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외 도시철도사업 진출을 위한 도시철도 도입시기의 사회 경제적 특성 분석

        홍수민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철도는 지난 1863년 런던에서 최초로 개통된 이래 현재까지 약 50여개 국가 200여개 도시에서 건설 운영되며 각 도시의 중요 핵심 교통수단으로서 그 소임을 다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지구 온난화와 환경 파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가장 현실적 대안 중 하나로 메트로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며, 도시철도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현상 속에 대부분의 국가·도시 정책 결정권자 및 시민들은 메트로의 건설 및 도입을 바라는 경우가 많지만, 그것에 막대한 자금의 소요가 필요하다는 단점 때문에 무분별한 도입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인사들도 많은 실정이다. 이때 메트로 건설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자료로 F/S(Feasibility Study)를 들 수 있다. 그러나 F/S의 이론적 합리성과 논리적 치밀함에도 불구하고 지표 자체의 내용이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 그 자체가 직관적이지 않고 대중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특히 F/S 리포트의 결과 또한 정책적 결정에 의해 나온다는 일반인의 의심 때문에 그 신뢰성에 의구심을 가지게 되고, 나아가서 F/S 자체의 신뢰성에 금이 가게 되는 결과가 생기게 된다. 이는 위에서 얘기한 F/S 지표의 비 대중적 특성과 맞물려서 큰돈과 시간을 들여서 진행한 타당성 검토가 대중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자칫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게 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 때문에 해외 사업 진출을 위한 각국 정책 결정권자들과의 미팅시 자국의 메트로 건설 필요성에 대해서 의구심을 드러냈을 시 그 근거로 F/S 결과로는 그들을 설득하는 것이 어렵고, 때문에 타당성 검토 결과와 같은 복잡하고 비 대중적인 지표 보다는 좀 더 직관적이고 일반인이 보기에도 알기 쉬운 좀 더 대중적인 지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대중적인 지표를 찾는 방법으로 기존 메트로가 건설되었을 때 어떤 사회·경제적 상태에서 건설 되었는지에 주목 하였다. 과거 메트로가 일정 수준의 사회·경제적 상태에서 건설되었다고 하고, 현재 표적 도시가 그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한다면, 대상 도시는 메트로를 건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따라서 기존 메트로의 건설 시기와 사회·경제적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메트로 건설 당시의 인구와 소득 데이터를 조사 하였다. 인구가 메트로를 이용하는 교통량을 상징 하고, 소득이 메트로 건설을 하기위한 경제력을 상징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메트로 건설에 가장 직관적이면서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데이터로 인구-소득 데이터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과거의 사례를 살펴보았을 때 인구-소득이 200만-4천 달러 이상일 때 메트로 건설이 보통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메트로 건설 중심점이라고 이름 붙여 보았다. 또한 인구-소득 그래프가 인구의 제곱근에 반비례 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새로운 지표인 H지수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와 같이 정의 된다. 이를 바탕으로 과거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을 때 H 계수가 200이상 일 때 메트로 건설을 시작하는 것이 타당하며 근래에 들어 이 H 지수 값이 500 이상으로 급격히 올라가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더 빠른 메트로 건설이 필요 하다는 것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시 하였다. 해외 사업 추진 시 위와 같은 지표를 참고로 하여, 정책 결정권자 등과의 미팅시 메트로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사용 하는 한편, 위 기준에 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메트로가 건설 되지 않은 도시 리스트를 파악하여 그 도시들에 대한 준비를 차근차근 해 나간다면 앞으로 해외 사업 진출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향후 최초 건설 이후 추가 노선 건설시의 H 지수와의 상관관계, 단순 도시 인구가 아닌 인구 밀도에 따른 도시철도 건설 시기, 메트로 건설 전후 국민소득 및 인구의 증감 비교 등의 연구를 추가 수행 한다면 해외 사업 추진을 위핸 더욱 신빙성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비용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철도를 중심으로

        김종황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도시의 주요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도시철도(지하철)는 안전하고 저렴하며, 환경 친화적인 이동수단이다. 세계 대도시의 도시철도 이용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추가 노선 건설은 시민의 이용편익 면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철도 재정 상태는 건설부채와 운영부채로 심각한 상황이다. 전국 광역 6개 도시와 경전철 3개 도시를 포함한 9개 도시의 도시철도(21개 노선)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2014년 말 전국 도시철도 영업수입은 2조 4,073억 원이고, 영업비용은 3조 4,580억 원으로 1조 507억 원의 영업손실 발생하였다. 매년 1조 원의 적자가 발생하여 정부지원금으로 도시철도 운영을 지원해야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노령인구의 증가로 향후 영업손실의 적자폭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철도사업의 전체 부채는 건설부채가 46%, 운영부채가 53%로 이런 만성적인 부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설계획 단계에서부터 운영목적에 적합하고, 경제적인 규모로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울 도시철도 5~8호선 148개 정거장을 대상으로 서울시 도시철도 정거장규모의 적정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비교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연립방정식을 이용하여 정거장 적정면적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수송수요예측으로 산출한 정거장 면적과 수송실적을 기반으로 산출한 정거장 면적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환승역이면서 6호선, 지하굴착심도가 30~40m에 해당하는 역 그리고 피크타임 승차 인원이 0~1,000명인 역사들이 토목·건축비용을 과다지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면적을 종속변수, 과다예측(수요예측-수송실적), 에스컬레이터 수, 출입구 수, 환승역 유무, 지하심도 변수를 독립변수로 지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5%수준에서 모든 독립변수가 증가할수록 전체 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거장 규모 산정 시 수요예측이 과다하여 과다면적이 발생되었으며, 초기 건설비용이 필요 이상으로 투자된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철도의 만성적인 재정적자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설계획 초기부터 목적에 적합한 정거장 규모만 건설하면 이것이 운영으로 연계되어 불필요한 시설물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무임승차에 대한 법규와 현실적인 운임체계 및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운영적자가 계속되는 현재의 지출비용 구조 실태를 파악하고, 장·단기적으로 어떤 변수가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서울도시철도공사 손익계산서를 이용하였고, 회귀분석과 확률분포모형, VECM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 10% 수준에서 급여, 도서인쇄비, 광고선전비가 증가하면, 당기순이익은 감소하고, 운수사업수익, 수도광열비, 소모품비가 증가하면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확률분포모형에서는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매출총이익, 매출원가는 운수사업원가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매출액은 운수사업수익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총비용은 급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ECM모형 분석결과, 단기적으로 급여가 37.73%, 장기적으로 도서인쇄비가 24.81%로 당기순이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추가노선의 건설이나 신규 경전철 사업에 적용하여 슬림화된 정거장을 건설하면 시민의 이동시간 단축과 안전 및 이용편익은 물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초기투자비용과 운영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도시철도 운행실적기반 정시성 평가체계 개선방안

