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腿骨 轉子部 骨折 治療의 새로운 手術技法에 關한 生體力學的 分析

        김봉주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34351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서 가장 크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시술 후 인공 삽입물 주위와 골절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또한 적절한 내고정력의 확보로 인하여 조기 골유합 및 인공 삽입물의 내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대퇴골두 내에 서 발생하는 응력 및 미세운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보강하는 시술법 이 소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대 한 다양한 수술기법을 골밀도 변화에 따라 생체역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대퇴골 근위부의 유한요소 모델을 구현하여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기존의 실험치 와 유사하여 신뢰성이 부여되었다. 검증된 모델은 압박 고나사를 이용한 전자간 골절 치료 모델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정되었다, 수정된 모델들은 압박 고관절 나사만을 이용하여 시술 한 모델(Type Ⅰ) 삽입된 압박 고관절 나사 주위에 시멘트 영역을 확보한 뒤 골 시멘트로 보강하는 시술을 구현한 모델(Type Ⅱ), 추가의 골소실이 없이 시멘트를 가압하여 주입하는 시 술을 구현한 모델(Type Ⅲ)의 3가지 형태로 구현하였다. 시술 상황에 따라 골절부위와 삽입물의 경계면 주위에 접촉요소를 적용하였으며 적절한 마찰계수를 설정하였다. 골다공증 정도 (Singh Indices, Ⅱ~V)에 따라 적절하게 대퇴골의 물성치를 적용하였으며,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nsys 5.7(Swanson Analysis System, Inc, Houston, PA, USA)을 이용하였다. 각 모델에 대한 해석 후 골밀도 변화에 따른 수술기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 (a) 대퇴골두 내에서의 von Mises 응력 부피비, (b) 대퇴골두 망상골과 인공 삽입물내에서의 최대 von Mises 응력(PVMS), (이 대퇴골두 내에서의 최대 von Mises 변형률(MVMS), (d) 골절 부위와 인공 삽입물 주위에서의 미세운동량. 수술기법 중 Type Ⅲ가 대퇴골두 내에서 골밀도 변화에 상관없이 가장 낮은 PVMS, MVMS 수치를 보여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시술법(Type 1, 11)에 비해 내고정 실패 가능성이 가장 적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골밀도가 낮을 때에는 Type Ⅲ 의 수술 효과가 더욱 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삽입물 주위에서 미세운동량을 분석한 결과, Type Ⅲ의 수치가 다른 시술법들의 15~20%로 나타나 시멘트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시술법이 삽입물 주위의 미세운동을 억제하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이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압박 고관절 나사를 이용한 대퇴골두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골 시 멘트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방법이 골밀도가 낮은 환자에 있어 인공삽입물의 내고정 및 골유 찰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For manage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it is critical to minimize the relative motions between an implant and its surroundings as well as at the fracture plane. Fast post-op bony healing and avoidance of implant loosening can be ensured by appropriate fixation strength. Cement augmentation techniques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to reduce the micromotion and to distribute the stresses within the femoral head reg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iomechanical efficacies of various cement augmentation technique with or without pressurization for varying degrees of osteoporotic femur. For this study, a biomechanical analysis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FEM) was undertaken to evaluate surgical procedures. For this a three-dimension finite element model of the proximal femur was developed and validated. Validation results were agreed with those of literatures, thereby giving confidence in the validity of the model. Then the intact model was modified to simulate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ith sliding hip screw system. They include the non-cemented (i.e., hip screw only, Type I), the cement-augmented (Type II), and the cemented augmented with pressurization (Type III) models, To simulate the fracture plane and other interfacial regions, 3-D contact elements were used with appropriate friction coefficients. Material properties of the cancellous bone were varied to accommodate varying degrees of osteoporosis (Singh indices, II-V). Ansys 5.7(Swanson Analysis System, Inc., Houston, PA, USA) was used for analyses. For each model, the following item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surgical procedures in relation to osteoporosis of varying degrees: (a) von Mises stress distribution within the femoral head in terms of volumetric percentages, (b) Peak von Mises stress (PVMS) within the femoral head and the surgical constructs, (c) Maximum von Mises strain (MVMS) within the femoral head, (d) micromotions at the fracture plane and at the interfacial region between surgical construct and surrounding bone. Type III showed the lowest PVMS and MVMS at the cancellous bone near the bone-construct interface regardless of bone densities, an indication of its least likelihood of construct loosening due to failure of the host bone. Particularly, its efficacy was more prominent when the bone density level was low. Micromotions at the interfacial surgical construct was lowest in Type III, followed by Type I and Type II. They were about 15-20% of other types and suggested that pressurization was most effective in limiting the interfacial mot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e cement augmentation with hip screw could be more effective when used with pressurization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For patients with low bone density, its effectiveness can be more pronounced in limiting construct loosening and promoting bone union.

