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 시설 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 광주.전남 국립대학 중심

        김양석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광주 전남에 위치하고 있는 국립대학을 기준으로 캠퍼스 구성요소와 배치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만족도에 따라 각 캠퍼스별 개선이 필요하다는 곳에 대하여 필요항목을 찾고 이러한 필요 항목에 따른 개선 필요도에따른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각 학 캠퍼스의별 개선이 필요한 항목들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캠퍼스별 계획요소 만족도 - A대학 캠퍼스 시설 먼저 캠퍼스 9개항목의 계획요소들에 대한 만족도 평가중 도심에 위치한 A대학의 캠퍼스의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평균값이상으로 나타났다. 그중 보차 관련동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이 평가되었다. 이는 캠퍼스내 내부도로가 순환체계로형성되어 동선이 짧고 시설별 동선체계가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B대학 캠퍼스 시설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B대학캠퍼스의 계획요소 만족도 평가는 9개항목중에서 보차관련동선에 대한 만족도와,지원시설물(복지)의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현저하게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캠퍼스의 전체적인 공간에 대한 만족도은 평균값이상으 평가는 되나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낮은 만족도로 분석되었다. 이는 B대학의 배치형태가 주 진입로를 기준으로 분산배치 되어있어 공간의 인지도가 다른 캠퍼스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C대학 캠퍼스 시설 도심에 위치한 캠퍼스인 C대학의 계획요소 만족도는 9개의 항목중 교유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평가와 교육시설물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문에서 바로 체육관이 진입이 가능하게 되있으며, 중앙부에 대학본부, 강당, 학생회관, 도서관이 배치되었는데 각 시설들이 이용도에 따라 군집을 이루고 배치 되있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값을 약간 상회하는 값으로 외부공간에 대한 배려가 대체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D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입지 현황 및 다른 대학캠퍼스와 다른 D대학캠퍼스는 3개의 대학이 평지에 형성되었고, D대학은 구릉지에 형성되었다. 이러한점에서 접근해 볼 때, 주변입지에 대한 평가 만족도가 높을것으로 추측하였으나, 교육시설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보차동선 교육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높으며, 캠퍼스 전체공간에 대한 평가 만족도는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낮게 평가되었다. 2. 캠퍼스별 요소별 중요도 및 개선필요도 분석 2. Campus by element by importance and improvement necessity analysis - A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에 성된 대학촌, 주변녹지(조경)면적, 주요광장면적,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및 배치, 도로폭(보행자)/ 통행원활, 학과 학부시설의 통합적 확보, 연구실, 강의실, 실험실군의 위치/배치, 실내운동시설(체육관)의 면적, 강당의 면적, 기숙사의 위치/배치, 전체적 지원시설들의 접근성, 각실에 대한 소음, 각실의 냉난방시설, 대학캠퍼스의 전체적인 배치구성, 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지원시설물(복지)의 실내환경등의 19개 항목에서 만족에 미치는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Z-score를 적용하여, A1(주변녹지조경면적), A6(주변에 형성된 대학촌),G1(학과학부시설의 통합적 확보), H4(실내운동 및 체육관의 위치 배치) 4개의 항목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불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이는 이들 항목들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항목에서 제외 시킬수 있다고 판단된다. - B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녹지(조경)면적을 비롯하여 22개의 평가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B대학캠퍼스 또한 Z-score를 적용하여,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 결과, A1(주변녹지조경면적), A4(주변시설 상점, 은행등의 이용편리성),A5(통학/통근의 편리성), A6(주변에 형성된 대학촌),H2(도서관의 위치배치), I2(대학본부의 위치,배치), M4(대학캠퍼스의 분위기 및 이미지) M5(학습면에서의 시설 환경), M6(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이상의 9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항목중 A1(주변녹지조경면적),H2(도서관의 위치배치),M6(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항목들은 만족도 평가에 중요도는 평이한 값을 나타냈지만 불만족도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C대학 캠퍼스 시설 A4(주변시설 상점, 은행 등의 이용편리성)외에 23개의 평가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이 항목에 Z-score를 적용하여 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결과, 전체적 휴식공간에 대한 평가 외에 11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대학 캠퍼스는 전체적 휴식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이는 개선 필요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즉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개선이 우선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D대학 캠퍼스 시설 A1(주변녹지조경면적)항목외에 24개의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24개의 항목에 Z-score를 적용하여 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결과 11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대학의 캠퍼스는 개선 필요도가 A4(주변시설 은행, 상점의 편리성 ),와 A6( 주변에 형성된 대학촌), J3(각실의 냉난방 시설), 항목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캠퍼스의 시설 및 환경에 대한 개선시 우선시 되어야할 항목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해보면, 4개 대학 캠퍼스 시설 및 환경평가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써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는 A1, A6, M1,K4, S5 이상의 5개의 항목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유형이 각각 다른 캠퍼스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공통 항목으로 채택된 항목에 대해서는 캠퍼스 계획 및 개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which sees the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Kwangju Cholla Nam Do evaluated the user satisfaction which in standard follows with a campus integral part in arrangement, according to like this satisfaction each campus by improvement is and necessity to seek a necessary item about the place a priority follows in the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which follows in the necessary item which is like this selected verified, about the items where the star improvement of this each crane campus is necessary presented. The result with afterwords is same. 1. Campus by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 A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bout planning factor of the campus of A universities which about planning factors of the campus 9 opening necks while satisfaction evaluating are located first in the city center the satisfaction appeared above of all mean value. About step relation eastern the satisfaction was evaluated height among the rest most. This puts out and the campus the internal road with the circulatory system to be formed with the fact that the copper wire becomes accomplished shortly the facility by copper wire system in compliance with a plan judges. -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of C university which is a campus where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about composition of [kyo] childhood scraps in 9 item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bout evaluation and training facility scandal interior environment. The gymnasium penetration possibly this rightly from the front gate, there is a [toy],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auditorium and the student union, each facilities where the library is arranged according to availability accomplish a crowd in the center and department with the fact that is because being arrangement [toy] they judge. About the other side external space the satisfaction at the price which some exceeds a mean value the care without being become accomplished substitutionally about external spac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in order to be. - C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of