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분석

        박명경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분석 본 연구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을 통해서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자 관리 및 지원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냄으로써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과의 관계. 셋째, 성인학습자 학습동기와 관계몰입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넷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관계몰입을 매개로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다섯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은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마지막으로 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평생교육기관에서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3월 강원지역 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에 수강중인 성인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 분석한 후 타당도 등을 점검하고 보완하여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전국 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에 수강중인 성인학습자 1,20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1,148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 Program 및 AMOS 22.0 Program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실증적인 인과관계 추론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1차적으로 SPSS 22.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판별타당도에서는 상관분석및 Varimax 직각회전을 통한 요인분석으로 하였으며, 신뢰도 확보를 위해 신뢰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별 차이검증을 위한 독립표본인 t검증(t-test)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적으로 AMO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위해 측정문항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는 첫째, 분석결과 모수(경로계수)의 추정치는 참여지속의도가 =1.051, C.R.=6.026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은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결과 모수(경로계수)의 추정치는 학습동기 =.984, C.R.=15.974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직접효과(.456)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 사이에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변인 간 경로 즉,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 -> 학습동기 -> 참여지속의도에서 매개효과(2.265**)가 유의수준 p<.01에서 검증되었다. 다섯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변수 간 인과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에 차이성을 검증한 결과를 보면 성인학습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소득수준, 직업, 참여 프로그램 수, 이용경로에 따라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이 가장 중요한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학습동기, 관계몰입의 활용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관계마케팅전략 도입과 실천이 필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국공립대학이 아닌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대학조직 내에서 평생교육원에 대한 기관장 및 보직자들의 관심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대학평생교육기관, 관계마케팅전략, 성인학습자,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

      •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현황 및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음악교육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살펴보고, 각 대학의 교양음악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앞으로 대학에서 교양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문헌 조사를 통해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의 의미와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 대학에서 음악교육이 갖는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각 대학의 교육과정관련 자료조사를 통해 교양교육과정과 음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설문 조사를 통해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한 자료들을 통해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교양음악과목은 주로 선택 영역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12개, 즉 평균 6개의 음악관련 교양과목들이 개설되어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교양음악과목의 개설에 있어서 각 대학의 음악관련학과의 개설 여부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각 대학의 교양음악과목의 수업 내용별 구성에 있어서는 서양음악 위주의 수업이, 수업 유형별 구성에 있어서는 ‘이해 영역’인 이론 위주의 수업이 구성되어 내용과 유형에 있어 특정 측면에 치우진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생들의 음악적 배경은 대다수의 학생들이 음악에 관심이 많고 음악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둘째, 음악교육에 대해 학생들은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음악교육은 필요하며,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과목의 필요성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셋째, 수강했던 교양음악과목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학생과 불만족하는 학생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음악과목에 대한 재차 수강의사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교양음악과목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서 학생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대중음악을, 유형적 측면에서 실기 위주의 수업을 원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 및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음악의 기초’나 ‘음악학 입문’과 같이 모든 음악의 근간이 되는 음악적 기초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음악과목을 ‘필수’ 교양 영역에 속하게 하여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음악생활을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교양음악과목의 내용별 구성에 있어서 장르의 균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장르에 치우쳐 편협한 음악적 시각을 갖지 않도록 서양음악 위주의 과목구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의 음악교육을 접할 수 있게 하여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과의 꾸준한 피드백을 통해 제대로 된 수요조사를 하여 실기 과목의 수를 늘릴 것을 제안한다. ‘부전공 악기’ 강의를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음악활동을 체험할 수 있게 할 것을 제안한다.

      • 중국 지방도시의 문화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한·중 지방도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선순환 교육시스템 연구 : 조선대학교와 저쿠우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21th Century witnesses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lso decreased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imbalanced development and local economy. According to research,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growth rate,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population concentration is aggravating in Korea in recent years. In addi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capital concentration, many professionals are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ack of local professionals and the loss of local excellent resources have led to uneve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deep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and becoming an obstacl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Currently, China also witnesses similar conditions. In the year 2010 and 2020, according to the 6th and 7th nationwide census, the school 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population aging is accelerating, leading to an imbalanced population structure. Therefore, wealth gap, population faulting, and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are common problems that Korea and China face, whose root cause lies in the imbalanced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s in the two nations issued the national policys of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The policy goals of Korea and China are to eliminate the polarization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area, wealth gap, increase social productivity, leading to th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region. The important resource to realiz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is human resource, and the supply and nurturing of talent is closely linked to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is the precondition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nationwide. When researchers come to Korea for further study, through the in-depth stud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t is found that the Korean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going