        김명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도시철도 열차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운행에 대한 실증자료 통계분석으로 정시율 평가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연 수기자료와 운행 실적자료 및 경영평가자료의 분석을 통해 국내 도시철도 정시율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외국의 열차 정시성 사례를 참고하면서 국내 도시철도 정시성 향상을 위한 평가체계 개선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엑셀 파일로 변환시킨 열차운행 실적을 기반으로 모든 열차에 대한 정시율의 정도를 분 단위(1분, 2분, 3분, 5분, 10분 등)로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도착 및 출발 정시율에 대한 시간개념과 시 격 개념의 정시율 이론을 정립하여 시발역, 중간역, 종착역별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지금까지의 정시율은 시간개념을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시 격 개념의 정시율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간격 유지를 기본으로 하는 열차운행의 사실적 평가와 상호비교 시 열차운행 통제업무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경영평가에서 폐지된 정시성 평가항목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정시성 평가방법은 종착역 도착시각에 대한 시 격 정시율(TIPA)을 적용할 것과 예로써 경영평가 정시성 항목의 가중치에 5분 정시율(5 TIPA)을 곱하여 평가점수로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도시철도 열차 정시에 대한 개념을 계획시간으로부터 1분의 허용범위 이내로 지정할 것과 도착시각 및 출발시각에 대한 시점 기준을 출입문 열림 직전과 닫힘 직후로 할 것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에 대한 정시성의 비교평가 시에는 정시율 평가결과 값에 보정지수를 반영하여 형평성과 공정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별 홈페이지에 5분 정시율(필요에 따라 1, 2, 3분으로 변경)을 공지하여 정시성 품질에 대한 알림서비스 시행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는 교통수단을 제공하고 승객수송을 통한 수입원을 기반으로 경영활동이 전개되는 만큼 열차운행의 정시성과 안전성은 매우 중요한 품질요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 격 기준 5분(필요에 따라 1, 2, 3분으로 변경) 정시율을 해당 기관의 정시성 점수에 반영토록 함으로써 정시성에 대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평가체계를 통하여 고품질의 교통수단으로 신뢰받는 도시철도 구현을 기대하고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evaluate the on-time rate, and develop management plans by statistically analyzing empirical train delay data, which occur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urban railways.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on-time rate management system of South Korean urban railways by comparing memo data and performance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for enhancing the punctuality of South Korean urban railways by collecting and referencing the on-time rate of foreign countrie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hat could calculate the degree of on-time rate of all trains in minutes (e.g., 1, 2, 3, 5, or 10 minutes) based on the train operation performance, converted to an Excel file. Moreover, an on-time rate theory of the timing concept and the interval concept was developed for departure and arrival on-time rates and something was estimated for a starting station, a way station, and a last station. Second, the on-time rate used so far has applied the timing concept. However, this study allowed the calculation of the on-time rate of the interval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enabled the evaluation of railway operation control while reflecting the reality of train operation, which has to maintain a certain interval between two trains. Third, this study argued the needs of introducing the punctuality evaluation items that were abolished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applying the interval on-time rate (TIPA) for the arrival time at the last station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by multiplying the weight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punctuality items with five minute on-time rate (5 TIPA) as a punctuality evaluation method. Fourt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on-time trains should be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one minute from the planned time, and the time criteria for arrival and departure time should be just before the door opening and immediately after closing. Fifth, when the punctuality of the railway is compared between nationwide urban railway operating institutions, this study tried to secure fairness by applying a correction index to the on-time rate evaluation results. Sixth, this study suggested a notification service for punctuality quality by posting the 5-minute on-time rate (change to 1, 2, or 3 minutes, as necessary) on the homepages of nationwide urban railway operating institutions. Since urban railways operate based on income sources by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punctuality and safety of train operation are very important quality factors.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king reasonable and effective evaluation for punctuality by reflecting the 5-minute on-time rate criteria (change to 1, 2, or 3 minutes, as necessary) based on an interval to the punctuality score of the institution.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urban railways, trust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by enhancing punctuality through this evaluation system.

