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화정밀 건강진단 수검자의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관련된 요인

        나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일개 대학부속 종합병원이 외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생존 및 성장을 위하여 특화정밀 건강진단에 참석한 수검자를 대상으로 특화정밀 건강진단에 대한 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과의 관련성, 고객만족도의 구성요인과 고객 충성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대학부속 종합병원에서 2003년 4월에서 11월 기간 중 특화정밀 건강진단을 받은 수검자 60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3년 9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2달 동안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접을 통하여 설문 조사하여 직접 기입하게 한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AS(Ver 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의료이용 특성, 건강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의료이용 특성, 건강 특성에 따른 차원별 고객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고객충성도의 차는 t-검정과 분산분석, X^(2)-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전반적 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재이용 의사, 주변에 권유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련성은 상관분석, 차원별 고객 만족도와 전반적 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차원별 고객만족도와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의료이용 특성과 차원별 고객만족도와의 관련성에서는 병원이용 경험(P=0.046)과 병원선택 주체(P=0.049)에 따라 검사비용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건강 특성과 차원별 고객만족도와의 관련성에서는 질병 유무( p=0.031)에 따라 시설과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전반적인 만족도와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건강 특성과는 질병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41). 전반적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일반적 특성 중 교육과 수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질병 유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 차원별 고객만족도에는 관련 요인이 없었다. 넷째, 재이용 의사 관련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교육과 수입이며, 차원별 고객만족도에서는 의료진의 기술과 전문성이며, 전반적인 만족도가 관련 요인이다. 주변에 권유할 의향 관련 요인은 수입과 전반적인 만족도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 볼 때 차원별 고객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를 설명하는 변수군이 아니었으며, 재이용 및 주변권유 의향에 환자의 특성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군으로서 이를 통해 환자측 요인이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연구들이 활성화 되어 병원경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lients' satisfaction degree on special health examination and further define factors related to their loyalty. This research targeted 60 clients who went through special health examination service from April to November, and covered the data collected from August 30 through November 30, 2003.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 based on questionnaire filled by interviewees themselves. Date analysis was made through SAS(Ver 8.0) statistics software program. This analysis process was made differently according to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preference to specific medical treatment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dimension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general satisfaction degree and customer loyalty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preference to specific medical treatment and physical condition were analysed by t-test, ANOVA, and X^(2)-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general characteristics, general satisfaction degree and customer loyalty degree (intention to reuse or to recommend to other potential clients) was analys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dimension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elements affecting satisfaction degree and customer loyalty were examined by multi-regressiv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s of customer satisfaction degree was noticeably shown on a statistical basi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medical treatment use and dimensions of clients' satisfaction degree, the extent of satisfaction with checkup cost were noticeab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hospital user(P=0.046) and the determiner of hospital choice(P=0.04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s of clients' satisfaction degree, the satisfaction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wa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clients had disease or not. Third,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verall satisfaction showed nothing in terms of statistics, it was noticeably different in relation to heal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hether clients had disease or not.(P=0.041) Along with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disease, education and incom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had some statistical meaning as factors related to overall satisfaction degree, but dimensions of clients' satisfaction degree didn't have. Fourth, as factors of intention to reuse there were education and income in general characteristics, technique and expertise of medical staff in dimensions of clients' satisfaction degree. And general satisfaction degree was another factor. As factors of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s there were income and overall satisfaction degree. As the results mentioned above shows, dimensions of clients' satisfaction degree were not variant that could account for overall satisfaction degree. I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lients' intention to reuse or recommend to others have great impact on clients' loyalty, playing a role of meaningful variant group. In other words, the examine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s' loyalty. Finally, I hope that studies using Standardized instruments will be more activated and used as materials for hospital administration.

