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장암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불확실성과 영적요구에 관한 연구

        방그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대장암의 발생 및 사망률 증가추세로 10대 암 중 증가곡선이 가장 가파르며 2013년 현재, 대장암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암으로 대장암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간호 연구는 대장암 환자의 장루간호 및 자기 관리 경험 연구에 불과하며 대장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불확실성과 영적요구와의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가 경험하는 불확실성 정도와 영적요구도를 파악하고, 질병단계를 진단단계, 진행단계, 말기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질병단계에 따른 불확실성과 영적요구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3년 7월 8일부터 9월 13일까지 서울 소재 S병원의 암센터 종양내과 외래 및 대장항문외과 외래환자와 암센터 병동에 입원한 환자, 혈액종양내과 병동과 외과병동에 입원하여 치료 과정 중인 만 20세 이상의 대장암 환자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불확실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ishel(1988)이 개발한 불확실성 척도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MUIS)를 정재원(2005)이 도구 사용 허가를 받아 국문으로 번역, 수정한 도구와 한국인 암환자의 특성에 맞게 용진선(2008)이 개발한 영적요구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 정도는 평균평점 2.74±.33점으로 나타났으며, 진단단계 환자의 불확실성은 3.00±.34점, 말기단계 환자는 2.71±.28점, 진행단계 환자는 2.62±.26점으로 질병단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행단계, 진단단계, 말기단계 환자 모두 ‘애매모호성’ 영역에서 가장 높은 불확실성을 나타냈다. 2. 대상자의 영적요구는 3.80±.45점으로, 진단단계 3.84±.48점, 진행단계 3.77±.39점, 말기단계 3.84±.65점으로 질병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죽음의 수용 영역에서만 말기단계 3.69±.65점, 진행단계3.66±.43점, 진단단계 3.40±.5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712, p=.027). 진단단계, 진행단계, 말기단계 환자 모두 ‘사랑과 유대감’ 영역에서 영적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성별, 연령, 직업, 결혼상태, 교육정도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종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3.245, p=.024)를 보였으며, 기독교가 다른종교에 비해 불확실성이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요구도는 성별(F=14.887, p<.001), 연령(F=2.944, p=.015), 교육정도(F=3.190, p=.026), 종교(F=18.51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질병단계(F=20.318, p<.001). 진단 후 경과기간(F=9.18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영적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종교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적요구도는 종교(신)의 의미(F=19.485, p<.001), 종교생활의 필요성(F=21.088, p<.001). 종교예배 및 집회 참석회수(F=13.870, p<.001), 종교가 삶에 미치는 영향(F=43.80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장암 환자의 질병단계별, 전체대상자의 불확실성 정도와 영적요구의 상관관계는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 전체 대장암 환자의 불확실성은 중정도이며, 진단단계의 대장암환자의 불확실성이 높게 나타났다. 영적요구는 진단단계와 말기단계의 대장암 환자에게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장암 환자가 암 진단을 처음 직면하는 순간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정도를 감소시키고 영적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제공된다면 암을 극복해 나가면서 보다 질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re is dramatic increase of the incident rate and mortality rate of colon cancer in Korea recently, colon cancer is the one of the rapidest prevalence adult cancers, In 2013, there are a lot of researches for the colon cancer in the health care industries, but, unfortunately nursing studies are only focused on the ostomy care or sef-management. Therefore, it strongly urges to have a study for the relationship among uncertainty and spiritual needs on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The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identify the level of uncertainty and spiritual needs o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d also discuss abou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among diagnose, progress and terminal of diseas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llected data from 126 patients for the study from S. hospital in seoul who diagnosed with coorectal cancers between 7/8/2013 to 9/13/2013. They are over 20 years old adult group who had been visited the hemato-oncology center or colorectal surgical outpatient unit or hospitalized for the periods. Interview is the priority method of the study and adjusts to Juliana scale(2008) by utilizing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199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ellows: 1. The average score of uncertainty is 2.74±.33. In other word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disease phase, for example, the uncertainty of diagnose phase is 3.00±.34, progress phase is 2.62±.26, and terminal phase is 2.71±.28. Moreover, the highest factor of uncertainty is the ambiguous phase through the disease. 2. The average score of spiritual needs is 3.80±.45, the diagnose phase is 3.84±.48, progress phase is 3.77±.39, and terminal phase is 3.84±.6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piritual needs, but the acceptance of death shows 3.40±.54 for the diagnose phase, 3.66±.43 for the progress phase and 3.69±.65 for the terminal phase obviously(F=3.712, p=.027). The highest area of spiritual needs is love and fellowship for the all disease phases. 