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학교도서관 사서의 인지도 및 활용도 연구

        양동숙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스마트 시대 도래와 각종 첨단 매체 융·복합 기술 발달은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인재 육성을 위한 학교교육에 있어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그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첨단 디지털 기술들을 활용한 차세대디지털도서관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이용 교육은 미미한 실정이다. 첨단기술의 주역인 학생들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를 안내 및 제공 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에서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 활용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담당 사서 및 사서교사들의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사서 및 사서교사들의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 및 기타 견해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도서관에서 요구되는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 및 사서교사를 설문대상으로 하였고, 설문 방식은 온라인 설문지 및 전화로 진행하였다. 설문문항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및 활용도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사서 및 사서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총 350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245부를 회수하였으나 (약 70%) 불성실한 자료 2부를 제외한 최종 분석 자료 24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로 도출한 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사서의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도서관에서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가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활용시간 미확보와 낮은 인지도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 사서의 근무기관에 따른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 업무활용도를 알아본 결과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도서관에서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가 활용되기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요건에 대해 각 지역 학교도서관 사서들이 요구하는 서비스에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학교도서관에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 도입을 희망하는 사서의 비율이 높았다. 가장 먼저 도입을 희망하는 서비스는 사서 및 사서교사의 업무 편리성을 위해 빅데이터서비스를 희망하였고, 구글글래스서비스는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해 희망하였다. 여섯째, 학교도서관 사서 연령에 따른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 활용 교육에 대해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응답자 중 60.5%가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로 학교도서관에서 요구되는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사서의 낮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정기적 연수 및 활용시간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인지도가 높으면서도 활용하지 못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활용사례 개발 및 전문가에 의한 활용수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각 지역의 학교도서관 사서들의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지역적 요구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대도시 공공서비스 배분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 119소방서비스와 공공도서관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진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A study on equity in the public service distribution of the metropolitan : Focused on 119 Firefighting Service and Public Library Service Jin Kyu, Park Department of Public Policy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quest whether the public service the metropolitan provides is distributed to the service users in equitable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a more equitable public service distribution by clarifying what type of patterns the diverse feature of public service exhibits in the process of the service distribution. Due to the physical limitation, it is not feasible to analyze all types of public ser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two public servic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contrary to each other are subject to the analysis. As 119 Firefighting Service is categorized as one of area services operated by a single governing body within a certain jurisdiction, one of service features is generally to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from the service provider to the service user in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library service can be categorized as one of the point services, as positioned at a certain point, having diverse operating bod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it is provided in the way the service users pay a visit to th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In this study, these public services in the contrasting forms are comparatively analyzed so that the equity deterrence factor may be reduced and supplemented in case the consistent pattern in the service distribution process is found, with an ultimate goal of contributing to a more equitable public service distribution. More specific study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measured how equitable the public library service and firefighting service the local governments provide are. Secondly, it is clarified whether the public services the metropolitan provide have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ocial equity. Thirdly,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the public services the metropolitan provides are inquired. Lastly,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e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equity on public service distribu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sought. The public library service performance is measured by the individual satisfaction level, since it has a nature of targeting to fulfill an individual’s intellectual and psychological desires as one of developmental service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by objective data, thus, a quality analysis through the survey and a quantitative analysis to measure the service input are proceeded together. As firefighting service is a type of protective service, intended to protect the human lives and properties, the objective data such as the life revival rate and the fire outbreak rate are used. The analysis process is divided into inputs->activity->outputs->outcomes, so that equity can be measured per service distribution step. With regard to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e stage of inputs is the most important step to enhance the users’ satisfaction, namely, the outcomes of the service. On the other hand, while firefighting service uses the revival rate and the fire outbreak rate, the most important service distribution step is activity. With regard to firefighting service, the service arrival within 5 minutes is analyzed to be the most important activity. To be more specific, under the emergency situation, 5 minutes are directly linked to the life of a fire victim in a sense that if the CPR is not conducted within 5 minutes from the emergency, the likelihood of the victim’s life revival sharply plunges. The same logic applies to the fire outbreak. For example, 5 minutes after the fire outbreak, the scope of damage is expanding uncontrollably, the extinguishing work gets considerably worsened. Therefore, in the firefighting and the rescue in common, arrival of the service within 5 minutes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ervice. When it comes to the analysis of equity,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of the service exists. Also, assuming the discrimination exists, this study is trying to figure out that the nature of the discrimination is either systematic or incidental. In particular, the quest to clarify whether or not the discriminated service is given to the socially weak group of people in a systemic way is pursu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Under-class Model which assumes that the public service is provided less in a discriminated way to the group of social, political, economically under-class. In other words, this model is trying to address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service distribution