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도시환경디자인 체험학습을 통한 참여적 환경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하태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환경교육의 주요 접근방법에서는 과학적, 윤리적 측면만이 아니라 과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시민참여에 의한 도시계획과 환경만들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경향을 볼 때, 어린이에 대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취급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물리적 환경 즉 조경, 건축, 도시계획에 대한 교육도 작게는 마을 만들기로부터 크게는 도시계획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들에게 참여의식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환경문제가 일상의 주거 환경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하는 이해시키는 것과 생활권에서 직접 보고, 느끼고, 체험하고, 참여하며 미래상을 생각해보고 만들어 가기 위한 환경교육이 궁극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환경교육 및 체험학습의 체계를 검토한 후 그 틀 속에서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위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도시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의 틀을 수립하고, 적용, 실천을 통해서 그 교육효과를 알아보고, 환경디자인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환경에 대한 디자인교육이 참여적 환경디자인 교육의 이론적인 고찰과 해외의 사례의 검토와 참여적인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적용, 실천으로 나누어 진행해 보았다. 환경교육의 기존의 틀 속에서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우리나라 환경교육과정에 대해 검토해 보고, 교과 외 환경교육인 현장체험학습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해 보았다. 그 후에 우리나라와 해외에서 실시되었던 참여적 환경디자인 교육의 사례들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환경교육 내용 구성의 문제와 체험학습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분히 놀이적 요소를 가미시킨 참여적 도시환경 디자인체험 워크샵 및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하였다. 기본적인 환경디자인 과정인 이해-분석-대상지선정-분석종합-기본구상-설계안의 발전-설계안의 구체화에 대응하여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들을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진행하였다. 참여대상은 광주시 서구 유촌동에 위치한 광주극락초등학교 6학년 1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주 토요일 환경교육시간을 빌어 실시하였다. 공간적으로는 초등학교 일대의 근린지구와 통학로 중심의 가로환경을 다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도시어린이들에게 있어 책에서 배운 환경문제는 주변의 일상주거환경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인식형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자신이 속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미래상을 주체적으로 사고 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환경체험교육과 디자인 실천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 도시환경에 대해 직접 보고, 느끼고, 행동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의미의 공간 조형적이고 실천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그에 따르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커리큘럼의 체계적 개발이 요망된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 시민단체, 교육전문가들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은 환경교육의 범주이상으로 아이들의 자기학습능력, 문제해결 및 창조력을 높이는 종합학습매체로서 지적능력 배양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in the main approaches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procedure has been emphasized rather than the scientific, ethical aspect of it. In light of the main stream where the city planning by public participation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design on public attention, as the environmental educations for children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the education on physical surroundings, 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and city planning, could be a good chance for children to be aware of their participation, ranging from building village to city planning. To achieve these goals, it is important to make children, who grow up surrounded by urban environment, understanding that environmental problems are caused from residental surroundings. At the same time, we should d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which the children can see, feel, touch, and dream about the future of their residential area. This study was focused to consider the necessity and vis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the existing system after I went over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eriental study in elementary schools. Then, a new environmental education of urban planning for children, was framed it was applied to reality. After all, this study was aimed at trying to find the educational effect of it and where it should go through the whole proced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wo big parts one of it was based on case studies of foreign countries and another was based on application and use of ope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 looked over the curriculum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ok a look at the problems and present conditions of study in experience here in Korea to see if the new environmental education is possibly applicable in the existing system. And then I studied some case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urban design games with children's participation carried out in Korea. As considering the problems of both study in experience and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 set to app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urban design games and workshop with children's participation, including factor of games. With the basic environmental design process consisting of the understand, the site inventory, the selection of on-site, the site analysis, design concept, the develoption of plan, and the modeling of plan, I mad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urban planning and made a progress with it step by step. This new one was performed during environmental class every Saturday with the sixth grade students of Geuknak Elementary School in Yuchon-Dong, Seo-Gu, Gwang-ju. The neighborhood around this school and street environment beside the commuting roads of the students were spatially dealt with in this study. Som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 living in cities need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every environmental problem learned from text books is originally caused from residential surroundings. In order to make them fully understand it, we should teach them by taking plan of experience in city environment and practical education of design by which they can get to know what their residential area really is and think of the future of it by themselves. 2. We should provide them with the spatial, practical programs with which they can see, feel, and think of urban surroundings. Moreover, it is needed to systemically establish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urriculum, so that experts, NGOs, educators in collaborately. 3.