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채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대학원생의 몰입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측정도구 개발은 구성요인 설정, 측정도구 개발, 측정도구 검증 3단계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먼저, 구성요인 설정 단계에서 Weidman 외(1989)가 제시한 대학원생 사회화 모형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고, 학생몰입 측정도구에 관한 문헌 분석과 대학원생 심층 면담 내용을 토대로 잠정적 구성요인과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다. 측정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도출된 구성요인과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요인과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문항에 대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측정도구 개발 단계에서 9개 요인으로 구성된 82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측정도구 검증 단계에서는 대학원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 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요인 분석을 위해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6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축소되었으며, 경쟁모형 분석을 통해 6요인 모형이 채택되었다. 최종 도출된 문항에 대해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일관성 계수를 검토하였으며, 타당도는 수렴타당도, 교차타당도, 예측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대학원생 몰입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25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 간 정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6개 요인은 개별 구인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계열과 이공계열로 분할하여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대학원생 몰입 척도는 상이한 표본에서도 측정 동일성이 확보되었다. 예측타당도 검증에서 대학원생 학생몰입은 학업지속 의도와 경력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연구 관심, 학술교류참여, 동료와의 관계, 지도교수와의 관계, 연구실 소속감, 대학원몰입 총 6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대학원생의 학업적 성공과 대학원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followed a three- step procedure: construct building, measurement development, and measurement validation. In the first stage, Weidman et al. (1989) model of graduate student socialization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entative constructs and the item pool were deriv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measurement and in-depth interviews with graduate students. In the measurement development stage, an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rived constructs and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and expert opinions, the components and item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reviewed for face validity by graduate students. In the instrument development stage, 82 items comprising 9 factors were derived. In the measurement validation stag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70 graduate students to conduct item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collected sample was randomly assigned for factor analysis.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reduced to six factors and 23 items, and a six-factor model was adopted through competitive mode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finalised items. For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xamined, and for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were teste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found to be high at .925, wit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The convergent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 six factors adequately explained each component. The cross-validity of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tested by splitting it into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 scale was found to be valid across the different samples. Predictive validity tests confirmed that graduate student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degree persistence and career engagement.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23 items and six factors: research interest, participation in academic exchange,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sense of belonging to the lab, and graduate school engagement.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graduate student academic success and quality management of graduate education.

      • 엄마대학원생의 sns 커뮤니티를 통한 역량강화 경험 : '서울대부모학생조합 맘인스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문화기술지

        서정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정보화 맥락에서 엄마대학원생이라는 집단이 SNS 커뮤니티를 통해 경험하는 개인과 집단의 역량강화 과정을 탐구하였다. 엄마대학원생은 여성에 대한 교육의 증가로 학문후속세대로 훈련받는 여성의 인적자본 축적시기와 생물학적 재생산의 시기가 겹치는 과정에서 등장한 새로운 인구집단이다. 이들은 대학원생으로서의 학업과 엄마로서의 자녀양육의 과업을 담당하는데, 정부와 대학의 제도는 엄마대학원생의 학업-육아 양립을 지원할 마땅한 제도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조직된 자조모임 성격의 엄마대학원생 집단인 서울대부모학생조합 맘인스누와 SNS를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통해 엄마대학원생이 누구이며, 어떤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고기 위하여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가 주목한 엄마대학원생은 그동안 학문적으로 알려진 바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엄마대학원생들은 제한된 시간과 물리적 힘을 두고 대학원생의 역할과 엄마의 역할이 경합하는 역할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엄마대학원생은 우선, 대학원생인 엄마로서 생산과 재생산의 딜레마, 우울감과 자격지심, 모성비난과 자책감을 경험한다. 또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고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주변으로부터 받는 나쁜 엄마라는 모성비난과 자신의 욕심 때문에 자녀를 희생시킨다는 자책감도 공부하는 엄마이기 때문에 겪게 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다음, 엄마인 대학원생으로서 대학원동료와 교수님의 이해부족을 대면하게 되고, 대학원과 어린이집이라는 상이한 시간체계를 살고, 엄마대학원생의 젠더수행이 고려되지 않은 공간에서 모성성의 소외를 경험한다. 마지막으로 이도저도 아닌 존재의 경험은 경제적 무력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이중구속 상황, 제도적 소외에서 비롯된다. 엄마대학원생의 SNS 커뮤니티에서 공감을 통한 정서적 지지, 엄마대학원생이라는 정체성에서부터 아기용품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차원의 공유, 의식의 전환과 성장을 통한 공생, 엄마대학원생의 상황을 개선시킬 변화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공활이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하고 다중행위자가 참여하는 SNS 채널의 특성을 활용하여 SNS 대화방에서 대학원 생활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경험, 가족 갈등 등에 관한 조언과 공감, 지지를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대화방에서 자신의 경험이 지지받으며 개인의 경험이 아닌 공통의 경험이라는 것이 지속되는 과정은 엄마대학원생들이게 공통의 연대의식을 형성하였다. 커뮤니티 활동은 통해 만들어지는 맘인스누다움은 자매애, 엄마, 학문후속세대라는 단어를 통해 구성되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은 이웃을 위한 돌봄에 참여하며 자매애를 형성하고, 엄마로서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을 자각하며, 학문후속세대로서 여성연구자의 재생산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드러났다. 한편, SNS라는 가상의 공간에서의 커뮤니티 활동을 통한 엄마대학원생 개인과 맘인스누라는 집단의 역량강화 경험은 SNS를 매개로 한 커뮤니티 활동의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도구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폐쇄형 SNS의 특성과 연구자의 한계로 사회복지실천에서 SNS가 어떻게 소통, 공유, 지지 등을 매개하는지 그 기능과 효과에 대해서 제한적인 측면에서만 다루었다. 