level between the wealthy area and the less wealthy area. Secondly, Ecological Model considers the indicators of the neighborhood conditions that could be marked by a more reasonable standard, such as economy and technology. This model views the service delivery reflecting physical, social, economic conditions. In this study, based on this model, whether the library site conditions, or the physical differences such as the size of the firefighting authorities’jurisdictional territories give rise to the difference in the service distribution is explored. The third one is Bureaucratic Decision Rules Model. This model articulates that the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internal decision making rules of bureaucracy, free from the outside political influence or the unreasonable factors’ bearing thereon. On the ground of this model, the observance is made on whether the feature of th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creates the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public service. In this study, it is observed and addressed whether the nature of the operating body could be the discrimination creating factors in the process of service distribution or not. In the event that the analysis result shows the irregular discrimination, this could possibly mean that the socially weak group may get the discriminated service or they may not, simp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is case, the findings of discrimination occurrence does not conclusively determine that the socially weak group is discriminated in a systemic way in the service distribution process. In other words, outcome-wise, a certain area is provided with more services or less services, this may be caused by an unintended coincidence.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scrimination based on Under-class Model was not found. Sometimes, it is shown that the wealthy area is provided with a better service, but there is also a case that a less wealthy area is provided with a better service. Overall, in the public library service, a less wealthy area is provided with a better service. As for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it is higher in a less wealthy area. It sometimes happens that insufficient service is provided to a less wealthy area, it was not found systematic.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ystematic discrimination upon the socially weak group is not found with regard to the public library service and firefighting service. Secondl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site location, the users’ dispersion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land price, systematic differences are shown between the public library located in the suburban area and the one located in the central area. When the public library is located in the area blocked by the entry barriers such as mountains, sea, parks etc, the residents in the immediately adjacent administrative district frequently use the service. As for the public library which has a good accessibility without entry barriers, it shows a wide variety of users’ dispersion.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ge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erms of users’ dispersion. As for the firefighting service, in determining the jurisdictions reflecting the needs, the large district such as Kijang Kun or Kangseo Gu has a very extensive jurisdiction, considering the population spread and the number of firefighting targets. This works as one of the factors lowering the arrival rates within 5 minutes. Therefore, Ecological Model is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factor in both public library service and firefighting service. Thirdly, the firefighting service with a unified operating body achieves equity in a higher level in terms of service distribution than the public library service with the diversified operating bod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quity of the service distribution, the firefighting service is analyzed to be equitable in all areas,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library service is analyzed to show some inequity in all areas. While the public library service with the diversified operating body shows a systematic inequity, the firefighting service with the unified operating body shows a systematic equity. In fact, the diversified operating body does not seem to place a big importance in equity in terms of the service distribution, and the discrimination occurs incidentally or the high quality service is provided by chance, as outcomes of the service distribution. As for the firefighting service operated by the unified body, to boost the rate of the crucial activity of arrival within 5 minutes, service institution is deployed and the duty adjustment and cooperation are in progress at the Busan city level to achieve the goal. Consequently, BDR (Bureaucratic Decision Rules) Model is proved to be the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equity in terms of the public service distribution. Fourthly, it is proved that public library users have a tendency not to visit the public library if the travel time takes longer than 30 minutes from their residence to the public library. Major transportations they use turn out to be walking and bus taking, the ratio to use their own car is 20% or so. Accordingly, based on the survey, it is predictable that deploying the public library in each unit that is reachable within 20 minutes travel time by walking or bus taking from their residence would bring about the best use rate. On the ground of the discussions above, if suggestions can be made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th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equity on the public service distribution,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the unification of the operating body with regard to the public library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library service with diversified operating bodies show some inequity in all areas measured in this study. Having said that, diversification of operating bodies deters the communications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leading to the overlapping of service deployment, and insufficient supply phenomenon, and it eventually functions as the source of unintended inequity. This shows not only a matter of equity, but also shows the inefficiency from the efficiency perspective. Also, in order to deploy the public library in every unit that allows users to travel within 20 minutes, duty adjustment and consultation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necessary, but current systems do not allow those process due to each independent operating body’s interests and circumstances. Unification of the operating body requires the national consensus because the effort any one of the area makes does not suffice to make the change. As the public service exists for people, the decisions shall be made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rvice provider, but from the service users. Lastly, the firefighting service shows equity overall in terms of the service distribution, which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service quality is high. Even though the service distribution within the city of Busan seems equitable, the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tells differently. There are 16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usan, and the number of fire stations is only 11, which makes it short by 5 stations, according to the standard that requires 1 station per 1 self-governing district. In comparison with other metropolitan cities, the fire station shortage is most serious in Busan.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achieve the external equity as well as the internal equity, for the ultimately equitable service distribution.

