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都市空間構造變化에 따른 旣存都心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 事例를 中心으로

        권선택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751

        인간이 영위하는 모든 활동이 공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공간위에 자리잡고, 공간을 이용하며 공간에 의해 제약받고 있는 인간활동의 공간적 틀을 공간구조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도시공간구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또한 그 내부 구조에 나타나는 질서를 발견하는 도시공간구조 변화의 분석은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도시정책과 도시계획을 위한 방향이 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정부의 수도권 집중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둔산 신시가지 개발과 행정구역 개편 등의 정책적인 요인에 의해서 도시공간 구조상의 다양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 1988년부터 시작된 둔산 지구의 신도시개발로 그간 도시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해온 대전의 기존 도심은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대전 기존도심에 자리잡았던 행정, 금융, 주상복합 업무기능 중 대다수의 부분이 이미 둔산지구로 이전된 상태이고,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심화될 전망이며, 또한, 장기적으로 기존도심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거주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 기존도심의 쇠퇴는 도심에서 거주기능이 업무기능에 밀려나는 일반적인 대도시의 공동화 현상과 다른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즉, 기존의 도심을 대체하는 신 도심이 단기간 내에 형성됨에 따라 기존도심의 업무기능과 거주기능이 동반적으로 이탈하는 것이 대전 기존도심 문제의 특징이다. 따라서 대전의 기존도심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도시문제에 대한 일반론적 문제가 아니라 원천적으로 문제를 야기한 원인의 특수성으로부터 출발하여 해결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도심기능의 시대적 변화를 배경으로 최근 신 도심의 개발로 도심기능이 대거 이전하면서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공동화 현상에 대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따른 대전 기존도심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는 무엇보다도 도시를 형성하는 정주인구와 상권의 변화 현상에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기존도심은 대전시 도시기본계획의 2도심(기존도심, 둔산신도심), 3부도심(유성, 진잠, 신탄진) 중 기존도심으로써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가설되면서 대전역을 중심으로 단핵 구조의 도시를 형성해 온 동구 원동, 정동, 중동, 인동, 삼성동과 중구의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등 1900년대 도시성장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였던 지역으로 대전역~도청을 중심으로 한 동쪽은 경부선철로, 서쪽으로 충남도청 앞의 명정로, 북쪽으로 우암로, 남쪽으로 대흥로를 경계로 상업지역 약 2㎢을 기존도심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대전시가 계획하고 있는 기존도심 활성화 계획의 범위를 동·중구 전역의 189㎢를 구 도심 권역으로 설정 추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동ㆍ중구 전역을 연구의 범위로 정하였다. 대전시의 도시공간 구조변화와 기존도심에 대한 공동화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계획과 개발정책에서 80년대 이후 시 외각 지역에 편중되었다. 먼저 대전시 도시기본계획의 변천내용을 보면 1) 대전시의 최초의 대전도시기본계획은 도시계획구역을 당시 행정구역 87.36㎢보다 6.3배가 넓은 556.71㎢에 2001년을 목표연도로 계획인구 165만명을 계획하였고, 도시공간구조 설정은 1도심 2부도심으로 기존도심지역을 중심으로 둔산과 유성을 부도심으로 설정하여 단핵의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처음으로 도시기본계획제도의 도입에 의한 계획으로 도시기능에 따른 공간의 기본구조와 도시개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여 도시의 개성과 쾌적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시미래상의 틀을 형성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2차 대전도시기본계획은 도시계획구역 면적 562.35㎢에 목표연도 2001년, 계획인구 165만 명으로 계획 실행 상에 발생되는 도시문제와 여건변화에 따른 계획의 보완·수정과 상위계획 변경의 수용이 요구되었다. 이것이 대전시가 수도권에서 분산된 중추관리기능, 광역개발에 따른 행정, 업무, 교육, 연구(대전연구단지) 등으로 선도적인 국가중추기능의 담당과 첨단과학도시로 성장하는데 기반이 되었다. 도시공간구조의 특성은 중부권의 중심 대도시로의 기능과 역할 수행을 위한 도시구조를 기존의 단핵중심체계에서 다핵 구조로 개편하여 도시의 균형적 개발을 도모하였으며, 교통체계는 격자형 및 순환방사형 도로망체계로 구성하여 지하철 및 전철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장래인구 300만 대도시로 성장할 것을 전제로 하여 도시공간구조 골격을 2도심, 2부도심의 틀을 구축하였다. 3) 5차 대전도시기본계획은 시대의 개발조류가 ‘개발과 보전’을 조화시키려는 이념 하에 상위계획인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수정변경과 정보화, 지방화 및 지방자치에 따른 개발욕구 증대 등의 변화수용, 그리고 21세기를 대비하는 대전의 도시미래상을 정립시키는데 기존의 도시기본계획으로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전시 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도시공간구조의 종합해 보면 기존도심과 둔산 신도심의 2도심과 유성, 진잠, 신탄진의 3부도심 그리고 용계, 대덕연구단지, 중리, 용전, 유천, 서대전, 용문, 도마의 8부도심 체계로 이루어 졌으며, 이는 도시의 발전이 기존도심에서 서남부축으로 이전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대전시의 개발정책이 그 동안 지나치게 신도시 개발 위주의 정책에 편중되어 투자되었다. 대전시의 도시개발 정책을 보면 기존도심에 대하여는 60-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법에 의한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기존도심이 개발된 이후 83년 택지개발촉진법이 제정되면서 둔산 신도시를 비롯한 대덕연구단지개발, 제3-4공단 등 모든 개발사업들이 기존도심의 동구와 동구가 배제되고 서구와 유성구, 대덕구 등 서부와 북부 지역에 편중되어 개발되었다. 대전시의 도시공간 구조가 변화되면서 80년대 이후 토지구획정리사업을 비롯한 택지개발사업과 산업단지 개발 등 개발사업이 총24,218천㎡중 6.7%인 1,621천㎡만이 기존도시인 중구와 동구 지역에 개발되었고 나머지 93.3%인 22,597천㎡이 서북부지역에 편중되어 개발되었다. 도시개발에 있어 개발에 투자된 재원을 보면 총 투자비 3조 2,120억원 중 동구와 중구의 기존도시에 투자한 재원이 1,010억원으로 3.1%에 불과한 반면 서구와 유성구, 대덕구에 투자된 재원은 3조 1,110억원으로 96.9%가 집중 투자 되었다. 이것은 물론 대전시의 재원뿐 아니라 정부투자기관을 포함한 것으로 기존 도심의 재개발 사업이나 주거환경개선 사업 등에 투자가 부족했다. 