이에 SNS라는 매체에 대한 역량강화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부분은 정량적인 접근의 연구를 통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explore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arning process in acculturation process in Korea’s graduate schools and understand deeply the meaning of nature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 Therefore,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purpose was set up: what is the meaning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acculturation process at Korea’s graduate schools? To solve this research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how are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shown and interpreted in their acculturation proces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nature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s shown and interpreted in acculturation process? To obtain in-depth understandings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their acculturation proces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osen using purposive target sampling and then were inter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carried out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bracketing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research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pplying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bracketing, reflective thinking and free imaginative variation of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more detail, 723 meaning units and then 101 core themes of meaning units interpreted and measured by appropriating his clarification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were extracted from collected research data. Then research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changed into academic terms my free imaginative variation. They were integrated into a whole and arranged as a whole through a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and the general meaning structure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and then were described with a delineation of the step-wise procedures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coming into existence. In more detail,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was extracted, and described to understand individual experience from research subjects’ points of views. Then the general meaning structure that had been generalized from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into collective experience by working through a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 was extracted and described by appropriating the eidetic method of descriptively studying research participants’ phenomenon that was shown and interpreted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6 key constituents and 26 subordinate constitu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meaning structure were drawn and analyzed. The 6 core constitu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meaning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otivation: the desire for growth; second, extrinsic motivation: the footstep for growth; third,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master’s course: the continuity of hardships and the continuous knowing; fourth, acculturational experiences in the general life at graduate schools: the improvement of knowing; fifth, the growth of self: the achievement of learning; sixth, the maturity of self seeking ‘the meaning’: the continuity for learning. Research participants issued the new challenge of mobility to Korea’s graduate school after the university graduation and then had unique, specific experiences in acculturation process at Korea’s graduate schools through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Koreans like professors, other graduate students etc. I could find out that, with their strong-willed minds, they are expanding and integrating their knowing and learning from learning experience by applying them to their daily lives in acculturation process. While this research analysis was being performed for finding out and describing the meaning of nature in step-wise acculturation process, I could capture the meaningful learning process in each core constituent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process and then understand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it. Also the step-wise changing and growing, unique self could be understood through it. ‘The meaningful step-wise process for learning’ and ‘the self-changing and self-growing self’ inside each constituent was found out, interpreted and described. This could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as the process that the self is moving forward to ‘the mature self’ that wants to continue learning, while being changed and grown from to the desire for growth, to the footstep for growth, to the continuity of hardships and the continuous knowing, to the improvement of knowing, to the achievement of learning, and to the continuity for learning in each core constituents of the acculturational process. Also, the meaning of nature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given to research participants’ present and future lives was drawn, interpreted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learning’ from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acculturational process was repeated, circulated, internalized and interioriz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master’s course. Consequently, Chinese research participants’ meaning of nature of learning experience in acculturation process that was found out and deduc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the continuous passion for learning and self-empowerment’, which implies the future-oriented attitudes and values of their lives, not giving up ‘the continuity of learning’ and moving forward to ‘the mature self’ during the mater’s course at Korea’s graduate schools and for the later lives. The implications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can inform the basic data by helping understand deeply on the unique phenomenon that was found out though learning experience in Chinese graduate students’ acculturation process. Second,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xpanding a academic prospect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of both higher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offering the basic data o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learning experience and widening the deep understanding on their master’s course. Thir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to put is to offer help in order to expand wider understanding that how Chinese graduate students will lead their future lives as adult learners and how their lifelong education will open up their life’s prospect, based on learning experience at Korea’s graduate schools. Fourth, this research can offer th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much more potential foreign students have the positive perspectives on acculturation and challenge the opportunities of academic growth at Korea’s graduate schools. The implications in a prac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can help to contribute to rearranging programs and systems performed by national universities for Chinese graduate students’ acculturation and academic adjustment. Second, the research results can inform the basic data for exercising public relations and government policies target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Third, the findings have the meaning of helping to make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turning points of their future life so as to create foundation of cooperation and formation of human capital with Korean specialists concerning their majors through their life and learning experience in Korea.