      • 不安定한 下京部 大腿骨 轉子間 骨折시 遲延나사 揷入 位置에 따른 手術적 安定性 分析

        김민석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35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주로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에서 발생되며, 초고령화 사회로 진행함에 따라 골절 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해당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는 골수내 정을 이용한 고정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적절한 위치로 인해 근위 골편에서의 고정 실패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지연 나사의 이상적인 위치에 대한 연구들은 진행되고 있지만, 그중 고정실패율이 높은 하경부 대퇴골 전자간 골절 형태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하나인 골수내 정 고정시, 지연 나사 삽입 위치에 따른 수술적 안정성을 유한요속 해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퇴골 유한요소 모델은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Muller AO Classification 2.2 골절 유형과 유사하게 구현 후 Worst case를 가정하기 위해 대전자부 1cm정도와 소전자를 제거하였다. 골수내정의 경우 3세대 감마 정(Length:170mm, CCD Angle:125degree, Stryker Corp., USA)을 사용하였으며, 지연 나사는 전후면부와 측면부에서 대퇴골두의 중심에서 5mm 간격으로 상,하단부와 전,후방에 위치시켜 12가지의 모델[전후면부-Superior(5mm),Center,&Inferior(5mm&10mm), 측면부-Anterior(3mm), Center, Posteior(3mm)]을 구현하였다. 대퇴골 구성요소의 물성치 및 접촉 조건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적용하였으며, 일반 보행시 발생되는 최대 하중 및 외전근력(체중의 300%,100%)은 수직 축에서 대퇴골두와 대전자에 부하하고 원위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움직임이 없도록 구속하였다. 지연나사의 삽입위치에 따른 생체역학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근위 골편의 회전축에 따른 회전 변위를 비교하였다. 또한 대퇴골두 해면골의 항복응력을(22MPa)를 기준으로 하여 대퇴골두 해면골에 발생하는 최대 응력값을 통해 골두 천공의 위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근위 골편의 회전 변위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지연나사를 대퇴골두의 상단부[Superior(5mm)]와 정면부[Anterior(3mm)]에 삽입할 경우 가장 높은 회전 변위를 보이는 하단부[Inferior(10mm)],후면부[Posterior(3mm)] 모델 보다 약 40% 낮은 회전 변위를 확인하였다. 특히 상단부에 위치하면서 전방에 삽입 하였을 때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하단부와 후면에 삽입할 경우 다른 모델에 비해 가장 큰 회전 변위를 나타내었다. 골두 천공의 위험성의 경우 지연나사를 대퇴골두의 상단부 또는 중심과 전방에 위치시켰을 때 약 45%,38%로 하단부와 후면에 삽입한 모델들에 비해 약 40%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퇴골 경부 기저부 골절 형태의 불안정성 전자부 골절의 골수내정 삽입술 시, 지연나사를 대퇴골두의 상단부와 전방에 삽입할 경우 골두 천공의 위험성을 낮추며, 근위 골편의 회전을 최소화시켜 수술적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PFNA-II와 TFNA를 이용한 치료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 지연나사의 외측 활강과 외측 전자 통증의 연관성에 관하여

