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지방도시의 문화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한·중 지방도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선순환 교육시스템 연구 : 조선대학교와 저쿠우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5

        The 21th Century witnesses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lso decreased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imbalanced development and local economy. According to research,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growth rate,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population concentration is aggravating in Korea in recent years. In addi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capital concentration, many professionals are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ack of local professionals and the loss of local excellent resources have led to uneve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deep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and becoming an obstacl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Currently, China also witnesses similar conditions. In the year 2010 and 2020, according to the 6th and 7th nationwide census, the school 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population aging is accelerating, leading to an imbalanced population structure. Therefore, wealth gap, population faulting, and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are common problems that Korea and China face, whose root cause lies in the imbalanced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s in the two nations issued the national policys of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The policy goals of Korea and China are to eliminate the polarization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area, wealth gap, increase social productivity, leading to th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region. The important resource to realiz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is human resource, and the supply and nurturing of talent is closely linked to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is the precondition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nationwide. When researchers come to Korea for further study, through the in-depth stud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t is found that the Korean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going through further improvement, and faster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the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in the Local City University of China is slow and unbalanced in confronting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analyzes and studies the decreased population and changing industry, and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the Department of Manga and Animation, Chosun University, Regional City University. They also proposed that counter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the cultural ecosystem of the university that the researchers work in, that is, Department of Animatio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Chinese Local City Universities. For the Chinese comic education development, personnel cultivating program that is international, cutting-edge, and with innovative conciousness, is seriously needed. The Korean Comic industry ranks third in the world, and its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developing soundly. Korean cartoon education occupies a leading place in the world. On the contrary, the current comic education system in Chinese universities is witnessing unbalanced development. China borders Korea, with similar culture, historical background,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two nations are witnessing similar problems in their development process. In case of similar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 that is suitable for Chinese comic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Korean com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and using Korean comic education system as reference. Especially for solving the problem of local hollowing becaus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 talents' coming to the capital circle, excellent talents should be fostered through quality education to serve local companies. Combined with national policy, the cultural ecosystem should be stimulated through the bond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this thesis will draw lessons from the education model of cultural industry virtuous cycle system in the Department of Cartoon Animation, Korea Chosun University, and proposes reform plans suitable for the animation development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in China. When conducting the preliminary thesis theory research and sorting out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apers analyzing the curriculum setting of college animation education. Most are focusing on three educational studies: "education, teaching, and education infrastructure(environment and facility)". However, this thesis is different. The key of this research is in "education system". As a local university, to maintain its balanced development with capital circle universities, Chosun University's education system in its animation department takes three curriculum projects as the pillar, including "entrance exam, education project, employment". The deepened part in the research content conducted a concentrated study of the specialized "teaching curriculum,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Chosun University. About the "education system", this thesis firstly analyzes and sorts out the animation major entrance exam institutions in three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refers to the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curriculum and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six universities in the capital circle of Korea and China, middle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university. Thirdly, contrast and analysis is made about the employment and future after the animation department students in three colleges in Korea and China became graduates. At last,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s of the animation departments in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more detailed content contrast and analysis is conducted in terms of animation education and operation of the two universities.