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聾學生의 助詞使用 및 語尾活用 能力

        유재이 우석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농학생의 문자언어 중 조사사용 및 언어활용 능력을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그 경향을 살피고 오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자표현 능력이 있는 초등부 4, 5, 6학년, 중학부, 고등부에 재학중인 학년별 남·여 각각 10명씩 180명의 농학생과 전주시의 일반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주제에 의한 언어검사표를 배부하여 글을 짓게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과 농학생의 조사, 어미 사용능력에서 초·중·고 공히 일반학생과 농학생 모두 조사와 어미 사용수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오용면에서는 농학생이 훨씬 많이 보였다. 특히 중학부의 경우 어미에서, 초등부에서는 총어미의 사용이 일반학생과 같던 것이 중학부에서는 총 어미 사용이 일반학생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오용도 많이 초등부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다가 고등부에서 다소의 감소를 보여 일반학생에 비해 매우 지체된 발달을 보이고 있다. 일반학생의 경우 학년이 오름에 따라 눈에 띄게 오용의 감소를 보여 고등학교에서는 오용이 거의 없는 완성된 문장을 보이는 반면에 농학생의 경우 초등부, 중학부에서는 오용의 감소를 보이지 않고, 고등부에서 다소의 감소를 보여 문장의 질적인 면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매우 지체되어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 농학생의 조사 오류 분석에서 전체적으로 부사격조사의 오용이 가장 많고, 다음 주격조사, 조사의 생략이 많은 옹용으로 묶여 나타났고, 그 다음은 조사첨가 목적격조사의 오용이 동일집단으로 묶였고, 끝으로 관형격조사, 서술격조사, 보조사의 오용이 적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오용이 가장 많은 부사격조사는 초등부의 경우 부사격조사 '로, 으로'를 목적격조사 '을, 를'로의 오용이, 중학교, 고등부에서는 '에, 에서'를 '을, 를'로의 오용이 가장 많으며, 같은 오용을 보이던 초등부, 중학부에 비해 고등부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주격조사에서는 주격조사 '가'를 목적격조사 '을, 를'로의 오용이 가장 많고, 고등부에서도 적은 감소를 보였다. 목적격조사는 대체로 목적격조사간 '를→을' '을→를'의 오용이 많으나 초등부에서는 부사격조사 '에, 께, 에게'로의 오용이 많으며, 보격조사, 관형격조사로의 오용은 비교적 낮게 보이나 다른 조사의 오용이 많으며, 보격조사, 관형격조사로의 오용은 비교적 낮게 보이나 다른 조사의 오용이 고등부에서 감소를 보임에 비해 전 학교급에 널리 오용의 형태를 보였다. 보조사도 역시 오용이 중학부, 고등부에서 많이 보이며, 조사의 생략에서는 부사격조사의 생략이 많고, 조사첨가 또한 부사격조사, 목적격조사의 첨가가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오용이 낮은 반면 중학부, 고등부에서 많이 보였다. 셋째, 일반학생과 농학생의 어미활용 능력 비교에서, 일반학생과 농학생 모두 연결어미의 오용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일반학생이 선어말어미의 오용이 적음에 비해 농학생에게는 많이 나타났다. 넷째, 농학생의 어미활용 오류 분석에서 초등부가 중학부, 고등부보다 유사한 오용집단으로 넓게 묶여 나타났고, 중학부는 오류의 격차가 심하게 나타나 여러집단으로 분류되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종속적연결어미, 선어말어미의 오용이 가장 많고, 다음은 보조적 연결어미, 대등적 연결어미, 전성어미의 오용이 많게 묶였으며, 종결어미의 오용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적연결어미는 종속적연결어미 '아서/어서, -여'를 대응적 연결어미 '-고, -며, -면서'로의 오용이 가장 많았으며, 고등부에 가서야 오용의 감소현상을 보였다. 선어말어미는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았, 었'의 생략이 전학교급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등적 연결어미는 대등적연결어미 '-고, -며'를 종속적연결어미 '-아서, -어서'로의 오용이 가장 많고, 보조적연결어미에서는 보조적연결어미의 생략현상이 가장 많았으나 전학교급에서 오용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전성어미는 관형사형 'ㄴ,ㄹ,는'의 생략이 가장 많고, 종결어미에서는 서술형종결어미의 오용이 많은데 어미 오용 형태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요약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조사와 어미의 사용수에서는 농학생과 일반학생이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올바른 사용의 측면에서는 농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현저히 지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농학생은 학교급별, 학년간에 차이가 분명하지 않아 농학교의 언어지도에서 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점 구명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한국십진분류법 농학분야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농학문헌의 분류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문지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6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분류표라고 할 수 있는 한국십진분류법(KDC)은 그 동안 세 차례의 분류표 개정작업이 있었지만 분류표의 실증적인 분석은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즉, 분류간에 단편적인 비교연구는 있었지만 실제로 출판된 문헌을 대상으로 직접 분류표를 적용하여 분류를 함으로써 KDC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이 수정전개안을 제시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최근에 개정된 KDC 4판(1996)도 막상 분류를 적용해보면 새로운 주제항목이 미비하거나 복합주제, 하위주제 항목의 부족 등으로 분류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KDC를 대상으로 농학분야의 국내 출판문헌을 직접 분류표에 적용함으로써 분류항목 하나 하나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정전개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의 소장목록 데이터베이스 중 농학분야 문헌 약 5,400건에 KDC 4판을 직접 적용하여 문헌이 제시하는 주제의 일부분이라도 기호화되지 못한 문헌 약 800건 가운데 최종적으로 170건을 수집하여 이들을 유형별로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복합주제가 기호화되지 못한 문헌은 90건, 하위주제가 기호화되지 못한 문헌은 51건, 복합주제와 하위주제가 동시에 분류 기호화되지 못한 문헌은 24건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신주제가 분류 기호화되지 못한 문헌은 5건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분류 기호화되지 못한 복합주제, 하위주제, 신주제 등을 새로이 전개하여 KDC 농학분야의 수정전개안을 작성하였는데, 유형별 전개원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주제를 기호화하기 위해서는 KDC 농학분야의 본표 안에서 합성지시를 통해 기호의 조합기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시주를 첨가하였다. 