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의 국가정체성 및 문화적 가치 성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배재현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2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국가정체성, 문화적 가치 성향, 다문화수용성을 알아보고,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국가정체성과 문화적 가치 성향이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정체성을 국민정체성(혼합형, 종족형, 시민형, 다원형), 애국심(맹목적, 건설적), 국민적 자긍심(문화적, 제도적)의 3차원 8개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문화적 가치 성향은 4가지 유형(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평적 집단주의)으로 분류하여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정체성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시민형 국민정체성과 낮은 종족형 국민정체성을 보였으며 유형별 비율로는 혼합형, 시민형, 다원형, 종족형 순으로 나타났다. 또 높은 건설적 애국심과 낮은 맹목적 애국심을 보였으며 문화적, 제도적 자긍심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 가치 성향에서는 집단주의 성향이 개인주의 성향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 유형별로는 수평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순으로, 수평적 가치가 수직적 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국가정체성은 뚜렷한 변화 경향이 나타난 반면, 문화적 가치 성향은 뚜렷한 변화 경향이 나타나지 않아 국가정체성이 문화적 가치 성향보다 사회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은 2018 일반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3개 차원과 8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다문화수용성을 보였다. 넷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국가정체성의 영향은 시민적 국민정체성과 문화적 자긍심은 정(+)적 영향을, 종족적 국민정체성과 맹목적 애국심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문화적 가치 성향의 영향은 수평적 가치는 정(+)적 영향을, 수직적 가치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 집단주의-개인주의 차원만의 영향을 분석한 경우에는 다문화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수직적-수평적 차원과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다문화수용성에 차이를 보여 수평적 집단주의가 가장 높은 다문화수용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종족적 국민정체성과 맹목적 애국심을 줄이고 시민적 국민정체성과 문화적 자긍심을 길러야 하며, 수직적 문화를 줄이고 수평적 문화, 더 나아가 수평적 집단주의 문화를 길러야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학교 현장의 종족적 국민정체성 중심의 통일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통일 교육 내용으로의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민족사 중심의 초등 역사 교육 내용은 종족적 국민정체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므로 생활사, 교류사, 세계사를 포함하는 내용 영역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교사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종족적 국민정체성과 맹목적 애국심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구성 시, 연령에 따른 국민정체성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상, 맹목적 애국심 함양을 위한 내용 요소를 수정·보완하고 나아가 우리 사회의 애국심 개념을 비판적 충성심을 기반으로 한 건설적 애국심으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문화적 자긍심 함양을 위해 우리 문화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체험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민주적, 수평적인 학급풍토 조성을 통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수평적 가치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학급풍토 개선을 위한 교사 연수와 체계적인 학급풍토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평적 집단주의 가치 함양을 위한 민주주의, 수평적 의사 결정 구조를 확대·심화하는 방향으로 학교 조직문화의 혁신이 필요하다.

      • 댄스스포츠에 관한 대중예술로의 가치와 방안

        이수현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50

        대중문화 예술 산업은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대중들도 풍요로운 삶의 질에 향상을 위한 관심도와 문화생활의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무용분야도 마찬가지로 사회적 상황을 인식하고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다양한 방면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상태이다. 무용예술분야는 지금 현대사회에서의 문화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태지만 대중화는 무용예술이 갖는 중요한 숙제라 할 수 있다. ‘무용의 대중화’는 대중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폭넓게 무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함으로써 무용을 보다 친숙하도록 만들어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라틴댄스 또한 대중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매개체로 TV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다른 분야의 장르들과 공연을 마련하여 대중예술로서 타 분야와 다양하게 융합하며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대중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보다 쉽게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무용예술임을 보이면서 점차적으로 대중성을 확보 해 나가고 있다. 무용예술의 대중화는 끊임없는 연구와 새로운 시도에도 불구하고 다른 문화예술분야 중 현저하게 더딘 대중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라틴댄스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분야별로 대중예술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모색하고 가치를 크게 사회문화적 가치, 예술적 가치, 교육적 가치, 신체적 가치, 그리고 이 모든 가치를 통합한 대중적 가치로 나누어 연구 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 라틴댄스의 사회문화적 가치로는 상호간의 배려와 파트너와의 호흡, 의사소통, 소속감, 리더십, 인내, 협동심, 책임감, 예의 등 질서와 타인에 대한 인격존중 등의 가치를 들 수 있으며 나이와 성별의 상관없이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춤 문화이며, 서로간의 예의범절을 중시하는 춤으로 요즘 시대에 필요한 매너와 사회성을 함양한다. 두 번째, 예술적 가치로는 다양한 음악과 리듬에 맞춰 다양한 동작과 기술로 구성을 실제적 움직임을 연결하며 동작들이 기능적이고 신체의 아름다운 선과 공간미를 창출하는 공간적 움직임 예술이다. 세 번째, 교육적 가치로는 신체를 통해 음악에 맞춰 예술을 아름답게 표현함으로써 미적 가치를 정서적인 표현하며 협동력과 자기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창의성발휘 및 개발시켜주며, 작품을 직접적으로 창작함으로 창의적인 사고와 창조적 행동을 유발시켜 표현의 탐구력과 상상력을 증진 키워준다. 네 번째, 신체적 가치로는 댄스와 스포츠를 혼합한 스포츠 장르로 운동역학적 측면에서 평형성을 길러 주는데 적합하며, 활발한 대 근육 활동으로 지구력과 근력, 유연성을 발달시켜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빠른 리듬감으로 심폐기능의 향상에도 크게 도움을 준다. 