      • 도시철도차량의 실내소음 저주파특성에 관한 연구

        정재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철도차량의 실내소음 저주파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ow-frequency interior noise of Urban rail vehicles 기계공학과 정 재 부 지 도 교 수 안 찬 우 최근 도심권을 중심으로 주거지역이 확대되고 철도연변에 아파트 등과 같은 거대한 주거지역이 형성되면서 철도소음은 점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타 교통수단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속도향상을 위해 연구하고 있으나, 철도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소음은 더욱 증가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외부소음을 증가시킨다. 삶의 질과 쾌적한 삶에 대한 국민의 욕구가 점점 중요시되고 있어서 철도차량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 및 고객 만족도 향상 측면에서 철도차량의 실내소음 저감은 승차감 및 안락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실내소음 문제는 많은 연구와 노력을 통하여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철도의 범위 중에서도 부산도시철도 3호선을 공차상태의 열차에서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실내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옥타브 분석을 통하여 각 중심주파수의 음압레벨을 평가하였다. 또한 최근에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저주파 소음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부산도시철도 3호선 실내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소음을 분석하였다. 부산도시철도 3호선의 실내소음 특성분석에 대한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산도시철도 3호선의 실내소음 측정을 수행하여 부산도시철도 3호선의 상행선을 대상으로 총 16개 구간의 실내소음을 측정하였으며, 16구간의 실내소음을 비교하였다. 2. 부산도시철도 3호선의 실내소음 측정결과를 등가소음레벨과 최대소음레벨, 및 중앙값으로 나타냈으며, 측정 구간에 대하여 철도차량 실내소음 기준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대체적으로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만덕∼미남 구간은 경사도의 영향과 곡선반경 R200으로 인한 차륜과 레일간의 스퀼소음의 영향으로 2∼4kHz 대역의 음압레벨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3. 부산도시철도 3호선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소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ISO 226 기준의 가청역치와 국외의 가이드라인을 정리하여 부산도시철도 3호선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소음과 상호 비교하여 저주파 소음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심각성과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 Railway Vehicles(철도차량), Busan Metro Line 3(부산도시철도 3호선), Interior Noise(실내소음), Sound Pressure Level(SPL : 음압레벨), Equivalent Sound Level(Leq : 등가소음레벨), Audio Frequency(가청주파수), Fast Fourier Transform(FFT : 고속 푸리에 변환), Octave Analysis(옥타브 분석), Articulation Index(AI : 명료도 지수), Speech Interference Level(SIL : 회화방해레벨), Low Frequency Noise(저주파 소음)

      • 사례 분석을 통한 도시철도운영기관 해외진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상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성, 정시성, 안전성이 있는 철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철도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글로벌 선진 철도기업들은 자국 정부지원을 등에 업고 세계 철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히 경쟁하고 있다. 일본, 중국, 유럽은 자국의 철도산업을 해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시키기 위한 가버넌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ODA 규모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적고, 국내 철도산업을 해외 철도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한 가버넌스 모델도 없는 상태이다. 국내․외 발주사업에 대해 광역철도운영기관 및 도시철도운영기관이 각각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개별적으로 도전하고 있으며, 가격 및 기술제안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철도산업은 성장기를 거쳐 성숙단계에 접어들었다. 국내 철도 관련 기업들의 91% 이상이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외 철도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정보력 및 기술력에 대한 역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해외 발주기관은 민간기업 보다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자․출연한 공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높으며, 도시철도운영기관은 국내 철도관련 중소기업들이 해외철도사업에 성공적으로 진출 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수주실적 및 입찰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철도관련 기업들과 함께 해외 철도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demand of the railway is growing worldwide due to its ecofriendliness, punctuality and safety, and the railway industry’s market volume is on the rise accordingly. Global railway companies are competing fiercely for the preoccupancy the global railway market with their own government supports. Japan, China and Europe have their own Governance model to help their railway industry players to enter world railway market successfully. In terms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size, however, Korea is smaller than advanced countries, and there is no Governance model for supporting the domestic railway enterprises to extend their business into the overseas railway market. Individual urban railway operation institutions in Korea are challenging themselves to w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jects, forming a consortium with private companies. Competition in price and technology proposals is getting intensified. Korea's railway industry has reached maturity after its growth period. More than 91 percent of domestic railway-related companies a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ir capabilities i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echnology are insufficient to enter overseas railway businesses. Public urban railway operation institutions should advance to the overseas railway business with small and medium-sized domestic railway companies in unity.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bids of urban railroad operation institutions in Korea so far, and discussed improvement strategy to advance for the overseas railway market effectively with domestic railroad-related companies.

