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운영과 역할에 관한 연구

        박인기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define the ideal operation program and role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and I have studied about operation program and present figure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recruiting oversea students and its care, and role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so on with various documents and surveys. The following is present figure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First, there have been only around 10 institutions until late 1990, but nowadays, almost every university is pitching in through recruiting oversea students, opening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beginning operation. Second, we realized that each institution ha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by level or educational objective, and also they operate regular courses, sub-regular courses, teaching methods, and well-rounded educational media for step-by-step process. Third, we understand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quality and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instructors for the customers (students) satisfaction and high-qualified operators for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urth, it must have a very important recruiting plan of foreign students for its operation. It is caused by many Chinese students incoming to Korea, the Korean Wave, Foreigner Employment License System, making form a basis of policy for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state level, and so on, and these grounds increase demand of Korean studying. Fifth, man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recruiting students from diverse countries to improve its educational quality, with one financial effect. However, some of local universities devote their all energies to recruit foreign students to make up for matriculation regular number providing them full tuition waver, dormitory fee waver, and so on. I also tried to find the role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First,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 has promoted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world and it is a valuable part of the Korean Language’s globalization. Secondly, it has a strong point to make university’s financial stability. Thirdly, it is constructing the university’s image of globalization. Finally, it has an effect of advertising for the university. It is very clear that the university should know what it has to choose and what it has to concentrate on for the strengthening of its competitive power. Also, the university has to keep its specialization in education and research, especially in the changing time of globalization.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 and university official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foreign students must be involved.

      •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외국인유학생 유치 활성화방안

        김화영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9

        이 연구는 대학의 바람직한 국제화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외국인유학생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UR협상에 교육분야가 포함되고 WTO체제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말미암아 교육에 대한 타율적인 개방의 압력이 증대되는 오늘의 시점에서,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교육열과 많은 교육비용에도 불구하고 국내교육서비스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욱이 고등교육시장의 개방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대비하여 대학에서 국제화 시대를 어떻게 수용하고 대처하느냐의 문제는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가치관과 태도·능력을 갖춘 경쟁력있는 인력을 배출하는 교육여건을 조성하는 일이다. 또한, 이는 무한경쟁의 세계관계 속에서 한국의 생존을 보장하는 강력한 대응전략이 될 것이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지위와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가발전의 전략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 국제화의 의의와 과제를 찾고,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개선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 교육시장 개방과 관련한 대학교육국제화의 이론적 배경과 외국인유학생 유치의 필요성을 제기 하고, 외국의 유학생 유치정책 특히, 미국과 일본, 중국의 경우를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연구의 모델을 제시하고 연구에 사용된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 하였다. 사용된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문헌·학술지·통계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의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제4장에서는 울산·부산지역에 소재하면서 외국인유학생유치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6개 대학을 중심으로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현황을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사업, 국제업무 담당기구 및 홍보활동, 외국대학과의 자매결연 체결현황, 외국인유학생 교류현황 등의 네 가지 측면에서 현황을 조사하였다. 제5장에서는 면접, 자료조사 등의 사례연구 통하여 밝혀진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응한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문제점으로는, 첫째, 국비유학생과 자비유학생의 불균형, 둘째, 국제업무와 관련한 행정조직체제의 미비, 셋째, 외국인유학생의 국내 수학·생활 여건의 취약, 넷째, 유학생 유치를 위한 해외 유학박람회 등 홍보미흡 등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입각하여 국내대학의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활성화를 위하여 결론적으로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사업의 확대·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제교류 및 국제화교육과 관련한 행정체제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외국인유학생 수학·생활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유학 홍보강화 및 한국문화 보급이 확대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바람직한 국제화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영역 가운데 국내대학의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과 관련한 부분에 집중하여 연구하였으며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네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시간적·경제적 제약으로 국내 모든 대학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가 불가능하여 울산·부산지역에 소재해 있는 4년제 대학들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연구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본인의 연구가 교육개방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대학의 국제화교육과 관련된 여러 측면을 개선하고 정책을 모색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이 국제화 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영휘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학은 기존의 학문기관으로서의 역할 이외에도 새로운 지식 창출과 인적자원개발 등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 최근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경쟁이 점차 치열지면서,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국제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외국인 교원과 유학생 유치를 위해 정부차원의 노력을 하고 있다. 