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재생사업에서 로컬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원시 마산합포구 원도심을 중심으로

        정규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 declined region are to resolve the problems of common resources by ways of finding the mechanisms of governance for searching cooperative methods, enhancing the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for regional strength, and utilizing social capital for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find the impact of local governance to the form of social capital by analyzing at the old CBD, Masan Hapo, in the City of Changwon. It was tried to improve not only the quality of social capital but also the quality of local governance through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ance and social capital using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o urban regeneration. The samples were selected randomly at old CBD, Masan Happo District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from October 2011 to January 2012. This research found out as follows: The awareness of local governance and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capital were low in general. However, the groups of NGOs, urban experts, and government officers recognized local governance higher than the groups of residents and mercha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xperience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which is the core of social capital. Al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vel of cognitive and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social tolerance. In addition, For the better network of local societ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egree of experience. This research also found out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nd formation for local governance could be increased by working together in each posi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urthermore, the level of formation for social capital could be improved as the effort of increasing the level of awareness and formation for local govern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awareness and formation for local governance and the level of formation for social capitals, this research suggested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a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scheme after terminating the test bed projects in the City of Changwon. Therefore, it is needed to enact the assistant system for materializing research results systematically. Second, the organiz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should be established to the local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pplied. It was suggested that Masan Hapo District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applied should be established the organiz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hird, the local governance and social capital should be utilized efficiently to serve as the catalyst of public concerns.

      • 로컬거버넌스와 주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김재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기초적인 토대가 되는 로컬거버넌스에 주목하여 로컬거버넌스가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로컬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2개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로컬거버넌스의 4가지 구성요소 즉, 자원능력, 참여, 파트너십, 네트워크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변수는 자원능력과 파트너십으로 나타났다(p<.01). 구체적으로 지역주민의 자원능력에 대한 인식이 1단위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0.42만큼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지역주민의 파트너십에 대한 인식이 1단위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가 0.30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자원능력과 파트너십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자원능력이 파트너십보다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더욱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즉 주민, 지방자치단체, 의회, 기타 유관기관 간의 상호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주민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에서도 강조하는 것과 같이 결국 로컬거버넌스의 핵심은 정부·민간단체·시민 등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민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로컬거버넌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인은 다양한 지역사회 주체들 간의 신뢰 및 공동체 의식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제도적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 주체가 보유하고 있는 가용자원의 이용 및 접근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공유되고, 적극적으로 호환될 때 지역사회 내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상호 협력, 민주적 절차, 자발적 참여 등으로 대표되는 파트너십 구축 역시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고려할 때,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의회는 시민주도의 협의회 및 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문제가 주민들의 자치적인 노력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 공공주도 주택재개발사업에 따른 갈등관리 연구 : 로컬거버넌스의 시각에서

        이영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continuing over the last 4 decades in an effort to improve the poor housings, which is the inevitable result of a urbanization process. However, they brought diversified and complicate conflict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rojects - profit motive, individual unit development and private sector-led projects. Furthermore the deepening of the social democratic renewal since the 1990s has amplified the conflicts arising from the redevelopment, which became a critical social issue in the wake of the tragedy in Yongsan Redevelopment Project in 2009. As a result, the increase of publicness i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became a critical measure and the public sector-led redevelopment projects are expected to continue increasing in the diversified manner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ublic roles in managing the conflicts i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focusing on the government-led Sungnam Stage 1 Redevelopment Projects which reached the completion stag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conflicts in the corresponding case distri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development of conflicts on the basis of 5W's and 1H