둘째, 하위주제를 기호화하기 취해서는 문헌내의 출현빈도와 농학관련 문헌에서의 취급하는 중요성의 정도에 따라 새롭게 전개하거나 포함주를 설정하였다. 또한 검색된 관련 문헌이 없더라도 학문적인 체계 및 내용에 따라 추가되어야 할 하위주제도 위와 같은 절차에 따라 수정전개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셋째, 신주제를 기호화하기 위해서는 하위주제와 동일한 전개원칙을 적용하여 항목과 주기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수정전개의 원칙을 통해 작성된 KDC 농학분야의 수정전개안은 가능한 KDC 제4판의 기본적인 분류체계와 항목을 따르고자 하였으므로 필요한 항목들에 있어서 주기의 첨가 및 최소한의 세분전개만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농학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문헌의 분류사례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로는 처음 시도된 것인 만큼 향후 KDC 개정작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may be considered as Korea's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Although there were three revision works of classification system, positive analysis have not once been made. In others words, fragmentary comparative studies were done between classifications, but study presenting new revision and extension scheme analyzing the problems of KDC by directly applying and classifying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ctual published literatures as the subject of study has never been done. Also, even with the latest revision of KDC 4th edition, it's difficult to make classifications should it be applied in reality since new subject items may be deficient or the items such as compound theme and subordinate theme may lack and etc. This research takes theses factors into consider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classified items by directly applying the domestic literary publications of agriculture field one by one and to present revision and extension scheme having KDC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n order to do this, by directly applying KDC's 4th edition to the 5,400 literatures of agricultural field from the collection list database at the Public Central Library, I've sampled 170 literatures from 800 literatures those which even a part of their subjects haven't been symbolized as the literature's subject presents, and categorized them based on its material classifications. As a result, literatures without symbolized compound themes were 90, literatures without symbolized subordinate themes were 51 and literatures without symbolized both compound and subordinate themes were 24. And lastly, there were 5 literatures without symbolized new theme. I came up with revision and extension scheme on KDC's agricultural field by newly unfolding compound, subordinate and new themes that haven't been symbolically classifi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Summary of the unfolding principles is illustrated below. First, in order to symbolize compound theme, I've added indicating notes through synthetic notations inside the agriculture field of KDC's schedule so that compounding notations of symbols can be utilized. Second, in order to symbolize subordinate theme, I've newly unfolded or set up including no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within the literature and the degree of the treatment of its importance in agricultural field. In addition, even if there weren't any searches made on related literatures, subordinate themes that should be included according to its academic system and content have been revised and unfolded based on the process of above principle. Third, in order to symbolize new theme, it followed the same unfolding principle as subordinate theme and I've set up new items and notes. Revision and extension scheme of KDC's agricultural field that'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 unfolding principles tried to follow the basic classified systems and items of KDC 4th edition, if possible, and in terms of necessary items, it includes only the addition of notes and the minimum subdivided extension. However,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works of KDC's revision as this is the first positive study done based on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of actual literature having agriculture field as the subject of study.