C university which is a campus where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about composition of [kyo] childhood scraps in 9 item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bout evaluation and training facility scandal interior environment. The gymnasium penetration possibly this rightly from the front gate, there is a [toy],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auditorium and the student union, each facilities where the library is arranged according to availability accomplish a crowd in the center and department with the fact that is because being arrangement [toy] they judge. About the other side external space the satisfaction at the price which some exceeds a mean value the care without being become accomplished substitutionally about external spac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in order to be. - D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Circumferential mouth present condition and the different university campuses and the different D university campuses 3 universities were formed in the flat, D universities were formed in the hilly ground. When trying to approach from like this point, about circumferential mouth guesses with the fact that the evaluation satisfaction will be high, about the interior environment of the training facility the satisfaction evaluation was high about satisfaction evaluation and step differential line training facility scandal composition, about campus total space the evaluation satisfaction compared in different items and was evaluated lowly. 2. Campus by element by importance and improvement necessity analysis - A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If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becomes characteristic in circumference, the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the area, the important open space area,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small-scale open space and back width (the pedestrian)/transit smoothness, integrated security of subject department facility, location of the laboratory, the lecture room and the laboratory army/arrangement, the interior athletic facility (the gymnasium) the areas of the area and the auditorium, locations of the dormitory/arrangements and whole support facilities about accessibility and each thread sound arresting and each disappointment air conditioning facility, arrangement composition and the life which the university campus are whole from facility environment and the support facility (the material) 19 items of the interior environmental etc. From while reaching satisfactorily, the urethra appeared highly. But applied Z-score,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6E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integrated security of G1 (subject department facilities), H4 (interior motion and location arrangement of the gymnasium) the middle urethra is high but the fire satisfaction appeared relatively lowly from 4 items. Namely, this is being satisfactory about these items and that will be able to except from the item wher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judges. -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The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including the area an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from 22 evaluation items in satisfaction was adopted. B university campuses also to apply Z-score, as a result of the sample results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and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shop and us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bank etc.), A5 (attending school/if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muscle), a-6E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location arrangement of H2 (libraries), location and arrangement of I2 (university headquarters), atmosphere and the image of M4 (university campuses) M5 (studying if from facility environment), M6 (lives from facility/environment) the improvement had to be necessary from 9 items of above,With appeared. If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in these items, location arrangement of H2 (libraries), M6 (lives from facility/environment) items the middle urethra shows the price which is simple the fire satisfaction remarkably in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nd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with a precedence appeared. - C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shop and us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bank etc.) was adopte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on the outside from 23 evaluation items in satisfaction. Applied Z-score in this item and the sample result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with the fact that on the evaluation outsid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from 11 items, about whole rest space appeared. C university campus the middle urethra and satisfaction remarkably about whole rest space, appears lowly, this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is high means the thing very, namely compares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will do first of all thick judges in different items. - D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Was adopte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on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 item outsides from 24 items in satisfaction. Applied Z-score in 24 items and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from sample resultant 11 items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appeared. The campus of D universities the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come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bank and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shop), a-6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J3 (each disappointment air conditioning facility), item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with precedence appeared. About facility and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improvement at the time of first of all about the item which will do to become at the time of judges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must come to precede. This synthesis tried, in 5 items of above M1, K4 and S5 with the item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commonly in 4 university campus facility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in the item wher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A1, a-6E, appeared. When considering the point which is a campus where the campus type is different respectively about the item which is adopted in like this common item are to the campus plan and the improvement and very must be considered in the item which is important.