theory, compared the projects with other general projects and established an research framework consisting the major components of local governance - participation,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 by applying the theory of the local governance occurring in fields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nflicts in redevelopment projects and derive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regarding ‘participation’, if the stake-holders do not aggressively participate, the potential conflicts are likely to increase, which leads to a negative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whereas the convergence of residents’ opin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management and the proceeding with project. Furthermore a lack of residents’ participatory abilities leads to a failure in managing conflicts because there is no practical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Second, regarding ‘transparency’, if the release of information is limited, the residents have a doubt of the transparency of project, which leads to their non-cooperation in the projects. Insufficient or excessive promotion of projects also may reduce an understanding of projects or increas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which will in turn result in conflicts. Furthermore the progress of projects without practical justific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conflict management. Third, regarding ‘responsibility’, if the responsibilities of stake-holders are not clearly allocated, stake-holders are not able to perform their roles, which leads to a negative effect on the conflict management. Furthermore a failure of administrative agencies’ leadership in managing conflicts leads to a failure in managing conflicts. Based on the findings as above,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public sector-led housing projects have been deriv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participation’, there is a need to elaborate the participation procedures suiting the attributes of re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procedures before zoning maintenance districts in such a way that the opinions of residents can be reflected from the early stage of projects, which will eventually reduce the likelihood of conflicts in later stag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polic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organizations within the resident representative meeting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land owners or seek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enants by providing them with official information about projects. Second, regarding ‘transparency’, there is a need to improve systems for the wider releas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ere is a need to improve laws and systems for specifying the range of information release more clearly, which will eventually reduce the potential conflicts in the future through the provision of practic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e-voting system in the homepage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o prevent the decision making by the resident representative meeting behind the closed-doors, which will eventually reduce the potential conflicts in the future because the stake-holders will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s which have been made via above systems. Third, regarding ‘responsibility’, there is a need to specify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land owners in the project agreements and to re-establish the roles of the resident representative meeting to increase the publicness of local communities regarding the redevelopment projects. Furthermore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for conflict management in the local government so that the local government can play a major role in controlling conflicts.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lict management, the government-led projects do not always ensure better conflict management, indicating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public sector need to proceed with the entire procedure of projects. Thus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new urban development systems that suits the public purposes which will accomplish the true local governance process ensuring ‘participation’,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by seeking a fundamental change of the redevelopment systems in the fast-paced social environment. Key words: conflict management, local governance, redevelopment Student ID: 2012-22791 주택재개발사업은 도시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불량주거지를 개선하기 위한 사업으로 40여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이윤동기형・개별단위별・민간주도 개발이라는 특징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갈등을 수반하여 왔다. 또한, 1990년대 이후의 사회 민주화의 증진으로 그동안 억눌려 왔던 재개발 갈등은 더욱 증폭되었고 2009년 용산재개발 참사를 계기로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심각한 갈등으로 인하여 주택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 증대는 중요한 대책이 되었고 앞으로 공공주도의 재개발사업은 방식이 다양화되고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공공이 주도하여 완료단계에 도달한 성남 1단계 재개발사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주택재개발사업의 갈등관리에 있어서 공공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지구의 갈등전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육하원칙기법에 따라 갈등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일반 재개발사업 지구와의 비교를 시도하였으며, 재개발 사업의 갈등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갈등관리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책집행 현장에서 발생하는 로컬거버넌스 이론을 적용하여 로컬거버넌스 주요 구성요소인 참여성·투명성·책임성을 가지고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성 측면에서는 이해당사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하면 잠재적 갈등은 증가하며 이는 갈등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시행자의 의견수렴 확대노력이 주민 참여를 증가시켜 갈등관리 및 사업진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참여역량이 부족하면 참여의 실질적 효과가 발생하지 않아 갈등관리에 실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투명성 측면에서는 정보공개가 제한되면 주민들이 사업의 투명성에 의심을 가지게 되고 사업에 비협조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족하거나 지나친 홍보는 사업에 대한 이해를 저해시키거나 불필요한 