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엘리트 테니스 선수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변인 분석

        임형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1

        본 연구의 목적은 상위권 대학 테니스 선수의 생리학적 변인 분석을 통하여 상위권 대학 테니스 선수에게서 나타나는 유산소성, 무산소성 생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 대학 테니스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올바른 트레이닝의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적인 선수 집단뿐만 아니라 향후 테니스 동호회 활동을 하고자 하는 일반인에게 테니스에 필요한 생리학적 운동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입학 후 입상 경력 3회 이상의 상위권 대학 테니스 선수 집단(Elite Group : EG)과 비교를 위하여 선수경력이 없는 체육과에 재학 중인 일반 학생 집단(Control Group : CG) 각각 8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 검사는 Bruce Protocol을 사용하여 GXT검사를 실시한 후 최대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1회 호흡량을 측정하였으며, 무산소성 운동능력 검사는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Wingate Test를 실시한 후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 테니스 선수들로 구성된 EG의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균은 66.6±5.5ml/kg/min, 분포는 최소값이 59.5ml/kg/min, 최대값이 77.5ml/kg/min으로 나타났으며, 상위권 대학 테니스 선수들의 경우 일정 수준 (약 60ml/kg/min) 이상의 최대산소섭취량이 요구되어 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2. EG의 분당 환기량 및 1회 호흡량은 각각 130.44±14.63l/min, 2.55±0.49l으로 나타났으며, CG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통한 상위권 대학 테니스 선수의 운동능력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3. EG은 CG에 비하여 최대파워, 체중 당 최대파워,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 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값은 각각 최대파워 914.09±99.93W, 체중 당 최대파워 12.90±1.05W/kg, 평균파워 571.86±42.32W, 체중 당 평균파워 8.07±0.20W/kg으로 최대파워의 향상은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4. 피로지수 항목은 EG 62.54±4.31%, CG 72.32±9.28%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전문적인 훈련이 되어있지 않은 CG에 비하여 무산소성 파워의 감소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상위권 대학 테니스 선수와 일반 학생 간의 유산소성, 무산소성 변인들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테니스 선수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테니스 선수들은 일반 학생 집단에 비하여 유산소성 운동능력에서 최대산소섭취량만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개인별 측정 결과에서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의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선수들의 경기 운영 스타일이나 경기의 전문성 등의 개인차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training to improve performance and to provide data on physiological exercise performance necessary for tennis on general people wanting of tennis club activity hereafter well as professional player group in examining aerobic, anaerobic,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een in the top university tennis players through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variables of the top university tennis players, and providing physiological basic data affecting the normal university tennis player's performance. Eight each of the top university tennis player group who have won more than three times after entering university (Elite Group : EG) and the normal student group majoring in athletic department without career (Control Group : CG)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meet the goal. VO2max, VE and VT were measured after GXT test using Bruce Protocol in aerobic exercise performance test. Peak power, Mean power and Fatigue index were measured after Wingate Test using cycle-ergometer in anaerobic exercise performance test. T-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using SPSS 17.0 in statistical verification, whose analysis were as in following. 1. Average of VO2max was 66.6±5.5ml/kg/min with minimum value as 59.5ml/kg/min and maximum value as 77.5ml/kg/min in distribution of EG comprised of university tennis players, and VO2max of more than a certain standard (about 60ml/kg/min) is seem to be required in case of the top university tennis players. 2. Characteristics of exercise performance of the top university tennis players through the results were judged to be hard to understand for VE and VT of EG were 130.44±14.63l/min, 2.55±0.49l each not showing noticeble difference with CG. 3. EG was noticeably higher than CG in Peak Power, Peak Power per weight, Mean Power, Mean Power per weight with value of 914.09±99.93W as Peak Power, 12.90±1.05W/kg as Peak Power per weight, 571.86±42.32W as Mean Power, and 8.07±0.20W/kg as Mean Power per weight each, showing the improvement of Peak Power as a vital element. 4. Fatigue index showed noticeable difference with 62.54±4.31% for EG, 72.32±9.28% for CG each. Decline in anaerobic power seemed to be less compared to CG without professional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performance of tennis play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aerobic and anaerobic variables between top university tennis players and general students. Tennis players showed noticeably higher result on VO2max only in aerobic exercise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l student group, and showed noticeably higher result in all the items in anaerobic exercis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ere shown higher in measured individual result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performance, judged to be occurred by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of game playing style or professionalism of game, etc. of players.