        성동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334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PFNA-II와 TFNA를 이용한 치료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 지연나사의 외측 활강과 외측 전자 통증의 연관성에 관하여 - 의 학 과 성 동 훈 지도교수 김 현 준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내고정 수술 시 사용한 TFNA와 PFNA-II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 자 한다. 더불어 지연나사의 외측 활강과 외측 전자 통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동아대학교 병원에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을 진 단 받고 내고정 수술을 시행 받은 1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72명의 PFNA-II를 시행 받은 환자, 44명의 TFNA를 시행 받은 환자 두 군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대전자 압통이 양성인 10명의 환자, 음성인 106명의 환자군으로 나누어 외측 전자 통증과 연관성이 있는 인자 들을 연구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지연나사의 위치, Tip-Apex Distance, 근위 골수정 돌출 및 지연나사의 외측 활강 길이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결과에 대해서는 Hip Harris Score, Visual Analogue Scale(VAS) score, 대전자 압통 및 술 전, 후 보행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지연나사의 외측 활강이 발생한 환자는 PFNA-II군에서 33명 (45.8%) TFNA군 18명(40.9%)으로, TFNA군에서의 발생률은 더 적었다 (p=0.604). VAS score는 PFNA-II군에서 3.10±1.57, TFNA군에서 3.77±1.71로 TFNA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p=0.03). 또한 대전자 압 통 양성은 PFNA-II군에서 3명, TFNA군에서 7명으로 TFNA군에서 유의 미하게 높았다(p=0.04). 대전자 압통 양성 군과 음성 군을 비교했을 때, 대전자 압통이 양성인 군에서 지연나사가 외측 활강된 사람의 수는 8명 (80%), 음성인 군에서 43명(40.6%)이었고(p=0.021), 외측 활강 길이는 양성인 군에서 8.87±5.22, 음성인 군에서 2.68±4.47이었다(p=0.000). 결론: PFNA-II 와 TFNA를 사용한 군 모두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는 양 호하였기에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적합한 기구라고 판단된다. 두 기구를 비교했을 때 TFNA가 PFNA-II보다 외측 전자 통증을 더 유발 하였고, 지연나사의 외측 활강 여부 및 정도가 외측 전자 통증과 연관성이 있었다.

      • 不安定性 大腿 轉子間 骨折에서 滑降 壓迫股 羅絲와 轉子部 安定化 金屬板을 이용한 治療

        조진호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4319

        목 적 : 3부분 또는 4부분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활강 압박하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행하여 치료한 경우에서 골절 부위의 감입(impaction)을 예방하여 해부학적 정복 유지, 지연 나사의cutting out 예방과 골유합 촉진을 얻을 수 있는지를 조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2월부터 2002년 3월 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치료받은 121명 중에서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로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행하여 치료한 환자 24명 중에서 6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형태는 AO분류를 사용하였고, 수술 직후와 수술 후 3개월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활강 압박고 나사의 감입(impaction)을 측정하였고, 고관절 기능은 수술후 6개월째에 Salvati와 Wilson평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남자 7명 여자 12명, 나이는 평균 73세, 골절분류는 AO형 중에서 A2-2 2 예, A2-3 6예, A3-2 1예, A3-3 10예 였다. 수술방법은 모두 short barrel 금속판을 사용하였고,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에 회전 방지 나사를 사용한 경우는 1예였다. 골절 부위의 감입은 평균 5.4㎜(범위는 1.8㎜에 11.4㎜)이었다. Salvati와 Wilson평가 수치는 excellent 32%, good 53%였다. 골유합은 18예에서 얻었고, 1예는 지연나사가 cutting-out 되어 인공 고관절 부분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 론 : 대피 전자부의 4부분골절, 3부분골절 특히 외측 피질골의 골절이나 대전자부에 수직성 골절이 동반된 경우는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행하여 치료함으로서 골절 근위부의 감입 전이에 의한 외전근 위축, 하지 단축, 그리고 추가적인 외측 피질골 골절 발생 등을 예방하여 조기 보행과 골유합 촉친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adding of the modular trochanter stabilizing plate(TSP) to the compression hip screw(CHS) can prevent excessive impaction and cutting out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One hundred twenty-one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treated between December 1999 and March 2002. Of the patients, twenty-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 additional TSP on the regular CHS. Nineteen patients were followed for more than six months. The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Impactions of compression lag screw were measured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hree months later on simple radiographs. Functional resul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Salvati-Wilson assessment score at postoperative six months later. Results : The group consisted of seven men and twelve women, and the mean age was 73 years. Two were classified as A2.2, six A2.3, one A3.2, and ten A3.3 fractures. Mean impaction was 5.4m (range 1.8 to 11.4mm). Functional results were excellent in 32% and good in 53%. Eighteen patients had healed after operation. One complication required a bipolar hemiarthroplasty due to cutting-out of lag screw. Conclusion : In three-part and four-part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lateral cortex breakage or vertical fracture in greater trochanter, the addition of a TSP to the CHS can prevent abductor muscle weakness due to fracture impaction, limb shortening and additional lateral cortical fracture. It also helps early weight bearing and bone healing.