둘째 : 기존도심의 인구감소와 산업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 구별 인구 밀도의 변화 추이를 보면 지난 9년 간 인구밀도는 1990년의 1,977인/㎢에서 1999년에는 2,526인/㎢으로 약 27.8% 증가하였다. 특히, 서구의 경우 123.4%가 증가하였으며, 유성구가 87.0% 대덕구가 37.1% 증가하였다. 그러나 도심지역인 동구와 중구는 지난 9년 간 인구밀도가 각각 -17.4%와 -13.0%의 감소를 보여, 1990년 당시 4,799인/㎢으로 가장 인구밀도가 높던 중구의 경우 1999년 현재 4,173인/㎢로 서구보다 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구의 경우에도 지난 9년 간 인구밀도가 감소하여 1,865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인구는 표본동의 경우 인구밀도를 보면 동구 중앙동과 인동이 각각 -51.9%와 -34.3%가 감소하였고, 중구의 경우 은행ㆍ선화동이 -36.9%, 대흥동의 경우 -37.9%가 감소했다. 이와 같은 지역별 인구성장의 격차는 기존도심 지역과 신개발지역, 기타지역간의 사회적 인구변동(인구이동)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다. 즉, 신개발지역의 인구 흡입요인과 기존도심 지역의 압출 요인의 상승작용으로 도심지역의 인구유출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2) 산업구조와 상권의 변화를 보면 1998년 말 현재 도심(동ㆍ중구)지역의 총 사업체 수는 40,273업체로 대전시 전체 사업체의 49.6%를 차지하고 있다. 도심에 입지 한 업종중 도소매업의 비중이 전체사업체의 36.2%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는 음식·숙박업(21.2%), 기타개인서비스업(13.0%)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사자의 수에 있어서도 구성비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도소매업(25.4%)과 음식숙박업(12.9%), 금융·보험업(9.2%) 종사자의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 및 서비스의 유형별로 주민들의 구매권역을 분석해 보면, 먼저 기초생필품의 경우 대체로 주거지역 주변에서 구매하는 반면, 각종 선매품은 구 도심과 신 도심 지역에 입지 한 전문상가와 백화점을, 그리고 귀금속제품의 경우 구도심의 전문상가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초생필품의 경우 대형할인점이 입지 해 있는 신 도심 지역의 점유율이 전체의 34.5%로 상대적으로 높으며, 의류 등의 기호품과 가구·가전제품의 지역별 점유율은 구 도심 지역이 각각 59.2%와 53.7%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계와 보석등 귀금속류의 경우 전체 주민의 62.6%가 구 도심 지역의 전문상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 도심 지역의 점유율은 18.8%에 불과하다. 서비스 이용권에 있어서도 기초(근린)생활권이나 지역생활권 중심의 서비스는 3개 지역별로 인구비례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종합의료서비스와 문화·위락서비스 등 광역생활권 중심의 고차서비스는 아직까지 기존도심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회·예식관련 서비스의 51.5%와 위락·문화서비스의 72.7%를 구 도심 지역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대전시 도시공간 구조의 변화와 신도시 위주의 개발정책 편중에 따라 기존도심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되었고 기존도심에 있던 법원ㆍ검찰청과 시청사 등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이 대거 둔산 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빈 건물이 속출하여 99년 말 현재 공실율이 15.9%로 나타났으며 기존도심에 거주하던 중산층이 둔산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중산층을 겨냥한 대형 백화점과 유통시설이 둔산동에 입점 함으로서 기존도심은 심각한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대전시는 이러한 기존도심의 공동화 현상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1999넌 9월 조직을 개편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활성화 대책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활성화 계획을 보면 단기와 중ㆍ장기로 나누어 124건을 선정 추진하고 있다. 단기사업으로는 재래시장 활성화, 특화거리조성, 청소는 문화마당 조성 등 34건과 중ㆍ장기사업으로는 도심 및 주택재개발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택지개발, 대단위 아파트 단지조성 등으로 90건을 선정 추진한 결과 계속 감소되던 동구와 중구의 인구가 2000년 6월말 현재 1999년 12월보다 1,022명이 늘어나 0.2%의 증가 추세로 돌아섰으며, 빈 건물도 1999년 12월말 15.9%에서 2000년 6월말 현재 10.5%로 감소되는 등 미미한 실적이나마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ood on the inner city revitaliz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 in the Taejon metropolitan city. Taejon City selected for the case study has been developed with monocentric during the since 1990's. However, by the factor of policies such as Doonsan Newtown Development that is the national restrain policy of developing capital region, and the extension of administrative boundary, the spat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to multicentric system. The lack of business, investment, and most importantly, demand ebb in this disadvantaged urban areas, caused by the newtown development at Doonsan, the central part of the city, not only perpetuates a crushing cycle of depression but fuels other social problems such as vacant buildings and bankrup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uburbanization and spillover expansion phenomena are continuously proceeding. Second,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shown along the development axis and ring shaped axis in terms of regional and spatial features. Third, transition to multicentric structure is identified since the middle of 1990's. As a conclusion, some of politic ways for increasing quality of life and urban development can be suggested below. First, urban spacial structure should be reformed to multiplicative system in the future. Second, a balanced development is necessary through dual-center system that is consisted of existing urban center and Doonsan New town, and central functions should help each other mutually. Third, Triangle cores pattern should be considered as east urban center, middle urban center and west urban center where each specialized function works harmoniously.