3. There is less relationship of uncertainty between gender, age, job, marriage status, education level as well as less relationship of uncertainty between the necessary, attendance, meaning, or effect of religion(F=3.245, p=.024). However, the uncertainty between gender(F=14.887, p<.001), age(F=2.944, p=.015), education level(F=3.190, p=.026) and religion(F=18.513, p<.001) shows significant changes by the phas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uncertainty accroding to phases of illness(F=20.318, p<.001), duration of illness(F=9.185, p<.001).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of spiritual needs among disease processes, prognoss, pain level and fatique. There is no significant in uncertainty accroding to religion's facto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ritual needs accroding to religion's meaning(F=19.485, p<.001), necessary(F=21.088, p<.001) attendance(F=13.870, P<.001) or effect of religion(F=43.809, p<.001). 5.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phases, uncertainty or spiritual needs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From the above results, the level of uncertainty is moderate for the population group, but significantly diagnose phase of patients shows the highest uncertainty and both progress and terminal phases of patients represent the similar in spiritual needs.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ly and spiritual needs through disease phases. Therefore, it is very crucial to have clinical and educational information for the newly diagnosed colorectal cancer patients in order to decrease uncertainly of the disease and promote spiritual health.

      • 암환자 본인부담 경감제가 노인 대장암 환자의 진료비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도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2005년 9월 1일부터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를 위해 시행된 암환자의 본인부담 경감제 전후 수도권 두 개 종합전문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환자들의 진료비와 의료이용 변화를 비교하여 본인부담 경감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암환자 본인부담 경감제가 시행된 2005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수도권 두 개 종합전문병원에 내원하여 대장암으로 확진되어 치료받은 65세 이상 노인 대장암 환자 23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진료비 명세서를 검토하였다. 환자별 특성은 Chi-square 분석을 하였고, 진료비와 의료기관 방문 횟수, 검사 및 치료 이용의 변화를 비교하는 t-test를 시행하였다. 성별, 연령, 병기의 영향을 통제하고 진료비 및 의료이용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두 군간에 생존율 차이 분석을 위해 log-rank test를 하였다.분석결과 첫째, 경감제 전후 진료비 분석을 보면, 환자부담 경감 전에는 환자 1인당 평균 외래 진료비는 858,739원이었으며 도입 후는 2,032,718원 로 현격히 증가하였으며(p=0.0007) 입원 진료비 또한 도입 후가 13,442,917원으로 도입 전인 9,045,930원에 비해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4). 외래방문 횟수는 경감 정책 전후 평균 8.62회에서 15.89회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고(p=0.0005) 입원 횟수와 재원일수의 차이는 없었다.둘째, 검사이용에 관한 본인부담 경감제 전후 비교를 위한 t-test에서 암태아성 항원(CEA)은 한 환자당 3.75회에서 5.21회로, 컴퓨터전산화단층촬영(CT) 1.97회에서 2.81회로, 양성자방출단층검사(PET) 시행은 0.04회에서 0.53회로 증가되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셋째, 치료이용 측면은 제도 후 IV 병기 환자들이 항암화학요법, 수술의 적극적 치료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에서 본인부담 경감제가 독립변수로 진료비에 미치는 요인인지 분석한 결과 제도 도입 전에 비해 후의 총 외래진료비는 1,255,236원, 총 입원진료비는 4,540,644원의 각각 의미있는 상승을 보였고(p=0.0099,p=0.0101) 입원 횟수와 재원일수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다섯째, 검사이용 항목에 대해 본인부담 경감제가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CEA는 1.31회(p=0.0140), CT는 0.82회(p=0.0003), PET는 0.46(p<0.0001)로 모든 지표들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여섯째, 본인부담 경감정책 전후 두 군간에 생존율 차이는 없었다.이상의 결과로 암환자들의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의 하나인 본인부담 경감제가 노인 대장암 환자들의 진료비 및 의료이용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고 이는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 도입시 노인 암환자들의 불필요한 의료이용의 증가 및 도덕적 해이의 측면도 예측하고 적절한 보장성 강화를 통한 수가 탄력성을 판단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향후 암환자 본인부담 경감이 적절한 의료이용 및 바람직한 임상결과로 귀결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질적인 검증이 필요하며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증가하는 노인 암환자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정책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decrease of the patient's payment rate on the health expenditure and medical utilization of elderly colon cancer patients. A sample of 232 elderly colon cancer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edical records and medical bills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rank test.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Regarding to the change of medical expenditures, the total cost per patient with outpatient visit and number of visi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858,739 Won to 2,032,718 Won(p=0.0007) and from 8.62 times to 15.89 times(p=0.0005) respectively. The number of inpatient visit and hospital admission da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olicy.2. The use of tests such as CEA, CT, and PET were used more frequent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introduction of decrease of patient's payment rate(CEA 3.75 -> 5.21, p=0.0119; CT 1.97 -> 2.81, p=0. 0002; PET 0.04 -> 0.53, p< 0.0001)3. More active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advanced stage(Stage IV) whereas no signifiant difference regarding treatment modalities were noted in local stage(Stage I,II, and III)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olicy.4.