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육군 소부대 도시지역 전투능력 강화 방안 연구

        이태훈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록> 육군 소부대 도시지역 전투능력 강화 방안 연구 국방정책학전공 이 태 훈 지도교수 남궁 승 필 21세기의 전쟁양상은 지난 세기와는 다르게 도시지역전투가 일반화되었다. 북한도 이러한 전쟁양상의 변화에 발맞춰 특수작전부대를 활용한 도시지역에서의 테러와 비선형 전투를 집중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육군은 이러한 북한의 새로운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방책을 구상해야 하며, 특히 소부대의 도시지역 전투능력 향상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육군은 미래 전장의 중심이 도시지역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준비해야 한다. 둘째, 미 육군이 실전을 통해 얻은 교훈을 벤치마킹하여 육군 소부대의 무기체계에 적용해야 한다. 셋째, 소부대의 도시지역 전투기술을 향상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며 넷째, 육군 소부대의 도시지역전투 수행능력을 부여하기 위한 훈련체계와 편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방개혁을 통해 위의 네 가지 방안이 실현된다면 변화하는 전쟁양상과 북한의 위협에 즉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으며, 한반도 미래전의 중심이 될 도시지역전투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Ways to Strengthen MOUT Capabilities of the ROKA's Small Units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Policy : Lee, Tae-Hun Advisor : Professor Nam-Gung, Seung-pil Wars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generalized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compared with last century. DPKR is also preparing for urban terrors and nonlinear urban combats using SOFs. Therefore, the ROKA is required to cope with these new threats of DPKR, and spur to improve small units' MOUT capabil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ree ways from a problematic perspective as mentioned above. First of all, the ROKA must recognize the fact that the urban area will be major combat fields in the future. Secondly, the ROKA has to benchmark the US Army's weapon system upgraded through the Iraq and Afghanistan War. Thirdly, the ROKA is required to build the training center to develop small units' MOUT tactics, techniques, training systems, and organizations. Fourth,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for granting the capability of the army subcompacts to perform combat in urban areas. The ROKA can equip abilities for adapting to changing wars and DPKR's new threats and simultaneously overwhelm the enemy wherever it executes the MOUT if three ways are actualized through ongoing Defense Reforms. Keywords: MOUT, SOFs, small units, Defense Reforms

      •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의 중요도와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창신·숭인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중심으로

        황현성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1960년대 이후 서울은 급속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특정산업 중심의 도심지역이 자연발생적으로 조성되었으나, 80년대 이후 산업구조의 변화, 고령화, 경제활동인구 유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서을의 도심산업은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문가와 산업종사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들이 참여하는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쇠퇴하고 있는 도심형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도시재생의 구성요소별 전문가 중요도를 분석하고, 창신․숭인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봉제산업 활성화 도시재생사업을 평가함으로써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창신․숭인 지역 도심산업 활성화형 산업에는 기록보관소, 역사전시관, 공동작업장, 제작실험실, 청년직업교육, 직업체험교육, 청년인력지원, 보조금지원 등 역사홍보, 거점공간조성, 교육, 행정지원 관련 재생사업들이 실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의 특성과 중요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가 중요도 부분에서는 공공과 전문가 집단은 도심형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역사전시관 건립 보다 청년인력 지원과 제작실험실 조성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반면, 협회는 제작실험실 보다 청년직업교육과 보조금지원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의 이용자 만족도 평가에서는 역사전시관, 기록보관소 등 역사홍보 분야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청년직업교육, 청년일자리지원 등 일자리지원 분야에 대해 저평가 되고 있었다. IPA 분석결과, 공동작업장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청년인력지원과 청년직업교육, 제작실험실에 대해서는 집중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 반면, 직업체험교육은 보완노력 후 점진적으로 관리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고, 보조금지원, 역사전시관, 기록보관소에 대해서는 과잉노력을 지양하고 관리할 부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창신․숭인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추진된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의 특성과 전문가 중요도,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통해 향후 성공적인 도심산업 활성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데 정책적 함의가 있다. 단 창신․숭인 도시재생활성화지역만의 한정된 배경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 분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다양한 사례의 도심산업 활성화형 도시재생을 비교․연구해 봄으로써 일반화된 도시재생사업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City of Seoul had been develop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because of lack of natural resource, poor economy, and low saving rate. The rapid industrializ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and strategy in 1960s for Economy of the city. In addition,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had contributed to the city as a important role since 1960s until 1970s, and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was created in the Seoul. However, the city had experienced an inflation and imbalance between an urban city and an undeveloped city after the rapid growth. In addition, the social and economy environment has been declining from 1980s to now because of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ging population, lack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s a result, urban industrial activ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is actively underway, involving diverse interests such as experts and industry workers to boost urban industries again.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by component to revitalize the declining urban type, and assessed the regeneration projects in regeneration zone of Changsin-dong and Sungin-dong. In the urban regeneration of Changshin-dong and Sungin-dong, there are the archive, history exhibition hall, joint workshop, production lab, youth vocational education, job experience education, youth workforce support, subsidy support.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with active urban industr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ublic experts and professional groups of the urban regeneration made a judgement to have more job support than the exhibition hall for promoting the history of urban industries in the area of importance. In contrast, the local industries workers and residents groups thought that the youth vocational education and subsidies should precedence first over the creation of a hub such as a production laboratory. The user satisfaction rating the urban regeneration with active urban environment shows high satisfaction in the areas about history exhibition hall and archive office. In contrast, administrative support and education areas to solve the problems of job shortage and youth unemployment, including youth job training and youth job support, were unvalued than what they need actually on the rating and analysis. The result of an IPA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shows that the joint workshop needs ongoing maintenance, and it is analyzed that the youth workforce support, youth job training, production laboratory need to be concentrated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Also, Job experience education need a lot of supplementary efforts to be a right way. On the other hand, and the subsidy support, history exhibition hall, and archive office should be avoided excessive effort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promote and lead urban regeneration successfully 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s, judgments of professional experts,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zones. However,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a limited background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Changshin-dong and Sungin-dong area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urban regeneration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study urban regeneration with various cases and establish a generalized urban industrial activ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 도시재생지역 방문객의 경험적 가치가 장소애착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마포 문화비축기지를 중심으로

