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과 분노조절의 매개효과

        백옥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Impact of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Back Ok-ju Department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Academic advisor: Kim Su-ra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t intended to research how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among various school violence factors gave an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violence as a mediating effect and then, to raise the necessity of continuous education and suitable programs for peer group improvement, decrease in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Following ar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First,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relationships,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control of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e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was selected for this an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4th, 5th and 6th grade; and, a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on 192 questionnaires out of 200 parent population data excluding 8 unfaithful responses. As measurement tools for this study, an anger control scale manufactured by Marnanett (1994) and adopted by Namgung, Hee-Seung (1997) was used; a peer relationships scale used by Jang, Choon-Ok (2010) was utilized to investigate peer relationships; and, a scale of Hur, Eun-Soon (2003) was used for an aggression test. As for a school violence scale, questionnaires used by Park, Hyo-Jung (2006) for school violence condition survey and supplemented by Jang, Choon-Ok (2010) were utilized.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impact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other words, the better peer relationships are, the lower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s. Second, it appeared that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ggression of a mediator variabl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other words, the stronger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child is, the more they have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ird, it appeared that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ger control of a mediator variabl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other words, the stronger anger control of elementary schoolchild is, the less they have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while the weaker anger control of elementary schoolchild is, the more they have wrongdo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conclusion,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violence. It appeared that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of mediator variables influencing on school violenc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Such results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arrange methods and measures to positively improve peer relationship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programs for aggression reduction and anger control in order to understand elementary schoolchild' peer relationships and to prevent and solve school violence problems and that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 suitable for individuals to prevent and reduce school violence of elementary schools.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과 분노조절의 매개효과 백 옥 주 우석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지도교수 : 김 수 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교폭력의 여러 요인 중에서 또래관계와 학교 폭력 간에 공격성과 분노조절이 매개요인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여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또래집단증진과 공격성감소와 분노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 학교폭력, 공격성, 분노조절 변인들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1교를 선정하여 4, 5, 6학년 전체를 전수조사 하였으며, 모집단 200명 중 자료수집 응답에 불충실한 8부를 제외하고 192명을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Marnanett(1994)가 제작한 분노조절척도를 남궁희승(1997)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장춘옥(2010)이 사용한 또래관계척도를 사용하였고 공격성검사를 위한 척도는 허은순(2003)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폭력척도는 박효정(2006)이 학교폭력실태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장춘옥(2010)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항을 미친다. 즉,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낮아진다. 둘째,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인인 공격성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격성이 높은 초등학생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다. 셋째,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인인 분노조절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노조절이 높은 초등학생들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적고, 분노조절이 낮은 초등학생들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다. 학교폭력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인인 공격성과 분노조절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또래관계를 이해하고 학교폭력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공격성 감소와 분노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프로그램으로 또래관계를 긍정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과 대책이 필요하며 초등학교의 학교폭력 예방과 감소를 위해서 개개인에게 적절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 :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황효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 간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383명이다. 사용한 검사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또래관계 검사, 자아정체감 검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Amos 18.0을 활용하여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양육태도를 예언변수로, 자아정체감을 결과변수로, 또래관계를 매개효과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중학생들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들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또래관계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았다. 다섯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또래관계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수준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고, 또래관계는 다시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지지하였다. 