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t impact on increase of total cost and medical utilization used in tests after the introduction of decrease of patient's payment rate. These analysis were as follows. Total cost with outpatient department 1,244,230 Won, p=0.0099; Total cost with inpatient department 4,540,644 Won, p=00101; Number of outpatient visit 6.65, p=0.0014; CEA 1.31, p=0.0140, CT 0.82, p=0.2204; PET 0.46, p<0.0001.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vival curve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an decrease of the patient's payment rate.Results of this study observed that implementing the an decrease of the cancer patient's payment rate increased health expenditure and medical utilization of elderly colon cancer patients. These can predict the unnecessary increase of medical services by the policy of health care guarantee reinforcement in elderly cancer patients.Finally, a future study is expected whether the policy of decrease of cancer patient's payment rate results in adequat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nd desirable outcomes. For rapidly growing elderly cancer patients, more effective government's policy related to health care insurance guarantee reinforcement act is expected.

      • T4 대장암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조문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4

        연구배경 및 목적 : T4 대장암은 미국 암합동연구회의 병기분류에 의하면 암의 침윤정도가 심하여 인접장기에의 직접적인 침윤 또는 암에 의한 장천공으로 정의된다. 또한 림프절전이와 원격전이의 여부에 따라 T4 대장암의 병기가 II, III, IV로 구분된다. 국소 진행성 대장암의 경우 수술방법에 따라 예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자는 T4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수술방법에 따른 예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수술을 받은 1,287명의 대장암 환자중 T4로 분류된 환자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 연구 방법으로 환자의 임상경과와 수술결과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Kaplan-Meier method를 사용하여 생존 곡선을 구하였고 log-rank test를 사용하여 통계 검정하였다. 결과 : 총 109명의 환자 중에서 68명은 인접장기에의 침윤이, 나머지 41명은 암에 의한 장천공이 된 경우였다. 인접장기를 침윤한 68명 중 61명에서는 인접장기의 합병절제를 시도하였고, 나머지 7명에서는 인접장기의 침윤과 더불어 원격전이가 있어서 장 우회로수술이나 장루 시술만을 시행하였다. 합병 절제한 인접장기로는 방광, 소장, 십이지장, 질, 위, 복막 및 복벽근육, 자궁, 난소, 요관, 전립선 그리고 간 순서로 빈도를 보였다. 수술방법으로는 각각의 인접장기에의 침윤정도에 따라 적절한 절제 방법을 선택하였다. 수술 중 인접장기의 침윤이 보여 합병 절제한 61명에서 수술 후 병리검사 상 실제로 암의 침윤이 발견된 경우는 51명(83.6%)이었고, 나머지 10명(16.4%)은 염증성 유착으로 보고되었다. 합병절제 후 합병증 이환율은 22.9%이었고,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4.9%이었다.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 상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가 56례(51.4%), 있는 경우가 53례(48.3%)이었다. AJCC에 의한 암의 병기는 II가 50례(45.8%), III가 27례(24.8%), 그리고 IV가 32례(29.4%)이었다. 예후에 있어서 추적기간은 4.8개월에서 122.7개월이었다.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의 5년 생존율은 76.1%,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21.4%로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암의 병기가 II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은 72.1%, III의 경우 49.5%, 그리고 IV의 경우에는 0%로 각 병기 간에도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2). 수술방법에 따른 예후를 비교하면 근치적 수술을 받은 군의 5년 생존율은 63.0%, 고식적인 치료를 받은 군에서는 0%로 역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 인접장기에 직접침윤이 있는 T4 대장암에서 원격전이가 없는 경우 인접장기를 합병 절제하는 것이 요구되며, 수술 당시 림프절 전이 여부가 T4 대장암 환자의 예후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Purpose : A colorectal cancer is defined as T4 when the tumor directly invades other organs or structures, and/or perforates visceral peritoneum.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surgical approach of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T4) and determine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tumor resectability and survival. Methods and Materials : A total of 109 cases with T4 colorectal cancer who received surgery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of Korea between Jan, 1990 and Dec, 2001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urvival curves were estimated by Kaplan-Meier method and compared by log-rank test. The data wa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when the p value was less than 0.05. Results : The median follow-up was 19.5 months. Postoperative rates of complications and death were 22.9% and 4.9%, respectively in 61 patients with multivisceral resection. Cancer invasion to contiguous organs was present in 51 patients(83.6%) and absent in 10 patients(16.4%) of 61 patients with multivisceral resection. Lymph node metastases were presented in 53 patients(48.6%) of 109 patients with T4 tumor. The 5-year survival rates in patients with nodal metastases was 21.4%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76.1%, in patients without nodal metastases.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AJCC classifications of cancer(TNM stage) were as follows: stage II(72.1%), stage III(49.5%), and stage IV(0%) in 109 patients with T4 tumor. The 5-year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potentially curative resection was 63.0% but was 0% in patients with palliative surgical treatment. Conclusions : T4 colorectal cancer without distant metastases require multivisceral en bloc resection of any organ or structure to which the primary tumor is adherent. The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at the time of surgery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with poor prognosis in T4 colorectal cancers.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대처 및 삶의 질의 관계

