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대학생의 정치의식 연구

        이혜란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tudies on political awareness have been variously conducted in each field and each group. Studies on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examine political awareness for significant minor group organizing this society and futhermore, can grasp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rs in two systems tangled complicatedly and politicall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o, they have special meaning. Now, North Korean defectors who settled in Korea and have enemies in college are estimated by about 1,500 peop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re 155 students which are about 10% of the whole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nd they are attending or taking a leave of absence in 29 colleges of the whole nation. Although they cannot represent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ampling is difficul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10% of the whole people is not few an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o this research is very significant. To study on political awareness, it's essential to conceptualize sub-sectors. Therefore, this research referred the subjects of political awareness of precedent researche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political awareness by dividing into sub-sectors such as political interests,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tendency, political reliability and political efficacy. First of all, for the political interest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the majority responded positively, so they were relatively high. But, negative respondents were nearly the half.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characterize them clearly. Political participation also showed little differences between rate of positive reponses and rate of negative responses, so it was not different from political interests greatly. But, there were many respondents who responded positively relatively. Political tendency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howed different results by measured item. This research examined political tendency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by political party they support. As the result, the ratio of students who didn't have any political party was relatively high and among the rest respondents, there were a little more respondents supporting conservative political party rather than advanced political party. In addition, as questions for investigating their tendency, their attitude for North Korea was inquired. Regardless of the political tendency, most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considered North Korea as a cooperative object, so they were favorable to North Korea. The result is opposed to the common idea that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ill be political conservative and hostile to North Korea. Political reli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Government related institution they trusted the mostly was Cheongwadae and government related institution they didn't trust the mostly was National Assembly. As they lived in Korea longer, their reliability was lower. Finally, political efficacy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nd particularly, they showed high efficacy for voting behavior and speaking right for government works. When comparing indirectly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nd that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ere that they considered North Korea as a cooperative object, political participation awareness and efficacy were relatively high, etc. But, from aspects of political interests and reliability, there were neither clear characteristics nor differences. Its reason is supposed that the part of politics is secondary problem in comparison with economics, studying, adaptation, etc. for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they were not interested in politics as a generation living with Korean 20s and 30s who are represented by the generation of ‘political indifference’. their awareness on the necessity to improve political awareness was insufficient, etc. This research just investigated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but it's significant to compare political awarenes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nd Korean general college students or be essential research for studying on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wareness by gene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s a start of studies on this field. Studies on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s a group who has experienced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imilarly and shows lots of possibilities to be a leading part of unification period in the future are in early stage now and they must be conduct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future. 본 논문은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정치의식 특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치의식에 대한 연구는 각 분야별로, 집단별로 다양하게 이뤄져왔다.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정치의식 연구는 이 사회를 구성하는 의미있는 소수자 집단의 정치의식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더 나아가 남과 북이라는 정치적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두 체제의 경험자의 정치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현재 국내에 정착해 대학교에 적을 두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은 1,500명 정도로 추산된다. 조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155명으로 전체 북한이탈대학생의 약 10%이며, 전국 29개 대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학생들이다. 비록 이들이 전체 북한이탈대학생들을 대표할 수는 없으나,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상 표본 모집이 어렵고 전체의 10%라는 수치는 적지 않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의식에 관한 연구가 빈약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 자체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정치의식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하위영역에 대한 개념화 작업이 필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정치의식의 대상을 무엇으로 삼았는지를 참고해 정치의식을 정치적 관심도, 정치적 참여도, 정치적 성향, 정치적 신뢰도, 정치적 효능감이라는 하위영역으로 나눠 조사해 분석했다. 