오해로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질적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사업추진은 갈등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책임성 측면에서는 이해당사자의 책임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이해당사자들이 책임감있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갈등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관리를 위한 행정기관의 리더십이 작동하지 않으면 갈등 조정에 실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주도 주택재개발사업의 갈등관리 전략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성 측면에서는 재개발의 특성에 맞는 참여 절차의 정교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사업 초기부터 주민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수렴되어 잠재적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정비구역지정 이전의 참여절차를 강화하여야 하며, 각 단계별로 워크숍·시민자문위원회 등의 의견수렴기구를 마련하여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토지등소유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위하여 주민대표회의 내에 별도의 기구를 마련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세입자에게도 공식적인 사업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세입자 참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투명성 측면에서는 정보공개가 확대될 수 있도록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는 정보공개 내용을 명확하게 명시하는 등의 법적·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정확하고 실질적인 정보가 제공되어 갈등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재개발 추진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이 주민대표위원만의 밀실결정이 되지 않게 주민 참여가 가능하도록 홈페이지 내의 전자의사결정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결정된 사항이 당사자들에게 충분히 납득되도록 하여 갈등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책임성 측면에서 보자면 토지등소유자의 권리와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업시행약정서 등에 이를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재개발사업의 지역사회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민대표회의 역할을 재정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갈등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자체 내의 갈등관리 기구를 설립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구해보자면 재개발사업의 갈등관리 측면에서 보았을 때 공공이 주도하더라도 일반 재개발사업보다 갈등이 적절히 관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공공이 재개발사업의 모든 과정을 직접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변화하는 사회구조적 환경 속에서 재개발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 모색을 통하여 참여성·투명성·책임성이 보장된 진정한 로컬거버넌스 과정이 실현되는 공익목적에 맞는 새로운 도시개발 체계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요어 : 갈등관리, 로컬거버넌스, 재개발 학 번 : 2012-22791

      • 지역축제가 로컬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천도자기축제를 중심으로

        권경애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Since the local autonomy system launched 1995, many local government have their all efforts for their competency in terms of finance, politics, and management. One of the options local governments have is the investment for local festival. There are many critiques regarding the local festivals. Some say too many festivals don't produce as much as many local governments have tried to do because each local festival have too similar identity. At the same vein, this study begins to throw a sense of problem that even if local festivals hosted by local governments can't produce immediate outcomes, they are worthy for local governance at long-term perspective. Based on the sense of problem, this study chooses several determinants of governa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stitution and shared belief building as the intermediate variables, and building good govern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e test of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shows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means it is hardly to say that the local festival has any impact on local governance. Second, it is observed that those intermediate variables have positive influence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means the local festival is very useful to build participatory institutions and shared belief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stakeholders so as to finally build local governance. Local government needs to institutionalize the effect of intermediate variables in the management practices of local governments. 요즘 지방자치단체들은 관료제로 인한 정부실패를 극복하기 위해서 민간부문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해가는 로컬거버넌스를 형성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로컬거버넌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관심과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효과적인 기제가 필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인 경기도 이천시에서도 주민의 참여와 화합을 이끌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다양한 지역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렇게 개최되는 지역축제가 로컬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경기도 이천시로 하였고, 이천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축제 중에서 이천도자기축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토대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는 지역축제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로컬거버넌스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매개변수로는 제도형성과 인식형성으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인 지역축제는 축제 진행 과정에서 공공부문인 이천시와 민간부문인 도예업체 사이에서 나타나는 사례속에서 볼 수 있는 개방성, 참여, 의사소통, 신뢰, 협력을 하위변수로 선정하였다. 각 변수들을 토대로 설문 조사를 해서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로 설정된 지역축제는 제도형성과 인식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매개변수로 설정된 제도형성과 인식형성은 종속변수인 로컬거버넌스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립변수인 지역축제는 종속변수인 로컬거버넌스에 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립변수인 지역축제는 제도형성과 인식형성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서 로컬거버넌스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이천도자기축제는 정부주도형 축제로 축제를 개최함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려고 하는 이천시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들 민간부문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서로의 협조 속에서 지역축제라는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반영되어 그러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간접적 영향에 대한 이유를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천도자기축제와 관련된 의사결정은 다양한 분야의 대표 인사들로 구성된 도자기축제추진위원회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분야의 대표성으로 네트워크 구축에 도움이 되었고, 축제에 관내 도예 관련 고등학교 및 대학교 그리고 사회단체 등을 참여시킴으로써 민간분야와 협의 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 둘째, 이천시는 축제에 참여하는 도예업체들의 참여 동기도 충족시키고 이천시를 대표하는 도자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이천시는 도예업체와 더불어 이천시가 발전하는 토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셋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자발적으로 유대하고 신뢰하는데 필요한 것이 원활한 의사소통인데, 축제추진위원회와 이천시는 정기적인 상호 교류로 인하여 비교적 의사소통이 원활한 편이나, 각각의 도예업체와는 한자리에 모여서 의견을 나눌 기회가 거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이천시에서는 이천도자기축제홈페이지에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를 개최함에 있어 민간부문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둘째, 이천시 소속 공무원들과 도예업체들의 인식의 전환 및 목표의 공유가 필요하다. 