      • 특수목적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연구

        강경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교는 청소년들에게 가장 중요한 역할을 제공하는 배움의 장이다. 그러므로 학교는 미래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은 물론, 다른 학생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곳이다. 청소년 시기의 학교생활은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길잡이 이자 올바른 사회인으로 형성해 가는데 디딤돌이 되므로, 학교에 대해 얼마나 즐겁고 만족스럽게 보내느냐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학교가 즐거운 공동체로 발전한다면 학생들에게 삶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케 할 수 있고 학교 전반에 대해 갖는 학생들의 감정과 느낌을 보다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학생의 학교 선택권과 수월성·다양성 교육을 통해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위상과 관심이 날로 증대되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학교만족도 연구는 일반계, 실업계 위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교만족도와 관련해서 기존에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개인배경별에 따른 학교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특수목적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과학고, 외국어고) 학생들의 학교수준변인이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만족도에서는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 확률로 볼 때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의 성별에 따른 학교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도출된 많은 연구들을 보면 여학생의 만족도가 남학생의 만족도 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성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년별에 따른 학교만족도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학년별로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1학년과 2학년의 학년별 차이를 보였고 2학년과 3학년에 학교만족도의 차이는 큰 변화가 없는 결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해석은 입시위주의 수업과 조기졸업의 영향으로 2학년 때도 마찬가지로 본격적인 입시준비를 하고 있음을 시사해주는 바이다. 셋째, 학교유형별에서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결과에서는 과학고가 외국어보다 학교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고의 학교만족도의 결과에서는 교수-학습활동, 교육결과, 교과 외 활동 순으로 학교만족도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외고의 경우는 교육결과, 교과 외 활동, 교수-학습활동 순으로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고의 학교만족도 결과에서 교수-학습 활동부분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은 과학고가 외국어보다 일반적 의미의 우수학교 보다는 전문교육을 통해 소기의 성과를 달성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목적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고, 전반적인 현 교육방향의 예측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Schools are the sites of learning that perform the most important roles for the youngsters. Therefore, schools not only teach the students knowledge necessary for the future but also help them network with other students by learning how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The schooldays are the important part of life and are the steps for the students to be developed as upright human beings thus it is important for the students to b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ves. If the school develops as a joyful community,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form proper sense of value and attitude towards their lives and it will be possible to positively change students' emotions and feelings about the schools in general. The prestige and interests of th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re being raised along with the rising necessity of students' rights of selecting schools and various educations. The current studies on students' satisfaction in their schools are focused mainly on gener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high schools while studies o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the types of th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cience high school,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the gender, the male students showed slightly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The preceding studies indicate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s compared to the male student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play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y the gender. Secon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the grade, there was difference by the grad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index of freshmen and juniors but the juniors and the seni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s are caused since students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tart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when they become juniors because of the classes focusing on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the impacts of early graduation. Thir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the schools, the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s showed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the satisfaction index was affected by teaching-learning method, education results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in order.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the satisfaction index was affected by education results,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in orde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igher satisfaction index in teaching-learning method indicates that science high schools are able to achieve their goals by professional education rather than by foreign langu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ous needs of the students and present the data necessary for predicting the futu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atisfaction index of the students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 초등교사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김영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의사결정 참여정도가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 고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의 26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96명을 대상 으로 재직 중인 학교에서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 배경 특성 및 학교 특성에 따른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 OLS(Ordinary Least Squares)회귀분석 및 공변량분석(ANCOVA)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의사결정 참여정도에 대한 인식 비교의 경우 교사의 배경 특성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대와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았다. 