        김진아 창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4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는 암환자들은 질병과 치료 과정 중 발생하는 부작용과 불확실한 예후로 인해 불확실성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대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삶의 질이 달라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대처,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대장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S병원에 입원하여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대장암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97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은 5점 만점에 평균 2.91±0.35점이고, 대처는 4점 만점에 평균 2.68±0.41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EORTC scoring manual에 따른 100점 만점에 기능영역 평균 76.24±21.72점, 전반적인 건강상태 평균 47.82±19.55점, 증상영역 평균 17.47±14.55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은 이차암의 발생과 항암치료 관련 부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처는 결혼상태, 직업 여부, 월 평균 가구소득, 경제상태 만족도, 암 가족력, 이차암 발생 여부, 수술 여부, 기존 만성질환력, 항암치료 관련 부작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은 결혼 상태, 직업 여부, 월 평균 가구 소득, 경제 상태 만족도, 기존 만성질환력, 항암치료 횟수, 항암치료 관련 부작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은 대처와 전반적인 건강상태, 기능영역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증상영역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처는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기능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증상영역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기능영역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증상영역과 전반적인 건강상태, 기능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과 증상영역을 낮추고 대처능력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대상자가 직면하고 있는 불확실성을 우선 사정 및 관리하고,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 중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삶의 질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대장직장암 환자의 영양위험, 신체활동량, 우울과 삶의 질

        김희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대장직장암을 진단받고 치료 중인 환자들의 영양위험, 신체활동량, 우울 정도를 측정하여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대장직장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0년 10월25일에서 11월 30일까지 서울 시내 소재 Y 대학 부속병원 대장암전문 클리닉에서 대장직장암 수술을 받은 후 외래에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외래에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이루어졌고 소요시간은 직접 대면 면접 시간을 포함하여 15-20분 정도였다. 연구도구는 영양위험 도구(Nutritional Risk Score : NRS), 신체활동량 측정 도구(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 IPAQ), 우울측정 도구인 건강 설문지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 PHQ-9), 삶의 질 평가 도구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scales for colorectal cancer : FACT-C) 의 한국어판 번역본을 승인 받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 교차분석(χ2 ?test), 평균검정(t -test),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s : ANOVA) 및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 듀크스 병기 A, B 대장암 환자에서 림프절 미세전이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태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장암 환자에 있어서 술 후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림프절 전이여부이다. 그러나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대장암환자의 20-30% 가 재발하여 사망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듀크스 A, B환자에서 미세전이 여부를 알아보고 어떤 임상적 의의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6년 8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대장암 진단하에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았던 90예를 대상으로 하여 술후 통상적 병리조직검사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림프절 조직의 파라핀 블록들을 이용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처리한 뒤 연속적인 박절을 시행하여 얻은 절편으로 항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항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아울러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을 재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술 후 평균 15개월간 추적관찰하여 재발을 확인하였다. 전체 90예 중 15예에서, 주로 림프절의 피막하 동(subcapsular sinus)에 위치한 미세전이를 관찰하였으며, 이 중 8예에서는 재시행한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에서도 전이가 확인되어 이 8예를 제외한 82예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미세전이와 장관벽 침윤정도, 조직학적 분화도, 림프-혈관계 침습여부 등의 다른 인자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듀크스 A, B 환자를 미세전이 유무에 따라 나누고 두 군 사이의 재발율을 비교하였을 때 자각 26.8%(7예 중 2예), 9.3%(75예 중 7예)로 미세전이가 있는 군에서 재발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68). Lymph node metastasis i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colorectal cancer. However, 20-30 percent of patients with Lymph node negative colorectal cancer die of recurrent diseas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detection of micrometastasis is of any clinical significance in Dukes' stage A & B colorectal cancer. Ninety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of colorectal cancer from Aug. of 1996 to Jan. of 1999 were revived. For examination, we used paraffin blocks of lymph nodes which were metastasis-free by conventional histopathology After preparation of tissue blocks using the serial sectioning technique,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using anticytokeratin antibody. And the hematoxylin-eosin staining was repeated. In 15 of 90 cases, we disclosed micrometastases, mostly located in subcapsular sinuses. And in 8 of 15 cases, we also found metastases in repeated H&E staining. So we excluded 8 cases in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tection of micrometastases and the depth of wall invasion, the histological grade & the status of lymphovascular invasion. With median follow-up of 15 months, there were two recurrences in seven cytokeratin-positive patients(28.6.%) and fifteen recurrences in seventy-five cytokeratin-negative patients(9.3%). But there was no stas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68).