다섯 번째, 대중적 가치로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유희성, 스스로가 경험할 수 있는 참여성, 그리고 사람간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사회성이라는 대중적 특징, 또한 화려한 의상과 경쾌한 음악, 현란한 동작, 특이한 연출들로 대중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인기를 끌며 TV프로그램과 SNS를 통한 라틴댄스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도와 인기가 대두되고 있으며 다른 춤 장르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하며 라틴 코레오(Latin Choreo)라는 하나의 장르를 창작하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렇게 라틴댄스의 내재된 가치를 나누어 탐색하며 라틴댄스의 내재된 가치들을 통해 대중문화예술로서의 대중적 가치를 발견하였고, 라틴댄스의 대중문화예술로서의 앞으로의 대중적으로 발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industry of pop culture and arts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also,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the fruitful life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 life. Likewise, the dance field has attempted several approaches to recognise social circumstances and create curtual values. Although the dance art is definitively positioned in curtural industry, its popularizaiton is still important issue in this field. The popularization of dance means the phenomenon which people are more familiar to dance by inducing interest through enhancing the interaction. Latin dance has utilized TV show and collaborated with other public art to narrow the gap to people. These attempts make significant interest of people to Latin dance, which is effective approach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Latin dance. In spite of many studies and attempts, the popularitity of dance art is stlll not satisfied compared to other culture and art fiel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atin dance and popular art were explored, and the value of them was devied into socio-cultural value, artistic value, educational value, physical value, and public value as integrated all these values. Consequently,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socio-cultural values of Latin dance include mutal consideration and partnership, communication, sense of belonging, leadership, patience, cooperation, respensibility, ans respect for other. It is a Latin dance that anyone can enjoy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People also ontained the manners and socaility, which is required in mordern social life, through Latin dance. Second, as an artistic value, it is a spatial movement art that creates beutiful lines and spacial beuty of the body by connection between various movements and techniques in accordance with music and rhythms. Third, the Latin dance is valuable as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express emotionally aesthetic value by the expressing the body to the music. This activity is helpful to develop creativity centerring on cooperation and self-expression, and promotes the exploration and imagination of expression by inducing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 by creacting work directly. Fourth, Latin dance, which is a sport genre that combines dance and sports, is suitable for developing equilibrium in aspect of kinematics. It is helpful to develop endurance, musle strength, and flexibility through large musle activities. In addition, Latin dance significantly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s through a relatively fast rhythmical movement. Fianlly, Latin dance has a value as popular art. Latin dance makes playfullness, participation of self express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at value harmony between people, as well as attracting and popularitiy with colorful costumes, cheerful music, flashy movements, and unusual performances, and public interest in Latin dance through TV show and SNS. By the exploring intrinsic values of Latin dance in several aspect, the various values of Latin dance as popular culture and art were discovered, and meaningful approcahes for inducing the polulariza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were suggested.

      • 운동선수들의 문화적 가치성향과 리더쉽 행동 지각간의 관계

        김두수 순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4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preferred cultural value inclination of athletes and analyze how they felt the leaders' leadership behavio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First, tried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cultural value inclination of athletes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prize-winning career. Second, tried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leadership behavior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prize-winning career. Third, examined if there are any difference in perceiving leadership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cultural value inclination of athletes. A total of 283 athletes(18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01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belong to the individual and team sports in Kwangju·Cholla-namdo.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les tended to be vertical-collectivism whereas females horizontal-individualism. Second, middle school players tended to take horizontal- individualism, high school players horizontal-individualism and vertical-collectivism, whereas college players tended to take vertical-collectivism. Especially, most young players took the high inclination of horizontal-individualism. Third, high prize-winners showed the tendency of horizontal-individualism, medium prize winners showed horizontal-collectivism, whereas players who failed to get a prize showed vertical-collectivism.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iving the leadership behavior according to sex. Fifth, there was difference in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in perceiving the leadership behavior according to age. Sixth, there was difference in training-instruction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prize-winning career. Seventh, there was difference in training-instruction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cultural value inclination of athletes.