또한, 일반 교사나 기간제 교사에 비해 부장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타나났다. 학교 특성에 따라서는 중규모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가장 높았으며, 연구·시범학교에 비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 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 비교의 경우 교사의 배경 특성 변인에 따라서는 여교사에 비해 남교사의 만족도가 좀 더 높았고, 연령대와 교직경력이 높을수 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교사나 기간제 교사에 비해 부장교사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 특성에 따라서는 중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가장 적게 느끼고 직무만족도가 높았으 며, 연구·시범학교에 비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에 따른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실증자료를 통해 살펴본 결과 의사결정 참여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였다.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 타났고, 의사결정 참여도가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의사결 정 네 가지 하위영역 모두 직무만족과 정적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 몇 가지 시사점을 준다. 연령, 경력, 직위가 높은 교사일수록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다는 점은 학교 운영에 있어서 고경력 교사와 부장 교사와 같은 특정 교사 위주로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 다. 학교장은 학교 운영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있어서 다양한 연령과 경력의 교 사를 고루 참여시켜 교사들의 자발성과 헌신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조직 분위기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중규모 학교가 의사결정 참여와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점에서 학교 단위로 효율적인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적정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대규모 학교에서는 학교 조직을 세분화하여 참여에 배제된 교사들을 직·간접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토 록 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 로, 연구·시범학교 운영과 관련된 의사결정 사항들에 대하여 특정교사들 위주 의 결정 보다는 일반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그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민주적인 조직풍토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시각과 견해를 포 함한 질 높은 학교 경영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폭넓은 의사결정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 축제 스토리텔링이 축제 브랜드자산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양산삽량문화축전을 대상으로

        전영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의 지역축제는 1991년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각 지자체의 지역발전방안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급속히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한국관광공사에서 1995년부터 시행된 문화관광축제 지원정책은 축제의 비약적인 발전을 견인하기도하였다. 지역축제는 지역문화계승·발전, 지역이미지강화, 지역민의 참여를 통한 지역공동체의식 형성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민의 여가 기회 제공에 기여함으로써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각 지자체는 지역축제를 통한 지역의 문화적 고유성 및 정체성 확보를 도모하여 지역발전과 지역홍보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역축제의 양적증가는 지자체간의 유사 콘텐츠 혹은 주제의 축제 개발과 운영으로 개별 축제의 고유성과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양적증가에 반해 질적저하를 가져왔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었다. 또한, 축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지나친 상업성과 대중성을 추구하면서 축제의 원형을 벗어나거나 축제개최의 본 취지가 무색해지는 등의 축제가 가진 고유성이 훼손되기도 하였다. 지역축제는 지역관광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 유치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예산낭비라는 지적도 있었으며, 획일적인 이벤트성 행사, 무분별한 벤치마킹, 지역민의 참여부족, 역사적·지역적·전통적 고유성 결여 등의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축제의 양적·질적 균형성장을 통한 국내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모색이 필요해졌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해당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을 축제와 접목시키는 노력이 축제기획의 중요요소로 인지되고 있다. 축제의 스토리텔링 기법적용은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대중성과 축제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 고리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대표적 문화콘텐츠인 지역축제의 기획에 있어 스토리의 역할에 이론 정립은 매우 중요한 작업인 것이다 이처럼 축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관련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축제의 경우 이미 오랜 역사와 전통이 있는 콘텐츠 중심의 축제가 주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진 반면, 1995년 이후 폭발적으로 새롭게 생겨난 많은 다수의 중소규모 도시의 지역축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차별화된 지역축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새롭게 기획 및 운영되고 있는 중소규모의 축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산삽량문화축전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이 축제 브랜드자산과 축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영향관계의 고찰을 통해 축제의 고유한 브랜드 구축과 관광객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문헌조사를 통한 스토리텔링, 브랜드자산, 만족도에 대한 측정변수를 도출하고 2018년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양산삽량문화축전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 및 가설검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스토리텔링의 상호작용, 표현만이 브랜드자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자산과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토리텔링은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양산삽량문화축전의 스토리텔링은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브랜드자산과 만족도 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축제 브랜드자산의 구축을 통한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여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Korea's local festivals have been used as a means of regional development by each local government and have been an opportunity to grow rapidly. In addition,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support policy implement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from 1995 helped the festival's rapid development. Local festivals are increasingly important by playing the role of regional community-style formation through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regional estrangement, and participation by local people, and b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the provision of leisure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In response, each local government actively utilizes the district as a means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promotion by seeking cultural identity and identity of the area through the local festival.

