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이 만성중이염 수술환자의 수술 후 불확실성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은영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실험처치인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을 적용하여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의 수술 후 불확실성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만성중이염 수술환자를 위한 간호중재의 효과를검증하여 임상에서 활용하기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일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입원하여 만성중이염수술을 받은 환자로, 수술 전 만성중이염 수술환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25명, 일상적인 기존 병동의 교육을 적용한 대조군 25명이었다. 실험의 확산과 오염을 막기 위해 대조군을 먼저 자료수집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6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연구를 시작하기 전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다(EU 09-14). 실험처치는 만성중이염 수술환자를 위해 개발된 간호정보제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는 만성중이염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수술전날 사전 조사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일반적 특성 및 질병 제 특성, 불확실성, 기질불안 및 상태불안을 측정하여 동질성을 검정한 후 실험군에게는 실험처치로 프로그램 소책자를 이용한 간호정보제공을 수술전날(1차 교육)에 귀의 구조 및 기능, 만성중이염의 증상, 수술전반에 따른 설명, 치료방법, 수술 전·후 주의사항 과 수술 후 합병증이 포함된 교육을 하는 것이며, 수술 후 3일(2차 교육)에 수술 후 주의사항과 퇴원 후 궁금한 질문사항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간호정보제공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직접 수술전날 병실을 방문하여 제작된 교육용 소책자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소요시간은 약 20분이었다. 대조군에게는 일상적인 기본간호정보만을 제공하였다. 사후조사는 수술 후 5일에 두 군 모두에게 불확실성 및 상태불안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수술관련 특성, 수술 전 기질불안, 불확실성, 상태불안을 측정하여 동질성을 검정하였으며, 수술후 불확실성, 상태불안을 측정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불확실성을 측정하기 위해 Mishel(1981)이 질병과 관련된 불확실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MUIS(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를 조옥희(2000)가 수정 보완한 20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불안 측정도구는 Spielberger(1975)의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한 척도로 상태불안을 측정하는 20개의 문항과 기질불안을 측정하는 20문항으로 총40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으로 분석하였고, 실험 전 두 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일반적 특성 및 제 특성의 차이는 X²-test와 t-test로 분석하였으며, 불확실성, 기질불안 및 상태불안은 t-test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계수로 분석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불확실성과 상태불안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확실성 정도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전 불확실성의 평균은 실험군 46.08±11.00점, 대조군 47.76±8.7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t= .598, P= .553) 없어 동질성이 확보되었으며, 프로그램 후 불확실성의 평균은 실험군 31.12±3.97점, 대조군 47.08±5.3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1.949, P< .001). 프로그램 전·후 실험군에서 불확실성 차이는 14.96±8.79, 대조군에서 .68±6.82로 유의한(t=5.904, P< .001) 차이를 나타내어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수술 전 정보제공 프로그램이 실험군(만성중이염 수술환자)의 불확실성 정도는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2.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전 상태불안의 평균은 실험군 47.24±7.10점, 대조군 49.16±4.5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t=1.141, P= .260) 없어 동질성이 확보되었으며, 프로그램 후 상태불안의 평균은 실험군 35.00±3.17점, 대조군 45.00±5.4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881, P< .001). 프로그램 전·후 실험군에서 상태불안 차이는 12.24±8.25, 대조군에서 4.16±4.19로 유의한(t=4.206, P< .001) 차이를 나타내어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수술 전 정보제공 프로그램이 실험군(만성중이염 수술환자)의 상태불안정도는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만성중이염 수술환자에게 수술 전·후 간호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불확실성과 상태불안 정도를 감소시키고 환자가 치료와 간호계획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간호중재로 유용하며, 실무에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자원기준상대가치를 이용한 만성중이염수술환자의 간호활동원가분석