      • 문화적 가치가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배명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As environmental concerns increasingly pose a significant threat to our existence, the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geared toward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considerations for our planet is increasing. A consensus is forming that humans are direct victim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culprits in polluting the environment through consumption. Most studies related to ethical consumption tend to examine consumption behaviors or purchase intention, and few focus on consumer ethical attitudes. However, since a positive attitude toward ethical consumption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leads consumers to purchase ethical products, it is important to form an ethical attitude that can lead to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when conditions such as price, accessibility, information, and quality are me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ultural valu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consumer ethical attitudes. Reflecting on consumers' awareness of serious environmental issu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amine the impact of cultural values(power distance, uncertainty avoidance, collectivism, masculinity, and long-term orientation)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ethical attitudes according to consum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according to gender, age, income, and academic background.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ltural differences, American consumers who are expected to be composed of various races/ethnicities were analyzed to warrant diversities among the sample.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predicted that high power distance, high uncertainty avoidance, high collectivism, low masculinity, and high long-term orientation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Research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is expe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consumers, provide basic data for consumers' environmental protection education and related program development, and help companies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part of a larger data collected with support from the Ukleja Center for Ethical Leadership in Long Beach, California. In order to secure cultural diversity in the study, a total of 686 responses were collected online by Qualtrics, a survey organization, from July to August 2022, targeting consumers aged 18 or older living in the United States from all geographical regions. A t-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by gender, a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according to age, income, and academic backgrou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as dependent variables, demographic variables(gender, age, income, education) as first-stage independent variables, and cultural values(power distance, uncertainty avoidance, collectivism, masculinity, long-term orientation) as second-stage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individual cultural value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power distance, collectivism, and long-term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and masculinity has a negative effect, and uncertainty avoidance has no influence. In other words, high power distance, high collectivism, low masculinity, and high long-term orient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Taken together, in this study, younger consumers, men as opposed to women, and those who are high in power distance, collectivism, and long-term orientation, while low in the masculinity,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looked at the influence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r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titude is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the environment when situational conditions such as price, accessibility, information, and quality are met. Consumers need to recognize that environmental issues are urgent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immediately for the long-term survival of mankind, so it is important and desirable to have an attitude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and perceive consideration for others is necessary not only for me, but for all of us.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develop differentiated consum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campaigns through various media. In addition, since the younger age group is influenced by following celebrities' SNS, celebrities providing information on ethical practic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through SNS will help consumers to have ethical attitud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expected to help companies selling eco-friendly products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to instill awareness among consumers in high power distance cultures that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is an important and desirable behavior. For consumers in highly collectivistic and feminist cultures, it may be helpful to emphasize that eco-friendly products are beneficial to society and that purchasing them is a practice of caring for others by contributing to the environment. A strategy that instills awareness among consumers in a culture with a high long-term orientation that the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enables future generations to live a sustainable life and enables long-term survival of mankind can be effective. Through this sales strategy, companies will be able to increase profits and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ird, each country and individual may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bu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nfluence of cultural value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related ethical consumption will be similar.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id for Korean consumers and companies. The results may also be used as helpful reference materials when Korean companies enter the United States. 환경 문제가 점점 우리 삶에 피부로 느껴질 만큼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환경보호와 지구를 생각하는 윤리적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인간은 환경 문제의 직접적인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소비를 통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는 점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의 윤리적인 태도는 소비자를 윤리적 제품의 구매로 이끄는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태도는 교육 등을 통하여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격, 접근성, 정보, 품질 등의 여건이 충족되었을 때 윤리적 소비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윤리적인 태도 형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문화적 가치는 소비자의 윤리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심각한 환경 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반영하여 문화적 가치(권력거리, 불확실성 회피, 집단주의, 남성주의, 장기지향성)가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소비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소비자의 윤리적인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시사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성별, 연령, 소득, 학력에 따라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여러 인종으로 인하여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권력거리, 불확실성 회피, 집단주의, 장기지향성이 높고, 남성주의가 낮은 문화의 소비자일수록 높은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를 고찰하는 것은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 소비자의 환경보호 교육이나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롱비치의 윤리 리더십 Ukleja 센터로부터 지원을 받아 수집된 자료 중 일부이다. 