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그 학습경험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와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의 학습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으로 7명을 선정하였고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Giorgi의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Giorgi의 판단중지와 환원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에 대한 진술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그 연구 자료로부터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 관점에서 파악된, 총 723개의 개별적 경험의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그 의미단위들을 연구자의 상상과 자유변경의 방법으로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였다. 그 학문적 용어로 전환된 의미단위들을 중심주제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합하는 구조화 단계를 거쳐 101개의 주요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로부터 구조화 단계를 거쳐 개별적 경험을 공통된 경험으로 일반화시킨 일반적 의미구조인 26개의 경험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핵심구성요소를 구조화 단계를 거쳐 도출하였다. 이를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구조로 제시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일반적 구조의 6개의 핵심구성요소는 1) 한국 유학의 내재적 동기 : ‘성장의 욕구’ 2) 한국 유학의 외재적 동기 : ‘성장의 발판’ 3) 한국 대학원의 삶 : ‘어려움 연속과 배움의 계속’ 4) 사회문화적응의 삶 : ‘적응 및 배움의 증진’ 5) 자아의 성장 : ‘배움의 성취’ 6) ‘의미’를 찾기 위한 자아의 성숙 : ‘배움의 지속’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후 한국 유학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석사과정에서 한국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통해 사회문화적응의 과정에서 가지는 고유하고 독특한 학습경험을 하였다. 그 학습경험을 통하여 습득한 ‘배움’을 사회문화적응의 삶 속으로 확장시키고, 자신의 삶의 의지와 통합시켜 나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사회문화적응의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6개의 핵심구성요소의 각 단계에서 의미 있는 ‘배움의 과정’을 포착하여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그 배움의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되어 가고 성장하여가는 자아’를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그 자아는 각각의 핵심구성요소 안에서 ‘성장의 욕구’, ‘성장의 발판’, ‘어려움 연속과 배움의 계속’, ‘배움의 증진’, ‘배움의 성취’, ‘배움의 지속’으로 변화되어 가고, 성장하여 가면서 배움을 지속하고자 하는 ‘성숙된 자아’로 향하여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자아는 학습경험의 의미를 찾아가는 자아의 형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학 기간 동안 그 배움의 과정이 반복되고, 순환되어 내면화되고, 내재화되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의 석사 과정 전체의 기간 동안에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경험의 본질은 ‘지속적인 학습열정과 셀프임파워먼트’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속적인 ‘성숙된 자아’를 위하여 ‘배움의 지속’을 포기하지 않는, 미래 지향적인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가지게 하는 본질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학습경험과 그 현상에 대하여 심도 깊은 이해를 돕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석사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더하고, 학습경험에 대한 실존적 현상학적인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인 대학원생을 포함한 국내의 외국인 대학원생에 대한 고등교육과 성인교육 분야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이 한국 유학을 통해 성인학습자로서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평생학습의 삶의 지평을 열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지의 과정에 대해 이해를 확장시켜 준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넷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을 포함한 국내 유학생의 사회문화적응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확장하게 하고, 더 많은 유학생이 한국 대학원으로의 도전과 학문적 성장의 기회를 가지도록 기초 자료의 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는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및 학업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제도의 점검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와 교육부의 국내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대학원생 유치 및 관리의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대학원의 삶을 통해서 국제 인적 자본 생성 및 국제 협력의 토대를 만들 수 있는 삶의 전환점을 가지게 되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돌봄의 조절효과

        진미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 22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에는 개정판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척도, 시간 부족 지각 척도, 신체적 자기지각(건강) 척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 자기돌봄 척도, 아동상담자의 자기돌봄(전문적 도움 추구) 척도, 우울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는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및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인 일·휴식 균형유지 및 전문적 도움추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연구했다는 것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자기돌봄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27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Visual Deficit Perception, Physical self – Description Questionnaire(PSDQ; health), Clinical Practice Stress Scale, Professional Self-Care Scale for Korean Counselors, Self-Care Scale for Child Counselors(seeking professional help), Center for Epio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intaining work–life balance and seeking professional help, which are subscale of self-care,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elf-care that can be used for mental health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 영향요인 및 향상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허베이성 의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주영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6

        국문 초록 본문은 기존의 메타 리터러시 연구성과를 분석 총정리하여 메타 리터러시 발전의 맥락과 의미를 명확히 밝히고, 실제 상황을 결합하여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을 연구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교육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분석을 기초로 세계의학교육연맹과 도서관협회의 표준을 준거로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영향요인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조사연구와 통계 분석을 통하여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를 밝히고 향상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 함축적 의미는 미디어 기술 사용, 비판적 평가 및 분석, 정보공유의 포괄적인 능력, 의학 정보의 구체적인 관리 및 비판적 사고 및 연구의 특성이 있다. 둘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는 메타인지 전략, 정보 리터러시 및 의학 리터러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음을 탐구하였다. 셋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화환경, 커리큘럼설정, 실습수업 및 지도교사로 집결되었다. 넷째, 경로 분석을 통해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영향요인이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다섯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 그리고 미치는 영향에 의하여 메타 리터러시 교육환경의 현대화, 과정 구축의 과학화, 수업 방법 및 방법의 디지털화를 개선하기 위한 향상전략을 제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아래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는 의학 윤리, 학습 과정 모니터링 능력, 의학지식, 정보 윤리, 정보 기술, 건강 관여 및 관리, 의학 기술, 정보 의식, 학습 계획 및 실행 능력으로 탐구되어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향상에 관한 연구의 기초로 될 수 있으며 교육현실에서의 향상에도 직접적인 지도가 될 수 있다. 둘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영향요인은 의학윤리 정보 윤리, 의학지식, 학습 과정 모니터링 능력, 의학 기술, 건강 관여 및 관리, 정보 기술, 학습 계획 및 실행 능력, 정보 의식으로 정의되어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의 메타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외부 환경구축에 지도적 의미가 있다. 셋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경로분석과 관계분석을 통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정도를 밝힘으로써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양성전략에 지도적 의미가 있다.

