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인관계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자기효능감에 따른 인터넷게임중독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소영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Internet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dult.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of online game player between the ages 18 and age 49 was carried out and a total of 373 data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t was measur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373 peop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epression, internet game addiction, internet self-efficacy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game addiction was confirmed in the contex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et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depression. Third, internet game addiction mediated the proc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depression was the regulated by Interne self-efficacy,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associated with high depression through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how that the lower level of internet self-efficacy, the lower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of expression of depression by researching people researching peopl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urther suggest the necessity for a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can sublimate the toxic symptoms of peopl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an relieve internet game addiction by identifying the mechanisms regulating this proces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the study, activation of intervention methods,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들의 대인관계만족도가 우울의 관계에서 인터넷게임중독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터넷게임을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73명이 분석되었다. 37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만족도,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게임중독, 우울을 측정하였다.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인관계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터넷게임중독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게임중독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터넷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인관계만족도가 낮은 사람일수록 인터넷게임중독에 빠지게 될 경우 우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인터넷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인터넷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쳐 대인관계만족도가 우울로 발현되는 위험을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대인관계만족도와 우울 간 관계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이를 조절하는 기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에 의해 인터넷게임중독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은혜 서울한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만족도, 취업스트레스 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만족도,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가? 셋째,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만족도가 취업스트 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252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조건에 충족되지 않거나 응답 내용이 부실한 설문지 41부를 제외하고 최종 211부 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기초 통계분석, t검증과 F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제외한 나머지 외모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취업스트레스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둘째,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 대인관 계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외모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는 유의하지 않은 부적상관을 보였 다. 셋째,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만족도가 취업스트 레스에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자 기조절효능감과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 외모자신감, 신체자신감만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 는 순위는 자신감, 외모자신감, 신체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얻어, 취업스트레스 해소에 미숙한 대학생들에게 실질적 취 업스트레스 해소 방안을 모색하며, 취업스트레스 예방, 대처, 완화를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ir employment stress. To this end,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First, do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how are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related each other? Third, do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ave influence on their employment stress? To this end, the research recruited 300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conduct survey; as a result, 252 questionnaire sheet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11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ing 41 ineligible or poorly-answered pap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program with basic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such analysis is as follows:First,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except self-efficacy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stress. Meanwhil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had no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impacts of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employment stress, 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appearance confidence and physical confidence, among sub-factors of appearance satisfaction, had impacts on employment stress. The impacts were high in the order of confidence, appearance confidence, physical 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to prevent, deal with and reduce employment stress by exploring practical easures to overcome the stres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not skillful in stress relief.