셋째, 축제 참여 주체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한다. 마지막으로, 축제를 개최함에 있어 공공부문은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민간부문이 이끌어갈 수 있도록 민간부문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중간지원조직 활성화와 로컬거버넌스의 실현 : 서울시와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박창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our society need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find an appropriate answer to this. South Korea is carrying out various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Uurban Rehabilitation’, ‘Creation of Regional Innovative Hubs’,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and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under the public initiative. These projects are being used as an opportunity to improve and develop the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villages nationwide through public offerings. However, over the past 20 years, the region has not been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top-down business method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has insufficient capacity for business success. In addition, even though regional competitiveness, community enhancement and resident autonomy are the core of the project, most of the programs are focused on hardware facilities. Participation of residents is even a bigger problem. Various problems such as mere participation, residents’ conflict and local selfishness are being mass produced. The re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Local governance is a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participants ranging from administration, resident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centering on local projects. Civil society is expanding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administration and culture, and is understood to be a process of social development that nee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that connect the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educate residents, and play a variety of cooperative roles in the successful process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s being highlighted.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re civil society-based professional groups that have been active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having played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each country's economy and society. However, the period of their appearance in Korea is relatively short, and they are not active due to lack of interest. Contrary to their role and importance, their status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re very weak. There is a lack of interest and research from the academic community as well. Most of the research include many cases of the role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in revitalizing the region. In such cases, only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itself is targeted, and the comprehensive implications with civic groups or residents are not addressed. In particular, there is not even a case that links local governance and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Therefore, finding the value of realizing local governance through realistic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has become a key part of this study. This study fist looks at how well local governance is being carried out in the region. It the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ir role. And finally, it verifi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work on the mechanism of local governance and what the moderating effect is, if an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six groups; those working at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centers in Seoul and Chungcheongnam-do, those working at non-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in the region, and those living in the project area. Prior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reflected in a questionnaire,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6 groups. Subsequent analyses were verified through IPA technique,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re are eight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institutional support’, ‘leadership of the leader’, ‘expansion of financial independence base’, ‘communication with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organizational independence’, ‘strengthening authority’, ‘enhancing expertis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s’. These characteristics all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ctivation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in particular, ‘leadership’, ‘financial independence base’ and ‘enhancing expertise’ were proven to have a high impact on realizing local governance.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ation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re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various analytical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Chungcheongnam-do on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 Many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each region and group, and the realistic reaction to the opinions of residents was particularly interesting. In conclusion, realizing local governance through the activation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is a process that plays a major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specifie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romoting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should be urgently developed.