연구 대상의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미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경제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22년 7월부터 8월까지 설문 조사 기관인 Qualtrics에 의해 온라인 설문 조사 방식으로 총 686개의 응답이 수집되었다. 성별에 따라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연령, 소득, 학력에 따라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적 가치가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연령, 소득, 학력)을 1단계 독립변인으로, 문화적 가치(권력거리, 불확실성 회피, 집단주의, 남성주의, 장기지향성)를 2단계 독립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개인의 문화적 가치가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권력거리, 집단주의, 장기지향성은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남성주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불확실성 회피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권력거리가 높을수록,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남성주의가 낮을수록, 장기지향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가 높았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나이가 젊을수록, 권력거리, 집단주의, 장기지향성이 높을수록 남성주의가 낮을수록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경영학 측면의 윤리적인 소비행동이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집중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가격, 접근성, 정보, 품질 등의 여건이 충족되었을 때 환경 관련 윤리적인 소비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태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에게 환경 문제는 장기적인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당장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이므로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를 갖는 것은 중요하고 바람직하며 이는 나뿐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매체를 통한 캠페인 뿐 아니라 차별화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젊은 연령층은 유명인들의 SNS를 팔로우하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해 환경 관련 윤리적인 실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소비자들이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를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높은 권력거리 문화의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제품 구매는 중요하고 바람직한 행동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전략을 펼쳐야 하고, 높은 집단주의와 여성주의 문화의 소비자들에게는 친환경 제품은 사회에 유익한 제품으로 이를 구매하는 것은 환경에 기여함으로써 타인에 대한 배려를 실천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장기지향성이 높은 문화의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제품 구매는 미래 세대가 지속가능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으로 인류의 생존을 가능하게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판매 전략을 통해 기업은 이익을 증가시키고 사회적 책임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각 나라마다, 개인들마다 가지고 있는 문화적 가치는 다를 수 있지만 문화적 가치가 환경 관련 윤리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할 것이라고 예상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소비자나 기업에게도 유효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 기업이 미국에 진출할 때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적 가치에 기반한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중국 박물관을 중심으로

        왕쉐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7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문화 창의 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며 중국인의 문화 소비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문화 소비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중국의 박물관 문화 산업은 새로운 발전 단계에 진입했으며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은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사람들의 문화 소비를 주도하고 새로운 경제 성장의 포인트가 되었다.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은 박물관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하는 매개체이며 박물관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교량이며 박물관의 교육 기능을 지속하는 수단이다. 문화적 가치는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핵심으로서 문화를 전파하고 소비자들에게 인정을 받으며 교육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나 현재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태, 불충분한 문화적 의미, 박물관 자체의 특성을 무시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문화적 가치의 표현 또한 부족하여 제품의 혁신성, 독특성, 상징성, 교육성 및 다양성 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계획을 선별하고 최적화하는 효과적인 정량적 평가 방법이 부족하고 제품이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지 여부와 어떤 디자인이 소비자의 문화적 가치 인식에 더 도움이 되는지 평가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통해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디자인 특성 및 문화적 가치 차원을 요약하고, 문화적 가치에 기반한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디자인 평가와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정리하여 이론적인 기초로 삼았다. 둘째,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가설 모델을 구축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모델의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인터뷰 내용은 문화적 가치에 기반한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 모델에 대한 설문지를 형성하였다. 셋째, 설문지에 대한 사전 조사를 수행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 방법(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여 설문지의 과학성과 합리성을 보장하였다. 넷째, 사전 조사 연구 결과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하고 공식 조사와 검증적 요인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의 가설을 테스트하고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 지표를 결정함으로써 평가 지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다섯째, 엔트로피 방법의 계산 공식과 선형 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모델의 적합 값을 결합하여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의 평가지표 가중치를 계산 및 분석하고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은 일반상품과 구별되는 6가지 대표적인 특성, 즉 심미성, 실용성, 전달성, 기념성, 문화성, 교육성을 도출하였고, 이 6가지 특성은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모델의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둘째,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문화적 가치를 시각적 기호 차원, 상호작용적 행태 차원, 문화적 함의 차원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이 3가지 문화적 가치 차원은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 모델의 종속 변수로 사용하였고 이는,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문화적 가치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셋째,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는 제품 디자인 평가와 구매 의도의 관련성,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이 구매 의도에 대한 영향과 문화 가치가 구매 의도에 대한 영향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는 평가 모델의 구축에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넷째, 전문가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박물관 문화창의제품 디자인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모델의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디자인 특성 중 심미성, 실용성, 기념성, 문화성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전달성과 교육성은 문화적 가치를 통해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에 대한 각각의 변수들의 관계성을 통해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세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섯째, 엔트로피 방법과 선형 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모델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 지표의 평가 지표에 영향을 미친 가중치의 순위를 얻었다.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6가지 디자인 특성 중 교육적 가중치가 가장 높고 순차적으로 전달성, 심미성, 실용성, 문화성, 기념성이다. 문화적 가치의 세 가지 차원에서는 시각적 기호 차원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문화적 함의 차원과 상호작용적 행태 차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박물관은 문화의 전승과 전파를 위한 공간으로서 더 많은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디자인 평가 모델은 문화적 가치 우선을 강조하여 교육 기능의 연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또한 박물관 자체의 발전에도 중요하다.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디자인 평가 모델을 통해 제품이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소비자들이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들이 소비자들의 문화적 가치 인식도와 선호도를 이해하고, 디자인과 소비자들 간의 문화적 가치 인식의 일치를 실현하여 디자인의 무분별성을 줄일 수 있다. 