      • 국가대표 시각장애·비장애 유도선수의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서진현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0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s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between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national judo athletes. With an effort to achieve that goal, we selected seven visually impaired national judo athletes who are ranked the first per weight classes and seven non-disabled national judo athletes who are ranked at the first to the third positions. In this study, we used Humac norm(CSMi, USA) to measur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s and Monark 894E(Monark, Sweden) to measure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this study,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implement Independent T-test for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isokinetic muscular strengths (elbow, lumbar and knee joints)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maximum and average powers, maximum-per-weight and average-per-weight powe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is that non-disabled national judo athletes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ir visually impaired counterparts on average in terms of the maximum-per-weight muscular strength, total work per weight and average-per-weight power of elbow, lumbar and knee joints. However, when it comes to lumbar joint extensor, visually impaired players showed better results than non-disabled players on average. As for Anaerobic Exercise Capacity that include the maximum and average powers and maximum-per-weight and average-per-weight powers, non-disabled national judo athletes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ir visually impaired counterparts on average.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xt paragraph is the conclusion made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in comparison of non-disabled judo players, visually impaired national judo athletes were worse for isokinetic muscular strengths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but better for lumbar joint extensor.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visually impaired judo players use their lumbar joints faster and more repeatedly and continuously than non-disabled judo players. Given the fact that judo games start with two players gripping each other, using lumbar joints is essential to exercise judo techniques by moving upper and lower legs instantly right after the game star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mbalance in using lumbar joint flexors and extensors was higher for visually impaired national judo athletes than non-disabled national judo athletes based on the ratios of exercising ipsilateral flexors and extensors around lumbar joints. In conclusion, first, visually impaired national judo athlete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by maximizing the power of their lumbar joint extensors that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e repetitive use. Meanwhile, using lumbar joint flexors is expected to have bad impact on the playing performance when players try the techniques such as shoulder throw or sweeping hip throw. Second, the imbalance of ipsilateral muscles is one of the risk factors that might lead to the injury of lumbar joints during training or game. Therefore, trainers and trainees both need to be aware of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nd develop balanced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injuries. Last but not the least, visually impaired national judo athletes have to develop Anaerobic Exercise Capacity that are required to utilize judo techniques after gripping.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와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의 등속성 근력,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급별 국내 랭킹 1위인 시각장애 국가대표 선수 7명과 국내 랭킹 1~3위의 비장애 국가대표 선수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등속성 근력 측정을 위한 Humac norm(CSMi, USA)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측정을 위해 Monark 894E(Monark, Sweden)를 사용하였다. 두 그룹 간의 등속성 근력(주관절, 요부관절, 슬관절) 및 무산소성 운동능력(최대 파워, 평균 파워, 체중 당 최대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의 통계적 차이 검증을 위해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방법을 사용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두 집단 간 주관절, 요부관절, 슬관절의 체중 당 최대근력, 체중 당 총일량, 체중 당 평균파워에서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요부관절 신전근은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최대 파워, 평균 파워, 체중 당 최대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를 포함하는 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는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의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성 운동능력이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요부관절 신전근에서는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선수들이 서로 맞잡은 상태에서 경기가 시작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시작과 동시에 상·하지의 순간적인 움직임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을 발휘하는데 반드시 요구되는 요부관절의 사용이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보다 빠르게 반복·지속적으로 동원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요부관절의 굴곡근과 신전근의 동측근육동원 비율인 Ratio에서는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비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보다 굴곡과 신전 시 근육 불균형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은 강화된 요부관절 신전근의 사용빈도를 늘려 기술 발휘 시 운동수행능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긍정적인 경기력을 가져올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요부관절 굴곡근 사용 시 유도의 업어치기나 허리후리기 같은 기술 발휘에서는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 이러한 동측근육의 불균형은 경기 및 훈련 시 요부관절 상해위험요인의 하나로 판단되며 이러한 상해예방을 위해서는 선수 개개인과 지도자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균형적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추가적으로 시각장애 유도 국가대표 선수들은 잡기 이후에 이어지는 기술 발휘 시 동원되어지는 무산소성 운동능력이 더욱 요구되어질 것으로 결론되어진다.