      • 도심 산업단지 노후화 특성 분석연구 : 인천광역시 남동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장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35

        Over the last 40 years, the government has pursued industrialization for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fostering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has occurred in sync with the rapid urbanization process. Ultimately, this has faced reality in which variou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ccur together. Amidst the government-led industrialization process, investments in major cities were given a priority, and the urban function and spatial structure have changed owing to the subsequent large inflow of the population into the major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structural advancement project of the deteriorated Namdong Industrial Complex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change in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of Incheon City and a factor analysis of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City after carrying out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concept and current condition of an industrial complex, centering o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hich was formed during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1960s ~ 1980s) in the past. First, the study looked into the paradigm of changes in the Korean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onducted theoretical research. Next,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and type of an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overview of an industrial complex, and exhibited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from existing studies of other researchers, and, then,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after addressing the curr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 Second,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analytic frame,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Incheon City and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Cit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ion of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analysis of those changes. The characteristic found from the above may be the decreased size of companies moved into the complex. In terms of the scale, annual production amount, and average production amount of companies in the complex, the characteristic of the decrease in the sizes of the companies appears. Third, industries such as the machinery industry, the electrical electronics industry, the oil and chemical industry, and the wood and paper industry agglomerate in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In order to enhance the smoothness and efficiency of such agglomerated industries, the agglomeration of an industrial complex and networks are crucial elements, and they may be the characteristics shown from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Namdong Industrial Complex. Finally, the study took a look into how the locational importance of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is and as an influential factor how the importance serve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deterioration of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the study undertook an interview with a person concerned with th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in the complex. Also, the study searched into how much the companies in the complex are satisfied with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through survey research, aimed at 80 companies. Most of the opinions expressed dissatisfaction rather than reach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Consequently, in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the ratio of a response that the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as 58%, which was the highest rate, and the ratio of a response that the respondents were very satisfied was merely 1%. This is thought that characteristics reviewed in this study looked similar to item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companies in the complex, and these survey items should be ultimately solved. key word: Industrial complex, Manufacturing, Deterioration, Urban spatial structure, Urban industrial structure, Advanc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맞물려 국가의 경제와 산업을 이끄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여왔다. 과거 흑백TV에서 파란 작업복을 입고 공단에서 일하는 장면은 우리나라 산업화의 일꾼으로 그려지곤 하였다. 과거 40여 년간 정부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경제성장을 위한 산업화를 추진해 왔으며 이는 급속한 도시화 과정과 맞물려 일어났고 여러 가지 특성과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는 실정에 처하게 되었다. 국가 주도적인 산업화 과정 속에서 대도시들 내 우선적인 투자가 이루어졌고, 대규모 인구유입이 이루어 져서 도시의 기능과 공간구조도 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과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시작과 함께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산업단지가 계속 조성되고, 도시로의 인구집중, 시가지의 확장, 변화하는 산업구조에의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지면서 단지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현재 산업단지는 조성 된지 20~40여년이 지난 노후산업단지들이 전국에 여럿 산재하고 있다. 노후산업단지는 산업시설의 노후화와 기반시설의 부족, 녹지 및 도로 등의 부족으로 입지한 업체들의 효율성 저하와 함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산업화 초기(60~80년대)에 형성된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산업단지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는 과정을 통하여 이론적 고찰한 후에 인천시 도시산업구조의 변화분석과 인천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요인으로 분석하여 현재 노후화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남동산업단지의 특성을 분석하여 노후화된 남동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 사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국내 산업구조변화의 패러다임과 이론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다음으로는 산업단지의 개요를 통하여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고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현황과 특성을 알아본 후 다른 연구자들의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과 범위를 한정하였다. 둘째, 분석틀의 틀을 기준으로 인천시 산업구조의 변화 및 인천시 도시공간구조 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이 두 가지 요인이 사례지로 선정한 인천시 남동국가산업단지의 노후화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동국가산업단지의 특성은 입주업체의 영세성 이라고 할 수 있다. 입주한 업체들의 규모와 연간 생산액 및 평균생산액에 있어서 영세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남동산업단지가 대기업 등에 납품하는 영세한 제조업체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연간매출액이 5억원 미만에 해당하는 업체가 90%에 가까운 정도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업체의 종업원 수도 10명이하의 업체가 주류를 이룬다. 셋째, 남동산업단지는 기계업종, 전기전자업종, 석유화학업종, 목재종이 등의 산업이 집적되어 있다. 이렇게 집적되어있는 산업의 원활성과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산업단지의 집적과 네트워크는 중요한 요소이고 남동산업단지의 노후화 특성분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입주업체들이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큰 원인이기도 하고 관리주체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주도적으로 육성하고 관리 하여할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입지의 중요성과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과연 남동산업단지의 입지적 중요성은 어떠하고 남동산업단지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남동산업단지의 노후화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공단의 시설과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관계자 인터뷰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남동산업단지 내 입주하여 있는 기업들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고 어느 요인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단지 내 8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만족하는 수준보다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의견들이 대다수를 이루었고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불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8% 으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매우만족 한다는 비율은 1%에 그쳤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특성들이 입주업체 만족도 항목들과 유사하게 보여 졌고 이러한 조사항목이 결국은 해결하여야 하는점 이라고 생각한다. 주요어: 산업단지, 제조업, 노후화, 도시공간구조변화, 도시산업구조 변화, 산업구조고도화