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be provided in all policies and research.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Corona-19 Pandemics presented great difficulties. Although it was not possible to face all those surveyed, limited, resident-centered face-to-face surveys contributed to the derivation of meaningful results.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considerable enthusiasm, showing that their expectation for the value of local projects is very high. Even in this regard, active participation by residents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project. Local governance should be realized through resident autonom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vitalize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as the medium. In addition, efforts and research for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uch cooperation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하여 우리사회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은 공공주도로 ‘도시재생’, ‘권역단위거점개발’, ‘어촌뉴딜300’,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등 다양한 지역개발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공모를 통하여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과 마을의 환경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기회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지역사회는 중앙정부의 하향식 사업방식에 효과적으로 대처 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업 성공을 위한 역량도 결여 된 상태였다. 또한, 지역경쟁력 강화, 공동체강화, 주민자치가 사업의 핵심임에도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하드웨어 시설 위주로 전개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주민참여의 미흡으로써 이는 이해관계자들의 형식적 참여, 주민 간 갈등 발생, 지역 이기심 조장까지 다양한 문제가 추가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강조되고 있는 것이 로컬거버넌스의 실현이다. 로컬거버넌스는 지역사업을 중심으로 행정과 주민, 시민사회단체, 중간지원조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참여자들이 협치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시민사회의 확대는 정치, 행정,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욱 강화되어야 할 사회발전의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또한, 로컬거버넌스와 더불어 지역개발사업의 성공 과정에 필요한 필수 요소로서 강조되는 것은 행정과 주민을 이어주고, 주민을 교육하며, 다양한 협력적 역할을 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다. 중간지원조직은 미국, 유럽, 일본에서 활성화된 시민사회 기반의 전문적 집단으로서 각 나라의 경제와 사회가 발달하는데 큰 역할을 해 온 민간조직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 개념이 등장한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관심 부족 등으로 활성화가 잘 안 되고 있다. 그 역할과 중요성에 반해 현재의 위상과 관련 제도의 확립이 매우 취약한 현실이다. 또한, 학계의 관심과 연구도 부족한데, 그나마 연구된 내용은 지역 활성화 역할에 관한 사례가 다수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중간지원조직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민단체나 주민에 대한 중간지원조직의 포괄적인 함의도 다루지 못하였다. 특히 로컬거버넌스와 중간지원조직을 연계하는 내용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중간지원조직의 현실적인 기능과 특성을 통한 로컬거버넌스 실현의 가치를 찾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 되었다. 연구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는 로컬거버넌스가 지역에서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는 중간지원조직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역할이 로컬거번넌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는 중간지원조직의 특성이 어떻게 로컬거버넌스의 기제로써 작동을 하고, 그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변수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거주지역과 이해관계의 범주를 토대로 6개의 집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서울시와 충청남도의 중간지원조직 센터에 근무하는 중간지원조직 집단과 해당 지역에서 관련된 활동을 하지만 중간지원조직원으로 분류되지 않는 비 중간지원조직 집단, 그리고 사업 대상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통계적 분석이다, 가장 먼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질적인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취합 및 반영하여 설문을 구성하였고, 위의 6개 집단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분석목적에 맞추어 IPA기법과 회귀분석, 빈도분석의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중간지원조직의 특성은 ‘제도적 뒷받침’, ‘리더의 리더십’, ‘재정자립기반 확충’, ‘행정ㆍ주민과의 소통’, ‘조직의 독립성’, ‘권한 강화’, ‘전문성 강화’, ‘조직 간의 상호연계’ 등의 8가지이다. 이 특성은 중간지원조직의 활성화에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리더의 리더십’, ‘재정자립기반 확충’, ‘전문성 강화’는 로컬거버넌스 실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중간지원조직 활성화와 로컬거버넌스 실현의 관계에서 중간지원조직과 행정간 조절 효과에 대하여 서울시와 충청남도 간의 다양한 분석적 차이를 보였다. 지역과 집단별로도 상이한 결과를 보여준 것이 많았으며, 특히 주민의견에 대한 현실적인 반응에서 흥미로운 내용이 많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활성화를 통하여 로컬거번너스를 실현하는 것은 지역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중간지원조직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와 특성별 발전 전략이 시급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정책과 연구에 있어 주민참여의 기회가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은 큰 어려움이 되었다. 모든 조사 대상자를 대면하는 것은 불가했고 한정적이었지만, 주민중심의 대면조사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공헌하였다. 주민들은 상당히 열성적으로 조사에 참여했는데, 그만큼 주민이 기대하는 지역사업의 가치는 매우 높았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적극적인 주민참여는 사업 시작의 출발점이 되기에 주민자치를 통하여 로컬거버넌스를 실현해야 할 것이며, 그 매개체가 되는 중간지원조직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협치를 통한 지역발전의 노력이 필요하며, 관련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지역학습정책이 로컬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이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유승우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2

        지방분권화가 실현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주민 참여를 통한 지방행정 구현을 그 이상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한 지역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있다. 즉 기존의 거버먼트에서 거버넌스로의 전환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행정-주민 파트너십 정책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이천시는 불씨운동을 시작으로 심포니사회운동, 평생학습도시조성사업 등의 지역학습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지역학습정책들은 시작된 시점은 다르지만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주민들의 학습 참여가 지역발전에 기여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이를 통해 로컬 거버넌스를 이룩할 수 있다는 공통적인 정책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불씨운동과 심포니사회운동은 행정이 주체가 되어 주민들을 이끌고 가려는 하향식 정책적 특성을 가진데 비하여 평생학습도시조성사업은 주민들의 학습을 통한 역량 강화와 이를 기반으로 시정에의 자발적인 참여가 진행될 것을 예측하고 추진 중에 있는 상향식 정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학습정책들이 주민 참여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가 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천시의 지역학습정책들이 과연 주민 참여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불씨운동과 심포니사회운동, 평생학습도시조성사업, 그리고 주민 참여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불씨운동과 심포니사회운동 보다도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이 