      • 마우스가드 착용이 고등학교 남자 우수 태권도 선수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박영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finding physiological effects of wearing mouth guard to High school male elite TKD players' aerobic,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blood Lactate. Comparing TKD players' weight and analysing the effects of wearing mouth guard, I could suggest a model of wearing mouth guard. Concerning aerobic exercise capacity, conducted Stax-8100 to measure Omax, Emax, HRmax among 21 students. They are consisted of 7 light, 7 middle and 7 heavy weight players. Concerning anaerobic exercise capacity, conducted Monark 894E to measure peak power, mean power, fatigue index. To observe the variation of blood lactate through Fingertip method, analysed stable situation and after the anaerobic test per 3 minute, 6 minute, 9 minute, 12 minute, 15 minute after the exercise. Using SPSS 15.0 to analys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among repetition period, conducted Two-way ANOVE 3×2 R.M. After the test we did t-test(p<.05) to find the interaction of intra-group. 1. Concerning aerobic exercise capacity depending on their weight and wearing mouth guard.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p=.001) in Omax among groups.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p=.01) in Emax among groups. Thir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p=.05) in HRmax among groups. Wearing mouth guard didn't affect on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physiological evaluation. 2. Concerning anaerobic exercise capacity depending on their weight and wearing mouth guard.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p=.001) in peak power among groups. As a result of intra-groups t-test, meaningful differences(p=.05) appeared between right and heavy weight group. Second, meaningful differences(p=.001) appeared in mean power among groups. According to t-test, meaningful differences(p=.05) appeared between middle and heavy group. Third, meaningful differences(p=.01) appeared in fatigue index among different groups. Also,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ed in intra-group. Wearing mouth guard didn't affect on anaerobic exercise capacity. 3. Depending on tim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p=0.5) in Blood Lactate among wearing mouth guard and not wearing mouth guard in weight level groups. As a result of t-te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3, 6, 12, 15 minute after exercise in light weight group. In middle weight group,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3, 6, 9, 12 minute after exercise. In heavy weight group,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p=.05) in stable condition.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3, 6, 9, 12 minute after exercise. The increase of Blood Lactate in wearing mouth guard seems to be the increase of exercise when anaerobic exercise capacity test was done. To sum up the resul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about wearing mouth guard to aerobic,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Blood Lactate. But wearing mouth guard is useful for protecting players. Becau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le players, a study of female players are needed. Also, a study about wearing different kinds of mouth guard is needed. When compared with another sport entries, the reliability of wearing mouth guard will be enhanced.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 체급별 고교 남자 우수태권도 선수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혈중젖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여 생리학적 효과를 구명하고 향후 태권도의 마우스가드 착용과 관련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량급, 중량급, 헤비급 각 7명 씩 총 21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최대운동부하(Stax-8100)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최대환기량, 최대심박수를 측정하고, 무산소성 운동능력은 자전거 에르고미터(Monark 894E)검사를 실시하여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를 측정하였다. 젖산농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안정 시, 무산소성 검사 직후, 운동 후 3분, 6분, 9분, 12분, 15분에서 Fingertip 방법을 실시하여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PSS 15.0 이용하여 집단 간, 반복시기 간의 차이를 동시에 처리하여 분석하기 위해 반복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3×2 R.M)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경우 t-test(p<.05)를 실시하여 사후 검증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 체급별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첫째, 최대산소섭취량의 통계적 분석결과 집단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둘째, 최대환기량의 통계적 분석결과 집단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셋째, 최대심박수의 통계적 분석결과 집단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생리학적 평가에서는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 체급별 무산소성 운동능력은 첫째, 최대파워의 통계적 분석결과 집단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집단 내 t검증결과 경량급, 중량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평균파워의 통계적 분석결과 집단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집단 내 t검증 결과 중량급, 헤비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피로지수의 통계적 분석 결과 집단 간, 집단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마우스가드 착용에 따른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생리학적 평가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없었다. 3.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 체급별 혈중젖산의 시간대별 통계적 분석결과 집단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경량급의 집단 내 혈중젖산의 t검증 결과 운동 후 3분, 6분, 12분, 15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량급은 운동 후 3분, 6분, 9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헤비급은 안정시, 운동 후 3분, 6분, 9분, 12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마우스가드 착용 후 혈중젖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무산소성 운동능력 검사 시 운동량 증가에 기인(起因)하여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마우스가드 착용 전·후 체급별 고등학교 남자 우수태권도 선수들의 유산소성 운동능력,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혈중젖산의 생리적 평가 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보호 차원에서 마우스가드 착용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남자 우수선수만을 대상자로 실험이 이루어졌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여성 우수선수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마우스 가드 종류별 생리적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현재 마우스가드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는 타 종목과 비교하는 생리적 평가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마우스가드 착용에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여자 핸드볼 중&고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의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성 운동 능력 비교

        김랑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0

        본 연구는 여자 핸드볼 중·고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를 대상으로 등속성 각근력 발달 특성과 무산소성 운동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핸드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 참가한 국내 여자 핸드볼 선수를 각 집단별로 10명씩 총 30명을 대상으로 등속성 각근력과 무산소성 운동 능력 검사를 측정하였다. 등속성 각근력 특성은 Cybex를 이용하여 부하속도 60˚/sec와 180˚/sec에서 3회 반복 신전과 굴곡 운동시 발휘된 최대근력, 상대근력, 최대근력 발현각도, 최대근력 발현시간, 동측 및 양측 근력 균형비, 최대파워, 상대파워를 측정하였고, 무산소성 운동 능력은 윙게이트(wingate)를 이용하여 30초당 최대 페달링을 통해 최고파워, 체중대비 최고파워, 평균파워, 체중대비 평균파워, 피로지수, 혈중젖산농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집단별 종속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차이가 발생할 경우 사후분석으로 Tukey-HS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별 등속성 각근력에 있어 최대근력은 우신전근과 좌·우 굴근에서 국가대표 선수가 높게 나타났고, 최대파워에서는 우신전근과 우굴근에서 국가대표 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근력과 상대파워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집단별 등속성 각근력에 있어 최대근력 발현각도는 좌·우 굴근에서 국가대표 선수가 작게 나타났고, 최대근력 발현시간은 국가대표 선수가 빠르게 나타났다. 3) 집단별 무산소성 운동 능력에 있어 최고파워와 평균파워, 피로지수는 국가대표, 고등부, 중등부 순으로 나타났다. 4) 집단별 혈중젖산농도에 있어서 운동종료 직후 국가대표 선수가 고등부와 중등부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집단별 등속성 각근력 비교에 있어 상대근력과 상대파워의 경우 여자 핸드볼 상위권 중ㆍ고 선수는 근력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근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최대근력 발현각도와 최대근력 발현시간에서는 국가대표 선수가 빠르게 나타나 중등부와 고등부보다 근신경계가 발달되었다고 생각된다. 핸드볼은 우수한 체력이 요구되는 운동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로는 근력과 무산소성 운동 능력에 있어서 중ㆍ고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 간에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ar strength and anaerobic exercise ability of youth and national athlete in women handball players. In addition, even it might be possible to provide data for the training prescription of handball athletes by age. For the purpose, thirty handball players(Middle & High school and National athle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measurement of anaerobic ability, several variables including peak power, peak power%body weight, mean power, mean power%body weight, fatigue index, lactate concentration were measured, and also for the muscular strength, peak torque, peak torque %body weight, angle of peak torque, time to peak torque, strength balance, average power, average power %body weight were measured by Cybex 770 isokinetic device at 60, 180˚/sec respectively. For statistical analysis, one way ANOVA was used and significant level of 0.05 was selected. The results were gained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isokinetic strength. Especially in peak strength of right extension and both flexion of national athletes were higher and also national athletes had the highest in peak power of right and left flexion. But there were no different in relative strength and power. 2) National athletes had smaller peak torque angle in both significantly, whereas, showed the fastest peak strength in timing. 3) In the comparison of anaerobic ability, National athletes' peak power, mean power and fatigue index were highest, whereas, athletes of middle school was lowest level in all fields. 4) National athletes showed the lowest level of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post exercis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national handball athletes in muscular strength and anaerobic exercise ability, especially concerning relative ability, because all groups except national athletes were belonged to the high level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refore, relative exercise abilities including strength and anaerobic capacity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 유소년 축구선수의 흡기 기능이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병훈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39