        신주하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많은 국가와 도시들이 쇠퇴한 도심에 새로운 활력 창출을 위해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지자체 주도하에 낙후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경쟁력 재고를 위해 오랫동안 방치된 산업시설을 도시재생의 다양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변신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인 마포 문화비축기지는 서울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산업유산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업유산의 도시재생사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지역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해당 공간에서의 다양한 경험들이 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방문할 의사가 있는지를 진단해보고자, 경험적 가치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경험적 가치에 대한 연구 개념을 정하여, 산업유산의 도시재생지역인 마포 문화비축기지에 적용하였으며, 경험적 가치의 구성요소(심미성, 유희성, 유익성, 서비스우수성)와 장소애착(장소정체성, 장소의존성),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마포 문화비축기지를 경험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31일부터 4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333부로,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마포 문화비축기지를 경험한 방문객의 경험적 가치가 장소애착과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소애착이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장소정체성에는 서비스우수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소의존성에는 유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또한 경험적 가치의 유익성이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장소의존성이 행동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도시재생지역을 사례로 장소에 대해 경험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장소애착을 측정하고 연계하여,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지자체들의 산업유산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진행시 활용 가능한 구성개념의 제시와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방문객의 경험적 요소들이 장소애착 형성에 중요한 변수이며, 긍정적인 행동의도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영향관계를 선도적으로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문화비축기지에 대한 안내/정보체계, 기타 부대시설에 대한 관리 등을 통해 서비스우수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능적 애착에 속하는 장소의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속성 있는 행사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셋째,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독특한 도시재생 건축물의 매력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장소의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포 문화비축기지만의 특별한 매력물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Recently, many countries and cities are actively promoting urban regenerating projects using industrial heritage to bring new energy to the old town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 Korea are also adopting the various concepts of urban regeneration to transform historically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nto new tourism resources to bring life to old towns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ities. Mapo Oil Tank Cultural Park, the target area of the study, is the major case of Seoul City's urban regenerating project with industrial heri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whether various regions' urban regenerating projects with industrial heritage are following the right direction. The academic sector shall also study the urban regenerating projects with industrial heritage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visitors. The current study was focused on the experiential value of visitors to identify how their various experiences with urban regenerating sites with industrial heritage influence their attachment and intention to come back to the sites in the future. Also, it defined the concept of experiential value and applied it to Mapo Oil Tank Cultural Park, an urban regenerating site with industrial heritag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components of experiential value (aesthetics, entertainment, benefit, and service excellence) on place attachment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data for analysis have been collected by surveying the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Mapo Oil Tank Cultural Park from March 31, 2019 through April 13, 2019. A total of 333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 social-science statistics program. The methods of substantial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tial value of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Mapo Oil Tank Cultural Park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place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ace attachment. It was also found that service excellence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place identity and entertainment on place dependence. Also, the benefit of experiential value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but place dependence had a greater influence on i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first, it initiatively applied the influence on experiential value on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on the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the industrial heritage of urban regenerating regions. Also,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is that the findings suggested the concep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local governments' urban regenerating projects with industrial heritage. In the working level, the implications include: first, service excellence of experiential value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place identity to manif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rvice excellence with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and other amenities for the Oil Tank Cultural Park. Second, it i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host a series of events and programs to improve place dependence, which is a part of functional attachment. Third, marketing shall be reinforced to emphasize the unique charm of urban regenerating structures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order to improv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Mapo Oil Tank Cultural Park's special charm to improve place dependence that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 도시지역 빈집 활성화정책의 우선순위와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도시저역을 중심으로