      •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과 문제점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신민주 한국교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service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to the disabled in the region of Busan in an attempt to help bolster service for the disabled. A public library plays a crucial role in embodying the principle of equity by offe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every social member, but public libraries are actually viewed as spaces for non-disabled people. Currently, disabled people account for 4.5 percent of the entire population, and there is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disabled.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e disabled aren't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non-disabled people, and it's required to help the disabled to benefit from quality service. As international guidelines or declarations show, library service should be accessible to every citizen without discrimination. The principle of equity is so important, and all sorts of acts for the disabled require public libraries to provide equal service to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the law,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must be equipped with a national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to have public libraries assume the legal responsibility for rendering quality service to the disabled.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ienced working-level librarians at 21 libraries with questionnaires of 10 item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o find out the state of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amenities, books, personnels and budge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who used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was extremely low, as disabled users accounted for 3.8 percent only.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libraries wasn't good enough. Second, the public libraries were equipped with some amenities such as restroom, parking lot and slope way, but they were devoid of the other kinds of amenities. Third, in terms of materials service, lending service was offered by visiting disabled people in person or by home delivery service, bur there were no additional services available. The libraries fa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services to the disabled due to an extreme shortage of special materials, budget and personnels. Fourth, a lack of personnels in charge and a lack of professional education made it hard to render proper service, and another factor to deteriorate the service was the improper way of looking at the disabled. Thus,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the public libraries'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amenities, accessibility, the amount of special materials, the securement of supporting devices, lending service, professional education, budget and personnels in charge. As a result of having an interview with the public library managers, mostly chief librarians, what deteriorated service for the disabled was identified. Even though public libraries are well equipped enough in every regard to render quality service to the disabled, discrimination is still prevailing in our society, and the way of looking at disabled people isn't yet favorable. It's requir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with interest, and sustained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providing extens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informationally disadvantaged people to lead a better life and enjoy cultural benefits so that our country could turn into an advanced nation.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에서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원활히 하기 위해 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해서 그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장애인서비스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지식과 정보를 시민대중화를 통해 평등의 구현을 실현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우리의 현실은 평등이 아닌 신체적 정상인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 장애인의 규모는 전체인구의 4.5%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우리 사회는 아직도 장애인을 정상인과 같이 대우하는데 파트너 쉽 구축이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서비스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주지하다시피 국제적인 지침이나 선언에 의하면 도서관서비스는 시민 모두에게 이용 가능해야 하고,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평등원칙을 강조하고 있고, 각종 장애인 관련 법령에서도 장애인 서비스 보호를 강화하듯 공공도서관에서 장애인에 대해 서비스를 동등하게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산하에 국립장애인지원센터 설치를 의무화하여 공공도서관에서 한 차원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수행할 법적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먼저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는 장애인을 위해 편의시설, 장서, 인력, 예산에 관해 어느 정도의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0가지 문항의 질문지를 작성해서 21개 도서관 중견 실무 사서에게 조사를 실시하고 그 조사표를 분석하여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21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첫째, 전체 장애인 중에서 도서관을 이용하는 장애인은 3.8%로 현저히 낮게 조사되었고 도서관 이용의 접근성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에는 화장실과 주차 공간 확보, 경사로 등 몇 개의 시설은 구비를 하고 있으나, 그 외 시설은 부진한 상태였다. 셋째, 자료서비스에 있어서도 방문대출과 택배대출에 한정되어 있고 그 외 서비스는 전혀 실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수자료 및 예산과 인력확충도 열악한 실태로 정보이용을 비롯한 서비스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넷째, 전담인력 부재, 전문교육 미실시로 서비스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장애인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장애인서비스는 아주 열악한 실정이었다. 위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편의시설 및 도서관접근성, 특수자료 부족, 보조공학기기 미비, 자료대출 이용의 애로, 전문교육 미실시, 예산부족과 전담인력 부재 등에 관해 세부적으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해 보았으며, 아울러 21개 도서관의 관리자(주로 관장)와의 면담을 통해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원인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예산, 인력, 자료가 확보되어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환경구축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우리 사회가 만연해 있는 차별대우로 인해 장애자를 바라보는 시각이 아직도 우호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혀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장애인에게 지식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선진 일류국가 시민으로서의 도약을 위해 정보취약계층 장애인을 더 이상 소외받지 않고 문화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으로 본다.