박물관 문화창의제품의 문화적 가치는 매체 형태로 표현되어야 소비자들이 인지할 수 있으며, 교육적인 측면은 중요한 디자인 평가 기준이 된다. 교육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속성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이를 통해 박물관의 문화적 특색을 강조하고, 박물관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박물관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박물관 발전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In recent years, the global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and the level of cultural consumption among Chinese people has been continuously rising. With the rapid growth of cultural consumption, China's museum cultural industry has entered a new stage of development, and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have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driving people's cultural consumption and a focal point for new economic growth.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serve as mediators that carry forward the history and culture of museums, bridge the gap between museums and consumers, and continue to fulfill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The cultural value is at the core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as they propagate culture, gain recognition from consumers, and realize educational functions. However, at present,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generally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similar forms, insufficient cultural significance, and disregard for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themselves. Moreover, the expression of cultural value is also lacking, resulting in a lack of innovation, uniqueness, symbolism, educational aspects, and diversity in the products.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effectiv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o select and optimize plans, making it difficult to assess whether the products reflect cultural value and determine which designs would better assist consumers' perception of cultural value.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summari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value dimensions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focusing on cultural value. The evaluation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based on cultural value and its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were organized as a theoretical foundation. Second, a hypothesis model for design evaluation was constr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he variables of the model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the interview content was used to form a questionnaire for the evaluation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based on cultural value. Third, a pre-survey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cess the data, ensuring the scientific and rationality of the questionnaire.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urvey,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a formal survey was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establish evaluation indicators for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thereby constructing an evaluation indicator system. Fifth, combining the calculation formulas of entropy method and linear regression, the fitness values of the model were computed and analyzed. The weight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were calculated, and a model for the evaluation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was construct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x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from general goods were identified: aesthetics, practicality, communicability, commemorative value, cultural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value. These six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evaluation model for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Second, the cultural value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visual symbol dimension, interactive behavior dimension, and cultural implication dimension. These three dimensions of cultural valu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in the evaluation model for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emphasizing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cultural value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and purchase intention was clarified. This includes the relevance between product design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impact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value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this relationship was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the evaluation model. Fourth, through expert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results, the evaluation model for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sign was constructed, confirming the rationality of the model. Amo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aesthetics, practicality, commemorative value, and cultural significance can directly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hile communicability and educational value can affect purchase intention through cultural value.

      • 상호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문화교육에서의 가치관교육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풍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447

        이 논문의 목적은 상호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가치관교육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문화지식을 습득하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이를 의식적·능동적으로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상호문화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가치관교육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의 사고방식 등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문화를 바라보고 중국과 한국의 문화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며, 문화의 중계자 역할을 발휘하고 여기에서 더 나아가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의 국제화 및 다원화를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양성하기를 기대한다. 한국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당위론과 원칙론에 치우쳐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선행 연구에서 조금 더 나아가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문화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에 집중하고자 하며 ‘어떠한 내용의 교수·학습을 통해 어떠한 목표를 달성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답을 내고자 한다. 문화교육에 있어 상호문화적 접근은 그 필요성이 요구된다. 진정한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한 문화교육을 이루려면, 문화교육 목표와 내용의 설정부터 상호문화적인 접근을 해야 논리에 맞는 것이며, 실제 문화교육을 시행할 때에도 교육 목표에 이탈하거나 감가(坎坷)된 상황을 감소하여 보다 원활하게 교수·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호문화적 접근에 입각하여 ‘한국문화교육 목표’ 및 ‘가치관교육 내용’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문화교육에 대해 논의할 때, 문화교육의 목표를 문화 지식에 집중하여 연구하고, 이를 교육 대상인 학습자의 변인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또한 문화내용이 한국어능력과 연계되어 수준별로 제시되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 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상호문화적 접근에 기반하여 한국문화교육 목표 및 가치관교육 내용을 검토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기존 연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문화교육 목표와 가치관교육 내용의 분석 및 설정하는 데 모두 상호문화적 접근에 입각하여 이를 병행(竝行)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한국문화교육 목표 및 가치관교육 내용을 설정하였고 이는 모두 중국과 한국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셋째,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문화교육 목표의 상호문화적 능력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이 개념은 기존 연구의 상호문화능력과 구별되는 보다 광범위한 개념이다. 