      • 大學캠퍼스 마스터플랜을 爲한 現況分析과 單位計劃의 連繫性에 관한 硏究 : 사례계획안 분석을 통해서

        김범준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1970년대 3, 4차 경제개발을 추진하면서, 교육부분에 양적인 성장이 이루어져 구체적인 대학캠퍼스기본계획수립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후 1980년대에 들어서는 대학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이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21세기를 앞둔 현재의 기존대학들은 대학연구수용 한계와 다양한 교육기능에 대비한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을 재정비할 시기에 처해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은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을 위한 현황분석과 학사계획, 공간규모계획, 건축기본계획등과 같은 단위계획은 그 자체에만 중점을 두어 독립된 단위과정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연계성의 결여로 짜임새 있는 계획이 되지 못했다. 그리고 캠퍼스의 확충계획 또는 재개발계획시에 현황분석은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캠퍼스마스터플랜의 기본개념과 단위작업의 정확한 내용과 그 단위계획들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실제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설계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두 대학교(안동대학교, 전남대학교)의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보고서를 분석하여 현황분석과 단위계획들이 어떻게 연계되어있는지 밝혔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현황분석작업은 각각 독립적인 작업이라 보여지나, 동일한 목표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된다는 점과 단일사항의 분석결과이지만 총체적, 종합적으로 연계되어서 새로운 자료로 활용된다. 둘째. 단위계획의 작업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단위계획의 기초자료가 되어준다. 즉 하나의 선행되어진 단위계획은 다음 단위계획의 기초자료가 되기도 하고, 그 자체로서 완결되기도 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와 단위계획들의 종합적, 순환적 연계를 위해서는 PERT (Programe Evaluation Review Technique) 또는 CPM (Critical Path Method)기법에 적용하는 것이 작업의 경제성과 정밀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황분석과 단위계획의 구체적인 연계성을 전제로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한다면 합리적이고 짜임새 있는 캠퍼스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lmost of the past university master plans were carried without concrete planning concepts and methods. Master plans means long range development plan and composed by many complicated unit elements. Recently, 1980s, many universities carried on master plan but its process and method were not realized. Especially, analyzed work step and following unit planning steps were carried separately and individually. This study dealt with existing site situation analyzing process and analyzed facts, especially focused on the linkage works between He analyzed facts and oft pl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niversity master plan should not be abstract and visual graphic drawing works. It is a concrete scaling work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spatial point of view. 2. The existing site situation analysis work is an independent as well as a holistic, cyclical one. 3. Each unit plan is carried one by one and each one is connected linearly and cyclically by the feed back, feed forward work. 4. The holistic, cyclical works adapted by the PERT (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and CPM (critical path method) style process will make the university master plan efficiently. The study on this field should be carried forward for the better and practical result based on this study.

      •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통합형 실버타운 개발방안 연구

        순희자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Rapid change in the paradigm of senior citizens’ housing facilities appears when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s takes place in the country. Meanwhile, due to the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another pillar of population, the occurrence of unused facilities and land in university campus has visualized. This study bega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 of silver town in university campus has rational background with the approach of two issues resulted from this demographic analysis. It also applies creative ageing to the development of silver town from the view that we revitalize the elderly as a member of society with creativity not as a subject of care and prote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successful life for them by drawing various measur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geing silver town in university campus by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elderly generation. This study has proceeded to draw a development plan which reflects the views of consumers through the AHP analysis and provid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Summarizing the direction of analysed development from this study,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plan, in which creative aging service flow forms the system of ideal life for the elderly and its value increases, is suggested. Second, the design for accessibility, comfortability, nature-friendliness, facilities of use, and safet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optimize the university land and facilities as a location for silver town’. Third, ‘educational program service’ should include the various programs related to productive technical training, cultural and artistic training, and disease/health care training. Fourth, ‘university infrastructure and network connecting service’ should be utilized by connecting between infrastructure and network. Fifth, ‘life support service’ is require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nd necessary facilities for all aspects of their life. Sixth, ‘personalized-content service’ should be developed as humanities-based, project-based, digital-based, health, culture and arts-based programs. Seventh, it is necessary to produce high-quality customized service for the elderly by