      •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이용한 타곤 근위 대퇴정의 임상적 결과

        김일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19

        연구배경 :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이용한 타곤 근위 대퇴정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타곤 근위 대퇴정으로 치료 받은 대퇴골 전자간 골절 63예중 추시가 가능했던 5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5.2세, 추시기간은 평균 31.3개월이었고, 안정골절 26예, 불안정골절 30예였다. 임상적으로 수술시간, 수혈빈도 및 수혈량, 시각 척도계에 의한 통증 분석, 체중부하 시기, modified Koval index에 의한 기능평가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는 정복의 적절성, 대퇴 경간각, 대퇴골 간부의 내측 전위,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 지연나사와 나사통 사이의 각도 변화 및 나사통과 대퇴정 사이의 각도 변화, 유합시기를 조사하였으며, 골절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 수술시간은 평균 37분이었고, 시각 척도계에 의한 통증 정도는 평균 2.8, 수상 전에 전 체중부하가 가능하였던 43예 중 38예(88%)에서 전 체중부하 가능하였고, 술 후 40예(71%)에서 수상 전 상태로 회복되었다. 방사선상 전 례에서 양호 이상으로 정복되었고, 유합 시간은 평균 8.9±2.5주, 대퇴 경간각은 평균 3.6±1.9도 내반되었고, 내측 전위는 평균 2.8±0.9mm, 지연나사의 활강은 평균 4.7±0.6mm였고, 골절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연나사의 골두 천공, Z-현상 및 대퇴골 간부 골절은 전 례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타곤 근위 대퇴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는 조기 거동, 빠른 임상적 회복, 우수한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고, 지연나사의 골두 천공, Z-현상 및 대퇴골 간부 골절 같은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으며 전자간 골절의 안정성, 불안정성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고정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Targonⓡ Proximal femoral nail for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pril 2004 to November 2005, 63 case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ere treated with the proximal femoral nail. Among them, 56 cases were analyzed. The mean age was 75.2 years ol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31.3 months There were 26 stable fractures and 30 unstable fractures. Clinical assessment included operating time, transfusion rate, pain analysis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timing of full weight bearing, functional evaluation by modified Koval index and complications. Radiological assessment included adequacy of reduction, union time and changes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roentgenogram in various parameters. Results : The mean operating time was 37 minutes. Visual analogue scale at final follow-up was 2.8 in average and full weight bearing was possible in 38 cases (88%) of 43 preoperative ambulators within postoperative 6 weeks. Postoperative mobility recovered to pre-injury level in 40 cases (71%). Radiologic results showed adequate reduction in all cases and mean union time was 8.9±2.5weeks. Neck-shaft angle changed at final follow-up in average 3.6±1.9 º. Femoral shaft displaced medially in average 2.8±0.9mm and lag screw sled in average 4.7±0.6mm. Complication such as cutting through, Z-effect and femoral shaft fracture was not found in all cases. Conclusion : The Targon?? Proximal femoral nail showed excellent results in terms of early ambulation, clinical recovery and radiologic parameters and could be useful implant for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regardless of fracture stability.

