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와 비 이용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파주시를 중심으로

        오동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와 비 이용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파주시를 중심으로 자유시장경제, 세계화는 인류 공동의 성장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하였지 만, 환경오염, 지역 불균형, 양극화 등 범세계적 사회문제를 가속화 시켰다. 결국 시장경제로 해결할 수 없는 중요한 가치들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UN의 SDGs, 영국의 공공서비스법과 같은 사회적 가치들이 제도적으로 구체화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도서관계에도 반영되었다.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문(2022)에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의 발전과 진보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 다. 또한, 국내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19-2023)에서도 도서관의 사 회적 가치에 대한 부분이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도서관 현장에서는 사회적 가치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평 가하고 관리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를 실제 도서관에서 평가해 봄으로써, 향 후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방향성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단위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가치 평가 및 향후 목표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평가 요소를 기존 연구를 통하여 검토해 보고, 나아가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와 비 이용자가 가진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파주시를 생활권으로 하는 도서관 이용자 와 비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식비교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연계 기여, 지역 주민의 평등화, 지역사회 개발, 지역사회 필요 정보제공 순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의 인구 사회적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인 식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지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더 높았다. 연령에 따라서는 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영역에서 10대, 40대의 인식이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기타, 주부, 자영업, 직장인 순으로 인 식이 높았다.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모든 영역에서 이용자의 인식이 비 이용자의 인식보다 높았으나,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파주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인식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낮은 비 이용자를 이용자로 유입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 상대적으로 취 약하게 나타난 남성, 60대, 20대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도서관 인프라가 타 시·군에 비해 잘 구축 되어 있어 서비스 가 상향 평준화 되어 있는 파주시의 경우에는 기술통계 결과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지역사회 개발, 지역사회 필요 정보 제공 영역에서의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란 추상적인 개념을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 비 이용자의 인식비교를 통해 도서관의 현주소 를 평가해보고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 해 앞으로 도서관들이 보다 쉽게,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고 방향성을 고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lthough the free market economy and globalization presented a blueprint for the common growth of humanity, they also globally accelerated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regional imbalance, and polarization. Consequently, it has become emphasized to pay attention to and retain essential values ​​that cannot be solely obtained through the market economy, and social values ​​such as the SDGs of the UN and the Public Service Act of UK has been institutionalized. The movement to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these social values ​​has also been reflected in the library field. The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2022) emphasized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accounted for a major portion in the Korean 3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9-2023). However, there are also difficulties in evaluating and managing the abstract concept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Therefore,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suggest further directions for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by materializing these abstract concepts and evaluating them in actual libraries has been rais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through previous research to help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value of local libraries and further settings of goals, and further compare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n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between library users and non-users. To this end, in this study, a awareness comparison survey including library users and non-users living in Paju Cit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re as follows. In descriptive statistics, awareness of the library’s role was found to be high in the following order of aspect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contributing to community connection, equalizing of local residents, community development, and providing information needed by the community. For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genders, it was found that awareness of community development was higher in a female group. For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across all age groups, with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40s showing high awareness in most factors. For occup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of community development according to occupation, with the awareness of the student group being highest, which were followed by the others group, housewives group, self-employed group, and office workers group in orde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was found to be higher in users than non-users in all aspects,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library usage patterns of public library us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further directions to improv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in Paju City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efforts are needed to attract non-users, who have relatively low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to become users.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services targeting male, those in their 60s, and those in their 20s, who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low awareness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ird, for Paju City with relatively well-established library infrastructure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counties, and thus upwardly standardized services, the development of services in the areas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community needs, which showed relatively low awareness in descriptive statistics is propos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ought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library and derive direction through comparing the awareness of users and non-users regarding the social value of the library through the abstract concept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libraries will be able to more easily evaluate their social value and consider their direction in the future.

      • 공공도서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특화 방안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노경자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장점을 살린 평생교육프로그램 특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7개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중 독서관련프로그램과 취미관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수강생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도서관 자료이용실태, 평생교육프로그램 방향 및 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하게 된 배경은 도서관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도서관의 주기능인 지식정보자료를 얼마나 이용하고 있으며,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공공도서관 평생교육프로그램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조사를 하게 되었다. 