이것은 부모의 양육태도 수준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이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효과적 상담 및 교육적 중재를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초등학생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심도경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생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문초록 심 도 경 지도교수 조 경 덕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2월 10일부터 2월 19일 까지 공주시 K초등학교 5, 6학년 남, 여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집 인원은 5학년 110명, 6학년 110명으로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돌려 210부를 회수하여 최종 불충실하게 응답한 5부를 제외한 205부로 5학년 남, 여 103부와 6학년 남, 여 102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인구사회학적배경에 대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 검증과 이변량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년에 따라 학습태도 중 교사에 대한 태도에서 6학년이 5학년이 좋지 않으며, 성별은 또래관계에서 또래주장성, 또래 협동 공감성, 또래관계 전체에서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좋은 것을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의 학교 학급내의 활동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제 수에 따른 차이는 또래관계, 학교적응, 학습태도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관계의 또래주장성과 학교적응의 학교 내에 대한 지각과 학습관련태도행동으로 낮은 정적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외 모든 변인으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공부에 대한 태도와 또래관계와의 모든 하위요인과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우관계에 대한 태도에서는 또래주장성과 또래관계전체(r=.148)에서 낮은 정적관계가 나타났으나, 또래 협동ㆍ공감성요인과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사에 대한 태도와 학습태도 전체에서는 또래관계요인 모두 낮은 정적관계가 나타났다(p<.01), 학교적응전체에 또래관계가 25.9%, 학교 내에 대한 지각 19.7%, 학교 학급내의 활동성 28.0%, 학습관련태도 18.3%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또래관계전체가 학교적응 하위요인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학교 내에 대한 지각(β=.715), 학교 학급내의 활동성(β=.693), 학습관련태도(β=.55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래 주장성이 학교 내에 대한 지각(β=-.313), 학교 학급내의 활동성(β=-.184), 학습관련태도(β=-.138)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또래 협동ㆍ공감성은 모형에서 제거되었다. 학습공부에 대한 태도에 3%(p<.05), 교사에 대한 태도에 10.2%(p<.00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학교 공부에 대한 태도는 또래주장성(β=.429)이 정적영향을, 또래관계전체(β=-.354)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에 대한 태도는 또래 주장성(β=-.188))이 부적영향을, 또래관계전체가(β=485)의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래관계가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같았다. 학교적응의 학교공부와 또래관계와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습태도의 하위요인인 교사에 대한 태도나 학습관련태도와는 낮지만 정적관계가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점이 크다. 학습태도에 영향력을 살펴보면, 비록 미미하지만 능동적으로 또래관계를 주도하는 또래주장성 요인이 학교공부에 긍정적 영향을, 교사와의 태도와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우리가 아동들을 대하는 사고와 방식의 전환을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교우관계가 너무 좋으면 오히려 학습에 관심이 적다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연구 결과는 또래관계가 학습태도에 영향력을 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교사에 대한 태도에 학습보다도 많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또래관계가 전반적인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 학습이나 교사에 대한 태도에 관한 영향력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Effect of the peer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adjustment and learning attitude Do-Kyung Shim Pai Cha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 Educational Psychology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Duk Ch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er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adjustment and learn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5th and 6th grade) at K elementary school in Kong-ju City were studied from February 10 to 19 in 2014. A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20 students (110 students for each grade) and 205 survey results (103 from the 5th grade and 102 from the 6th grade) were analyzed excluding 5 unfaithful responses and 10 not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for the demographic backgroun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The 5th grade had a better learning attitude for teachers than the 6th grade. The female students were better in peer assertion , peer cooperative empathy , and entire peer relationship than the male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also showed a better class activity of school adjustment than the male students . However, the number of siblings did not make any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school adjustment, and learning attitude. There was a sligh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er assertion, tardiness, and learning attitud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ther variable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ttitude and all the sub-elements of peer relationship. There was a slight positive correlation in peer assertion and entire peer relationship, but no correlation with peer cooperative empathy. Regarding the attitude for teachers and the general learning attitude, there was a sligh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variables of pe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25.9%), tardiness (19.7%), class activity (28.0%), and learning attitude (18.3%) explained school adjustment (p<.001). Among sub-elements, entire peer relationship was the biggest factor for school adjustment. Tardiness (β=.715), class activity (β=.693), and learning attitude (β=.551) had a slight positive effect. Peer asser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ardiness (β=-.313), class activity (β=-.184), and learning attitude (β=-.138) and peer cooperative empathy was removed from the model. Learning attitude and attitude for teachers had 3% (p<.05) and 10.2% (p<.001) of explanation, respectively. Learning attitude was affected positively by peer assertion (β=.429) and negatively by entire peer relationship (β=-.354). Attitude for teachers was affected negatively by peer assertion (β=-.188) and positively by entire peer relationship (β=485). The result of positiv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school adjustment was identical to the previous outcomes. Despite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learning (of school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a sligh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for teachers and learning-related attitude, both of which are sub-elements of learning attitude. The slight positive effect of active peer assertion on school learning but negative effect on attitude for teachers ask for transition in our thoughts and ways for children. Generally, too good peer relationship has been considered as less interest in learning.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an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the learning attitude. Specifically, this explains attitude for teachers better than learning, which is meaningful in that peer relationship affects attitude for learning and teachers as well as general school adjustment.