대학들 역시 대학 주도의 국제화 프로젝트를 수립하여 시행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적극적인 인적·물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에 대해서 의구심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에서 비롯된 연구문제를 기본으로 하여 대학의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이 국제화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국제화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세계무대에서의 살아남을 수 있는 대학의 경쟁력 강화가 중요시되어졌고,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 대학의 국제화가 진행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대학의 국제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학의 국제화의 배경과 개념, 국제화 교육과 국제화 의식 등 본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인 내용을 선행연구 및 문헌을 기초로 하여 검토·분석하였다. 본래 대학의 역할은 연구와 인재양성에 있었으나, 국제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세계무대에서 경쟁할 수 인재의 양성과 지구촌 시대에서 살아나갈 세계시민 양성이라는 대학의 국제화 교육의 목표를 실현을 위해 정부와 대학 차원의 국제화 교육을 실시하고, 국제화 의식 함양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선행연구 검토에서는 본 연구 이전의 국제화 교육과 관련한 연구와 대학생의 국제화 의식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와 국제화 의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제4장 연구방법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가설, 조사 설계, 연구 대상자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였다. 연구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 18.0을 활용하였고, 한 대학의 대학생 300명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269명의 유효응답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국제화 의식 측정 도구는 정선민(2004)이 김영화·김현덕(1995; 335-366)의 ‘국제 의식과 태도 조사’라는 설문지에서 타국인에 대한 의식과 태도, 국제문제에 대한 의식과 태도에 관한 부분을 인용하여 24개의 문항으로 수정·보완한 정선민(2004)의 설문지를 재인용 하였다. 제5장 연구 결과 및 분석에서는 대학생의 국제화 의식. 즉, 타문화의 수용, 국제문제에 대한 관심, 국제문제의 해결의지, 세계 지향적 의식이 대학생들 개인의 특성과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연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외국어의 수, 입학 전 해외 체류 경험 여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한 학생들이 국제화 의식 수준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6장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와 분석을 근거로 대학에서의 외국어 교육 강화, 대학과 초·중등교육 기관 연계한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입학 전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 강화,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 분석·관리 체계 도입,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사전 준비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정부와 대학 차원의 국제화 교육 전략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21 Century has become a knowledge information based society which now progresses into the globalization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In this era,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than just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places where new knowledges and opportunities are created. As the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have merged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are growing rapidly, the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enhance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n government also has tried to make efforts to invite foreign teaching staff and international students. Along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universities are coming up with a lot of international projects. However, despite many active efforts, there remains questions about its effectiveness. The first chapter in this paper describes the purpose and the needs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is about the internationalization in universities and the aim of international education. The third chapter discusses and analyzes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international education as well as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awareness. Through this process, I recognize there is lack of research not only on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programs but also on international awareness. The fourth chapter talks about research methods and survey design, used in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Using SPSS 18.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targeting college students was carried out. 300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269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Also, this survey takes the measuring tools that Jeong seon-min(2004) mentioned. The fifth chapter presents and analyz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variables on subjects in the questionnaire such as students' a sense of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and their interest in international issues and their will to solve them. In addition, the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college students' world-oriented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hether the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the resear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grade, the number of foreign language that they can use, and their overseas experience. Also,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have much higher level of international awareness than those who didn't. In the last chapter as a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analysis, I emphasize the need to strengthe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olleges or universities. Furthermore, we should develop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conne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 concludes with the suggestions on the specialized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s with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realiz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 대학 국제화의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잠재전이 분석 : 2013-2023을 중심으로

