 주는 종류의 것이 되었는가? 본 연구는 이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실용음악과의 발전을 문화산업의 측면을 넘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이 시도는 대중음악이 대중예술로서 자리 잡아 가는 과정 속에서 대학 제도에 진입한 사건을 문화적 정당화의 일부로 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용음악과의 제도화 과정이 국내 대중음악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를 탐구했다. 이를 위해 예술제도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관점을 전제로 하여 문화적 정당화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용음악과가 발전해 나간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보았다. 특히, 바우만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관한 이론을 차용하여 각각 학과 외부의 환경과 내부의 구조 변화, 그리고 관련 주제를 보도하는 신문 기사의 경향성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으로는 정부 산하 기관의 자료와 대중음악 무크지,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학교에서 공개한 자료와 학보를 비롯하여 단행본과 신문이 해당되었다. 1980년대 이루어진 대중음악 해금정책은 대중음악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지는 긍정적 계기로 작용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자율적인 음악생산과 소비기술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중음악을 ‘학습’한 일부 전문적 인력이 등장하면서 대중음악 산업이 발전한다. 대중음악이 하나의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중음악 평론은 하나의 제도로 정착한다. 이 가운데 대학 설립이 자유로워지면서 실용음악과가 문화적 가치를 지닌 신생학과로 대학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후 대중음악은 국내에서 대학이 지니는 제도적인 특수한 힘을 힘입어, 대학이라는 기관을 거친 뒤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훈련된 대중음악인’의 이미지를 확보하기에 이른다. 이와 동시에 학과 내부에서도 대중음악을 오락의 한 종류가 아닌 대중예술로, 실용음악과를 전문 음악인 양성기관으로 정체화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서 대중음악은 보다 예술적인 차원에서 회자되기 시작한다. 그 과정 중에 대중음악은 산업과 정책 담론에서 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대중예술로서 언급되며, 이후에는 대학원에서도 실용음악과가 설립되면서 학위 논문들이 배출되고 실용음악과가 학문 공동체로서의 성격을 부여받는 등 대중음악의 학문화가 심화되기도 한다. 2008년 이후 성행하기 시작한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은 실용음악과 재학·졸업생들이 대중음악계에 진입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했고, 이를 통해 실용음악과 출신의 음악인들은 K-Pop으로 대변되는 기존 음악과 차별성을 띠며 신진세력으로서 장 내 위계를 점유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국내 대중음악의 학제화 전개양상은 대중음악이 점차 학술·예술 차원에서 하나의 대중예술로 인식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중음악을 문화적 정당화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이 연구는 대중음악의 경제적인 가치를 논하는 일련의 주장들에 더하여 그것이 가진 문화적 위상을 톱아보는 시도가 되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process of cultural legitimation of Korean pop music. The Korean Pop music scene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process of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pop music. The concept of ‘Practical Music’ was not discussed in everyday life more than 20 years ago. However, since the 1980s, Korean pop music went through social/institutional changes. The ‘Practical Music’,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Seoul Institute of the Arts, became a main agent of bringing into existence pop music. Some critics of pop music in Korea, including researchers of pop music, interpret that the aspects of rapid increase in the ‘Practical Music’ and the acquisition of the power in the Korean pop music is by economic logic. Then how could the Korean pop music that was isolated in schools with fields of ‘Practical Music’ and with no guarantee of any economic profit enter into the academic field when the Korean pop music had become the one that guaranteed money? This study begins with knowing this aspect of the problem. This trial looks at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Music’ through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egitimation of Korean pop music. It sees the occurrence of the Korean pop music’s academic entry as a part of a cultural legitimation in the midst of popular music coming to settle in the popular arts. Thus, the research is done to seek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ve between the institutionalism of the ‘Practical Music’ and the Korean pop music. In order to do this, I analyzed the concept of cultural legitim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art institution in a sociological way. Therefore, I look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Music’ by putting foundation of historical flow in three big steps. I analyzed the external atmosphere, the internal structure change and the tendency of a press report of the related thesis by using Baumann’s cultural legitimation theory. By ending the policies that banned some Korean pop songs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1980s, Korean pop music’s social status increased positively since then. Following this, people were able to produce music more freely and yield easier consumption technology. During this period, professional workers who focused their study on pop music developed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As the Korean pop music began to be accepted as a ‘piece’, Korean pop music critic field became a kind of institution. While more colleges became established and created, the atmosphere that the ‘Practical Music’ could be a new major with an important cultural value could be settled. Since then, the Korean pop music by getting special help those colleges has in Korea, achieved a new image of well-trained pop musicians through formal education after institutions such as college. At the same time, the Korean pop music has started to be seen in an artistic dimension by being acknowledged not by a type of entertainment, but by a form of pop art, trying to identify the ‘Practical Music’ as an institution of training professional musicians. Through that process, the Korean pop music was being mentioned as a form of more detailed pop art in the industry/policy discourse. Later on, the ‘Practical Music’ was established even in the graduate schools, and it received characteristic as an academic community. Music audition programs that started and prospered since 2008 functioned as a channel for the formal/current students of ‘Practical Music’ to enter the Korean pop music scene. By this, the alumni from the ‘Practical Music’ are occupying the status in the field of Korean pop music as a new agent by differentiating from other music represented as K-Pop. This process shows that the Korean pop music gradually became acknowledged as a pop art in the dimension of academic/artistic status. Thus this study, trying to translate the Korean pop music as a perspective of cultural legitimation, was an attempt to watch the status of Korean pop music by adding the opinions from which discuss the economic value of Korean pop music.