through further improvement, and faster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the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in the Local City University of China is slow and unbalanced in confronting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analyzes and studies the decreased population and changing industry, and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the Department of Manga and Animation, Chosun University, Regional City University. They also proposed that counter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the cultural ecosystem of the university that the researchers work in, that is, Department of Animatio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Chinese Local City Universities. For the Chinese comic education development, personnel cultivating program that is international, cutting-edge, and with innovative conciousness, is seriously needed. The Korean Comic industry ranks third in the world, and its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developing soundly. Korean cartoon education occupies a leading place in the world. On the contrary, the current comic education system in Chinese universities is witnessing unbalanced development. China borders Korea, with similar culture, historical background,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two nations are witnessing similar problems in their development process. In case of similar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 that is suitable for Chinese comic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Korean com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and using Korean comic education system as reference. Especially for solving the problem of local hollowing becaus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 talents' coming to the capital circle, excellent talents should be fostered through quality education to serve local companies. Combined with national policy, the cultural ecosystem should be stimulated through the bond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this thesis will draw lessons from the education model of cultural industry virtuous cycle system in the Department of Cartoon Animation, Korea Chosun University, and proposes reform plans suitable for the animation development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in China. When conducting the preliminary thesis theory research and sorting out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apers analyzing the curriculum setting of college animation education. Most are focusing on three educational studies: "education, teaching, and education infrastructure(environment and facility)". However, this thesis is different. The key of this research is in "education system". As a local university, to maintain its balanced development with capital circle universities, Chosun University's education system in its animation department takes three curriculum projects as the pillar, including "entrance exam, education project, employment". The deepened part in the research content conducted a concentrated study of the specialized "teaching curriculum,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Chosun University. About the "education system", this thesis firstly analyzes and sorts out the animation major entrance exam institutions in three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refers to the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curriculum and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six universities in the capital circle of Korea and China, middle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university. Thirdly, contrast and analysis is made about the employment and future after the animation department students in three colleges in Korea and China became graduates. At last,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s of the animation departments in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more detailed content contrast and analysis is conducted in terms of animation education and operation of the two universities.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study of the animation department in the Gwangju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of the Korean and Chinese Local City.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theoretical research of the related industry and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of the cultural industry, animation, Korean "Balanced Development" and Chinese "Common Prosperity".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entrance exam system, education program, and employment in Korean and Chinese Capital Circl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medium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city, Korea Hushi University, Korea Chosun University,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Shandong Institute of Arts and Crafts,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After the author analyzes the pape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education and cultural industry in local universities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virtuous cycle system among the company, 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ions. Industrial development requires excellent talent, and the excellent education that nurtures talent. To nurture professional talent, support policies from government institutions and cultural industrialization in local cities are needed. Finally, to realize the virtuous cycl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ecosystem, policy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ocal cities is needed. Cultural industrializ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related enterprises are needed. Thirdly, an interconnected virtuous cycle of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is neede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eco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virtuous cycle substitution plan of the China Local City University and Local City Cultural Industry Revitaliz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population decrease and capital cycle talent concentration. This study will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education systems, to find out the effective plan that suits the Chinese common prosperity policy and Korean balanced development policy, and to provide good basic information to study the cultural ecosystem cycle development method in local city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detailed analysis, research and sorting out are made of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department education system in Chosun University can rapidly respond to the cultural change and social and industrial needs.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its cultural ecosystem is expected to be the plan for improving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local city universities in China. The production of this thesis is in the period from 2021 to 2022, with two years' study. Because of Covid 19, the field visit i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and other realistic research has its space limitation. In addition,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of six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and other universities are not involved. Therefore, the research content is not comprehensive enough, with room for improvement. Besides, this paper has limitation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yond the three main research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 and employment, includ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However, if there are any opportunities, comprehens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is topic. 