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명순 문학연구 :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김미교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35

        김명순은 1920년대 근대의식을 체험한 신지식인으로 문단에 진출한 근대 최초의 여성작가이다. 그는 다양한 장르를 통하여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으며, 근대 첫 여성작가 중 두 번의 창작집을 출간하였다. 그의 문학적 출발은 당시의 남성 문인들과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뿌리 깊게 남아있던 봉건적 구질서의 인습으로부터 개인 삶이 왜곡되는 불행과, 당시 남성들의 악평에서 자유롭지 못하였다. 김명순 개인과 그의 문학세계가 축소, 과장되는 단초가 되어 그동안 문학사에서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1970년대 이후 근대 여성작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형성되어, 1990년을 정점으로 긍정적 평가가 진행되면서 김명순에 대한 새로운 연구물이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여성주의라는 틀에서 작가와 문학세계를 논의하는 한계가 지적된다. 최근 새로운 논의가 나오고는 있지만, 그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고찰한 본격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김명순의 기존 작품과 새롭게 발굴된 두 번째 창작집『애인의 선물』에 수록된 전 작품을 대상으로 김명순이 문학에서 형상화 한 주제의식을 고찰하였다. 김명순 문학의 주제의식은 자아인식과 자유연애 사상 그리고 사회의 모순 인식이다. 김명순 문학의 주제의식 형성은 그가 살았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의 영향과 작가의 체험이 반영된 것이다. 자아인식은 근대의 변화된 의식으로 기존의 구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자각이었다. 따라서 자아인식은 김명순 문학 전반에 내재된 의식으로 다른 주제의식 형성의 바탕이 되고 있다. 자유연애 사상 또한 당대의 시대적 흐름으로 근대의 변화된 양식 중 한 부분을 문학에 반영한 것이다. 김명순은 새로운 애정관을 추구하고 실천하고자 했으나, 현실에서의 불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는 보편적 애정의 난관에 대한 극복의 대안으로 낭만적 애정관을 문학으로 형상화하였다. 그것은 어떤 구속과 조건을 배제한 정신과 정신, 이상의 합일만을 우위에 두던 낭만적 사랑의 추구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의 모순 인식은 당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던 가족제도나 결혼제도의 폐단을 반영시킨 주제의식이다. 그것은 전제된 자아각성과 자유연애 사상의 실천과정에서 나온 자각으로 인식이 확장된 것이다. 김명순은 근대의식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출생에 따른 결함으로 인습의 억압과 왜곡으로 고통을 체험하게 된다. 구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개인 삶의 폐해를 공동의 문제로 확장시켜 형상화하였다. 김명순은 당시 서구사상과 유학 등 근대의식을 형성한 신지식인 여성으로 그가 체험한 근대의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학세계를 추구하였다. 김명순 문학은 시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수용한 작가의 변화된 의식이 있었기에 가능하였으며, 각 장르에 걸쳐 주제의식을 형상화할 수 있었다. 김명순 문학은 다음 세대인 1930년대 여성문인과 여성문학의 성숙과 다양한 글쓰기의 전사적 발판이 되었다. 따라서 작가의 불확실한 전기적 특성을 부각시켜 고찰하는 동향은 지양되어야 한다.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는 본격연구의 절실함과 김명순과 그의 문학이 객관적 평가를 받고 문학사적 위치의 재조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Kim Myung-soon is the first female writer to enter field of literature as an emerging after experiencing the modernism wave in the 1920s. She left many pieces behind that cover various genres and published two fictional books as the any other male writer in those days, but she was never free from the conventional norms in society that distorted her private life, and the harsh criticism that came from her male counter parts. These became some of the root causes of the under mining of her work and lacking of objective assessment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Her work is emerging as a new subject of discussion, but still not enough in-dept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er writings. Therefore, the following study will look into Kim Myung-soon's work, already to known others, and expand the bound aries to include all pieces in her second book, brought to light by Oh Young-sik, to examine the underlying themes in her writings, The themes of Kim's work are based on the concepts of self-recognition, free romance, and awareness of the contradicting social and institutional systems. Her work was found to reflect the times of which she lived in and her personal experiences. Self-recognition was about waking up from the conventional ideas and rules at the time and discovering a new self, which is why it is a concept threaded throughout her work that also provided the basis for other themes of her work. The concept of free love and romance was also an understanding of the modern days partially reflected in her work. Kim pursed a new concept of love and tried to put it into practice but ran into many difficulties in the real world. She tried to overcome these widespread obstacles by depicting romantic love in her pieces. It was an effort to defeat all existing barriers while prioritizing the unity of platonic and ideal love. Kim's portrayal of the vices of the family and marriage system were reflections of her awareness of the unfair soci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in the real world. This recognition of the societal environment was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that stemmed from her own practice of self-awakening and belief in free romance. Kim experienced firsthand the hardships from distortion and oppression of personal after her so-called flaw in birth was revealed, all which came from old-fashioned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time. This is why she was able to expend those pains in her own personal life caused by a back ward society to depict them as social issues that need to be dealt with. Kim was able to depict the themes she did at the time, because she accepted the movement for change the contradictions in society based on her personal experience. Kim's work opened many door to next generation female writers, which is why studies that simply treat her personal life and work as one should be shunned. It is now time that her work be reevaluated in Korean literature, as should more in-depth and varied studies be conducted.