        이은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32319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has long been regarded as a critical task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ecur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higher education market. The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also concentrated significant resources and efforts to internationalization as a means of responding to changing societal and demographic environments and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despite these policy efforts and the strategic focus of universities, empirical research on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seeks to address this gap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to analyze the types and transition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period around the 2010s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active promotion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as a government policy. It analyzes latent profile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at three time points, spanning from 2013 to 2023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ization types observed at each time point. Furthermore, it focuses on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latent profile types and the transition patterns between types over tim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were reviewed, and a research model along with key variables were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of universities were divided into student and faculty metrics. Student indicators included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degree-seeking students, exchange·visiting students, and outbound students, while faculty indicators included the proportion of foreign full-time faculty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publication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Factors influencing thes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size, and location, while condi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included accredit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capacity, designation as a government-sponsored foreign student program institution, the number of partnership institutions, international curricula, and dormitory accommodation rates. Data were collected and compiled from sources such as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education statistics,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University Info by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press releas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the Korean Study Abroad System, and the websites of individual universitie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 type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from 2013 to 2023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the transitions between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 types over time. LPA offer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by combining the indicator variables used to measur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allowing for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alyzed(Valle et al., 2019). In Korea,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began in earnest around the 2010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oreign student recruitment and management capacity accreditation system in 2012 marking the completion and implementation of representative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how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has progressed and changed in practice under the policy interest and efforts toward internationalization. Accordingly, 2013 was chosen as the starting point of analysis, marking the beginning of the multifaceted implementation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The period from 2013 to the present in 2023 was divided into three equally spaced time points—2013, 2018, and 2023—and LPA was conducted at each time point. Additionally, two latent transi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process of transitions between profile types from 2013 to 2018 and from 2018 to 2023.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on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from 2013 to 2023 revealed a general upward trend in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degree-seeking students, exchange/visiting students,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s per full-time faculty consistently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government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and universities' efforts, primarily aimed at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enhancing research competitiveness, have been relatively successful. However, the proportion of foreign full-time faculty showed a continuous decline. This trend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lower policy prioritization for recruiting foreign faculty and the compounded effects of foreign faculty attrition. Seco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identified three profiles in 2013, four in 2018, and three in 2023. In 2013, the profiles were classified as Low Internationalization (79.2%),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15.8%), and High Internationalization (5.0%). In 2018, the profiles included Low Internationalization (69.2%),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23.3%), High Internationalization (5.8%), and a new profile named High Internationalization (Student-Focused) (1.7%). By 2023, the profiles reverted to Low Internationalization (73.3%),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22.5%), and High Internationalization (4.2%). Universities in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generally exhibited higher values across most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However, the proportion of foreign full-time faculty displayed a somewhat contrasting trend. This discrepancy seems to reflect variations in the demand for or extent of foreign faculty recruitment based o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r rankings. Specifically, top-tier universities appear to have relatively less demand for foreign faculty recruitment compared to lower-ranked universities. Third, an examination of common characteristics across the latent profiles in 2013, 2018, and 2023 revealed that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primarily consisted of large universiti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In contrast,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group was mainly composed of small-to-medium-sized universities in