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ncluded to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because it probably help children development with their own's intellectual abilities that they can improve capacity of self-study, capacity of solving a problem, and creativeness by themselves more than what we can expect fro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 신도시 공공공간 통합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이민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y practical scheme for an integrated urban image in of urban perspective at new towns. It is not uncommon to see outputs to which public space design concept is applied in our urban space. Since mid 2000 at a time when the public design concep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it is gradually well on the way. While micro concept approach was majority in the initial stage of the public design concept, it expands its objects to macro concept such as street space, open public space and park. Various projects on public design have been widely carried out by Seoul and local government with their public institutions. Outputs of such projects can be divided into public facility, public building, public space, and public information media by its scope, and each designs per factors have developed well 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with the advanced countries. However, there are also many cases of conflicts in the urban space that failed to make a harmony among factors. Such urban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urban image. Accordingly, the mutual connectivity of various public design factors to an urban space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in terms of design. And public design factors must show own identity of the city reflecting the relation with unique urban image which the city seeks. As this is the time of considerable growth of design level in the urban planning, it needs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observe the whole factors rather than focusing on each single factor. It is general to take a professional plan in each area independently classifying the new town by area, management subject and facility. However, such independent progression may occur duplicated design, mismatch between designs and cost increases. To improve such problems, it needs to set up a strategic standard to induce integrity in the urban level and to form an integrated connectivity by appro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which may be an alternative. The ‘public space master plan’can be a practical means to develop design and drawing integrity and harmony on the public design factors such as urban building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landscape and public facilitie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effective to realize urban space for the city identifiable image as well as to improve fine view, pleasance and safe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design plan o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s a targe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new town in terms of size and character. To carry out a research by selecting a specific city lik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may be helpful to improve practicality of the research output by setting a public design plan based on the objective criteria of the plans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t will suggest a ‘public space integrated design plan’ as a research output to realize the integrated design based on the practical new town construction process such as Multifunctional dministrative City, beyond a suggestion of concept from a macro perspective. 본 논문은 신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차원에서의 통합성 있는 도시이미지 형성을 위한 실행력 있는 실천방안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에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도시공간 속에서는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도입된 결과물들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 처음으로 공공디자인 개념이 소개된 이후부터 지난 수년간 우리 사회에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소개되기 시작한 도입기에는 버스승차대나 가로등과 같은 공공시설물을 중심으로 한 미시적인 개념의 접근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가로공간이나 공개공지, 공원 등과 같은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한 거시적 개념으로 그 대상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서울시를 비롯하여 전국의 지자체 및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하는 공공기관에서는 공공디자인과 관련된 각종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결과물은 공공시설물, 공공건축물, 공공공간, 공공정보매체 등의 공공디자인 요소로 구분되며, 각각의 요소별 디자인은 선진국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단기간에 빠르게 성장해 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공공디자인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설치되는 도시공간의 상황은 각각의 요소들이 서로 조화되지 못하고 불협화음을 내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조화롭지 못한 도시공간의 상황들은 해당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다양한 공공디자인 요소들을 계획 또는 설계할 때에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각각의 요소들이 상호 연계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공공디자인 요소들은 도시이미지와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해당 도시만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도시를 계획하는 디자인 수준이 과거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단일 요소의 디자인 가치보다는 전체 속에서 부분을 볼 수 있는 통합적인 시각이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다수의 신도시 조성과정을 살펴보면 분야별, 관리 주체별, 시설별로 업무를 구분하여 각각이 독립적으로 계획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전체를 고려하지 않은 독자적인 업무의 추진은 불필요한 중복설계나 분야 간의 부조화, 무질서 등과 같은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공간 통합설계를 제시하여 도시차원에서의 일관성 및 통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하고, 해당 기준을 바탕으로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해당 도시만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 할 수 있다. ‘공공공간 통합설계’는 도시구조물, 토목, 건축, 조경, 공공시설물 등과 같은 각종 도시이미지 형성 요소들에 대한 설계 및 디자인의 통합성과 조화성을 제고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공간의 미관성, 쾌적성,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당 도시가 지향하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최근에 국내에서 건설 중인 신도시 중에서 규모나 성격적인 측면에서 가장 대표적인 신도시라고 할 수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공공간 통합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특정 도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과 관련된 각종 계획들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공공디자인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실천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거시적 관점에서의 개념 제시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 건설 중에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조성과정을 바탕으로 통합설계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서 ‘공공공간 통합설계 방안’을 연구의 결과물로 제안한다.

      • 橋梁DESIGN 事例分析을 통한 撥展方向에 관한 硏究

        장양수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은 자연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인간은 환경 속에서 어떤 존재이며, 환경과 인간은 어떤 관계 속에서 공존 할 것인가.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세계는 주체로서의 인간, 시간으로서의 하늘 공간으로서의 땅으로 연대하는 동양의 3재(三才)사상부터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인간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더불어 살아가고 환경게 절대적 지배를 받는다. 또한 인간이 환경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다양한 정보와 자극을 통해 지각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형태의 환경디자인 공간을 연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환경 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교량 디자인 사례, 국외 교량 디자인사례, 국제 공모전 작품 사례 등을 통해 나타난 교량 디자인의 주요한 구성 요소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그 요소들을 중심으로 실제 작품을 분석하고 각 요소가 교량디자인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향후 BRIDGE DESIGN PROCESS에 있어서 핵심기본과제는 무엇이며, 단계별 중요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교량디자인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전개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경디자인의 일반적 이해와 도시환경디자인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도시의 랜드마크로 부상하고 있는 도시환경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교량디자인인 대해 알아보고, 교량의 형태적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통해 교량의 역사, 교량의 종류, 교량디자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연과 인가, 인간과 도시, 그리고 도시와 교량이 어떻게 하면 심리적, 심미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살아 갈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았다. 