21세기는 경제·문화·과학기술이 급성장하는 시대이자 학령인구감소, 수도권과 지방 경제발전의 불균형 시대이다. 한국에서 출산율 하락, 학령인구감소,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최근 몇 년 사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업의 발전 및 자본의 집중화로 인하여 많은 전문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방에는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지방의 우수자원이 계속 빠져나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결국 수도권과 지방 간 경제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고,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격차가 더욱 심화되면서 국가의 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현재 중국도 비슷한 상황으로, 2010년과 2020년 중국의 제6차 및 제7차 전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현재 학령인구가 점차 감소하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어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부격차, 인구절벽, 수도권 집중 등은 중국과 한국이 직면한 공통적인 문제이며 그 근원은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 '균형발전', 중국은 '공동부유'와 관련된 정책을 펴고 있다. 한국과 중국 모두 수도권과 지역발전의 양극화 해소와 빈부격차 해소, 사회적 생산성 향상으로 수도권과 지방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책의 목표이다. '균형발전'과 '공동부유'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바로 인재 자원이다. 인재의 공급은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따라서 국가의 '공동부유'나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교육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결 조건이다. 연구자는 한국에 유학을 와서 한국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과 이해, 한국 대학교의 수업 과정을 통하여 한국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이 체계적이고 사회와 산업발전에 대한 대응에 빠른 데 반해, 중국 지방도시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과 발전이 사회와 산업발전의 대응에 다소 느리고, 불균형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한국의 인구감소와 빠른 산업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지방도시 대학교인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선순환 교육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연구자의 직장인 저쿠우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를 비롯한 중국의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화, 첨단화, 다양한 창의력을 가진 인력양성 방안이 절실하다.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은 현재 세계 3위이며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애니메이션교육 방면에서도 선두에 서 있다. 반면 중국 대학교의 현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은 다소 불균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과 인접해 있어 문화적·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환경이 비슷하다. 이 때문에 두 나라가 발전하면서 겪는 문제점도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큰 발전을 이룬 한국의 애니메이션산업과 산업의 근간인 전문인력양성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을 참고하여 중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수도권 집중화로 인하여 학생과 전문인력이 수도권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방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의 산업체에 공급해야 하며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공공기관과 연대하여 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산업의 선순환 발전을 도모하는 교육시스템을 운영하는 한국의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를 벤치마킹하여 중국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발전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문화산업과 애니메이션, 한국의 '균형발전'과 중국의 '공동부유'등 산업과 사회적 현안 및 정책에 대해 진단하였다. 본 논문 후반부에서는 한·중 양국의 대학 애니메이션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중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중국전매대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산동공예미술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저쿠우사범대학교 3개 대학교와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호서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조선대학교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하여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 3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 및 비교 분석하면서 이론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많은 논문들이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 다른 많은 연구들은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3가지를 교육 연구의 주된 연구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논문은 선행연구의 '교과과정'이나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의 내용과는 달리 '교육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는데,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지방도시 대학교로서 수도권 대학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운영하는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에 대한 교육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심화 내용으로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특성화하고 있는 '교과, 비교과' 및 '국제화, 산학협력' 등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시스템'과 관련하여 첫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중국의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학과 입시제도를 분석,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 국제 교류 등에 대하여 한·중 수도권, 중소도시, 지방도시의 6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한국의 3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학생의 졸업 후 취업 및 진로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시스템 분석을 위하여 두 대학의 애니메이션교육 및 운영 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도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과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업체, 대학교, 공공기관의 선순환 시스템에 기반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훌륭한 산업체에는 우수한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훌륭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기관의 지원 정책과 지방도시의 문화산업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문화생태계를 위해, 첫째, 국가 및 지방도시의 지원정책, 둘째, 문화산업화 및 관련업체의 활성화, 셋째, 전문인력양성 교육 등이 상호 연계된 선순환이 필요하고 이를 '문화생태계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화 등의 문제점을 당면한 중국 지방도시의 대학교와 지방도시의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의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과 한국의 균형발전 정책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찾고,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선순환 발전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중 애니메이션학과 교육시스템을 상세하게 분석, 연구 및 정리하였고 연구결과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산업적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교육시스템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그리고 중국의 타 지방도시의 대학교의 교육시스템 개선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2년 2년간 진행한 연구로서 코로나로 인하여 중국과 한국대학교의 현장 방문 등 실제 조사연구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중국 및 한국의 6개 대학을 선정하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전면적인 연구로서 완벽하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시/교육/취업 외 장비 교육환경 등 인프라와 담당교수 등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지만 차후 기회가 된다면 이 주제를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정부정책과 대학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공예분야를 중심으로