        Introducti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s essential to soccer players who need to repeat continuous and high-intensity movement for 90 minutes of soccer game. Inspiratory function has been known to be in charge of stable intake of oxygen necessary for performance of exercise and contribute to the basic role for continuous performance of exercise, having an effect on the motor ability through delay of respiratory muscle fatigue and adjustment of metaboreflex in athletes. However,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so far are limited to adult and elite groups, so studies targeting youth is considered necessary. Such studies are expected to be of help to improvement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performance for youth soccer player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piratory function 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youth soccer players. Methods: Study subjects include 41 players in a youth soccer club(Age: 14 ± 1.0 yrs, Height: 162.4 ± 9.9 cm, Weight: 51.2 ± 10.4 kg). For diaphragm thickness, this study measured both resting and maximal inspiratory thickness of the left and right using ultrasound equipment. For measurement of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this study found mean value after selecting only 2 maximum value with less deviation by measuring 3 time seach for 3 times using a Spirometer(POWER Breathe K5). VO2max was calculated by formula upon completion of 2.4km run test. Maximal lactate production rate was calculated by formula through measurement of maximal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fter 100m sprint test. For analysis of measured value, this study carried out One-way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for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position groups after Shapiro Wilk Normality Test. For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is study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respectively. To analyze the effects of inspiratory function 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this study conducted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05. Results: In regards to diaphragm thickness,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VO2max, maximal lactate production rate in youth soccer players,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osition groups(p>0.05). In the diaphragm thickness on the right, negative correlation was discovered in the 2.4km Run time(r=-.346).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diaphragm thickness and VO2max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r=.327, r=.336). Correlation betwee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and aerobic motor ability was not discovered. Bu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diaphragm thickness and 100m sprint time on the left and right(r=-.683, r=-.650). Correlation between diaphragm thickness and maximal lactate production rate was not discovered.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and 100m sprint time(r=-.448). However, correlation betwee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and maximal lactate production rate was not found. And diaphragm thickness exercised an effect on 2.4km Run time and VO2max(R=-.346, R2=0.125, F=5.58, p<0.05), (R=.336, R2=0.132, F=5.938, p<0.05). Meanwhile, diaphragm thickness and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had an effect on 100m sprint timeR=-.650, R2=0.376, F=23.59, p<0.01), (R=-.448, R2=0.196, F=9.510, p<0.01).. Volume which is the variable of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affected maximal lactate production rate(R=.361, R2=0.130, F=5.846,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ignificantly discovered the effects and correlation of inspiratory function on and with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youth soccer players. It is considered that diaphragm thickness and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that play a role of inspiratory function contributed to the role of stable intake of oxygen and basic respiration while exercising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youth soccer players. Therefore, consideration of inspiratory function is considered positively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youth soccer players. In addition to the foregoing, this study suggests training of inspiratory muscle for improvement of inspiratory func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more effective train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soccer performance. Keywords: inspiratory function, diaphragm thickness,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VO2max, VLamax 서론 :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은 90분의 축구경기 시간 동안 지속적이고 간헐적인 고강도 동작을 반복 수행해야 하는 축구선수에게 필수적이다. 흡기 기능은 운동 수행에 필요한 산소 섭취를 안정적으로 담당하고 지속적인 운동 수행유지를 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역할에 기여하며, 운동선수의 호흡 근육의 피로(Respiratory muscle fatigue) 지연과 대사적 반사(Metaboreflex) 조절을 통한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 된 연구는 성인 및 엘리트 그룹에 국한 되어 유소년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소년 축구선수의 흡기 기능이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의 변인은 유소년 축구선수의 횡격막 두께(Diaphragm thickness), 최대흡기압력(Maximal inspiratory pressure), 최대산소섭취량(VO2max), 초당 최대 젖산 생성률(Maximal lactate production rate, VLamax)이다. 연구대상자는 유소년 축구 클럽 선수(나이: 14 ±1.0 years, 키: 162.4 ± 9.9 cm, 몸무게: 51.2 ± 10.4 kg) 4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횡격막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초음파 검사 장비를 사용하여 좌, 우의 안정 시(Resting), 최대 흡기 시(Inspiration) 두께를 측정 하였다. 최대흡기압력 측정을 위해 Spirometer(POWERBreathe K5) 사용하여 3회씩 3번 측정하여 편차가 적은 최대 값 2개만을 선택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VO2max는 2.4km run test를 실시하여 공식에 의해 산출 하였다. VLamax는 100m sprint test 후 혈중 최대 젖산 농도를 측정하여 공식에 의해 산출 하였다. 측정 데이터 분석을 위해 Shapiro Wilk Test 정규분포 검사 후 포지션 그룹간 차이 분석을 위해 각각 일원 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변인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각각 Pearson 상관 분석, Spearman 순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흡기 기능이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 하였다. 결과 : 유소년 축구선수의 횡격막 두께, 최대흡기압력, VO2max, VLamax는 포지션 그룹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우측의 횡격막 두께는 2.4km run time과 부적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r=-.346). 좌, 우 횡격막 두께와 VO2max는 각각 정적 상관관계가 발견 되었다(r=.327,r=.336). 최대흡기압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과의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좌, 우 횡격막 두께와 100m sprint time은 각각 부적 상관관계가 발견 되었다(r=-.683, r=-.650). 횡격막 두께와 VLamax와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최대흡기압력은 100m sprint time과 부적 상관관계가 발견 되었다(r=-.448). 최대흡기압력과 VLamax와의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횡격막 두께는 2.4km run time과 VO2max에 영향을 미쳤다(R=-.346, R2=0.125, F=5.58, p<0.05), (R=.336, R2=0.132, F=5.938, p<0.05). 횡격막 두께와 최대흡기압력은 100m sprint time에 영향을 미쳤다(R=-.650, R2=0.376, F=23.59, p<0.01), (R=-.448, R2=0.196, F=9.510, p<0.01). 최대흡기압력 변인 흡기량(Volume)은 VLamax에 영향을 미쳤다(R=.361, R2=0.130, F=5.846, p<0.05).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흡기 기능이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성을 유의미하게 발견 하였다. 이는 흡기 기능을 담당하는 횡격막 두께와 최대흡기압력이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을 발휘하는 동안 안정적인 산소 섭취와 기초적인 호흡의 역할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소년 축구선수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해 흡기 기능의 고려가 반드시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흡기 기능 향상을 위한 흡기 근육 훈련을 제안하며, 이는 축구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대학 씨름, 유도, 레슬링 운동선수들의 신체구성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변화 비교