      • 大腿骨 轉子間 骨折의 治療에서 滑降壓迫股나사와 近位大腿骨髓釘의 比較 硏究

        정국진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4319

        Ⅰ. 연구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내고정물인 활강압박고나사와 근위대책골수정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2000년 6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술후 6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중 골다공증의 척도인 Singh지수가 같은 환자들중 근위대퇴골수정으로 내고정을 한 환자 31명을 1군, 활강압박고나사로 내고정을 한 환자 25명을 2군으로 하여 수술시간, 출혈량, 수혈량, 재원기간, 골유합 기간 및 방사선 소견상 대퇴경간각의 변화, 지연나사의 평균활강거리, 술후 합병증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평균 수술시간은 제1군이 94분으로 2군의 150분보다 빠른시간에 수술이 이루어졌으며 수술중 평균 실혈량은 제1군이 330m1, 2군이 610ml이었으며 수술중 및 수술후 수혈량의 평균은 제1군이 15일, 2군은 20일이었다(p>0.05). 골유합기간은 안정성 골절에서는 제1군이 14.2주, 2군이 16.4주였으며 불안정성 골절에서는 제1군이 16.5주, 2군이 20주의 결과를 보였다. 대퇴 경간각은 제1군에서는 129.7도, 2군에서는 128.3도를 보였으며 지연나사의 평균활강거리는 제 1군에서는 4.2㎜, 2군에서는 3.6㎜를 보였다(p>0.05). 합병증으로는 제 1군의 경우 10도이상의 내반고 변형 3례, 표재성 감염 1례가 있었으며 2군은 내반고 변형 3례, 지연나사의 대퇴골두 천공 1례, 지연 유합 1례, 재골절 1례가 발생하였다. Ⅳ. 결론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노인 환자에서 호발하므로 견고한 내고정을 통한 조기 관절 운동 및 보행이 치료 결과 및 합병증의 예방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본 연구에서 근위대퇴골수정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간 골절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활강압박고나사와의 비교연구에서 수출시간의 단축, 실혈량의 감소, 수술중 및 수술후 수혈량의 감소라는 장점을 보이므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내고 정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analyzed the operative resul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the proximal femoral nail and dynamic hip screw. Material and Methods : 56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ere treated by proximal femoral nail and dynamic hip screw between June 2000 and October 2001, and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We classified them into group I using proximal femoral nail (3l cases) and group Ⅱ (25 cases) and analyzed in retrospective study by use of patient record, roentgenogram and interview. Results : The results of operation in group I was superior to group Ⅱ in all aspects. It took 94 minutes in group I but 150 minutes in group Ⅱ. Volume of bleeding was 33Oml in group I but 600ml in group Ⅱ during operation. Whole volume of transfusion in hospitalization was 400, 900ml respectively(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duration of hospital day, mean time to union, neck shaft angle and sliding distances of lag screw between group I and Ⅱ(p<0.05). Conclusion : proximal femoral nail was more useful implants in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all types than dynamic hip screw and we also found short operation time, less bleeding and transfusion volume and early rehabilitation