      •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의 진로결정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 취업 결정자를 대상으로

        채향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可以被视为依据各种复杂因素而决定的产物。尤其对于经历社会制约或被排斥的少数群体和弱势群体而言,生涯决策过程不仅与个人内在因素有关,还与他们所处的社会、经济、文化背景紧密相连。在韩朝鲜族研究生在中国拥有身为国民的法定权利,在韩国又因民族相同而被接纳为同胞,因此具备了在中韩两国发展职业生涯的有利条件。但是在韩朝鲜族研究生无论是在中国还是韩国,都属于不同于主流群体的非主流成员,而这样的身份可能会使他们在探索职业生涯发展的过程中经历更多的矛盾和障碍。至今为止,为职业生涯咨询和教育提供指导的主要职业生涯理论和研究绝大多数是以西方社会的文化背景为基础,并一直广受文化敏感性不足的批评,因此通过现有的理论和研究很难确切地理解像朝鲜族研究生这样的特殊民族群体的生涯决策。针对上述问题,本研究为深入了解在韩朝鲜族研究生的生涯决策过程,试图具体探索在韩朝鲜族研究生的职业生涯决策相关经验和影响因素。研究问题如下。第一, 在韩朝鲜族研究生在韩国学习并决定留在韩国就业的生涯决策过程中经历了什么? 第二, 在韩朝鲜族研究生在韩国学习并决定留在韩国就业的生涯决策过程中影响因素是什么? 研究资料的收集和分析使用扎根理论研究方法(Grounded Theory Approa-ch)。研究参与者通过理论抽样方法选定。研究参与者的选定标准为,拥有中国国籍的朝鲜族、在韩国正规大学攻读硕士或博士学位的预毕业生或毕业时间在1年以内的毕业生、决定在韩国就业者。研究参与人数是15名,研究资料是通过与每一位参与者进行2-3次的个别面谈收集,研究结果根据扎根理论研究方法的分析程序导出。 对本研究的主要研究结果简要说明如下:第一,通过开放式编码从面谈资料中提取概念和类属,确认了114个概念,49子类属,18个类属。第二,以开放式编码结果为基础,通过轴心编码分析了围绕中心现象的类属之间的关联性,结果如下。① 在韩朝鲜族研究生在生涯决策过程中经历的中心现象是‘作为中国和韩国之间的非主流成员,意识到在两国的障碍和机会’。② 直接影响中心现象的因果条件是‘在中国和韩国之间感受到摸棱两可的的所属感’,‘在祖国-中国的经验’,‘在故国-韩国的经验’。③ 虽然不是直接的影响但是作为影响中心现象的脉络条件是‘家庭及学校教育环境’、‘有利于韩国留学的环境’、‘家人定居在韩国’、‘在哪里都是异乡生活’、‘人才集中在中国大城市导致竞争激烈’、‘在韩国凭能力竞争的可能性较大’,‘韩国的在外同胞政策’,‘意外变化和偶然的契机’。④ 作为中心现象的行动或互动策略,从认知层面表现为‘优先考虑个人的发展’、‘认为前途取决于个人的能力’、‘接受难以克服的屏障,积极发挥优势’,从行动层面表现为‘通过个人的努力能够控制的问题,积极解决’、‘通过个人的努力难以控制的问题,灵活应对’、‘利用中国和韩国的人际网络探索机会’、‘带着个人的行为与民族的未来有关的责任意识而努力’。⑤ 促进或妨碍行动或互动策略对中心现象起作用的中介条件包括 ‘对环境及基础设施的满意度’、‘可依赖的人与关系’、‘通过榜样/先例的间接经验’,‘对必要信息的接近性’、‘专业领域的特性’等个人外在因素,以及‘对家人的责任感’、‘目标意识和成就动机’、‘对稳定生活的追求’、‘积极性和自信感’等个人内在因素。⑥ 结果是‘决定在韩国就业’,并且可分为‘对就业可能性和就业后的生涯发展有信心’,‘对就业可能性有信心,对就业后的生涯发展有顾虑’,‘对就业可能性感到焦虑,对就业后的生涯发展有顾虑’。第三,通过选择式编码确认的在韩朝鲜族研究生生涯决策过程的核心类属是‘作为中国和韩国之间的非主流成员,在两国意识到的障碍和机会中,以个人的前途为中心协调所属感’。此外,为了导出核心类属,记述了故事线,并以此为基础,将社会文化方面、关系方面、个人方面的假设关系整理为陈述文。作为选择式编码的最终阶段,以个人水平,共同体·家族水平,国家·社会水平,国际水平分析并提出了在韩朝鲜族研究生职业决策过程的条件矩阵。 最后,总结了本研究表明的研究结果,对在韩朝鲜族研究生的生涯决策过程相关经验及影响因素进行了讨论,并提出了本研究的意义、局限性和建议。 具体探索在韩朝鲜族研究生生涯决策过程的本研究将对在韩朝鲜族研究生以及其他多元文化群体和少数群体提供有效的生涯发展咨询和教育提供基础依据,并有望扩展多元文化生涯理论与研究的理解, 同时为中韩两国吸引朝鲜族人才提供启示。 It can be said that the career decision of an individual is determined by highly complex facto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inority groups or vulnerable groups who experience social limitations or marginalizati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s they face and the internal variables. The Joseonjok(i.e. Korean minority in China)graduate students in Korea have legal rights as citizens in China and can be embraced as the compatriots in Korea,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seeking careers in both China and Korea. However, in China or Korea, they may also experience various conflicts and barriers in the career decision process as a member of the non-mainstream. Career theories and studies that have been the basi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have been constructed based on Western society's cultural context, and they are criticized for lack of cultural sensitivity to understand the career decision of unique ethnic groups such as Joseonjok graduate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o deeply underst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Joseonjok graduate students, their career decision-making experience,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were explicitly explor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do Joseonjok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when they study in Korea and decide to stay and work in Korea after graduation?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d Joseonjok 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deciding to stay and work in Korea after graduatio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dat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participants are Joseonjok, who holds Chinese nationality and decided to work in Korea and are expected to graduate from a master's or a doctoral degree at a Korean regular university or graduate whose graduation is within one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15,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2-3 sessions of individual interview for each individual, and research result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Ground Theory analysis procedu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tracting concepts and categories from interview data through an open coding process, 114 concepts, 49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identified.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open coding, the outcomes of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categories surrounding the Central Phenomenon through axial coding are listed below. ①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Joseonjok graduate student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as ‘recognizing the coexistence of barriers and opportunities as non-mainstream members between China and Korea'. ② The Causal Conditions that directly influenced the Central Phenomenon are ‘the feeling of ambiguous belonging between China and Korea', ‘experiencing in China as ‘homeland", and ‘experiencinng in Korea as ‘native place". ③ Although it is not a direct influence, the Context that underlies this Central Phenomenon are, ‘home and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favorable environment to studying in Korea’, ‘family's settlement in Korea’, ‘anywhere is elsewhere', ‘intense competition in large Chinese cities’, ‘fair competition according to ability in Korea', ‘Korea's overseas Korean policy', and ‘unexpected change and chance' respectively. ④ The 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Central Phenomenon represented in the cognitive aspect are ‘prioritization of the personal development', and ‘the idea that career path depends on the individual's ability', ‘accepting the limits and utilizing personal strength while encountering the difficulties'; whereas in behavioral aspect, the attributed factors are ‘actively solving problems that can be managed by individual efforts' and ‘flexibly responding to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manage through individual efforts’, ‘exploring the possibility by utilizing the networks of China and Korea', and ‘striving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individual actions are related to the future of the nationalities'. ⑤ In the case of Intervening Conditions that promote or interfere with the action/interaction of Central Phenomenon, the factors which correspond to the external aspects were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reliable social networking', ‘indirect experience through modeling/ precedent', ‘access to necessary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pertise'. ; as for the internal factors, there were ‘responsibility to the family' and ‘target consciousness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pursuit of a stable life', and ‘positivity and confidence'. ⑥The final consequence was ‘the decision of obtaining employment in Korea', which was further divided into ‘feeling confident about the possibility of both graduation and career after employment' and ‘feeling confident about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but conflicting about career after employment', and ‘feeling anxious about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and conflicting about career after employment.' Third, the core category for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Joseonjok graduate students in Korea identified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adjusting the sense of belonging around the individual's career amid barriers and opportunities recognized as incomplete non-mainstream members in both countries'. To derive the core category, storylines were described. Furthermore, based on this finding, the hypothetical relations of socio-cultural aspects, relational aspects, and personal aspects were summarized as statements. A conditional matrix analysis was conducted as the final stage of selective coding to expla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Joseonjok graduate students, which were separately presented at the individual level, community & family level, and National & social level,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level, respectively. Lastly, the results revealed in the current study were summarized, the experienc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related factors of Joseonjok graduate students in Korea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which specifically explore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Joseonjok graduate students in Korea, will serve as the basis for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not only Joseonjok graduate students but other multicultural or minority groups and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career theory and research. Ultimately,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Joseonjok talent attraction in both China and Korea. 개인의 진로결정은 매우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사회적 제약이나 소외를 경험하는 소수집단이나 취약계층의 경우, 진로결정과정은 개인 내적인 변인뿐만 아니라 이들이 처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은 중국에서는 국민으로서 법적 권리를 갖고 있고 한국에서는 같은 한민족으로 포용될 수 있어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중국에서든 한국에서든 주류집단과는 다른 비주류 구성원이라는 신분으로 진로결정과정에서 다양한 갈등과 장벽을 경험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진로상담과 교육의 기반이 되었던 진로이론과 연구들은 서구 사회의 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왔으므로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과 같은 특유한 민족집단의 진로결정을 이해하기에는 문화적 민감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의 진로결정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이들의 진로결정 경험과 진로결정에 영향 주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은 한국에서 공부하고 남아서 취업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이 한국에서 공부하고 남아서 취업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준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근거이론 접근방법(Grounded Theory Approach)에 따라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방법을 통해 선정되었다. 참여자 선정기준은 중국국적을 소지하고 있는 조선족이고, 한국 정규대학의 석사 또는 박사과정 졸업예정자 또는 졸업 시점이 1년 이내인 졸업생이며, 한국에서 취업하기로 결정한 사람들이다. 연구참여자 수는 15명이며 개인 별로 2-3회의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고 근거이론의 분석 절차에 따라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과정을 통해 면담자료에서 개념과 범주를 추출한 결과, 114개의 개념, 49개의 하위범주와 18개의 상위범주가 확인되었다. 둘째, 개방코딩 결과를 토대로 축코딩을 통해 중심현상을 둘러싼 범주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중국과 한국 사이의 비주류 구성원으로서 양국에서 장벽과 기회를 인식함’으로 나타났다. ② 중심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인과적 조건은 ‘중국과 한국 사이에서 애매한 소속감을 느낌’, ‘‘조국'인 중국에서의 경험’, ‘‘고국'인 한국에서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③ 직접적인 영향은 아니지만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가정 및 학교 교육환경’, ‘한국 유학에 유리했던 환경’, ‘가족의 한국 정착’, ‘어디서든 타향살이’, ‘중국 대도시에 집중되는 치열한 인재 경쟁’, ‘능력에 따른 경쟁가능성이 높은 한국’, ‘한국의 재외동포정책’, ‘예기치 못한 변화와 우연한 계기’로 나타났다. ④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요인으로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개인의 발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함’, ‘진로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함’,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는 수용하고 장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함’으로 나타났고 행동적인 측면에서는 ‘개인의 노력으로 통제할 수 있는 문제는 적극적으로 해결해나감’, ‘개인의 노력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문제는 유연하게 대처해나감’, ‘중국과 한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가능성을 탐색함’, ‘개인의 행동이 민족의 미래와 연관된다는 책임의식을 갖고 노력함’으로 나타났다. 