        손영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 특례법」과 이 법에 의해 위임된 조례가 입법되었다. 위임 입법된 조례가 도시지역의 빈집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는데 제도적으로 문제점이 많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빈집의 발생은 농어촌지역에 한정되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부산, 광주, 대전 등 광역시급 대도시지역에서 빈집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빈집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이나 추진체계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단지 도시재생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의 빈집정책은 도시지역의 빈집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는 상위법에서 위임된 빈집관련 조례를 제정하였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정책방향조차 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집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치단체의 빈집정책 및 추진체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현실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 자치단체의 빈집정책과 추진체계를 분석하여 한국과 일본의 빈집정책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일본 도시지역의 사례를 통해서 관련 단체별, 관계자별 역할을 분석하여 한국에서 빈집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영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정책영역에 대하여 한국 도시지역에 적합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책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일본은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인구구조의 변화, 주택에 대한 인식 및 보유 환경 등도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저출생과 고령화, 대도시의 팽창과 구도심의 공동화, 지방도시의 소멸 등을 걱정할 정도로 인구감소와 쇠퇴로 인해 수많은 빈집이 발생하였다. 한국 도시지역의 규모와 특성을 고려하여 일본의 사례지역을 대도시와 중소도시를 구분하였으며, 조사대상으로 요코하마, 치가사키시, 세타가야구를 선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 지방정부 내에서 부서 간 연대와 더불어 지역사회와 연대하여 빈집문제를 해결한다는 일관된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빈집정책사례를 통하여 도출된 각 정책영역에 대하여 한국 도시지역의 빈집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정책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한국의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빈집정책에 대한 기본 정책방향인 ‘예방’, ‘해소’, ‘활용’을 토대로 「빈집대책 추진을 위한 정책 개발 연구」를 위한 정책영역을 ‘빈집화의 예방’,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빈집활용 촉진’으로 구분하였다. 제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각 정책영역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빈집정책은 직·간접적인 경제지원이 활발(철거·리모델링 비용 지원 및 대출)한 것에 반해, 한국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구체적인 경제지원 정책에 대한 언급이 적고 단지 큰 틀에서 지원이 필요하다는 언급되었다. 따라서 이를 종합할 수 있는 ‘신제도 도입’을 최종항목에 추가하였다. 정책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AHP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개의 정책영역 중에서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에 대한 세부정책들이 대부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들이 현재 방치되고 있는 빈집을 관리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으며, 예방과 활용에 대해서는 아직 중요도를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세부정책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빈집화 예방’ 영역의 ‘사회·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영역의 ‘빈집 실태조사’, ‘빈집활용 촉진’의 ‘빈집 통합정보시스템 제공’ 등의 순이었다. 도시지역의 빈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세 가지 정책영역인 ‘빈집화의 예방’,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빈집활용 촉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를 위해 빈집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소유자에 대한 빈집관리 의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빈집 실태조사 및 그 현황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지역주민과 시민단체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현재 빈집의 재개발과 재건축을 위한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빈집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어 빈집활용을 위한 정책이 소외되고 있으므로, 빈집을 독자적으로 문제로 인식하고 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일본과 같이 한국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그 결과 상속으로 인한 빈집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지역의 주거환경은 아파트가 전체 주택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도시지역에서 빈집문제는 공통주택을 중심으로 대단위로 군집하여 발생할 것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빈집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최우선적으로 ‘빈집’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정책의 대상이 명확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빈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정책영역인 ‘빈집화의 예방’,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빈집활용 촉진’을 도출한 점, 각 정책영역에 대하여 세부정책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한 점, 이해관계자별 세부정책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집단 간 정책 우선순위의 차이점을 도출한 점, 이에 따라 향후 빈집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민관협력을 통한 정책적 함의가 빈집정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열쇠로 작용한다는 점 등을 밝힘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빈집대책 추진을 위한 정책의 실행 과정 및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시계열 자료의 구축, 빈집에 대한 실태조사, 정확한 통계자료 구축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 주제어: 빈집, 도시지역, 정책 우선순위, 델파이조사, 계층화분석과정(AHP)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UNOCCUPIED HOUSE 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and its ordinances. I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re are many institutional problems in implementing policies to cope with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Metropolitan cities such as Busan, Gwangju, and Daejeon are leading the growth rate of empty houses. However, no policy direction or promo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is being used as a means to carry out urban regeneration. However, relevant policy is insufficient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enacted ordinances related to empty houses delegated by higher law. However, local governments have not set the policy direction for implementing th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analyze the empty house problem and the policies and promotion system of empty hous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draw up implications and to suggest policy measur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policy and promotion system of empty houses in Japanese municipalities were analyzed. This study therefore set ou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empty house policies in Korea and Japan. Second, through the case of urban areas in Japan, the role of each group and related parties was analyzed to derive a policy area to promote the empty house policy in Korea. Third,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policy plan suitable for Korea's urban area, the priority of policies was proposed by surveying a group of experts. Japan is geographically close to Korea,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housing perceptions, and environment have proceeded in a similar way. In Japan, empty houses came about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resulting from low fertility and aging, expansion of large cities, common urbaniz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local cities. The case of Japan suggests a coherent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solidarity with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solidarity between departments within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empty house policy priorities through an expert survey on the policy areas derived from the case of empty house policy in Japan, and present it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basic policy directions of ‘preventing’, ‘dissolving’, and ‘utilizing’ the basic policy of Japan's empty home policy, the first Delphi survey on development of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empty house measures was subdivid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pen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ree policy areas: prevention of empty house occurrenc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promotion of empty house utilization. While Japan's vacancy policy is active in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support (demolition / remodeling cost support / loan schemes), the first open Delphi survey did not mention this. Unlike in Japan, there are few references to specific support policies (cost support / loans), and it seems that only the need for support is needed in a large framework. Therefore, we derive a ‘new system also introduces’ general it can be the final entries on the basis of these responses. AHP analysis results showed the policy on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was high priority. Priorit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policy areas and detailed policies among expert groups on prevention, use, and management. It is the first priority for experts to manage the empty houses that are currently being neglected,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utilization does not seem to be recognized ye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result is a very important part in recognizing the problem of empty houses, and it is necessary to first clarify the definition of an empty house. The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an empty house is clearly shown in the importance of inter-professional group policy areas. AHP analysis results additionally showed that the overall priority was the first for soci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prevention of empty house clustering by policy area, the second priority was survey on the status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the third priority was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promoting the utilization of empty houses.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s that the areas of prevention of empty house occurrenc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promotion of utilization are all importa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or prevention of vacancy, management of vacancy in poor management, and promotion of empty house utilization. First,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management intention of the active owner through fact-finding for th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Seco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uncil of local residents and civic groups at the stage of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empty houses. Third, as a simple system for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vacant houses, the policy to utilize vacant houses should be set aside. South Korea is also expected to enter an aging society like Japan. As a result, it is predicted that empty houses resulting from inheritance will occur. In the urban environment, apartments occupy more than 60% of all homes, so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is likely to be caused by large groups of multiple-unit dwelling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empty house' as a task that must be solved as the top priority for the activation of empty house policy in urban areas. The definition of the 'empty house' may clarify the subject of the policy. This study derived policy areas such as prevention of empty house occurrenc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promotion of empty house utiliz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Furthermore, the priority of detailed policies in the policy area was derived, and policy priority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derived through between-group comparisons in detailed policy area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research by revealing that th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act as an important key in activating the empty house policy in the promotion future empty house policy. For future research, detailed policies on the policies derived through this study should be selected. In order to carry out empirical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these policies, it is crucial for a comprehensive survey of empty houses to be carried out, accurate statistics to be established, and time series data to be constructed.

      • 도시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을 반영한 생활SOC 지표 연구 : 경기도 고양시를 중심으로