      •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엄윤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일반가정 아동과 특수가정 아동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임실군에 소재한 S초등학교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 총 20명을 실험집단으로, K초등학교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 총 2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는 이형득·윤흥섭(1989)의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등 선행 연구 논문을 근간으로 연구자가 재구성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2회 80∼90분동만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만족도 검사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측정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통제집단간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차를 One-Way ANOVA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정 아동의 집단간 자아존중감 차이 검증 결과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13.539, P<.01). 둘째, 특수가정 아동의 집단간 자아존중감 차이 검증 결과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40.645, P<.001). 셋째, 일반가정 아동의 집단간 대인관계만족도 차이 검증 결과 대인관계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16.443, P<.01). 넷째, 특수가정 아동의 집단간 대인관계만족도 차이 검증 결과 대인관계만족도(F=16.805, P<.01) 및 하위요인인 친구, 일반적 대인관계만족도(F=9.667, P<.01)순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대인관계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2.716, P>.05). 다섯째, 실험집단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검증 결과 일반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F=4.49, P<.05) 및 학교 자아존중감(F=4.83, P<.05)에서 특수가정 아동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실험집단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만족도 검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F=3.054, P>.05) 하위요인인 교사, 일반적 대인관계만족도에서는 일반가정 아동에게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 대인관계만족도에서는 특수가정 아동에게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지 및 회기별 활동상황 관찰 분석 결과에서도 자기성장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 단원의 재구성을 통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 교육현장에서 확대 실시 된다면 교과시간을 통한 인성 및 전인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its object to research whether self-growth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if so, whether and how such effect differs between general home children and special home children. For this purpose, I formed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total 20 children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Imsil-kun, Jeonrabuk-do, who were from general home children and special home children, and formed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total 20 children of K elementary school, who were from general home children and special home children. Actions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arried out at 10 times (2 times per week) for 80-90 minutes at each time by using self-growth program which was reorganized by researcher based on previous thesis 'Education Program for Self-Growth' written by Hyung-Deuk Lee and Heung-Seob Yun in 1989.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after experiment, I collected materials for estimation by providing the subject children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n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s in number of mark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rough and by using One-Way ANOVA, ANCOVA and SPSS 11.0 program. The following is the result what I obtained from the above study. Firstl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result of self-esteem research by group, which was conducted to groups of general home children (F=13.539, P<.0l). Secondl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result of self-esteem research by group, which was conducted to groups of special home children (F=40.645, P<.001). Thir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resul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research by group, which was conducted to groups of general home children (F=16.443, P<.01). Fourth, in case of the resul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research into special home children, the highest effect was shown from the item, interpersonal satisfaction (F=16.805, P<.01), and the second highest effect was shown from the subordinate item, general interpersonal satisfaction with friends (F=9.667, P<.0l), where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from the item, interpersonal satisfaction with teachers (F=2.716, P>.05). Fifth, in case of the result of self-esteem research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general home children and special home children,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only shown from the item, self-esteem of general home children (F=4.49, P<.05) and the item, school self-esteem of general home children (F=4.83, P<.05) in comparison with special home children. Sixth, in case of the resul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research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general home children and special home children,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from the item, interpersonal satisfaction (F=3.054, P>.05). However, more effect was shown from the subordinate item, general interpersonal satisfaction with teachers of general home children, whereas more effect was shown from the subordinate item, interpersonal satisfaction with friends of special home children. In the meantime, it was shown in the analysis result of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of activity situation per term that self-growth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ccordingly, if self-growth program i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 unit of curriculum and should be widely put in practice on the spot of education, education for personality and the whole man will be put in practice through the formal curriculum.

      •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

        최은숙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적 안정성 및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에 소재하는 3개 중학교 34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자가 진단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은혁기(2001)가 제작한 대인관계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적성연구소(1988)에서 개발한 Big 5 성격특성 척도지의 5요인 중 하나인 정서적 안정성을 추출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기술 통계치와 단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적 안정성도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은 대인관계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안정성이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정성 수준은 낮아지고, 대인관계만족도 수준도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만족도 수준이 낮아서 힘들어 하는 중학생을 상담할 때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춰 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성도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스마트폰 중독, 대인관계만족도, 정서적 안정성

      •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이지원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의 A 청소년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및 B 중학교, C 고등학교, D 대학교 재학생이며, 총 303명(남자 74명, 여자 229명/중학생 74명, 고등학생 98명, 대학생 131명)이다. 연구는 청소년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인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2021)의 ‘소셜미디어 이용행태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또한 대인관계만족를 측정하기 위해 은혁기(2000)의 일반적인 만족도 및 친구관계 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대인관계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한나리, 이동귀(2010)가 번안 및 타당화한 한국형 대인관계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에 따른 대인관계만족도에서는 접속 빈도, 팔로워 수, 실제 아는 친구의 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접속 빈도가 높은 청소년이 접속 빈도가 낮은 청소년보다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았으며, 팔로워 수 및 실제 아는 친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에 따른 대인관계유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접속 빈도, 팔로워 수, 실제로 아는 친구의 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요인들이 높을 경우, 대인관계유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 및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만족도의 하위 요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게시물 올리기, ‘좋아요’ 누르기, 게시물/댓글 신고로 나타났고, 대인관계유능감의 하위 요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공유하기’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대인관계만족도는 SNS 상에서 자신의 일상 및 감정을 잘 표현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여자 청소년에게서 더 잘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대인관계유능감은 SNS를 통해 다른 사람과 일상 및 콘텐츠를 공유하는 청소년일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SNS에서 공유하는 등 적극적인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청소년 지도 현장에서, 청소년의 건강한 대인관계 및 효과적인 SNS 이용방법에 대한 관심을 갖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청소년의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을 제고하는데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혜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4