        최성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27

        이 연구는 대학교 씨름선수 8명과 유도선수 8명, 레슬링선수 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신체조성과 무산소운동능력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들의 체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중량급(75~90kg)선수들로 선정하였다. 측정 기간 중에 부상 및 중도 포기한 선수가 각각 1명씩 발생되어 측정 자료에서 제외시켰다. 신체조성과 무산소운동능력은 비시즌시기인 매년 동계훈련 전에 총 4년간(2007~2010년)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별 신체구성과 무산소성운동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측정 시기와 집단간 각 항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Measures ANOVA)방법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신체구성과 무산소운동능력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은 종목별 차이가 없었고, 학년별로 1~2학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3~4학년사이에 증가되었다(p<.001). 무산소운동능력 중 피크파워와 평균파워는 종목별 차이가 없었고, 학년별로 1~2학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3~4학년사이에 감소되었다(p<.001). 종합해보면 대학의 씨름, 유도, 레슬링 선수들은 1~2학년사이에는 신체구성과 무산소운동능력의 변화가 없었으나, 학년이 올라가면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운동선수의 대학 시절은 그 선수의 앞날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들 투기종목 운동선수들은 최고의 기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무산소운동능력 강화와 체중 및 체지방관리를 잘 해야 할 것이다. This report 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conditions and anaaerobic exercise abilities of 8 athletes of Sireum and 8 players of wrestling. The athletes were of heavy weight, between 75 and 90 kilograms. But in the process, two have been excluded owing to physical injuries, one in Sireum and one in wrestling. This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during the off-season, just before the winter training began, lasting four years (2007-2009). The data have been processed by the program SPSS Version 18.0, which figured out the median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s and anaaerobic exercise abilities of the player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measurements vary according to the measuring periods and the different groups, Two-way Repeated-Measures ANOVA was used, the limit of error being =.05.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ubject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ireum and wrestling, the difference in weight, body fat rate, and general fat rate showing no meaningful difference during the freshman and sophomore years and increasing during the junior and senior years (p<.001). The peak power and median power of the physical conditions and anaaerobic exercise abilitie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during the first two years but decreased during the junior and senior years (p<.001). In summary, the physical conditions and anaaerobic exercise abilities among the players of Sireum, Judo, and wrestling during the first two years did not change much during the first two years, but they increased and decreased during the last two years. The college years of the athletes are very crucial in determining their future careers. So the athletes in the combative sports must do their best to increase their the physical conditions and anaaerobic exercise abilities during the college years.