      • 도시철도차량 미세먼지 발생원 분석 및 적용

        서재선 동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Built to solve traffic issues in downtown areas, subways have been used as a safe and fast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Subways are used by a good number of passengers, but there is a lot of fine dust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and tunnels as it is created o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many different causes. Especially in winter,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nation by westerlies from China, which has serious impacts on the human body. Fine dust of PM10 and PM2.5 has deadly effects on the human body, s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recently made full preparations to reduce fine dust at the national level. 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 and Seoul Metro take the reduction of fine dust as their top priority and are making efforts to protect passengers and keep them safe from fine dust. In response to these efforts of reducing fine dust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fine dust sources in parts of urban railway vehicles and investigate measures to reduce fine dust. There were several fine dust sources in operating urban railway vehicles, and they include frictions between the catenary and pantograph main collector shoe, those between the wheel and rail, those between the brake shoe and brake pad equipment, and those of the ground brushes. Trying to solve the fine dust issue from the pantograph, the investigator conducted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a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 to the pantograph. Today, urban railway vehicles usually use copper-type main collector shoes in the nation, which means that the manufactures of main collector shoes and the urban metro operators have no reliable data about the wear amount and life expectancy of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s. The present study produced reliable data, the first in the nation, about copper-type and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s by comparing and testing them in wear amount and use cycle. For data,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parts causing fine dust in the urban railway vehicle equipment; second, the amount of fine dust was calculated in each piece of equipment of urban railway vehicles causing fine dust; third,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s were installed in all the trains on Line No. 6 of the Seoul Metro and measured in wear data for 12 months of operation to reduce fine dust caused by pantograph main collector shoes in the equipment of urban railway vehicles. Copper-type main collector shoes were measured in average wear data with operating trains on Lines No. 2, 3, 5, and 7 of the Seoul Metro for 12 months; fourth, wear amou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mileage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of carbon- and copper-type main collector shoes for 12 months;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wear amounts and mileag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of carbon- and copper-type main collector shoes through scatter plots and linear regression modeling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antograph of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s recorded much less wear amount than that of copper-type ones, reducing fine dust by 91.59%. Their average life expectancy was about ten times as long as copper-type ones, which suggests that they have remarkable economic benefits as well. To summarize, it was demonstrated that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s are more effective for reducing fine dust and prolonging the usage cycle than the copper-type ones currently used by Seoul Metro.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metalized carbon-type main collector shoes were the most ideal option for the pantograph of urban railway vehicles when the reduction of fine dust caused by the pantograph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economic aspect. including maintenance.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in policies of pantograph maintenance and fine dust reduction at urban railway operators around the nation. 