applying creative ageing program to ‘preference factor based on consumer values’. Eighth, ‘integrated community between generations’ must be utilized to activate productive functions and increase socia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Ninth, in the aspect of ‘facility connecting utilization’,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should be enhanced by operating social services and interacting with communities. Finally, specific plans to make profits with 'investment-efficient business model', 'integration operated business model', and 'creative activity-based business model' were suggested to realize silver town as university based enterprise economically. The creative ageing silver town development in university campu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a new way to approach the two issues; aging society and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In addition, we hope that university campus becomes the mediator of social unification between old and young generations, and play the pivotal rol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as the place where it provides the support of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ir housing facilities and successful ageing. reative aging, silver town in university campus, university based enterprises, Service Reflux, Physical Connection, Service Support, Integrated Management, Revenue Model, Successful Ageing. 우리나라에서 노인주거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는 베이비부머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시작되었다. 한편 인구의 또 다른 축인 학령기 인구의 감소로 대학의 유휴 시설 및 토지의 발생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에서 기인하는 두 가지 문제의 접근 방안으로 대학캠퍼스 내 실버타운 개발이 합목적성을 갖추고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하였다. 노인인구에 대한 시각이 배려와 보호의 대상이 아닌 창조성 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활동을 활성화 시키는 측면에서 크리에이티브 에이징을 실버타운 개발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세대의 선호요인을 반영한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실버타운 개발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도출하여,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지원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HP 분석을 통한 중산층 대상의 유료노인주거복지로서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실버타운 개발에 대한 수요자의 시각과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하여 조사된 공급자 시각이 균형 있게 반영된 개발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개발의 지향점을 요약하면, 첫째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서비스 환류가 노인의 이상적인 삶에 대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가치가 상승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개발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대학캠퍼스 부지를 활용한 입지의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접근성, 쾌적성, 자연 친화성, 편리성, 안전성 측면의 설계와 디자인이 반영되도록 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에서는 생산적 기능 교육프로그램, 문화·예술적 교육프로그램, 건강·질병관리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넷째, ‘대학 인프라 및 네트워크 연계서비스’는 인적 자원, 정보및 교육시설, 교육목표 실현을 위한 인프라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계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다. 다섯째, ‘생활 지원 서비스’는 생활전반에 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시설지원을 반영하여 개발한다. 여섯째,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는 인문 기반, 프로젝트 기반, 디지털 기반, 건강·문화·예술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서비스한다. 일곱째, ‘수요자 가치관에 따른 선호요인’은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노후생활을 위한 완성도 높은 서비스지원체계의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덟째, ‘세대 간 통합 커뮤니티’는 커뮤니티의 특성에 따라 생산적 기능 활성화와 사회활동 증진 방안이 활용되도록 한다. 아홉째, ‘시설연계 활용’에서는 서비스 운영과 지역사회 교류를 중점으로 실버타운과 지역사회 운영비와 사회적 비용을 줄이면서 사회복지 효과를 증진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캠퍼스 내 실버타운이 학교기업으로서‘경제성’을 현실화하기 위하여‘투자비 절감형 수익 모델’ ‘통합 운영형 수익 모델’ ‘창조적 활동 기반형 수익 모델’로 수익창출이 가능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캠퍼스 내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실버타운 개발방안은 고령사회, 학령인구 감소라는 두 가지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이다. 아울러 대학캠퍼스가 노년층과 청년층의 세대 및 사회적 통함의 매개체가 되고, 노인주거의 질적 향상과 성공적인 노화를 지원하는 장소로서 노인복지에 중추적 역할이 되기를 기대한다.

      • 大學캠퍼스 內의 餘暇活動을 위한 室外空間 計劃에 관한 硏究

        강철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은 진리를 탐구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기관으로 연구와 교육이 행해지는 최고의 교육기관인 동시에 전인적인 인격형성을 위한 인성도야의 장이다. 이러한 일원으로 인간의 사회적 생활을 위한 자원적(資源的) 활동경험(activity experience)인 동시에 일상적인 스트레스나 학업의 긴장감을 해소해 주고 건강한 육체와 건전한 정신을 기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대학에서의 여가활동은 대학생의 전인적인 인격형성을 위한 조건중의 하나다. 그러므로 대학 캠퍼스는 대학생들의 교육·연구뿐 아니라 여가활동에 따른 정신적, 육체적, 학문적 성장을 이룩할 수 있게 조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한국의 대학 캠퍼스는 대학시설 확충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학습공간이라는 기준 위에 양적인 팽창만을 추구하였다. 반면에 건전한 인격형성을 위한 여가활동의 물리적인 환경수용을 위한 옥외공간은 계획되지 않은 공간, 또는 차후 건물 증축을 위한 배경으로 책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기존의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도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그 당시의 필요에 의해 계획되어지므로 대학의 의의가 지니고 있는 연구·학습기능 뿐만 아니라 캠퍼스 내에서 행해지는 대학인의 여가활동을 위한 위계를 파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목적과 사명의 이론적인 근거에 기초하여 대학생들의 건전한 인격형성을 위한 요소 중 하나인 대학캠퍼스 내 여가활동을 위한 캠퍼스 옥외 공간 조성의 건축 계획적인 방안을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결과와 결론을 유추할 수 있었다. 1. 대학 마스터플랜의 수립을 위해서는 교세의 확장, 교육의 내실화, 쾌적한 교육환경조성, 미래의 발전에 대한 대비라는 캠퍼스의 조성목표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결정인자는 대학의 이념, Academic Plan, 대학인의 여가활동(leisure activity), 대학인의 의식구조(belief system), 물리적 환경인자로 구분된다. 