      • 대학도서관 사서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가 이용자의 사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초연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자아존중감(자기비하 정도, 타인관계의 원만도, 주관적 인기도, 자기 확신 정도)과 직무만족도(직무자체, 동료, 승진,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이용자의 사서만족도(사서의 친절한 태도, 사서의 업무 능력, 사서의 업무 처리 속도, 사서의 용모, 사서의 이용자 배려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도서관 사서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해당하는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의 사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의 주관적 인기도와 자기 확신 정도는 이용자가 느끼는 사서의 친절한 태도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업무 능력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업무 처리 속도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용모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이용자 배려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의 타인관계의 원만도는 이용자가 느끼는 사서의 용모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의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가 느끼는 사서의 친절한 태도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용모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이용자 배려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서의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가 느끼는 사서의 업무 능력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의 동료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가 느끼는 사서의 친절한 태도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업무 처리 속도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용모에 대한 만족도, 사서의 이용자 배려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사서의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유일하게 이용자의 사서만족도의 하위항목 중에서 사서의 업무 능력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의 전반적인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는 이용자의 전반적인 사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서는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 중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도서관은 이용자 만족도를 보완하기 위해서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에게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성격을 지닌 학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서의 내적인 감정이 이용자의 사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사서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가 아닌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university librarian's self-esteem(self-abasement, amic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subjective popularity and self-confidence) and job satisfaction(satisfaction with duties, co-workers, promotion and wage) influence user's librarian satisfaction(satisfaction with librarian's kind attitude, work capability, work handling speed, appearance and consideration for users). For this purpose,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and librarian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brary use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ibrarian's subjective popularity and self-confidence affected user's satisfaction with librarian's kind attitude, work capability, work handling speed, appearance and consideration for users. Librarian's amic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also affected user's satisfaction with librarian's appearance. Second, librarian's satisfaction with promotion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with librarian's kind attitude, appearance and consideration for users, and librarian's satisfaction with duties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with librarian's work capability. Moreover, librarian's satisfaction with co-workers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with librarian's kind attitude, work handling speed, appearance and consideration for users. In addition, librarian's satisfaction with duties only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with librarian's work capability among the subordinate items of user's librarian satisfaction. Third, university librarian's overall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user's overall librarian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librarian is one of factors to evaluate university library user's satisfaction. Therefore, university libraries would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university librarians to improve user's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verifying that internal emotions of librarians in schoo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fluence user's librarian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earch, follow-up study c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in addition to librarian's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 初等女敎師의 職務滿足度에 關한 硏究