      • 대퇴골 전자간골절에 있어서 대퇴골두 치환술

        정성택 전남대학교 1990 국내석사

        RANK : 234319

        골두치환술은 대퇴골 경부골절의 일차치료로써 사용되어 왔으나 인접골절인 전자간 골절에 있어서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어 왔다. 저자는 1979년부터 1988년까지 10년 동안에 본병원에 입원하였던 대퇴골 전자간 골절환자중 일차치료로써 대퇴골 두치환술을 시행하였던 증례들을 조사하였던바, 29환자 30관절에 달하였다.저자는 이들을 대상으로 대퇴골두 치환술이 치료성적을 검토하고 나아가 대퇴골두 치환술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일차치료법으로서 타당한가를 조사하였다. 1. 대퇴골 전자간 골절 30례는 안정성 골절이 19례, 불안정성 골절이 11례였다. 2. 삽입의두는 금속형 의두 15례와 세라믹형 의두 15례였다. 3. 수술후 조기합병증으로서는 사망 1례(91세), 배뇨장애 1례, 욕창 1례 였으나 탈구와 심부감염은 없었다. 장기 후유증으로서는 비구마모 4례, 이소성골형성증4례, 의두함몰 2례, 의두해리 1례였다. 4. 최소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는 총 17명(17관절)으로 이들의 관절 기능은 만족 15례, 불만족 2례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볼 때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있어서 일차적 의두치환술은 조기보행과 조기재활을 가능하게 하며, 장기성적도 만족스러움으로 연령이 많고 골조 송증이 심하며 내고정술로 인한 후유증이 기대되는 환자에서는 합리적인 수술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author analyzes case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that had been treated primarily by prosthetic replacement of femoral head during the period of 10 years between 1979 and 198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our experience in an attempt to delineate the primary indication of the prosthetic replacement in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 Thirty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comprised of 19 stable and 11 unstable fractures. 2. The types of protheses inserted were metal head in 15 hips and ceramic head in 15 hips. 3. There were no serious early postop. erative complications except one death we to associated systemic disease. The late postop. erative complications were 4 acetabular erosions, 4 heterotopic ossifications, 2 prosthesis sinkings and one loosening. 4. The hip function of seventeen hips followed more than 1 year showed excellent and good in 10, fair in 5, and poor in 2. Based upon these results, prosthetic head replacement may be recommended for the elderly patient with a intertrochanteric fracture for the rapid restoration to prefracture state.

      • 불안전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과 전자하 골절에 있어서 고관절 금속판 고정술

        김채영 전남대학교 1988 국내석사

        RANK : 234319

        저자는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과 전자하 골절 46례에 있어서 노식 고관절 금속판(Rowe type hip plate)을 사용하여 치료하였던 임상경험을 보고한다. 46명의 환자는 전남 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1984년 1월부터 1986년 12월까지의 만 3년동안에 수술하였던 환자이며, 수술후 최소 6개월이상의 원격조사가 가능하였던 환자만을 포함하였다. 1. 46명의 환자는 남자 37명, 여자 9명이었다. 2. 환자의 평균 연령은 45세였으며 최고 67세, 최소 18세이었다. 3. 손상원인은 교통사고 31례, 추락사고 10례, 기타 5세이었다. 4. 골절의 형태는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 11례, 불안정성 전자하 골절 23례 이들 두골절의 복합 골절 12례이었다. 5. 모든 환자에서 골절부 내후측에 자가골이식을 시행하였다. 6. 술후 골유합 진행의 정도에 따라 8내지 16주동안 석고부목을 착용시켰으며 8주후부터 부분적인 체중부하를 허락하였다. 7. 총 46례중 43례는 술후 6개월이내에 골유합이 이루어졌으여, 나머지 3례중 2례는 8개월에 그리고 1례는 9개월에 골유합이 이루어졌다. 8. 합병증으로는 지연유합 3례, 경도의 내반고 2례, 전자부 활액낭염 18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금속실패(metal failure), 창상감염, 사망과 같은 중증의 합병증은 없었다. 9. 본수술법은 불안정성 골절에서 시행되고 있는 각종 수술법에 비하여 많은 우수한 장점들이 관찰되었다. 즉 해부학적 점북상태에서 골유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반고, 지단축, 관절 운동의 제한 그리고 파행들이 경미하며, 육수 골절 수술대와 X선 영상 증폭장치의 보조없이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방법이 간단하고 쉬운 장정들이 관찰되었다. Forty six unstable intertrochanteric and/or subtrochanteric fractures which were severely comminu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were treated with the hip plate which was developed by Sung Man Rowe, M.D.. The clinical results of them were review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etails of surgical technique. All forty six fractures were reduced anatomically and maintained until bony union. A supplementary bone graft was performed. Only three out of the total forty six fractures united after 6 months and were regarded as delayed un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hip plate provides excellent fixation in anatomical position with minimal complication. A few more advantages of this operation are that it doesn't need image intensifier or specific fracture table, and that it is very simple and easy to operate.