      • 투기종목 선수들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운동직후 혈중 피로물질 연구

        김행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25

        본 연구의 목적은 투기종목 선수들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최대 운동직후 각 집단간 혈중 피로물질의 변화를 규명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Y대학교에서 정기적인 훈련을 하는 복싱, 레슬링, 검도, 태권도, 유도 남자 선수들 각각 8명씩과 대조군으로 일반 남자 대학생 8명 등 총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의 무산소성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무산소 파워 테스트기(EXCALIBUR SPORT, Quinton U.S.A.)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최대한으로 빠르게 자전거 타기를 실시하였다. 분석변인으로 피크 파워(peak power), 평균 파워(mean power),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 피로지수(fatigue index)를 분석하였다. 안정시와 운동직후 2번에 걸쳐 전완정맥에서 10㎖의 혈액을 채혈하였으며, 젖산 농도, 암모니아 농도, 무기인산염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최대 운동직후 각 집단간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분석변인인 평균 파워(mean power), 피크 파워(peak power),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 피로지수(fatigue index)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투기종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도선수들과 대조군 사이의 무산소성 파워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변인들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운동전 젖산에서 복싱과 검도, 유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암모니아에서는 각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인산염에서는 복싱과 레슬링, 검도, 그리고 대조군과 모든 투기종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운동직후 대조군이 투기종목에 비해 젖산, 암모니아 값은 높았으나 무기인산염은 투기종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젖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복싱, 레슬링, 그리고 태권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암모니아에서는 대조군과 투기종목 중 유도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무기인산염에서는 대조군과 복싱, 태권도, 유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투기종목 선수들의 무산소성 능력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문제점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혈중 피로물질의 변화는 운동의 특수성과 관련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variation of blood fatigue material following maximum exerci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otal 48 people: regularly trained male players who do Boxing, Wrestling, Kumdo, Taekwondo, and Judo, eight persons per each group, and eight ordinary college students as a comparison group. They participated in Wingate anaerobic test and were collected blood from vena mediana antebrachii before exercise and after to examine of lactate, ammonia, and inorganic phosphate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showed that anaerobic exercise ability which was average power, peak power, anaerobic power, fatigue index was higher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Judo athletes and control group. 2. It was indicated that lactate concentration of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Boxing, Wrestling, and Taekwondo athletes group. 3. It was showed that ammonia concentration of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except Judo athletes group. 4. It was considered that inorganic phosphate concentration of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Boxing, Taekwondo and Judo athletes group. Considering the results, it can be raised as a problem since combative players hav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 to the comparison group in anaerobic performance,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changes in blood fatigue material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sport.

      • 단기간 HMB-크레아틴 투여가 반복적 무산소성 운동 후 무산소성 능력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이상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33325