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study of the animation department in the Gwangju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of the Korean and Chinese Local City.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theoretical research of the related industry and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of the cultural industry, animation, Korean "Balanced Development" and Chinese "Common Prosperity".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entrance exam system, education program, and employment in Korean and Chinese Capital Circl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medium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city, Korea Hushi University, Korea Chosun University,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Shandong Institute of Arts and Crafts,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After the author analyzes the pape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education and cultural industry in local universities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virtuous cycle system among the company, 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ions. Industrial development requires excellent talent, and the excellent education that nurtures talent. To nurture professional talent, support policies from government institutions and cultural industrialization in local cities are needed. Finally, to realize the virtuous cycl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ecosystem, policy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ocal cities is needed. Cultural industrializ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related enterprises are needed. Thirdly, an interconnected virtuous cycle of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is neede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eco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virtuous cycle substitution plan of the China Local City University and Local City Cultural Industry Revitaliz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population decrease and capital cycle talent concentration. This study will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education systems, to find out the effective plan that suits the Chinese common prosperity policy and Korean balanced development policy, and to provide good basic information to study the cultural ecosystem cycle development method in local city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detailed analysis, research and sorting out are made of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department education system in Chosun University can rapidly respond to the cultural change and social and industrial needs.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its cultural ecosystem is expected to be the plan for improving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local city universities in China. The production of this thesis is in the period from 2021 to 2022, with two years' study. Because of Covid 19, the field visit i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and other realistic research has its space limitation. In addition,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of six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and other universities are not involved. Therefore, the research content is not comprehensive enough, with room for improvement. Besides, this paper has limitation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yond the three main research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 and employment, includ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However, if there are any opportunities, comprehens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is topic. 21세기는 경제·문화·과학기술이 급성장하는 시대이자 학령인구감소, 수도권과 지방 경제발전의 불균형 시대이다. 한국에서 출산율 하락, 학령인구감소,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최근 몇 년 사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업의 발전 및 자본의 집중화로 인하여 많은 전문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방에는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지방의 우수자원이 계속 빠져나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결국 수도권과 지방 간 경제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고,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격차가 더욱 심화되면서 국가의 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현재 중국도 비슷한 상황으로, 2010년과 2020년 중국의 제6차 및 제7차 전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현재 학령인구가 점차 감소하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어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부격차, 인구절벽, 수도권 집중 등은 중국과 한국이 직면한 공통적인 문제이며 그 근원은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 '균형발전', 중국은 '공동부유'와 관련된 정책을 펴고 있다. 한국과 중국 모두 수도권과 지역발전의 양극화 해소와 빈부격차 해소, 사회적 생산성 향상으로 수도권과 지방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책의 목표이다. '균형발전'과 '공동부유'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바로 인재 자원이다. 인재의 공급은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따라서 국가의 '공동부유'나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교육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결 조건이다. 