      • 이중언어 교육이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미은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e should do first for improving scholastic achievements of deaf students is to understand their language needs induced by their circumstances and culture. This study, which took bilingual deaf students as its objects of investigation, looked in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that made the deaf students become bilinguists and analyzed the impacts of bilingual deaf education on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Th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sign language acquisition as the first language that should be acquired before anything else in the course of bilingual education and its justifiability through examin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the bilingual deaf students. Secon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identified how important and necessary the bilingual deaf education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improved scholastic achievements are. Third, this study makes an inquiry into the methodological factors of bilingual deaf education, thereby grasping their influences on scholastic achievements of deaf students. This study took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as its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bilingual language education on the deaf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s, as well as qualitative methodology using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methodological factors of bilingual deaf education for the improved scholastic achievements to 9 persons wh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that began in March 2007 and ended in May of the same year. The researcher used sign language for questioning three deaf students and their mothers, and these sign language interviews were recorded by a laptop computer. As for three deaf students, who were the key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the Sentence Understanding Test and the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K-WISC-Ⅲ) respectively, differentiating each term. Moreover, for examining the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e dea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rimary Scholastic Ability Test that is annually carried out in the early March by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and the mid-term tests conducted in May by each elementary school were ado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ing: First, after looking into the process of sign language acquisition of the deaf student 1, 2 and 3, who had been grown up under deaf parent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y were be able to acquire sign language as the first language naturally in daily life, in the course of communicating with their deaf parents. Second, despite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re not equal to perfect bilingual educational circumstances, it was found out that the supports are required for the bilingual deaf education and can induce a sense of social stability, the self-confidence and the desire and incentive for scholastic achievements, which are all appeared to be influential factors to their school scores. Lastly, as seen in the analysis on the scholastic achievement each subject through bilingual deaf education, the deaf student 1 showed high scores ranged from 6 points to 25points in Korean,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exception of social studies. The deaf student 2 also shows the growth in the average marks by 7 points in Korean and mathematics, with high scholastic achievements near or more than the average marks of his whole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irst,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should be backed by the government's legislative efforts and financial helps, so as to improve the bilingual deaf education and the deaf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Second, in schools for deaf,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nvented and conducted mainly by deaf and hearing teachers qualified as bilinguists. 농학생의 학업성취를 위해서는 먼저 농학생이 처해있는 환경 또는 문화에서 오는 언어 욕구에 대한 이해와 교수언어의 채택이다. 