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중재적 조건의 경우, 개인 외적인 측면에 해당되는 요인은 ‘환경 및 인프라에 대한 만족감’, ‘의지할 수 있는 사람과 인맥’, ‘모델/선례를 통한 간접경험’,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전공 분야의 특성’으로 나타났고 개인 내적인 측면에 해당되는 요인은 ‘가족에 대한 책임감’, ‘목표의식과 성취동기’, ‘안정적인 삶에 대한 추구’, ‘긍정성과 자신감’으로 나타났다. ⑥ 결과는 ‘한국에서 취업하기로 결정함’으로 나타났고 ‘취업 가능성과 취업 후 진로에 대해 확신을 느낌’, ‘취업 가능성에 대해 확신을 느끼나 취업 후 진로에 대해 갈등함’, ‘취업 가능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며 취업 후 진로에 대해 갈등함’으로 구분된다. 셋째, 선택코딩을 통해 확인된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의 진로결정과정에 대한 핵심범주는 ‘중국과 한국 사이의 비주류 구성원으로서 양국에서 인식된 장벽과 기회 속에서 개인의 진로를 중심으로 소속감을 조율해나감’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이야기 개요를 기술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화적 측면, 관계적 측면, 개인적 측면의 가설적 관계를 진술문으로 정리하였다. 선택코딩의 최종단계로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의 진로결정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상황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개인 수준, 공동체·가족 수준, 국가·사회 수준, 국제적 수준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의 진로결정과정 경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의 진로결정과정을 구체적으로 탐색한 본 연구는 재한 조선족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다문화집단 또는 소수집단에 대한 진로상담과 교육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며 다문화 진로이론과 연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중국과 한국 양국의 조선족 인재유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second language self by drawing out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s a main research method because narrative inquiry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search in terms of respecting, understanding, and exploring experience as an approach to studying human life, so that it can derive the most in-depth meaning of experiences. Specifically, based on the design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cyclically in the process of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Intermediate Research Text’, and ‘From Intermediate Research Text to Research Text’. A total of six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elected during the preliminary interviews and the first interview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second language self based on a relatively similar learning experience. The field text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was review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o form the final research text. The implications of their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s in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mplicitly constructed using the metaphors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Sending a signal’, and ‘Unfinished voyage’. ‘For a new journey’ means an experience that has led research participants' lives to new experiences while meeting their own second language selves. The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and goals when they first learned Korean and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ust like boarding a ship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is an experience where participants face a new Korean language self in a strange place―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participants felt strange about the new place because there were more foreigners than they had imagined, and there were fewer practical classes than they had expected.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means that the participants lost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which had previous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ship and created motivation in their lives, thus losing their goals and powers in the graduate school process. It was influenced by the fact that it was not easy to become a Korean language teacher eve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nding a signal’ means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 to try to interact outside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ir own way, instead of drifting away from what was expe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tried their own experienc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finding suitable friends or using the Internet to find Korean language learners outside graduate schools, making textbooks or teaching classes. ‘Unfinished voyage’ means that participants have found the potential to move forward in the future after their graduate experience of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once had a difficult time and lost their way, their new experience in a strange place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participants' lives, and although they have not found a clear destination or goal, they can find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hat they can go anywhere through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s personal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ultimately it was time for me to reflect on my own graduate schoo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lives.