regional areas. This indicates a polarization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levels based on location and size in South Korea. Additionally, universities with higher levels of internationalization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government-sponsored foreign scholarship programs and had a greater number of exchange/partnership i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curricula. However, dormitory accommodation rates tended to be lower in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Fourth, an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that influenced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s showed that the number of exchange·partnership institution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at all three time points (2013, 2018, and 2023). It was identified as a key factor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transitioning from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group to the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 Additionally, in 2013, dormitory accommodation rates were a significant factor, while in 2018,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and in 2023, location and participation in government-sponsored foreign scholarship programs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transitions to the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 Fifth, the results of two latent transi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universities in the "Internationalization Maintenance" group was the highest, indicating that the relative level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tended to remain relatively fixed. Excluding the maintenance group, upward transitions were more common between 2013 and 2018, whereas downward transitions became more prevalent from 2018 to 2023. These transitions were primarily observed between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and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s. In contrast, upward transitions to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were extremely rare, highlighting a strong degree of stratification and rigidity in the higher-tier groups. Sixth, an analysis of cases where universities transitioned upward from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group to the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 identified three significant factors during both transition periods: the proportion of exchange·visiting students, the proportion of outbound students, and the number of exchange·partnership institutions. These factors were confirmed as key drivers of upward transitions. Additionally, universities in the upward transition group were more likely to be public or large-scale institutions compared to those in the maintenance group.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s per faculty member, participation in government-sponsored foreign scholarship programs, and the presence of internationalized curricula. Seventh, the 2018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results identified a small group, accounting for 1.7% of the total (two universities). This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outbound students and foreign full-time faculty compared to other groups. Based on the close association of these two indicators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the group was named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Student Competence Development-Focused)” group and recognized as a distinct category. The two universities in this group originally belonged to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and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s in 2013 but transitioned to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Student Competence Development-Focused) group in 2018 and subsequently to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in 2023. This represents one of the few cases of upward transitions to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and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as a continuously upward-moving exampl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 universities need to comprehensively review and refine their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to ensure they effectively enhance their levels of internationaliz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exchange and partnership institution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verall internationalization. Specifically, it was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universities transitioning from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group to the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 showing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alyzed. While recent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have shifted focus from forming traditional partnerships to attracting and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partnerships are not entirely separate from student recruitment efforts. In fact, strategic partnerships play a vital role in enhancing internationalization from a long-term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llaboration when formulating their strategies. Second, universities with low levels of internationalization need to develop specialized strategies based on their unique institutional or regional strengths. Although overall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have improved between 2013 and 2023, the proportion of universities in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group remains high, and the relative levels of internationalization among universities have shown a tendency to remain fixed over time. To overcome these initial disparities, differentiated strategies tailored to the strengths of less internationalized universities are required. The study identified the number of partnerships and participation in government-sponsored foreign student programs as significant factors for transitioning from the Low to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s. Thus, low-internationalization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pursue meaningful partnerships, even if limited in number, and leverage government programs effectively. Similarly, the