        최근옥 우석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7807

        敎職의 女性化 추세에 照明시켜 初等女敎師들이 職務滿足度는 어느 수준이 되나, 勤務環境改善에 필요한 職務要因은 무엇인가 考察해 보고 職務의 效率性을 提高시키는데 도움이 될만한 基礎資料를 提供받고자 하는데 硏究의 目的이 있다. 敎職의 女性化 趨勢가 初等女敎師 構成比率이 50%를 넘어선 時點에서 女敎師들이 結婚與否와 年齡差異, 經歷差異에서, 또한 勤務地域, 擔任學年의 特性에 따라 人間關係, 職務, 勤務環境, 專門性伸張, 行政體制, 認定地位등 7個 下位要因에 있어서 職務滿足度 差異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그 問題點은 무엇이고 改善點은 무엇인가 示唆點을 얻기 위해서 263名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分析한 結果를 다음과 같이 要約해 본다. 初等女敎師들이 結婚與否에 따라 職務滿足度는 未婚 女敎師보다 旣婚 女敎師 集團이 더 높다. 특히 人間關係가 意味있는 差異로 높은데 이 人間關係라는 것은 校長, 校監, 同僚敎師, 學生들을 포함한 주변사람들과의 相互 受容的이고 人間的인 유대와 신뢰감 속에서 滿足을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한편, 初等女敎師의 年齡 差異에서 오는 職務滿足度는 年齡이 높은 層이 낮은 層보다 職務滿足度가 높다. 이는 젊은 女敎師들이 自己中心的인 데 비해 나이 든 女敎師등은 人間關係에서 원만한 交涉을 갖고 있으며 또한 勤務環境에 대해서도 受容하는 滿足度가 높다. 이처럼 年齡 높은 女敎師가 職務를 통해서 발휘되는 成就感이라든가 自我實現이 强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初等女敎師들의 經歷이 많은 쪽이 적은 쪽보다 職務滿足度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經歷이 짧은 初等女敎師들은 人間關係, 職務, 勤務環境 등에서 職務滿足度가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그만큼 敎職生活에 대한 不滿足의 葛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初等女敎師들이 근무하는 學校 所在地가 都市냐, 邑이냐, 面이냐에 따라 職務滿足度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面以下 地域에 勤務하는 女敎師의 職務滿足度가 높았음은 도시학교에 비해 勤務環境이 劣惡한 시골 학교 근무 교사들이 오히려 바람직한 敎職觀을 갖고 있음을 示唆해 주고 있다. 初等女敎師의 擔任學年에 따른 勤務條件에 있어서는 1, 2학년 擔任이나 3, 4學年 擔任이나, 5, 6學年 擔任이나 職務滿足度에 있어서 별다른 差異없이 平準化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장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수열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직장 내 직무, 인간관계, 보상이 근로자의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복지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소기업근로자들의 직장만족도 결정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기업복지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직장 내 직무, 인간관계, 보상이 직접적으로 근로자의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가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근로자들이 직장내에서의 자신의 직무가 자신에게 적절하고 창조적이라고 생각하고 근로자들이 직장내에서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가 원활하다고 판단할 수록 또한, 근로자들이 직장 내에서 받는 급여나 후생복지가 적절하며 승진시스템이 합리적이라고 생각 할수록 자신이 재직하는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들이 직장내에서의 자신의 직무가 적절하며 창조적이라고 생각할 수록, 자신이 재직하는 직장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그에 따라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역시 통계적인 결과를 봤을때는 무의미하지만,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직장내에서 느끼는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감은 그들의 스트레스를 저하시켜 궁극적으로 직장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보상만큼 인간관계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직무를 수행하며 같은 보상을 받는다면 좀 더 나은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회사를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보상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장 내에서의 급여 및 후생복지 수준이 스트레스 저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보상이 근로자의 직장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는 나타났지만, 단지 급여가 많다고 하여 직무를 수행하며 또는 회사내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받는 스트레스는 줄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직무가 적절하고 흥미를 느끼며 원활한 인간관계가 동반되어 즐거운 직무 환경이 형성되었을때를 근로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근무지에 대한 생각이며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만족도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기업복지와 직장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이 빈약한 우리나라의 상황하에서 이분야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 하는데 나름대로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는 근로자의 직장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은 실질적인 복지혜택도 중요하지만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근로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욕구변화를 반영하는 기업복지제도를 구축할 필요성이 함께 느낄수 있다. 근로자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획일적․일률적으로 기업복지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해온 중소기업의 실태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복지제도의 다양성, 고충처리제도의 유효성 증대 등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변수들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서비스교육훈련이 직원만족도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기업 중심으로