둘째, 사례 분석은 사례 기준과 방법을 정하여 국내 교량디자인 사례, 국외 교량디자인사례, 국제 교량 디자인 공모전 작품 사례를 1. Concept에 따른 분석, 2. 구조형태에 따른 분석, 3. 기능에 따른 분석, 4. 경간 크기에 따른 분석, 5. 색상에 따른 분석, 6. 재료에 따른 분석을 통해 교량디자인의 중요 요소들이 교량디자인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사례를 통해 종합 고찰하였다. 교량디자인이 도시환경 공간에서 인간의 시 · 지각적 자극을 통해 심리적, 심미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고, 도시의 랜드마크로 기억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디자인의 핵심 요소인 교량디자인에 있어서 어떻게 하면 아름다운 교량을 디자인 할 수 있는가를 교량디자인의 중요 기본 과제를 통해 알아보았다. 첫째, 구조적 안정과 기능성, 둘째, 경제적 시공과 유지 관리, 셋째, 미관 디자인과 친환경디자인이 중요 과제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향후 보다 아름다운 교량디자인을 위해 공공정책적 측면, 경제적 측면, 환경디자인 측면, 교량디자인적측면, 지역민 참여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이 진행되어 공간과 공간, 도시와 도시, 섬과 섬을 연결하고 도시환경디자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성장 발전하여 만호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교량디자인을 기대한다. Man lives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What is a man under the environment? And do the environment and man exist in which relations? As for the world where man lives, it can explain the relations with the man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Samjae, Oriental ideology, jointed with a man as a subject, the sky as time, and the land as space. Under the relations, a man lives in the environment in harmony, and was absolutely dominated by the environment. Also, the man can perceive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and stimuli that a man receives from the environment. On a basis of it, a man can present the new type environmental design.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bridge, a main factor in the urban environmental design. And it is to grasp where there are something in the important constituent in the bridge design shown through a case of domestic bridge design, a case of abroad bridge design, and a case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works. And then, it is to analyze the real works centered on the factors. This study is to analyze it through various cases how each factor expressed in the bridge design. It is to grasp what is a core basic subject in Bridge Design Process hereafter and what is an important subject by the stage. And then, it is to develop this research for utilizing it to the bridge design actively. This study is to develop it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case analysis. Firs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the bridge design, an important factor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that would rise to the urban landmark through the general investigation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And it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bridge, the sorts of bri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ridge design through the morphologic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bridge. From these theoretical investigations, this researcher comes to think how the nature and man, man and city, and city and bridge can live in harmony psychologically and aesthetically. Second, as for the case analysis, it needs to determine a standard and method of ca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bridge design, the cases of abroad bridge design, and the cas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works. Also, it is to investigate the cases in general which the important factors of bride design have an effect on the bridge design through 1. an analysis of Concept, 2. an analysis of structural type, 3. an analysis of function, 4. an analysis of span size, 5. an analysis of color, and 6. an analysis of materials. Also, it is to investigate how the bridge design has an effect on the urban environmental space psychologically and aesthetically through the man's temporal×visual stimulus, and it is to examine that it could be memorized as urban landmark.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t through the important basic subject of bridge design how the beautiful bridge could be designed in the bridge design, a core factor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It was recognized as first, struc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ity, second, economic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d third, beauty design and eco-technological design were important subject.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after examining the problems from the side of public policy, the economic side, the side of environmental design, the side of bridge design, and the side of participation of inhabitants for the beautiful bridge design hereafter This bridge will be most beautiful bridge design in the world that can make a deep impression on the many persons while it proceeds multilateral approaches through various researches, and it connects between space and space, city and city, and island and island, and it develops into the new landmark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 중국 대련 도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필명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 발전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도시는 도시만의 아이덴티티 브랜드화를 통한 홍보를 하게 된다. 도시 아이덴티티는 명쾌한 방식의 간단한 이미지로 도시의 특징을 표현하며 각종 매체 및 도시 곳곳의 사인, 홍보물 등에 사용되어 도시를 알리는 핵심요소가 된다. 최근 중국의 도시들은 급속한 경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관광업은 오래된 문화와 천해의 자연환경, 이와 더불어 넓은 대륙의 다양한 민족과 어우러진 중국 고유의 독특한 특징을 바탕으로 고속성장을 이끄는 전문분야가 되었다. 그중 대련 시(市)는 중국의 유명 관광도시 중 하나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항구 도시로서 매 년 약 5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오늘날 대련시는 중국에서 대외 무역과 관광업의 도시로서 이름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대련시는 아직까지 도시를 알리기 위한 아이덴티티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도시 대련시의 아이덴티티 방향성 확립을 위해 국내외 유명 도시 및 대련과 유사하게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호주의 멜버른,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 미국의 뉴욕, 중국의 홍콩 등 연해 도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하여 분석을 한다. 그리고 지리 식별(geography identity), 인문 식별(humanism identity), 정책 식별(policy identity)의 3가지 관점에서 사람들이 숙지하고 있는 대련시의 특징을 컨셉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여러 디자인 방안 중 최종적으로 선별된 한 개의 디자인을 가지고 대련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결론을 이끌어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 대련이 나아가야할 지속가능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광도시 국가로서 경쟁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When the development of the city reaches a certain level, the city would be promote identity through of the city people. At this time, the city identity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with a simple and clear image, become an important factor that informs the city by using in a variety of media and around the sign. Recently, China's cities has experienced rapid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China's tourism industry has become a specialized field that lead to high-speed growth of China on the basis of unique features that come from the various ethnic and the wide continent and its intersects. Dalian is one of famous tourist city in China and a port town is surrounded by the sea of cities, so that more than 5 million tourists are looking for here. Today Dalian has achieved renown as the city of foreign trade and tourism in China. However, Dalian still has not identity for informing the city. In order to establish identity orientation of the Dalian, We analyzed identities design of cities; the Melbourne in Australia, the Netherlands in Amsterdam, the New York of the United States and Hong Kong of China that is a coastal cities have a geographical similar location of Dalian We will proceed the identity design of Dalian based on the concept that features of Dalian people are familiar with from three viewpoints - geography identity, humanism identity, policy identity. We will lead to the conclusions drawn from a survey of Dalian citizens with finally selected a single design from several candidates. By this research, to build a sustainable identity design system in Dalian, we aim to serve as basis information for competitiveness as a tourist city.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마을 공간 디자인 방안 연구