        차화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예부문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서 현재 정부정책 중 공예부문 정책과 대학교육의 영향력의 확인과 개선방향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오랜 기간 동안 중요시되어 오고 있는 예술의 사회적 가치인 삶의 질의 향상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의 획득이라는 고전적 가치는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강조되는 중요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예술을 통한 경제적 가치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회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예술성의 확보는 오랜 연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해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그 중요성을 널리 확인하고 있다. 그에 반해 예술의 신 사회적 가치인 경제성 확보는 최근 들어 그 필요성이 급속도로 부각된 것으로서 무엇보다 그곳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 스스로 찾아내고 획득해야 할 가치인 것이다. 21세기 들어 문화의 산업성이 확장되면서 상대적으로 예술의 경제성은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 문화예술분야의 성장은 예술 분야의 상대적 왜소함을 더욱 강하게 자극하고 있다. 공예부문만 하더라도 매년 배출되고 있는 약 2만 명의 졸업생들은 대학 졸업 후 공예분야로의 진출은 엄두를 내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대학에 재학 중인 약 10만 명 재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방황은 물론 새롭게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유입 또한 갈수록 어려운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중요한 이유는 단지 예술이 사회에 기여해야할 역할만이 아니라 예술가들이 예술에 종사할 수 있는 동기가 되기 때문이다.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고전적 가치에 머물러 있지 않고 경제성 확보라는 새로운 가치에 큰 비중이 있다는 것은 예술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동기 또한 그 부분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경제성은 가치일 뿐 아니라 동기이며, 궁극적으로는 획득 목표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창업은 이러한 경제적 가치를 확보하는데 새롭게 부각된 방법으로서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공예정책과 대학교육이 창업에 얼마나 유용한가에 대한 검증과 이의 개선 방안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및 연구 방법으로는 예비공예인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와 공예기업가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현재의 시점에서 정부 정책과 대학 교육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대학 졸업을 앞둔 예비 공예인이 가장 적합한 조사 대상이지만 반면 창업을 경험하지 않음에 따른 한계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창업을 한 창업 공예가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창업과의 연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해 창업의 개념을 최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1인창조기업과 연관하여 정의하였다.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식, 창작자의 개별적 특성이 창업에 핵심적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예 관련 정책을 유형화하였으며, 공예 관련 대학교육의 현황 및 구성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예정책이 예술관점, 문화산업관점, 창업관점의 정책들로 혼재되어 있고, 각 분야에서 공예는 정책의 주요 대상이 아니라 포함되어 있는 일부로서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공예만의 특화된 정책부서는 물론 정책마저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교육의 문제점으로는 교육의 목표가 예술가, 예술작품의 창작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가치인 경제성 분야, 특히 창업과 관련한 교육이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하여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시행하고 사례연구를 활용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정량조사는 4개 대학의 공예관련학과 졸업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례분석은 6명의 공예정책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정량적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공예정책은 새로운 과제인 창업에 낮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공예정책은 예술적 관점, 문화산업적 관점, 창업적 관점에서 모두 다루고 있지만 공예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의 설정이 미진한 상태에서는 공예의 정책적 효과 또한 미진할 수밖에 없다. 일부 문화산업 관점 정책에 대한 예비 공예인들의 관심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일회성 효과에 지나지 않고 있으며 공예인들의 경제적 가치 확보를 위한 중장기적 대응 면에서는 역시 미진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공예정책의 비효과성에 더해 대학에서의 공예교육은 더욱 더 창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의 대학교육은 예비공예인들의 관심이 그나마 높은 문화산업적 관점 마져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며 나아가 창업과의 연관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현재의 공예정책과 대학교육은 공예를 통해 예비공예인들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가는데 취약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ies on the area of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as a core element for revitalizing the new business creation by creators in the area of crafts, as well as search for a direction of improvement. At the expansion of industrial nature of culture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economic feasibility of art is relatively garnering greater attention. Particularly, the growth in the area of comprehensive culture & art centering on cultural contents is further provoking the relative diminutive-ness in the area of art. In the area of crafts, in particular, about 20,000 graduates each year do not dare entering the area of crafts upon graduation among which about 10,000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universities are agonizing over their future career path. Furthermore, inflow of students wanting new major is worsening the situation. The fac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mportance placed on the new value of ensuring economic feasibility rather than social value of art simply remaining as a classical value indicates that the motive of people engaged in art is also becoming an important element. In other words, economic feasibility is a value as well as a motive and ultimately becomes the goal of acquisition. As a newly surfacing method of ensuring such economic value, new business creation is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useful mean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level of usefulness of current policies on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in new business creation, as well as search for ways to improve. As for the object and method of this study, it combines quantitative researches on future craftsmen and qualitative researches on new business creation craftsmen. The reason for combining them is because future craftsmen that are about to graduate are the most suitable research subjects through which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ies and university education can be examined at current time. However, there could be a limitation since they have yet to experience new business cre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was to increase the correlation with new business creation through case analysis on crafts entrepreneurs that have created their busines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duce analysis result and case studies were used to search for improvement plan.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upcoming graduates with crafts related majors at 4 universities,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6 crafts entrepreneurs. First off,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policies on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are vulnerable for future craftsmen to create new value through crafts. It was revealed that the biggest variable in new crafts business creation in current circumstance i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at the effects of policies on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are drastically low. The result of case analysis revealed that certain policies are helpful for new business creation but not helpful in cultivating business after its creation. Namely, it means that the opportunity of new business cre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certain policy support, but the effect of the support ends the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rms of policy is to identify the unique special nature of crafts and develop & administer according support policies. However, the biggest current problem is the absence of policies specializing in crafts. Such absence of policies on crafts steams from the absence of team or department specializing in crafts, as well as the absence of plan to cultivate crafts, and ultimately the absence of future vision. The promotion of new crafts business creation will be revitalized only upon ensuring specific elements specialized for crafts such as creation, spread and education of crafts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certification, provision of space, product development, distribution, promotion and fund support through the micro level efforts of promotion act enactment, expansion of policy connection activities and activities for new business creation and business activity, along with the macro level efforts of ensuring vision specifically for crafts and the creation of department specializing in crafts policies.