본 연구는 이중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농학생을 대상으로 이중언어를 사용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중언어 교육이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 사용자인 농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이중언어 교육에서 먼저 습득되어야 할 제 1 언어인 수화의 습득과정과 당위성을 밝힌다. 둘째, 통합교육에서 농학생의 이중언어 교육과 학업성취를 위한 수화통역 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밝힌다. 셋째, 이중언어 교육을 고찰함으로써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중언어 교육이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참여관찰과 개별심층면담을 하였고, 2007년 3월부터 5월까지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9명에게는 농학생의 학업성취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의 방법적 요소들에 대하여 개방형 질문 형식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학생의 어머니와 3명의 농학생을 위해서는 본 연구자가 수화로 질문하고 수화로 답한 면담내용을 노트북에 기록하여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핵심 연구자인 3명의 농학생에게는 그림 어휘력 검사, 문장 이해력 검사, 그리고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를 문자언어와 수화언어로 회기를 달리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또한 농학생의 학업성취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충청남도 교육청에서 매년 3월초에 실시하는 ‘초등학교 진단 평가’ 결과와 각 초등학교에서 5월에 실시된 ‘중간 평가’ 결과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부모에게서 태어나 성장해 온 농학생 1, 2, 3의 수화 습득과정은 비장애영·유아가 어머니와의 상호 의사소통작용을 통하여 언어 습득을 하는 것처럼, 농학생 1, 2, 3도 농어머니와의 수화를 통한 상호 의사소통작용을 영·유아 때부터 사용함으로써 농학생의 제 1 언어인 수화를 자연스럽게 습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에서의 수화통역 지원은 완벽한 이중언어 교육환경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농학생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해서 수화통역이 지원되어져야 한다는 점과 농학생의 사회적 안정감, 자신감, 그리고 학업성취 욕구와 동기 등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 교육을 통한 농학생의 과목별 학업성취 결과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농학생 1의 학업성취 결과에서는 사회 과목을 제외한 국어, 수학, 과학 과목에서는 최소 6점에서부터 최대 52점까지의 높은 학업성취 결과를 가져왔으며, 농학생 2의 학업성취 결과 또한 국어와 수학 과목에서 평균 7점이 상승하였고, 반평균에 가까워지거나 반평균 이상의 높은 학업성취 결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교육에서 농학생의 이중언어 교육과 학업성취를 위한 수화통역 지원은 농학생의 언어적 권리를 위하여 법제적 마련과 정부의 경제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농학교에서는 이중언어자의 자격을 갖춘 건청교사와 농교사를 중심으로 이중언어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적 이중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새로운 농정체성 확립의 여정 : 농인 청소년 대안학교 농교사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김미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743

        본 연구의 목적은 농인 청소년 대안학교 농교사인 연구참여자들이 농인으로서 교사의 길을 선택한 동기와 농교사로서의 경험을 탐색하여 새로운 농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해석하는 것이다. 농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를 방법론적 틀로 하여,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자료는 대안학교 농교사 4명을 각각 심층 면담하였고, 면담은 농인의 언어인 수어로 진행되었다. 그들의 이야기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심층면담 외에 참여관찰 및 문서수집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내러티브 자료는 Lieblich(1998)의 생애사 분석방법 가운데 범주적 내용분석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농인의 삶 속에서 찾은 교육적 희망, 대안학교 농교사의 삶과 인식, 새로운 농정체성 추구로 범주화하여 세부적인 내용과 해석을 기술했다. 첫째, 농인의 삶 속에서 찾은 교육적 희망 부분에서는 ① 농교사들이 청소년 시기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농교육에 실망감을 느꼈고, ② 교육 당사자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은 채 오래 전부터 답습되어 온 농교육의 답답함과 ③ 농인 공부방을 만나며 발견한 교육적 희망에 대해 서술했다. 연구참여자 가운데 3명은 농인 공부방에서 경험했던 농정체성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공유했고, 1명은 대안학교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농정체성과 농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이들의 가치에 공감하여 농인 교육공동체를 함께 시작했다. 농교사들은 대안학교의 전신인 농인 공부방에 서 온전히 수어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게 되었고, 완벽하게 이해되는 수업내용에 처음으로 시원함을 맛보았다. 농교사들은 그동안 농교육 체계 안에서 자신이 느꼈던 답답함의 원인이 농학생의 인지수준이나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깨달았다. 그들은 내용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는 수어 수업에서 희망을 보았다. 농교사들은 이전까지 받은 농교육의 문제점을 직시하게 되면서, 후배 농학생들에게도 자신들이 경험한 시원함과 공부의 맛을 알려주고 싶었다. 그들은 새로운 농교육을 시도하기 위해 농인 청소년 대안학교 소보사(소리를 보여주는 사람들)를 설립하였다. 공교육에서 청소년기를 거친 농교사들이 주축이 된 소보사는 농문화와 농정체성을 바탕으로 모든 교육 과정을 수어로 진행하기로 했다. 둘째, 대안학교 농교사의 삶과 인식부분에서는 농교사들이 농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농정체성 정립을 대안학교의 가치로 두고, 농학생들이 농정체성을 바르게 가질 수 있도록 함께 하는 삶을 택했던 과정을 보여주었다. 농인 공부방부터 함께 한 농교사들은 농학교 학생으로 느끼던 답답함을 소보사 공부방을 만나서 해소하였고, 이러한 경험을 후배 농인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동기를 품고 대학 진학을 준비했다. 농교사들이 재수를 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싸늘한 시선에 직면했지만, 그들의 학업에 대한 열정을 꺾을 수는 없었다. 농교사들은 교육실습생으로 모교에 실습을 가기도 하고, 대안학교 농교사로서 예전 자신의 교사였던 농학교 교사들을 다시 만나게 되었다. 