      • 초등학교 4, 6학년의 또래관계의 질과 교사-학생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이윤미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아동의 또래관계의 질과 교사-학생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의 질과 교사-학생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기초자료를 탐색하고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의 4개 초등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4학년과 6학년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전체 4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다수의 문항을 빠뜨린 설문지를 제외한 391부가 이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또래관계의 질 측정을 위하여 Furman과 Buhmester(1985)가 개발한 NRI(Network Relationships Inventory)의 항목 중 또래와의 관계에서 주로 보이는 특성만을 추출하여 김진경 외(2002)가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학생 관계 측정을 위해서는 지은림 등(2003)이 개발한 ‘교사-학생 관계 척도’를 사용하였고,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홍승표(2004)가 개발하고,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수정하여 표준화한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합치도계수(Cronbach α)를 산출한 후, 모든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은 4학년과 6학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교사-학생 관계는 6학년보다 4학년이 더 좋게 지각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또래관계의 질, 교사-학생 관계, 주관적 안녕감 세 변인은 서로 밀접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고, 교사-학생 관계가 좋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또래관계의 질과 교사-학생 관계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교사-학생 관계에 비해 또래관계의 질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래관계의 질과 교사-학생 관계가 주관적 안녕감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또래관계의 질과 교사-학생 관계 중, 또래관계의 질이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이 높지만 교사-학생 관계 역시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중학생의 스포츠참가가 또래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최지은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on peer groups in an empirical manner. To do this,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s of 2006 were selected as population, and 570 students from them were sampled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and the resulting data from 544 respondents were actually used in analysis. The survey instrument to gather materials was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peer-to-peer interaction. On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the items that verified by Gu Chang-mo (2000) were used based on the instrument used in the research works done by Kim Hong-seol (1992), Kim Seon-gwan (1998), McPherson 91976), Bohern (1978) and so on, and regarding peer interaction,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organized based on 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NRI) devised by Furman(1985) and the instrument that designed by Kim Eun-ji (1996) and that restructured and verified by Gu Chang-mo (2000) . As to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method were used. Results from the research works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variables in rela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partially in peer-to-to interactions according to variables in rela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from analysis of peer interactions according to gender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a sense of competition. Also results from survey of parents’ schooling indicated that the higher father’s schooling, the stronger leadership,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competition , and that the higher mother’s schooling, also the stronger leadership,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competition. And results from analysis exhibited that the bett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 student, the higher self-confidence, while showing lower hostility, and that the better state of health, the higher self-confidence, while showing lower hostility. As to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from survey revealed that the higher achievement scores, the higher leadership,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competition, while showing lower hostility. Third, results from survey and analysis revealed that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had influences on peer interactions in partial, and that, except sub-variables such as, leadership, a sense of hostility;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impacted on the factors in relation to a sense of competition at a medium level.

      • 또래관계기술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 자기제시 기대와 자기 통찰의 매개 중재 효과

        양윤란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1)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al skills and social anxiety and (2) whether degree of self-insight moderates this relationship. The constructs comprising the peer relational skills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scales, in addition to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obtained in from a pool of fourth to 9th graders, 40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study while 37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scale stud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comprised of the initiative and cooperationempathy constructs. The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scale comprised of the constructs assessing expectancy of self-presentational ability in regards to opposite sex and same-sexgroup situations and expectancy of self-presentational outcome in regards to peer interaction situa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wo scales were found to be reliable and convergent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correlational analysis with related scales. Data was obtained through self-reports, peer report, and scales examined in the pilot study that assesse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self-insight, and social anxiety pertaining to peer relational skills in 272 fourth and fifth graders and 279 eighth and ninth graders. Self-insight was measured by administering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ubscale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and participants whose scores fell in the upper 50th percentile formed the high self-awareness group and the lower 50th percentile formed the low self-awareness group.