이 설문 결과에서는 공공도서관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두 집단 모두 도서관을 이용한 후 독서생활이 더 나아졌으며, 가족과 함께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고 자기 계발도 함으로써 아주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수강생은 취미프로그램 수강생에 비해 관외대출빈도 및 독서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도서관의 주기능인 지식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은 상당히 큰 장점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이용과 가족이 모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접목해 강좌를 개발하는 사례는 아주 미미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강좌 중 취미강좌가 전체 프로그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타 평생교육기관과 비슷한 강좌를 중복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낭비적인 요소로 보여 졌으며, 지역주민에게도 선택의 폭을 좁혔고, 도서관의 정체성에도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향후 공공도서관 평생교육프로그램 방안을 국내외사례, 대구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프로그램 변천과정, 타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비교함으로써 대구 공공도서관의 장점을 살린 특화 평생교육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특화 방안으로는 도서관별 특색자료와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담당사 이 논문은 2008년 6월 행정학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위원회에 제출 된 것임 서의 전문화, 요람에서 무덤까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써 자녀교육, 독서/문학관련, 소외계층, 문화 및 기초학문, 정보해득력 등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도서관별로 자관의 특성을 살려 특화 분야를 선정?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특화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써 현재의 주민 요구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고 풍요로운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문화기관이자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서관의 정체성을 살리는 일일 뿐 아니라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지역 사회의 문화, 교육 수준 향상과 나아가 국가 전체의 핵심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전민희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도서관의 문헌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기 위한 정보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서관 이용자가 문헌 위치를 찾기 위해 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웹 또는 키오스크와 같은 설치물로 검색을 하여 청구기호를 얻는다. 이 청구기호는 각각의 문헌마다 갖고 있는 고유번호로써 이를 통해 서가 배치도, 사인, 라벨 등의 여러 시각 정보물을 통하여 위치를 찾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가 접하는 정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살펴보고 문헌 위치 정보 시각화의 문제점을 찾아 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환경과 시각 정보물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도서관의 정보들은 이용자에게 적절한 시간 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준과 순서로 배열되고 있다. 이들 기준에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문헌분류체계를 들 수 있다. 이 문헌분류체계의 목적은 방대한 양의 문헌에서 관련성 있는 문헌을 선별하여 한 곳에 모아둠으로써 이용자는 관련 주제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도서관 측면에서는 정보검색과 정보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문헌 위치 정보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제공 되고 있다. 문헌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디지털매체, 위치의 방향을 유도하고 기명하는 사인물, 그 외에 도서관 안내를 위한 여러 인쇄물 등의 매체를 접할 수 있다. 이들은 상호적으로 위치의 접근을 돕고 있으므로 이용자 시선에서 일관되게 보여야 정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가대표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을, 최근에 개관한 국내의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과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을, 국외 사례로는 미국 산호세주립대학교 마틴루터(DR. Martin Luther King, JP. Library)도서관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문헌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공간안내도와 검색시스템, 서가사인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서가사인에 분류항목명을 기재함으로써 이용자의 문헌탐색을 도왔고,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청구기호 검색결과를 그래픽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문헌 위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서가사인은 서가의 일련번호 아이덴티티와 색채분류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산호세주립대학교 마틴루터도서관의 공간안내도에서는 서가의 시작점과 배열된 순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려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 이용목적이 모두 다르고 문헌을 찾는 방법이 다양하여 한 가지 시각 정보물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정보탐색의 시작점 또한 불특정하다. 때문에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보 디자인이 계획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위의 사례에서는 각 매체마다 시각적 표현이 다르고 통일성이 없어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따라서 웹, 공간, 서가에 적용된 문헌 위치 정보의 수월성과 이용자들의 효율적 인지를 위한 정보의 시각화, 즉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적용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 위치 정보 디자인의 아이덴티티와, 문헌분류체계를 시각화하기 위한 색채 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통일된 시각적 표현으로 일관성을 지녀야 하며 상호 연계된 호환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도서관 이용자가 다양한 측면에서 문헌 탐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체계화를 통해 도서관이 보다 편리하고 친근하며,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on information design development to recognize efficiently information in library literature location. If we look through searching process when finding the literature location, generally speaking, we obtain the call number from the web or kiosks. This call number is an identification number on each literature, and we’re able to find the literature location from several visual signs – bookshelves map, index number, and each book label, etc. In this process, after seeing how an efficient communication is delivered to the users, I’d like to present the better way to provide an efficient communication, solving several problems. Consequently, after analyzing the library’s environment and visual media, several results are found based 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design. First, in the library,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to the users within a certain amount of time, all the information is well-arranged and put everything in order. One of representative examples is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is to sort out related literature from the vast quantities of literature by storing them ina space, so the users are able to search the related topics easily, in addition, the library can provide a better and faster information searching service to the users. Second, the literature location system has been provided by various media: a digital media to search the literature information, a signage system to direct and display information, and several print media to be used as library catalogs. These media increase the accessibility each other, and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if it is displayed consistently to the users. For this case study, I selected and analyze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wo libraries that were just opened recently, Yeonsei University Library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one library in California, U.S., San José State University Library, called Martin Luther King, Jr. Library. After thoroughl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library based on space map, searching system, and index number,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 classified item was included on each index number, so that it was very helpful for the users when they searched the literature. In Yeonsei University Library, searching system helped the users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location, by showing the result of call number visually with graphic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index number was well-displayed to be recognized easily, by bookshelves’ identity number and color classification, and in Martin Luther King, Jr. Library (MLK Library), the space map on each floor helped the users recognize easily the starting point and arranged order of the bookshelves. However, since all users have different purposes to visit the library and their searching method is various as well, the users cannot relyon only one visual medium, and the staring point to search information is also unspecified. In this case, information design is necessary to be planned with considering the possible accessibility, but in these examples, since each medium has different visual representations with inconsistency, the better communication is not occurred. Therefore, information visualization – for easiness of information and the users’ efficient recognition on the web, space, and bookshelves – in other words, information design for the literature location is required. For this case, with an exemplific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 propose several design examples as below; First, a color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visualize design identity for information design of the literature location and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Second, it should be consistent with unified visual representations and compatibilities. Third, the users should be able to search the literature with various accessibilities. Through visual systematization, I hav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is case study, suggesting a fundamental material that the library, as a more convenient and friendly space, meets the cultural desire.