        장제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생활SOC 정책이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수립되면서 비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생활SOC 시설의 결핍과 그로 인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주거환경의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생활SOC와 관련된 용어를 정리하고, 비도시지역의 특성을 확인하고, 비도시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생활SOC 지표를 도출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활SOC 기준을 먼저 접근성 측면에서 고양시에 실제 적용해보고, 또한 접근성 위주의 분석에서 벗어나 형평성 측면에서의 생활SOC 시설 접근성 차이 와 주거환경의 형평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를 추가하였고, 접근성과 형평성 지표를 평가하기 위해 인구비중을 곱하여 동일한 단위의 점수로 변환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양시에 접근성분석 및 주거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표한 생활SOC 지표인 공공도서관, 문화시설, 노인여가시설, 여가시설, 병원, 어린이집, 유치원, 보건의료시설, 종합병원, 주차장에 추가하여 상수도, 하수도, 도시가스, 버스정류장, CCTV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접근성 측면에서 고양시 전체를 분석한 결과 ①공공도서관,②공공체육시설,③문화시설,④노인여가시설,⑤도시공원,⑥여가시설,⑦병원,⑧어린이집,⑨유치원,⑩보건의료시설,⑪종합병원,⑫주차장 12개 시설까지의 평균 거리는 4.2km로 나타났다. 이중 보건의료시설과 종합병원이 5km 이상의 거리를 나타냈으며, 노인여가시설이 4.91km로 그 다음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측면에서 종합병원,보건의료시설,노인여가시설에 대한 공급이 우선시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고양시 전체를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으로 나누어 접근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는 모든 생활SOC 시설 ①공공도서관,②공공체육시설,③문화시설,④노인여가시설,⑤도시공원,⑥여가시설,⑦병원,⑧어린이집,⑨유치원,⑩보건의료시설,⑪종합병원,⑫주차장에 대하여 비도시지역의 접근성 평균이 모두 도시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종합의료시설, 노인여가시설에 대한 생활SOC 공급 정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접근성 차이는 시설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시설이 물리적 거리에서 도시지역에 비해 비도시지역이 크게 나타나 비도시지역에 생활SOC 공급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생활SOC 접근성과 비도시지역의 주거환경 특성과 인구비중을 반영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지역의 경우 CCTV, 버스정류장, 상하수도, 도시가스, 공공체육시설, 어린이집, 병원, 여가시설, 유치원, 도시공원, 주차장, 종합병원, 공공도서관 순으로 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도시지역은 버스정류장, CCTV, 어린이집, 유치원, 상수도, 도시가스, 하수도, 여가시설, 문화시설, 도시공원, 공공도서관, 주차장, 병원, 보건의료, 종합병원, 노인시설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95% 유의수준에서 T 검증을 시행하여 통계분석 결과 노인시설, 상수도, 하수도, 공공도서관, 버스정류장, CCTV에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밝혀 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법률상 생활SOC관련 용어가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각 법령이나 시설을 공급하는 부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다르고 그 내용이 달라서 혼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용어에 대한 정리와 법제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SOC 공급을 위해 접근성 외에 다른 분석방법 필요하다. 기존의 생활SOC 공급을 위해 물리적 접근성을 분석하여 결핍지역을 분석하고 공급을 하였다. 삶의 방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민들의 요구가 많은 부문 달라지고 삶의 질 향상과 생활SOC시설이 지역적인 편차없이 균형과 형평성 있는 공급 정책을 펴는 것이 시대의 과제이다. 셋째, 비도시지역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 성장관리방안 및 용도지역에 대한 제도개선안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 비도시지역의 주거환경 및 시설공급을 위한 생활SOC에 필요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생활SOC공급정책을 마련할 때 병원, 종합의료시설, 노인여가시설은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모두 접근성이 다른 시설에 비해 크게 나타나므로 우선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지방자치단체도 비도시지역과 도시지역이 함께 공존하므로 고양시의 비도시지역의 특성이 다른 지방자치단체 도시에서도 유사한 특성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다른 연구를 통해 다른 도시에서도 생활SOC시설에 대한 비도시지역의 특성과 주거환경을 반영된 지표가 활용 가능한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as living SOC policies were established centered on urban areas, non-urban areas relatively lack living SOC facilities,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To this e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arranging terms related to living SOC,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urban areas, and deriving living SOC indicators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on-urban areas. First, the living SOC standards were actually applied to Goyang City in terms of accessibility. In addition, an indicator was add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access to living SOC facilities in terms of equity and the equ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evaluated the accessibility and equity indicators. In order to do this, it was evaluated by multiplying it by the population weight and converting it into a score in the same unit. To this end, first, public libraries, cultural facilities,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eisure facilities, hospitals,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health care facilities, general In addition to hospitals and parking lots, water supply, sewerage, city gas, bus stops, and CCTV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tire Goyang-si in terms of accessibility, ① public library, ② public sports facilities, ③ cultural facilities, ④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⑤ city parks, ⑥ leisure facilities, ⑦ hospitals, ⑧ daycare centers, ⑨ kindergartens, ⑩ health and medical facilities , ⑪ General Hospital, ⑫ Parking The average distance to 12 facilities was 4.2 km. Among them, the distance between health care facilities and general hospitals was more than 5 km, and the elderly leisur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the next least accessible at 4.91 km. In terms of accessibility, it means that the supply of general hospitals, health care facilities, and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ould be prioritized.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in terms of accessibility by dividing the entire Goyang city into urban and non-urban areas are all living SOC facilities ① public library, ② public sports facility, ③ cultural facility, ④ leisure facility for the elderly, ⑤ city park, ⑥ leisure facility, ⑦ For hospitals, ⑧ daycare centers, ⑨ kindergartens, ⑩ health care facilities, ⑪ general hospitals, and ⑫ parking lots, the average accessibility in non-urban areas was higher than in urban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life SOC supply policies for hospitals, general medical facilities, and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lthough the accessibility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differs by facility, most facilities are larger in non-urban areas than in urban areas in terms of physical distance, so it is judged that living SOC supply policies are necessary in non-urban areas. Third,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sis reflecting the accessibility of living SOC,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non-urban areas, and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urban areas, CCTV, bus stops, water and sewerage, city gas, public sports facilities, daycare centers, hospitals, leisure facilities, kindergartens, city parks, parking lots, general hospitals, and public libraries showed the best scores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for non-urban areas, bus stops, CCTV,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water supply, city gas, sewerage, leisure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city parks, public libraries, parking lots, hospitals, health care, general hospitals, and elderly facilities were in that order. In order to statistically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T-test was conducted at the 95% significance level.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elderly facilities, water supply, sewerage, public libraries, bus stops, and CCTV.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terms related to life SOC in a consistent and systematic way by law. Currently, there are many cases of confusion because the terms used by each law or the department that supplies facilities are different and the content is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legislate terms. Second, for the supply of living SOC, an analysis method other than accessibility is required. For the supply of existing living SOC, physical accessibility was analyzed to analyze and supply the deprived areas. The task of the times is to implement a balanced and equitable supply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rovide living SOC facilities without regional differences, as the demands of the resid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way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change in many sectors. Third, studies on non-urban areas should not be limited to growth management measur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r use areas, but should be able to suggest policies necessary for living SOC for the suppl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in non-urban areas. Fourth, when preparing the living SOC supply policy, hospitals, general medical facilities, and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have greater accessibility than other facilities in both urban and non-urban areas, so they should be supplied first. Lastly, since non-urban areas and urban areas coexist in other local governments, it is judged that similar characteristics exist in the non-urban areas of Goya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whether indica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urban area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living SOC facilities can be utilized in other cities through other studies. Keywords: Living SOC, Non-urban areas,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gap, Residential environment, Network analysis