따라서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위한 결정인자(決定因子)중 대학인의 여가활동이 중요한 인자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대학생의 여가목적은 건전한 정신의 함양 육체적 성장의 완성, 예술, 문화적인 행위, 스트레스의 해소행위로 캠퍼스의 목적 중 인성도야의 수행장소에 대한 기대행위와 동일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 계획 시 대학인의 여가활동이 중요한 인자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3.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인 결과를 현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조사한 걸과 응답자의 65.08%가 많이 느낀다고 응답하였고, 75%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여가활동이 대학생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여가의 일반적인 의의를 인자분석(因子分析)(factor analysis)을 통해 분석한 결과 안정을 통한 잠재력증진과 인격도야를 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캠퍼스 내 여가활동은 잠재력 증진과 인격도야를 위한 것으로 대학생활에서 필요한 활동이며 대학캠퍼스 마스터 플랜시 중요한 결정인자라는 것을 사회조사에 의해 검증할 수 있었다. 4. 대학의 유형구분을 위해 공간의 규모. 시설물 사용의 편이성, 공간종류의 다양성, 공간의 미적형성에 대한 만족도를 X^(2)-test(유의 수준 0.05)로 검증한 결과 공간의 규모, 공간의 미적형성, 공간종류의 다양성에 따라 통계적(統計的)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통계적 결과를 기초로 대학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지역, 지형, 교지면적, 1인당 점유면적, 건물보유면적, 배치유형, 건립연도를 분석인자로 인자간 상관성을 相關關係(correlation. 유의수준 0.01)에 의해 분석한 결과 지역, 1인당 점유면적, 교지면적이 통계적으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면적조건 중 건물 보유면적은 교지면적 외에 타 인자에서는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부의 법규적인 기준에 의해 필연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 검증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학을 群集分析(cluster analysis)에 의해 유형화 한 결과 한국의 대학은 다음과 같이 유형화됨을 알 수 있었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5. 학생들의 캠퍼스 내 여가활동을 위한 캠퍼스 옥외 공간 형성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학 유형별로 활동의 종류, 장소 및 공간 이용성향, 만족도, 타 행위와의 관계성은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대학 유형별로는 각기 달리 나타나지만 주로 잡담, 독서, 사색, 음악 감상과 같은 정적(靜的)이고 소규모 집단적인 활동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각 유형별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위한 설계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6. 대학 유형별 옥외 여가활동을 위한 캠퍼스 옥외공간의 적정규모는 각 유형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는데 그 규모는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따라서 위의 적정 규모산정 모델을 근거로 옥외여가활동을 위한 캠퍼스 옥외 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조성할 시는 앞에서 정립한 대학의 유형분류 기준을 토대로 대학유형을 설정한 뒤 그 유형에 적합한 여가활동과 공간형성 기준을 근거로 본 산정식(算定式)을 적용하므로 캠퍼스 마스터플랜 결정인자 중 여가활동을 위한 물리적 외부 환경 조성을 위한 계획방안을 설정할 수 있다. A university is a group of individuals searching for and studying the truth, so it is the highest of all education centers. At the same time, a university builds one's character. This infers that leisure activity in a university is a condition that facilitates the ability to create a healthy body and healthy soul, Additionally, active experiences for a human social life take people away from daily stresses and release the tensions of university studies. Therefore, a university campus should be built not only for students researching and studying, but also to aid in the growth of a students body, soul and mind,. However, at university campuses in Korea, quantity of growth is pursued at the expense of quality,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 construction of university facilities based only on criteria for making an institution for study and research On the other hand, space that can be used for leisure activity to build sound character is only planned as an afterthought for future building construction expansion, with no consideration given to the real users of the space. Even though the master plan for a university generally has a development plan, it often destroys the structure of leisure activity for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research will show devices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building up campus leisure activity space. It will also develop the following theoretical hypotheses: 1. When creating a university master plan,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promotion of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development should be of primary consideration. There are several factors to aid this. The factors are: the academic plan, leisure activity, the belief system of university students and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earch presented here tells u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veloping the master plan of a university is leisure activity. 2. The goal of university students in having leisure time is to develop a healthy body and soul and to grow as individuals. Leisure helps create a cultural growth, a cultured person and helps to rid the body of stress. Essentially, it should be the same ultimate goal of a university to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have a place for building their character. Therefore, when people create a master plan for a university they should consider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as an important factor. 3. After determining the theoretical hypothesis,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how much they need leisure activity. 65.08% of students answered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have leisure activity. 