      • 20세기 초 철도 부설과 성곽 훼철에 따른 성곽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김대중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32

        Eupseong was a type of city in the Joseon Dynasty consisting of the functional and physical element of “city walls” for “region rule(Eupchi)” and defense as a local administrative center. Eupseongs had been distribu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early 1900s. The city walls of an eupseong were built around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facilities in the rural town to accommodate government offices, private houses, and marketplaces. Although it served the purpose of defense of region rule and separation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city, it was also a physical obstacle to the expansion of the city. In the time when urban functions were centered on defense and land divisions, the physical system of city walls was important. By starting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a city as the center of commerce and distribution in the modern society, however, the city walls of an eupseong were considered as an obstacle preventing the expansion of the city and causing physical disconnection. The nationwide destruction of city wall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as in accordance with such temporal changes. Beginning with the Hanyang City Wall and Daegu eupseong, the city walls of eupseongs across the country were demolished from 1905,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the cities also gradually transformed due to the direct changes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circumstanc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other important driver of the transformation into modern cities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was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Back then, the main purposes of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resource exploitation and military uses. However, the transport of passengers and goods via railroads had economic significance as well. The economic expansion from local to national and even international dimensions was deep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ew means of transport.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can be seen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hanges in transportation at that time. After the Gyeongin Line, which was first opened in 1899, a number of railroad lines including the Gyeongbu Line we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new street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urban structure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the city walls of eupseongs. The emergence of a new concept of city, which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eupseong, and street plans and the changes in transportation turned the traditional form and meaning of eupseong upside down and even determined its existence. In addition, urban responses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each eupseong affected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cities. The deconstruction of old urban boundaries due to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the formation of new boundaries created by railway lines, the transition from a city centering on administration and defense into a commercial city, the construction of new roads,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a lot-based city due to the change of the urban axis, the locations of major facilities, and the process that the original space of city walls changed into new lots, etc. are all important points in understanding the urban history during this time period.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can be considered to hav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se change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eupseong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traditional walled cities transformed into the current modern cities. This study also aimed to trace the urban changes of each eupseo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trend that each eupseong turned into a modern city. In addition, it intended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into modern cities centering on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the urban response of eupseongs. By focusing on the changes during the process including the variations of the urban structure and facility position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changes in the street structure. As a whol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urban changes in this time of period on the behavior of modern cit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urban street networks, which were formed by the temporal and spatial arrangements between the two elements of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in eupseongs and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which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s in the walled c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fast-changing modernization period. It also intended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urban structure caused by the variations of urban spatial structures. This study was perform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gave rise to the changes in the urban street networks at the macroscopic level during the modernization of the walled cities and that the ongoing process of changes had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in the centers, boundaries, and main streets of cities. Chapter 2 investigat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railroad networks in Korea and confirm that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were the major drivers of the urban changes. This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the two elements induced the changes in the urban street networks and such changes brought about the shifts of the urban centers and boundaries and the changes in main streets. In Chapter 3, the city for an analysis is selected; the main purpose of this chapter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city. Using illustrations from similar time period with the city, the changes in the street structure, the pattern of establishing new roads, and the changes in the urban boundaries are examined, and objective description on the size of the city, the time and process of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and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etc. are provided. Chapter 4 describes the street structure,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that drove the shifts of the urban center and boundaries and the changes in main streets,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The purpose of this chapter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the street structure that led to the urban change by focusing on the effect of the distance from train stations on the change of the street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the urban chang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 stations and the destruction of city walls. Chapter 5 explores the process of shaping the modern city with a focus on the types of changes in the urban street structure.