      •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컨텐츠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서경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따라 교육활동을 뒷받침하는 학교도서관은 자료의 활용을 통하여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창조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학교도서관 이용자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보다 편리하고 활발하게 학습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하여 운영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효율적인 제작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학교도서관의 기본 목적인 학생 및 교직원 정보요구 만족과, 교수-학습 지원 및 독서지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내 학교도서관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컨텐츠 구성요소를 설정, 컨텐츠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설계방안을 사례와 이론적 근거를 통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직접 탐색 이용하면서 관련사항에 대해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외 초등학교 26개, 중학교 30개, 고등학교 45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정보내용 측면과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설계 측면으로 나누어 조사·분석하였다. 정보내용 측면에 대한 분석 요소로는, ① 도서관 이용안내, ② 온라인 목록(OPAC), ③ 독서지도, ④ 관련사이트 소개, ⑤ 정보서비스, ⑥ 교수-학습자료, ⑦ 도서부, ⑧ 게시판으로 정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설계 분석 요소로는, ① 이용자와 시스템간의 대화 기능, ② 외국어 버전, ③ 길잡이 표시기능, ④ 그래픽 기능, ⑤ 최신성, ⑥ 화면 이동 기능, ⑦ 웹 페이지 이용 도움말로 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제공되고 있는 정보내용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도서관으로 갈수록 메뉴의 항목수가 증가하였으며 충실도가 높아졌다. 그런데 독서지도 요소는 중학교 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가장 낮게 제공되고 있었다. 이용자 편의를 위한 설계 요소는 초등학교 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가장 충실하게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웹 페이지를 외국어로 제공하는 초·중·고등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는 한 군데도 없었다. 한편 미국, 영국, 뉴질랜드, 일본의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와 조사, 비교한 결과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정보내용은 외국의 그것에 비해 정보서비스나 교수학습자료의 제공이 지극히 미비하였다. 이는 단기적인 실적위주와 권위주의적인 웹 페이지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신뢰성, 책임성 여부보다 기술적, 기능적 측면과 시각적 요소에 강하게 치중한 나머지 실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서비스를 외면하였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분석되었다. 조사·분석 결과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가 갖추어야 할 설계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본래 목표인, 교수-학습자료 및 정보자료 제공과 독서활동 지원의 역할을 염두에 두고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 웹 서버와 도서관 웹 서버의 자료가 제한적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서관 웹 페이지의 세부항목에서 ‘뒤로’(back)와 ‘앞으로’(forward)의 키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하위 메뉴 버튼 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셋째, 시스템과 이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담당하는 전자우편 주소가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게시판 기능을 활용하여 단순히 시스템 사용에 대한 피드백 이외에 전자적인 참고봉사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웹 페이지의 수정, 갱신 날짜를 수록하여 이용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용자들이 수정된 날짜를 보고 자료의 최신성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 웹 페이지에 대한 도움 서비스가 충실해야 한다. 웹 페이지 이용에 대한 도움말을 수록하고, 웹 탐색의 길잡이 표시 기능인 사이트 맵을 독립시켜 싣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사진정보, 그림정보, 음성정보 등의 다매체 정보를 제공하여 단순히 그래픽 기능만이 아닌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니고 그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주문형 비디오나 CD-ROM 검색 기능의 제공도 필요하다. 일곱째, 최소한 도서관 이용 안내나 소개를 외국어로 준비하여 국제적으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구성에서 자관의 특성화는 필수적이며 다른 사이트와의 링크는 자관의 이용자 성격에 기초를 두어 결정한다. 또한 이용자들이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추가 예산이 필요하더라도 ‘yahoo’, ‘lycos’ ‘empas'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 반드시 등록해 놓아야 한다. 아홉째, 도서관 웹 페이지의 활용을 통해 정보이용 교육의 효과까지 함께 거둘 수 있도록 정보이용 안내에 대한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끝으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감당해야 하는 자료와 사용자 수가 늘어날 것을 감안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예산 및 관리업체의 확보가 필요하다. 웹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가 점차 방대해지면서 웹 시스템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향후 대책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전문적으로 설계·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전담사서교사 및 학교도서관 담당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재의 상황으로 인하여 웹 페이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운영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교육청, 지역사회 단체, 교사, 학부모, 학생 등 관련 기관 및 인적 자원의 지원과 협력을 통하여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각 학교도서관에서 확보하고 있는 운영예산만으로는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운영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운영에 소용되는 예산은 학교 운영비에서 비용이 계획, 지출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물론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구축 초기에는 정해진 예산의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기본적인 장치를 마련할 수 있도록 책정해야 한다.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이 교육의 중심부로서 그 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웹 페이지의 특성을 활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운영은 단순히 새로운 기준을 도입하는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교도서관 전체의 기능과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며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도서관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자료 및 제반 시설을 확충한 후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rapidly changed, school libraries supporting educational activities have also changed into a place producing information for learning by utilizing data. To cope with this change, library web pages should be designed and administered so that school library users can use learning materials on network more conveniently and actively.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epare basic data to make school library web pages effectively. The researcher surveyed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school library web pages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and suggested web page contents components applicable to the domestic school library environment and plans for application. As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roduced 'heuristic research method', and surveyed and analyzed web pages of 101 domestic and foreign school libraries in view of the contents of information and the designs for users' convenience. As a result of survey, the contents of information provided in library increased in order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the web pages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provided design components for users' convenience most sincerely. Compared to the web pages of foreign school library, those of domestic school library provided very inferior information services or teaching and learning data. The reason seemed that as records-focused and authoritative web pages existed a lot and strengthened their techn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visual components rather than their reliability and responsibility, resulting in that the information services actual users request were disregarded. As a result of survey and analys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information contents required in school library web pages; 1) introduction of library use, 2) data search (OPAC), 3) reading guidance, 4) introduction of related sites, 5) information services, 6) teaching and learning data, 7) library department and 8) bulletin board.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oposed the designs for users' convenience required in school library web pages; 1) conversation function between user and system, 2) other language versions, 3) guidance display function, 4) graphic function, 5) multimedia function, 6) up-to-dateness, 7) screen movement function help function to use web pages. Suggestions to build school library web pages are as follows. First, they should focus on providing teaching and learning data as well as information data as the original purpose of school library and supporting reading activities. Second, a standard to create school library web pages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 地域 公共圖書館의 財政確保 方案에 관한 硏究

        임광진 전주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financial 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funding programs and alternatives as well as the adequacy of financial operations. In order to present a survey of financial statu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by either city or region was analysed. Public libraries in Korea, directly under the guidance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MOGAHA)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were included f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problems and results identified in the financial m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Basically, local finance consists of local revenue and expenditure. Local revenue comes from local sources by local government and supporting sources by central government. Financial sources for public libraries also vary considerably. It is considered desirable that all public libraries are managed by public funds because they freely offer access to their collections and services to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public funds for library services has come through general revenue of local government collected from tax-payers in the area. It is essential that local revenues provide the major source of funding for public librarie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local expenditures, the total of local funds allocated to public libraries was not stable due to the lack of legal and administrative mechanisms. The following are the recommendations for increasing the public library's funding so that it can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to all users of the community as a regional information center. (1) Improvement of library policy The operation system of a public library, currently divided into two systems of the operation such as local govern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o a single system so that a public library can get its financial funding from general revenue of local government. (2) Diversity of funding acquisition All public library library revenue comes from local sources, chiefly local assembly and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diversity of library funds so that a public library can get continously a certain degree of funds.