연구자는 한국에 유학을 와서 한국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과 이해, 한국 대학교의 수업 과정을 통하여 한국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이 체계적이고 사회와 산업발전에 대한 대응에 빠른 데 반해, 중국 지방도시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과 발전이 사회와 산업발전의 대응에 다소 느리고, 불균형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한국의 인구감소와 빠른 산업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지방도시 대학교인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선순환 교육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연구자의 직장인 저쿠우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를 비롯한 중국의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화, 첨단화, 다양한 창의력을 가진 인력양성 방안이 절실하다.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은 현재 세계 3위이며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애니메이션교육 방면에서도 선두에 서 있다. 반면 중국 대학교의 현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은 다소 불균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과 인접해 있어 문화적·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환경이 비슷하다. 이 때문에 두 나라가 발전하면서 겪는 문제점도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큰 발전을 이룬 한국의 애니메이션산업과 산업의 근간인 전문인력양성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을 참고하여 중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수도권 집중화로 인하여 학생과 전문인력이 수도권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방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의 산업체에 공급해야 하며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공공기관과 연대하여 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산업의 선순환 발전을 도모하는 교육시스템을 운영하는 한국의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를 벤치마킹하여 중국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발전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문화산업과 애니메이션, 한국의 '균형발전'과 중국의 '공동부유'등 산업과 사회적 현안 및 정책에 대해 진단하였다. 본 논문 후반부에서는 한·중 양국의 대학 애니메이션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중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중국전매대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산동공예미술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저쿠우사범대학교 3개 대학교와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호서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조선대학교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하여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 3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 및 비교 분석하면서 이론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많은 논문들이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 다른 많은 연구들은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3가지를 교육 연구의 주된 연구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논문은 선행연구의 '교과과정'이나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의 내용과는 달리 '교육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는데,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지방도시 대학교로서 수도권 대학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운영하는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에 대한 교육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심화 내용으로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특성화하고 있는 '교과, 비교과' 및 '국제화, 산학협력' 등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시스템'과 관련하여 첫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중국의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학과 입시제도를 분석,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 국제 교류 등에 대하여 한·중 수도권, 중소도시, 지방도시의 6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한국의 3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학생의 졸업 후 취업 및 진로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시스템 분석을 위하여 두 대학의 애니메이션교육 및 운영 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도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과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업체, 대학교, 공공기관의 선순환 시스템에 기반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훌륭한 산업체에는 우수한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훌륭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기관의 지원 정책과 지방도시의 문화산업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문화생태계를 위해, 첫째, 국가 및 지방도시의 지원정책, 둘째, 문화산업화 및 관련업체의 활성화, 셋째, 전문인력양성 교육 등이 상호 연계된 선순환이 필요하고 이를 '문화생태계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화 등의 문제점을 당면한 중국 지방도시의 대학교와 지방도시의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의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과 한국의 균형발전 정책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찾고,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선순환 발전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중 애니메이션학과 교육시스템을 상세하게 분석, 연구 및 정리하였고 연구결과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산업적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교육시스템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그리고 중국의 타 지방도시의 대학교의 교육시스템 개선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2년 2년간 진행한 연구로서 코로나로 인하여 중국과 한국대학교의 현장 방문 등 실제 조사연구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중국 및 한국의 6개 대학을 선정하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전면적인 연구로서 완벽하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시/교육/취업 외 장비 교육환경 등 인프라와 담당교수 등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지만 차후 기회가 된다면 이 주제를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기독교문화콘텐츠 활성화 전략 : 의의 고찰과 생태계 분석을 중심으로

        최선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21세기 과학 문명의 특혜를 누리며 살아가는 현대인은 인간성을 상실할 위기에 처해있다.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과 문화의 복잡성이 인간을 단순화시키는 역기능을 낳고 있다. 누군가는 위기에 처한 현대인의 상황을 파악하고 회복의 길을 제시해야 한다. 바로 기독교문화가 해야 할 역할이다. 기독교는 먼저 사회와의 간극을 줄이고 한국 사회의 현실과 필요를 깊이 있게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그 현실을 극복하고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기독교의 원천 자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꾸준히 제작 보급하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현대인은 기독교의 복음과 자연스럽게 마주할 수 있다. 이는 기독교로서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일 수 있으며, 한국 사회로서는 사회 문제 해결에 기독교의 도움을 받는 일이자 기독교 세계관을 갖춘 전문 인력들이 한국의 문화산업에 기여하는 일이기도 하다. 한국 교회와 신자는 한국 사회 속에 기독교문화를 창조해야 한다. 그것은 비단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와 세계에까지 공헌하고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 기독교 복음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한국의 고유한 형식을 창출, 그것에 기독교적 의미를 담을 수 있도록 구체적인 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독교문화콘텐츠의 정의를 논의하고 생태계 관점에서 기독교문화콘텐츠 산업을 파악한 본격적 연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또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래 생태계적 논의에서는 생태계 내부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변수들과의 관계, 그리고 생태계 외부의 요소들과의 관계 등에 대해 치밀한 분석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핵심적 목적은 기독교 문화콘텐츠 1차 창작자들이 갖춰야 할 여러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외부 기관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기독교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보다 정밀하고 복합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특히 기독교 문화콘텐츠 각 부문의 활성화를 위한 세부 연구, 생태계들의 구성 요소 간의 관계, 그 관계 속에서의 상호 관계, 발전적 진화를 위한 그들 간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태도 및 1인창작전문기업 육성 방안