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looked back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thought about how to proceed. This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lives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through the voice of the participants, we can understand them and their lives deeply. The study participants are membe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ometimes the highest level of learners, and sometimes the beginner level Korean language pre-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purpose is to train Korean language teachers, helping foster more speci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If they can understand the new features found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y can adapt to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it is social justification. With foreigners coming to Korea steadily flowing into the university, the micro approach to overseas students, or attempts to understand them as individuals, is still in a fairly weak stage.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in-depth research to underst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o came to learn Korean as a profession. This problem-consciousness means that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cused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degrees with a limited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in-depth their experiences with Korean language self.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in-depth th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 they had. This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self change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이 어떠한지 탐구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한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접근법으로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탐구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심도 있게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러티브 탐구의 탐구 설계에 따라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적 유사한 학습 경험에 따른 제2언어 자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예비 인터뷰 대화와 1차 인터뷰 대화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원생 중 석사 과정을 졸업 또는 수료하였으며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몇 년 간 한국어와 관련된 일을 할 계획을 가진 대학원생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주로 심층적인 인터뷰 대화를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연구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한국어 자아의 변화 경험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그들의 경험의 의미는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 ‘무전을 보내다’, ‘끝나지 않은 항해’라는 비유를 통해 함축적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은 한국어를 만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새로운 경험으로 이끌었던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행을 위해 처음 배에 오를 때처럼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와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높은 기대감과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의 대학원이라는 낯선 곳에서 새로운 자신의 한국어 자아의 모습을 직면하게 된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상했던 것과 달리 한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점과 실습 수업이 생각보다 적은 점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장소를 낯설게 느꼈다. 또한 타인에게 저평가를 받는 경우와 한국어 수준이 모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과거 자신의 영어 자아와 비교하는 경우에 한국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마주하게 됐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삶에서 이전까지 배의 방향을 결정하고 동기를 만들어주었던 한국어라는 노를 잃어버린 채 표류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어 관련 목표와 동력을 잃고 무기력해 하는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모호하고 높게 설정된 한국어 이상 자아와 한국어교육전공을 졸업한 뒤에도 한국어 교사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에 영향을 받았다. ‘무전을 보내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에서 표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름대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깥으로 상호작용하려는 시도를 나타낸다. 연구 참여자들은 마음이 맞는 동료를 찾거나 인터넷을 활용해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학원 밖에서 직접 찾은 뒤, 교재를 만들거나 수업을 하는 등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스스로 시도해 나갔다. ‘끝나지 않은 항해’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 경험 속에서 앞으로 미래에 나아갈 가능성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상하고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을 만나 어려움을 겪고 방황한 적도 있었지만 결국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난 새로운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지평을 넓혀 주었고, 분명한 목적지나 목표를 찾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라는 노를 통해서 어디로든 갈 수 있다는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됐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내러티브 탐구의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정당성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라는 이 논문의 목적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그들의 삶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의 대학원 경험을 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 중에는 자신의 삶에 대해 누군가가 대신 자서전을 써 주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말한 사람도 있었고, 자신의 대학원 경험을 되돌아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면 좋을지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처럼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에 전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 즉 실제적 정당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과 그들의 삶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교육전공의 구성원으로서, 어느 때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자이기도 하고 어느 때는 이제 막 시작 단계인 한국어 교사, 예비교사이기도 하다. 한국어교육전공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목적을 지닌 전공으로서 구성원에 해당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 목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새로운 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환경을 맞추어 나갈 수 있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들을 양성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이다.