75% of stu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how important leisure activity is for university students, an analysis was done to determine the general meaning of leisure by factor analysis. The question of how important leisure activity is to students is what was analyzed. The conclusion is that having leisure time is important in building up students character and strengthening their potential and inner-consciousness. This means leisure activity on campus is an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students inner-consciousness and building character during their university life. It is therefore a crucial factor of the master plan. 4. The inspected university types are classified based on a determination of how large a space is, how easy the space is to use, the quality and variety of the space and the beauty of the space. Testing was done using the X^(2)_test method (the degree of error for the test is 0.05). The conclusion of the test is that there is a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people are satisfied due to the size, beauty and variety of the space. Based on this statistical result in classifying the type of university, an analysis was done of the co-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e degree of error for the test is 0.01) The factors analyzed are geographic location, topography, amount of study space, size of the space, amount of space per person, space occupied by buildings, building arrangement type and the time period of the buildings construction.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is that geographic location, amount of space per person and amount of study space has a high statistical correlation to each other. The amount of space occupied by buildings does not have a high coπelation other than with the amount of study space. After having examined a university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is research, the resul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 regulation criteria for campus development.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5. To show the criteria for leisure activity of students within campus outdoor spaces, the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activities and spac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lso analyzed was the space-use tendencies and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spaces according to the university type. The results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university, however, stationary small group activities like casual conversation, reading books, contemplating and listening to music are common desired spaces for all types. The main flow of the design for campus plan classified individually is the following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6. The proper size of outdoor campus space for outdoor leisure activity depending on the type of university is delineated below.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Based on the above model for appropriate space size, when a plan is developed for outdoor leisure activity on a campus,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types should be reviewed and the university type defined. The formula above can then be applied. The formula is based on the criteria of leisure activity and the formation of space. This can give direction for planning the leisure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along with the other crucial factors for a campus master plan.

      • 대학캠퍼스 상징성 시설물의 외관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장옥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상징성 시설물의 외관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4가지 이론(첫째, 설립연도에 대한 대학캠퍼스의 인지도, 둘째, 대학캠퍼스의 규모차이로 인한 인지도, 셋째, 상징성 시설물로 인한 인지도, 넷째, 대학의 레벨에 따른 인지도)을 가정으로 설정하여, 그 중 1가지 이론(셋째, 상징성 시설물로 인한 인지도)을 가설로써 접근한 연구였다. 가설에 대한 검증적 이론으로는 외관학적 요인 4가지 유형적 요인의 색채와 형태의 관계성과 무형적 요인의 건축 언어적 표현과 사회적 영향을 설정하여 이를 지각과 인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내용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 방법의 내용으로는 통계적 분석에 의한 평가 3가지와 SD법에 의한 이미지 분석으로 그룹지어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캠퍼스 시설물의 외관학적 상징성 평가 둘째, 대학캠퍼스의 브랜드 가치요인 셋째, 유무형적 요인의 통합 평가 넷째, SD법에 의한 이미지 평가 위의 4가지 방법으로 분석한 내용은 각 대학캠퍼스는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시설물이 브랜드적인 가치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시설물에 대한 외관학적 요인으로는 형태와 건축 언어적 표현이 가장 큰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대학캠퍼스의 이미지 요인에서 부정적 인식 요인으로 추출된 [기억하기 어려운, 품위 없는]은 외관학적 요인 [형태와 건축 언어적 표현]으로써 해결할 수 있음을 본 논문에서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establishes four theories(first, awareness of campus about its foundation year, awareness of size difference between campuses, third awareness of symbolic facilities, and fourth awareness the level of colleges) as hypotheses to examine external factors of symbolic facilities in campus, and it approaches one theory(third, awareness of symbolic facilities) out of them as a hypothesis. As the verifiable theory about the hypothesis, the relations between colors and forms of four tangible factors among external factors as well as linguistic expression of architecture and social effects of intangible factors a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m into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method of the survey were divided into the groups of three analyses and image analysis using the SD method,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n external symbolism of campus facilities Second, brand value factors of campus Third, integrated evalu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Fourth, image evaluation by means of the SD method The contents analyzed by the above four methods show that symbolic facilities of each university campus serve as the brand value, and the form and linguistic expression of architecture among external factors of the facilities are found to be biggest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has found [difficult to remember, graceless] selected as the negative awareness factor from image factors of university campus can be solved by using external factors [forms and linguistic expression of architecture].