도심지역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공된 지하철은 안전하고 신속한 대중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수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는 지하역사 및 지하터널에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미세먼지가 유발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많은 미세먼지가 존재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이면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들어오는 미세먼지 또한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PM10, PM2.5의 미세먼지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환경부에서 미세먼지 저감 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 또한 최우선 과제가 미세먼지 저감으로 승객의 안전을 보호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국가적인 노력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는 도시철도차량 부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저감 대책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운행 중인 도시철도차량에서는 크게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주습판에서의 마찰, 차륜과 레일에 의한 마찰, 제동장치의 브레이크슈 및 브레이크 패드 마찰, 접지브러쉬 마찰에 의해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발생원 중 팬터그래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팬터그래프에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을 적용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현재 국내 도시철도차량은 동계 주습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습판 제작사 및 도시철도 운용기관에서는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에 대한 마모량과 기대 수명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동계 주습판과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의 마모량 및 사용주기에 대한 비교 검증을 통해 동계 및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의 신뢰성 있는 자료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자료 산출을 위해 첫째, 도시철도차량 장치 중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부품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도시철도차량 각 장치에서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출하였다. 셋째,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도시철도차량 장치 중 팬터그래프 주습판에서 발생시키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서울교통공사 6호선 전 편성에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을 설치하여 12개월 동안 운행하며 주습판의 마모 데이터를 측정하였고, 동계 주습판 데이터는 현재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의 2,3,5,7호선 전동차를 대상으로 12개월 동안의 평균 주습판 마모 데이터를 계산하였다. 넷째, 12개월 동안 측정한 카본계 및 동계 주습판 데이터를 주행거리별로 마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다섯째, 카본계 및 동계 주습판의 측정 데이터에 대한 마모량-운행거리 두 변수 사이의 관계성을 연구하기 위해 산점도를 도시하고, 선형회귀모델링 분석을 하였다. 그 분석 결과로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 팬터그래프는 동계 주습판 팬터그래프보다 마모량이 매우 적어 미세먼지 발생량이 91.59%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평균 사용수명이 약 10배가 되는 것으로 산출되어 경제성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이 서울교통공사에서 사용 중인 동계 주습판보다 미세먼지 발생 저감 및 사용주기 등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시철도차량의 팬터그래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 및 유지보수 등 경제성 등을 고려할 경우 도시철도차량의 팬터그래프에는 메탈라이즈 카본계 주습판 적용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연구 결과는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팬터그래프 유지보수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정책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도시철도 안전관리 교육훈련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도시철도철도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이범로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Korea has been getting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its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leaps to advanced countries, and has been evaluated as a best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the problems of safety accidents are constantly being raised in the industrial field, due to the policy and managerial mindset focused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usiness management and work efficiency. Analysis showed that accidents break out from technical reasons (38.17%), educational causes (33.60%), and work-management related causes (28.25%) in orde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Education and training can reduce the accidents by about 30%. Separate education institutes might be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npower that operates urban railway according to each institution, and on the other hand, departments that performs education-related work might be established without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with the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that has a separate educational institution, could obtain uniform data on how the effectiveness of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demonstrated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between institutions was examine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other institutions that operate the urban railway.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and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organize and operate many in-house training courses, while Incheon Transportation Corporation and Daejeon Express Transit Corporation organize and operate a lot of cyber courses. Gwangju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has the highest rate of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not so many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suggesting that focus is put on meeting the number of mandatory education hours which is the government policy. Each institution has its ow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r invites outside professional instructors to conduct collective education. The faculty may be operated in the form of full-time or part-time professor to full or associate professor. The proportion of cyber educ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order to meet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sults as the government implements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s a result, substantial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contents of education i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phenomenon to avoid education and training is appearing as tiredness.