      •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여진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는 지역 내 더 넓은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와 자료,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두 도서관의 상호발전을 모색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이 가지는 자원공유의 분야를 상호대차서비스, 인적자원 교류, 문화자원 교류, 향토자원 교류로 나누어 이에 관해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간 자원공유에 있어서 현황은 상호대차 서비스, 인적자원 교류, 문화자원 교류, 향토자원 교류 분야 전반에 걸쳐 보통에 가까운 활동을 보여 주고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간 자원공유에 있어서 각 분야별 인식으로는 상호대차 서비스’ 분야(3.67, 2.89)에서 두 도서관간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인적자원 교류’ 분야(3.67, 3.60), ‘문화자원 교류’ 분야(3.52, 3.19), ‘향토자원 교류’ 분야(2.95, 3.30)에서 대부분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반응들을 보였다. 셋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협력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해결해야할 각 분야별 문제점으로 ‘상호대차 서비스’ 분야는 도서관 인력부족(35.4%), ‘인적자원 교류’ 분야는 열람석공간문제(31.3%), ‘문화자원 교류’ 분야는 서비스인력부족, ‘향토자원 교류’ 분야는 자료보존의 공간 문제(56.3%)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원공유를 위한 협력 시 인력의 부족과 시설(공간)문제가 가장 먼저 선행되어져야할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는 우선 인적․물적 지원을 통해 가능하다. 또한 현 단계에서 가능한 상호대차서비스 부분을 일차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일차적 수준의 자원공유 사업이 활성화되고 경험이 축적된 후에 이를 보다 광역의 단위,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종 간 자원공유의 협력으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서관 자원공유에 대한 협력의 과제는 궁극적으로 ‘지역 내 있는 모든 자원’을 ‘지역 내 있는 모든 이용자’ 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하며, 또한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이용자의 요구에 발맞추어 변화된 도서관인의 봉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source sharing of a public library and a college library can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a wide range of users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programs and furthermore it can be searched to collaboration of those two libraries. In this research, it is studied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about the resources in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divided into interlibrary loan service, human resource, cultural resource, and regional resource interact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it shows that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generally have an average activity to share their resources including interlibrary loan service, human resource, cultural resource and regional resource. Secondly, there is the greatest gab between those two libraries in their recognitions about interlibrary loan service (3.67, 2.89) in terms of resource sharing. Also, there is a positive response of human resource (3.67, 3.60), cultural resource (3.52, 3.19), and regional resource (2.95, 3.30) sharing. Thirdly, it addresses that the main problems for each category to achieve resource sharing between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are a shortage of labor at the library (35.4%) in interlibrary loan service, a shortage of service labor in cultural resource sharing, and a limited space for data conservation (56.3%). Generally, a shortage of labor and facilities are the primary concer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are resources between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by supporting human and material resrouces. It will be ideal to develop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 firstly at the moment and it is suggested to magnify its service to the liberal corporation among public facilities in nation after the primary service advanced with accumulation of experiences in order. It is suggested that the cooperative task in the library resource sharing should ultimately increase the access to the library for all the users easily and rapidly in the area and the librarian should have voluntary service attitudes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in this rapid changing society.

      • 인터넷 시대의 도서관에서의 저작권 문제에 관한 연구

        이호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저작권은 저작물의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작물의 원활한 이용을 촉진함으로써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제도이다. 저작권은 저작자의 권리와 저작물 이용자의 권리라는 서로 상반되는 이해관계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그 사회적인 기능을 유지해 왔다. 또한 저작권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 보호의 범위와 내용을 확대하여 왔다. 최근의 디지털기술과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저작권 제도에 커다란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저작권 제도 자체의 필요성에 커다란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의 평등한 제공이라는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문화적 공간이며 이를 통해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함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과 도서관은 궁극적으로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도서관은 수집된 지식과 정보를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저작물의 구매 수요를 감소시켜 저작권자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할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런 까닭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도서관에 대한 저작권 면책을 인정하면서 그 요건을 까다롭고 상세하게 규정하여 저작자의 권리와 공공의 이익에 대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영국, 일본 등 대다수의 국가의 저작권법은 도서관에서의 복제로 면책을 인정받을수 있는 복제의 주체, 객체, 요건 등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만 면책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각국의 저작권법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비영리적인 목적으로 공공의 이용에 제공되는 복제를 허용한다는 점과 도서관 자체의 자료 보존을 위한 복제를 허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서관에서의 이용자 복제는 개인적인 조사, 연구를 목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적 복제 또는 영미법의 공정사용과 매우 유사한 점이 있다. 미국 저작권법의 공정사용 개념은 판례에 의해서 축적되어 온 것을 1976년 입법 과정에서 명문화한 것으로 공정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만을 제시하고있으며, 개별적인 사안에서 공정사용의 여부는 법원의 판단에 맡겨진다. 