        스마트폰은 출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휴대성, 이동성, 즉시성, 개인성, 다기능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빠르게 보급이 확산되었다. 스마트폰이 전통적인 전화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사용자의 삶에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와의 관계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되었을만큼 상당히 밀착되어 있어 오늘날 현대인들의 필수품이라 불릴 정도로 대중화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중독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 대인관계만족도,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이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대학생의 내·외향성의 전반적인 경향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관련변인에 따른 차이 및 대인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이며,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전반적인 경향과 관련변인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 및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및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부산, 창원, 김해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남·여 학생 5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 형태, 내·외향성, 대인관계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기술 분석, 카이스퀘어 테스트, t 검정, 분산분석, Duncan의 다중범위 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47점으로 나타나 보통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 대학생들이 외향적인 성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은 성별과 연령, 용돈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초반의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외향적인 성향이 높고, 한 달 사용하는 용돈의 금액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2.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인관계만족도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인관계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7점으로 나타나 보통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만족도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대학생은 부모와의 대인관계만족도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그 다음으로 친구와의 대인관계만족도와 교수와의 대인관계만족도, 일반적인 대인관계만족도 순으로 지각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인관계만족도는 성별, 연령, 용돈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대 초반인 여학생이 대인관계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반면 20대 중·후반인 남학생은 대인관계만족도를 낮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 달 사용하는 용돈에서는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많은 금액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인관계만족도는 내·외향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향성 집단은 대인관계만족도를 낮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이고, 외향성 집단은 대인관계만족도를 보통 이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총 대인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내·외향성과 용돈으로 설명력은 21%로 나타났다. 즉, 외향성의 경향을 보이고 사용하는 용돈 금액이 많은 경우, 대인관계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관계에는 내·외향성과 용돈이, 부모와의 관계에는 내·외향성과 연령이, 교수와의 관계에는 내·외향성이, 친구와의 관계에는 내·외향성과 용돈이 유의미한 영향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은 4점 만점에 평균 2.57점으로 나타나 보통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 대학생이 스마트폰을 중독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군에서 일반 사용자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잠재적 위험군, 고위험군순으로 차지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과 연령, 용돈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위험군일수록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한 달 사용하는 용돈 금액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은 내·외향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외향적인 성향이 높을수록 중독 집단(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의 경향을 보였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은 대인관계만족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중독 집단(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이, 낮은 집단은 일반 사용자군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용돈, 내·외향성, 일반적인 관계, 친구와의 관계로 설명력은 69%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외향성의 경향을 보이고 용돈 금액이 많은 여학생일수록, 일반적인 관계와 친구와의 관계에 만족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을 중독에 가까운 사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내성에는 성별, 용돈, 내·외향성,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가, 금단에는 성별, 용돈, 내·외향성, 일반적인 관계, 친구와의 관계가, 일상생활 장애에는 용돈, 내·외향성, 일반적인 관계, 친구와의 관계가, 가상세계 지향에는 연령, 내·외향성, 일반적인 관계, 교수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과 용돈, 내·외향성, 대인관계만족도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매체적 특성에 따른 과다한 사용을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 문화와 중독 예방을 위한 활동을 활발하게 실시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정서인식의 명확성, 대인관계만족도 정서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권지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0