      •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가 무용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와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대학무용교육의 발전과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지속의사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가 무용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 무선 표집방법을 실시하여 학생 284명을 표집, 설문에 불 응답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271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 무용 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전공, 무용경력, 출신고교 유형, 수상경력, 공연 참여횟수)에 따른 무용교육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한 결과 무용교육 만족도의 무용 수업내용 요인에서는 발레 전공자보다는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수상경력이 있을수록, 공연 참여횟수가 2회 이상인 학생일수록 무용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무용 환경 요인에서는 한국무용과 발레 전공자보다는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무용경력이 10년 이상보다 5년 미만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무용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교수 행동 요인에서는 한국무용과 발레 전공자보다는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무용경력이 10년 이상보다 5년 미만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수상경력이 있을수록 교수행동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용 평가 요인에서는 한국무용 전공자보다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무용 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무용 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지속의사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한 결과 무용지속의사의 경향성 요인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무용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능성 요인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일수록 무용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화성 요인에서는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속성 요인에서는 남학생일수록, 4학년보다는 1학년과 3학년일수록, 공연 참여횟수가 1회 이상보다는 2회 이상일수록 무용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가 무용지속의사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교육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무용 수업내용은 경향성과 강화성, 지속성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용 환경은 가능성 요인에서만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교수 행동은 경향성과 가능성, 강화성, 지속성 요인 모두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무용 평가는 경향성과 가능성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무용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바람직한 무용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무용 전공자들의 무용교육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졸업 후 진로결정에 보다 폭 넓은 장을 열어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대학교육의 역할 : 부산 지역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강도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제안하고자한다. 설문은 다문화사회에 대해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기 위해 총 다섯 종류의 항목으로 진행하였다. 각 항목은 문화다양성, 문화교류, 다문화수용성, 취업 및 고용 차원, 대학교육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척도와 서술형 문항으로 결과를 수집하였다. 국내 대학생들이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화다양성 척도에 나타난 결과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구성원에 대한 인식이나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및 이주민과의 관계나 교류에 대한 측정을 위한 문화교류 척도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가정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관습과 문화에 더 익숙해져야한다는 조사 결과를 통해 상호문화에 대한 교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적응을 위해 더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타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여부를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수용성 척도를 통해 응답을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외국인 유학생과 소통이 부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문화차이를 느낀다고 조사되었으며 대학에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편이며 따라서 국내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이 대학 내 인식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고 취업 및 고용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응답자들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로 인해 내국민들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내국민과 이주민 및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지원 유형이 달라야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기에 국내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 인해 취업이나 고용부분에 있어 큰 위기를 느끼거나 다문화구성원과의 사회적 공존에 있어 거부감은 없지만 지원 유형에 있어 차별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설문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필요하다.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선택교양과목 뿐 아니라 필수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을 통해 각 전공에 융합한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중요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전공 연계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전공 연계과정을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과 공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으며 학과 뿐 아니라 대학 전체 내 학생 간 소통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취업 연계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한다. 취업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차원을 넘어 사회차원에서까지 다문화수용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대학 내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인식개선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생을 위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교육은 학과, 학교 차원의 노력과 학교 내 구성원 간의 융합을 통해 진행되어야하며 국내 대학생들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수립하여 인식개선교육을 계속적으로 개발해야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 대학차원에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이뤄져야하며 지속적으로 다문화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해야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대학교육에서 PDCA 및 ADDIE 모형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 및 교수설계 방안 개발

        이민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고, ADDIE 모형 기반의 교수설계 방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절차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최적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모형을 위한 절차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최적의 교수설계모형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초안의 구성요소와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을 개발하였다. 교수설계 방안 개발을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ADDIE 모형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수설계 최종 모형에 대해서는 모형의 내적 타당도를 실시하여 모형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와 이에 근거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PDCA의 절차모형에 따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세부 수행내용을 제시하고 11개의 하위 단계, 21개의 범주, 63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대학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은 Plan(계획), Do(실행), Check(평가), Act(개선)의 4단계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Plan(계획) 단계는 ‘교육환경 분석’, ‘핵심역량 개발’, ‘교육목표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Do(실행) 단계는 ‘요구 분석’,‘교육과정 설계’,‘대학의 인프라 분석’,‘평가방법 개발’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평가’,‘학습자의 역량 향상 정도 평가’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Act(개선) 단계는 ‘강화를 위한 도약’,‘새로운 계획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셋째, 대학에서 역량기반 교수설계모형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역량기반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역량기반 수업 시 참조할 수 있는 상세지침을 ADDIE 모형의 5단계에 따라 11개 범주의 세부 지침을 세부적으로 개발하였다. 넷째, ADDIE 모형 기반의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최종 모형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 지침을 개발하였다. ADDIE 모형에 따라 개발된 단계별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분석 단계는 ‘교육목표 및 환경 분석’,‘교육과정 분석’,‘학습자 분석’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설계 단계는 ‘학습목표 설계’,‘역량기반 수업의 평가 요소 설계’, ‘역량기반 수업의 전략 수립 및 절차 설계’, 개발 단계는 ‘평가 계획 수립 및 도구 개발’,‘수업 계획안 개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는 ‘수업 전’,‘수업 실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으며, 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수업설계 및 실행에 대한 평가’,‘평가를 통한 피드백’에 대한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및 교수설계 모형은 대학에서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고, 교수자가 양질의 역량기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기초 교수학습 자료 및 교수전략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현업광고인이 본 대학광고교육의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이윤재 목원대학교 언론광고홍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그 동안 대학의 경영학과, 신문방송학과 그리고 최근에는 광고학과에서 광고에 대한 집중적이고 활발한 교육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발전과 성장 속에서 현실을 재검토 해야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학과의 교과과정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광고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학의 광고학과 교과과정을 18개 영역으로 분류한 다음, 실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이들 각각 영역에 대하여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전략 및 기획과 마케팅의 경우 대학의 현재 교과과정에서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업계나 학계 모두 가장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행사의 규모에 따라 중요시하는 교과 영역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대기업들이 실습과 광고윤리법제, 사회문화를 제외한 모든 교과영역을 중요시하고 있다. 셋째. 대행사의 근무 부서에 따라 혹은 대학에서 전공여부에 따라 느끼는 각 교과영역 중요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업계와 학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업계보다는 학계가 모든 교과영역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업계와 학계가 적절하다고 여기는 전공 대 교양의 비율이나 이론 대 실기의 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현행 교과과정보다 더 많은 전공과 실기의 비율을 원하였다. 여섯째. 전공과목 이외에 개설할 필요가 있는 과목을 분석한 결과 프리젠테이션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전공교과목 이외에 다른 학문 분야의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과학 분야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일곱째. 실습과목들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광고기획 실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보제작이나 사진실습은 중요도에서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ven though Departmen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ss Communication, and, recently, Advertising in universities have done major contribution to the education and the growth of advertising, it is time to review their curricula to reflect the trends of advertising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elpful data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Advertising by examining the opinions of industry on current curricula of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current curricula of Departments of Advertising were classified into 18 areas and practitioners of the industry was asked how important each area wa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both practitioners of the industry and professors in universities showed the opinion that Advertising Strategy and Planning and Marketing were two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even though their portions in current curricula are relatively low. Second, depending on the size of firms they worked for, practitioners showed different opinions on which areas were important. Generally, persons who worked for a larger firm expressed greater importances for all areas except Practice, Advertising Ethics and Law, and Society and Cultur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actitioners' opinions based on the divisions they belonged to and the areas they had majored in at universities. Forth,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professors showed that generally professors regarded all areas as more important than practitioners did. Fif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professors on desirable portions of credits for the speciality and a general education and those for the practices and theories. The portions that both practitioners and professors considered as desirable for the credits for the speciality and the practices, however, were larger than those of current curricula of universities. Sixth, when asked which subjects were needed to provide for the Advertising major in addition to currently provided ones, many practitioners recommended the subjects on presentation skill and, as an additional useful field of stud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Advertising, social sciences were mentioned most. Seven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portances of subjects on practice showed that Practice on Advertising Planning was most important and that Production of Newsletter and Practice on Photograph were least important.