우리 법의 사적 복제는 저작권 제한의 내용을 이루는 규정으로 일정한 요건을 갖추기만 하면 그 면책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공정사용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미국 저작권법은 저작물 이용자의 공정사용에 대한 권리와는 별개로 도서관에서의 복제에 대한 면책을 인정하고 있으며, 도서관에서의 면책이 도서관이나 이용자의 공정사용의 권리를 해치지 않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도서관 저작물 이용자에 대하여 저작권에 대한 이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학문과 조사, 연구활동을 진작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우리 법의 경우에는 사적 복제와도서관에서의 복제에 대한 관계 설정이 명확하지 않고 두 개념 사이의 준별이 어려워 똑같은 사실관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법률관계를 구성하려는 다툼이 생길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특히 공중의 이용에 제공되는 복제기기에 의한 복사를 사적 이용의 범주에서 제외함으로써 도서관에서의 복제에 대한 면책을 축소 해석하려는 시도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인터넷의 보급과 전자도서관의 출현은 도서관과 관련된 저작권 규율에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저작물은 그 복제와 전송이 매우 용이하고, 그 배포에 비용이 거의 수반되지 않기 때문에 저작자의 경제적 권리를 심각하게 해칠 수 있으며, 그것은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도서관이라고 해서 예외가 될 수는 없다. 이러한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을 규율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복제의 개념을 수정하고 전송의 개념을 신설하는 한편 도서관에서의 디지털 복제와 전송에 대한 면책 규정을 신설하였다. 현행법은, 도서관은 그 소장자료를 이용해서 저작물을 디지털로 복제할 수 있으며, 도서관 상호간에 그 복제물을 전송하여 도서관 관내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에 대한 디지털 복제와 전송의 허용은 저작권에 대한 과도한 제한이라는 반발에 부닥치고있으며, 시행령으로 그 허용 범위를 대폭 축소하고 있어 또 다른 반발에 부닥치고있다. 또한 저작물의 디지털복제와 전송에 따른 필요한 조치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과 논란을 의식한 듯 문화관광부는 2001년 11월 <저작권법 개정안>을 국회에 상정하여 도서관에서의 저작물 복제에 관한 규정을 전면적으로 개정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은 복제의 주체와 범위를 대폭 축소하고 있으며, 저작물의 관외 전송을 금지시키고 동시 사용자 수를 물리적인 매체를 소장하고 있는 만큼으로 제한하고 있는 등 도서관의 입지를 축소시키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특히 저작물의 관외전송과 동시 사용자 수를 제한함으로써 전자도서관의 기능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쪽으로 입안되어 각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변화하는 정보기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저작권법의 많은 부분의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저작물의 복제와 전송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저작권자의 권리를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은 정보격차를 양산해 내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사회적인 장치의 마련도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도서관은 전통적으로 지식과 정보의 평등한 분배를 위한 사회적인 장치로서 역할 하였으며 디지털 시대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거나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유용한 사회적인 장치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디지털 환경의 저작자의 권리보호와 함께 지식과 정보의 평등한 분배를 위한 전자도서관에서의 면책을 인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자도서관에서의 면책의 내용은 저작물을 충분히 훑어 볼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과 저작물의 일부분을 1인 1부에 한하여 종이 등의 아날로그 매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절판이나 이에 준하는 사유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서 구입할 수 없는 저작물의 경우에는 도서관 상호간의 전송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저작권 면책의 범위를 벗어나는 복제를 효율적으로 규율하기 위하여, 손쉬운 저작권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저작권집중관리단체의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작권자의 경제적인 이익을 가장 심각하게 해치고 있는 사적 복제에 대해서도 일정한 제약을 가할 수 있는 유연하고 폭넓은 개념을 도입하여 저작자의 권리와 저작물 이용자의 권리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copyright system is protect to author's right, at the same time, it is promote to use of works. The ultimate purpose of copyright is to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culture to balance of author's right and public good. Copyright has developed alo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 it has broaden it's protected range and width. Currently digital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internet has widespread, it threaten traditional copyright regime. Library is a large collec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Library has provided it's collection to it's users for study or research, then library is contributed to cultural development. But many users photocopy and loan it's collection freely, thus library is a place copyright infringement frequently happened. In this reason most of countries are recognized library's copyright exemption but it need to meet strict condition. Including Korea,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and Japan, most of countries' copyright law have specific provision which recognized library exception include subject, object and special condition of reproduction. In this thesis, I first analysis to cultural significance of library and influence of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 at library. And then I consider to restriction to reproduction right at library, especially traditional analogue environmental. I observe it's a basis of international law, current law provision for restriction to reproduction right at library. And then I make a comparison between concept of fair use in United State of America's law and concept of private use in Korea's law. The concept of fair use is not a provision of exemption of copyright but only is a general principle and requisite for copyright exemption. So users must satisfy with four fact of fair use.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private use is not a general principle but it is a provision of exemption. In 4th chapter, I dealt with copyright issue on digital library. First, I defined what is digital library and observed it's usefulness. Then I discussed current copyright law provision about digital library, focus on reproduction right and transmission right. There are a lot of controversial issues in digital library provision. Reproduction right and transmission right are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that it is not including international convention's copyright exception. It is also controversial issue that right of displaying on a screen and temporary storage into RAM. In 5th chapter, I consider the idea which improve copyright system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changed rapidly. First, I considered copyright act improvement, including provision it can't operate digital library, are admitted at simultaneously, only the same number physical materials it has. And then I suggest adoption of 'fair use' doctrine in our copyright system.