        김미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의료 행위에만 적용되고 있는 상대가치 수가체계를 간호에 적용한 것으로 간호수가 산정 시 원가분석에 도움이 되고자 만성중이염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간호활동에 대해 박정호 등(1998)의 자원기준 상대가치점수를 이용한 간호활동원가산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중이염으로 유양돌기삭개술과 고실성형술을 시행한 환자로 2009년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3개월간 대상자에게 입원일부터 퇴원일까지 행해지는 모든 간호활동을 시간(초)과 건수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간호활동을 분석하여 상대가치 1점당 원가를 구하고 이를 이용한 간호활동원가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간호활동원가를 기 개발되어 있는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의 표준임상경로지(Critical Pathway : CP)에 따른 간호활동원가와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8세(SD=12.6)였고 여자가 18명(60.0%), 남 자가 12명(40.0%)이었으며 입원일수는 평균 7.9일(SD=1.2)이었다. 2)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에게 있어 경상적으로 일어나는 간호활동은 호흡간호, 영양간호, 운동 및 자세유지, 안위간호, 위생, 안전, 상담 및 교육, 투약, 의사소통, 환자간호 관리 및 정보관리의 10개영역, 26항목으로 나타났다. 3) 단위시간(초)당 간호인건비는 간호사의 인건비 연간 총액의 평균39,865,789원을 연간 환자간호에 소요하는 시간 7,171,200초로 나누어 초당 인건비 5.6원으로 산출되었다. 4) 간호소비원가는 83,867.6원으로 산출되었다. 간호기록과 입력 및 출력이 16,191.4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적 정맥주사 8,537.1원, 속도조절 정맥주사 8,039.7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소비원가가 높은 활동은 소비시간과 소비건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5) 소비한 상대가치 총점은 1,164.5점으로 상대가치 1점당 원가는 72.0원으로 산출되었다. 6) 간호활동원가는 83,843.7원으로 산출되었다. 간호기록과 입력 및 출력이 9,734.4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처치확인 및 검색 9,302.4원, 속도조절 절맥주사 9,072.0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비한 상대가치점수가 높을수록 간호활동원가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가치점수가 같은 활동이어도 소비건수가 많을수록 간호활동원가가 더 높았다. 7) 소비시간이 많은 활동이어도 상대가치 점수가 낮은 간호활동은 간호활동원가가 간호소비원가보다 낮게 나타났다. 8) 입원일에 따라 행해지는 간호활동은 차이를 보였고, 간호활동원가는 수술일이 13,417.8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것은 수술일에 행해지는 투약, 교육 등의 간호활동이 다른 날 보다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9)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의 표준임상경로지에 따른 간호활동은 21항목이었다. 이에 따른 간호활동원가는 72,014.4원이었으며 수술일이 12,340.8원으로 다른 입원일보다 높았다. 10) 본 연구와 표준임상경로지에서의 공통점은 수술당일의 간호활동원가가 높게 나타나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투약, 교육 둥이 다른 입원일에 비해 더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간호활동에 소비되는 간호적 기술 및 육체적·정신적 노력 및 스트레스 등이 높다는 것이라 하겠다. 11) 간호활동은 질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비시간이 많은 활동이어도 간호활동원가가 낮은 경우 소비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결과적으로, 간호활동은 질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원일마다 행해지는 간호활동도 차이가 있다. 간호활동의 과중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배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질환마다의 간호활동원가분석이 필요하고 간호수가 산정 시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이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만 조사되었으므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질환에서의 간호활동원가분석도 필요하다고 본다.