government should formulate supportive policies that account for the inherent challenges faced by low-internationalization universities, such as their type of establishment or location, while guiding these institutions to strategically focus their resources and efforts. Third, universities must develop measures and adopt attitudes that enable flexible responses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study found that between 2018 and 2023, the upward trend in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slowed, and the number of downward transitions between latent groups increased. These changes are attributed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universities need to prepare detailed strategies for scenarios where in-person international exchange is difficult. These strategies could include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and exchange program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virtual recruitment and promotional channels. Furthermore, to maintain and advanc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amidst divers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nstitutions must adopt a proactive and adaptive approach to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lternatives in response to external disruptions. Fourth, universities need to recognize the recruitment and support of foreign full-time faculty as a key component of their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and implement these initiatives strategically. The study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foreign full-time faculty has been steadily declining and that universities with higher levels of internationalization often exhibit lower proportions of foreign full-time faculty. Furthermore, the trends in foreign faculty proportions have shown considerable volatility over time, reflecting inconsistencies or contradictions with broader internationalization trends. Foreign faculty, when their excellence and stability are ensured, can play a critical role in fostering a multicultural campus environment, enhancing students' global competencies through foreign-language instruction, facilitating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and producing globally competitive research outcomes.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the recruitment of foreign faculty is often driven by a desire to improve university rankings or meet performance metrics, rather than as a genuine strategy for internationalization. Additionally,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for foreign faculty has led to their increased attrition.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universities to rethink their perceptions and policies regarding foreign full-time faculty.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foreign faculty policies that align with their uniqu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goals while ensuring systematic execution and follow-through. Fifth, universities should interpret the core concepts and domains of internationalization from an integrated and organic perspective and establish their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tudy found that the 2018 High Internationalization (Student Competence Development-Focused) group represents a rare case of upward transition to the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It is also a continuously upward-moving case and demonstrates how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ization are interconnected. This group, initially classified under the Low Internationalization or Moderate Internationalization groups in 2013, transitioned to the Student Capability-Focused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in 2018 and further advanced to the overall High Internationalization group in 2023. This transitio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the international competencies of domestic students as a foundation for embracing international mobility. It highlights that the core concepts and domains of internationalization, such as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encies of domestic students, expanding and accommodating international mobility, producing internationally competitive research outcomes, and recruiting foreign faculty to support these goals, should not be pursued in isolation or as fragmented efforts. Instead, universities should design their strategies in a way that recognizes the interconnections among these elements and promotes a virtuous cycle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internationalization. 고등교육 분야에 있어서 대학의 국제화는 세계 고등교육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강화화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오래도록 주목받아 왔다. 우리나라 정부와 대학 역시 변화하는 사회적·인구적 환경에 대응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국제화에 집중하여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노력과 대학의 전략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학 국제화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자 대학 국제화의 유형과 변화를 추적하는 실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국제화가 정부 정책으로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시점을 2010년대 전후로 보고,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대학 국제화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세 시점에 걸쳐 분석하여 각 시점에 나타난 국제화 유형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형 간 전이 양상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주요 변수를 설정하였다. 대학 국제화 지표는 학생 지표와 교원 지표로 나누고, 학생 지표에는 학위과정 유학생 비율, 교환·방문학생 비율, 파견학생 비율을 포함하였으며, 교원 지표에는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 전임교원 1인당 국제 논문실적을 포함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특성 요인과 대학 국제화 여건으로 나누고, 대학 특성 요인에는 대학의 설립유형, 규모, 소재지를 포함하였고, 대학 국제화 여건에는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인증여부,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 사업대학 여부, 교류·협력기관 수, 국제화 교육과정, 기숙사 수용률을 포함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 데이터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학알리미 공시자료, 교육부 및 국립국제교육원의 보도자료, 한국유학종합시스템 및 각 대학별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 구성하였다.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대학 국제화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수행하였다. 