      • 공공도서관 건축 프로그래밍 특성 및 트렌드에 관한 연구 : 2005년 이후 최근 5년간 건립된 서울지역 공립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가재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건립되고 있는 도서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에 대한 유형분석을 통해 최근의 도서관 건축계획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이 가지는 기본기능으로서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이자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적극적 의미의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현대적 의미의 도서관으로서 추구해야 할 미래지향적 건축계획방식을 기본 개념 차원에서 제안하는 연구로 진행되었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연구목적 아래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이 추구해야할 기본적 지향점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서 2005년 이후 최근 5년 이내 건립된 공립 공공도서관을 그 대상으로서 선정하고 연구대상인 각 도서관에 대한 현장조사 및 자료조사를 통해 건축 프로그래밍 특성 및 경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건립추세 및 건축계획 특성분야로 구분된 분석항목을 설정하고 각 분석항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분석결과를 일차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최근 공립 공공도서관 건축에 대한 프로그래밍 특성 및 경향을 다음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최근 공립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 특성 및 경향분석 결과종합> 건립추세적 경향분석 연도별 건립추세 - 2005년 이후 5년 사이에 건립된 도서관은 총 35개소, 연평균 7개의 도서관 건립 건립방식 - 신규건립방식: 27개소, 77% - 리모델링방식: 8개소, 23% - 최근 리모델링 방식 계획 증가 추세 기능구성방식 - 도서관 기능 단독 구성 19개소 - 생활문화기능 복합구성 16개소 - 현대적 생활문화기능을 복합하는 추세 건축계획적 특성 및 경향 분석 건립규모 - 1,000㎡~2,000㎡수준에 해당하는 중․소규모도서관 12개소, 34%의 비율로 최다 분포 건축물 배치유형 - 단일매스 타입이 16개소, 약 48%로 최다 분포 - 분절매스타입 및 매스통합타입, 일부공간관입타입이 각 6~7개소 분포 평면구성특성 - 단일평면구성방식 : 18개소, 51% - 분절평면구성방식 : 11개소, 31% - 기능통합구성방식 : 6개소, 17% 공간프로그램 구성 및 층별 기능배치 - 일반공간프로그램 외 어린이 및 유아열람실,디지털열람실, 문화교육공간, 야외휴게공간이 특징적 공간프로그램으로 나타남. - 3~ 5층 사이 배치가 가장 많이 분포됨. 분석결과 건립추세적 경향을 볼 때, 최근 공립 공공도서관은 건립방식에 있어 리모델링방식에 의한 건립사업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형성하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문화․복지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건립되고 있는 상황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건축계획 특성에 대한 경향을 조사한 결과 건립규모에 있어서는 1,000 ~ 2,000㎡ 수준의 중․소규모 지역분관형 도서관이 대다수의 건립사례로 확인되었으며 단일평면구성방식에 의한 단독매스타입의 건물이 계획적으로 선호되고 있음이 확인되어 건축 프로그래밍 특성 및 경향에 대한 의미있는 방향제시물로서의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의 최종단계에 있어서는 도출된 최근 도서관 건축 프로그래밍 특성 및 경향을 바탕으로 추론적 과정을 통해 향후 공립 공공도서관 건축에 대한 계획적 제안을 실시하고 본 연구의 최종적 결과물로서의 향후 공립 공공도서관 계획 기본모델을 제안하였다. <향후 공립 공공도서관 계획에 대한 제안 종합 및 기본모델의 제시> 도서관 건립방식 - 리모델링 계획시 내․외부 리모델링과 함께 규모수용을 위한 증축방식 적극 도입 도서관 기능구성 - 복합기능구성방식에 의한 도서관계획 - 복합기능구성시 문화센터 및 복지시설 등 다중복합시설 계획 개념을 적극 도입 도서관 건립규모 - 현대적 의미의 기능수용을 위해 건립규모범위 확장 기능추가형 관입타입 : 500 ~ 1,000㎡ 단일기능구성 타입 : 1,000 ~ 2000㎡ 복합기능구성 타입 : 2,000 ~ 3,000㎡ 건축물 배치형태 - 단일매스타입 및 분절매스타입을 통합한절충형매스타입의 건축배치 제안 평면구성방식 - 단일평면 구성방식을 전체평면의 기본안으로 계획 - 각 공간구성요소의 기능특성 및 목적에 따라 평면구성방식 (단일/분절/통합)을 각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구성 공간프로그램구성 - 기능적 효율성 및 이용편의 등을 고려하여 기본제안을 바탕 으로 층별배치 재구성 사무실 : 상층부 배치 종합자료실 : 접근부 및 2층 식당 및 매점 : 상층부 배치 야외휴게공간 : 신규도입 구성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도서관 건축물의 건립추세 및 건축계획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통해 공립 공공도서관 건축이 향후 지향해야할 기능적 목적성과 건축계획적 지향점 간 연결고리의 단초를 제공하였으며 기본 규범적 성격의 모델을 제시하여 이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로서의 가시적 근간을 제공하는 등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전반적인 공공도서관 건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총체적인 공공도서관의 건축 프로그래밍 특성 및 경향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cent trends in public library building plans through the pattern analysis of architectural plans in which the libraries are built currently in Korea. Based upon this result, this study offers a suggestion at a fundamental concept level about a desirable and future-oriented architectural plan for the library as a place in which the knowledge information is provided as a basic function as well as a multi-function for the society in the modern sense. For the above purpose,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analyze public libraries and lead to the ultimate goal of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libraries built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last five years since 2005. Basic data were collected from field surveys and researches on subject libraries in order to analyze their architectural features and trends. The items categorized by building trend and architectural plan were analyzed to draw primary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trends of recently built public libraries as follows. <Summary of Architectural Features and Trends of Recently Built Public Libraries> Analysis of building trend By year Building trend -Total 35 libraries built for the last five(5) years since 2005. -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libraries is 7. Building method - New building: 27, 77% / Remodeling: 8, 23% - Remodeling methods have been recently increasing. Function - Single function composition : 19 libraries - Complex for life-culture function : 16 libraries -Trend toward the complex with modern life-culture functions Features and trends of architectural plan Library size Type - 1,000㎡ ~2,000㎡ of Small-to-medium sized libraries of : 12, Largest distribution with 34% Structure Mass type - Single mass type: 16 libraries, Largest distribution with about 48% - Separate mass type and integrative mass type, partially inserted type : 6~7 libraries, respectively Floor planning feature - Single floor plan : 18, 51% - Separated floor plan : 11, 31% - Functionally integrated plan : 6, 17% Space program - General space programs as well as characteristic space program such as reading room for children and toddlers, digital reading room, cultural education space and open air rest area - Most placements were found between 3~5th floor. The building trend indicated that recently built public libraries showed a continued increase in remodeling methods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s well as compositions compounded with culture and welfare functions for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trend of architectural plan indicated that most buildings were 1,000㎡ ~2,000㎡ of small-to-medium sized public libraries and the single mass type by the single floor plan were methodically preferred. Therefore, a meaningful analysis result was drawn in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trend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suggested an architectural plan for the future public library construction based upon the above results as well as a basic model for the future public library plan as a final outcome of this study. <Composite and Basic Model For The Future Public Library Plan> Library construction type - Introducing extension methods as well as inside and outside remodelling when planning remodelling Library function - Introducing a multi-functional facility plan concept such as cultural center and welfare center Library size - Basic size : 1,000~2,000㎡ - Extending the library size as a modern function : 1,000 ~3,000㎡ Structure Mass type - Suggesting an architectural placement of compromised mass type which combines single mass type and separate mass type Floor planning - Composing properly using (single/separate/integrative) floor plan according to the functional feature and purpose of each space composition factor Space program Composition - Considering the functional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restructuring floor placement based on the basic suggestion Office : placing in the upper floors General reference room: approach and 2nd floor Cafeteria and bistro : placing in the upper floors Open air rest area : new applying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offered a link between the desirable functional purpose of public library architecture and the architectural aim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on the trends and architectural plans of public library buildings. This study also suggested a basic and normative model and drew a significant study result by providing a visible foundation.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knowledge on this area and initiate further research on the trends and architectural plans of public library buildings.