        한미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경제의 쾌속한 발전에 따라 중국기업은 수많은 변화와 도전을 직면하게 되었다. 그래서 기업들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직원의 서비스품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서비스교육훈련과 전문적인 기술능력 배양을 기업경영의 중요한 일환이 되고 있다. 현대적인 기업들은 이윤창출을 추구하는 동시에, 진정으로 직원의 이익을 고려하는 직원만족을 목표로 두고 인재를 양성하고 인재를 떠나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기업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교육훈련이 필요하게 된다. 기업의 서비스교육훈련은 훌륭한 전문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핵심경쟁력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중국 현대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살아남기 위한 과업으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현재 서비스교육훈련의 진행 현황을 알아보고 서비스교육훈련이 직원만족과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 분석하기로 한다. 따라서 중국기업이 존재하는 주요 문제를 살펴보고, 서비스교육훈련에 대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직원만족도를 향상하고 서비스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 서비스교육훈련의 체계적인 개선에 대하여 중국기업에게 이론적 방향을 제시하며, 그 기업경영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직원만족을 제고시키고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인간중심의 이념으로 최종적인 기업의 수익성을 제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일 국립병원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오순옥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소재 국립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직무수행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 및 방법 : 간호사 150명과 입원환자 150명 총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연구도구로는 Slavitt 등이 개발한 직업만족 측정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0을 이용하였고 자료의 특성에 따라 기술적 통계, t-test, ANOVA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환자들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 평균 평점은 4.03점,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는 2.96점으로 입원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간호사 직무만족도 보다 높았다. 연령과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나이가 많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소득수준별로는 월평균소득 ‘200∼300만원미만’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결혼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 거주자 만족도를 반영한 생활가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은평뉴타운 생활가로를 중심으로

        장미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공동주택단지들이 자기완결성과 폐쇄성으로 인해 도시와 절연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극복을 위해 공동주택단지가 도시 공간으로서 도시성을 살리고 가로에 활기를 불어넣어 도시와 소통하는 공간이 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이러한 상황이 야기된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알아보고 그 극복방법으로 생활가로의 계획목표와 계획특성을 설정하였다. 생활가로는 주거단지 상호간 또는 주거단지와 도시 공간 상호간의 중첩과 연계, 상호 이입을 가능하게 하여 가로공간을 통해 일상생활에 관련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과 중첩된 가로공간이다. 2000년 이후 공공현상설계를 통해 생활가로의 계획수법이 적용된 대단위 공동주택 단지들이 많이 등장하였으며 그 단지들이 완공되어 거주공간으로서 검증받을 수 있는 단계가 되었다. 그 단지 들 중 완공사례로 은평뉴타운 1지구의 생활가로를 선정하여 현상설계당선안의 계획기법과 M.A.자문을 거쳐 완공된 단지의 계획 기법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거주자의 공간이용 행태, 만족도,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 계획안을 다시 분석하였다.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이용행태에 대한 관찰조사 및 인터뷰조사를 통한 정성적인 부분을 보완하였다. 계획기법에 대한 계획안 간의 비교 분석이 전문가적 시각이라고 한다면 실제 만족도와 이용행태에 대한 거주자들의 시각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고, 좀 더 나은 생활가로의 계획기법을 제안 하였다. 이러한 전제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논문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족도와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결과를 계획기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①외부 공간 구성 체계 및 동선계획에 있어서는 생활가로, 단지 내 숲길 산책로, 근린공원연결 생태가로로 세분화되어 상황별 이용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②각 단지별 차량 진 출입구에 대한 계획은 2단지의 경우 진관중학교 교문 앞 생활가로변에 차량 진출입구가 위치하게 되어 등하교 시, 차량과 통학동선간의 간섭이 많이 일어났고, 만족도 조사에서도 어린이 통학안전성과 보행통행편리성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③생활가로 내 공간이용 계획은 건축선(1.5m,3m)을 후퇴하고 그 공간을 보행아케이드로 조성하려는 의도였으나 실제 이용관찰 조사에서는 그 공간이 일부 상가의 물품 적재나 좌판으로 사용되거나, 주정차공간으로 활용되어 보행의 연속성 및 다양성을 해치고 있다. ④생활가로 내 차로 폭 및 노변주차계획은 차로폭이 8m에서 7m로 줄면서 승용차 운전 시 추월의 소지를 없앴고, 생활가로변에 주차구획이 버스 정차장을 제외하고 없어지게 됨으로써 보도와 보행 아케이드가 주정차, 하역 차량과 혼재되었고 만족도 조사에서도 보행통행편리성과 차량통행편리성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⑤생활가로와 접한 중정계획에 있어서 4가지의 중정계획 유형을 갖는다. 첫째, 중정 내에서 얕은 경사를 갖는 중정유형 둘째, 중정 내 1개층 높이차가 나는 중정으로 레벨차를 경사로 처리한 유형 셋째, 중정 내 1개층 높이차가 나는 중정 중 중정 내에 레벨차를 계단으로만 처리한 유형이다. 넷째, 중정 내 2개층 높이차가 나는 중정으로 내부에 계단과 경사로를 동시에 갖는 유형이다. 중정공간이용관찰조사에서 1개층 이상 높이차를 갖는 부분에서 진입방법을 계단으로만 처리한 경우 유모차나 자전거의 진입이 불편하고 공간이용도도 떨어지고 있었다. ⑥생활가로변 건물의연속성(현상설계 시 타운센터, 중심 경관) 및 중앙녹지축 계획으로, 완공 된 상태나 이용성을 볼 때 그 의도가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 공간이 되었다. 