        이 연구에서는 정서의 처리과정인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대인관계와 정서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대인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정서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조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성인기 초기의 대학생으로 충청지역에 위치한 남녀 대학생 206명이었으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정서인식의 명확성, 대인관계만족도, 정서적 안녕감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질문지였다. 연구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 대인관계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대인관계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대인관계만족도 역시 정서적 안녕감에 의미 있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서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의 경우, 대인관계 만족도가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적합도가 좋은 모델의 기준에 미치지 않았다. 때문에 이 연구의 모델은 적절하지 않은 모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모델이 이론에 의해 추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적합도가 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을 추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만한 환경적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다. 둘째는 통계적으로 모형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자료표집이 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을 측정하는 척도가 모형을 설명하기위해 적절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clarity, which is one of emotional proced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ried to verify with structral model that emotional clarity affects emotional Well-being by media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university students of early adulthood in Chung Chong Do province, and research method, which is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consists of barometers of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nd emotional Well-being was used. As 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respectively. Emotional clarity statically affected both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nd emotional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lso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However, in case of emotional clarity'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fidelity of verification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f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didn't meet the criteria of a suitable model, in case of emotional clarity'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For this study, because the model is not suitable models can be evaluated. However, in case of emotional clarity'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fidelity of verification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f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didn't meet the criteria of a suitable model. Therefore the model of this study is not suitable can be evaluated. Despite tha fact that the model of this study was deduced by theories, the results had poor fidelity. The causes of poor fidelit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not to control t environmental factors, which would affect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data collection might be not adequate to evaluate statistically models. Finally, it is hard to exclude incongruent parameter in order to measure of each variable to describe the model.

      •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 : 한부모 가정을 중심으로

        허윤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09

        본 연구는 인간이 살아가며 겪는 무수히 많은 상실 중 한부모 가정 청소년이 겪는 부모상실감에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만족도를 중심으로 한 긍정적 심리적 적응요소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포천시 인문계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28명의 이혼, 별거, 사별 등의 한부모 가정 중 상실지각에 응답한 학생들과 비교집단으로 86명의 일반가정의 청소년인 총 114명을 연구대상으로 심리적 동화 검사, 부모상실감,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만족도를 중심으로 측정하였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적 동화 검사의 행복한 사람 수 변인과 이혼과 별거 집단 간 비교를 위한 더미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 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만도의 하위 요인에서 교유관계만족 간의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친부모 가정 청소년 간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만족도의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부모의 이혼과 별거,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에 대한 긍정적 심리적 적응기제의 마련에 대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부모상실감, 상실,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만족도

      • 自己調節 集團相談이 中學生의 自己尊重感과 對人關係 灣足度에 미치는 效果

        정영심 慶尙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5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degree of its effect on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urge on the educational world the necessity of counsel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used in this thesis included the group counseling for humanism education published by Gyeong Sang Nam-do office of Education (1994) and making the beautiful school and happy classroom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3) respectively, among which a program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perly reconstituded by means of Zimmerman(1989)'s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For this study, first the prior studies on self-regulation and self-esteem as well as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 theories about self-regul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prior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presented abov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Hypothesis 1. The level of self-esteem of the experi mental group to whom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will improv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o whom it was not applied. Hypothesis 2. After self-regulation group was applied ,the level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more improved than before. Hypothesis 3.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will improv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o whom it was not applied. Hypothesis 4. After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more improved than before.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and analyze the results, first, the self-esteem tes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est were conducted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advance, next, a group counseling was practi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inally, a post-test was given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self-esteem tes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est, 100 students were chosen from 2nd-grade students of S woman middle school located in Jin-ju, Gyeong-Sang Nam-do. The self-esteem test tool produced by Sin-Chul was used with the self-esteem test by Coopersuith(1967)'s SEI(Self-Esteem Inventory) for reference. For the Interpersonal-relationship Satisfaction test tool, doctor's degree thesis of Eun Hyuck-gi was used. From them, 20 students who got average-below score were selected and hoped group counseling through personal counseling, among whom 10 students who hoped group counseling were arra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to the control group.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activity was conducted at a counseling room during after-school hours for 90 minutes once and four weeks from Mar.9th to Apr.2nd, 2004, totaling 8 sessions. The data collected to find out a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processed by means of statistic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tests within each group and the post-test between both the group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t-test, an average difference verifi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the obvious effect of improv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self-esteem. Second,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the obvious effect of improv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Gernal self-esteem and home self-esteem among four self-esteem factors ar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difference-an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e post-test self-esteem .Social self-esteem,home self-esteem,school self-esteem ar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analysis-results of the pre- and post- tes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Gernal interpersonal-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difference-an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e post-t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fou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 and post tes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may give much help to teachers in the scene of education with humanism instruc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low self-esteem in such an important growth period, by showing possibility that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activity can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