      • 대학캠퍼스경관의 지속적인 UAIP(University Architectural Identity Program) 형성방법에 관한 연구

        차영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가 하나로 글로벌하게 변화하고 경제구조가 산업화에서 정보기술화로 변화하면서 국가, 도시, 대학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대학 간의 차별화가 점점 어려워지고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우수학생을 유치하고 한편으로는 급증하고 있는 자금수용를 충당하기 위해 대학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관마케팅에 초미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획득할 수 있는 차별화 전략으로 대학브랜드이미지가 경쟁우위의 브랜드 자산구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학이미지 제고를 위한 UIP(University Identity Program)를 선행조사를 한 결과 UIP의 3가지 구성요소인 MI(Mind Identity), BI(Behavior Identity), VI(Visual Identity)에서 간과된 AI(Architectural Identity)의 중요성을 대하여 우선적인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지 내 다양한 건축언어가 산재해 있을지라도 비교적 계획적 구축되어온 대학캠퍼스의 아이덴티티(University Architectural Identity)를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를 형성하여 대학의 고객대상에게 일관된 이미지를 제공하여 좋은 이미지를 전달하려는 UAIP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는 정체성(Identity)의 정의인 동질성(Sameness)과 개별성(Individuality)으로 건축가의 자아실현을 통한 정체성 발현으로 건축디자인의 구성체계를 건축물의 아이덴티티(AI)라고 개념화하였다. 둘째는 건축물의 아이덴티티(AI)의 개념화에 따라 대학캠퍼스의 아이덴티티는 개별 건축물의 아이덴티티(AI)의 합으로서 대학캠퍼스 건축물의 아이덴티티(UAI)는 동질성(Sameness)인 가이드라인과 개별성(Individuality)인 건축가의 건축디자인으로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통합된 건축물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셋째는 대학캠퍼스 건축물의 아이덴티티 프로그램(UAIP)는 원형이 존재하는 경우와 부재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원형(Archetype)이미지가 될 수 있는 환경디자인요소까지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Kevin Lynch는 만들어진 이미지가 심미적으로 즐거운 경험을 부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미적가치를 창출하고 보존하는 데는 몇 가지의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대학캠퍼스를 사용하는 사람과 제3자에게도 중요한 가치이므로 ‘누구의 가치를 우선할 것인가’하는 것이다. 역사적 건축물의 미적가치는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지속성을 가지고 있으나 기능적인 가치는 그 시대 또는 생활양식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기능적인 가치를 감소하면서도 미적가치를 보존해야하는 모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대학캠퍼스 이미지먼트 관리자는 UAIP의 POE를 실행하여 대학캠퍼스 건축물의 아이덴티티(UAI)를 하나로 묶어(Bend)주기에 가장 적합한 건축·환경적인 원형이미지요소의 가이드라인을 우선 선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학캠퍼스의 확장 시 건축가의 창조성으로 다양성을 가진 통일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대학캠퍼스 이미지먼트 체계를 구축하여 대학의 고객대상에게 좋은 이미지를 전달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브랜드 자산구축 전략을 UIAP라고 본 논문에서 강조하는 바이다.

      • 대학캠퍼스 지하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10개 대학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고영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80년대 중반이후 대학정원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한정된 대지에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한 고층건물이 캠퍼스 마스터플랜에 벗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캠퍼스마다 상징물과 역사적인 건물에 경관적인 측면에서 상당부분 침해를 받고 동선계획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 늘어나는 학생수에 비해 오픈스페이스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지하공간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더 이상 확장이 불가능한 서울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지하공간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고려대학교의 경우 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주후 평가를 통하여 지하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불만족 요인을 밝혀내려고 하였다. 또 서울소재 10개 대학을 대상으로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문을 통하여 지하공간의 개발 위치, 필요로 하는 공간, 고려해야할 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또 앞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10개 대학을 선정하여 각각 조사한 결과 공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77.6%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6.4% 충분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6%로 대부분의 학생이 공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지의 선정은 대체로 공동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선택한 것을 볼 수 있고 희망 용도는 편의시설이 46.2%이상, 강의실19%, 도서관14.2%, 주차장 13.4% 행정시설이 7.1%로 조사되었다. 환경적인 면으로는 전체의 39%가 환기에 주의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26.6%는 조명, 폐쇄감 13.7%, 피난 8.4%, 소음 6.8%, 방향감 5.4%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환기와 조명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각 대학마다의 대지환경에 맞추어 학생들이 요구하는 공간과 지하로 다른 건물과 연결하는 지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Since 1980', the growth of universities in korea have brought of a rapid increase of campus user but the improvements in the aspect of qualities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and the space for students is not enough. For this space insufficiency, many buildings were built in campus. It brings many problem - damage a memorial, unbalanced path, insuficient open space. This study focused on there are need to improve the underground space in campus and consider the environment in the underground space. For the case study, ten samples - Kwangwoon univ, Dankook univ, Dongguk univ, Sungkyunkwan univ, Sejong univ, Soongsil univ, Chung-ang univ,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nsung univ, Hongik univ - were selected among thirty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Do you think it is enough to use the space in your university? Yes ; 77.6 % / No ; 6 % / None of these ; 16.4 % 2. Select a space for the underground space library 14.2%, lecture room 19%, facilities(a rest room, a lounge etc) 46.2%, administration 7.1%, parking 13.4% 3. Select a consideration in environment ventilation 39%, lighting 26.6%, noise 6.8%, evacuation 8.4%, closing 13.7%, direction 5.4% Therefore each of universities need to expand facilities, lecture room, library and to consider ventilation, lighting, closing in th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 大學캠퍼스와 地域社會의 連繫性에 관한 硏究 : 京畿地域 第 2 캠퍼스를 中心으로