농교사들은 자신의 지위가 바뀜에 따라 예전 교사들이 자신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음을 느꼈다. 농교사들은 교사로서 농학생의 입장을 같은 농인의 마음으로 느꼈고, 그들에게 적합한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농교사들은 농학생의 가능성을 믿고, 꿈을 지지해주는 교사가 되고자 했다. 하지만 농사회에서 농교사를 존중의 시선으로 보지 않는 현실에 직면하였고, 이를 개선하려고 스스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자신있게 상대를 이해시킬 수 있도록 단호한 대처 능력을 갖추고자 했다. 셋째, 새로운 농정체성 확립부분에서는 농교사들이 농학생들의 농정체성이 바르게 발달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 ‘농인이 농인답게’를 외치며, 농문화와 청인 문화를 모두 존중하고 인정하는 이중문화 정체성의 실천을 위해 노력했음을 서술했다. 농교사들은 농정체성의 실천과 추구를 위한 관심을 대안학교 내부에만 국한하지 않고, 대안학교 외부에서도 농정체성을 알리고 실천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농사회의 농인들 가운데 농정체성을 주장하는 이들이 많지만, 삶 속에서 실천하지 않는 예가 많았다. 이러한 농인들은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어려움이 생겼을 때 대안학교의 농교사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이들을 보며 농교사들은 실천하는 농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생각이 더욱 견고해졌다. 여전히 구화가 익숙하다는 지인을 그대로 인정해주고, 대안학교 외부의 농인 청소년에게 농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열어줄 수 있는 방학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의 실천적 활동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제도적 관점에서 ① 대안교육에서 적용하고 있는 여러 교육적 시도를 농교육에서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 ② 농교사들이 농정체성을 실현하는 삶의 모습을 보며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져야 한다는 점, 그리고 ③ 대안학교가 농공동체로서 가지는 역할과 가치를 제시하였다. 학문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농인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연구의 필요성과 수어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인지했다. 농교사들의 삶의 가치와 농정체성을 기반으로 농교사의 삶을 깊이있게 이해하는 연구로서, 보다 다양한 환경의 농교사의 삶과 농정체성 실현이 우리 사회에 주는 가치, 그리고 농교육의 변화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매우 소수의 농인이 속한 대안학교에서의 연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농교사들이 농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 새로운 농정체성의 의미를 다지고 농사회와 지역사회로의 확산을 통해 이들이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시도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비인가형 대안학교인 소보사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지원이 절심함을 인식했다. 이에 대안학교 농교사에 대한 연구에 이어 농학생의 발달과 관련한 연구나 대안학교의 농공동체로서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journey of establishing a new deaf identity by exploring the motiv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choosing a teacher's life and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deaf teachers at a deaf youth alternative school. The deaf teachers were frustrated in the deaf education while they were in schools as deaf students. They established an alternative school for the deaf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and decided to be deaf teachers themselves for the deaf. To analyze the stories and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a narrative research is adopted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deaf teachers at an alternative school in Korean sign language,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ocument research. The collected narrative data was analyzed with categorical-content analysis among life story analysis methods of Lieblich's(199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into sub-categories of : (1) educational hope found in the life of the deaf, (2) deaf teachers' life and perceptions in alternative schools and (3) pursuit of new deaf identity. First, this study found a new educational hope in the life of the deaf. The deaf teachers were disappointed and frustrated with the deaf education that had been practiced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without genuine considerations of expectations and needs of deaf students. They came to attend the deaf study community, where lessons were taught in Korean sign language. They learned what is taught by fully understanding all that they were taught and realized the problems with the previous way of the deaf education. The problems were not in the lack of abilities of deaf students but in the teaching environment. With this realization, deaf teachers decided to establish an alternative school for deaf youths (SOBOSA, the name of alternative school) and to become teachers themselves. Second, fac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of the deaf education,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new deaf identity. Teachers made the establishment of deaf identity as an ultimate value to be pursued at the alternative deaf