      • 한국요리만화 장르의 발전과 관습에 관한 연구

        정재현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008

        A study on genre helps us to understand how the contexts of industries, socio-culture and audiences are presented on the text. In Korea, however, most researches about comics have focused on the author or the character. Some studies related to the comics genre have been limited to the conventions of a particular genre or have suggested the development way of a genre comics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This type of research provides the basis of the genre study, but tends to overlook the contexts surrounding a genre.$$a$$aThis study tries to combine the structuralist approach and the genetic approach. ‘Cooking’ comics was the genre selected because it shows the diverse changes of structure and context in the most dynamic way. Indepth interview with ‘cooking’ comics producers and text analysis focusing on the narrative and the image were conducted. Genre theories, discussed in popular culture studies such as Film and TV theories, were applied as theoretical devices.$$a$$aIn brief, the formation of the ‘cooking’ comics genre is initiated by the import of Japanese ‘cooking’ comics with the background of the pursuit on diversification of comics genre, increasing social interest on food, and Korean reader''s desire for the specialized comics. When the comics in the early stage of the genre gained great popularity, the genre of ‘cooking’ comics is formed through the production of Korean comics and the continuous import of Japanese comics with the expectation of stable readers'' group. The genre convention of ‘cooking’ comics appeared in two modified ways in Korean ‘cooking’ comics: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models and the hybridization with other genres. This i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gathering data and specialty, the problem of Korean comics readers'' group, the cultural ga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tagnation of the comics market, the discontinuance of comic magazines, and the problem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comics industry.$$a$$aThe conclusion of this study reminds us that the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context, and the attitudes of audiences all have to be included in accounting for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the genre. Also, analysis of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cooking’ comics can be useful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cultural production. This study materially examines how the genre theories can be applied to the genre of comic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inflow process of Japanese ‘cooking’ comics proves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But the concept of ‘cultural hybridization’ is valid to explicate the changing genre.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comics'' moving into the ‘sphere of legitimation'' become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comics genre.$$a$$a 장르에 대한 연구는 산업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태도가 텍스트에 어떻게 구조화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한 인식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만화연구는 작가와 캐릭터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기존에 시도된 장르연구들조차 특정 장르의 관습을 찾아내어 유형화시키거나 장르만화의 발전 방안과 만화장르의 구분 체계 등을 제시하는 데 머물러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장르연구의 기초는 제공하지만 장르가 제작되는 물적 조건과 장르를 둘러싼 콘텍스트를 간과할 우려가 있다.$$a$$a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 분석 위주의 구조주의적 장르연구와 장르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발생론적 연구를 결합하려 하였다. 만화장르와 만화계의 구조 및 콘텍스트의 다양한 변화 양상을 가장 역동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대상으로서 요리만화를 선택하였으며, 요리만화장르의 형성과 변화가 지니는 의미를 폭넓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영화, TV와 같은 대중문화영역에서 논의된 장르이론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대중문화 생산물의 장르연구는 산업과 텍스트, 수용자 사이의 연결고리로서의 장르, 반복보다는 차이와 변화를 통해 기존 장르와 투쟁하고 분열하며 진화하는 장르 개념을 강조한다. 대중산업에서 장르는 상업성을 구현하는 창작시스템인 동시에 장르적 관습에 기반한 독자들의 평가시스템이며, 대중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장치이자 생산의 전략이기 때문이다.$$a$$a본문에서는 자료검토와 생산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요리만화장르의 형성과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요리만화의 장르관습과 변화양상을 유형화하였으며, 그러한 장르변화의 원인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요리만화의 제작에 참여한 만화작가와 기획단행본 기자, 3대 메이저 만화출판사의 편집자 등 11명에 대한 심층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장르의 관습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수입된 일본의 대표적인 요리만화 세 편과 한국요리만화 전수에 대해 내용과 형식의 두 측면에서 체계적인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였다.