      • 전상방 고막천공을 가진 만성중이염 환자에서 시행한 Sctum 전방 고정 고실성형술의 효과

        홍승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적 고막 천공이 전상방 부위로 확장된 경우에는 고막 재건이 어렵다. 내면이식법(underlay technique)을 적용하면 전상방 부위 재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외면이식법(overlay technique)은 내면이식법보다 천공 복구에 있어서는 성적이 더 좋지만 전방 부위 고막틀고랑 둔화(anterior sulcus blunting)나 고막의 외측화(tympanic lateralization)를 유발할 수 있다. scutum 전방 고정 고실성형술(anterior scutum anchoring tympanoplasty, ASAT)은 전상방 부위를 침범한 고막 천공을 치료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ASAT는 전상방 뼈 고리(bony annulus)와 섬유 고리(fibrous annulus) 사이에 이식편을 삽입하고 이식편의 전상방 끝을 scutum 전방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식편이 전상방 부위에서만 외면이식 되도록 하는 고식적 내면이식법의 변형이다. 저자들은 전상방 부위로 확장된 고막 천공을 ASAT 로 치료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4년 4월부터 2019년 8월 사이에 만성중이염으로 제 1형 고실성형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 포함 기준은 첫째, 천공이 고막의 전상방 부위를 침범한 경우, 둘째, ASAT 를 시행하고 집도의가 직접 작성한 수술기록지가 있는 경우, 셋째, 술후 6개월 이상 경과관찰을 한 경우, 넷째, 수술 전, 후 이내시경으로 촬영한 고막 사진이 있는 경우이다. 고막 천공이 전상방 부위만 침범한 경우를 집단 A, 전상방과 전하방 부위 침범 시 집단 B, 전상방, 전하방, 그리고 후하방 부위 침범 시 집단 C, 전체 사분면 모두 침범 시 집단 D로 분류하여 각 집단별 고막 이식 성공률과 합병증 발생률, 그리고 청력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78명 환자(남성 31명, 여성 47명)의 82귀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천공 크기에 따른 분류에서 집단 A는 3귀(4%), 집단 B는 24귀(29%), 집단 C는 16귀(19%), 집단 D는 39귀(48%)였다. 수술 6개월 이후 가장 최근 진료시 시행한 고막 진찰에서 이식 성공률은 네 집단 모두 100%였다. 6례에서 고막의 함몰이 있었으며 기타 전방 부위 고막틀고랑 둔화, 고막의 외측화, 고막 유착, 중이 내 삼출물은 없었다. 기도 청력 역치는 술전에 비해 평균 12.2dB (표준편차 11.3dB) 가 향상되었다. 결론 ASAT는 전상방을 침범한 고막 천공을 가진 만성중이염 환자에서 높은 수술 성공률과 술후 청력의 향상이 기대되는 효과적인 고실성형술 기법이다.

      • 만성중이염의 수술소견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임동명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clinicostatistical study of surgical findings was performed on 316 cases of chronic otitis media had taken primary middle ear surgery at Dept. of Otolaryngology of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84 to Dec. 1988 .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316 cases, male were 169 cases (53.5%) and female were 147 cases (46.5%) and age distribution showed 170 cases (53.8%) in third decade and 75 cases (23.7%) in fourth decade. 2) Preoperative character of otorrhea were 168 cases (53.2%) in dry, 148 cases (46.8%) in seromucinous or purulent. 3) The malignant perforation-attic or marginal perforation-was observed more frequently the cholesteatoma group (53.0%) than in the non-cholesteatoma group (5.5%). 4) In the status of middle ear mucosa, the occurrence of granulation tissue was dominant in the cholesteatoma group (66.6%) comparing with the non-cholesteatoma group (16.0%). 5) In the status of ossicles, the incus was most frequently defected (48.4%), particularly, the defect of the long process of incus was dominant. 6) The hearing loss was greater in the incus-defect cases (average 62.5dB) than the incus-intact cases (average 34dB) in both of cholesteatoma and non-cholesteatoma group. 7) The extention of cholesteatoma was to the attic-antrum in 34.8%, attic-antrum-middle ear cavity in 27.0% and attic only in 24.3%. 8) The surrounding bony pathologic changes and surgical accident, including exposure of dura, facial canal, lateral semicircular canal, and the sigmoid sinus were shown more frequently in the cholesteatoma group (20%) than the non-cholesteatoma group (4.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