또한 분류된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이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잠재전이분석(LTA)을 수행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은 대학 국제화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표 변인들이 서로 결합하여 분석에 활용됨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 대상이 갖는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Valle et al., 2019). 우리나라에서 대학의 국제화는 2010년대를 전후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2012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역량 인증제 시행을 기점으로 현재까지의 대표적인 국제화 정책이 완성·시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국제화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노력 속에서 실제로 대학의 국제화가 어떻게 진행되었고,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고 있기에, 이 점에 기반하여 대학 국제화 정책이 다각도로 시행되기 시작한 2013년을 최초 분석 시점으로 선정하고, 2013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의 기간을 2013년, 2018년, 2023년 동일한 간격의 세 시점으로 구분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시점별 분류 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이되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3년에서 2018년, 2018년에서 2023년으로의 두 차례의 잠재 전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대학 국제화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대학 국제화 지표는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위과정 유학생 비율과 교환·방문학생 비율, 전임교원 1인당 국제 논문실적이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이에 근거할 때 국제 학생 유치와 연구경쟁력 강화를 주된 목표로 하는 정부의 국제화 정책과 대학의 노력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외국인 교원 채용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가 낮아지고, 기존 외국인 교원의 이탈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둘째, 대학 국제화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2013년 3개, 2018년 4개, 2023년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2013년은 국제화부진(79.2%), 국제화보통(15.8%), 국제화우수(5.0%)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2018년은 국제화부진(69.2%), 국제화보통(23.3%), 국제화우수(5.8%), 국제화우수(학생역량중심형)(1.7%)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2023년은 국제화부진(73.3%), 국제화보통(22.5%), 국제화우수(4.2%)로 분류되었다. 국제화가 우수한 집단일수록 대부분의 하위 국제화 지표에서도 높은 값을 보였으나,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은 다소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외국인 교원 채용에 요구나 추진 정도가 대학의 특성이나 서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최상위권 대학의 경우 상대적으로 서열이 낮은 대학에 비해 외국인 교원 채용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2013년, 2018년, 2023년 잠재프로파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면, 국제화우수 집단은 대부분 수도권에 소재한 대규모 대학으로 구성된 반면, 국제화부진 집단은 주로 지방에 소재한 중·소규모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리나라 대학의 국제화 수준이 지역과 규모에 따라 양극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제화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 사업의 대상교인 경우가 많았으며, 교류·협정기관 수와 국제화 교과과정 설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기숙사 수용률은 국제화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과 국제화 여건을 분석한 결과, 교류·협정기관 수가 2013년, 2018년, 2023년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나 국제화부진 집단 대비 국제화보통 집단으로 포함될 확률을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2013년에는 기숙사 수용률, 2018년에는 대학의 설립유형, 2023년에는 대학의 소재지와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 사업이 국제화부진 집단 대비 국제화보통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두 차례의 잠재 전이 분석 결과, 국제화 유지 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대학 국제화의 상대적 수준이 비교적 고착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화 유지 집단을 제외하면, 2013년부터 2018년까지는 상향 전이 사례가, 2018년부터 2023년까지는 하향 전이 사례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전이는 대부분 국제화부진 집단과 국제화보통 집단 간의 이동에서 관찰되었다. 반면, 국제화우수 집단으로의 상향 전이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 상위 그룹의 고착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국제화부진 집단에서 국제화보통 집단으로 상향 전이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교환·방문학생 비율, 파견학생 비율, 교류·협정기관 수가 두 차례의 전이분석 기간 모두에서 유의미한 요인으로 도출되어, 이들이 상향 전이의 핵심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향 전이 집단은 유지 집단 대비 국·공립대학이거나 대규모 대학인 경우가 많았으며, 전임교원 1인당 국제 논문실적 수,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 사업대상교 여부, 국제화 교육과정 설치여부에서도 유지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2018년 잠재프로파일 분류 결과, 전체의 1.7%(2개교)에 해당하는 소수 집단이 도출되었다. 이 집단은 파견학생 비율과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은 특성을 보였는데, 두 지표가 학생의 국제화 역량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국제화우수(학생역량중심형) 집단으로 명명하고 별도의 집단으로 인정하였다. 해당 집단에 속한 두 개의 대학은 2013년 각각 국제화부진과 국제화보통 집단에서 출발하여 2018년 국제화우수(학생역량중심형)으로 전이되었으며, 2023년에는 국제화우수 집단으로 전이되는 경로를 보였다. 이는 국제화우수로 상향 전이되는 소수 사례 중 하나이자, 지속적으로 상향 전이되고 있는 사례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대학의 국제화 전략이 대학의 국제화 수준을 충분히 제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전반적인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대학의 교류·협력기관 수는 대학의 전반적 국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이 국제화수준 부진 집단 대비 국제화보통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투입한 독립변수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대학의 국제화 전략이 전통적인 교류·협정 체결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관리로 그 초점이 이동하고 있으나, 교류·협정의 체결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완전히 분리된 영역이 아니며, 오히려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대학의 국제화 수준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대학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국제적 교류·협력의 양적·질적 향상을 포함하는 전략적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제화 수준이 부진한 대학은 각 기관이나 지역이 가진 고유한 강점을 기반으로 보다 특화된 국제화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대학 국제화 지표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화부진 집단은 여전히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었고, 대학의 상대적 국제화 수준은 시간이 지나도 쉽게 변화하지 않고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초기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제화수준이 높은 집단과 차별화되는 특성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국제화부진 집단 대비 국제화보통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교류·협정기관 수와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 사업가 도출된 바, 국제화부진 대학은 적은 수의 협정이라 할지라도 실효성의 관점에서 의미 있는 교류·협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정부의 대학 국제화 사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국제화 전략을 재점검해야 한다. 정부 역시, 설립유형이나 소재지 등 국제화부진 집단의 태생적 한계를 고려한 국제화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국제화 부진 집단이 전략적 접근을 통해 자원과 노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은 국제화에 있어 외부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대책과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간 동안 대학의 국제화 지표 상승세가 둔화되었으며, 잠재집단 간 하향 전이 사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에 따라 비대면 교육·교류 프로그램 개발, 비대면 유치·홍보 채널 구축 등 In-person 국제교류가 어려운 상황에 대비한 세부 전략의 마련이 필요하다. 