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city is investigated by focusing on the reconstruction of urban boundaries and urban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street structure, the changes in main streets, the variations of surrounding lots, and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areas near train stations due to the changes in the urban center, and a correlation with the time when the basic structure of the modern city was formed is explored. 조선시대의 읍성은 지방 행정중심지로서의 ‘읍치’와 방어를 위한 ‘성곽’이라는 기능적, 물리적 요소로 구성된 도시로서, 1900년대 초까지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읍성의 성곽은 지방 고을의 행정 및 정치시설을 중심에 놓고 관아와 민가, 장시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축성되어 읍치의 방어, 성 안팎의 구획 등의 목적으로 존재하였으나, 한편으로는 도시의 확장에 방해가 되는 물리적 장애물이기도 하였다. 도시 기능을 방어와 구획을 중심으로 하였던 시대에는 성곽이라는 물리적 장치가 중요하였으나 근대 사회에 들어 도시의 기능을 상업과 유통을 중심으로 사고하게 되면서 읍성의 성곽이 도시의 확장을 방해하고 물리적 단절을 야기하는 방해물로 인식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성곽의 해체 작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된 것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1905년 처음으로 한양 도성과 대구 읍성을 시작으로 각지의 읍성 성곽이 철거되기 시작하였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정치적 ‧ 경제적 ‧ 군사적 상황의 급격한 변화를 직접적으로 받으며 점차로 도시의 성격과 형태 또한 변모하였다. 읍성 성곽의 해체와 함께 근대도시로의 변모를 견인한 또 하나의 중요한 계기는 철도의 부설이다. 당시 한반도 철도 부설의 목적은 수탈과 군사적 목적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철도를 통한 여객과 물자의 유통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가진다. 지역 단위의 경제로부터 전국, 혹은 국제적인 단위로 확대된 것은 새로운 교통수단의 발달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으며, 철도부설은 당시 가장 대표적인 교통의 변화로 꼽을 만하다. 1899년에 최초로 개통된 경인선 이후 한반도에는 경부선을 위시한 많은 철도가 지속적으로 부설되었으며, 이는 읍성 성곽의 철거와 함께 새로운 가로의 등장과 기존 도시조직의 변형으로 이어졌다. 기존의 읍성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도시와 가로 계획의 등장, 교통수단의 변화 등은 기존의 전통적인 읍성의 형태와 의미를 흔들어 놓았으며, 그 존폐의 유무까지 결정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또한, 각 읍성의 상황에 따른 도시적 대응은 해당 도시의 근대화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읍성 성곽의 철거로 인한 예전 도시 경계의 해체와 철도선이 만든 새로운 경계의 형성, 행정과 방어 중심의 도시에서 상업 도시로의 변모, 새로운 도로의 개통, 도시축의 변동에 따른 필지 단위 도시 세부조직의 점진적 변동, 주요 시설의 입지 양상, 성곽이 있던 자리가 새로운 필지로 변모하는 과정 등은 모두 이 시기의 도시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성곽 철거와 철도 부설은 이러한 변화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성곽도시가 현재의 도시로 변화는 과정의 시발점이 되는 20세기 초반의 철도 부설과 성곽의 훼철에 따른 읍성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과정에 주목하였다. 철도 부설과 성곽 철거에 따른 읍성의 도시적 변화과정을 추적하고, 각 읍성의 근대도시로서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철도부설과 읍성의 도시적 대응을 중심으로 근대도시로 변모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과 시설 입지의 변동을 아우르는 변화에 주목하여 도시조직과 가로구조의 변화가 가지는 관계의 의미를 더 명확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크게는 이 시기의 도시 변화가 현대 도시의 양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근대화시기인 20세기 초, 성곽도시의 변화에 가장 큰 원인을 제공하였던 읍성의 성곽 훼철과 철도의 부설을 중심으로 두 요소 간의 시간적 ‧ 공간적 배열에 따라 형성되는 도시 가로망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도시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조직의 변화 과정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곽도시의 근대화 과정에서 성곽 훼철과 철도 부설이 거시적으로는 도시의 가로망의 변화를 유도하고, 진행되는 변화과정이 도시의 중심 및 경계, 주요가로 변화와도 관계성을 가진다는 전제 속에서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의 철도망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도시의 변화의 주요 동인이 성곽 훼철과 철도 부설임을 알아본다. 성곽 훼철과 철도 부설이 도시 가로망의 변화를 유도하는 요소이며, 도시 가로망의 변화가 도시 중심과 경계의 이동, 주요가로의 변화를 추동한다는 가설을 세우는 과정이다. 3장은 분석 대상 도시를 선정하고 대상도시의 변화과정에 대한 서술을 주목적으로 한다. 대상 도시의 시점이 유사한 도판자료들을 활용하여 가로구조의 변화와 새로운 도로개설 양상, 도시경계의 변화를 확인하고 도시의 규모 및 성벽의 철거시기 및 과정, 철도부설의 시점 등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을 주 목적으로 한다. 4장에서는 도시의 중심과 경계의 이동, 주요가로의 변화를 추동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인 가로구조를 철도 부설과 성곽 훼철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철도역사를 중심으로 떨어진 거리가 가로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철도역사와 성곽훼철의 관계에 따른 도시의 변화과정에 집중하여 도시의 변화를 이끄는 가로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5장은 도시 가로구조의 변화 유형을 중심으로 근대기 도시의 모습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가로구조의 변화에 따른 도시 경계의 재설정과 시가지 확장, 주요가로의 변화 및 주변 필지의 변동, 도시 중심의 변화로 인한 철도역사 주변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근대도시로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현대도시의 기본적인 구조가 형성된 당시와의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수원성을 중심으로

        신행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논문은 도시의 성장과 변화에 다른 도시공간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읍성을 기반으로 성장 변화한 수원시의 도심의 분리 및 이동현상을 밝힘과 동시에 구도심(수원성)의 공간구조적 쇠퇴현상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도시의 성장과 변화에 따른 수원성 내부 공간구조의 특성과 도시 공간 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계획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른 결과를 요약하면, 첫 번째, 수원시의 성장과 변화에 따른 시대별 공간구조의 특성변화 분석을 통해 돋심의 기능적 분리와 함께 1960년대 수원역지역으로의 도심의 이동현상, 1980년대와 1990년대 이후 동수원 지역으로의 도심의 분리 및 이동현상을 밝혔으며, 두 번째, 수원성을 중심으로 한 구도심의 공간구조적 쇠퇴현상이 병행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번째, 수원시 구도심은 전체 공간구조 내에서의 공간구조명료도(Ingelligibility)가 도시의 성장과는 무관하게 유지되고 잇으며, 이는 성곽이 해체되지 않고 보존됨에 따른 공간구조적 폐쇄성에 기인한다. 네 번째, 구도심의 상업지역을 비롯한 외부와 연계된 주요 공간들의 공간 구조명료도는 도시성장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접근성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 수원시와 유사한 공간구조를 갖는 타 도시와의 공간구조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사한 성장배경을 갖는 도시라 할 지라도 도시의 공간적 원형인 성곽의 해체 여부에 따라 그 성장 방향과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며, 수원시는 성곽의 보존으로, 폐쇄적인 공간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구도심이 급격히 쇄퇴해 갔다. 마지막으로, 향후 수원시 도시계획을 토대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구도심의 활성화에 대한 공간구조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수원성 내부에 대한 직접적인 변화보다, 주변공간에 대한 변화를 무색함으로써, 도시가능을 집약화하고, 역사적, 세계적 유산을 보존하고, 수원시의 정체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의 제시와 도시계획 방향성을 제안하였으며, 우리 나라 도시공간적 원형인 성곽과 도시와의 상호 관련성을 모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urban spatial configuration in Suwon city has been transformed with time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have influenced th transformation process. The result of this paper is can summarized as following :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followed by Growth and Transition of Suwon City, this study made clear the phenomenon of movement of the Urban core to Suwon Station in the 1960’s and division and movement of the Urban core to East-Suwon Station in the 1980’s and 1990’s. Second, analysis showed that the phenomenon of a decline of the old Urban core with the Suwon castle as the central place come out together. Third, because of the structural closing nature followed by undisbandment of the castle, intelligibility within entir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old urban core of Suwon city is maintained regardless of development of a city. Fourth, this study analyzed that according to development of a city intelligibility and accessibility of main places of the old urban core decrease dramatically. Fifth, as a result to compare and analyze other cities having Spatial Configuration similar to Suwon city, however a city has a similar growth background, growth course and result are different whether the castle is disbanded or not. And because of preservation of a castle old Urban core of Suwon city declined rapidly. Lastly, this study presented ways of Spatial Configuration regarding activation of an old urban core through the analysis of changes of urban spati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urban plan of Suwon city from now on. Suwon city has to try to find Spatial Configurational changes around Suwon castle rather than to develop Suwon castle. Then it has to integrate functions of a city, to preserve historical inheritance and to find the identity of Suwon c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presents a new method of study and a direction of urban planing on the growth and transition of urban spatial configuration and that finds a mutual relevancy between castle, the original form of our urban spatial configuration, and city.