        류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184159

        본 연구는 생태계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문제점의 발견과 그 정책적 해결 방안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첫째,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시장 구조 확인과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의 확인 및 역할, 상호관계들의 파악 시도 둘째, 문민정부에서 현재까지 문화산업분야, 문화콘텐츠 창작분야, 문화콘텐츠 분야 등의 정책 분석과 정부의 전반적인 창업 정책 분석 셋째,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과 유사 기업군들에 대한 특성 및 성공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의 특성에 대한 분석 시도 넷째,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행동적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 다섯째, 이상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창작자의 창업에 대한 태도 분석을 위해 정량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량조사는 문화콘텐츠 창작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다양한 능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여섯째, 문화콘텐츠 각 분야별 창업에 대한 요구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심도 높은 파악을 위해 문화콘텐츠 창작자 8명을 대상으로 한 FGI와 문화콘텐츠 전문가 15명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곱째, 이상의 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은 전공 또는 희망 직종에 관계없이 모두 창업에 대해 낮은 태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상태에서는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는 이루어 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이에 대한 적극적 해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현재 문화콘텐츠 창작자의 창업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 확보이다. 때문에 창업은 창업 후 보다도 창업에 대한 의사결정 이전 단계에서의 지원과 배려가 중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는 전략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단계별 지원을 필요로 한다. 첫째, 창작기능습득단계로 창업 가치에 대한 인식과 창업에 대한 심리적 특성 강화, 도전의식 등이 주요 요소가 된다. 둘째, 창업관심단계로 사업전개에 필요한 마케팅, 경영, 인터넷 등 사업화 능력 배양과 자신감 확보, 상담지원 활동의 강화, 인큐베이팅 활동, 문화콘텐츠 분야별 특성에 따른 특성화된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교류와 사업 아이템 개발 지원이 중요하다. 셋째, 창업준비단계로 창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 향상 및 초기 창작활동을 위한 다양한 제작 지원책 마련이다. 맞춤형 창업정보 제공과 멘토링 프로그램, 상품 제작을 위한 지원 및 복지적 관점에서의 지원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창업초기단계로 제작인프라 지원, 마케팅과 유통 지원, 공동 프로젝트 전개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주체로서 정부, 지자체, 대학 등은 각각의 위상에 맞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핵심 지원 요소로는 창업 공간, 네트워크 구축, 장비 및 기술적 지원 등으로 지원 주체 세 곳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기본 요소들이다. 지원 주체별로는 대학의 경우 교과 과정 내에 학점과 연계하여 재학 중에 사업 아이템이 완성될 수 있는 기반 조성과 창업에 대한 긍정적 가치 인식 확대를 하여야 하며, 지자체는 창업 준비 및 초기 단계에 경제적 기반 환경 조성과 지역 기반 문화콘텐츠 창작물들의 유통・마케팅 지원을, 정부는 지자체와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 활동과 제도·법률적 지원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을 통한 1차 창작물의 양적, 질적 확대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체의 활성화는 물론 방송·통신·전자 등 대부분의 기존 산업에서 경쟁력 확보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인창작전문회사는 문화콘텐츠 1차 창작물 생산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상으로서 이들의 활성화는 문화콘텐츠 생태계 전체의 활성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위계적 구조의 개선, 창작물이 아닌 창작자 중심의 가치 인식, 자본과 유통이 아닌 창의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쟁, 특정 분야만의 왜곡된 선택과 집중이 아닌 문화콘텐츠 전 분야에 걸친 공동의 발전, 기술자·비사회적 예술가로서가 아닌 창작자로서의 존재 인식, 대학 그리고 정책의 역할에 대한 명확성 확보, 마지막으로 창작 중심 상태에서 창작자들 간의 협력과 공동 발전 모색 등이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 육성의 핵심적인 가치이며 나아가 문화콘텐츠 생태계 전체의 활기를 만들어 내는 핵심적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discovering problem areas based o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business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exploring ways to resolve policy matters. To that end, the paper makes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First, the paper identifies cultural contents business structure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cultural contents ecosystem and their functions and mutual relations; second, the paper analyzes policy areas, such as cultural business sector, cultural contents creation sector, cultural contents sector from the dawn of the civilian government to today, and analyzes the government's general entrepreneurial policy; third, the paper, through reviewing pri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and similar business entitie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fourth, in order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reato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business matters, the paper reviews prior studies on them; fifth,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studies, the paper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reators' attitudes on business foundation. A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paper conducted tests on 500 cultural contents creators, and through this, the paper was able to find out their psychological attitudes and various capabilities towards business foundation. Sixth, in order to attain in-depth analysis of demands for each sector in cultural contents business and its revitalization schemes, the paper conducted FGI on 8 cultural contents creators and expert test on 15 cultural contents experts. Sevent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paper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As for the paper's findings, the cultural contents creators showed low attitude on business foundation regardless of the