나아가 다양한 사회적·환경적 변화 속에서도 대학 국제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적극적으로 대안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넷째, 대학은 외국인 전임교원 채용과 지원을 국제화 전략의 하나로 인식하고 전략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국제화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의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나는 등 국제화 경향성과 상반되거나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 교원은 그 우수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경우, 캠퍼스 내 다문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외국어 강의 등을 통해 학생의 국제화 역량을 향상시키며, 국제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국제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교원 채용을 대학평가 순위 상승이나 지표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과 외국인 교원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의 부족으로 외국인 교원의 이탈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은 외국인 전임교원에 대한 대학의 인식과 정책이 부재함을 드러내고 있다. 대학은 대학별 특성과 목표를 반영하여 적절한 외국인 교원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실행하여 수행해나갈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은 국제화의 주요 개념과 영역을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국제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2018년 국제화우수(학생역량중심형) 집단은 국제화우수로 상향 전이되는 소수 사례 중 하나이자, 지속적으로 상향 전이되고 있는 사례이며, 동시에 국제화의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해당 집단은 2013년 국제화부진 또는 국제화보통 집단에 속해 있었으나, 2018년에는 학생역량중심형 국제화우수 집단으로 도약했으며, 2023년에는 전반적 우수 집단으로 전이되었다. 이러한 이동은 자국 학생의 국제화 역량 함양이 국제적 이동성을 수용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국 학생의 국제화 역량 강화, 국제적 이동성의 수용과 확대, 국제적 연구 성과 창출, 이를 위한 외국인 교원 채용 등과 같은 국제화의 개념과 영역이 분절적으로 강조되거나 독립적으로 추진되는 것이 아닌, 상호연관성 하에서 선순환 구조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중국 대학의 국제화 교육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강서성 12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응문환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경제 세계화에 따라 중국의 일대일로(일대일로) 전략은 확고히 추진되고 있으며, 각계각층에서 국제화된 우수 인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학은 경제발전과 산업 최적화, 고도화를 위해 우수 인재를 양성할 중요한 책임이 있으며, 국제화 발전전략은 중국과 지역 대학 발전의 가장 중요한 전략 중 하나가 되었다. 강서성(江西省)은 내륙 개방 경제시범지역으로서 국가 일대일로 전략 발전에 적극적으로 통합하고 대학 국제화 수준을 높이며 강서성의 발전 수요와 경제 전환을 촉진하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 국제화 발전 및 국제화 발전전략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 국제화의 이념, 구성요소, 발전과정 및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대학 국제화 이념, 전략, 계획, 실행 및 성과 등 5가지 변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신공공관리론, 전략 분석 및 SWOT 방법론을 통해 강서성 대학 국제화 발전이 직면하는 기회와 도전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투입 측면에서 대학 국제화의 이념, 대학 국제화 전략 및 대학 국제화 계획, 실행 측면에서 대학 국제화 실행, 그리고 평가 측면에서 대학 국제화 성과를 선정하여 중국 대학 국제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연구모형과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한 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설문지를 다시 수정하였다. 수정된 연구모형을 사용하여 강서성 대학 국제화 발전 현황을 조사하고 실증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대학 국제화 이념, 전략, 계획, 실행 및 성과 등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 간의 영향력을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강서성 대학 국제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 및 연구를 통해 다양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국제화 발전전략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며 강서성 대학 국제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일대일로와 같은 거시 정책을 촉진할 수 있다.

      • 중국 대학 국제화 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산둥성(山東省) 직속 대학을 사례로 하여

        이옥정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경제적 글로벌화와 정보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국제화는 대학이 국내 자원에 의존해 발전하는 단일 모델을 변화시켰다. 이는 고등교육 국제화의 발전 과정에서, 대학 간의 국제화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인다. 중국 고등교육 체계의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성 직속 대학은 국가급 대학(교육부 직속 대학)과 교원의 자질, 학교 운영 조건, 재정예산 등의 측면에서 현저한 격차가 벌어졌다. 이는 성 직속 대학의 국제화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산둥성 직속 대학의 국제화 수준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둥성 직속 대학에 초점을 맞춰서 대학 국제화 및 발전전략 관리 이론을 토대로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해,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의 4가지 측면에서의 7가지 평가요소 및 여기에 포함하는 17개 관측점으로 구성한 평가지표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 및 해외 대학 국제화 평가지표의 비교 연구와 중국 정부의 정책 방향을 기초로, 심층 면접조사와 초점집단 면접조사를 통해 성 직속 대학의 국제화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의 특징을 찾아냈다. 이를 바탕으로, 성 직속 대학의 국제화 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안하였다.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흐름에 따라 전개하였다. 우선, 문헌조사와 현장연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평가 기준 확정에 CIPP평가모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다음으로, 대학 기능과 학교운영 요소의 결합, 과학성과 실용성의 결합, 공통성과 특색의 결합, 발전성과 동태적 조정의 결합 원칙에 따라, 산둥성 직속 대학 국제화의 평가지표 체계를 초보적으로 구축하였다. 세 번째로, 비교 연구를 통한 3개 성 직속 대학의 실증분석 결과, 대학마다 국제화 이념에 대한 인식, 국제화 계획의 책정과 실시, 학교의 국제화 기구 설치,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 시설의 구축, 인력·물력·재력 투입, 교원과 학생의 국제화 의식 및 역량, 해외 대학과의 합작 운영 프로그램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점을 발견했고, 나아가 이들 대학의 국제화 발전 특징과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을 찾아냈다. 마지막으로, 국제화 발전의 장애물 특징에 기반해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4가지 측면에서 성 직속 대학의 국제화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안하였다. 