모든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씨운동과 심포니사회운동은 ‘정책인식’측면이나 ‘정책과정’측면에서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지만, ‘정책성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정책에 대해서 잘 모르고, 그 추진 과정에 대해서도 잘 모르지만 성과에 대해서는 잘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추진된 기간에 비하여 정책에 대한 인식, 과정, 그리고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결국 견고한 추진 체제와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주민의 이해를 도왔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이 불씨운동과 심포니사회운동보다 주민들이 이해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민 참여의 부분에서는 위의 정책들을 추진함으로써 행정에의 주민 참여를 강조한 결과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불씨운동, 심포니사회운동,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그리고 주민 참여에 대한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불씨운동은 행정과 정책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되어 있는 사람들과 남성들 이외에는 불씨운동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보아 한쪽으로 편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심포니사회운동은 불씨운동에 비해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고 편중되어 있지도 않으나, 일반 주민의 신분을 가진 경우에는 다른 신분보다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불씨운동 보다는 그 파급효과가 높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일반 주민들에게 깊숙이 다가가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위의 두 정책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고, 배경변인에 따라서도 차이 없이 고루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한 시간이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 주민의 정책에 대한 인식의 평균이 3.42라는 점은 대단히 높은 수치라 할 수 있다. 주민 참여에 대해서는 성별의 경우에는 남성의 경우가 여성의 경우보다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신분에 따라서는 일반주민과 공무원의 신분을 가진 경우가 주민 참여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기간에 따라서는 10년 이상 오래 거주한 주민들이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주기간의 변인에서 5년 미만의 경우가 참여에 대한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천시의 행정-주민 파트너십 정책이 주민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진하는 정책들이 주민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민 참여의 하위 영역에서 ‘행정참여’에 대한 부분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명히 ‘지역사회참여’나 ‘정치참여’보다는 행정에의 참여를 강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불씨운동이나 심포니사회운동들이 ‘지역사회참여’나 ‘정치참여’보다는 주로 ‘행정참여’를 강조했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아직 시작인 단계에 불과하여 다른 정책들보다 주민 참여에 대한 영향력이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존의 다른 정책들보다도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즉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이제 시작인 단계에 비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불씨운동이나 심포니사회운동보다는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앞으로 주민 참여를 독려하고 로컬 거버넌스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로컬 거버넌스 실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관련 공무원들과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지역 주민들 간의 파트너십 체제 구축에 의한 인식의 공유가 요구된다. 둘째, 로컬 거버넌스 실현을 위해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이 요구된다. 셋째, 모든 지역에 그 효과가 파급될 수 있도록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요구된다. 넷째, 주민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사업이나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이천시에 대한 주민들의 정주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사업이나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끝으로, 주민의 욕구가 복잡 다양하게 분출하는 지방자치시대에서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평생학습이며, 이를 위해서는 주민과의 끊임없는 대화와 협력을 유도하는 민주형의 리더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앞으로 지방자치시대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각 지자체들은 특색 있고 경쟁력 있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은 결국 주민의 참여가 전제되어 있다. 이는 로컬 거버넌스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많은 지자체들이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가운데 지역학습정책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 정책이 기존의 다른 파트너십 정책과 다른 점은 학습을 통한 주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의 경제적 성장, 그리고 사회 통합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지역의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됨으로 인해 로컬 거버넌스를 실현하는데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천시의 사례에 한정하여 지역 주민들의 참여 정도를 로컬거버넌스와의 관계 속에서 분석하였다. 앞으로 지역학습정책을 통해서 실제 지역 발전의 성과를 분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s the government has been decentralized, each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has pursued an ideal local administration supported by citizens' participation, while agonizing for their local development. Namely, they attempt to develop their regions, emphasizing the shift from the conventional 'government' towards 'governance'. With such a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partnership between public administration and citizen. Icheon-si, the case of this study, has been pursuing the local learning policies encompassing Symphony Society Movement and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starting from Kindle Movement. Such policies are linked with each other, although their starting points were different. They are common in their goals that citizens' participation in learning would be conducive to local development and ultimately to the local governance. However, Kindle Movement and symphony society movement are characterized by a downward campaign initia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 whil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an upward policy for citizens' improvement of learning capacity and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The specific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how such local learning polices pursued influenced citizens' participation.