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ling were as follows: (1) the mediational effect of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al skills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only among femal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2)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al skills and social anxiety in the high self-insight group but not in the low self-insight group, thereby suppor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insight. The femal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higher degree of self-insight compared to mal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mediational effect of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self-insight moderates the mediational effect of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al skills and social anxiety and that the present study fou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insight supports this possibi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serves as a mediator and in this process, self-insight serve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al skills and social anxiety. More specifically, highly self-insight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itiative, cooperative, and empathic peer relational skills increases their expectancy for positive response from peers in peer interactions and such a positive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appears to lower social anxiet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기술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제시 기대의 매개 효과와 자기 통찰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402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기술 척도를,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378명을 대상으로 자기제시 기대 척도를 제작하였다. 또래관계기술 척도는 주도성과 협동공감 두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기제시 기대 척도는 자기제시 능력에 대한 기대를 측정하는 척도와 자기제시 결과에 대한 기대를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하였다. 자기제시 능력 기대 척도는 이성과 동성집단 상황 두 요인으로, 그리고 자기제시 결과 기대 척도는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래관계기술 척도와 자기제시 기대 척도는 내적 일관성의 측면에서 신뢰도가 양호하였고,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분석 결과 수렴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초등학교 4-5학년 272명과 중학교 2-3학년 279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기술, 자기제시 기대, 자기인식 및 사회불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래관계기술은 자기와 또래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외 척도들은 모두 자기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의식 척도의 사적 자의식 요인 문항 점수를 사용하여 상위 50%ile에 해당하는 사례는 자기 통찰이 높은 집단으로, 하위 50%ile에 해당하는 사례는 자기 통찰이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제시 기대가 또래관계기술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여학생 집단에서만 지지되었다. 둘째, 자기 통찰이 높은 집단에서는 자기제시 기대가 또래관계기술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자기 통찰이 낮은 집단에서는 자기제시 기대의 매개 효과가 없어 자기 통찰의 중재 효과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자기 통찰의 수준이 더 높았다. 따라서 자기제시 기대의 매개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자기제시 기대가 또래관계기술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데 있어 자기 통찰이 중재 역할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자기 통찰의 중재 효과가 지지된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또래관계기술은 자기제시 기대를 매개로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자기 통찰의 중재를 통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 통찰의 수준이 높은 아동과 청소년들의 주도적이고 협동적이며 공감적인 또래관계기술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상대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줄 것이라는 기대와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높이며 긍정적인 자기제시 기대는 사회불안에 대해 부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성격강점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專門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격강점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성격강점 프로그램은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에 효과적인가?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M초등학교 4학년 4개 학급 중에서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했다. 실험집단에는 약 3주간 총 10회기의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실험이 종료된 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SPSS 22.0을 사용해 처치 전・후의 두 집단 간의 변화와 집단 내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따른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체 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하고 매 회기별 아동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을 분석하였다.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둘째, 성격강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또래관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또래관계의 하위요인인 신뢰, 의사소통, 화・소외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프로그램 평가와 참여 소감, 그리고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자신의 성격강점을 인식하고, 일상생활 장면에서 성격강점들을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였으며, 주변의 타인들에게도 긍정적으로 인식되어 자신감을 갖는 모습을 보였다. 또래들과도 활발히 상호작용하며 서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격강점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구성한 방식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성격강점들끼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개발 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haracter strength program on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o do this, I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character strength program,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nd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m. First, is the character strength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children's self-esteem? Second, is the character strength program effective in promoti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hypotheses, the researcher selected one class in which the researcher took charge as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homogeneous class as control group among four classes of fourth grader students at M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undertook the test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he 10 episodes of character strength program was administered on experimental group for about 3 weeks, and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experiment, post-tests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were implemented in both group. In order to prove the program effectiveness, the researcher utilized SPSS 22.0 for changes within group and between group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tion(MANOVA).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ubject assessment, children's feedback reports and researcher observation for each episode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character strength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esteem and it's the sub-factors(General-, Social-, Family-, and School self-esteem) than those of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er relationship scor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sub-factors(Trust, Communication and Anger・Alienation)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program assessment, children's feedback reports and the observations of researchers, children were shown to recognize their own character strengths through the character strength program, and tried to use character strengths in daily life scenes. In doing so, the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perceiving and accepting themselves, and they were perceived positively by others around them and showed confidence. They also had good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providing social support for each other and forming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ose outcomes revealed that character strength program has an impact on enhancing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For further studies, researchers will ne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 programs on the way the program is structured. Also, further studies might need to develop a program applying specific methods to activat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character strengths.