person's major or job that one wants to land 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revitalization of business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would not be realiz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e matter ultimately. Present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business attitude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is psychological factor, and it pertains to securing awareness about the business foundation and confidence. Therefore, as for establishing a business, it is more important to provide support and needed attention during stages before one arrives at a decision to establish a business, than to give them after one has already established a business. For revitalizing cultural contents creators' business establishment, the following step-by-step support is needed in strategic point of view. First, as acquisition stage for creative functions, awareness about business value, psychological reinforcement on founding a business, and a sense of challenge are primary elements. Second, as nurturing interest stage for founding a business, honing the needed business skills, such as marketing, managing, and internet skills, securing self-confidence, reinforcing counseling activities, supporting incubating activities, providing specialized support to each cultural contents sector, facilitating exchanges through building networks, and supporting development of business items are important. Third, as preparation stage for founding a business, forming social values about founding a business and providing various assistance programs for initial creative projects are important.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on founding a business, mentoring programs, support in development business items, and assistance programs from welfare point of view are necessary. Fourth, as initial stage of founding a business, providing production infrastructures, marketing and distribution supports, and structures for coope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are needed. As supporting entities for revitalizing business foundations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must each perform its role consistent with its authority. As for primary support areas, providing space for founding a business, network structure, and equipment and technical support are basic areas on which these three supporting entities must consider providing services on. As for the universities, they must consider creating a foundation where students can develop business items while they are in school and for which they could obtain credit hours so that positive value on business foundation can be instilled. As for the local government, they need to create an economic foundation on which to support preparatory and initial stages of business foundation and to provid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ervices for regional cultural contents business products. As for the central government, it needs to provide policies that can induce cooperations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universities, and systemic and legal foundations. The expans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irst level products through cultural contents creators' business foundation can be said to be the central factor to not only the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cultural contents business but also the securing of competitive edge for the existing businesses like media,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One-person companies are central players in first level cultural contents products and their revitalization implies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cultural contents ecosystem. To that end, for promotion of one-person companies on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the emphasis must be put on improv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awareness of the value put on creator-centeredness rather than product-centeredness, new competition focusing on creativity rather than capital and distribution, general and equal development of the entire cultural

      •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전승에 관한 연구

        오정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022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ransmissions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may be cut off because a distorted concept of it could not be corre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der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it is separated from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and protected and managed under the national system, by focusing on a risk phenomena, the transmission interruption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criticize concept and method dichotomy in the current institutio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consider the problem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transmitted mainly by holders having skills and accomplishments by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s. Furthermore, the last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of policy emphasizing an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which allows nurture, change and development of local people, which may ensure continuous transmiss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nd a transmission system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principle in which the system is operated by self-recovery and natural rule of the ecology, the ecology rule.