      • 학교도서관 협력 집단탐구(GI) 수업을 통한 학습효과 연구

        김현주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society changes rapidly,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duced day by day came to cause lots of changes in school education as well as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 school library serves as a key facility for school education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s well as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eading to enable 'open learning,' 'creative learning,' or self-directed learning, with its importance emphasized as an essential institution for curricular operation. It is a school library where students can use diverse data and information approaches to solve their problems and to improve information literacy and develop creative thinking as demanded by knowledge-based society. It seems to be instruction using a school library that can best meet these requirements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Library Cooperation Group Investigation (LCGI) program, which enabl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instruction for themselves wit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design a teaching-learning plan for instruction and, then, examine the changes after the instruction to determine the learning effects, such as the ability to use a schoo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ability to cooperate with peers, among learners. This study planed a program and designed a teaching-learning plan before implementing instru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after the instruction and test hypotheses concerning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information literacy, usage types, and the ability to cooperate with peers. After testing the hypothe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conceptual hypothesis was suppor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cause learners provided with LCGI instruction using the digital library system (DLS) program more frequently used a school library than before the instruction in terms of learners' usage and because those provided with LCGI instruction showed a higher ability to use a school library than before the instruction in terms of the effects for learners. Second, a questionnaire which was the adaptation of KERIS' Library Use and Information Literacy Scale (KERIS, 2003:71-72) to the respondents' level of understanding was used. According to operational hypothesis 1 (learners' use), the number of materials borrowed increased after the LCGI instruction and the number of users increased as well after the instruction.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operational hypothesis 2 (effects for learners), learners showed better information literacy, higher learning effects, and a higher ability to cooperate with peers after the LCGI instruction.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students, subject teachers, and teacher librarians if learning activities are constantly performed with LCGI instruction. <Student> 1) Students can use a teaching-learning support center to make literature and Internet search and collect and explore digital data, develop their ability to select information useful to themselves,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evelop the tendency to pursue skill and challenge and efforts to find data through activities of choosing and using information appropriate for the theme with the focus on the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on results. 2) Learners can set a learning goal and a learning strategy, evaluate learning results,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o collect, analyze, and synthesize information and generate new information, and lay the foundation for coping prudently with the situation with which they will be faced in society, lifelong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 with the wider range of thinking in the expanded field of education, including the teaching-learning field, the reading field, and the cultural space field, through learning environment beyond the restriction to physical space for classroom instruction. <Subject Teacher> 1) They can provide learning experience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nduce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learning by allowing them to explore themes related to actual life and select and use interesting information to them. 2) They can perform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learning, group learning, discussion-based learning, problem-solving learning, and information-using learning activities, through various information, experiences, and cooperation beyond limited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a classroom. <Teacher Librarian> 1) As their own educational service, teacher librarians can effectively introduce information materials, contrary to subject instruction, and raise the students' level of learning by stimulating their curiosity about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subject instruction as a facilitator of information activities. 2) They can establish long- and short-term plans for subject education to select materials and develop the collection, select materials for subject education in close cooperation with subject teachers to make a portfolio suitable for subject instruction and give it to students, and allow teachers to use a library as a place for ideas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ects. 사회가 급속도로 변화함에 따라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는 지식과 정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학교도서관은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은 물론, 교수-학습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열린 학습’, ‘창의적 학습’이나 자기주도적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교교육의 핵심시설이며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필수적인 기관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생들이 각종 자료와 정보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정보활용능력 향상 및 창의적인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곳이 학교도서관이다. 