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대인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가 심리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하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interpersonal problem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to examine whether expressive flexibility ha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For this purpose, 241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to 30 were surveyed about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expressive flexibility, emotion regulation,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logical symptoms by using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Flexible Regul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scale(FRE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KIIP-SC), Brief Symptoms Inventory-18(BSI-18).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mediating,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logic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xpressive flexibility were as follows.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Next, the moderation effect of expressive enhancement ability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significant, but expressive suppression a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 effect of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on interpersonal problem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expressive flexibility, specifically expressive enhancement 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interpersonal problem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Second, it discovered that expressive enhancement ability has the protective factors for interpersonal problems and psychological symptoms cased by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work on expressive flexibilit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인외상 경험으로 인한 주관적 고통감(이하 대인외상 경험)이 대인관계문제를 매개하여 심리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표현 유연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만 18세 이상 30세 미만의 대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외상 체크리스트와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IES-R-K), 정서표현 유연성 척도(FREE), 정서조절 질문지(ERQ),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간이정신진단검사 단축형-18(BSI-18)을 사용하여 외상으로 인한 대인외상 경험, 정서표현 유연성, 정서조절방략, 대인관계문제, 심리적 증상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 및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대인외상 경험, 대인관계문제, 심리적 증상은 유의미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인외상 경험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대인외상 경험은 대인관계문제의 수준을 높이고, 높아진 대인관계문제는 심리적 증상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한다. 셋째, 대인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유연성의 상위 요인인 정서표현 증대능력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정서표현 억제능력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서표현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인외상 경험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가 정서표현 증대능력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외상 경험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에 따라 외상 경험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가 보다 명확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외상으로 인한 대인외상 경험이 대인관계문제를 통해 심리적 증상을 높이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증대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됨으로써, 외상 경험으로 인한 고통이 야기하는 대인관계문제와 심리적 증상의 보호 요인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이보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사람은 자라면서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점차적으로 성숙한 인격을 형성해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때로는 사람들과 갈등을 겪기도 하며, 어려움에 처하기도 하는 만큼 대인관계는 사람들의 주된 고민이 되기도 한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고등학교까지의 학급단위 친구관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고 동아리, 학과활동 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가게 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학생들은 과거와는 달리 자신이 주체적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안과 어려움을 호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대인관계문제를 돕고자,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실패공포를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3개 대학, 경기도 2개 대학 총 5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총 3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신뢰할 수 없는 16부를 제외한 총 33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실패공포,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실패공포와 강한 부적 상관관계(r = -.50, p < .01)를 보였고, 대인관계문제와도 강한 부적 상관관계(r = -.60, p < .01)를 보였다. 또한 실패공포는 대인관계문제와 상당히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 = .66, p < .01). 둘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 = -13.69, p < .001).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성은 모든 대인관계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성과 긍정성은 대인관계문제의 일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실패공포에도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 = -10.57, p < .001).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긍정성, 사회성은 실패공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통제성은 실패공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실패공포는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 = 15.82, p < .001). 실패공포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그 중 비주장성, 사회적 억제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p < .001).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실패공포,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상관관계와 영향관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에 입학하면서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지고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도 달라져 불안해하는 대학생들을 돕는 데 있어 그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이해하고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치료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한다.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역경 속에서 적응해 가는 능력이며 인간의 긍정적인 능력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개념이므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기보다는 그들이 가진 실패공포에 먼저 개입을 함으로써 실패공포를 경감시키는데 초점을 맞추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People live i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since they are born, experience various emotions and gradually build up mature personality. In this process, they sometimes have conflicts with people and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so interpersonal relations become their main concern. Especially, during college years, students form interpersonal relations, breaking away from friendships in the class unit they had until high school days, meeting various people and spontaneous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in the club and department. Due to this change, college students appeal anxiety and difficulty in that they should subjectively form the interpersonal relations unlike in the past.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resil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in order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elp them solve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To verify this,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freshmen and sophomores i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persons. Excluding 16 unreliable questionnaires with an scale item not responded or undependable response, 33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 analysis.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fear of failure,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silience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fear of failure (r = -.50, p < .01) and interpersonal problems (r = -.60, p < .01). In addition, the fear of failure had a considerab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r = .66, p < .01).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 = -13.69, p < .001). Of the sub factors of resilience, sociality had the biggest effect on all interpersonal problems, but control and positiv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a part of problems. In addition, resilience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ear of failure (t = -10.57, p < .001). Of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positivity and social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fear of failure, but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ear of failure. Lastly, the college students’ fear of failure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 = 15.82, p < .001). The fear of failure had significant effect on all interpersonal problems and especially ha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on nonassertive and socially avoidant problems above al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ear of failur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ollege students'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p < .001). To sum up,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relationships of influence among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fear of failure,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at the fear of failur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a direction understanding of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nd how to approach therapeutically in the scenes of counseling and education in help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nxious sinc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become broader and the ways of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change, entering college. Resilience is the ability to adapt in adversities and a concept that collectively deals with the human’s positive ability, so it takes time to deal with it. This study suggest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a measure for reducing the fear of failure rather than enhancing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ose who complain of interpersonal problems directly.