넷째, 한국문화교육 목표 및 가치관교육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 역시 상호문화적 접근에 입각하여, 양국의 외국인과 자국인을 위한 교육과정(즉, 국제통용표준교육과정과 초·중등교육과정)을 통해 파악하였다.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는 크게 총괄 목표와 상호문화적 능력, 이 두 가지로 설정된다. 이 중 교수·학습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할 목표는 상호문화적 능력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문화교육의 목적은 학습자가 다양한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들과 상호문화교육에서는, 상호문화능력을 주로 집중하여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용어인 상호문화적 능력은 기존 연구의 상호문화능력과 구별하여 사용하며, 이는 상호문화능력과 문화능력으로 구성된다. 왜냐하면, 외국인을 위한 문화교육에서는 학습자의 모국 문화를 이해하고 수행하는 능력이 결정적인 요소이므로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한 문화교육에서는 이를 상호문화능력과 함께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적 능력은 중국과 한국의 관계 속에서 다루어, 중국인 학습자의 특수성에 따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맞춤 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한 가치관교육 내용은 중국인 학습자에 따라 중국과 한국의 관계 속에서 다루어 설정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가치관을 분류하거나 한국인의 가치체계에 대한 연구에 치우쳐있다. 이를 대책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외국인을 위한 문화교육과 자국인을 위한 문화교육에서 다뤄지는 가치관 내용을 추출하여 상호문화적 접근에 입각하여 중국과 한국 관계 속에서 다루어 설정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문화를 접할 때, 중국문화와 유사한 내용부터 학습하게 되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호문화적 접근에 입각하여 설정한 한국문화교육 목표 및 가치관교육 내용을 연결하여, 기존 연구과 현행 한국어(문화)교재에서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케이크이론(즉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결과물이 바로 가치관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가치관교육인 만큼 교육 자료로서의 특수성이다. 상호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가치관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며 유의미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 변인을 고려하여 보다 더 다양한 문화 내용에 관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문화적 가치성향에 따른 지역애착도와 프로스포츠팀 동일시 및 충성도의 관계

        이효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지역연고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프로스포츠의 활성화, 즉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도록 지역주민의 문화적 가치성향에 따른 지역애착도와 지역연고 프로스포츠팀 동일시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역사회, 프로스포츠 구단, 지역주민 상호 간 협력적 관계 구축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의 재학생들 중 출생지가 대구광역시인 학생들로만 한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서 총 350명을 표집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을 적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으며,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응답성이 불성실하거나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로 판단되는 12부를 제외한 338(96.5%)부의 설문지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성향에 따른 지역애착도와 프로스포츠팀 동일시 및 충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문화적 가치성향이 지역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문화적 가치성향의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직적 개인주의 성향,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지역친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적 가치성향이 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문화적 가치성향의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팀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문화적 가치성향이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문화적 가치성향의 수직적 집단주의 요인이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역애착도가 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이 팀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지역애착도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이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 지역친분성이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팀 동일시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팀 동일시는 행동적 충성도와 태도적 충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프로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팀에 대한 동일시와 충성도와 같은 적극적 참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팀 동일시와 팀 충성도는 개인의 집단주의적 성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연고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프로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애착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지역연고 프로스포츠 구단의 발전에 지역사회 또한 관심을 가지고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대해 애착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함께 힘써야 할 것이며, 비충성적 팬인 잠재고객의 특성 파악이 함께 수반된다면 스포츠 팬 행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establish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 among communities, pro sports teams, and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regional attachment by local residents' cultural value Inclination and their effects on local pro sports team identification and loyalty in order to activate national pro sports based on local relations, or to induce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a total of 350 Daegu-born students at K University in Daegu,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by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of 350 copies returned, 338 (96.5%) comprised a valid sample, with the exception of 12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or showing some omissions. For data processing, an SPSS 15.0 program was used, and Cronbach'α coefficient was estimated to test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relations between regional attachment by individuals' cultural value Inclination and pro sports team identification and loyalty, which was tested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for effect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n regional attachment, sub-factor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cal identity and local dependency, while vertical individualism,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cal acquaintanceship. Second, as for effect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n team identification, the sub-factor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r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as for effect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n team loyalty, the sub-factor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r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loyalty, whil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inal loyalty. Fourth, as for effects of regional attachment on team identification, local identity and local dep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m identification. Fifth, as for effects of regional attachment on team loyalty, local identity and local dep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loyalty, while local identity, local dependency, and local acquaintance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inal loyalty. Sixth, as for effects of team identification on team loyalty, team identif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To put the results together, pro sports activation should be preceded by local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including team identification and loyalty, which are affected by personal collectivism and attachment to a community.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enhance a feeling of attachment to the community among local residents in order to activate national pro sports based on regional relations. It is necessary for communities to take interest in development of local pro sports teams and allow local residents to feel attached to them;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customers who are not loyal fans will be useful in analyzing sports fan behavior.