        김주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Problem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like the collapse of community and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area are remarkable in urban detached housing area. This study analyzes spatial structures and community of detached housing area in the land development district for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in urban detached housing area, and draws space design plan to form desirable urban village. To proceed the study, I review theories and the literatures on urban village and urban detached housing area, do field study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in detached housing area, do residents’ survey to analyze community, and suggest space design plan and guidelines. Field study is performed for 5 detached housing areas in the land development district in Daegu-metropolitan city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which are limited to village area, traffic lines, and block characteristics. Community is analyzed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teraction among residents. For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villages are divided by roads in most of the detached housing areas, entrance and boundary of villages are not clear, space for the community is limited to a small park. In case of traffic lines, perimeter roads of the areas are usually high roads, inner roads are residential streets, and cross type is common pattern of road network. Standing in line on both sides is predominant as the pattern of clustering of households. The size of households are various in the areas, and north and south prevails over east and west as the direction of households. In case of lot pattern, 2 line lot is the most popular one and 3,4 line lot is found in the type of big households. Non-integral and partly integral type of fence for open view occupies higher proportion. Residents’ perception level about the space of village like territory, boundary, and entrance are very low. Their general satisfaction level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s low. Especially, they are discontented with community space, parking on roads, conflict with neighborhood, safety of pedestrian. Their satisfaction level for facility for residents’ activities, privacy and crime prevention is low. 도시 단독주택지에서는 커뮤니티 와해 문제를 비롯하여 주거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 전반의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단독주택지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주거지의 공간구조와 커뮤니티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영향 관계를 검토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바람직한 도시마을 형성을 위한 공간 디자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마을 관련 이론 및 도시 단독주택지 관련 연구 고찰을 선행하였다. 또한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물리적 측면의 공간구조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도시마을 형성을 위한 공간 디자인 방안 및 지침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는 대구시 택지개발지구내 5곳의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공간구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공간구조 분석 항목은 마을 영역, 가로 체계, 가구 특성 등으로 한정하였다. 커뮤니티는 주거환경 만족도, 거주자 상호작용, 공동체의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도시 단독주택지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단독주택지가 도로에 의해 마을이 구획되며 경계 및 입구가 뚜렷하지 않고 커뮤니티 공간 또한 소공원 으로 제한되어 있다. 가로체계의 경우 일반적으로 조사대상지의 외곽은 비교적 위계가 높은 도로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대상지 내부 가로의 경우 국지도로로 조성되어 있고, 격자형의 가로망이 가장 흔히 분석되는 가로 유형이다. 따라서 주호의 집합패턴은 양측병렬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지내 가구의 크기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가구 방향은 동서방향가구와 남북방향 가구가 혼재하나 남북방향가구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지체계를 살펴보면 모든 대상지에서 2열 필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대가구의 형태가 부정형인 일부 가구에서 3~4열 필지가 나타나고 있다. 담장은 개방 가능성이 높은 비일체형 및 부분 일체형 담장들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단독주택지의 커뮤니티 현황을 살펴보면 마을 영역 및 마을의 경계, 입구를 비롯한 마을 공간의 위계 인지 등에 대한 거주자들의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낮은 인지도가 분석되었으며, 주거환경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불만족, 가로공간의 주차 문제 및 그로 인한 이웃 갈등은 물론 가로공간의 보행 안전 문제를 비롯하여 거주자들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의 부재, 프라이버시 및 마을의 방범 등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시마을 공간 디자인 방안 및 지침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마을의 규모는 주거지내 거주민들의 대면접촉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 형성이 가능하고 지역내 도보생활이 가능하도록 계획된 커뮤니티 범위의 도시마을로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도시 단독주택지의 경우 주택지 외곽 상가가 거주자들의 대면접촉이 일어나는 장소로 분석되었으므로, 거주자들의 쾌적성을 전제로 한 상업 용도의 활성화를 도모 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때 마을의 입구 및 경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방안과 연계함으로써 마을의 영역성은 물론 상징성, 식별성 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마을의 커뮤니티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시 단독주택지의 입구는 가로구조에 의해 결정되므로 주거지 내부로의 진출입과도 관련된다. 따라서 보행 및 차량 통행에 따른 진출입을 고려한 디자인 방안이 요구된다. 커뮤니티 공간은 접근이 용이해야 하며 이용에 있어 편리하고 쾌적해야 한다. 따라서 접근성을 우선으로 고려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커뮤니티를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가로체계 디자인 방안으로 기존의 획일적인 격자형 가로체계는 통과교통을 많이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주거지 내부 가로를 순환체계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내부 통과 도로에서 분기되는 순환형 구조로의 경우 외부차량의 통행을 제한하면서 내부 차량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으로 마을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로에서 거주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가로 환경 개선을 통한 가로 공간의 활용 증대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즉, 거주자들에게 가로공간에서 만끽할 수 있는 쾌적성과 가로 공간에서의 거주자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가로환경 디자인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가로를 중심으로 마을 주민들의 이웃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구 집합 패턴을 양측병렬형이나 막다른 골목형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만, 가로의 길이와 폭 등을 고려하고 통과형 골목이 되지 않고 위요적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친밀한 이웃관계를 형성하도록 디자인 한다. 셋째, 가구 디자인 방안으로 가구(block)의 크기 및 방향은 접근성과 관련되므로, 보행 동선과 차량동선을 짧게 계획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주택 규모와 세장비는 주택의 마당인 전이 공간 계획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개별 주호에서 외부공간으로의 개방과도 관련되므로 프라이버시 및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이 요구된다. 담장은 개방을 통해 개별 주호의 마당과 가로공간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한다.