      • 도시지역의 저영향개발 설계를 위한 물순환성능목표 개발 및 적용 연구

        백종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기상변화로 인한 강우특성의 변화는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물순환 상태를 왜곡시키고 있다. 도시지역에서는 표면유출의 증가로 인한 침수피해 발생, 기저유출의 감소로 인한 하천 건천화 등 홍수와 가뭄의 피해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저영향개발을 적극 적용하여 도시지역의 물순환 회복을 유도하고 있으나, 현행 물순환 개선을 위한 빗물관리 목표량 설정 방법은 기존의 강우- 유출 설계 방법과 상이하여 저영향개발 설계의 적합성에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물순환 개선을 위한 저영향개발의 설계 시 목표 설정이 합리적일 수 있도록 설계강우기준을 개발하고, 적정 저영향개발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물순환성능목표는 홍수 방재와는 차별적인 개념으로 도시지역의 개발에 따른 유출증가량을 개발 이전으로 회귀시키기에 적정한 빗물관리목표를 설정 하고, 강우기간, 유효강우, 무강우 지속시간, 독립 강우사상의 지속시간 및 분포 등을 고려하여 저영향개발 설계 시에 적합한 강우기준을 연구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의 수문학적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수문학적 특성을 지표화하고, 전문가 설문조사에 기반한 AHP 기법 분석으로 빗물관리목표에 안정성 및 취약성이 반영된 조정계수를 적용하여 물순환성능목표를 제시하였다. 도시지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한 물순환성능목표로 저영향개발의 적용 규모 및 요소기술 설정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저영향개발은 개발 이전의 물순환 상태로 회귀하고자 함에 있어 물순환성능목표의 설정 목적과 부합하는데, 강우-유출 모의분석으로 유출관리량을 산정하고, 요소기술의 적용 규모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계한 규모 내에서 시나리오를 구분하여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고, 효율성을 고려한 요소기술 적용으로 물순환이 개선된 정도를 물순환회복률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저영향개발 설계를 위한 물순환성능목표는 도시화 및 기상변화를 반영하여 도시지역의 물순환 개선 목표를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적정한 저영향개발 설계강우기준에 따라 분석 편차의 최소화로 표준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공간적 범위 적용에 관한 연구 : 아산시 행정동과 집계구의 적용 결과 비교

        이종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the Korean War in the 1950s, our country has set reconstructing the land as its goal and proceeded development as Seoul as its center. After the 5-year plan of economical development in the 1960s,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However, there approached various urban problem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the necessity for redeveloping and regenerating the city was strengthened in order to solve deterioration of the city. To overcome it, businesses around regenerating the city were held by the state in the past. But as the problem grew, the viewpoint for overcoming deterioration was shifted to regeneration of the city. The biggest difference in regeneration and redevelopment of cities focused on the necessities of life was in preserving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city that is the legacy. However, in running business on regeneration, the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is primarily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 place. The basic spatial range of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is in unit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s evaluation js done arou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re needs to be a precise conclusion and evaluation of the spatial range of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the differences and significance of different spatial range of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through applying the census output area, which is the basic uni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the spatial range was set at Asan City, and the temporal range was set from 2000 to 2016.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law on urban regeneration in Korea, the typ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and the distinction of previous researches were considered in chapter 2. In Chapter 3 in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the spatial extent and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criteria. The selected range of the three areas of the statutory administrative, and county districts i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county district, and the selected designation criteria for the data acquisition were selected equally, except for the population standard 1. In the case of population standard 1, the period was revised from 2000 to 2016 because there is no data for administrative and census output area for 30 years. Asan City was selected as the site to which the selected spatial range and designation criteria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Asan City Administrative Districts, nine of the 17 selected Asan City Administrative Districts meeting the criteria of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met more than 2 criteria. There are 8 unselected administrative districts that met 0 to 1 criteria. All nine selected administrative districts meeting two or more criteria met both the popula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ectors. Survey and analysis of census output area in Asan City were carried out, and 141 out of 583 total census output areas were selected. In the comparison of the concordance rates and mismatch rat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census output areas in chapter 4, comparative items were set up to compare the concordance rates and mismatch ra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ensus output areas in the provinces have a relatively higher standard of fulfillment and noncompliance than towns and villages. Second,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at did not meet the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some census output areas met the criteria. Third, the satisfied criteria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atisfying the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and the field of census output areas that belo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differed. The results from Chapter 4 and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census output areas that did not deteriorate because of the standard in uni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being included as urban regeneration area.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needs to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owns and villages.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in uni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Fourth, even if the same conditions are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of satisfaction in secto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patial range. Fifth, it is found that the revised standards are needed to derive more accurate results from the current unclear standards, since the criteria of existing ‘Designation Criteria of Urban Regeneration Area' are comprehensive. In order to improv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research content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based on more detailed data and standards. 1950년대 6.25 전쟁 이후 우리나라는 국토 재건을 목표로 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후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많은 건축물이 국토에 세워졌다. 하지만 이러한 도시화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도시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시쇠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재개발과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도시쇠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과거에는 도시재개발 위주의 사업을 국가에서 진행하였지만, 도시재개발의 문제점이 심화하면서 도시쇠퇴 극복을 위한 관점을 도시재생의 방향으로 바꾸게 되었다. 의(衣), 식(食), 주(住)중 주에 초점을 두어 진행되는 도시재생과 도시재개발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과거의 유산인 도시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존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대상지를 선정할 때 일차적으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을 이용하게 되는데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기본 공간적 범위가 행정동 단위로 되어있고, 행정동 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짐에 따라 공간적 범위에 대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정확한 도출 및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기본 단위인 행정동 적용과 행정동보다 작은 집계구 단위 적용을 통하여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서로 다른 공간적 범위 설정의 차이점과 의의를 도출해보았다. 이를 진행하기 위하여 공간적 범위는 아산시, 시간적 범위는 2000~2016년으로 설정하고 진행을 하였다. 본 연구의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시재생의 개념, 국내의 도시재생 관련 법, 국내 도시재생 사업의 종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 선행연구 및 연구의 차별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적용 및 분석에서는 적용을 진행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와 지정기준을 각각의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법정동, 행정동, 집계구 총 세 가지의 공간 범위 중 선정 된 범위는 행정동과 집계구이고, 자료취득을 고려하여서 선정된 지정기준은 기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 중 인구기준1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선정되었다. 인구기준1의 경우 30년간의 행정동 및 집계구 자료가 없기 때문에 기간을 2000~2016년까지로 수정하여서 진행하였다. 또한 선정된 공간적 범위와 지정기준을 적용 할 대상지로는 아산시가 선정되었다. 아산시 행정동별 적용 및 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17개의 아산시 행정동 중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2개 이상 부문을 충족한 지정 행정동은 9개로 나타났으며, 0~1개 부문을 충족한 미지정 행정동은 8개로 나타났다. 2개 이상 부문을 충족한 지정 9개의 행정동은 모두 인구, 주거환경 분야 두 개의 부문을 충족하였다. 아산시 집계구별 적용 및 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583개의 집계구 중 141개의 집계구가 지정되었다. 제4장 행정동 및 집계구 간 일치율 및 불일치율에서는 각각의 항목을 설정하여 일치율과 불일치율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 단위의 집계구가 읍과 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기준 충족, 불충족 비율이 나타났다. 둘째,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을 불충족한 행정동 안에서도 지정기준을 충족한 집계구가 나타났다. 셋째,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을 충족한 행정동의 충족 분야와 행정동에 속한 집계구의 충족분야가 다르게 나타났다. 제4장에서 나온 결과와 본 연구의 조사과정 중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동 단위의 기준 때문에 쇠퇴가 일어나지 않은 집계구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포함이 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이 읍면동 별로 다르게 적용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존 행정동 기준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동일한 조건이 적용되더라도 공간적 범위의 차이에 따라 부문의 충족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기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기준이 포괄적이므로 모호한 현재의 기준에서 더욱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수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내용의 양적,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더욱 세부적인 자료와 기준을 바탕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지향점이라 사료된다.