      • 노인 대장암 환자의 수술 전 허약 수준이 수술 후 증상경험, 삶의 질 및 수술 예후에 미치는 영향

        정혜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42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eoperative frailty level on postoperative outcomes in aged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recovery and long-term treatment adherence through prospective,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from August 1, 2022, to August 24, 2023, involving a total of 86 participants. The Korean Frailty Instrument by Oh et al. (2015) was used to measure preoperative frailty level, the MD-Anderson Symptom Inventory-Gastrointestinal Cancer Module (MDASI-GI)’s Korean version by Cleeland et al. (2000) and Wang et al. (2010) was used to measure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s,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Colorectal (FACT-C) by Ward et al. (1999) was used to assess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Fisher's exact prob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Linear, Logistic) were conducted using R 4.3.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non-frail(robust), pre-frail, and frail patients in this study was 74.4%, 16.3%, and 9.3%,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ailty lev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ean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score was 69.9 (±38.7), and the mean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score was 88.5 (±16.2). The mean length of stay was 8.7 days (±2.5), and the rates of readmission within 30 days, postoperative pneumonia, delirium, surgical site infection, ileus were 10.5%, 4.7%, 1.2%, 3.5%, 8.1%, and 16.3%,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the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frailty level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he non-frail group compared to the pre-frail and frail groups (F=5.2, p=.003). In addition, For symptom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with women reporting higher symptom experience than men (chi-squared=428.5, p&lt;.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based on gender (t=5.429, p&lt;.001),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t=-.2.176, p=.016), hospitalization (t=-2.206, p=.015), and surgery experience (t=-3.885, p&lt;.001).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lower for women compared to men, those with chronic diseases compared to those without, and those with hospitalization and surgery experience compared to those withou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 of hospital stay, readmission, or complications according to frailty level. To determine the impact of frailty level on the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life, and postoperative outcomes in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frailty level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life, length of stay, readmission within 30 days of discharge, and complications. However, gender (β=.352, p=.001)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with women experiencing more symptoms than men. Together with other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frailty level, it explained 14% of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p=.005). For the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surgery experience (β=-.298, p=.011) and gender (β=-.406, p&lt;.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with women having lower quality of life compared to men and previous surgery experience compared to no surgery. Together with other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frailty level, they explained 37% of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p&lt;.001). For surgical prognosis, no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urse of this study, there were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 significance of frailty level as an influential factor in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life, and surgical prognosis due to limitations in frailty level assessment and limited number of subjects, but we identified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reoperative frailty level and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eoperative nursing interventions that consider frailty level to promote subjective health status encompassing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of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such as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a frailty measurement tool that can comprehensively objectify and measur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is required to establish a clear basis for the evaluation of frailty level and its impact on surgical prognosis.