      •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상담프로그램의 또래관계 증진 효과

        박현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곳인 학교는 중요한 인간관계의 기본이 되는 공간으로 또래관계를 형성·지속시켜주는 장이며, 또래와 상호작용하면서 사회화에 영향을 끼친다(오유석, 2001). 최근 초등학교에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같은 곳에서 생활하면서 학습하고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면서 장기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맺도록 하는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통합된 학급은 모두가 함께 어울려 생활하는 공간으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또래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는 최상의 장이라고 볼 수 있다(박신영, 2003). 학생들의 또래관계는 학교에서 중요한 문제이고 장애학생에게도 성공적으로 통합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그러므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직접적인 접촉을 하면서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또래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해 실시한 상담 프로그램이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상담 프로그램은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며, 소그룹 모임을 통해 활동을 계획하여 또래와 어울려 다양한 활동을 해 보고 서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익히며 이 활동을 통해 배운 것을 학급 생활에서 직접 실천하도록 하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왕시에 소재한 O초등학교의 통합학급 4,5,6학년 2개 반씩 일반학생 36명과 장애학생 6명을 6집단으로 구성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상담프로그램은 아침 자율시간과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1회 40분씩 총 10회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이 거부되거나 배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관계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또래관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친구관계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변화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장애학생 수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장애학생의 학급내 행동변화 체크리스트로 또래관계가 변하여 학급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또래관계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평균값의 차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표본 T검증을 하였고, 일반학생의 장애학생 수용에서 집단과 검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학급내 행동변화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변화 여부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통합 상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또래관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또래관계의 하위 영역인 공유 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신의는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애착 및 자존심 고양, 갈등 및 갈등해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본 상담 프로그램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일반학생의 장애학생 수용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이것은 본 상담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수용에 관련된 장애 이해와 태도 개선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동등한 또래로 인식하고 함께 활동을 하며 자신의 또래친구를 생각해 보고 바로 보는 것을 배워 직접 실천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체크리스트를 확인하여 장애학생의 학급내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학급내 활동에서 장애학생은 긍정적인 행동을 많이 보였다. 장애학생에게 또래의 지지적인 분위기로 인해서 자신감과 자존감이 향상되어 적극적인 태도로 학급 생활을 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또래관계증진훈련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지각향성에 미치는 효과

        안정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이 피훈련자들의 지각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또래관계증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지각향성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 둘째, 또래관계증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자아개념수준이 낮은 고등학생이 자아개념수준이 높은 고등학생들보다 지각향성정도가 높아질 것이다. 셋째, 또래관계증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불안이 높은 고등학생이 불안이 낮은 고등학생보다 지각향성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 넷째, 또래관계증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학업성적이 낮은 고등학생이 학업성적인 높은 고등학생보다 지각향성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모두 20명의 고등학생이었다. 이들은 부산광역시내의 D고등학교 남학생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대구 청소년종합상담실(1998)에서 개발한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을 매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역할과 지각향성 검사, 자아개념 검사, 불안 검사인데, 지각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각 심리학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Usher가 작성한 지각향성의 12가지 측정기준에 의거하여 최정훈(1971)에 의해 표준화된 학생용 지각향성검사를 사용하였다. 자아개념검사는 Fitts(1965)가 제작한 Tennessee Self-Concept Scale을 정원식(1974)이 한국판으로 개정한 자아개념검사를 사용하였다. 불안검사는 Spielberger(1970)가 제작한 상태-특성 불안 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1978)이 번안하여 표준화 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SPSSWIN 8.0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검사시기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2(집단처치)×3(검사시기) 혼합요인설계를 활용하여 반복측정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지각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본 프로그램은 타인에 대한 지각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지각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둘째,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이 지각향성에 미치는 효과는 자아개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셋째,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이 지각향성에 미치는 효과는 불안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넷째,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이 지각향성에 미치는 효과는 학업성적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ual orient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peer counseling training will sco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erceptual orientation test. 2.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ore of the low self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self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3.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ore of the high anxious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low anxious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4.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ore of the low achievement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high achievement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attending D high school in Pusan City. Those students who wanted to learn the peer counseling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students received training for 20 hours,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anther 10 students received no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s. one of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as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It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nd 1 month after the training. In addition, Self-Concept Scale,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train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alysis and t- test, processed by SPSSWIN 10.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rceptual orientation. 2.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rceptual orientation for the low self group than the self group. 3.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rceptual orientation for the high anxious group than the low anxious group. 4.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rceptual orientation for the low achievement group than high achieveme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