먼저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정치적 관심도는 과반수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인 응답자도 절반 가까이 되어 뚜렷하게 특징지어지긴 어려웠다. 정치적 참여도 역시 긍정적 응답율과 부정적 응답율의 차이가 크지 않은 점으로 미뤄볼 때 정치적 관심도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답한 응답자가 많았다. 북한이탈대학생의 정치적 성향은 측정 항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대학생의 정치적 성향을 ‘지지정당’으로 살펴봤으며, 그 결과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고, 나머지 응답자들 중에서는 진보정당보다는 보수정당을 지지하는 응답자가 조금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 성향을 조사하기 위한 문항으로 북한에 대한 태도를 물었는데, 북한이탈대학생들은 정치적 성향과 무관하게 대부분의 응답자가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인식해 북한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이 정치적으로 보수적이고 북한에 대해 적대적 의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통념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정치적 신뢰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가장 신뢰하는 정부 관련 기관은 청와대, 가장 신뢰도가 낮은 정부 관련 기관은 국회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한국 거주기간이 오래될수록 신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정치적 효능감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투표행위와 정부 일에 대한 발언권에 대한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북한이탈대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정치의식을 간접적으로 비교했을 때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여긴다는 것, 정치참여 의식과 효능감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 등은 북한이탈대학생의 정치의식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적 관심도, 신뢰도의 측면에서는 뚜렷한 특징이나 차이가 없는데 이는 북한이탈대학생에게 정치라는 부분이 경제, 학업, 적응 등에 비해 부차적인 문제이며, ‘정치적 무관심’ 세대로 대표되는 한국의 20~30대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같은 세대로서 함께 ‘정치적으로 무관심화’가 되어가고, 정치의식 제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점 등이 그 원인이라고 짐작된다. 본 연구 자체는 북한이탈대학생의 정치의식이 어떠한지를 조사하고 그 특징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는데 그쳤지만, 이 분야 연구의 시작으로서 일반 한국 대학생들의 정치의식과의 직접적 비교나, 전체 북한이탈주민의 세대별 정치의식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연구였음에 그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남과 북을 비슷하게 경험하고, 경험해 나가는 집단이며 앞으로 통일시대의 주역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집단으로서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정치의식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이며 앞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자아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송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진로교육과 진로결정 패러다임에 새로운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는 대학생 시기에 진로결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진로와 관련된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자아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개인의 배경(성, 학년, 계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관계가 확인된다면 대학에서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 및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4년제 S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교양과목인 ‘자기주도적 학습’ 온라인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들이며, 이들에게 자기주도학습력 검사, 자아탄력성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독립변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 변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력의 변인 중 인지와 행동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정의는 영향력이 없었다. 또한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인지와 행동 영역에서의 자기주도학습력을 강화시켜 준다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력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본 결과, 자기주도학습력의 수준별 차이는 있었지만 자아탄력성은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자기주도학습력이 높은 학생들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개인 배경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력,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학습력에서는 성과 계열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서는 성, 학년 및 계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는 학년만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전공 계열 및 학년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에서 대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에 관련된 문제를 대처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공하고,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 및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New changes have occurred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 paradigm. Accordingly, it necessary to cultivate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during college period when ego-identity is established, in order to reinforce career decision making. This self-efficacy is the assurance that one can successfully carry out tasks related to future career.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 purpos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If this relationship is recognized, it will help universities establish and promote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to improv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students of S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one of the general education online classes, ‘Self-directed Learning’.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directed learning test, ego-resilience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est.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variables involved wit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while two variables, cognition and behavior, affected self-efficacy, justice didn’t. Additionally, students’ ego-resilience had no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us, strengthening the areas of cognition and behavior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ll cultivat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Second, whil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detected, no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hown. Third, the result of difference between personal background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ego-resilience didn’t. Fourth, the result of personal background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department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gender, grade and department level of self-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ffered only by grade. This result confirms that students