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sampled Icheon-si as a model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as more recognized by citizens in every respect than Kindle and Symphony Society Movements. However, the last two movements were relatively highly recognized by the citizens in terms of 'policy performance', although they were less recognized in terms of 'policy recognition or process'. Such findings suggest that citizens were less aware of their processes but that they expected vaguely but highly of their performances. In contras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as highly expected by citizens in terms of its recognition, process and performance. After all, the project seemed to be highly recognized by citizens because it was positively publicized with its solid implementation system only to be better understood than the other two movements. In particular, its success seemed to be attributable to citizens' positive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of citizens' recognition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three campaigns, it was found that Kindle Movement was less known to the citizens but those citizens or primarily male citizens engaged directly or indirectly in it. Symphony Society Movement was more recognized by citizens than Kindle Movement, but it was not much known to the common citizens. That is, this movement seemed to be limited in that it could not approach near the common citizens, although its spreading effects were higher than Kindle Movement. In contras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as highly recognized by citizens compared with the two twin campaigns, regardless of citizens' demographic variables. Given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is project was short, it scored a considerably high point of 3.42 on average on the scale of citizens'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male citizens participated more positively in the campaign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And the older a citizen was, he or she participated more positively in them. Particularly, common citizens and public officials were less aware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campaigns. Those citizens who had lived in Icheon for more than a decade participated more positively than those who lived for less than 5 years.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artnership between public administration and citizens of Icheon-si, it was disclosed that the current policies did not much affect citizens' participation. However, in such sub-area of 'particip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citizens were found to be highly aware of it.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civil campaigns were effective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than in 'community' or 'local politics'.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Kindle or Symphony Society Movements were more conducive to citizens' particip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than in 'local community' or 'local politics'. However, because of its short history,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as found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citizens' participation. Nevertheless, citizens were more aware of it than other policies. Such a finding tha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as more recognized by citizens despite its short history suggests that it had some positive aspects.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ill conduce more to realization of the local governance through citizens' participation than Kindle or Symphony Society Movemen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 for realization of the local governance;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mmon sense shared among public officials, civil organizations and citizens to pursue the policies effectively. Second, it requires a continued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for realization of the local govern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ublicize the local administration policies to spread throughout the community. Fourth,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programs encouraging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local adminstration or campaigns. Fift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some projects or programs that will serve to enhance citizens' sense of their community. Lastly, in the age of the local autonomy allowing for citizens' expressions of their diversified desires, the only alternative fulfilling their desires may be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and therefore, a democratic leader is absolutely required who can induce citizens to cooperate with the local autonomy through continued dialogue with them. As the local autonomy is expected to be more consolidated, each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is making strenuous efforts for a unique and competitive region. And such efforts assume citizens' participation. Namely, an age of local governance is being ushered in, and many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re implementing their own policies for their local governance. One of such policies is local learning policy, which puts emphasis, unlike the conventional local partnership policies, on improvement of individual citizens' life quality, growth of local economy and social integrity through learning. And then, local learning communities would be activated to consolidate the ground for the local governa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Icheon-si to analyze citizens' participation in relation with the local governa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analyze the performances of local development through local learning policies.

      •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로컬거버넌스의 구축에 관한 연구 - 악양천을 중심으로-

        공대일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1