      •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동일이용자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 비교에 관한 연구

        원봉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서관의 기본적인 역할과 기능은 현대의 다양한 자료의 접근 속에서도 변함이 없지만, 도서관 이용자를 최상의 고객으로 생각하는 고객 지향적인 도서관으로 끊임없이 변모되고 있는 사실은 부인 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성격이 서로 다른 두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동일이용자를 대상으로 공통 서비스 품질 척도를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어서 서비스 품질 차원을 직원, 자료, 시설의 도서관 3요소로 구성하고, 동일 서비스 품질 구성항목으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은 시설, 직원, 자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은 자료, 시설, 직원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은 대학도서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기대치 간의 값을 비교해 보면,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 자료, 시설, 직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각치 간의 값을 비교해 보면, 대학도서관은 자료, 직원, 시설의 순으로 나타났고, 공공도서관은 직원, 시설, 자료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대학도서관은 자료, 직원, 시설의 순으로 나타났고, 공공도서관은 직원, 시설, 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이용자 만족도는 대학도서관이 공공도서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둘 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무료이용지각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동일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 이용자 만족도와 재이용간의 관계, 무료이용지각과 서비스 품질의 관계를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비교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써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의 비교에 있어서,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각각 따로 두어 좀 더 폭 넓고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ibrary's basic role and functions have been unchanged in various literatures on environment. But we can not deny that libraries have been involved continuously in which they should treat customers as on important part of them.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service qualities and satisfactions between two cases in the public and academic library of same us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y hypothesizes that the service quality consists of staff, collections and facilities, and measured them by the same measurements of service quality to compare the service qualities between academic library and public library. The result is that in academic library the service quality of facilities is the highest, followed by staff and collections and in public library the service quality of collections is the highest, followed by facilities and staff. In comparison with expectation service between academic library and public library, collections is the highest, followed by facilities, staff in both of libraries. In comparison with perception service between academic library and public library, collections is the highest, followed by staff, facilities in academic library and staff is the highest, followed by facilities, collections in public library. 2. In comparison with users' satisfaction between academic library and public library, collections is highest, followed by staff, facilities in academic library and staff is the highest, followed by facilities, collections in public library. 3. This study analyzed how the degree of user satisfaction influenced on the intentions to reuse the library. The results showed that us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ntentions both in the academic and the public library. 4. This study analyzed how user perception of free use influenced on the user satisfactions in the academic and the public library. User perception of free us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satisfactions in both libraries. This study is limit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use of the academy and public library of the same users.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is field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separately of the users of the academy and public libraries more widely and delicately.