향후 성 직속 대학 또는 기타 유형 대학의 국제화 발전에 있어, 본 연구가 보편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의 국제화 담론 분석 : 토픽 모델링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박지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keywords and topic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by period using news big data related to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Accordingly, the main agenda and implication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were to b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1,217 news reported from May 31, 1995 to December 31, 2019 by dividing it into three periods and analyzing it with a topic modeling (LDA) technique. As a result, the discourse on internationalization at the university showed passive characteristics, even though it was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ization in terms of universities and was taking the lead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was lost in that the efforts and achievements of memb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placed and evaluated by quantitative indicators. Subsequently, while pointing out the drawback that the educational paradigm being implemented to strengthen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rel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the main focus was on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and creating a new wave for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Finall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was criticized. Accordingly, there was a magnetic position on the fact that the university's internationalization development process was replaced by instrumental means based on 'Neoliberalis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 education policies related to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Also, the social consensus on the definition and thinking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was examined as a related discourse.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press the need for effort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find a direc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that meets future expectations. 본 연구는 대학 국제화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기별 대학 국제화의 주요 키워드 및 토픽을 파악하였다. 이에 대학 국제화의 주요 의제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995년 5월 3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보도된 1,217건의 뉴스를 3개 시기로 구분하여 토픽 모형화(LDA)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대학 측면에서 국제화에 관한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국가 차원에서도 대학 국제화를 지원 및 권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국제화에 관한 토픽의 주제는 수동적인 특징을 보였다. 더불어 교육기관 구성원들의 노력과 성과가 양적 지표로 치환되어 평가된다는 점에서 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상실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국제화 역량 강화를 위해 실행 중인 대학 교육의 패러다임이 외국인 유학생에 관련된 내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결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구축과 대학 국제화의 새로운 판도를 창출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마지막으로, 국제화 지표에 대한 양적 평가를 비판하였다. 이에 대학의 국제화 전개 과정을 ‘신자유주의’에 입각하여 개인을 도구적 수단으로 치환시켰다는 사실에 대한 자성적 입장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국제화에 관한 새로운 관점의 정책의 수립과 개선방향을 모색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화 되고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응하고, 대학의 국제화를 통해 미래의 기대에 부응하는 대학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피력하고자 한다.

      • 기숙형 학내 국제화 프로그램 참가 대학생의 성과지각과 진로발달과의 연관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홍석경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학내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at home, IaH) 프로그램의 일환인 ‘기숙형 학내 국제화 프로그램’ 참가 경험과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의 연관성을 해당 프로그램 참가자가 지각한 성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관련 설명 요인을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대학교 S캠퍼스의 기숙형 학내 국제화 프로그램인 ‘ITS(International Town at Sejong) 프로그램’ 참가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영어 실력 향상, 스펙 만들기, 타문화에 대한 이해 그리고 삶의 변화의 시도와 같은 참여 동기를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었으며, ITS 프로그램 참가를 함께 사회·심리적 성장과 더불어 문화적 태도와 학습 태도를 강화할 수 있었다. 진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ITS 프로그램 참가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성과를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심리적 성장, 문화적 태도, 진로 인식 측면에서의 성과는 대학생 진로발달과정의 각 단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ITS 프로그램 참가를 통해 획득한 성과와 대학생활의 변화는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TS 프로그램의 세부 활동별 특성이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과 결합했을 때, 서로 다른 학습 성과를 보여주고 있었는데 이에 따라 진로발달 양상 측면에서도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세계 각국의 정부와 대학은 국제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 곧 국가와 대학의 경쟁력임을 인식하고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주요 국제화 프로그램은 학생의 해외 이동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내 국제화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esidential based ‘Internationalization at Home (IaH)’ program and undergraduate career development focusing on achievement perceive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o explore related factors using case study methodology. In order to examin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participants of the residential based IaH program at Campus S of University K, ‘ITS (International Town at Sejong) Program’.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tudents had the motivations such as improv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or their resume (‘making specs’ in Korean),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making changes in life and participation of the ITS program helped strengthening their socio-psychological development as well as cultural and learning attitudes. It is shown that participating in the ITS program brought positive changes to achievement in terms of career recognition. On top of that, it is revealed that achievement in connection with socio-psychological development, cultural attitude and career recogni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stag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the achievement and changes in university life acquire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ITS program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Particularly various learning outcomes were indicated when the aspects of specific activities of the ITS program are combined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in respect of career development perspective. To meet the needs of the era of globalization,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in the world implement numerous internationalization programs, recognizing the fact that fostering human resources with global competence is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and universities. However, majority of the internationalization programs are still based on the premise of study abroad. Therefor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diverse curriculum related to Internationalization at Home to enhance glob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out studying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