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들이 꾸준히 대학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유학생들에 대한 미시적 측면의 접근, 즉 그들을 한 개인으로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상당히 미약한 단계에 있다. 특히 앞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것을 직업으로 삼고자 배우러 온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심층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교육전공이라는 한정적인 전공의 외국인 석사과정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그들이 한국어와 함께 지나온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제2언어 자아가 변화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가지는 다양한 한국어 자아 변화 경험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을 활용한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 학문적 토론 수업 구성 연구

        곽도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을 활용한 학문적 토론 수업을 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원활한 토론이 가능하며, 나아가 학문적 토론 능력과 학업 기술 및 지식을 함양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국인 대학원생에게 토론은 학업 수행에 있어 그 중요도나 수행도가 높은 학문적 말하기 활동이다. 하지만 그간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토론 교육은 이들에게 적합한 토론의 유형을 확인하지 않고 찬·반형 토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학습자 중심의 토론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이를 구현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의 학문적 토론에 대한 개념을 마련하고, 학습자 중심의 원활한 토론 수행을 위해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학문적 토론이 가지는 일반적인 토론과의 차이와 특징을 기반으로, 학문적 토론을 학문 목적 학습자가 교육현장에서의 학문적 탐구 및 연구를 위한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결정과 학업 지식 습득을 이루어내는 기능 통합적인 활동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교육 목표에 따라 학문적 토론 능력을 자료 조사 및 분석 능력, 언어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태도 능력으로 구성하여, 과정 중심 모형 기반의 학문적 토론 수업 절차와 활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학문적 토론 수업의 구성에 있어 퍼실리테이션이 가지는 원활한 의사결정, 이해 및 표현 능력 향상, 학습자 중심의 문제 해결과 같은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이에 적합한 퍼실리테이션 절차와 도구 및 기법을 검토하였다. 또한 기존의 토론 활동 구성과 실제적인 학문적 토론의 진행 현황을 살피기 위해 학문 목적 말하기 교재 분석과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학문적 토론에 적절하지 않은 토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학문적 토론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의 학문적 토론 수업 구성의 원리를 마련하여, 학문적 토론 수업의 절차와 그 실제를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의 학문적 토론 수업은 그간 활발히 논의되지 않았던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에게 적합한 학문적 토론의 유형을 살피어 실제적인 토론 교육이 가능하게 하고,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적인 토론 수업을 구성하여 학문적 토론 능력과 학업 기술 및 지식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학문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를 중심으로

        장아남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의 원활한 학문적 발표 수행을 위해 이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학문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문적 발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학업 과제들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문적 발표는 전공 관련 주제에 관한 체계적인 내용 지식 구성 및 효과적인 내용 전달이 요구되기 때문에 외국인 유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게 되는 학업 과제이기도 한다. 그 동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표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연구의 초점은 발표 내용 전달 단계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을 외국인 학부생으로 한정하여 이들이 교양 수업이나 전공 수업에서 수행하는 발표에 초점을 맞추어 발표 교육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전공 수업에서 수행하는 학문적 발표는 학문 연구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내용이 많이 다루어진다는 점에서 학부생들이 교양 수업이나 전공 수업에서 수행하는 발표와는 주제, 내용 측면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 발표 교육 방안을 그대로 외국인 대학원생에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대학원생의 수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학문적 발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이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학문적 발표를 원활하게 수행하고 학업을 성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학문적 발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학문적 발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실제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발표에 관한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성공적인 학문적 발표 수행을 위한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1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적 발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는 외국어 교육에서의 발표 교육 연구와 한국어 교육에서의 발표 교육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먼저 학문적 발표의 개념과 학문적 발표의 수행 과정 및 학문적 발표 교육의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학문적 발표 교육과 과제 중심 언어 교수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학문적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마지막으로 학문적 발표 교육을 위한 발표하기 과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하기 과제를 분석한 후, 외국인 대학원생 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학문적 발표 수행 현황 및 학문적 발표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수자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발표 수행에 대해 이들의 인식과 평가 기준을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본격적인 학문적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문적 발표 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발표하기 과제의 구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학문적 발표하기 과제에 적합한 활동을 설계하고, 학문적 발표하기 과제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를 반영한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고, 학문적 발표하기 과제의 구성은 이들의 한국어 발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원활한 학업 수행과 성공적인 학업 성취에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