will benefit from college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siders uniqu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individual study track and grade lev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practical method to manage the problem about students’ career and job in university. In addition to help establish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가 자아탄력성, 우울증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민석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on Self-resilience, Depression, and Over-drinking Problem among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on self-resilience, depression, and over-drinking problem amo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population, and total 660 students from six colleges in the regions were randomly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 survey was requir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after the questionnaire was made through the pilot study, pre-test, expert discussion, validity test, and reliability test(Cronbach's α=self-resilience .931, depression .889, over-drinking problem .943). The students in the study were requir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dministrative method. After the survey was completed, researchers removed 47 questionnaires in which sincerity was doubtful, and total 613 questionnaire were coded in a computer and analyzed using a statistic program, SPSS 12.0 based on the purpose of each hypothesis. Statistics used in the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Through the proces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depending o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Concretely, self-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tness center is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in. Continuously,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action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To illustrate, interaction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tness center is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La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optimistic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To illustrate, optimistic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tness center is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However, the result of mean comparison shows that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tness center is lower than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over-drink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fitness center. Concretely, a difference was found in damage of interaction with people among college students. To illustrat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tness center have experienced less damage of interaction with people after drinking than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Fourth,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is correlated with self-resilience. Concretely,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is correlated with self-confidence. To illustrated, among fitness center participation rate, frequency, intensity, and period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fidence, and intensity and period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irectly on self-confidence. Continuously, among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intensity and period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action efficiency, and these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irectly on interaction efficiency. Lastly, among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frequency, intensity, and period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timistic attitude, and intensity is the factor that influences directly on optimistic attitude. Fifth,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is correlated with depression. Concretely, among participation rate of fitness center, period of particip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it influences directly on depression. Sixth,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is not correlated with over-drinking problems. Concretely, participation rate i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damage of interaction with people, behavioral problems, and damage in societal function, and these do not influence on them neither. Seventh,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has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ith self-resilience, depression, and over-drinking problems. To illustrat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enhances self-resilience, and the self-resilience influences directly on depression and over-drinking problems. Therefore, self-resilience plays an intermediate role between participation rate in fitness center and depression and over-drinking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와 자아탄력성, 우울증 및 음주문제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현재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6개교에서 난수표를 이용하여 총 660명을 단순무선표집하였다. 이들에게 사전조사, 예비조사, 전문가회의, 타당도 검사(내용타당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Cronbach's α=자아탄력성 .931, 우울증 .889, 음주문제 .943) 등을 거쳐 완성된 설문지를 배부한 후 설자기평가기입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설문지 중 응답자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47부를 제외시킨 후 분석 가능한 613부의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평균 및 표준편차, 공변량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여부에 따라 자아탄력성은 차이가 있다. 즉, 휘트니스 센터 참가 대학생이 비참가 대학생에 비해 자신감이 높다. 또한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여부에 따라 대인관계 효율성도 차이가 있다. 즉, 휘트니스 센터 참가 대학생이 비참가 대학생에 비해 대인관계 효율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여부에 따라 낙관적 태도는 차이가 있다. 즉, 휘트니스 센터 참가 대학생이 비참가 대학생에 비해 낙관적 태도가 높다. 둘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여부에 따라 우울증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값의 비교결과 휘트니스 센터 참가 대학생이 비참가 대학생에 비해 우울증이 낮았다. 셋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여부에 따라 음주문제는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여부에 따라 대인관계 손상은 차이가 있다. 즉, 휘트니스 센터 참가 대학생이 비참가 대학생에 비해 음주 후 대인관계 손상을 보다 적게 경험한다. 