      • 유동인구 빅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유형분류 및 특성분석

        조정훈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 lot of urban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occurred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creation of satellite town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explicit expansion of the city, has led to the traffic problems and the hollowization of old towns, raising the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in old towns along with the aging of existing urban infrastructure. To select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for the strategic execu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the number of population,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deterioration degree were chosen as standards. Existing standards had a limit in coping with solving urban problems fundamentally and rapidly changing realit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add new indicators that can reflect the decline in relevant cities and condi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selected Busan-si, Korea as the target area as a leading city, where urban regeneration such as an international port city has been activated like Yokohama, Japan. Prior to setting the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the conditions of reality should be reflected because uniform and uncharacterized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without a quantitative analysis about population behavior within the reg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a characterization analysis and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user behaviors by using representative floating population of the big data, which is a hot issue all over the society in recent days. The target area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hile 23 regions were classified as three types in existing Busa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23 regions were classified as four types in existing Busa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in terms of the type classification on a basis of user behaviors. Four typ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A type of young people - morning type, B Type, the old and middle aged- general type with sharp floating population, C type of the old and middle aged-24hour-type, and D type of the old and middle aged with less float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each region of four types and the study results of user behavior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n A type young people were the majority around the existing old built-up area, where floating population at dawn is four times more than in other areas. In B Type, there were many old and middle aged people around the existing built-up area and general neighborhoods, where the average floating population was more than in other areas due to commuting, while in C type, there was no change in the floating population throughout 24 hours, although there were many old and middle aged people in population around the existing general neighborhoods. D Type includes existing economy-based type, central built-up area type, and general neighborhood type, where old and middle aged people were the majority as a general type of commuting with less floating population. In addition, D type was divided into D-1 type and D-2 typ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floating population through the subdivision of D type. Unlike existing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these types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types, and in this study, approach methods and basic orientations of urban regeneration were set to reflect the reality to a certain degree including the indicators of effective floating population to identify the dynamic activity of urban areas and existing regeneration activation areas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reg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effective urban plans through offering the substantial ground by utilizing scientific and quantitative data. To induce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regeneration projects, the regeneration projects tailored to the present local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present conditions on the formulation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ic plans.