      •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수준이 직무만족 및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수준이 직무만족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노동수준과 직무만족,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모형은 감정노동수준(감정노동의 다양성, 감정노동 지속강도, 감정노동 빈도, 감정 부조화)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성취감, 직무자체만족도)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직접서비스, 간접서비스)을 종속변수로, 조직문화(합리성, 발전성, 집단성, 위계성)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사서 22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넷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계수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용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실제 감정과는 다르게 더 긍정적으로 표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하지만,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오히려 성취감을 느끼고,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자랑스럽고 기쁘게 생각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이 하는 일이 전문적인 일이라는 인식이 강하므로, 감정노동을 경험해도 그것을 극복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긍지를 느끼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도, 합리적인 직무평가가 실시되고, 합리적인 목표가 있으며, 직원들 간의 관계가 협조적이고 팀웍이 좋다면 업무에 있어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직원의 평가가 실적위주이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용자가 만족하고 있는지를 살피고, 제공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서비스정신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수준을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해도 전문적인 사서로서 당연히 감당해야 할 일이라고 느낀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 감정과는 다른 긍정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많을수록 자신의 감정을 해결 하지 못하게 되어 업무소진에 이를 수도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감정노동에 대한 강도가 격해질수록 이용자와 대화할 때 다정함이 줄어든다는 결과를 볼 때, 사서들의 감정이 격해지기 전에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수 있도록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다. 둘째, 사서들의 직무만족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변수 중 합리성, 발전성, 집단성 요소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조직문화가 합리적이고, 발전적이며 집단적인 문화가 된다면, 사서와 이용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또한, 도서관에서 추구해야 할 합리적인 목표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서, 실적위주의 직원평가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 공공도서관 서비스 실태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 코로나19 시대 서울특별시교육청도서관 및 평생학습관 중심으로

        이연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시대에 서울특별시교육청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에서 제공했던 서비스 실태 분석을 통해 미래 도서관 발전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장기화로 도서관이 휴관 및 개관을 반복하면서 기존의 대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자 도서관은 생존과 공공성 및 정체성 확보, 중단 없는 독서지원을 위해 비대면 서비스를 도입해야 했다. 이러한 변화와 도전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도서관 서비스 패러다임을 바꿔놓았는데 사례 중심의 서비스 분석, 이용자 및 사서의 설문과 면담 분석을 통해 성찰과 시사점, 향후 지속 가능한 미래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는 4가지로,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도서관은 어떻게 서비스를 지속했는가, 이용자들은 코로나19 시대 어떻게 도서관 서비스를 활용하고 평가했는가, 사서들은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서비스의 문제점, 한계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이런 분석을 통해 코로나 이후 뉴노멀 시대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가이다. 먼저 코로나 대응 서울교육청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서비스는 자료 구입 및 이용, 예약대출, 전자도서관, 스마트도서관 등의 지식정보서비스와 기관 고유의 독서브랜드 사업 및 연합독서프로그램,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및 문화교실 등의 독서문화·평생교육(학습) 서비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비대면 서비스 운영 현황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였다. 비대면 서비스는 코로나 첫해인 2020년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다가 2021년부터 조금씩 하락하였고 2022년에는 대면 서비스 비중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미 비대면 서비스는 보편적 서비스로 자리 잡았고 이에 대한 고정 수요층과 니즈가 확대되고 있기에 변화된 시대에 더욱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두 번째는 도서관 이용자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는데 208명에 대해 성별·연령·학력·거주지 등을 기초로 코로나 시대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질의하였다. 다각도 분석을 위해 서비스별 코로나 전과 후를 비교하는 만족도 조사와 대면·비대면 선호 방식, 엔데믹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필요한 서비스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 10명에게 코로나 시대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고 서비스 제공 방식, 힘들거나 보람 있었던 점, 실무자로서 느낀 문제점 및 한계와 개선방안, 향후 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의 내용을 조사하였다. 설문을 통한 결과를 보면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수혜자인 이용자 사이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코로나 시대 제공된 서비스별 만족도 및 선호 방식 등에 대한 차이도 있었지만 결론적으로 이용자는 코로나 시대 제공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무리 없이 긍정적인 대안 서비스로 받아들였고 사서들은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덧 코로나 3년 차, 이제는 사서들도 비대면 서비스에 대해 익숙해지고 인프라도 탄탄해졌지만 이용자들 또한 비대면 서비스를 일상적인 서비스로 받아들이며 더 다양하고 섬세한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가 종식되고 일상 회복 시대에 필요한 서비스로 이용자 및 사서 모두 비대면 서비스 강화를 우선으로 꼽았는데 시간과 비용을 들여 이용자가 도서관을 방문할 유인책 등 지속적인 이용자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성찰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코로나 시대는 처음 접하는 혼돈과 위기의 시기이자 변화와 도전의 시대이기도 하다. 격변의 시기 속 제공되었던 서비스 실태 분석 및 성찰을 통해 미래 도서관 발전방안 및 역할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맞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의 안정적인 토대 및 인프라 마련을 위한 공공기관 통합 온라인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도서관이 시대의 흐름에 도태되지 않고 미래 지향적 발전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 대상 상시적인 교육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코로나를 계기로 도서관이 달라진 서비스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시대 상황에 맞는, 아니 더 나아가 시대를 선도하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확보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민숙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대학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도서관 사서는 이용자들과의 서비스 접점에서 감정노동을 경험한다. 이는 서비스산업 분야의 종사자들이 겪는 감정노동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도서관 사서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으로 인하여 그들의 감정노동 문제는 그동안 관심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서비스 제공수준과 도서관 조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도서관서비스 접점에서 발생하는 사서의 감정노동이 직무와 관련된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감정노동을 감정표현의 빈도/다양성, 감정표현의 강도, 감정부조화의 3가지로, 사서가 인지하는 상사의 감성지능은 자기감성 지각능력, 타인감성 지각능력, 감성활용능력, 감성조절능력의 4가지로 세분화 하였다. 