      •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공공디자인 발전방안 연구

        조완기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Factors of Public Design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as recently emphasized important factors of public design which seeks better life and outward beauty from quantitative growth and policy of strongly considering outward appearance due to the compressive modernization. Public design intends to complete beau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intrinsic value, convenience of citizen's life, and efficiency as the value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competitive trend of public design had started to decorate new urban image to make the local self-government's own image. In the process, however, urban image has not been integrated and there has been lack of reflection of the opinion of resident people and experts. Thus the result of partnership between people and government produced administration-driven unsatisfactory public designs. It has produced the negative effect by forcing citizen to be an object, which has shown simple display of buildings and installation in urban renewal and public design processes. Our excellent city for life should be able to give a guarantee for the quality of cultural life as extending sufficient space for citizen's daily life. Public design is not a simple construction and it is deeply related with our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mmend policy alternatives by identifying the development factors of successful public design by experts survey and professional's interview, which intends to analyze what development factors become major factor and should be considered more primarily than others(weighted value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is employed for empirical investigation and th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he first level analysis, the most priority order is to construct the basi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of public design in the process of urban renewal project. This means that the most fundamentals in the development factors of public design are whether the basis of institution is established or not. Moreover in order to make consistency and settlement of public design, the enactment of laws related with public design processing and integrating affairs of public design being promoted competitively by the several departments of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very urgent task. Secondly, in the second level analysis under the construction of the institutional and systematic basis of public design, the primary and important policy option is to prepare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for governing comprehensively public design policy along with the enactment and maintenance of law related to public design. Thirdly, in the second level analysis under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of public design, the primary and crucial policy option is to promote equally executive official's professionalism and public design expert's participation. It is required to implement governance public design policy through the executive organization consisting of diverse outside public design specialists. Finally, in the second level analysis under the construction of public design partnership, the primary and crucial development factor is to connect regional community identity and public design. This intends to create certain image to improve identity of nation by integrated management of national level brand. Also in the regional and local level, the connection will make it possible for citizen to reside together with regional culture, life, economic condition, historic tradition, and public design with identity fitted to the structure of urban. Furthermore, the successful public design project could not be secured without having active citizen's participation.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공공디자인 발전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Factors of Public Design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 및 지역개발전공 Major in Real Estate and Community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 International affair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지도: 김 관 보 교수 Adviser: Prof. Kwanbo Kim 조 완 기 국문초록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압축적 근대화를 통해 양적 성장과 외관중심의 정책에서 삶과 외부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공공디자인의 요소가 행정에 도입되었다.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인 능률성과 시민생활 편리 및 내적 가치로서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아름다움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공디자인이다. 이러한 공공디자인의 경쟁적 도입 추세는 처음에는 지방자치단체의 독특한 이미지를 갖기 위한 도시이미지 가꾸기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도시 이미지가 해당 지역 내에서도 통합적이지도 못하고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 반영이 미흡했으며, 또한 민관 파트너십의 협력이 미흡한 행정위주의 공공디자인을 낳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과정에서 단순한 건물의 나열과 비정의적인 시민의 객체화란 부작용만 키우는 사례도 존재한다. 우리가 추구하는 살기 좋은 도시는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성 그리고 공간 확장에 의한 문화적인 시민 삶의 질이 담보되어야 한다. 공공디자인이 단순한 공작물 설치가 아닌 우리들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도시를 허물고 무조건 재개발을 하고 보기 좋은 시설물을 설치한다고 그 도시가 디자인의 도시, 삶의 정체성이 있는 도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재생과정에서 적용되는 공공디자인의 발전방안에 관한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우선하여 검토되어야할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공공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앞으로 공공디자인의 발전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설문분석기법은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수준의 분석결과 도시재생사업과정에서 공공디자인 발전방안의 상위요인들 중에서 공공디자인의 제도적 기반 구축이 가장 우선적인 순위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디자인 발전방안에 있어서 제도적 기반의 구축여부가 가장 기초가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공공디자인의 일관성과 정착을 위해서는 중앙의 여러 부처가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공공디자인 관련 업무를 하나로 통합하고 추진 중인 공공디자인에 관한 관련 법률의 제정이 시급한 과제이다. 둘째, 2차 수준의 공공디자인 발전방안 중 공공디자인의 제도적 기반 구축 부분의 2차 수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결과 우선적 정책과제인 공공디자인 관련 법률 정비 및 제정과 함께 국가 차원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중앙정부의 공공디자인 총괄기구가 필요하다. 셋째, 2차 수준의 공공디자인 발전 방안 중 공공디자인 전문성 제고의 하위수준 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있어서 행정실무자의 전문성확보와 공공디자인 전문가의 참여가 큰 차이 없이 우선 과제로 도출되었다. 일반 공무원보다는 공공디자인 전문가의 채용을 통해서 체계적인 공공디자인 사업수립과 집행을 하는 조직구성이 필요하고 외부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폭넓은 공공디자인 사업의 획일적인 집행은 지양되어야 한다. 넷째, 2차 수준의 공공디자인 발전 방안 중 공공디자인 파트너십 구축의 하위수준 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있어서 시민참여 활성화 보다 지역정체성과 공공디자인의 연계가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의 경우 국가브랜드의 통합적인 관리로 국가 정체성을 살리는 이미지의 창출이 필요하고 지역차원에서는 지역의 문화, 삶, 경제적 여건, 역사성, 도시의 구조에 맞는 정체성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이 시민의 정주를 가능케 하고 결국 시민참여의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성공하는 공공디자인 사업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한국문화의 기호학적 해석과 도시문화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의 강화를 위하여