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set up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sufficiency of textbooks,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job relevance, and lecturers' expertise, an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raining effectiveness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and measured them through questionnaires with the subject of the current employees in the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Subjects were 1,234 employees who are engaged in safety management duty at the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and 287 collected copies of questionnaires are used. The questionnaire system through the computer network is characterized by selecting participants and inducing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in a short period of time. Particularly, the reliability of survey results was increased by limiting the participants to field workers who are engaged in safety management wor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safety management and their correlation and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It also constructed the safety attitude that each componen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composes safety management capacity and a hypothesis of the effect on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members who are 30 to 40 years old and have less than 10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re significantly less effective in cyber education, requiring substituting them or taking other way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ecause the members who are 50 years old and have more than 10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re the most effective in entrus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safety management experts in the field 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by link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cultivation of safety management expertises. It should be possible, through it, to construct a variety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linked to the practic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hich are implementable in comprehensive and general perspective, should be established, and on the field,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to the safety manager so that safety awareness should be ensured. In addition, incentives should be given to those who have received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so that safety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might be linked. It is most effective to experience directly in order to reduce human error through safety management, but a dangerous experience should not be tri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re are various systems with which you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simulator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the type of spatial experience in cyberspace, and the model that is similar to the actual equipment or miniature,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ould be doubled by practicing and experiencing through them. This study examined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urban railway safety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is recognized, but there is a limit to the continuous feed-back in practice due to the limited personnel and resources. A plan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th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by identifying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each variable. (초록)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통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개발도상국들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산업현장에서는 기업 경영효율화와 작업능률 향상에 중점을 둔 정책 및 경영마인드로 인해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재해를 원인별로 분석해 보면 기술적 원인(38.17%), 교육적 원인(33.60%), 작업 관리상 원인(28.25%) 순으로 발생한다(고용노동부, 2017). 교육훈련을 통해 재해 발생을 감소시킨다면 재해의 30%가량을 줄일 수 있다. 각 기관별로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인력의 규모에 따라 별도의 교육기관을 두고 있는 곳과 교육기관 없이 교육훈련 관련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부서를 두는 경우도 있다. 별도의 교육기관을 두고 있는 대구도시철도공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함으로써 안전관리 교육훈련이 현장에서의 적용성에 대한 효과성을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균일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타 기관의 사례를 연구, 분석하여 각 기관별로 교육훈련이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대구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가 사내교육과정을 많이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에 비해 인천교통공사, 대전도시철공사는 사이버 과정을 다수 편성하여서 운영하고 있다. 광주도시철도공사의 경우는 교육훈련 과정이 많지 않은 것에 비해 교육 횟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정부 방침인 교육이수 의무화 시간을 충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기관별로 교수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하는가 하면, 외래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집합교육을 시행하기도 한다. 교수에 대한 구성은 전임·비전임에서 정·부교수의 형태로 운영하기도 한다. 