      • 문화적 가치가 광고 모델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신체이미지 차이 지각을 조절변수로

        정미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447

        In fact, decorative model affect advertising effectiveness a lot. Especially in case of emotional product, the role of advertising model is really important and cosmetic product is one of them. The image of decorative model is important in cosmetic advertisement and particularly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model is emphasized. Recently cosmetic industry has been developed and has become competitive, advertising models are changing. This research examine phenomenon of this changing and study whether consume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will respond differently to this kind of advertisement. Especiall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Sex and perception of the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decorative model and self. Many cosmetic companies have been using female movie stars or singers in advertisements. However, in these days, many companies began using male decorative models, so called KkotMinam in Korean. Cosmetic advertisement sensitive to the social beauty, so these changing is one of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represents some cultural values ​​of our society was changed. It is really meaningful that which cultural value influences to this changing and whether the impact is positive or negative. However, there are only few paper studying between cultural value and evaluation of the decorative model. This paper aims to study whether the use of a male decorative model in cosmetics advertisemen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who has different culture values.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more cultural values are added in this paper and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the sex. Also, perception of the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decorative model and customer is studied as a moderating factor to the evaluation of advertisement. The major finding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asculinity and long-term orientation significantly affects consumers' attitudes toward decorative male model in cosmetic advertisement. The more masculine the consumers were, the more unfavorable were their attitudes toward KkotMinam decorative model. Masculinity stands for a position in which social gender roles are clearly distinct, so they have hostility to the new male character who are used in cosmetic advertisement. In case of long-term orientation value, the more long-term orientation the consumers were, the more unfavorable were their attitudes toward decorative male model. Also,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on of the model and evaluation of the advertisement and brand was proved.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power distance, collectivism and religion were rejected. Secondly, the moderating role of the sex was examined. In case of male respondents, masculinity and power distance significantly affects consumers' attitudes toward decorative male model in cosmetic advertisemen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female respondents, uncertainty avoidance, Long-term orientation and religion significantly affects consumers' attitudes toward decorative male model. Lastly, customers who largely perceive physical image between model and themselves does not have a good feeling toward decorative male model. They feel negative emotions because body-esteem of those people is reduced. And these negative feeling spread to the evaluation of the advertisement. This research propose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Findings of present research provide cultural value affects on the attitude toward the model and the influence of the cultual value depends on sex. Also, it is important to manage negative feelings when customers recognize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decorative model and themselves. Those results will be valuable for marketers who use physical decorative model. 현실적으로 광고모델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특히 감성적 제품들은 광고 모델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는데 그 중 하나가 화장품 제품이다. 화장품은 광고 모델의 이미지가 다른 어떤 제품보다 중요하며 특히 모델의 신체적 매력도가 많이 강조되는 편이다. 최근 화장품 산업이 발전하고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면서 광고 모델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산업 광고모델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런 광고모델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가치들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사실 화장품 광고는 미녀 배우들의 전유물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름다운 외모를 지닌 남성들이 화장품 메인 광고모델로 속속 등장하면서, 소위 '꽃미남' 열풍이 한국 화장품 시장에 불고 있다. 가장 유행에 민감하고 시대적 외모에 관심이 큰 화장품 광고의 변화는 분명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이며 우리 사회의 문화적 가치 변화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사회에 어떤 문화적 가치가 이렇게 변화된 화장품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그 영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알아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 중에 문화적 가치와 광고 모델 평가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가치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 소비자들의 문화적 가치가 최근 트렌드인 화장품 꽃미남 광고 평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있던 문헌보다 문화적 특징 구성개념을 좀 더 확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문화적, 종교적 특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동시에 신체적 특징을 강조하는 화장품 광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수로 모델과의 신체이미지 차이 지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남성주의 요소가 꽃미남 모델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주의의 방향성은 원래 가설과 일치하였으며, 남성주의가 강할수록 꽃미남 모델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남성주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성 역할을 뚜렷하게 구분 짓기 때문에, 화장품 광고에 새로운 남성의 모습이 그려지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델에 대한 태도가 광고에 대한 태도로 그리고 브랜드에 대한 태도로 이어지는 경로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권력거리와 집단주의, 불확실성 회피, 장기지향성 그리고 종교성의 영향력은 기각되었다. 