      • ‘좇기’와 ‘찾기’ 사이 : 대학생활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질적 연구

        명수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se days, South Korean undergraduates' have been said to be "at risk" or "in trouble" in the era of so-called "neo-liberal" and "descending" society, so their life potentials have largely been ignored.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ontemporary South Korean undergraduates' life, culture, and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ontology elaborated by Heidegger, Merleau-Ponty, Deleuze, and so on.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interviews about college life with nine participants several times for each. During the interviews, I tried to pay attention to undergraduates' 'being(Sein)' and 'being-possible(Seinkönnen)', namely, 'existence', not just their 'problems' they have been struggling to. In other words, I tried to focus on undergraduates' 'being' and 'becoming(devenir)' to understand their ontological dynamics. To remain focused, I theorized a dual intentionality―named 'following(jotkki)' and 'seeking(chatkki)'―influenced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ontology, and used this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and interpret participants' multiple college life stories. This paper has three questions: (1) How have undergraduates lived in their respective colleges? (2) How are 'following' and 'seeking' expressed in the themes of college life stories? (3) What are educational meanings of 'following' and 'seeking', and how can we make sense of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college life? With these questions, I have trie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dynamics of college life, and, in the end,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college educatio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ntroduces college life stories of five undergraduate participants―Ji-min, Da-in, Han-gyeol, Yoon-jin, and Min-jeong. These fiv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own college life stories which could be signified in the framework of 'following' and 'seeking' much more multifarious and relevant than other four participants. It is their differences and multiplicities that matter in the first part. They have, naturally, lived their lives in different rhythms and ways. They sometimes have followed diverse life goals, and sought multiple life dreams or values from time to time. They have learnt many things from various relationships and fields. They also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transformations over time. I organized and reconstructed their college life stories based on turning points or significant events of their college live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thematizes(Thematisierung) and examines college life stories based on the framework of dual intentionality―'following' and 'seeking.' To begin with, I figure out five themes of college life stories about 'following.' The first theme is "mere undergraduate", which expresses the normativity of undergraduates' culture that forces participants to remain 'ordinary' and follow specific, sometimes tacit, cultural rules or norms. The second one is "managing the grades." In general, participants have been pressed for the compressed time doing many activities and alienated in the classroom because of some cultural norms and power relations. For many undergraduates, classes in university are generally considered 'useless' or 'meaningless' in these days. Considering these, participants tend to adopt an efficient tactic, so-called "managing the grades." It has made them not only follow criteria of evaluation in classes and become passive, but also identify their own "learning" with calculable "grades." The third one is "getting old", related with a culture of 'ageism.' As they get old, they prefer to follow "stable" jobs or life goals rather than to seek their own possibilities or the not-yet-actualized. Bu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etting old" is fair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Fourthly, participants tend to worry about the time of "adult." They have embraced the harsh "reality" of "social life" and "work life", recognized as a stern hierarchic system compared to college life. The job market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so-called "neo-liberal" adjustments recently, the job stability and the employment rate have been decreased simultaneously. So they have sometimes felt urgent necessities to modify their life attitudes in relatively obedient and submissive ways. The last one is the feeling of "indebtedness." Participants usually have no option but to depend on their parents―either entirely or partly―in regards of tuition fee and living expenses, because the cost of college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by and large in recent decades. As they try to 'stand-alone' and the graduation becomes imminent, some of them cannot but choose to follow limited careers which guarantee higher and/or more "stable" financial rewards so as to get rid of the feeling of "indebtedness" in part, not to actualize or seek their own possibilities or potentials. There are five themes of college life stories about 'seeking' as well. The first theme is 'between