$$a$$a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요리만화장르의 형성은 만화계의 장르 다양화에 대한 추구와 음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 전문만화에 대한 한국독자의 욕구를 배경으로 일본요리만화가 유입되면서 시작된다. 수입된 만화는 국내 흥행 가능성과 일본에서의 인기순위를 기준으로 선별되며, 재미있는 대작이 소개될 때 안정적 독자층에 대한 기대와 함께 일본요리만화가 지속적으로 수입되고 한국요리만화가 작가와 기획자의 성향을 토대로 생산되면서 장르가 형성된다. 요리만화 장르의 형성은 특정한 관습의 확립을 통해 드러나며, 이러한 관습은 한국만화에서 고전적 모델의 변용과 기존 장르만화와의 혼종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이는 한국 만화독자층의 문제, 취재와 전문성 확보의 어려움, 일본과의 문화적 차이, 만화시장의 침체, 잡지의 폐간, 만화시장의 생산․유통․소비 시스템의 문제 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a$$a이러한 결과들은 만화장르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하나의 사례분석이 되는 동시에 장르의 형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만화산업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맥락을 모두 포괄해야 함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 준다. 또한 개별 만화들의 제작 배경에 대한 분석은 문화생산물의 생산구조를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국내 요리만화는 생산과정에 있어 경제적 요인이나 만화산업, 사회의 구조 이외에도 개별 작가와 기획자의 성향 및 경험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창작을 사회적으로 형성된 아비투스와 제도화된 위치 사이의 만남으로 제시하는 부르디외의 논의를 지지해준다.$$a$$a그리고 장르의 변화에 대한 설명들은 기존에 논의된 장르이론들이 만화장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해 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정적인 장르개념과 장르의 발전을 유기체적 진화로 설명하는 개념들은 만화장르에 유용하지 못하다. 만화에서의 장르는 차이를 중요한 속성으로 가지며 차이를 통해 레퍼토리를 확장한다. 또한 언어에서 랑그와 파롤의 관계처럼 개별 만화작품들이 장르와 투쟁하고 분열하는 과정 속에서 장르가 진화하는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일본요리만화의 유입과정에 대한 분석은 자국의 문화가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화적 욕구를 가장 근접한 곳에서부터 찾는다는 엘라스마(Elasmar)의 개념을 검증한다. 하지만 한국에 소개된 장르의 변화에 대해서는 문화의 혼성화 개념이 더욱 유효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무국적성을 띠는 일본의 완성도 높은 만화가 큰 인기를 모으더라도 국내에서는 그것을 단순히 모방하거나 그대로 표절하기보다 수용자와 문화적 취향에 맞게 문화생산물을 재해석하고 재생산하며 수용하는 것이다.$$a$$a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만화의 ‘정당성의 영역’으로의 진입이 장르발전의 토대가 되어줌을 설명한다. 만화는 유치하며 유해하고 어린이들이 읽는 것이라는 문화적 인식의 변화 없이는 독자층이 세분화되기 어려우며, 장르의 다양화 역시 이루어기 힘든 것이다. 특히, 요리만화를 비롯한 전문만화는 성인독자층과 성인만화잡지의 존재를 요구하기 때문에 정당성의 영역으로의 진입이 장르의 활성화에 토대가 되어줄 수 있다.$$a$$a

      • 1990년대 이후 국내 노이즈 음악의 위상과 질적 변화에 대한 연구 : 소음을 매체로 활용하는 국내 뮤지션과 적극적인 청취자를 중심으로

        이승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9211

        There are numerous types of music that are not well-known to the general population. The fact that such minor genres of music are created, played and consumed shows that various cultural resources play certain roles for continuance of music.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nge in status that noise music had gone through within and outside the field of music since its creation in 1990s, and to discover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ructural causations that influenced such transition. This paper tried to adopt the perspective of Bourdieu’s cultural sociology in conducting research. This paper also referenced Baumann’s frame to create an objective when analyzing the relations outside of the field of music to examine the legitimation process. In the advent of noise music in Korea during the mid 1990s, its musical values were not recognized, and noise music was pushed aside. Nevertheless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s been steady for the last 20 years. Taking a macroscopic view in terms of interpreting the whole musical field, current status of noise music is very feeble. Noise musicians and its listeners do not particularly distinguish noise music from pop music, but except for such epistemic interpretation, the data to deduce the objective status of noise music from a broad view is next to non-existent. Noise scene’s continuance was possible despite such circumstances because the internal efforts to maintain it have eventually influenced strengthening the scene’s autonomy and capital symbolique. Although a smaller section was separated out of the noise scene once, the musicians were able to cooperate unceasingly without major disputes on the musical form. Since the 2000s, as increased international awareness in music and the cultural meanings of noise shed lights upon the noise music, there came an opportunity for the it to build a bridge between the art field. Now noise music is recognized as a new artistic form that we can encounter in art museums and galleries. In the backdrop of such shift are the influx of post-modernism in the 1990s and the history of media art that thrived in its influence. At that time, as the audio culture gathered attention in the western hemisphere, it started to influence the art field. Thus, the cases in which the art pieces manifested by sound were exhibited in the art museums started