둘째, 남성 응답자와 여성 응답자를 구분지어 분석해본 결과, 성별에 따라 문화적 가치 영향이 굉장히 다른 것을 볼 수 있었다. 남성 응답자의 경우 가설과 같이 권력거리와 남성주의가 강할수록 꽃미남 모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여성 응답자의 경우 남성 응답자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보였던 권력거리, 집단주의, 남성주의는 꽃미남 모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불확실성 회피, 장기지향성, 종교성이 모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밝혀졌다. 그 중 장기지향성은 가설과 같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불확실성 회피와 종교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델과 자신의 신체이미지 차이를 크게 지각할수록 즉, 모델의 신체이지미가 자신보다 더 낫다고 생각할수록 광고태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보였다. 소비자는 자신의 이상적 기준과 실제 자신의 차이를 인식하면서 신체존중감이 저하된다. 그로 인해 기분이 우울해지는 등 부정적인 감정을 겪게 되는데 그런 부정적인 감정이 그대로 광고태도에 전이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화장품 산업의 광고 나아가서 모델의 신체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광고를 사용하는 모든 마케팅 실무 담당자에게 시사점을 준다. 먼저 문화적 가치가 광고 모델 그리고 광고를 평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공하였고, 한 문화권 내에서도 성별에 따라 각각의 문화적 가치가 다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공하였다. 즉, 모델을 강조하는 광고를 제작할 때 제품의 주요 고객층의 문화적 가치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가 모델과 자신의 신체이미지 차이를 얼마나 크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광고에 대한 태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모델의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접하고 생기는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감정이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나아가서 구매의도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는 또 다른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추가하여 여러 다른 나라와의 비교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모델과 자신의 신체 이미지 차이를 지각하며 느낄 수 있는 여러 다양한 감정들에 대한 연구도 확대 진행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문화적 가치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까오윈멍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7

        한국과 중국의 다양한 교류에도 불구하고 중국 소비자와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국내 거주 중국인들이 늘어나고 중국과의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활성화 되는 시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문화차이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이해하려는 것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문화적 가치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의 마케팅전략 특히 광고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려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문헌연구의 내용은 문화적 가치로서 합리주의, 자아의식, 보수주의, 공동체, 개성 그리고 광고효과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토대를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가설을 살펴보면, 문화적 가치인 합리주의, 자아의식, 보수주의, 공동체, 그리고 개성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주 내용으로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이러한 문화적 가치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에 따라 다른 지에 관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수립된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한국의 대학생과 중국 현지에 살고 있는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한국학생이 182명, 중국학생이 156명 이었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것은 한국대학생 182부, 중국대학생 156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신뢰성분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값을 구하였으며, 타당성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크론바하 알파값은 비교적 만족할만 하였으나(0.87~0.91) 요인분석 결과는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한국학생의 경우 자아의식과 공동체가 광고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합리주의는 한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중국학생의 경우 보수주의와 공동체가 광고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합리주의는 한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 학생을 비교한 결과 공동체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정도에서는 한국(0.091)이 중국(0.022)보다 다소 강하였으며, 합리주의도 한국(0.047)이 중국(0.035) 보다 약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한국은 보수주의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유의적이지 못하였으나 중국은 보수주의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성은 양국 모두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학생의 경우 자아의식과 공동체가 광고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자아의식과 공동체를 강조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광고를 제작하여 노출시키도록 한다. 둘째, 중국학생의 경우 보수주의와 공동체가 광고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보수주의와 공동체를 강조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광고를 제작하여 노출시키도록 한다. 셋째, 양국의 학생 모두 합리주의가 광고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광고제작 시 합리주의를 고려하도록 한다. 넷째, 양국 모두 호의적인 광고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광고를 제작하여 노출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호의적인 상표태도가 형성되고 구매의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양국 학생들이 모두 공동체가 광고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양국이 모두 동양권의 국가이며, 전통적인 유교관이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학생의 경우 자아의식이 광고태도에 유의적인 것으로 볼 때 산업화와 경제발전 등으로 1960~70년대에 비해 현대의 젊은이들이 보다 개인적이며 자기중심적인 사고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그대로 나타난 결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중국학생들의 경우에는 보수주의가 광고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유교적 사고가 한국학생들에 비해 보다 깊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보이며, 산업화와 경제적 발전이 한국에 비해 늦고 정치체제의 차이에 따른 영향이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양국 모두 개성이 광고태도에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이유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성향이 특정의 광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못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관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으로 양국의 대학생 각각 150명 이상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이들이 양국의 대학생을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둘째, 문화적 가치의 속성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섯 가지를 선정하였으나 양국의 문화적 가치를 완벽하게 모두 반영하였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토대로 향후 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