넷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는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는 자신감과 관계가 있다. 즉,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 중 참가빈도와 참가강도, 참가기간은 자신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참가강도와 참가기간은 자신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 중 참가강도와 참가기간은 대인관계 효율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대인관계효율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 중 참가빈도, 참가강도, 참가기간은 낙관적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이중 참가강도와 참가기간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다섯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는 우울증과 관계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참가정도 중 참가기간은 우울증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여섯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는 음주문제와 관계가 없다. 즉, 대인관계 손상, 사회적 기능 손상, 행동상의 문제는 참가정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곱째,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는 자아탄력성, 우울증, 음주문제와 인과관계가 있다. 즉, 대학생의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자아탄력성은 우울증 및 음주문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휘트니스 센터 참가정도와 우울증, 음주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개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성아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노인부양의식 향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지역 노인복지시설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 208명을 조사대상으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남자보다 여자, 연령은 20대, 학력은 4년제 이상, 전공은 인문사회계열, 출생순위는 둘째 이상일수록, 종교는 없는 사람이, 월 소득 200만원~400만원 사이, 본가 거주이며, 부모님이 건강하신 편이고, 가정이 화목한 응답자, 조부모의 거주형태는 자가 거주, 조부모의 건강상태는 건강하지 않음, 조부모와 만남은 자주만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 특성으로 노인시설 중 노인이용시설일수록, 봉사활동 기간은 1~6개월, 총 봉사활동 기간은 1~12개월, 봉사활동내용은 단순노력봉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평균 3.95점이 나타났다. 시설별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전문기술봉사, 노인이용시설에서 프로그램 진행보조, 노인재가시설에서 사무행정업무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노인부양의식은 남자보다 여자가, 조부모가 노인시설에 거주하는 경우일수록, 조부모와의 만남 정도에서 자주만나는 경우일수록, 노인재가시설보다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이용시설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시설별, 자원봉사만족도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노인부양의식에는 조부모와 자주 만나는 학생일수록, 노인이용시설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점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노인부양의식 향상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시설별 특성을 고려한 봉사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과 젊은 세대 간의 교류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연구

        권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대학환경풍토지각의 특성을 밝히고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둘째,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넷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와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4년제 Y대학교, S대학교, 강원도에 소재한 4년제 K대학교, Y대학교, 충청남도에 소재한 4년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회수율은 89%였다. 이중 답변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여 총 48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통계적 기법으로는 각 척도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Cronbach's 를 분석하였고, 기술통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생들의 대학환경풍토지각은 성별, 학년, 전공, 학비충당방법, 경제적수준, 학교유형, 학교소재지에 따라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학년, 경제적수준, 학비충당방법은 대학환경풍토지각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은 성별, 학년, 전공, 학비충당방법, 경제적수준, 학교유형, 학교소재지에 따라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환경풍토지각과 같이 학년, 경제적수준, 학비충당방법이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는 여학생일수록, 지방소재 학교일수록, 고학년일수록, 경제적수준이 높을수록, 장학금을 받는 학생일수록 학업성취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지각은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였으며, 이는 인구통계요인의 통제여부와는 상관없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는 인구통계요인을 통제하였을 경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첫째,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은 개인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학생의 지적 수월성과 정의적 행동의 형성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줌으로서 대학생활적응에 직ㆍ간접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을 설명하는 요인이 되지 못한다. 이는 개인적 특성이나 상황은 학업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나, 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학업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primary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and to clarify the related element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scholastic achievement. Under these questions, the study set forth specific objectives as follows : ⑴ What's the difference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⑵ What's the differences to adapt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⑶ What's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scholast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⑷ Which factor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influence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In order to achieve these questions, survey qu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490 university students from 5 different universities and 485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Cronbach's ,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e were conducted by SPSS 12.0 statistical package.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preceding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 are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characteristic and condition.Second,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intellectual simplicity and affectioanl behavior in the other way, and consequently,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has become a huge factor i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directly and indirectly.Third,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is not a primary factor to subjective scholast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student's characteristic and condition are the primary factors but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is not predicted scholastic achievement.