        은이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wenty fir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Started with information revolution, cultural resources like knowledge, education, and art have become the driving forces of social advancement in the changing era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This means that hardware (industrial assets) based capitalism has been changed to software (information) based capitalism, and cultural resources must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ime. Coming over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 world has come to accomplish. One cultural range, in the mean time actively making the mutual exchange of culture. We often receive the advanced culture through various media sometimes without filtering and introduce our culture to the world. Due to the inflow of various cultures in this way, we are living in the cultural confusion. We would say that we are losing our cultural identity in such a confusion, receiving the advanced culture with such cultural identity remained lost, we are to let our culture lose the opportunity of becoming the worldwide advanced culture, and also lose the culture which is the root of our spiritual life as in the base of the substantial life. It is to find the root of our life that we are to keep and develop the identity of our culture and also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culture by rendering the variety to the world culture. This research intends to redefine Korean culture and design spaces, where culture is alive, in Seoul in time to keep identity and develop Korean culture. This research for identity of Seould has gone through procedures below. 1. It is to research that the culture is effected as signified with contents and the space is effected as the signifier conveying such contents, and clarify the course progressing the contents contained at the space as the signifier being conveyed to the human being. Accordingly, it is to progress the research on the base of system of semiologics of space. 2. Tried to find environmental concepts in traditional philosophy and backgrounds of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how ancestors interpreted spaces and what they hold in it. 3. Defined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from ideals and artifacts, which reflects ideals, and used them as an concept for this research. 4. Extracted design elements from Korean culture, and applied architectural principles to the, and applied them to environmental design of this research. 5. It is to research how the culture is expressed in the city that is the land objected to the design, what the role of culture is and how citizens read and enjoy the culture through the spare time activities. 6. It is to make the environmental design including such culture by generalizing and developing all the things mentioned above, after having recognized through the afor&mentioned research that the factors applicable for the design are abuondantly filled in our culture. It is known to us through such research that we showed put the important to the design for the genuine human being who is spiritually free and open-minded, in the 21st century, rather than putting the importance to the design on the base of modern physical and substantial thought and this is the way of connecting the interrelationships with the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It is also known to us that the background and thought of the ecology, pluralism, modern physics and etc. Currently suggested by the Western Society as new paradigm are either on the base of the oriental thought or linked to it. This is evidencing the out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 in the mean time recognizing that the inheritence and development of our culture is meant to follow to the new paradigm. Researcher hereby put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on the point of contributing even a little bit to the strengthening of cultural dentity of Seoul, the City in the cultural confusion, by researching Korean culture and applying it the environmental design.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정보혁명의 발달과 함께 탈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에서 지식, 교육, 예술과 같은 문화적 자원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는 우리의 자본주의가 하드웨어 자본주의에서 소프트웨어 자본주의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문화적 자원을 연구하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세계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게 되었고 문화의 상호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는 선진문화를 여러 매체등을 통해 때로는 여과없이 받아들이기도 하고 우리문화를 세계에 소개하기도 한다. 이렇듯 여러문화의 유입으로 인하여 우리는 문화적 혼동 속에서 살고 있다. 혼동 속에서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실해 가고 있는 것이다. 정체성을 상실한 채, 선진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문화가 세계선진문화가 되는 기회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며, 물질적 삶의 기반이 되는 정신적 삶의 뿌리인 문화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이 우리의 삶의 뿌리를 찾는 것이고, 나아가 세계의 문화에 다양성을 줌으로써 세계문화발전에 공헌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가 경쟁력이 되는 이 시기에 우리문화의 특성을 연구하여, 발전시켜서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문화를 내포하는 공간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연구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문화는 의미를 갖고 기의로서 작용하고, 공간은 그 의미를 전달하는 기표로서 작용함을 연구하고, 다시 기표로서의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인간에게 전달되어지는 과정을 밝힌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기호학의 체계를 기초로 하여 연구를 진행시키고자 한다. 2. 전통사상에 나타난 환경개념을 알아봄으로써 기의가 되는 문화의 배경을 살펴봄과 동시에 전통적인 공간의 해석 방법과 공간이 내포하는 내용을 알아본다. 3. 한국문화의 특성을 연구자가 의미와 그 의미(기의)가 구현된 작품들회화, 공예, 건축(기표)등을 통해서 7가지를 정의내리고 이를 본 연구의 디자인 개념으로 적용한다. 4. 한국문화에서 연구자는 6가지의 디자인요소를 추출하여, 이에 건축적 원리를 적용하여 본 연구의 디자인에 적용한다. 5. 디자인의 대상지가 되는 도시 속에서 문화는 어떻게 표현되어, 문화의 역할은 무엇인지, 그리고 도시민들은 여가행위를 통해서 어떻게 문화를 읽고 향유하는 지를 연구한다. 6. 앞선 연구를 통해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요인들이 우리문화속에 풍부하게 담겨졌음을 인식하고, 위의 모든 것들을 종합하여 발전시켜서 문화를 내포한 환경디자인을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21세기는 근대의 물리적, 물질적 사고에 바탕을 둔 디자인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정신적으로 사유할 수 있고 마음을 통하는 진정한 인간을 위한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동양전통사상과 맥락이 통하는 것이다. 현재 서구사회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는 생태학, 다원주의, 현대물리학등의 배경과 사상이 동양사상에 기초하거나, 연계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 전통사상이 우수함을 입증하는 것이며, 우리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동조하는 것임을 인식한다. 연구자는 한국문화를 연구하여 환경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문화적으로 혼동되어 있는 도시,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한다는 것에 조금이나 기여한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도시근린의 재생을 위한 도시건축디자인 : 부산진 역사문화가로 기본계획을 사례로 한