        유병안 明知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 대학 캠퍼스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대학과 주변여건변화 과정을 통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 사례조사를 통하여 문제 해결방안으로써 대학이 위치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법을 제시한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들이 앞으로 수년간 지금까지와는 다른 수많은 여건변화를 겪어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은 물론 대학캠퍼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다는 것에 의미를 가진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범위와 방법,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의 검토에서는 기존 대학캠퍼스 관련 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학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요소 중 연구의 대상이 대학시설에 극히 치중되어 있었고 포괄적 측면에서 대학캠퍼스가 위치한 지역사회와 연관되게 분석하고 있지 못하여 대학이 앞으로 당면할 여러 여건변화에 단지 도식화된 계획안으로서의 연구만이 있음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계속되는 연구들을 통해 여러 여건변화에 적응하며 실제로 실현될 수 있는 다양한 분석들이 나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제 2장에서는 연구의 대상인 대학캠퍼스의 성립과 그에 따른 대학캠퍼스와 사회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대학이 지역사회와 이루었던 관계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이상적인 대학과 지역사회의 관계를 산업혁명 이전 대학과 지역사회가 이루었던 상호보완관계로 규정하고 현재의 대학에서 이러한 관계로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시설로서의 대학상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현재 모습을 살펴보고 그러한 모습으로의 변화를 주변여건변화과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대학정책변화에 따른 캠퍼스의 지방이전 현상과 그에 따른 문제점으로 대학의 지방캠퍼스, 특히 서울과 인접하여 이용학생 대다수가 서울에 거주하는, 경기지역 대학캠퍼스가 각기 위치한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부지는 물론 지역사회와 아무런 관계를 설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2000년까지 완전 개방될 교육시장 개방분석은 위와 같은 문제점과 더불어 대학이 지역사회와 연계를 이루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제 4장에서는 제 3장에서 제시된 문제들을 토대로 경기지역에 위치한 대학 중 서울과 동시에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는 7개 사립대학을 항목별로 사례조사하였다. 이 같은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에서 앞서 제시되었던 지역사회시설로서의 대학상을 고려한 시설배치 및 마스터플랜이 마련되어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제 5장에서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대학문화단지 조성을 위하여 건축계획적, 도시계획적 측면의 방안을 고찰하였다. 대학과 지역사회간 연계가 가능한 시설물의 대학캠퍼스 내 배치와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학캠퍼스주변의 개발방법을 도시계획법의 검토를 통하여 살펴 보았다. 제 6장에서는 앞에서 조사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종합, 대학과 지역사회간의 연계 방안으로 유형적 연계와 무형적 연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외에 대학시설기준령과 연구과정에서 답사 조사하였던 28개 대학의 시설배치도면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university campus, and community to have suggested the connecting method of university with the community as the solution to that issue through cause analysis and case survey via changing process of university and surroundings which our present university campus has hel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rasped for the activation plan of university campu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by means of connection with community at the time when our universities have to go through many other condition changes for years to come. Chapter 1 examine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 of study, study precedent. In reviewing the study precedent, a problem was found that there is a study as schematized plan to many changes of condition for universities to confront with because the subject of study among the elements of university campus plan is extremely focused on the university facilities and in the comprehensive aspect, not analyzing the subject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in which universities are located, according to this it is expected that many applicable and realizable analyses to changes of conditions would come out. Chapter 2 consider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y campus as the subject of study, the relation of university campus and society. Also this study defined the relation of ideal university and community as mutual supporting one of pre-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y and community through analysis about change of relation historically formed between them, suggested an image of university with communal facility as a part of necessary efforts for the development to this relation. Chapter 3 looked into the present look of the university in our country, considered the change to that condition by means of change process of surroundings. Also this chapter pointed out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transfer phenomenon of campus due to the change of university policy that university campuses of Kyunggi-Province where are close to Seoul, whose most students reside in Seoul, have isolated locations from and no connections with community. In addition, the analysis for the openness of educational market to be completely opened by 2,000 brought on the necessity that the university be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and the above problems, Chapter 4 surveyed the cases of 7 private universities with campu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mong the one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based on the problems presented in Chapter 3. As a result of this survey, most universities in our country have not prepared the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master plan considering the university image as communal facility previously presented. Chapter 5 considered the plan of architectural and municipal aspects to form the university cultural complex through the connection of university and community. This chapter looked into the method of arranging the community connectable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 developing the surrounding of university campus isolated from the community by means of reviewing the city planning law. Chapter 6 comprehensively integrated the above examined contents, presente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onnection method as a plan of connecting university and community. Besides, the drawings for facility arrangement from 28 universities investigated during study process were added as an append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