      •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한수경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raumatized self-syst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expos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olescents. The data for this study consist of 694 co-ed students of both classic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Incheon province. For this purpose, the sample of 694 high school students(324 men and 370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CTQ), School Violence Scale, Traumatic Self-System Scale(TSSS),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KIIP-SC),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multi group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is research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interpersonal trauma expose,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Second, we conducted a t-test to identify a gender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of an interpersonal trauma expose, a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a result, statistically female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traumatized self-system compared to male ones. Third, we conducted a t-test to identify interpersonal problems difference according to a traumatized self-system. The students who had a high level of a traumatized self-system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we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 of a traumatized self-system from the interpersonal trauma expos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perfect mediating effect of a traumatized self-system was identified. These result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about the interpersonal trauma and their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More and more, these results contributed to offering the primary information about preventive treatment in the counsel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인문계, 전문계, 남녀고등학교 재학생 6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기 외상 질문지,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 MC-13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고 t-test,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간 외상경험, 자기체계손상,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모든 변인들이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인간 외상경험, 자기체계손상과 대인관계문제에 있어 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기체계손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체계손상에 따른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기체계손상 고집단이 저집단보다 대인관계문제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인간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결과 자기체계손상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과 그로 인한 자기체계손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상담장면에서 예방적인 개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들과의 관련성과 함께 연구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대인관계문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오누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인관계문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성인 남·여 439명(남성 143명, 여성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대인관계문제 척도(Short form of the KIIP Complex scale; KIIP-SC)와 SNS중독경향성 척도, 자기개념명확성 척도(Self-concept Clarity Scale: SCCS)를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으로 요인들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문제, SNS중독경향성, 자기개념명확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문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문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개념명확성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예측 하는데 26.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중독에 대한 어려움으로 고통 받고 있는 내담자와 상담할 때 자신의 대인관계문제 및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른 상담 및 개입전략에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Data were obtained from survey results of 439 adults (143 males, 296 females) in Seoul. Self-concept clarity scale (SCCS), Short form of the KIIP Complex scale(KIIP-SC), and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were chosen as the measure of interpersonal proble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results show that interpersonal problems,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concept clarity have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elf-concept clarity plays a role of partial parameter i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it has 26.2% explanatory power in predicting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shows that when talking to clients who are suffering from interpersonal difficulties, it needs to grasp first how clients perceive themselves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they have. In this regard, we discussed the counsel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ults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also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정미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측정도구는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O),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S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4번 모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부분 매개하였다. 그리고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시기에 경험하는 대인관계문제의 원인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에 따른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구체적 경로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뿐만 아니라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도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 양가성이 어떠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상담 이전과 이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 변화를 확인하여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감소를 입증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