중앙녹지축은 폭 50m의 선형 공원을 형성하며 바람 길을 열어주고 주동의 배치, 생활가로 공간의 중심성을 주는 공간으로 메인 공간을 형성하는 계획이었으나 완공 후의 모습은 사람들의 접근성이 좋지 못하고 그 폭과 깊이가 휴먼스케일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공간으로 시공 되었고, 선형공원 축 안의 수공간 역시 물이 없어 더욱 삭막한 공간이 되었다. 이상 만족도와 이용행태분석 결과로 계획기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활가로에 대한 바람직한 계획기법을 다시 제안하였다. ①외부 공간 구성 체계 및 동선계획에 있어서는 생활가로, 단지 내 숲길 산책로, 근린공원연결 생태가로로 세분화되어 상황별 이용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이용목적별(구매, 산책, 운동 등)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계획으로 유도한다. ②각 단지별 차량 진 출입구에 대한 계획은 생활가로변 차량 진출입구 위치를 이면도로 쪽으로 유도하고 특히 통학동선과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정한다. ③생활가로 내 공간이용 중 보행아케이드 계획은 상가 물품적재 공간을 마련하여 불법 점유를 사전에 막아 보행연속성을 확보한다. ④생활가로 내 차로 폭 및 노변주차계획은 차로 폭은 7m로 줄인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속도를 더 저감시키는 포장 및 도로체계가 필요하고, 생활가로변에 주차구획은 프로그램주차를 통한 시간대별 공간 활용을 통해 보도 위 주정차를 막고 하역차량에 대한 공간으로 활용한다. ⑤생활가로와 접한 중정계획은 생활가로에서의 보행이 중정공간의 레벨차로 인해 직접 연결될 수 없는 공간에 이용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생활가로에서 중정공간과의 레벨차를 반층 이하로 계획하고 계단과 경사로를 같이 설치하여 생활가로에서 직접 중정공간을 연결한다. ⑥생활가로변 건물의 연속성(현상설계 시 타운센터, 중심 경관) 및 중앙녹지축 계획은 생활가로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공간이라고 하면 보행접근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간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접근성과 이용성이 크고 휴먼스케일화 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은평뉴타운 생활가로는 보행우선도로계획을 목표했으나 현재의 생활가로는 보행자도, 차량이용자도 만족스럽지 못한 이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생활가로의 계획목표에 부합되는 완성도 있는 계획실현이 필요하고, 그 방법으로는 안전한 보행환경 확보, 차량의 속도 저감, 보행 우선의 도로체계 및 생활가로에서의 차량운전자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철저한 보행우선도로로서의 기능이 완성된다면 생활가로의 활용성 증대가 확보 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partment housing complex having characteristics of exclusiveness and self-completion has formed district disconnected with existing urban fabric. This paper has focused on such an negative side and looked back on historic background leading into present situation. As a countermeasure, planning goal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for positive community street has been set up seeking new type of apartment housing reviving urbanity and refreshing vitality of the street communicating with surrounding urban space. Community street should be the place where daily activities take place accompanying with pedestrian walking enabling mutual communication and transfusion. Since the year of 2000, open design competitions resulted in large-scaled apartment housing complexes where community-street planning method has been applied and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y are now in the stage of being verified as a residential space. Among apartment housing complex cases, as a completed one, community street of Eun-pyeong new town: block-1 has been chosen and planning method of open competition and that of completed complex going through M.A. consultation have been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the comparison between planning schemes might be focused on expert's view, the discrepancy has been complemented by observation survey and interview showing the actual standard of satisfaction and resident's appraisal toward utilizing way. Through these procedures, this paper has tried to suggest better planning method for the community street. The result from standard of satisfaction and analysis upon the utilization way has been gon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together with planning method. Key results of the paper obtained with mentioned prerequisite and method is as follows: ① Regarding outside space lay-out and flow plan, outside open space was being used as fragmented into community street, in-complex forest walk, eco-street linking to neighborhood park. ② The entrance for each apartment complex, for example in the complex 2, was placed in front of middle school, therefore causing problems in the school district. It also plays a crucial role reducing safety of children and walking convenience as it was shown by the survey on people’s satisfaction on the entrances. ③ Concerning the spatial availability in the community street, originally pedestrian arcade was intended to be created after moving the building line backward by 1.5 to 3 meters. However, survey for the practical availability clarify that the space has been diverted to loading space for shop goods or to street stall or parking space, which spoils the continuity and diversity of pedestrian environment. ④ Regarding road width and roadside parking plan in community street, road width was narrowed down from 8m to 7m which decreased cars outstripping others, and road division for parking space was removed which brought confusion between parked cars and moving cars. This problem lessened people’s satisfaction on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convenience. ⑤ As for the courtyard plan, four types of courtyard plan along the community street have been observed. First type has slight inclination within courtyard and second type has slope within courtyard with 1-floor level difference, while the third type has stairs under the same topographical condition. The last one has two-floor level difference and both stairs and slope have been designed inside. Space observation survey clarified the part having only stair-type exit even with over one-floor level difference is considered to be uncomfortable as for the approach of baby carriage or bicycle and the space itself is not actively used. ⑥ Concerning continuity of buildings along community street (town center in open competition, central view) and central green-band plan, completed status or degree of availability explains that the initial intention could not be embodied into the actual space. Central green band area where 50 meter-width linear park functioning as wind corridor was created was intended to form main space of the community street having spatial centripetal power. However. after completion, the area is valuated to be unfavorable in accessibility and in its width and depth, for not considering human-scale . Water feature plan along the axis of linear park has also resulted into negative waterless space. So far, analysis on the appraisal ov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on results from field survey help to suggest the desirable planning method for the community street as follows: ① Regarding outside space lay-out and flow plan, the open space being used fragmented into community street, forest walk, eco-street linking to neighborhood park should be led to increase the purpose-based availability such as shopping, stroll, exercise. ② Concerning the main exit plan into each complex, vehicle exit along the community street should be derived into backward street and especially should be located where mixture with school-attending flow might be avoidable. ③ As for the availability inside the pedestrian arcade plan, loading space for the shop goods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which guarantees continuous pedestrian environment preventing illegal occupation. ④ Regarding road width and roadside parking plan in community street, reduction to 7-meter-width was advisable, however pavement and circulation system making vehicles move even slower and as for parking division on community streetside, program-parking, parking way classified by time is recommendable, which prevent parking on pedestrian road and guarantee the room for loading vehicles. ⑤ Concerning pedestrian environment at the courtyard plan adjoined with community street, pedestrian availability for the community street is not favorable due to level difference of courtyard space and hence accessibility to the space where pedestrians cannot reach directly is not good. Level difference should be kept below a-half-floor and stairs allowing community street to be directly connected with courtyard space as well as slope. ⑥ Supposed that plan for the continuity of buildings along community street (town center in open competition, central view) and for central green axis should function as the major role in community street, pedestrian accessi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e plan with better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which might secure the continuity of space and human-scale is required. Even though community street of Eun-pyeong new town was targeted to function as pedestrian-oriented street, the current community street in use fails to satisfy pedestrians as well vehicle drivers. In-depth accomplishment meeting initial planning goal for the community street is required, for which guarantee of the safe pedestrian environment, reduction of vehicle speed, pedestrian-oriented street system, and driver's changed recognition to community street should be preceded. In case the function as a pedestrian-oriented street could be accomplished supplementing mentioned items, the community street might be more actively living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