        본 연구는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의 향상과 근손상감소로 피로 연장 및 회복단축을 위한 에르고제닉 에이드(erogenic aid)로 알려진 크레아틴과 HMB를 이용하여 고강도 운동에서의 효과와 두 보조물의 상승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피험자는 24명의 건강한 남자 체육학과 1학년들을 대상으로 위약집단과 HMB와 크레아틴을 단독 및 복합투여 하는 네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투여전과 5일간의 투여 후 무산소성능력과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혈액변인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무산소성운도방법으로 윈게이트를 이용한 15초간의 최대 운동후 45초간의 불완전휴식을 가지는 방법으로 5회 반복실시하였다. 무산소성능력의 평가는 최대파워와 평균파워로 측정하였고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혈액변인으로는 혈중 젖산, 암모니아, 젖산탈수소효소, 크레아틴키나제, 글루코스, 유리지방산을 안정시와 운동직후 회복 15분, 30분, 60분에 측정하였다, 뇨 크레아티닌은 안정시와 운동 후 회복 60분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처리는 SPSS 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수준은 a+.05로 하였다. HMB처치, 크레아틴 처치, 크레아틴+HMB 복합처치, 위약처치 형태와 처치시기(안정시, 운동직후, 회복 15분,30분,60분)에 다라 나타나는 종속변인인 무산소성 최고파워, 평균파워, 혈액(혈중 젖산, 아모니아, 젖산탈수소효소, 크레아틴키나제, 글루코스, 우리지방산) 및 뇨(크레아티닌)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2×4×5 혼합설계 General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집단간 사후 검증으로 Bonferroni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치시기별 사후비교위해서 contrast 방법을 사요하였으며 집단내 처치전, 후의 처치시기별 변인간의 차이검증과 처치전, 후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처치후 집단간 각 측정시기별 차이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집단내 측정시기별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무산소성 운동 중 최고파워는 투여 전과 투여 후의 비교 검증 결과 2차 시기에서 크레아틴과 복합투여 집단이 투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투여 전에는 집단간 최고파워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투여 후에는 무산소성 운동 2차시기에 HMB투여 집단만이 위약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무산소성 운동 중 평균파워는 투여 전과 투여 후의 비교 검증 결과 1차 시기에는 복합투여 집단에서 2차 시기에는 복합 투여 집단과 크레아틴 투여 집단에서 투여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투여 후에 1차 시기에는 크레아틴 투여 집단과 비교해서 HMB와 복합투여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2차 시기에는 HMB 투여 집단이 위약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총운동량은 HMB투여 집단에서 투여 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투여 전과 후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크레아틴키나제는 투여 전과 비교해서 투여 후에 모든 집단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투여 후에는 위약집단보다 투여집단이 모두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젖산탈수소효소는 모든 집단에서 투여 전과 투여 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투여 후에 집단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투여 후에 크레아틴 투여 집단에서만 운동종료 직후의 젖산탈수소효소가 회복 60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투여 전과 비교해서 투여 후의 암모니아 농도 차이는 위약집단에서 회복 15분과 30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크레아틴 투여 집단은 회복 60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투여 후 집단간 비교에서는 운동직후에 크레아틴 투여 집단보다 복잡투여 집단이, 회복 15분에는 위약집단보다 HMB와 복합투여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회복 30분과 60분에는 ㅜ이약집단보다 HMB투여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6. 투여 전과 후의 젖산의 비교에서 크레아틴투여 집단은 안정시 투여 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반면에 운동종료 직후에는 투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안정시에 복합투여 집단이 투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회복기 60분에는 복합투여 집단이 투여 후에 유의하게 높았다. 투여후 집단간 비교에서는 안정시에서 HMB투여 집단만이 위약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7. 투여 전과 후의 뇨 크레아티닌 농도 비교에서는 안정시 HMB투여 집단만이 투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투여 후 집단간 비교에서는 안정시에 위약집단보다 크레아틴과 복합투여 집단이 유의하게 낮았고 회복 60분에는 복합투여 집단이 위약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8. 크레아틴과 HMB투여 집단은 안정시에만 투여 후에 유리지방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투여 후 집단간 비교에서 안정시에서 위약집단보다 크레아틴, HMB 그리고 복합투여 집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9. 투여 전과 투여 후의 글루코스 농도 비교에서 위약집단과 복합투여 집단이 안정시에서 투여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회복기 15분에는 위약집단만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투여 후 집단간 비교에서는 안정시에만 HMB 투여 집단이 복합투여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들로 미루어 고강도의 무산소성 운동시 HMB의 근송상 감소 효과로 최고파워와 총운동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피로와 관련된 혈액변인들 중 크레아틴 처치의 효과로 인한 해당과정의존도 감소로 혈중 젖산농도 감소와 HMB+크레아틴 차치 효과로 뇨 크레아티닌 농도가 감소되었다. 이외의 혈액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처치후 위약집단과 비교한 처치집단의 결과가 무산소성능력과 피로와 관련된 혈액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effects on anaerobic capacity and fatigue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and the supplementation of creatine and HMB which are known as erogogenic aid for its fatigue seniority and recovery shortening. Twenty-four healthy collegiate students participated as subject with four groups, control group, HMB(H) and creatine(C) single supplementation group and HMB+creatine combination group(C+H) after signing an informed consent. The protocol for examine this study was used the fifth times Wingate test which exert during 15seconds and recovery during 45second and recovery for 6 h i n after exercise. To measure anaerobic capacity it was used the maximal power, mean power and total work during Wingate test. And to analysis effect on fatigue it was measured the blood variables such as lactate acid, ammonia, LDH, CK, glucose and FFA at resting and 15, 30, 60min of recovery. Urine creatinine was measured at resting and 6 h i n of recovery. The 2x4~5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analyze anaerobic capacity and fatigue between before and after supplementation and among thre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periods included resting and 15, 30, 60min of recovery and Bonferroni method was used to post-hoc. And it was used the contrast method to analyze difference among periods and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in group. One 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 among groups at every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ak power of anaerobic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 and C+H group at 2set after administration in comparison with before administration.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before administration, however peak pow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 group than control group at 2set after administration. 2. The mean power of anaerobic capacity was a significantly higher C+H group at lset and C and C+H group at 2set after administration when compared with before administration.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before administration, however mean pow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 and C+H group than C group at lset and significantly higher in H group than control group at 2set after administration. The total work was a significantly higher in H group after administration in comparison with before adminstration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t both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3. CK was increased in all administration groups after administration in comparison with before administra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ce. After administration, CK was higher in all administration groups than contro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ce. 4. LDH had n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in all groups. After administration, LDH at immediately exercise termin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60min of recovery in C group. 5. The level of ammoni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5min and 30min of recovery in control group and at 60min of recovery in C group after administration in comparison with before administration. After administration, level of ammon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 group than C group at immediately exercise termination and significantly higher H group than control group at 15min of recovery. Also, level of ammon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 group than control group at 30min and 60min of recovery. 6. In C group, level of lactate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an before administration at resting but significantly lower after than before administration. In C+H group, level of lactate acid was significantly lower at resting but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an before administration at 60min of recovery. After administration, level of lactate acid was significantly lower in H group than control group at resting. 7. When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at resting level of urine creatini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ministration in H group. After administration, level of ammon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 and C+H group than control group at resting. 8. At resting, FF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an before administration in C and H group. After adminis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ing in C, H, and C+H group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9. In control and C+H group,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an before administration at resting a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trol group at 15min of recovery. After administration,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 group than C+H group at resting. In summary, peak power and total work were increased during high intensity anaerobic exercise because of HMB effect which reduced damage of muscle. In the blood variables relation to fatigue, due to elevation of PCr reserve, blood lactate acid was decreased after creatine supplementation. Urine creatinine was also decreased after HMB+creatine combination supple - mentation. Therefore, it was appeared that each treatment have a positive effect for anaerobic capacity and fatigue during high intensity anaerobic exercise and recovery.