        권보정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의 행복한 대학 생활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인식명확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이 조절하는가? 이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부산, 충청도 등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대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자료 23부를 제외한 587부를 대상으로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의 세 변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유능성은 대인관계문제와 부적인 상관을 보이고, 대인관계유능성은 정서인식명확성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인식명확성은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중재역할을 함으로써 대학생이 대인관계문제로 겪는 부정적 정서처리 과정을 조절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개인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임으로써 대인관계에서 자신이 경험하는 정서와 타인의 정서에 대해서 이해하고 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 유연한 정서를 갖게 되어,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측면들에 대해 변별적으로 반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 각 변인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의 다양한 측면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대인관계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할 때 교육과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분노반추를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윤성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confirmed whether the anger rumination mediates in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whether the self-compass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KIIP-C),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Anger Rumination Scale(K-ARS), Self-Compassion Scale(K-SCS) targeting 463 undergraduates in G city.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SPSS 26, PROCESS Macro 3.5.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rejection sensitivity, the anger rumination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 tot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lf-compass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jection sensitivity, the anger rumination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the anger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rejection sensitivity had a direct influence up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and had an impact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even through the anger ruminat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jection sensitivity, the anger rumination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high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will have a difficulty in interpersonal problems. Also, the necessity is offered for exploring variables of having an influence as a protective factor other than self-compass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in this study. First,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was insp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ce in terms of having confirm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up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was progress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But a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examined a self-compassion effect with a difference according to groups in freshmen and returning students. Second, in the impa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not significant. If a follow-up research ascertains 3 variables that may function as protective factors other than self-compassion in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upon interpersonal problems, it seems to be likely able to give a help to interpersonal problems in undergraduat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분노반추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 자기자비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G시 대학생 46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C), 거부민감성 척도(RSQ), 분노반추척도(K-ARS), 자기자비 척도(K-SCS)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PROCESS Macro 3.5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고, 자기자비는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대인관계문제와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분노반추가 부분매개하였다. 즉, 거부민감성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분노반추를 통해서도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거부민감성, 분노반추가 높은 대학생들은 대인관계문제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시사한다. 또한 자기자비 이외 보호요인으로써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의 필요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선 신입생과 복학생 집단에 따른 차이로 자기자비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거부민감성,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추후연구에선 거부민감성,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 외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제3의 변인을 확인한다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것으로 보여진다.

      • 대인관계외상이 대인관계 문제에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접근대처와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혜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접근대처와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59세 이하 의 성인 399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외상 질문지, 정서접근대처 척도(EAC: Emotional Approach Coping scale), 한국판 정신화 척도(K-Ments: 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 (KIIP-SC: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대인관계 문제 하위변인 중 비주장성, 과순응성, 사회적 억제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별집단이 그 외 외상집단보다 주관적인 고통의 평균이 높고 정서접근대처의 평균이 높았다. 그리고 20~30대의 성인초기집단이 40~50대의 성인중기집단보다대인관계문제하위변인 중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의 평균이 높았다. 둘째, 대인관계 외상과 정서접근 대처, 대인관계문제는유의한정적상관이나타났다. 정서접근대처와정신화는유의 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정서접근대처, 정신화는 대인관계 문제와 유의한 부적 상 관이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외상과대인관계문제의관계를정서접근대처가유의 하게매개하였다. 넷째, 대인관계외상과대인관계문제의관계를정신화가유의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다섯째, 대인관계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정서접근대처와 정신화가 유의하게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대인관계 외상, 정서접근대처, 정신화, 대인관계 문제

      • 고등학생의 분노조절능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그릿의 매개효과와 내재통제소재의 조절된 매개효과

        고은혜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분노조절능력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와 내재통제소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중소도시(시·군·군), 농촌(읍·면 지역)의 고등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분노조절능력, 그릿, 대인관계문제 및 내재통제소재의 표준화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3년 3월 한 달에 걸쳐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 JAMOVI 2.3.21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 One-way ANOVA) 및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였고, JAMOVI를 활용하여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시 bootstrap 방법을 적용하였고, 조절 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시 상호작용 항 변수인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는 평균중심화하였으며, 조건부 효과 분석을 위한 조건은 M과 M±1SD로 설정하였다. 조건부 효과의 유의성 영역은 조명등 분석법(floodlight analysis)인 Johnson-Neyman 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능력, 그릿, 대인관계문제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내재통제소재는 성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학년에 따라 1학년의 내재통제소재가 2학년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분노조절능력, 그릿, 내재통제소재,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그릿은 분노조절능력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넷째, 내재통제소재는 분노조절능력과 그릿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다섯째, 내재통제소재는 분노조절능력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여섯째, 내재통제소재는 분노조절능력과 그릿을 경유하여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매개하였다. 연구 결과 후속 연구를 위하여 청소년의 그릿과 내재통제소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연구를 통해 내재통제소재에 대한 심층연구,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연구, 그릿 외에 다른 심리 변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을 얻었고 연구 제안을 하였다.

      • 초기성인기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유미선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를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살피고, 불안정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내의 20-30대 성인 333명이었으며, 불안정 성인애착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1.0와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및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초기성인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대인관계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