      • 간호대학생대학생활적응 예측모형 구축

        김은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adjustment of college for nursing students to college and to develop a collective model for successful prediction and concrete paths of the factors. Based on Bronfenbrenner(1979) and ecological systems theory, a conceptual framework and hypothetical model were built. The factors of micro system, such as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stress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re set as exogenous variables, the organisms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coping and result variable, such as adjustment to college are set as endogenous variables. As a result of multicollinearity analysis as a pre-tes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however, father attachment was removed before the actual test because of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mother attachment. The measurement tools were used after verifying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9th 2010 to Jun 4th 2010. 53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fter distributing 560 sheets to senior students in 8 different locations.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8.0 Win program and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nformity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1625.29(p=.00), df=309, /df=5.26, GFI=.78, AGFI=.74, RMSEA=.09, CFI=.78, NFI=.75, NNFI=.75, RMR=.06, PNFI=.66, which means the conformity was acceptable and requires adjustment of model. 2. To increase the conformity, the model, was adjusted by removing observing variables whose causing factors explaining potential variables, are lower. The conformity of the revised model was =514.11(p=.00), df=137, /df=375, GFI=.91, AGFI=.87, RMSEA=.07, CFI=.92, NFI=.89, NNFI=.90, RMR=.03, PNFI=.71, which means a new model was more suitable than the previous model. 3. Through the modified model, 7 hypotheses out of 12 were supported. 4.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for the college nursing students' adjustment was 62%. Following is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for each endogenous variable. A.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clinical stress has showed only direct and total effect. The coping has showed only direct and total effect. B. Mother attachment has showed direct and total effect on coping. C. Moth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in indirect and total effects on adjustment to colleg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had a direct e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had direct and total effects. Coping ha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In conclusion, mother attachment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but does hav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which eventually affect adjustment to college life. Also, the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usage frequency, and the less stress of clinical practice, the higher score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refore, to improve 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t is recommended to decrease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to develop an practical environment. Also,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direct method of develop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improvement program to improve mother attachment.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explains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relevant variables to predict comprehensive dimensional explanation of adjustment of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의 구체적인 경로와 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통합적인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Bronfenbrenner(1979)의 생태체계이론을 및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미시체계 요인인 부 애착, 모 애착,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외생 변수로, 유기체 요인인 심리적 안녕 감, 대처방식과 결과변수인 대학생활적응을 내생변수로 하였다. 하지만 공 변량 구조분석 전 사전검사로 다중공선 성 분석 결과 부와의 애착과 모와의 애착 변수 간 상관계수가 정적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부 애착을 제거한 후 본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 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5월 19일부터 6월 4일까지이며, 전국 8개 지역별로 각 70부씩 졸업반 학생을 대상으로 총 560부를 배부하였으며,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29부를 제외한 53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과 AMOS 18.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분석결과,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1625.29(p=.00), df=309, /df=5.26, GFI=.78, AGFI=.74, RMSEA=.09, CFI=.78, NFI=.75, NNFI=.75, RMR=.06, PNFI=.66 등으로 전반적으로 모형의 적합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모형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잠재변수를 설명하는 인과계수가 낮은 관측변수를 제거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514.78(p=.00), df=137, /df=375, GFI=.91, AGFI=.87, RMSEA=.07, CFI=.92, NFI=.89, NNFI=.90, RMR=.03, PNFI=.71 등으로 모형의 간명성과 전반적 적합지수에 있어서 가설적 모형보다 훨씬 향상되어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수정모형을 통하여, 총 12개의 가설 중에서 직접, 간접 및 총 효과로 7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4.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예측 변수들에 의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설명력은 62%였으며, 내생변수 별 직접 또는 간접 및 총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심리적 안녕 감에 대해 모 애착은 직접, 간접 및 총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직접 및 총 효과만 있었다. 대처방식은 직접 효과와 총 효과가 있었다. 나. 대처방식에 대해 모 애착은 직접 및 총 효과가 있었다. 다.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모 애착은 간접 및 총 효과만 유의하였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직접 효과만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 감은 직접 효과와 총 효과가 있었고, 대처방식은 직접, 간접 및 총 효과가 있었다. 이상을 통하여 볼 때 모 애착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심리적 안녕감 및 대처방식을 경유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심리적 안녕 감 및 대처방식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환경 개선과 실습업무 부담을 줄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모 애착을 증진하는 간접적인 방향 및 심리적 안녕 감 및 대처방식 증강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직접적인 방향으로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변수들 간 인과적 경로를 설명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총체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지식체 마련의 계기가 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이 인식하는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의 성별 요인구조와 잠재평균 차이분석