      • 1910년대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 연구 : -현상윤·양건식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강주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15951

        1910년대는 조선의 멸망이라는 명제와 함께 시작되었다. 몰락한 왕조는 여전히 그 뿌리를 발 담그고 있었고 봉건의 잔재가 유지되고 있는 채로 신문물의 유입이 이루어 졌으며 자본은 올바른 경로가 아닌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굴절된 채로 흘러들어왔다. 이러한 때에 신지식인들이 현실에 대응하는 자세는 저마다 달랐다. 본 논문에서 현상윤과 양건식을 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 자주적으로 실력을 양성하여 서구의 문물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사상적 견지가 같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작품에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는 점도 이들을 한데 묶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현상윤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모색의 과정의 일환으로 현실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행동유형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양건식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모색의 과정을 넘어 불교로써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가장 중요한 공통점은 바로 이러한 모색의 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로 그들의 문제의식이 귀결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러한 실천적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의 근대화를 이끌어가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였고 작품에서 현실의 모순점을 가감 없이 드러냄으로써 봉건적 잔재 청산이 그 무엇보다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 있어 왔던 기왕의 연구들은 1910년대 단편소설 작가를 여러 군으로 나누어 전반적으로 폭넓게 다루다보니 현상윤과 양건식의 1910년대 소설 작품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고 이들 작가가 1910년대의 신지식인의 표상이었음을 밝히는 데도 부족함이 있었다. 본 논문의 핵심 논의 내용은 1910년대에 다수의 작품을 남긴 현상윤과 양건식의 단편소설 텍스트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들 소설에서 보이는 두 작가의 의식을 토대로 작품에 내포된 당시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의 양태를 밝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바 두 작가의 시대 인식은 당대를 대표할 만한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두 작가의 시대 인식의 양태로 1910년대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 양태를 규정하는 것에 큰 무리가 없음 또한 분명하다. 그러므로 현상윤과 양건식으로 대표되는 1910년대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은 현실을 타개할 방법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실천적 인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1910s begins with the proposition of the collapse of the Joseon Dynasty. With a vestige of feudal society remained, the influx of new culture was made. Capital was flowed into the Joseon Dynasty, with being distorted by Japanese imperialism not valid paths. The attitudes of new intellectuals dealing with reality was different respectively at the time. The reason why this paper chooses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 as main object of research is that they had a same ideological standpoint of independently receiving western culture with autonomous ‘ability cultivation’. The fact that they made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reality was acted on tying these two people. Hyeon, Sangyun variously presented behavior patterns of characters to deal with reality as a course of groping to overcome reality. Beyond the process of groping to overcome reality, Yang, Geonsik proposed alternatives as buddhism to overcome reality. The most important common point of these two people, however, is that their critical mind is down to a problem of practice through the groping mentioned above. They tried to lead moder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ir practical recognition like this. By revealing contradiction of reality without making any kind of adjustments, they emphasized that liquidation of the feudal vestige is the most urgent. Existing researches divided writers of 1910s into various groups and dealt with them generally and broadly. They did not intensively analysed the short stories of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in 1910s and lacked in revealing that these two writers were representation of new intellectuals in 1910s. The goal of the paper is to carefully analyse the short stories of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 who left most of their literary work in 1910s and is to reveal patterns of ‘recognition of the age of new intellectuals’ at the time which was connotated in work based on consciousness of these two writers shown in their short stories. As the paper shows, recognition of these two writers can be judged as representation of the time and, in turn, it is certain that stating patterns of new intellectuals’ recognition of the age in 1910s as those of ‘recognition of the age’ of these two writers is not unnatural. Consequently, we can say that recognition of the age of new intellectuals represented by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 in 1910s is practical recognition seeking and presenting how to overcome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