        In a series of new administrativ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globalization and structural changes of our modern society, the traditional administration operated centering around bureaucracy is being transformed into a governance serving the people through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various social groups.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change of the administrational approaches operated by the conventional governmenrs were reviewed centering around the local govern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the model-building of local governanc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o start from simple programmes and developing community sustainability indicators. Second, developing local governance is desirable to be driven as new organization(democratic governance). Third, after forming the main group through developing sustainability indicators and simple programmes, and reforming committee by the main group's(public sector, civil society) attendance. On the other hand, after this thesis the continuing studies are followed on the local government's roll, the community sustainability indicators, and strengthening autonomy activities of residents. 로컬 거버넌스란 20세기 중엽 이후 강조된 단순한 시민참가라는 개념보다는 급진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으로서 권력을 주요 수단으로 하는 정부, 이윤추구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기업, 그리고 사명을 중심축으로 하는 시민단체(NGO)간의 ‘관계성’에 중점을 두는 주요 행위자들간의 협력과 참여라는 동반자 관계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공공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로컬거버넌스는 공공기관, 기업, 시민집단간에 있어 각자의 전략적 목표와 이해관계를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영, 조정, 통합해 나가는 새로운 의사결정체제이다. 로컬거버넌스의 핵심적 개념은 정부부문과 비정부부문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며, 정부부문과 비정부부문간의 공유된 목표와 가치체계를 바탕으로 지역적으로 발생하는 범죄, 실업, 환경오염, 쓰레기처리 등과 같은 지역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로컬거버넌스의 개념을 공동생산론, 지방의제 21 추진사례를 통하여 하동군 악양천을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하동군 악양면의 경우 유일한 생명의 젖줄인 악양천을 파괴, 훼손, 오염으로부터 방치할 것이 아니라 깨끗하고 아름다운 친수공간으로 가꾸고 보전하는데 중앙정부, 지방정부보다는 지역주민, 시민단체가 더 걱정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시민주도의 하천관리보전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악양천을 보전하고 관리하는 것은 지역주민과 지방정부, 기업들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다할 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악양천을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힘이 미치지 못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분야와 범위에 대하여 지역주민들이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다른 관련집단인 지방정부나 기업들은 주민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협력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지역주민과 동떨어진 악양천 관리보전은 지속적으로 전개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 악양천을 주민과 시민사회의 참여속에 하천유역의 생태계를 깨끗하게 보전관리하고 주민과 함께하는 휴식, 레저, 친수공간의 자연생태하천으로 가꾸기 위해서는 각 부문간의 과제에 대한 역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악양천 관리와 보전은 단순히 악양천을 깨끗이 가꾸는 차원을 넘어 악양 전지역을 친환경적으로 잘 가꾸고 보전하여 잘 살아보자는 지역적 공공문제와 공동의 문제를 지역주민과 단체, 기업, 학교, 정부가 모두 다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자는 궁극적인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 광역권 장소마케팅의 로컬거버넌스 : 전라북도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을 중심으로

        정인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1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conditions and operational mechanism on local governance of place marketing in the metropolitan region which has been applied to overseas tourism marketing of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ss of place marketing results from adopting local governance as a working mechanism, this study verifies the logical validity of previous researches. As a result, four critical components of local governance such as collaboration, participation,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were catergorized. Indicators and their sub-components foor those critical components employed in research frame work are as follows; collaboration ① recognition as a partner(previous experience of cooperation), ② trust and cooperation(equity of power) ; participation ①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articipation(incentives), ② participation of the interested parties(level of participation) ; accountability ① capability of participating agents(the expertise of participating agents), ② sharing of accountability ; transparency ① sharing information(communication through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 sharing the aim and vision), ② transparency of policy over the making and operating procedure(result management system, reflux system).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study over Jeollabuk-do's overseas tourism marketing,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ir recognition toward their partners need to be changed as a collaborator to run its local governance harmoniously. Seco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needs to be extended with incentives encouraging more variety of participating agents take part in Jeollabuk-do's overseas tourism marketing. Third, in case of extending the scope of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setting down the restraint for their accountability is prerequisites. Fourth, establish the new metropolitan collaboration model by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사회 통합을 추구하는 장소마케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그 운영의 기제로 지방정부와 다양한 행위주체 간의 공동협력과 참여를 중시하는 로컬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 선행연구 탐색하여 도출한 로컬거버넌스의 주요요소와 분석지표를 본 연구가 장소마케팅 성장사례로 선정한 전라북도의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에 대입하여 요소별 로컬거버넌스 운영과정을 탐색하여 시사점과 제도적 정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로컬거버넌스의 주요요소로는 협력성, 참여성, 책임성, 투명성 등의 네가지가 도출되었다. 협력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① 동반자로서의 인정(협력사업의 경험) ② 신뢰와 상호협력(권한의 형평성)을, 참여성 지표로는 ① 참여의 제도화(유인체계) ② 주체들 간의 참여(참여의 수준과 정도)를, 책임성 지표로는 ① 주체들의 역량(참여주체들의 전문성) ② 주체간 책임의 공유(주체들의 책임성있는 업무수행)를, 투명성 지표로는 ① 정보의 공유(조직 내외부의 의사소통, 비전과 목표의 공유) ② 정책결정과 집행의 투명성(결과 관리 체계, 환류체계) 등이 도출되어 이들을 중심으로 연구분석틀이 설정되었다. 이와 같은 지표들을 토대로 전라북도의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의 로컬거버넌스 운영과정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로컬거버넌스를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협력 파트너들에 대한 지방정부의 인식과 역할에 변화가 필요하며, 전라북도의 협력자(collaborator)로서의 역할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전라북도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로컬거버넌스에 참여하는 이해당사자들의 참여의 범위와 유형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인센티브 지급 대상과 방법을 다양화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참여 범위의 다양화와 로컬거버넌스 범위의 확대는 업무의 효과성을 낮출 수 있는 위험요소를 동반할 수도 있으므로, 민간 부문의 참여를 확대할 시에는 제도적으로 이들의 책임을 제고할 방안이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조직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목표의 공유를 통해 현재 확보하고 있는 기회자원들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역적 협력 모델을 마련해 나갈 것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