오늘날의 이러한 요구를 가장 잘 실현해 줄 수 있는 수업이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학생 스스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도서관협력 집단탐구수업(Library Cooperation Group Investigation. LCGI)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수-학습 안을 설계한 후 수업을 함으로써 수업 전과 수업 후의 변화를 비교하여 학습자들의 학교도서관 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 교우협동능력 등 학습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교수-학습 안을 설계한 후 수업을 함으로써 수업하기 전과 수업 후의 변화를 비교하여 자기주도적학습의 정보활용능력, 이용형태, 교우협동능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가설에서 학습자의 이용측면에서 DLS(경기도디지털도서관)프로그램을 이용한 도서관협력 수업 집단탐구 수업 전보다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이 학교도서관이용이 많은 것으로 타나났고, 학습자의 효과적 측면에서 도서관협력수업 집단탐구 수업 전보다 받은 학습자들이 학교도서관활용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가설은 유의미 차이가 있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도구 KERIS의 ‘도서관 이용 및 정보활용능력 측정도구(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71-72)를 본 연구의 학생들의 이해수준에 맞게 수정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조작적 가설 1(학습자의 이용적 측면)에서 도서관협력 집단탐구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의 도서관 대출 수가 더 많았고, 도서관협력 집단탐구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의 이용자 수가 더 많았다. 이 가설은 유의미 차이가 있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작적 가설 2(학습자의 효과적 측면)에서 도서관협력 집단탐구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의 정보활용능력이 더 높았고, 도서관협력 집단탐구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의 학습효과도 더 높았고, 도서관협력 집단탐구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의 교우협동능력 또한 더 높았다. 이 가설은 유의미 차이가 있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도서관협력수업 집단탐구 수업을 지속적으로 학습활동을 수행한다면 학생, 교과교사, 사서교사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1) 학생들로 하여금 교수-학습 지원센터를 활용해 문헌 자료와 인터넷 검색 및 기타 디지털 자료를 수집 ․탐색하고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할 수 있고, 결과보다는 학습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주제에 알맞은 정보를 선택, 활용하는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자료 찾는 노력과 숙련, 도전을 추구하는 성향을 발달시킨다. 2)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학습 전략을 정하고 학습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 정보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고, 교실 수업의 물리적 공간적 제한을 벗어난 학습 환경을 통해 교수-학습의 장, 독서의 장, 문화 공간의 장 등으로 교육의 장을 확대하여 사고의 폭과 경험을 넓혀 진로 결정 및 평생 학습 사회를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상황을 슬기롭게 해쳐나가는 기반 조성 역할을 한다. <교과교사> 1)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탐색하고, 자신에게 흥미 있는 정보를 선택, 활용하는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한다. 2) 교실 중심의 제한된 교육 환경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정보와 체험, 그리고 협력을 통해서 개별학습, 모둠 학습, 토론 학습, 문제해결학습, 정보활용 학습활동 등 교수-학습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할 수 있다. <사서교사> 1) 사서교사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로 교과의 수업과 달리 정보자료를 효과적으로 안내하며, 정보활동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의 역할로 교과수업으로 연계로 이어져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시켜 학습수준을 높일 수 있다. 2) 교과교육의 장단기 계획을 수립하여 자료를 선정하여 장서개발을 함과 동시에 교과교사와의 긴밀한 협의 하에 교과교육의 자료를 선정하여 학생들의 교과수업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서교사가 도서관을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는 장으로써 학생들이 아이디

      • 公共圖書館の利用と滯在行動に關する硏究

        박인규 東京大學 2001 해외박사

        RANK : 247807

        근년의 사회상황의 변화, 특히, 정보화시대의 돌입과 여가시간의 증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행동양식의 다양화 등의 영향은, 도서관이용자의 이용구조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른 도서관의 계획과 서비스는 이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보다 지역사회에 밀착한 방향에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의 공공도서관의 서비스와 이용의 특징을 보면, 지역계획적인 시점으로부터는 도서관의 상호네트워크 및 글로벌 화에 의한 복수관이용의 증대를, 건축 계획적인 시점으로부터는 관내의 장기체재화에 따른 가족이용 및 독서외행위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이용구조를 명백히 하는 가운데, 특히, 도서관이용의 주체인 이용자의 시설선택 및 이용행동, 그리고 시설이용의 상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도서관의 공간구성상태와 이용행위에 대한 고찰을 행함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의 건축계획에 있어서 새로운 계획지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이념인 「언제, 어디서, 누구라도, 어떠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를 충실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상호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동경 大田(ota)區의 도서관에 있어서도, 1995년 10월부터 대출도서관이외의 도서관에서의 반납업무를 실시하고 있고, 근년에는 인접區간의 상호대출반납이용이 시작되고 있다. 이것은 이용목적에 맞는 이용자의 선택행동을 가져오게 되어, 종래와는 다른 이용권역의 형성이 예상되기 때문에, 새로운 계획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한편, 책의 저장수가 늘어나고, 잡지와 AV자료도 충실한 가운데, 체재를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이 나타나, 상당한 이용주체와 이용형태의 변모를 가져오고 있다. 체재공간의 제공 및 개방화는 다중자료의 이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장시간 관내에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이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자료이용과 체재를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코너배치구성계획이 요구된다. 따라서 연구과제는 이러한 2가지 관점에 서서, 1. 체재형도서관으로의 이행시기에 있는 도심의 네트워크된 16관의 區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단독관이용과 복수관이용의 현황을 파악하면서, 이용자의 도서관선택행동구조에 착안점을 둔 이용행동론적 고찰과, 2. 지방도시에 정착하고 있는 체재형도서관을 대상으로 내부행동관찰조사를 실시, 가족 등의 그룹이용상황에 대해 체재행위와 장소, 체재시간 등을 고려하면서, 관내에서 보내는 시간과 공간구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체재행동론적 고찰로 구성된다. 제1의 과제인 이용행동론적 고찰에서는, 종래의 지역시설계획에 있어서 「근접성」이라는 시설이용의 고정화된 조건으로부터 탈피한, 보다 보편적인 계획이념의 창출을 목표로, 이용자의 선택·이용행동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관이용의 양태로부터 이용형을 설정하고, 이용형의 구성과 특징을 논하였다. 제2의 체재행동론적 고찰에서는, 도서관 코너배치구성의 특징을 논하며, 체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코너배치구성과 관내에서의 체재행동에 의한 이용형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서, 다양한 체재행동을 유도하며 이용자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기대되는 체재형도서관에 있어서의 공간구성계획에 대해 이용자의 체재행동의 실태로부터 명백히 하였다. 결론으로, 도서관 설치구에 있어서 이용자는 반드시 설치구의 도서관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목적에 따라 복수의 도서관을 적절히 「선택·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하였다. 선택이용의 주요 요인으로서, <근접성: 거리중시형>, <시설서비스: 내용중시형>, <관의 분위기: 체재중시형>의 3요인이 있는 가운데, 단독관 이용자는 압도적으로 거리를 최우선으로 도서관을 선택하고 있지만, 복수관 이용자는 시설의 서비스와 관의 분위기가 거리요인을 억제하는 원인으로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향후의 도서관시설계획에 있어서는 거리뿐만 아니라, 장서수의 증가와 체재하기에 적합한 공간적분위기형성에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도서관을 딱딱한 이미지의 공공적·시설적건축으로부터, 보다 친근성을 높이는 사적·거주적건축으로의 개념전환 필요성과 함께 정보제공의 장소로서 뿐만 아니라, 거하는 장소로서의 위치부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한, 가족이용의 도서관체재에 있어서, 주위에 신경 쓰는 것 없이, 또한, 부모의 의식 가운데의 내적 제한을 완화하기 위해서 아동코너는 성인코너와 독서코너로부터 <양분형>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정리하면서, 경독서가의 배치에 관해서 관내의 여러 장소에 분산시키는 분산배치형과 일반이용자와 가족이용자의 경독서가를 분리하는 알코브형 배치의 제안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