        한영숙 慶星大學校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사회에서 정보문화사회로 전환함에 따라 도시건축 디자인에 있어서도 물리적(하드웨어) 계획보다는 사회문화적(소프트웨어) 계획의 비중이 높아지게 되었고, 마스터플랜을 완성하는 결과적인 작업이 아니라 주변 환경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과정적인 작업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오래된 도시근린의 경우에는 역사성, 문화성, 생활성 측면에서 도시민의 독특한 삶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에 대한 검토 없이 사라지거나 방치되는 둥 개발논리에 의해서 도시근린의 해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부산진과 같은 도시근린의 경우 토지이용 특성으로 볼 때, 原도심의 주변(Fringe, 경계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 공간관리의 대상에서 배제되기 쉬운 곳이다. 현실적으로 공공이 많은 재원과 에너지를 투입하기 어렵고, 지역기업 등 민간부문의 개발활력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곳이다. 따라서 잠재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근거한 '지역의 주도성과 자발성'을 유인해 낼 수 있는 공간관리 기법 및 디자인 전략이 필요한 곳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주의적 접근을 통해서 도시근린을 재생하는 도시건축디자인의 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으로서 도시근린의 생활문화자원을 도시민의 생활문화과 삶을 비춰주는 거울로 생각하고, 중요하게 가꾸어야 할 자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문화주의적 접근은 '도시공간환경'을 역사문화환경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도시공간환경을 생산기능환경으로 접근해 온 '전통적 계획론'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아래 새로운 도시건축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정보문화사회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디자인의 지향점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둘째, 역사문화환경의 선행연구 및 새로운 인식을 통해서 오래된 도시근린을 보존대상으로 인식하고 디자인프로세스 및 방법론을 고찰하였고, 셋째, 부산진 역사문화가로 계획을 자원의 유형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분된 프로그램 도입, 종합계획안, 구역별 조성계획 제안으로 완성하였다. 부산진의 경우에는 역사성, 문화성, 생활성 측면에서 다양한 자원이 존재하지만, 상업지, 주거지, 녹지가 혼재하는 곳으로 기존의 도시건축디자인 방법론으로는 부산진의 다양성을 유지시키면서 재생하기는 어려운 곳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근린은 많은 도시에 산재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제 도시근린을 보전대상으로서 인식하고, 도시건축디자인에 있어서 역사문화자원 뿐만 아니라 생활문화자원도 중요한 고려대상으로 활용되어 우리의 모습으로 간직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시건축디자인에 있어서도 주민이 도시재생사업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근린의 특색에 맞는 소프트웨어적 방법을 모색을 통하여, '절차상의 참여'를 넘어서 계획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주민의 주체성을 높이고 주거와 생활양식을 변혁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제 주민은 각종 서비스의 수혜자가 아니라 해결의 주체로 자리매김이 필요하다. 따라서 디자인 결과물의 제작방식을 마스터플랜의 확정된 도면으로 제안하기보다는 사진, 스케치, 꼴라쥬 등을 통해서 행정가와 주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성사례이미지를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며, 나아가 우리 도시실정에 맞는 '도시건축 데이터베이스시스템'과 같은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여겨진다. With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al culture society, Space Environmental Type thinking, which addresses space can be changed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media in urban architectural design, is introduced. It means a flexible thinking to spatial changes in urban architectural design. In other words, urban architectural design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things defining space or environments but is expanded to various areas and newly connected to other areas. Such a paradigm shift in urban architectural design emphasizes quality management through non-physical activities rather than the development focusing on physical volumes. It requests changes from professional oriented to user oriented, and from a macro urban plan to a micro and realistic plan. Accordingly, this article selected Busanjin area, a deserted old urban neighborhood as a target place to research the 'non-physical activities (software)' as well as 'physical activities (hardware)' in the old urban neighborhood, explored historic culture assets and everyday life culture assets and performed urba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participation and cultural aspects. First of all, the old urban neighborhood was considered as assets that have preserved the living culture of citizens for a long time and defined as 'Historic Culture Neighborhood'. Software programs were devised, where residents could participate were searched for through the review on the changes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in the perspective of software,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of infra and preservation of resources. The master plan to Busanjin area as historic culture street was finalized with the composition of an alternative space with multi cultural characteristics to seek for community improvement. Ultimately, we should perceive the old urban neighborhood not as the target for the development but as the target for the preservation through converting it into a historic culture street.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revive the area as a urban neighborhood where past and future would coexist and could be maintained by proposing a urban architectural design emphasizing the culture.

      • 道市行政에 있어서 都市디자인의 導入에 關한 硏究

        박승화 京畿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지난 30년 동안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으며 이러한 경제 성장 과정에서 산업화 ·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각종 개발 및 조성 사업에 따라 도시환경 및 도시경관이 파괴되어 왔다. 이제는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를 어떻게 가꾸어 나가는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도시 디자인이란 개념은 건축 분야에서 더욱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개념이며, 보편화 되어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행정학 측면에서 도시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한 내용은 도시를 형성함에 있어 실용성 이외에도 시민들에게 도시의 구성요소들이 작용하는 심리적 효과성까지도 포함하여 도시를 구상하는 작업이라는 것이다. 현대 도시계획에서 뜻하는 "계획"은 합리성과 이해성을 가지고 현상을 파악하는 경향을 띠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과학적인 사고에 기초한다. 그러나 '(도시)설계'는 디자인으로서 직관과 통찰력을 근거로 문제를 해결하는 성향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예술적 사고에 의존하기도 한다. 따라서 "계획은 사회를 통해 개인을 이해하려는 것이지만 디자인은 개인을 통해 사회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획은 논리와 이론이 흥미의 대상이 되지만 디자인은 감각과 원리를 추구하게 되는 차이가 있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특히 미국에서는 더욱 두드러지고 유럽에서는 영역의 구체적인 구분 없이 계획과 설계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 행정은 도시라는 지리적 장소에서 일어나는 지리적 장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공공활동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따라서 도시행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기초로서 도시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도시는 국토건설 종합계획 및 국토이용 관리는 국토의 균형 잡히고 조화로운 개발을 통해서 국민의 복리를 증진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지리적 공간상의 산업 및 인구의 분포와 그 분포 군집(群集)간 사람과 상품 및 정보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교통 · 통신망의 체계는 재발수요에 적합하게 되어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디자이너나 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특별하고도 새로운 전문분야이지만, 도시디자인은 이제 공공정책, 특히 도시 공공정책의 대상이자 수단으로서 그 역할과 위상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디자인은 의도적 도시디자인과 비의도적 도시디자인으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도시디자인의 대부분은 비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 도시별로 의도적 디자인으로의 전환을 시도 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의 도시는 물질적인 도시개발 측면 뿐 아니라 도시환경의 질적 개선에도 중점을 두어져야 하고 개발과 보존이 조화되는 도시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각 자치단체 독자적으로 시민이나 기업과의 연대를 구축하고 이러한 형태로부터 마련된 테마를 종합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강구되어야 하며 도시디자인, 도시경관 개선이 한때의 붐으로 끝나게 할 것이 아니라 뿌리를 내리며 지속성 있게 하는 것이야 말로 각 자치제의 미래에 있어 중요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1세기의 도시를 이러한 시점에서 준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하나의 도시로서 하나의 지역으로 각각의 개성과 매력을 창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 주체를 조성함과 동시에 총체로서의 도시디자인의 가치를 창출해 나갈 수 있는 프로세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We achieved high growth of economy for the past thirty years and then again we destroyed city environment and the scenic beauty through economy growth on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refore the first of our important object is how to decorate the city, which we are living. The concept of city design is more actively researched on construction field and prevailed. The contests for introduce the concept of city design on administration science is work to map out the city including psychological effect, which it is applied to citizen with the contents of city, in addition to practicality in order to make the city. The "Plan" on a present-day city plan is what catch situation with rationality and understanding and it is based on scientific thinking. But "City design" will be solved problem based on intuition and vision and some time depend upon artistic understanding so that "Plan" is comprehended individual through society but "Design" is caught society through individual. Therefore "Plan" is a target of interest for logic and theory and "Design" is pursued sense and principle and it is difference of "Plan" and "Design". This difference show up in US but in Europe it is a general opinion what "Plan" and "Design" are recognized as same.