being separately and together.' The culture of "mere undergraduate" affects participants' sociocultural emotion "loneliness", because it is not meaningful to them on the whole. Thus, they seek incessantly to find new and meaningful relationship network in and out of familiar and established relationships, and try not to settle into a certain comfort relationship network. The second one is the time of "youth(or being young, Cheong-choon)." They consider their stage of life course (in their early- and mid-twenties) is the crucial period for exploring and experimenting their lif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Many of them tend not to pursue a single life path or one-way life, because it is sometimes considered as a foreclosure of their life potentials. The third theme is "more experiences" or "diverse experiences." They consider an "experience" as a great opportunity to broaden their life horizon and potentials. Intertwined with the time of "youth", many of them think that the period of college life might be the only and significant time for "diverse experiences", in contrast to so-called "social life" or "work life." The fourth theme is "who am I, where am I(naneun-nugu, yeogin-eodi)." The expression is used as a black humor in participants’ everyday life, but it sometimes reveal their ardent wishes for finding their own "place(ja-ri)" in the world. The meaning of "place" is plural and multiple. It refers to not only physical and observable places which they consider as valuable or precious, but also human relationship or social positions that they have been in or intend to be in. Their "places" are constructed inter-subjectively, and intertwined deeply and complicatedly with their own 'understand-of-being(Seinsverständnis).' The fifth and last theme is 'encountering the "world(Se-gye)".' The participants tend never to stay in the boundary of single college campus. They have taken part in "pan-college activities(Beom-hakkyo-hwaldong)" or many student exchange programs in their respective college. For many of them, if they are supported emotionally, financially, and institutionally enough, the "world" is acknowledged as a fountainhead of life possibilities or potentials.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by interpreting college life stories and their major themes related to 'following' and 'seeking', I manage to illuminate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meanings of contemporary college life in South Korea. In general, participants have lived under pressure of 'following.' They have lived in the shade of "anxiety", which is partly influenced from macro-level situations. As a 'being-in-the-world'(Heidegger) and 'conditioned being'(Arendt), they cannot help living in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and contexts. However, they have lived between 'following' and 'seeking', which are inseparable and entangled from each other. As a 'being-toward-the-world'(Merleau-Ponty) and 'conditioning being'(Arendt), they have strived not to be caught entirely by their life conditions and contexts. Instead, they have tried to broaden and explore their life possibilities or potentials in college life. They have lived not in a single culture but between diverse cultures, so they are in part 'in-between' and 'liminal' beings. In this part, these lif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are re-interpreted as 'educational', because they could be the fountainheads of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learning, growth, and transformation. Based on these interpretations and taking one step forward, I try to examin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nd college education. Recently, some scholars and researchers have problematized the identity and purpose of college education, which has undergone serious chang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zation. They point out that the major features of contemporary college education have become, roughly speaking, more and more 'instrumentalized, vocationalized, and corporatized', or, to put Heidegger's term, 'enframed' in recent decades. In this trend, the 'ontological voices'―which express their being, becoming, and being-possible―of contemporary undergraduates and/or their colleges would be at risk for being silenced and foreclosed easily. I suggest that college educ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and re-constructed in the perspective of 'ontological education.' Research on ontological education is still in its exploratory and emergent stage,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nsider and re-examine foundations of college education in the world of change. 'The ontological turn' of college education would request challenging and demanding educational imaginations, but make it possible to discover new and critical educational horizons. 이 연구는 소위 ‘신자유주의’ 혹은 ‘경제침체’의 시대로 인식되는 오늘날, 흔히 ‘곤경’과 ‘위기’에 처해 있다고 언급되는 20대 대학생들의 삶과 문화와 교육을 질적 연구와 현상학적 존재론의 관점을 통해 다시 이해해 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나는 아홉 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만나 이들의 대학생활 이야기에 주목하면서 대화를 나누었다. 나는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현상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이들의 ‘존재’와 ‘존재가능’에 주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곧 대학생들의 ‘있음(being)’과 ‘되기(becoming)’의 존재론적인 역동과 생성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는 뜻이다. 