        김유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미래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대학생들에게 얼마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주는지 여부가 대학 경쟁력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대학은 이러한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규 교육과정에서 채우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소요되는 예산과 인력은 과거보다 크게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대학이 정부의 재정지원금에 의존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하고 있다. 향후 대학이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이 인식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로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직업탐색활동에 대한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연구문제 1. 성별간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인식에 대한 요인구조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연구문제 2. 성별간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인식에 대한 잠재요인평균(latent factor means)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대학교가 실시한 ‘2019학년도 비교과 교육과정 재학생 인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간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 인식 차이를 밝히기 위해 ‘성별’, ‘비교과 프로그램의 교육성과’ 항목의 10개의 문항(5점 Likert 척도)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1,046명으로 성별 비율은 남성 479명(45.8%), 여성 567명(54.2%)이다.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인식의 요인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를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직업탐색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문제를 통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5와 EQS 6.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집단간 잠재평균에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직업탐색활동의 측면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은 의의가 있었다. 이는 성별과 관계없이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들로 하여금 상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서, 향후 비교과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인식의 요인구조는 남성·여성간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직업탐색활동에 대해 통계적으로 동일하였다. 이는 두 성별이 모두 유사하게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과 프로그램은 대학 구성원들에게 상기의 목적으로 운영되는데에 의의가 있어, 이들 요인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학에서 프로그램들을 보다 구체화, 다분화하여 학생들에게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별간 잠재평균 분석결과 모든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역설적으로 그동안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대학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해줄 수 있는 교육과정 혹은 제도가 부족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인식이 낮게 나타난 결과와 관련하여 남학생의 인식 수준 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매개체로 인식하고 다양한 각도의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 또한 대학생들이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당면하는 혼란들과 요구사항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 개인과 환경간 원할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대학은 비교과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긍정적 학습동기를 형성시켜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공 학습과의 연계 및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때 비교과 프로그램의 고유적 특성인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자기주도적 학습 그리고 사회적 사회작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고려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재학생들이 직업탐색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취득과 동시에 경력을 쌓아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넷째,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적극 활용해야한다. 다섯째, 대학은 성별간 비교과 프로그램 인식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여 여학생과 남학생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As the social demands for fostering future competencies change, it has been important to enhance excellence of the university how the administrations offer diverse and effective experiences for students’ competencies. Universities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such a change, and they provide more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are hard to be offered as regular curricular. To operate extracurricular programs, budget and manpower have expanded significantly, but many universities still rely on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In order for universities to systematically operate extracurricular program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n university education outpu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 structur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learning outcome and job search recognized as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by undergraduate students and compare gender differences. To achieve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factor structur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in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Second, to investigate laten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The study used the results of the ‘2019 Student Recognition Survey on extracurricular program’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Seoul, Korea.Ten items with the five-point Likert Scale for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used. A total of 1,046 undergraduate students – 567 females and 479 males –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s of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factors were structured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learning outcome and job search. SPSS 25 and EQS 6.1 software packages were us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oth female and males students had generally agreed with three factors regarding the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his can be inferred tha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is working properly to achieve the above goals, and which can predic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Second, females and males had statistically same structures for the variables. This also implied the two gender similarily though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us,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are effective to undergraduate students in operating for the above purposes, indicating that the programs should be more specific and diversifi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ffectiveness. Third, the latent mean analysis between genders showed that female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males in all factors. Th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lack of university regular programs to satisfy female students’ need. Al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improving male students’ low perceptions.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should recognize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s a medium to help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plan programs from various angles. Also,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of university, universities should help them cope with the confusion and requirements in universities and help them interact smoothly with college environments. Second,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nd links with major learning so that extracurricular programs can form positive learning motivations for the students and can lead to academic achievement. Thir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elect careers at the same time as acquiring diverse information for job through extracurricular programs. Fourth, considering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Fifth, universities should analyze the causes of differences in genders and provide customized programs to satisfy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