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for urban administration is various public motions coming from the city so that in order to research urban administration, we need understanding for city on basis. The ultimate purpose for city in Korea Is what promotes the welfare of the people through symmetrical development and well-balanced territory. However in actuality the traffic system to easy the flow of commodity and information for person and industry is not suitable for development demand. City design is new filed of study for designer and scholar but the mean is expanded to "public policy" as a target and expedient for city public policy. City design is discriminated between intentional city design and accidental city design. Most of city design in Korea is made accidental but it is made an attempt to intentional design for each city little by little. Hence, The city design of Korea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the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preservation. So each the urban government of Korea will must construct solidarity with citizens and company. And they have to evolve synthetically "theme" above from mentioned solidarity. We have to prepare the city of 21C based on this point in Korea. It is especially necessary that in order to create individuality and charm as one city and one area, we have to create various composition objects and at the same time we have to construct process to create the value in the whole.

      • 가로이미지 향상을 위한 도시디자인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최재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Global era of the 21st century is now developing to the age of competition between cities beyond the age of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World wide cities such as New York, London, Paris, and Tokyo focus on urban design to dominate competitiveness in global urban competition by securing urban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making it brand through unique urban designs.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the basic urban design has made an effort to make good cities to live, centered on human, nature, and culture. To this end, an urban innov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processed takes aim at human-oriented cities where nature, cities, and human are harmonized for urban design. Therefore, to improve urban designs with sound imag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scientific methods that systematically analyze and synthesize various and diverse factors of cities expressing such urban images to reflect urban authentic values in design as well as to evaluate such cities based on urban users’ visual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evaluation methods for urban designs as a tool of grasping problems and improving urban images. For this, it examined the organization system of components of basic urban designs making a city, look into correlations between such factors, and propose evaluations methods for urban designs that accept human behaviors and demands and have sound images, and its details are as follows. Chapter 3 in the study divided components of urban designs into psychological components related to urban images, physical ones of urban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functional/behavioral components regarding users’ behaviors in order to try its related systematization. Through the systemized process, evaluation methods of urban designs divided into professionals and users were proposed. For the experts’ evaluation range and method, they presented the evaluation on urban identity, orientation of urban images through psychological evaluation factors as well as the evaluation on physical environments hard to for users to understand. In addition, as to users’ evaluation range and method, the evaluation on current urban images through psychological evaluation factors and the evaluation on functional/behavioral environments to evaluate actual urban users’ inconvenience were proposed. Chapter 4 conducted professionals’ survey reflecting their opinions to objectify items regarding components of urban designs many times. The first expert’s survey was processed as pilot survey to reflect their opinions about components of urban designs, so it could reflect their opinions in configuration items of urban design. The second expert’s survey was processed to draw the synthesized effects of specific items of urban designs on urban designs considering the first survey’s results. Through the survey, it drew the factors highly affecting urban designs. Chapter 5 tested the importance of urban design factors in the downtown by re-conducting more largely experts’ survey on configuration items of urban designs objectifi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process. The items of urban designs were selected from the above objectified process, but the application of these items was not possible throughout the overall city, so the enlarged experts’ survey selected evaluation item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downtown through the analysis on importance and made Matrix of significant relations through the analysis on rel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the evaluation method of urban designs divided into experts and users. This design evaluation has the limit in that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connection between experts and users. To overcome this weakness, the study made Matrix of importance and correlations, and through this it could find out priority of evaluation items of urban designs. Besides, it aimed to suggest plans to guess backwardness of urban physical components only through the evaluation on urban designs of users’ functional/behavior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to propose the index of improvement plans. However, the range of the study on urban designs is so large that it is definitely limited to objectify it only with this study. It seems to be the limit of science itself that aims to quantify qualitative things. Nevertheless, 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rranged and objectified evaluation systems of urban designs that was not arranged or systemized before, and found out correlations of these factors to propose a tool to evaluate urban design for better urban design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an urban design evaluation tool regarding overall cities by presenting a tool for evaluation of urban desig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various follow-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 overall urban design evaluation tool will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