연구의 초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좇기’와 ‘찾기’라고 하는 이중적인 삶의 지향성을 현상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이론화했고, 이를 연구 내러티브의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주요한 키워드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 내가 제기한 연구 문제, 즉 이끎-길은 다음 세 가지였다. 첫째, 대학생들은 어떤 ‘좇기’와 ‘찾기’ 과정을 거치며 대학생활을 해왔는가? 둘째, ‘좇기’와 ‘찾기’는 어떠한 대학생활의 이야기 주제를 통해 표현되는가? 셋째, ‘좇기’와 ‘찾기’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이며, 이를 통해 본 대학생활의 교육적 가능성은 무엇인가? 나는 이러한 세 가지 질문이 이루고 있는 이끎-틀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생활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더 나아가 오늘날 대학교육에 던질 수 있는 함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첫째, Ⅱ장에서 나는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답하여 한지민, 정다인, 이한결, 민윤진, 유민정 다섯 연구 참여자의 대학생활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나머지 네 연구 참여자, 즉 송현진, 서주희, 박태훈, 김우진의 이야기에 비해서 ‘좇기’와 ‘찾기’로 의미화 될 수 있는 삶의 과정이 대학생활 이야기 속에 비교적 잘 드러났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은 각기 다른 리듬 속에서 다른 삶을 살아왔다. 저마다 꾸면서 좇아온 꿈이나 목표도 달랐고, 저마다 중요시한 가치도 달랐으며, 찾아 나섰던 대상이나 삶의 지향도 모두 달랐다. 나는 이들의 생애사적 과정에서 중요했던 전환점을 중심으로 대학생활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Ⅲ장에서 나는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답하여 대학생활의 이야기의 다양한 측면들을 ‘주제화’한 다음, ‘좇기’와 ‘찾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주제들을 연접시켜 연구 참여자들의 복잡한 되기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좇기와 관련해서는 총 다섯 가지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주제는 “그냥 대학생”으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마주하게 된 대학생 문화의 ‘범상성’이 얼마나 대학생들에게 특정한 모습을 좇기를 강요하는지에 대해 드러내었다. 두 번째 주제는 “학점관리”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하는 탓에 시간적 압력에 시달리고 강의실의 권력 관계에서 소외되면서, ‘효율성’의 관점에서 “학점관리”라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이는 “공부”와 “학점관리”를 동일시하는 경향 뿐 아니라, 자신에게 주어진 수업의 평가기준을 적극적으로 좇게 하는 기제였다. 세 번째 주제는 “나이가 많아지니까”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지각하고 체험하는 ‘나이주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나이’가 많아지면서 점점 다른 가능성을 찾기보다는 ‘안정적’이라고 지각되는 목표와 꿈을 좇는 경향이 있었으며, 때로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이중적 기준이기도 했다. 네 번째 주제는 “성인”의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우울함 속에서도 사회생활이 얼마나 엄격한 위계질서 속에서 일어나는 일인지 깨달아 갔으며, 점차 자신의 존재가능을 찾기보다는 주어진 사회적 조건과 압력을 좇아 스스로를 변양할 필요가 있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다섯 번째 주제는 “부채감”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비용의 대학교육 탓에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간이 지나 졸업이 다가오고 ‘홀로서기’를 시도함에 따라, 이들은 부모에 대한 “부채감”을 강하게 느끼며 사회경제적 보상이 많은 특정 진로를 좇아가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찾기와 관련해서도 다섯 가지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따로 또 같이’라는 주제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생활의 범상성 속에서 “외로움”을 느끼다가 자신에게 의미 있는 관계들을 찾아 나서는 과정의 역동을 드러내었다. 두 번째는 “청춘”의 시간이었다. 대학생 문화에서 “청춘”은 자기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시기로 인식되며, 연구 참여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한 길”만 가는 것을 자신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세 번째는 “더 많은 경험”이라는 주제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청춘”의 시간에 발맞추어 주어진 시간 하에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사회생활에서는 “다양한 경험”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학부 시절에 최대한 “더 많은 경험”을 찾아 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네 번째는 “나는 누구, 여긴 어디”라는 주제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생활을 하는 내내 자신의 ‘자리’가 어디인지를 찾고 있었다. 이는 물리적이고 관찰 가능한 공간을 뜻하기도 했지만, 자기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나 모임을 뜻하기도 했고, 더 추상적으로는 “사회”와 “세계”가 자신과 맺고 있는 관계성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들에게 자리는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자의 ‘존재이해’와 깊숙이 연관되어 있었다. 다섯 번째는 “세계”와 만나기라는 주제다. 연구 참여자들은 결코 한 대학 캠퍼스에만 머물지 않으며, 특히 고학년이 되어서는 “범학교 활동”이라고 분류되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세계”는 여러 여건이 허락하는 한 삶의 다양한 가능성의 원천으로 인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어학연수나 교환학생 등 다양한 “해외경험”을 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도 하였다. 셋째, Ⅳ장에서 나는 앞에서 다룬 대학생활 이야기와 여러 이야기의 주제들이 내포하는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을 교육인류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교육인류학이란 삶의 형식으로서 문화와 교육을 중심으로, 특히 메타적인 삶의 형식으로서 교육의 관점에 주목하여 더 나은 삶과 문화와 교육을 모색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먼저 좇기와 찾기라는 이중적 지향성이 교육인류학적으로 어떠한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좇기 압력 속에서 살아가면서도, 일종의 ‘경계적 존재’로서 다양한 문화 사이에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찾으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대학생활이 처해 있는 오늘날 한국의 거시적인 상황에 대한 해석을 통해, 오늘날 대학생들이 “불안” 속에서 ‘좇기’의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대학도 마찬가지로 ‘닦달(Gestell)’을 당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나는 이러한 해석에서 더 나아가, 오늘날 대학교육이 어떠한 지향을 가지면 바람직할지 살펴보았다. 나의 잠정적 결론은 오늘날 대학은 더욱 ‘존재론적 대학교육’의 가능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었다. ‘세계-내-존재’이자 ‘세계-로의-존재’로서 대학생들의 삶과 실존, 목소리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뿐 아니라, 대학 스스로도 더욱 존재론적인 관점 속에서 재구성 될 필요가 있다고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과 대학의 존재와 존재가능이 교육적으로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의 대학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를 위해 새로운 ‘대학교육의 가능성’의 지평을 드러낼 수 있는 교육학적 상상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