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uses as a primary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means to reciprocally pursue harmonized life by recognizing that all things on the earth are not independent but connected by life web consisting of entire relationships and that only a damage or destruction of even a par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And the ‘ecology theory’ means that a system is maintained with only internal self-recovery, without the premise or mobilization of external intervention by applying some nature rules of ecology such as good circulation, self-organization, co-evolution to the operation of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7 problems can be analyzed by reviewing concept establishment and protection and transmission measur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First,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efined by using the term cultural heritage applied to goods or objects whose ownership can be judged like the tangible one. From the selection of word, it can be guessed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recognized as a concept of visual object as the tangible one. This tendency can be verified in the principle of keeping original form. Second, tangible and intangible forms are dichotomized according to form and stipulation of category is limited to only intangible form. However, althoug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the concept including tangible object and even space, given that most of it is a process in which a product is made, or an activity in a given space by using properties, tools, costumes and so on, such a situation is ignored in the current stipulation content. Thir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ity and province intangible one are indicated on the basis of importance, site, main body to indicate and manage it, and 8 genres such as theater and dance, and sub-items are divided based on the genre and subject, all of which ignore some interrelation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urth, current transmission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system from the lowest position, transmission scholarship students, trainees and teaching fellows for transmission education to the highest position, holders and emeritus holders. Therefore, the hierarchical order is established among heirs and an exclusive factionalism is promoted. Fifth, according to the current metho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city and province intangible one are designated depending on importance of them. Hence, differential order occurs between designated and undesignated one. Sixth, the current method allows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o be conducted by depending on holders having skills and accomplishments. Thereby, if some problems happen to the holders, the transmission is likely to be stopped immediately. Seventh, because of principle of keeping original form, it is difficult to develop according to society and environment, and thus, the process in which their survivals are impossible without government's supports in the changed society is structured. Some problems of concept and method in Korea, analyzed through the ecological approach can be found again through comparison with UNESCO ‘Convention for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only used as a worldwide international standard. First, the ‘Convention for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fine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vital recreation and exchange of community, individual,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y by using the term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defines the concept by using the term cultural heritage and stipulates keeping of original form as a basic principle. Second, while the ‘Convention for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spects interrelationship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tipulates that the catego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s intangible knowledge, function and custom as well as even the space where related tangible factors and behaviors occur,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distinguishes the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form and stipulates the category by limiting to intangible factor.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and protec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sing ecological theory, one of the methods to improve some problems found through examination of actual conditions and situation and theoretical study.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efined. On the basis of ‘Convention for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efined as ‘a live heritag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and kept and expressed by members of a community through oral traditions, songs, knowledge, behaviors, and so on.’ And the category includes ‘intangible custom, representation, knowledge, function as well as related tangible tools, objects, crafts and even the cultural space where behaviors occur.’ In addition, as featur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itality, wholeness, interrelationship, circularity, balance and evolution development’ are defined. The protection and transmission method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ecology are suggested by applying ecological theory to it. The cultural heritage ecology defined in this paper means ‘a sustainable community consisting of cultural heritage, subject of activity and physical environment.’ Since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reflecting the rules and features of natural ecology, it can keep system through self-recovery without an external intervention, as the case of natural ecology.

      • 가상현실 융합산업 생태계 분석을 통한 뮤지컬 시장의 활성화 전략 연구 :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모형을 중심으로

        정순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85855