      • 대도시성장에 따른 도시공간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정상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67

        도시는 사회적·기술적·이념적 변화 등에 따라 살아 있는 유기체와 같이 외형적 규모의 내부구조가 끊임없이 변화한다. 특히 도시는 도시화의 속도, 산업구조의 변화, 교통·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공공정책의 방향 등 사회 전반적 추세에 따라 변화의 속도와 형태를 달리한다. 도시의 외형적 성장은 인간생활을 공간적으로 제한하던 교통·통신기술이 크게 발달함에 따라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으나,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인구와 산업의 지속적인 집중으로 인한 도시의 과대·과밀 현상은 주택난, 교통난, 환경오염 등 각종 도시문제를 유발시켰으며, 이에 따른 끊임없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인구, 고용, 지가의 지표를 사용하여 대도시 성장에 따른 도시 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도시공간구조 연구와 공간구조 정책수립에 대한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 제 1장에서는 연구목적, 방법, 범위를 제시하였고, 제 2장에서 도시공간구조 분석의 이론과 실질적 선행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분석지표별 도시공간구조 성장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제 4장에서는 전 장에서 각 지표별로 도출된 결과와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하였다. 광주광역시 대도시 성장에 따른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광주시는 도시 성장단계에 측면에서 볼 때 인구와 고용은 분산화 단계에 있으며, 인구의 분산화가 이루어진 후에 고용의 분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이며, 도시 중심부의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광주시는 충장동을 중심으로한 단핵의 도시에서 점차 도시의 성장이 북서쪽으로 도시 성장을 보이다가 지형적 여건과 도시계획 구역에 의해 점차 도시성장이 남서쪽으로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도시가 성장하면서 기존의 동구 충장동을 중심지로한 단핵의 구조를 이루고 있던 광주시는 점차 그 중심지가 분산화 되어져, 기존의 동구의 충장동과 북구의 중흥동이 중심지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또한 광산구 송정리도 중심지 성향을 나타냈다. 넷째, 광주시의 도시성장은 도시 자연적인 성장에 따른 분산화가 아닌 도시개발 사업에 의한 도시 분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것은 도시개발사업지의 진행 방향과 인구성장의 진행 방향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광주시 도시성장에 따른 분산차로 인한 도심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 외곽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 위주의 도시정책과 병행하여 도심재개발 또는 도심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주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개량 재개발 사업이 지정단계에만 있는 계획의 시급한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주로 사업성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에 의한 직주 불일치로 인한 교통문제등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인구고밀지역과 고용고밀지역의 적절한 조차를 이루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향후 도시개발 사업 시행시 주거와 함께 다양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사업성 위주의 개발이 아닌 직주합일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광주시 북구와 동구에 편중되어 있는 중심지로 인한 도시 공간구조의 불균형과 이에 따른 교통의 혼잡 및 집중을 막기 위해 광주시 서구와 광산구의 중심성을 보이는 지역을 보다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정책적 수립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ities are changing continuously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ccording to social, technical and ideological change just like living organs. In particular, the speed and shape of change may be varied according to overall trend of the society such as industrialization speed, change in industry structur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rection of public policies. The size of cities grew rapid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limited human life spatially. However, as city became bigger and industrialization was on the progress rapidly, various city problems occurred such as housing problems, transportation problems and environment contamination because of overpopulation and oversized cities. Accordingly, various studies are being performed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uce appropriate implications on future city space structure and space structure strategy by looking into the change in city spa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growth of large cities using indexes such as population, employment and land price.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methods and range of the study were propo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y of city space structure analysis and actual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the third chapter, the change in city space structure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distribution index.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ults induced from each index were reviewed and implications were induced from the results. Finally in the conclusion,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hange in city space structure according to Gwanggu Metro City's growth to a large city: First, City of Gwangju is in the stage of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in the perspective of city growth. Speaking more precisely, its employment is in the stage of distribution and population has already been distributed. City center is becoming hollow. Second, City of Gwangju used to be a single core city around Chungjang-dong. It has grown to northwest side first and then it is now growing to southwest side because of geographical conditions and city planning. Third, as the city grows, the city center is getting distributed from the single core of Chungjang-dong. Existing core, Chugjang-dong in Dong-gu and Jungheung-dong in Buk-gu showed strong core characteristics and Songjeong-ri in Gwangsan-gu showed core characteristics as well. Fourth, The city growth in Gwangju is not from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natural growth but from city distribution due to city exploration project. It is implied by the fact that the direction of city planning project and that of population growth are identical. Following implications are induced from the above analysis: First, city center re-development project or city improvement and re-development projects, which is now in designation stage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together with city 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actively performed in suburb area to prevent from center hollow phenomenon due to distribution according to city growth in Gwangju. Second, to reduce traffic jams resulted from the inconsistency of places in work and residential places due to commercial city development projects, it is needed to find a balance between highly populated areas and highly employed areas. In the future city development projects, not only residential places but also offices should be developed together to make the work place and office in the same area. Third, concentrated development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to prevent traffic jam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nbalance of city space structure because of the core biased to Buk-gu and Dong-gu in Gwangju.