      • 都市地域 敎會開拓을 통한 敎會成長 方案 硏究

        정용암 總神大學校 牧會神學專門大學院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회개척에 헌신하려는 목회자들의 자세도 변하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된다 교회의 분포와 교회개척의 어려운 현실 앞에서 이시대는 더 이상 교회개척이 필요 없다고 단정 짖는 일부의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일수록 역으로 더 많은 전문화된 교회가 개척되어야 한다. 시대의 특징들을 보면서 작은 교회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시기가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한다. 소그룹형태로 시작되는 교회개척은 발상의 전환만 한다면 얼마든지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작은 소망에서 시작된다. 도시지역에서 교회개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지역 교회개척을 통한 교회성장 방안 5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교회개척을 하는 개척목회자의 철저한 준비이다. 교회개척을 통해 성공한 교회들의 공통점은 개척 목회자가 지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개척을 준비한 것이다. 도시지역 교회개척을 통해 교회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분명한 사명감과 철저한 준비가 선행된다. 불분명한 개척의 사명은 교회성장을 위한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개척 목회자는 하나님의 소명과 개척에 대한 뜨거운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개척의 준비는 개인의 힘보다는 신학교에서의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회개척을 위한 실제적인 지역조사방법에서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교회개척의 전략을 세우는 것 등의 지식들을 신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 개척에 대한 교육의 유무는 교회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둘째, 소그룹의 역동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과거 한국교회성장의 원동력은 대형집회를 통한 대중적인 회심과 헌신이 중심이었다면 오늘날은 소그룹을 통한 개개인의 만남을 통한 변화의 시대이다. 과거 한국교회에도 속회나 구역, 남녀 전도회와 같은 소그룹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전의 소그룹은 역동적이기 보다 소극적이거나 형식적인 경우가 많았다 오늘날 소그룹의 역할은 개인의 상처나 영적인 필요 등을 채워주고 좀 더 역동적이며 유기적인 관계형성을 하는 소그룹으로 변화되고 있다. 교회개척은 이러한 소그룹의 역동성을 살려서 전도의 사명을 심어주고 배가될 수 있는 체제로 준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소그룹 양육 시스템의 실 예를 통해서 성도를 양육하고 훈련하는 과정과 리더 훈련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한 훈련은 철저히 전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포스트모던 시대 속에서 교회의 전문화 및 특성화를 살리는 교회개척이다. 현대이후 오늘날의 시대적 사조는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상대주의, 감성주의, 해체주의, 혼합주의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대의 특징들을 교회가 올바로 인식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대를 읽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목회자의 목회철학에 따라 교회의 전문성을 살려서 불신자들에게 다가가야 한다. 불신자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교회가 되려면 지역 주민에 대한 환경이나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 속에서 방향성을 잃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영적인 빈곤을 채워줄 수 있는 교회의 준비가 요구된다.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도구들을 활용하여 불신자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접촉점을 만들어야 한다. 교회 개척자는 문화적 도구들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익숙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복음이다. 궁극적으로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경제적으로 부유해지고 도시생활 속에서 편리한 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이지만 그에 비해 영적으로는 메말라 있다. 영적인 것을 채워주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이런 시대일수록 복음의 더욱 명확하고 강하게 전해져야 교회는 성장한다. 넷째,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디아코니아 사역이 요구된다. 예수님계서 말씀하신 복음의 메시지는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이다. 교회개척자는 이 원리를 반드시 적용해 나가야 한다. 예수님의 삶 자체가 디아코니아이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머리로 삼는 교회는 디아코니아의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 디아코니아를 통해서 지역사회에 좋은 이미지로 뿌리를 내릴 수가 있다. 교회개척의 시작은 인적 물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교회의 상황에 적절한 사회봉사의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개척 처음부터 사회봉사에 대한 열린 자세로 준비하면 그 결과는 지역사회에 건강하게 뿌리를 내리고 지역민들에게 친근한 교회로 인식된다. 지역사회에 어떤 이미지로 기억되느냐의 문제는 앞으로 교회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다섯째, 네트워크를 통한 교회개척이다. 한국교회의 특징 중에 하나는 개교회 중심이다 보니 교회나 파라처치와의 네트워크가 잘 되어지지 않는 것이다. 목회현장에서의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에서 개척목회자들 간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한다. 교회개척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준비하는 신학생들의 모임을 신학교에서 만들고 개척정보와 개인영성, 기도 등을 동역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개척을 하게 될 때 구청이나 동사무소의 정부기관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정부기관과 교회의 필요가 일치하는 복지프로그램들을 협력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정부기관이 아니더라도 민간에서 운영하는 사단법인단체와 협력하여 지역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다. 교회를 세우는 일은 예수님께서 남기신 사역 중에 가장 중요한 사역 중 하나이다. 교회공동체를 통해 불신자들이 전도되고 양육되어 사역자로 세워져서 온전한 성도로 자라나기 때문이다. 교회개척은 분명한 하나님의 뜻이다. 교회개척을 통해 교회성장을 이룰 수 있는 관건은 얼마나 이 시대에 맞는 관점에서 상황과 복음을 조화하여 교회를 개척하는 것이냐 의 문제이다. As time passes, it’s worried that devotion of pastors to pioneer new churches has ebbed as well. Because of the distribution of churches and the difficulties of pioneering new churches, some people conclude that there is no more need to open up new churches. But now is the time where exploration of new specialized churches is needed the most. B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society, I think the role of small churches has grown to be come extremely important. With a conversion of the concept of new churches started with small groups,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hat could build these churches. This thesis starts with this little hope. It provides five ways to help church grow from pioneering new church in urban settings. First, the pastor must be thoroughly ready to pioneer a new church. The similarity of churches that succeeded from pioneering new churches is that the pastor prepared for it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area. For the churches to succeed in urban settings, pastors must have a sense of duty and thorough preparation. Unclear purpose for planting a new church can become a major stumbling block. The pastor involved in the planting of new church should have God’s calling as well as passion. Preparation for planting new churches should be supported from education from a theological school rather than one’s own belief. Theological schools should teach students build realistic plans of finding new churches using data from the research of the area. Education of finding new church becomes a huge fator in the church’s success. Secondly, there needs to be plans to make the utmost use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 of small groups. If the motive power of the Korean churches in the past was centered on penitence and devotion within large gatherings, in the present, it’s through meetings of people within small groups. Small groups such as sisterhood and brotherhood existed in the Korean churches in the past. But these groups were rather passive and formal. But today these small groups serve to touch people in turmoil, fill people in spiritual needs, and also to connect people. Churches should put this dynamic characteristic of small groups in use and prepare it into a feasible structure. This thes is, through real-life examples, explains process of fostering believers and training leaders through small group system. These training focus on evangelism. Thirdly, in this post-modern world, churches must keep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specialty when finding new churches. Today’s trend is post-modernism. As a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one can name relativism, sensibility, disorganization, and syncretism. To correctly judge and prepare for current society, churches should learn to be able to read the flow of current society. And churches need to reach out to non-believers by using their specialty based on the pastors’ beliefs. To become the church that fills the needs of non-believers, one must analyse the settings and the situations they are in. Also, church must be ready to fill the people’s spiritual needs that are lost in this post-modern world. And by using cultural tools, churches need to make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non-believers. Pioneering preachers should become familiarized with using cultural tool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gospel. The ultimate tool that could change a person comes from God’s words. Although people in today’s society are enjoying the convenience and the wealth the city provides, their spirit is parched. It’s only through God’s words that could fill the spiritual needs and change a person into God’s child. In the current status of this world, the Gospel should be preached with clarity and power in order for the church to grow. Fourth, diakonia service that could take root in the local community is necessary. The message Jesus sends us through the gospel is God’s love and love for the neighbours. The pioneering preachers should always keep this principal in mind. Jesus’s life itself was diakonia. Thus, the churches that set Jesus as the head of their church should endure diakonia. Through diakonia, the church could set a good image within the local community. Although newly found churches have difficulties concerning material and physical needs, churches should plan and practice communal service that suits the current status of the church. opning up to communal service just as the church is being found results in successfully taking root in the community as a people friendly church. How a church impress up on the community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hurch’s future growth. Fifthly, churches should find new churches using network. One of the characteristics Korean churches have is individualism. Thus it lacks network with other churches and the para-church. For the churches to network properly, network of students in theological schools is necessary. The students with a vision of finding a new church should get together and share information and pray together. In finding new church, one could also form a network with the government branches such as the ward office. The church and the government could collaborate on a community service project that meets both of their needs. The church could also collaborate with private businesses. Planting a church is the most important task Jesus has left us. Unbelievers are delivered and fostered into God’s children within the church community. Finding new churches is of God’s will. Success fully developing a church through finding new churches relies on how we connect the gospel and the current society when we find new churches. Supervisor Professor : Jae-eun, Ahn