      •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남자 대학교 축구선수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원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3

        국문초록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남자 대학교 축구선수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의·과학전공 최 원 혁 지도교수 이 만 균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교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축구선수 18명은 카페인집단(9명)과 위약집단(9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카페인집단의 대상자는 4일의 카페인 섭취 제한 후 사전검사를 받고, 다시 4일의 카페인 섭취 제한 후 실험 1시간 전에 카페인을 섭취한 후 사후검사를 받았다. 위약집단의 대상자는 같은 방법으로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사후검사 전 카페인 대신 위약(cellulose 성분)을 섭취하였다. 카페인과 위약의 섭취는 이중맹검법(double blind method)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카페인의 섭취량은 체중당 6 mg이었다. 주요 종속변인은 유산소성 운동능력(최대산소섭취량, 탈진까지 운동시간, 무산소성 역치), 무산소성 운동능력(수직점프, 최대파워, 평균파워, 최소파워, 피로율), 그리고 등속성 근기능(최대힘효율, 체중당 최대힘효율, 총일량, 체중당 총일량)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카페인집단의 수직점프 기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2) 카페인집단의 최대파워, 평균파워, 그리고 최소파워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 카페인집단의 탈진까지 운동시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4) 카페인집단의 비주측 60°·sec-1에서의 최대힘효울, 체중당 최대힘효율, 총일량, 그리고 체중당 총일량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축구선수의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향상에 크게 공헌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Effects of acute caffeine ingestion on aerobic/anaerobic capacity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collegiate soccer players Won-Hyuk Choi Major in Sports Medicine and Science Graduated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Man-Gyoon Lee,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ingestion of caffeine on aerobic/anaerobic capacity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collegiate soccer players. Eighteen p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wo groups, i.e. caffeine group (n=9) and placebo group (n=9). All subjects in both group participated in pre-test without caffeine ingestion for four days. Subjects in caffeine group ingested caffeine capsule one hour before post test, whereas subjects in placebo group ingested cellulose capsule at the same time point. Caffeine or placebo was ingested by double blind method, and the amount of caffeine ingestion was 6 mg per body weight. Main dependa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aerobic capacity (i.e. VO2max, time to exhaustion, anaerobic threshold), anaerobic capacity (i.e. counter movement jump, peak power, average power, lowest power, fatigue ratio),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e. peak torqu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total work, and total work per body weight).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Counter movement jum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affeine group. 2) Peak power, average power, and lowest power obtained from the Wingate tes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affeine group. 3) Time to exhaustion measured during the maximal graded exercise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ffeine group. 4) Peak torqu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total work, and total work per body weight of non-dominant knee measured at 60°·sec-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affeine group. It was concluded that acute caffeine ingestion would contribute for improving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in male soccer players.

      • 달리기 선수들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서봉하 동아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33310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a) to assess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sprinters, middle-distance runners and long-distance 겨nners; (b)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veriables; and (c) to use these data as an useful ]reference when we select runners. Seven subjects were selected in each event. They peformed graded incremental maximal exercise on treadmill and supramaximal exercise (Wingate test) on computerized bicycle ergometer for 30 seco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unners in maximal oxygen uptake(VO_(2)max), ventilatory threshold(VT), lactate threshold (LT),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OBLA), and duration time(p <0.01). The best was the long distance runners followed by middle and sprinter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unners in total work, mean power, peak power and fatigue index(p <0.01). The best was the sprinters followed by middle and long distance runners. 3). In terms of exercise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unners on blood lactate concentrations during recovery in maximal exercis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rinters and middle/long distance runners were found in supramaximal exercise(p <0.05). 4). Although high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veriables(duration time, VO_(2)max, VT, LA & OBLA), HRmax showed low correlations with there veriables(p <0.01). 5).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total work, mean power and atigue index in each groups(p <0.01). 6). There were high negative correlations among aerobic and anaerobic indexes. The results supported previous finding relat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erobic/anaerobic capacity and the exercise type. In addition, this study strongly suggested that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ies based upon ev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select run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