사회적 지원은 조직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의 2가지로,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은 인적서비스 제공수준, 적시서비스 제공수준, 응대서비스 제공수준의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의 4년제 대학도서관 218개 중에서 국공립 13개, 사립 28개의 총 41개 기관의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회수된 응답지 529부(회수율 99.2%)를 SPSS 버전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판별타당성분석, 상관관계분석, 변량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도서관 사서 역시 감정노동을 경험하지만,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흥미 있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서가 느끼는 감정노동이 클수록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지는 상사의 감성지능 중 자기감성 조절능력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가 느끼는 감정노동이 클수록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인지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사의 감성지능 중 감성활용능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상사의 감성지능으로 인하여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이 향상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사서의 감정노동 중 감정표현의 강도가 강할수록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은 오히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서가 업무를 수행할 때 감정표현의 강도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사서의 감정노동, 상사의 감성지능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은 사서의 연령과 고용형태1(정규직/비정규직), 고용형태2(행정직/사서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그리고 사서직이 행정직보다 감정부조화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산업 분야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사서의 감정노동은 오히려 조직의 직무와 관련된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이 결과는 사서직이 단순한 감정노동이 아니라, 전문지식을 통해 수행되는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서는 도서관 업무를 전문지식에 따라 수행하면서 수반되는 감정노동을 어느 정도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즉 대학도서관 사서는 일반 서비스산업 분야의 감정노동자들과 달리 감정노동을 상대적으로 스트레스로 적게 인식하고, 이용자 요구를 충족시켜줘야 하다는 직업적 마인드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감정노동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서의 감정을 개인의 문제로 취급하기 보다는 조직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차원에서의 사서의 감정관리는 도서관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조직성과의 제고에 기여하며 사서 개인의 성취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서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사서를 대상으로 업무 중심의 교육 훈련과 더불어 감성 지능을 강화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감정 노동의 결과 나타나는 서비스의 긍정적 결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서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사서의 서비스 제공수준과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용자의 만족도를 연계하면 요구되는 서비스와 실제 서비스와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도서관서비스의 제공수준을 좀 더 일반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Librarian's Emotional Labor at the University Librarie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among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he library service level- Min, Sook Hee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Like general service industry, librarians undergo emotional labor with library users. The librarian's emotional labor has not been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the work requires expertise. However, the librarian's emotional labor must be treated important as it affects the levels of servi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1) what effect emotional labor has on an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2) the relationship among a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extent of social support and library service level on job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70 questions. 14 questions were related to emotional labor, 16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14 to the librarian’s social support network. The rest of 19 questions had to do with library service levels and lastly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of six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e survey period took place from 14 Oct. to 4 Nov. 2013. 533 librarians at 13 public and 28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were included in the survey. Of the 533 surveys distributed, 529 were return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Win 12.0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differential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ibrarian's emotional labor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library service level positively. However self-emotion appraisal of supervisor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an's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Secondly, a librarian's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effect personal service level, procedure service level and instant service level. However,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and the emotion of supervisor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an's emotional labor and library service level. Thirdly, the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of librarians has a negative effect on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he library service level. It is necessary that the attentiveness to librarian required display rules should be managed by an organizational approach on job performance. Forth, the extent of librarian's emotional labor, the level of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brary service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ibrarian's employment status, whether it administrative, a librarianship position, full-time or part time. We found that the librarian’s sensitivity to emotional dissonance was much higher than the administrative librarian's. The survey also shows that a librarian's emotional labor effects emotional intelligence of supervisor, social support and library service level positively. This finding is not the case for the employees in the general service industry. Because the librarian is professional and manages stress better than general employees. I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library service, educational programs for librarian's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planned. Fu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service requirements and services offered should be minimized and generalized and the library service and user satisfaction will be analyzed in future research.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의 이용자서비스 접근성에 관한 연구