        Providing a rich experience to the audience using new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market. Although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o incorporate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in order to maximize the value added,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amount of relevant research. Although the musical market is the most vital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s with a market share higher than 45%, its constant growth has been hampered as numerous problems have trapped it in a vicious cycle.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identify a market revitalization strategy for the steady development of the musical market within an environment of shifting industry paradigm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ain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of the audience through market analysis from the ecosystem perspective and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unified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UTAUT) model that shows the necessity of utilizing new technology in the musical market. Its other objective i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y meaningful variation caused by the type of audience. This research has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How is the future ecosystem of the VR-based musical market organized? 2. What is its correlat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of the audience that consumes the VR technolog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 successively performed Research 1 that creates a model of the VR-based musical market ecosystem and Research 2 that empirically analyzes the new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in the musical market. In Research 1, I considered the theories on the ecosystem and relevant models in order to develop a model of a musical market ecosystem that incorporates VR and designed a conceptual model of such a market based on the service value networks of Basole & Rouse(2008). Then, I applied the conceptual model to the VR-incorporating musical market to organize the entities involved and design a To-Be service value network model. Two stages of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musical and VR experts for this purpose. As a result, in the domain of "Tier 2 Enablers," which deals with the software of the musical market, HMD technology, one of the VR technologies targeted in this research, is used to film an original musical performance at a 360° angle. Then, VR content is created out of it and offered to the consumers. This means that the VR technolog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oftware because it simply filmed the completed performance. In "Tier 1 Enablers," which is a production stage, VR content requires a camera that supports 360°-angle filming to be installed in the theatre(on the stage, on the auditorium, etc.) to film the actual performance unlike conventional digital content(video, DVD, movies, etc.). Therefore, this requires additional labor from relevant fields such as 360°-angle camera experts and developers, video stitching and editing experts, and related software developers. In the “Service Provider” domain, which is the distribution stage, utilizing HMD, a VR technology that increases the immersiveness and sense of reality, and providing video content through online platforms can increase the value added. In the domain of "Consumers," introducing the HMD VR technology could enable them to purchase the VR content and watch it at a location and time convenient to them without being tied to the physical theatre. In addition, VR content platforms and utilization of various devices to purchase the desired performances lead to a distinction between a possession market and an enjoyment market. Research 2 reinforced the explanatory capabilities of this research model by add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new technology derived from the ecosystem analysis of Research 1 to the UTAUT model measu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thu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Research 2 sought to verify how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en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by setting independent variables(promoting conditions, predicted result, predicted effort, social effects, individual innovativeness, and individual anxiety), a mediating variable(intention of use), and a dependent variable(actual use). For this purpos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309people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ich include students, the self-employed, freelancers, office workers, housewives, etc.,in their 20s–60s, and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s that when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musical audience to use HMD are met and the technology is user friendly, there is sufficient intention in the audience to watch the musical performance using the VR technology. In addition, when the popularity of HMD rises and its usage in the audience's surrounding increases, the aforementioned intention will increase further. However, there appeared a tendency among the audience to feel anxiety about watching performances using VR if such change in the surrounding and adaptation to the technology takes too long.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types of audiences, the enthusiastic audience is a type that has a strong intention to use HMD to watch more performances efficiently if the necessary conditions to utilize the VR technology are met, regardless of the people in the surrounding, ease of use, or anxiousness about the adaptability to the change in the way they watch a performance. The interested audience is a type that wishes that the VR technology is adapted to musical performances as soon as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met. This type’s use of the technology is highly likely to depend on the reac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but this audience does not express concern about the technological aspects. Lastly, the uninterested audience is a type that, along with the enthusiastic audience, has an intention to use the VR technology once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met, but that is skeptical about its immediate adaptation. This type's use of the technology, similar to the interested audience, is highly likely to depend on the reac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but this audience does express anxiety concerning the change and adaptability of the technology. This research is the first empirical research that approaches the issue of revitalization of the musical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of the consumers.