      • 대퇴 전자간 골절에 있어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및 3세대 감마정의 치료 비교

        김선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18

        연구계획 및 목적 :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및 3세대 감마정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또는 3세대 감마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 했던 169예 중 추시 누락된 38예를 제외한 131예(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33예,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59예, 감마정 3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연나사의 TAD (Tip apex distance), 대퇴 경간 각, 지연 나사의 골두 내 위치를 측정하였고 출혈량, 수술 시간, 수혈량, 입원 기간, 술 후 중환자실 입원 여부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 방사선학적 결과 비교에서 모든 변수에서 세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임상적 결과 비교에서도 세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최종 추시 시 불유합은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군에서 1예, 내반 변형 및 지연나사의 관절 내 돌출은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군에서 2예,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군에서 4예, 3세대 감마정 군에서는 1예가 있었다. 지연나사의 활강 거리는 세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군 및 3세대 감마정군 간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에서 특정 군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없었다.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골절의 정복과 술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대퇴골, 대퇴 전자간 골절,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3세대 감마정

      • 근위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 전 평가에서 3 차원 재구성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이인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0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근위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과 3차원 재구성 전산화 단층 영상 (3D CT)의 수술 전 경간 각 측정 방법과 그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3D CT 촬영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0 년 (1 월)부터 2017 년 (2 월)까지 강북 삼성병원 정형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근위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 중 감마 정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실시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총 107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 및 3D CT에서 측정된 대퇴골 경간 각을 각각 연령, 체질량 지수, 키, 몸무게, 골밀도와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였다. 3D CT 영상에서 측정된 대퇴골 경간 각을 기반으로 120도 감마 정 (22예), 125도 감마 정 (85예)을 삽입 하였으며, 수술 직후 촬영 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에서 측정된 첨단 정점 거리(TAD) 및 추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에서 골절 유합 시기,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및 대퇴-경간각의 내반 변형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에서 측정한 대퇴골 경간 각의 평균 값은 3D CT에서 측정한 경간 각의 평균 값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01).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가에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 및 3D CT에서 측정한 경간 각 모두 우수한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에서 측정한 대퇴골 경간 각은 나이와의 상관 관계는 없었으나(R = 0.064 P = 0.476) 3D CT에서 측정한 경간 각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R = -0.239 P = 0.013). 수술 직후 촬영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에서 120도 감마 정을 사용한 환자와 125도 감마 정을 사용한 환자 모두 평균 첨단 정점 거리가 25mm이었다. 추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에서는 골 유합 시기, 근위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및 대퇴-경간 각의 내반 변형 정도 모두 적절한 범위 내에 있었다. 결론: 근위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는 누운 상태에서 환측 다리의 외회전과 단축이 발생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단순 고관절 전후면 촬영 영상으로 정확한 대퇴골의 3차원적 위치를 결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3D CT를 이용한 정확한 대퇴골 경간 각을 측정은 수술 전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치료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verify usefulness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proximal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 images of the hip joint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computed tomography (3D CT) images in patients with proxim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ethods: A total of 107 patients underwent internal fixation using gamma nail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orrelations between age, body mass index, height, weight, and bone marrow density were compared for the femoral neck shaft angle measured by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y and 3D CT images. Based on the femoral neck shaft angle measured in 3D CT image, 120 degree gamma nails (22 cases) and 125 degree gamma nails (85 cases) were inserted. The Tip-apex distance (TAD) measured from a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ic images taken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fracture union time, the degree of sliding of the lag screw, and the degree of varus deformity of the femoral-neck shaft angle were analyzed on follow-up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ic image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 of the femoral neck shaft angle measured by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 and 3D CT. (P <0.001). In the test-retest reliability evaluation, both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ic images and 3D CT images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The femoral neck shaft angle measured by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 was not correlated with age (R = 0.064 P = 0.476). However, 3D CT measurements of femoral neck shaft ang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R = -0.239 P = 0.013). The average Tip-apex distance evaluated in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s at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was less than 25 mm. In the simple anteroposterior plain radiographic images at the post-operative follow-up, the bone union time, the degree of sliding of the proximal lag screw, and the degree of varus deformity of the femoral-span angle were all within the appropriate ranges. Conclusion: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femoral neck shaft angle using 3D CT might be helpful to planning before the proximal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 surgery, and might affect the prognosis after the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