정부에서 교육 이수제를 시행함에 따라 교육훈련 실적을 맞추고자 지속적으로 사이버 교육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교육내용이나 컨텐츠에 기반한 내실있는 교육훈련이 점차 감소하고 교육훈련에 대한 기피현상이 피로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대구도시철도공사 현업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육교재의 충분성, 교육훈련유형, 업무연관성, 강사전문성을 독립변수, 교육훈련 효과성(안전관리역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대구도시철도공사에서 근무하는 직원으로 현장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1,234명 중 수집된 설문자료 287부를 활용하였다. 전산망을 통한 설문시스템의 특징은 설문참여자를 선별할 수 있고 짧은 기간에 다수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안전관리 업무 수행하는 현장직원에 한해서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둠으로써 설문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 교육훈련이 안전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상관관계를 추론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각 구성요소가 안전관리 역량을 구성하는 안전태도,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령이 30∼40세 미만인 근무경력 10년 미만의 구성원은 사이버교육에 대한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이를 대체하거나 다른 교육방식으로 변화를 줄 필요가 있으며, 50세 이상의 20년 이상 근무한 구성원은 위탁교육에 대한 효과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므로 대상자 선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안전관리에 대한 전문가 양성과 활용방안을 교육훈련과 연계하여 전문 인력 활용을 극대화 하여, 현장에서 안전관리 전문가의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실무와 연계되는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종합적이고 전체를 보는 안목으로 실행 가능한 안전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립하여야 하며, 현장에서는 안전 관리자의 교육훈련을 강조하여 지속적으로 안전에 대한 인식을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안전관리 교육훈련을 이수 받은 사람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안전관리와 교육훈련이 연결고리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안전관리를 통해 인적 오류의 감소를 위해서는 직접 체험하는 것이 효과가 가장 좋지만 교육훈련 효과를 높이고자 위험한 체험을 할 수는 없다. 기술의 발달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 있다.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하거나, 사이버 공간에서 펼쳐지는 공간 체험형, 실제 장비와 유사하거나 축소한 모형을 통해 직접 실습하고 체험함으로써 교육훈련의 효과는 배가 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 안전관리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안전관리의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제한된 인원, 자원으로 인해 실무에서의 지속적인 Feed-back에는 한계가 있다. 교육훈련을 실시함에 있어 효과성이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데, 본 연구가 교육대상자와 각 변수의 실증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안전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기획에 실질적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울란바토르 도시철도 건설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문후나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몽골에서는 도시철도 건설에 대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수도인 울란바토르 시에 지하철 공사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언론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울란바토르 시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의 대중교통수단인 버스만으로는 도시의 교통체증의 해결책으로 부족하다고 판단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 시에 도시철도 건설의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고 건설 후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① 도시철도 이용자에게 주는 효과 및 영향 ② 몽골 지역사회에 주는 효과 및 영향 ③ 도시철도 역세권 발전 ④ 신규 광역도시 시민들에게 주는 영향 ⑤ 도시 미래 발전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울란바토르 시에 도시철도 건설이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근거 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대한다. Currently, Mongolia is looking forward to launching a “Metro” as a transport service. In particular, the citizen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Metropolitan Municipality started to broach the metro project, which was being discussed in 2003. Due to that, it’s still being a crucial matter in the media spotlight. Nowadays, the population of Ulaanbaatar is growing at rapid speed as well as accounting for 44.7% of the total population of Mongolia. Because of this, the autobuses - which is the main transport service, are reaching its capacity, and could not meet the city's demand anymore as well as causing an increased traffic jam. Also, the city’s road overload capacity has surpassed the limit, and it is at a point where it could not be extended due to the capital city’s buildings, facilities, and private cars are increasing as we expand day by day. In 2013, JICA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has developed a project to launch a metro in Ulaanbaatar based on the “Mechanic Economics index”. Currently, some citizens of Ulaanbaatar are supporting the idea, whereas some citizens are opposing the idea. The people on the opposite side are concerned with the cost of building a metro and several other reasons. Therefore, the dissertation research is design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metro” as a public transport in the capital of Mongolia, Ulaanbaatar, and to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f its establishment, with the benefits of having a Metro. These include: 1. Positive results and impacts of metro operation 2. Effects and impacts on Mongolian society 3. Development of the railway station and its surrounding area 4. The result of urban expansion by following the subway 5. Positive outcomes and impacts on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Metro, a public transport in Ulaanbaatar, has the full potential to choose an optimal construction method and justify it economically.