        유종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환경은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창출해 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은 변화된 정보기술 환경하에서 대학도서관이 대학내에서 그 존재의 필요성을 점점 더 넓혀가고 생존해 나가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에서 우리 나라 대학도서관이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인 이용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범위는 대학도서관 69개관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지역별로는 수도권소재지역의 대학도서관이 28개관, 지방소재지역이 41개관으로 표집되었고, 국 · 공립대학은 15개관, 사립대학은 54개관으로 나타났다. 평가에 사용된 항목들은 국내외의 웹사이트 평가관련 논문과 대학도서관 관련 연구 논문 등에서 논의된 대학도서관 이용자서비스와 접근성 활용에 관한 평가항목 중 일부를 차용하고,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접근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질문을 일부 추가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네 개의 평가영역과 평가질문 23개를 만들어 지표를 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69개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연구자가 직접 접속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의 분석은 SPSS 12.0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평가영역의 분석을 통해 얻어낸 결론으로는 첫째, 네 개의 평가영역이 전체평균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각 영역별로 도서관의 서비스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둘째, 기관의 규모와 도서관의 서비스의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도서관의 홈페이지 서비스의 적정성은 기관의 규모보다는 관리자의 의지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수도권소재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의 점수차이를 보면 평가영역중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나 그 차이가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사립대학과 국 · 공립대학의 독립표본 검증을 통해 평가해 본 결과 그 차이가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 · 공립대학의 평균이 전체적인 수준에서 하향평준화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가질문별 검증을 통해 세 가지의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평가질문과 이용자수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도권소재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의 평가질문별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검증에서 네 개의 질문에 대해서만 검증이 유의되어 전체적인 수준에서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립대학과 국 · 공립대학의 평가질문별 점수의 독립표본 검증에서도 별다른 유의할 사항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검색과 분류, 용어의 통일이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것이다. 둘째, 도서관이용자 교육을 대학내의 정규과목으로 설정하여 이용자들에게 적극적인 도서관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 개발은 이용자의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것이 대학도서관이 대학내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사항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s facing drastic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In this changed environment, university libraries are also forced to create new information services, and this kind of new service creation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ethods for the university libraries to more widen the necessity of their existence within the universities and survive under the changed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s as to how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can offer efficient user services through their homepa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vered 69 university libraries. More specifically, 28 university libraries 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15 libraries are in provincial areas;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have 15 libraries and private universities do 54 libraries. The items used in evaluation were partially borrowed from those on university library user service and accesspoints utilization discussed in the studies related to internal and international web site evaluation and university libraries, and partially added to by the questions judged important in case of the access to university library homepages. Based on the above items, indices were decided by making 4 evaluation areas and 23 evaluation questions, and based on this, the home pages of 69 university libraries were connected and evaluated by the researcher in person.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tems was statistically treated through SPSS 12.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on area analysis, first, 4 evaluation areas influenced the total average. This means that there is any service difference from area to area. Second, there is no service difference by the scales of libraries. As for the adequacy of a library homepage, manager's int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scale of the institution. Third, though there is any level difference among evaluation areas, the score difference is trivial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and provincial ones. As a result of evaluation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of private as well a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was small. But it was realized that the average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was equalized to a lower level. The above 3 facts were revealed through the verification by evaluation questions. Firs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questions and user's numbers. Second,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for the records by evaluation question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provincial universities was meaningful only for 4 questions. This shows that the verification had no connection with general level. Furthermore, there was nothing especially noteworthy even in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of the records by evaluation questions of private as well a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proposed: First, the standardization of method should be realized to allow users to have more easy access to university librarie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 regular course within universities for users to positively use libraries. Lastly,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rary homepages should be designe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this would be a must for university libraries to survive and develop within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