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analysis of surgical prognosis, the impact of frailty level in a large number of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to identif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ore professionally are required. Further research is also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fferent surgical prognosis of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ir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life, and continuity of care. Nursing intervention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to improve surgical outcomes by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and program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community to improve postoperative recovery of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to promote self-care and long-term health maintenance of elderly colorectal cancer patients. 신체적, 정신적 기능저하, 사회적지지 부족으로 인해 다른 연령에 비해 건강상태가 열악한 노인인구는 만성질환 뿐 아니라 다양한 암 발생률 또 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 중, 노인인구의 대장암 유병률 및 발생률이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암의 다양한 치료 방법 중 수술적 치 료의 발전으로 노인 대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생존율, 합병증, 신체적 변 화, 삶의 질을 포함한 수술 예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중,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저하로 인해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예비력 감소로 나타나는 부정적 건강을 의미하는 허약이 노인 대장암 환자의 수술 예후, 삶의 질, 증상경험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노인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술 예후에 대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및 허약 수준에 따른 수술 후 증상경험, 삶의 질 및 수술 예후의 차이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대장암 환자들의 수술 전 허약 수준이 수술 후 증상경험, 삶의 질 및 수술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대장암 수술 후 노인 환자들의 수술 후 회복과 추후 치료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전향적, 서술적 상관성 조 사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편의표출을 통해 분석한 86명의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한 결과, 비허약군, 전허약군, 허약군의 비율은 74.4%, 16.3%, 9.3% 였으며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허약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수 술 후 증상경험의 총점은 평균 69.9점(±38.7)이었으며, 수술 후 삶의 질 의 총점은 평균 88.5점(±16.2)이었다. 다음으로 수술 예후로 설정한 대상 자들의 재원기간은 평균 8.7일(±2.5)이었으며 30일 이내 재입원, 수술 후 폐렴, 섬망, 수술부위감염, 장폐색 발생률은 각각 10.5%, 4.7%, 1.2%, 3.5%, 8.1%, 16.3%로 나타났다. 수술 후 증상경험의 경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증상경험이 높게 나 타났다(chi-squared=428.5, p&lt;.001). 허약 수준에 따른 수술 후 증상경험 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삶의 질의 경우, 허약 수준에 따라 전허약군, 허약군에 비해 비허약군의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F=5.2, p=.003). 이 외에도 성별(t=5.429, p&lt;.001), 만성질환유무 (t=-.2.176, p=.016), 입원(t=-2.206, p=.015) 및 수술경험(t=-3.885, p&lt;.001) 유무에 따라 수술 후 삶의 질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에 비해 남성이,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 비해 없는 경우가, 입원 및 수술 경험이 있는 경우에 비해 없는 대상자들의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더 높 게 나타났다. 하지만 재원기간, 재입원 여부, 합병증 발생여부에는 허약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노인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증상경 험, 삶의 질 및 수술 예후에 있어 허약 수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 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허약 수준은 수술 후 증상경험, 삶의 질, 재원기간, 재입원여부, 합병증 발생 여부에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허약 수준 이외에 수술 후 증상경험의 경우, 성별(β =.352, p=.001)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의 증상경험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그 외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특성, 허약 수준과 함께 고려했을 때 수술 후 증상경험을 14% 설명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p=.005). 수술 후 삶의 질의 경우, 수술경험유무(β=-.298, p=.011), 성별(β=-.406, p&lt;.001)이 유의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인 경우와 수술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 삶 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성별, 수술경험 유무는 그 외 인구사회 학적 및 건강관련 특성, 허약 수준과 함께 고려했을 때 수술 후 삶의 질 을 3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1). 수술 예후의 경우,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허약 수준 평가의 제한, 대상자 수의 제한 등으로 대상자 중 낮은 허약군의 비율이 나타났으며 수술 후 증상경험, 삶의 질 및 수술 예후의 영향요인으로서의 허약 수준의 유의 성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수술 전 허약 수준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확인했고 주관적인 건강 상태를 증진하기 위해 허약 수준을 고려 한 수술 전후 간호중재의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대규모 의 노인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술 예후 분석 및 허약 수준의 영향파악과 관련된 후속연구 및 수술 후 합병증을 보다 전문적으로 확인 하기 위한 다학제간 연구와 같은 추후연구를 통해 노인 대장암 환자들의 다양한 수술 예후를 면밀히 파악하고 그들의 증상경험과 삶의 질, 추후 치료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 들을 파악하여 수술 예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임상에서의 간호중재가 마 련되고 이를 환자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상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노인 대장암 환자들의 건강유지 및 치료지속을 위해 다학제적 관점에서 이들의 수술 후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적용한다면 노인대장암 환자들의 자가간호 및 장기적 건강유지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