      • 평택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오세현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4367

        도시공간구조는 도시공간의 성장축과 방향을 설정하고 장기계획의 방향성과 장래의 토지이용의 방향 및 관리방침을 제시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서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수도권 남부 광역거점으로의 도시성장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평택시에 대한 공간구조변화와 특성을 진단하고 도시의 기능 및 변화의 추세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택시의 각종 개발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속에서 나타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양상 및 특성을 밝혀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의 시계열적 공간자료를 토대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을 파악해 보고 도시공간정책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평택시의 도시화 지역의 집적정도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미미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집중도(concentration)가 점차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평택시 내에서는 급속한 도시화와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영향으로 많은 인구증가와 개발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평택시의 도시형태는 기성시가지를 중심으로 하여 서부, 남부, 북부생활권의 공간구조축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성시가지의 인구가 주변 대규모 개발 사업지로 빠져나감으로써 발생되는 공동화로 인해 쇠퇴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고 남부생활권과 북부생활권에 인구, 건축, 고용밀도가 편중되고 있으나 향후 발전 잠재력이 높은 서부생활권으로 개발이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도시기본계획 재정비시 평택시의 생활권별 특색 및 여건, 사회적 변화여건을 고려한 후, 평택시의 주요기능 및 기반시설을 입지시키고 유기적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구조를 개편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포승국가산업단지(황해경제자유구역)와 고덕신도시 등의 개발로 서부생활권의 부도심화로 기반시설 계획 등이 좀 더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공간구조에서 벗어난 분산형 집중개발(decentralized concentration development)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중심지간 연결체계를 강화하여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계열적으로 평택시의 도시성장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추세를 통하여 중심지체계와 공간구조 장래의 성장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성장관리(Urban Growth Management)와 도시계획의 실현성(feasibility)을 제고 할 수 있었다. 도시구성요소의 분포특성과 변화추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중심지체계의 설정, 생활권계획, 장기적인 토지이용방향 등 평택시의 장래 도시공간구조 설정을 위한 사전적인 연구로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 都市空間構造 變化 特性에 關한 硏究 : 江陵市를 事例로

        金南麟 尙志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박사

        RANK : 234367

        도시는 인간과 사회의 기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곳으로 공간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추적, 그 내부에 잠재해 있는 질서와 그 특성을 究明하려는 것은 도시개발에 필요한 정책적 과제이다. 그러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는 개념 규정은 물론, 구성 요소에 대하여도 학자마다 견해차가 다양하여 연구자의 학문적 관심에 크게 영향을 받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동해안의 도시 중 강릉시를 사례로 시대별 특성조사와 계량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밝혀보고자 하였다.동해안의 도시는 동해와 태백산맥으로 구획되는 자연장애를 가진 선형도시(Linear Pattern)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도시를 연구해 보려는 학문적 관심에서였다. 또한 사례도시는 2005년도 말 현재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통합도시로 출범한지 만 10년이 지난 시점이여서 본 연구가 다른 통합도시에 시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연구의 분석기간은 1975 ~ 2005년까지 30년간으로 하였으며, 각종 분석은 기본적으로는 10년 단위의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성장에 따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특성을 ⅰ) 도시공간의 팽창과 인구분포의 변화, ⅱ) 도시공간의 확장과 기반시설과의 관계, ⅲ) 신시가지 조성에 따른 기존 중심지구(CBD)의 기능 변화, ⅳ) 도시공간 확산에 따른 시민의 생활편익 변화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도시공간의 팽창과 인구분포 변화는 강릉시를 대상으로 연구 대상 기준년도의 인구분포 변화와 인구중심점 변화 분석으로 도시공간정책의 변화내용을 기술하였다. 도시공간의 확장과 기반시설과의 관계분석에서는 분석 기간별 시가화면적, 인구, 각 기반시설을 일정 권역별로 분포량을 파악한 후 이들 요소간의 불균형 정도를 분석하여 도시 확산에 따른 기반시설의 문제를 파악 하였으며, 기반시설은 교통부문의 도로, 공급처리 시설로서 상ㆍ하수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시공간의 팽창, 특히 신시가지 조성에 따른 중심지구(CBD)의 기능변화 분석은 단핵 도시구조이었던 사례도시에 신시가지 조성으로 인한 상권변화로 기존 중심지구(CBD)의 기능이 많이 위축되었다는 시민여론을 확인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권역별 상업지역의 면적 분포와 기존 중심지구의 고용인구비율 분석을 통하여 분석대상 기간별로 변화의 내용과 수준을 도출하였다. 도시의 공간적 확산이 시민의 생활편익 변화를 가져왔는지 밝혀보고자 편익시설의 공간적 분산성과 인구분산성의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시민의 생활편익 증대 여부를 확인 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익시설은 도로, 상수도, 중ㆍ고등학교 교실 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권역별 각 편익시설의 밀도 지니계수 대비 인구밀도의 지니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30년간 강릉시의 도시공간구조는 동심원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도시 내부에는 1986년부터 ~ 1995년 사이에 인구 공동화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05년 교2지구의 택지준공으로 도시공간구조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여러지표를 통하여 밝혀졌다. 둘째, 도시공간의 확산에 비하여 기반시설을 병행하여 시설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반시설 중에서도 하수도시설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의 외형적 확산으로 공동주택건설과 대분분의 공공청사가 시외곽지로 이전하여 도심지의 인구 공동화문제가 심화되었고 도심지 내의 주거지역은 젊은 세대의 주거지 외면으로 취학아동이 급격히 감소하여 초등학교가 폐교되는 등의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신흥지역에는 학교를 다시 건립해야하는 등 사회기반시설 전반에 대한 비효율적인 구조로 후퇴될 우려가 많아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존 중심지구(CBD)의 기능에도 신시가지 조성 등으로 그 기능이 많이 저하된 것으로 각종지표에서 밝혀졌다. 넷째, 도시공간의 확산에 따른 시민생활의 편익변화 분석에도 도시의 확산이 곧 시민의 생활 편익을 가져오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도로개설 등 기반시설의 확장만으로 인구분포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 외에 도시의 특성과 관리ㆍ운영에 있어 가장 적정한 도시규모를 밝혀 보려는 것이 연구자의 주된 관심사이나 아직까지 학문적으로 합의 도출에 어려움이 있어 여기에서는 연구 결과에 대한 여섯 가지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① 도시공간의 외형적 확산은 도시의 기반시설과 편익시설의 설치가 관리ㆍ운영적인 측면에서 고비용의 구조로 전락하지 않도록 도시공간구조는 동심원구조를 유지하면서 인구 증가에 따라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신중히 확장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② 도심공동화 현상의 해소 및 중심지구(CBD)의 기능 회복을 위해서는 도심의 노후 단독주택지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이 필요하다. 