to appear. The status of noise music escalat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with the change in external circumstances in which it was included as the ‘Sound Art’ which freshly emerged in the art field. As sound exhibition and workshop programs were designed, noise musicians grew to participate in the events more. Thanks to such participation, musicians could embed themselves as symbolic beings in the sound field. However, sound art embraced without discourse showed its limits in exhibition grammar because it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noise musicians as ‘sound artists’. Some musicians tri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such perception, and eventually the efforts bore fruit in that the musicians who worked together as convoys were able to strengthen the noise scene’s autonomy and symbolic logic eventually. We can point out the absence of discourse as the major cause for such misunderstanding. Except for the data that musicians themselves produced and accumulated, the language to convey information on noise music for the public did not develop up to that point. The fact that criticism on noise music were nonexistent for the last twenty years shows it.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could examine the situations in which artistic legitimation cannot set in place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reason for it. Also, this paper witnessed recent phenomenon where noise music―up until now its values were not recognized in musical field―is gathering attention in the musical field as its status was heightened in the art field.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음악의 종류는 무수히 많을 것이다. 이러한 마이너 장르의 음악이 꾸준히 나타나고, 연주되고, 소비되는 것은 그 음악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자원들이 음악의 지속을 위해 어떤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이 논문은 1990년대에 등장한 노이즈 음악이 음악 장 내부와 외부에서 겪은 위상 변화를 탐색하고,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준 외부 환경과 제도적 요인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부르디외(Bourdieu)의 문화사회학을 주요 연구 관점으로 취하고자 했다. 또한, 외부 장과의 관계를 분석할 때에는 바우만(Baumann)의 틀을 참고점으로 삼아 정당화 과정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 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90년대 중반 국내에 등장한 노이즈 음악은 등장 초기에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주변화 되었지만, 그럼에도 지난 20년 동안 음악의 생산과 소비가 가늘고 길게 이어져왔다. 전체 음악 장의 범위에서 보면, 노이즈 음악의 위치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이즈 뮤지션과 청취자들은 노이즈 음악과 대중음악의 관계에 대해 큰 구분선을 두지 않았지만, 이러한 인식적 측면 이외에 큰 그림 안에서 노이즈 음악의 객관적 위치를 유추할만한 자료는 매우 부족한 편이었다. 그럼에도 노이즈 씬의 지속이 가능했던 것은, 이를 유지하고자 하는 씬 내부에서의 노력들이 결과적으로 씬의 자율성과 상징자본(capital symbolique)을 강화하는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비록, 내부적으로 작은 씬이 분화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하였지만, 그동안 음악 형식에 대한 큰 투쟁 없이 뮤지션들 간의 협력관계가 유지되어 왔다. 2000년대 이후로는 소리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소음이 갖는 문화적 의미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노이즈 음악이 미술 장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노이즈 음악은 이제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접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형식의 하나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90년대에 유입된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과 그 영향을 받고 발전한 미디어 아트의 역사가 자리 잡고 있었다. 마침, 2000년대 이후 서구권을 중심으로 떠오른 청각문화에 대한 관심이 미술 제도권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소리로 구현되는 예술작품이 미술관에 들어가는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노이즈 음악은 이러한 외부 환경의 변화와 함께 미술계에 새롭게 부상한 ‘사운드 아트(Sound Art)’로 포섭되면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위상 변화를 겪게 되었다. 사운드 전시와 워크숍 프로그램이 기획됨에 따라, 노이즈 뮤지션들이 행사에 참여하는 기회가 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뮤지션들은 점차 사운드 분야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담론 없이 수용한 사운드 아트는 전시 문법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노이즈 뮤지션들의 정체성을 ‘사운드 아티스트’로 규정하는 현상을 부르기도 했다. 일부 뮤지션들은 이로부터 구별되기 위한 실천들을 수행하였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과정들은 동행자로서 함께 하는 뮤지션들이 노이즈 씬의 자율성과 상징 논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뮤지션들이 획득한 정당성만큼 그들이 생산하는 노이즈 음악은 정당성을 확고히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 원인으로 담론의 부재를 꼽을 수 있는데, 뮤지션 스스로 생산하고 축적한 자료들 이외에 노이즈 음악에 대한 정보를 보편적으로 전달할 언어가 그동안 발전하지 못했다. 지난 20년 동안 노이즈 음악에 대한 비평이 전무했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해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노이즈 음악의 예술적 정당성이 고착화되지 못하는 상황과 그 제도적 요인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음악 장 안에서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음악이 독특하게 미술 장에서 겪은 위상 변화와 함께, 다시 음악 장 내부에서의 관심이 서서히 떠오르고 있는 최근의 현상 역시 목격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