      •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열 분포 특성 추출기법 개발

        李廣載 경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지속적인 도시인구집중화 현상에 따라 도시주변에서는 대규모 도시개발과 도시역의 확대로 지표면피복 변화를 심각하게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인공적인 개발로 인하여 도시의 내·외적 경관변화 뿐만 아니라 지형 및 기온상승, 바람장의 변화 그리고 대기오염 물질의 증가 등 복합적인 국지기후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지상의 고정기상관측자료를 토대로 기상현상을 규명하여 왔으나 오늘날에는 관측지점의 온도가 갖는 지역적 대표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국지기후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기초자료부터 측정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과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실제적인 연구는 극히 부진하며 그 범위도 대단히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위성영상 분석은 보다 광범위하고 동시적이며, 신속하게 도시 열 분포 특성의 감시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비용절감 및 미래의 예측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다양한 공간분석기법의 활용 가능성이 입증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도시 열 분포 특성 규명에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기상환경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도시계획 기법의 수요가 첨예한 관심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위성원격탐사와 GIS와 같은 종합적인 공간정보기술을 바탕으로 서울, 대구, 부산을 중심으로 토지피복, 식생지수 및 지표온도 분포 특성 등을 지형과 함께 시·공간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도시 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지상의 고정기상관측자료를 대신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성원격탐사기법을 기반으로 도시지역 지표온도를 추출하여 도시 열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해석하였다. Landsat TM band 6으로부터 추출된 지표온도와 AWS 현지관측자료를 상관분석한 결과 부산지역의 경우 두시기 평균 가장 높은 약 85%정도의 상관성과 서울, 대구지역에서 77%의 정도의 상관성을 확인함으로서 도시 열의 공간적 분포 특성 해석에 있어 위성원격탐사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AWS 현지 기온자료와는 약 ±0.1℃-3.2℃ 정도의 온도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Landsat TM band 6으로부터 추출된 지표온도와 식생지수(NDVI)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상관분석 결과 서울, 대구, 부산지역 모두 지표온도와 NDVI 사이에는 뚜렷한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균 30℃ 이상의 고온지역을 대상으로 지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은 평균해발고도 20m 미만의 저지대로 평균 1˚이내의 사면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대구지역은 평균고도 35m, 사면경사 1.5˚미만, 부산지역은 평균고도 22.2m, 사면경사 1.3˚이내의 지역에 고온대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지역은 도심과 교외지역의 온도차이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등 전형적인 도시기후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위성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지표온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공간정보와 함께 도시지역 열 분포 특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는 향후 도시의 기후환경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수립에 있어 그 기초자료와 합리적인 적용기법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as large sized urban development and the cityward drifting of population are caused, the urban surface cover is changed very seriously and rapidly. These artificial developments have destroyed the inner and outer landscapes such as topography and have changed complex local climate such as a sudden rise in temperature, the change of wind field and air pollution. Previously meteorological phenomena was examined based on fixed meteorological observatory. However, local representative of temperature measured at meteorological observatory is recently becoming problematic so that there is difficulty in observing fundamental data for study about local climate. Moreover, there still is the lack of fundamental study, itself, and the limit of its scope. However, the analysis of satellite image based on remote sensing technology is considered extensive and simultaneous also makes observation possible and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urban heat. In addition, sinc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spatial analysis technology using GIS was examined, the study about the distribution of urban heat has been performed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n this thesis, the land cover, NDVI and the distribution of surface temperature with topography in Seoul, Daegu and Busan are analyzed temporally and spatially. At the same time, the new metho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heat, is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As the result, the surface temperature around urban is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distribution of it is analyzed through remote sensing instead of using data measured at fixed meteorological observatory. In the meanwhile,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surface temperature extracted from Landsat TM band 6 and the actual observation data extracted at AWS shows that Busan has about 85% correlations between two time series, Seoul and Daegu about 77%, respectively. Finally, the possibility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urban hea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at of AWS data was about ±0.1-3.2℃. Moreover, the distribution of urban heat is examined to have its different pattern depending on the uses status of land around after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tribution of surface heat, which is depending on the pattern of land cover, is analyzed through th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As the result of correlations between surface temperature extracted Landsat TM band 6 and NDVI, it is clearly examined that Seoul, Daegu and Busan have nega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result of analyzing all area where makes a over 30℃ surface temperature, Seoul is located under the average elevation of 20 meters with a slope of 1 degrees, Daegu under 35 meters with a slope of 1.5 degrees and Busan under the average elevation of 22.2 meters with a slope of 1.3 degrees, respectively. All of above the scientific result is possibly found out through GIS spatial analysis. Finally, in this thesis the new method, which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of urban heat more scientifically, is developed based on the surface temperature extracted remote sensing technology and various urban spatial information. In the near future, the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applied to urban development plan emphasizing on the characteristic of urban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