      • 도시철도교통 역세권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상하이 지하철 16호선 환승역과 거점통과역 비교를 중심으로

        두배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철도교통은 주민 이동 방식을 개선하여 편리성을 크게 제공하고, 도시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며 주변 주택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시철도교통은 도시마다 노선이 다를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마다 철도교통이 다른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적 중시하고 있으며, 다른 부동산 개발업자들도 철도교통 발전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철도교통과 부동산 가격의 영향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부동산 개발업자와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상하이 지하철은 확장 중에 있고, 노선이 모두 교외 밖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이처럼 상하이 지하철 건설이 비교적 성숙되어 있으나 교외 지역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하이 16호선으로 대상으로 같은 시간대의 환승역과 거점통과역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상하이 16호선 환승역과 거점통과역의 비교를 위하여 먼저, 관련 문헌을 통하여 철도교통의 개념과 부동산 관련 이론 및 시장에서의 발전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방법론 탐색을 위하여 교통원가모형, 헤도닉가 격모형, 지출시스템 수요함수 통합모형을 비교하였고, 최종적으로 헤도닉모형을 방법론으로 선택하였다. 자료는 인터넷과 실사 방법을 통하여 단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방천하(房天下), 안거객(安居客), 렌자넷(链家), 바이두 지도와 구글 지도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환승역과 거점통과역 주변의 중고 주택으로 설정하였으며, 미시요소인 지역요소, 근린요소, 구조요소 등이 주변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지역, 근린, 구조변수를 사용하였고, 종속변수에는 주택단가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4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헤도닉 모델 중에서도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세미로그 함수모형을 선택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두 역에 역세권의 주택가격 데이터와 특성변수 데이터를 연구하고, 상하이 주택시장의 특징과 설문조사를 조합한 방식으로 14개의 특성변수를 선별하여 주택의 헤도닉 모형을 구축하였다. 둘째, 주택 가격은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세미로그함수 모형 매개변수는 환승역에 10개의 요소가 유의하게 검증 통해 주변 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거점통과역에 15개의 요소가 유의하게 검증 통해 주변 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환승역과 거점통과역 모두 도시철도교통 역은 주변 주택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승역과 거점통과역을 비교하면, 환승역은 지하철역 근처 주택의 가격이 매우 높은 반면 지하철역에서 멀어질수록 주택가격의 하락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거점통과역은 지하철역 근처 주택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하락률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향후 도시철도교통이 개발될 때, 본 연구결과가 도시철도교통 개발의 영향 효과에 관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도시철도교통 역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역세권 내 주택가격의 증가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도시철도교통 건설과 함께 적극적으로 주변 부대시설을 보완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해주고 있다. 넷째, 지하철 역 주변의 주택가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주택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거주 주택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ail Transit improves the way residents travel, it greatly provides convenience,also affects the surrounding housing prices. Rail Traffic is not only different urban routes, but also more important in the research field to the effect of railway traffic on other factors. Other real estate developers are also very concerned about the development of railway traffic. Research on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railway transportation and real estate prices can provide useful insights to real estate developers and consumers. Currently, the Shanghai Metro is being expanded, and the lines extend to the suburbs. Shanghai's subway construction is so mature, but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suburbs.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compare the interchange stations and the base stations of the same time period with the Shanghai Line No. 16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This paper is a comparison of transfer stations and through stations. First, studying the concept of rail transit, real estate relevant theories and market development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Second, in order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data analysis. Compared the transportation cost model, hedonic price model and demand function comprehensive model of expenditure system, finally, hedonic model is chosen as the methodology. Cross section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field survey methods, also using Fang.com, An Ju Ke, Lianjia, Baidu Map and Google Map etc. The research object is the second-hand housing around the transfer station and the through station, grasp the influence of micro elements, regional elements, neighborhood elements, structural elements on the surrounding housing prices. The independent variable uses the region, neighborhood and structure variables, while the subordinate variable uses the housing unit price. Using SPSS 24 statistics,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hedonic model, semi logarithmic model with relatively high fitness was select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four types. First, the two stations study the housing price data and characteristic variable data of the adverse trend circle.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hanghai housing market and questionnaire survey, 14 characteristic variables are selected to construct the housing hedonic price model. Second, housing price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Using the semi logarithmic function model, there are 10 variables influencing the housing price around the transfer station, and 5 variables influencing the housing price around the through station. Third, the transfer station and the through st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urrounding housing prices. If we compare the transfer station with the station crossing, the price of the house near the subway station of the transfer station is very high, and the farther away from the subway station, the higher the decline rate of the housing price. At the last, If we compare the transfer station with the through station, the price of the house near the transfer station is very high, and the farther away from the subway station, the higher the decline rate of the housing price. On the contrary, the prices of houses near through stations are relatively low, and the rate of decline is also low.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come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effect of urban railway development in the future. Seco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urban railway stations can be confirmed. Thirdly, it confirms the increase of housing price in the near-station location, which indicates the necessity of actively improving surrounding supporting facilities while constructing urban railway transportation. Fourt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ousing prices around the subway station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house bu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