이 지역은 옥천동, 교1동, 임당 As a place to help human being and society function most effectively, a city has witnessed continued changes of its spatial structure. Tracking such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and examining inherent order and characteristics is a policy task for urban development. However, studies on the spatial structure have been inducing great interest of academic circles, as views on its elements as well as definitions of concepts are varied among scholars. In this sens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changes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Gangleung City in east coast of Korea, by means of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by period and quantitative method. Cities in east coast are characterized by linear patterns having natural obstacles marked out by the East Sea and Mt. Taebaek, which aroused academic interest, and since the city in one case celebrated it’s tenth anniversary as of the end of year 2005 as an integrated city, und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other integrated cities. This study focused on a period of 30 years from 1975 to 2005, and basically, analysis was conducted at four stages each of which consists of 10 years.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by the growth of a city in terms of the four perspectives, that is, ⅰ) increase of urban space and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ⅱ) expansion of urban space and its relationship with infrastructure, ⅲ) change of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CBD by the construction of new town, ⅳ) expansion of urban space and change of citizens’ conveniences and benefits for their living, as in the following: In the increase of urban space and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the analysis on Gangleung City’s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enter of population of the year under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details of changes in urban space policy. In the expansion of urban space and its relationship with infrastructure, results of examination of area of downtown, population, and infrastructure of individual districts by period were analyzed to find the degree of imbalance among elements and thereby identify problems of infrastructure caused by the grow of a city, focusing on roads from the transportation sector and sewage and water supply from the supply and disposal facilities. The expansion of urban space, in particular, change of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CBD by the construction of new town was analyze to confirm public opinions blaming drastic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existing CB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new town in the city, which used to be in mono urban structure. To this end, detail and degree of the change by period were examined by means of the analysis on area of commercial zone by district and employment ratio of existing CBD. In an attempt to explicate if the increase of urban space brought about the change in citizens’ conveniences and benefits for their living, the study examined if citizens’ conveniences and benefits had increas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is purpose,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roads, water supply, and number of middle and high school class rooms were analyzed with the Gini coefficient of population density against that of the dens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by district.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urban spatial structure of the city remained in the pattern of concentric circles for the past 30 years, population vacuum appeared downtown between 1986 and 1995. Particularly, a number of indicators showed that the completion of housing site in the Gyo-2 District in 2005 urban space resulted in significant changes. Second, expansion of urban space failed to accompany appropriate infrastructure, lacking mostly in sewage and water supply system, among others. In addition, with the external growth of the city, construction of apartments was concentrated in and public agencies moved to suburbs of the city, which made such population vacuum worsen and downtown housing areas suffer from sharp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 children, by the movement of young households to outskirts of the city, which in turn, resulted in urban problems such as closing of primary schools.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countermeasures to prevent deterioration to inefficient structure of infrastructure at large, as in the case of re-building of schools in new towns. Third, the study identified a variety of indicators to reveal that existing CBD functioned highly ineffectively, by the construction of new town. Fourth, also in the analysis of changes in citizens’ conveniences and benefits from the expansion of urban space, the growth of the city was not found to bring about citizens’ conveniences and benefits and building up of infrastructure such as construction of new roads was not found to have a strong effect on population distribution. Finally, although the author is interested mainly in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ity and the most effective scale for the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of a city, following six policy directions were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outcome of this study,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ach an academic consensus. ① In external expansion of urban space, concentric circle-pattern should be maintained so as to prevent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convenience facilities from costing huge expenses for their maintenance and operation and careful expans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means of scientific analysis based on population growth. ② In order to solve the population vacuum and restore the function of CBD,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needed for aging housing areas in downtown, including Ok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