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lead to more interest in and attempts at the incorporation of new technology to musical performances on the part of its practitioners and producers. In addition, various ministries of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ystematically establish support programs that enable pioneering attempts. These changes will be the foundation from which the original Korean musicals will be able to spread worldwide, and this will also have a large impact on economic competitiveness and the public image of the nation.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act as the first step toward revitalization of the musical market and its constant growth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virtuous cycle ecosystem. 신기술을 활용하여 공연 관람객으로 하여금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면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연산업에서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뮤지컬 시장은 공연산업의 45% 이상의 시장규모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활성화된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악순환을 야기하는 문제점들 때문에 지속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산업 패러다임 환경에서 뮤지컬 시장의 지속성장을 위해 시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한 시기이다. 이를 위해 뮤지컬 시장에서 신기술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생태계 관점의 시장 분석과 통합기술수용의도 모형을 기반으로 실증분석하여 관객들의 기술수용의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관객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상현실 기반 뮤지컬 시장의 생태계는 어떠한가? 둘째, 가상현실 기술을 소비하는 관객에 대한 기술수용의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반 뮤지컬 시장 생태계 모델 도출을 위한 연구 1과 뮤지컬 시장 신기술 수용의도에 대한 실증분석이 수행된 연구 2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가상현실과 융합된 뮤지컬 시장의 생태계 모델 개발을 위해 생태계 이론 및 관련 모형을 살펴보고 Basole & Rouse(2008)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가상현실과 융합된 뮤지컬 시장의 개념적 모델을 설계하였다. 개념적 모델은 가상현실과 융합된 뮤지컬 시장에 적용하여 구성주체를 설정하고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To-Be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뮤지컬과 가상현실 분야의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뮤지컬 시장의 창작원천 영역인 ‘제2결합 지원자’에서는 연구 범위인 가상현실 기술 중 HMD 기술이 창작을 기초로 제작되는 뮤지컬 공연을 360°로 촬영하고 VR 콘텐츠로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즉, 만들어진 공연을 촬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창작원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제작단계인 ‘제1결합 지원자’에서 VR 콘텐츠는 기존의 디지털콘텐츠(동영상, DVD, 영화 등)와 다르게 360° 영상을 지원하는 카메라를 공연장 내(무대, 객석 등) 설치하고, 실제 공연하는 현장을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360° 전문카메라 및 개발사, 스티칭 및 편집 관련 SW 개발사, 그리고 관련 인력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유통단계인 ‘서비스 제공자’에서는 몰입감과 현장감을 높여주는 가상현실 기술인 HMD와 360° 영상으로 제작된 콘텐츠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판매하면 부가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뮤지컬을 관람하는 ‘소비자’ 영역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인 HMD가 도입된다면 관람객들은 VR 콘텐츠를 구매하여 공연장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에서나 본인이 원할 때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VR 콘텐츠 플랫폼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원하는 공연을 구매할 수 있어 향유시장과 소유시장이 구분된다. 연구 2에서는 기술수용의도를 측정하기 위한 UTAUT 모형에 연구 1의 생태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신기술 영향 요인을 추가함으로써 뮤지컬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모형의 설명력을 높였으며, 관객유형에 따라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독립변수(촉진조건, 예상되는 성과, 예상되는 노력, 사회적 영향, 개인의 혁신성, 개인적 불안감), 매개변수(사용의도), 종속변수(사용행위)를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20~60대 연령의 학생, 자영업자, 프리랜서, 일반직장인, 주부 등 총 309명의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뮤지컬 관람객들이 HMD를 사용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충족되고 기술 사용법이 쉽다면 향후 가상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공연을 관람할 의지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HMD의 인기가 높아지고 주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게 되면 더욱 사용할 의지가 높을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화와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적응이 오래 걸린다면 관람객들은 오히려 공연 관람에 있어 불안함을 느끼는 경향이 나타났다. 관객유형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열성관객은 HMD 사용에 있어 주변 사람들, 쉬운 사용법, 혹은 공연 관람 변화 적응에 대한 불안감 등과 상관없이 가상현실 기술 사용에 있어서 필요조건만 충족된다면 보다 많은 공연을 효율적으로 보려는 의지가 강한 유형이다. 관심관객의 경우 가상현실 기술 사용에 있어서 필요조건만 충족된다면 바로 뮤지컬에 도입하기를 희망하는 유형이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기술 사용에 대한 불안감은 나타나지 않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무관심관객은 열성관객과 마찬가지로 필요조건이 충족되면 가상현실 기술을 사용할 의향은 있지만, 빠른 시일 내에 도입하는 것을 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심관객과 동일하게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기술 사용에 대한 변화와 적응에 대해서는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는 유형이다. 본 연구는 뮤지컬 시장 활성화를 신기술 융합과 생태계 관점에서 접근하여 소비자 대상으로 기술사용의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이다. 또한 관객유형을 구분하여 보다 심도 깊은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뮤지컬 제작사 및 관련 종사자들이 뮤지컬과 신기술을 적용하려는 관심과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도에 앞장설 수 있도록 정부부처는 체계적으로 관련 지원정책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나아가 국내 창작뮤지컬이 세계로 뻗어나가기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국가의 경쟁력 또는 이미지 기여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뮤지컬 시장의 활성화와 지속 성장을 위한 그 단초를 제공함으로써 뮤지컬 시장 선순환 생태계 형성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