school (SOBOSA) in order to ensure that their deaf students would strive to shape positive images of themselves. The teachers needed to be accredited to meet deaf students at SOBOSA. When they decided to go to college, they encountered cold gaze from their surroundings: teachers at their old school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so on. When one of the deaf teachers came back to school as an intern, she met her former teacher again. She felt that the former teacher met her as a peer. Since they decided to be deaf teachers, they have been striving to find appropriate teaching skills to deaf students. Their teaching started with their belief in the abilities of deaf students in learning. They fully supported the possibilities and the dreams of their student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in order to establish new deaf identity, it is necessary for the deaf community to practice bicultural identity, which respects and honors not only the deaf world but also the hearing world. They made efforts to establish deaf identity of ‘living as a deaf’. The teachers tried to widen their attentions to go out of the boundaries of SOBOSA.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stablishing new deaf dentity is not only to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at the school but also to inform what they have done about new deaf identity in the general. They launched education programs for general deaf students to understand the deaf identity. This study suggests that on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for the deaf school to adopt various SOBOSA’s educational attempts practiced in the alternative school for general students. In an academic a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sign languages in narrative researches are an effective tool with deaf participants. Although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is study to alternative deaf education, it could serve as a base for bringing changes in deaf education and a base for the future studies.

      • 聾學生의 道德的 判斷에 관한 硏究

        정경순 檀國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727

        本 硏究의 目的은 聾學生의 道德的判斷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聾學校에 在學中인 初等部 4學年에서부터 高等部 3學年까지의 學生 180名을 대상으로 하였다. 對象學生은 聽力損失度 70dB(ISO) 이상의 寄宿制 및 通學制 聾學生을 男·女 學齡別로 10명씩 選定하였다. 이들에게 「과실」「도둑질」「거짓말」「나쁜장난」등 4개 덕목으로 된 질문지로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道德的 判斷 類型에선는 「과실」의 경우 年齡 上昇에 에 따라 '나쁘다'는 判斷이 줄어들고 '좋다'는 판단은 차츰 증가해 가며 그 전환기는 14세 였다. 道德的 判斷 根據에서 年齡別 傾向은 10세에서 12세까지는 他律的 判斷이 높게 나타나다 13∼14세 때는 경우에 따라 변화가 심하고 15∼16세 때는 自律的 判斷이 높게 나타났다. 正常兒 보다는 4∼5세 지체 되었다. 性別 道德的判斷 傾向에 있어서는 같은 年齡에서 男女別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寄宿制 및 通學制 聾學生의 道德的 判斷 傾向은 「나쁜장난」을 제외하고는 通學制 集團이 寄宿制 集團보다 自律的 判斷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問題事態에 따른 道德的 判斷 傾向에 있어서 「과실」의 경우 10세에서 12세까지 自律的 判 斷이 많고 15세 이후에 自律的인 判斷을 하는 學生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問題事態가 內包하고 있는 公共性의 强度에 따라서 道德的 判斷에 影響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招來된 量的差는 道德的 判斷에 影響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量이 커짐에 따라 自律的 判斷을 하던 사람이 他律的인 判斷을 하였다. 以上의 硏究는 聾學生의 道德槪念 發達이 正常兒에 비하여 매우 지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bility of the deaf. For this purpose, 180 subjects was selected in the deaf students attending at the deaf school. The subjects' hearing loss ranged from 70dB to 130dB, grade level from fourth in elementary to senior in high school. Accoding to grade, age, sex, educational setting (day and domitary), the subjects was divided into each group. (each group incuded 10 subjects), The subjects was examined Piaget'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and its assessment. The result of data analysis lead the investigator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Moral judgment of the deaf students. In age, conventional judgment is higher from 10 to 12 and Autonomous judgment higher from 15 to 16. This results is retarded 4-5 years in comparison with normal students. In sex, the differences is not significantly. In Educational setting, The Autonomous judgment of the da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domitary students. Accoding to problem situation, the moral judgment of the deaf as follows: In clumsiness, conventional judgments are higher than Autonomous from 10 years old to 12 years old and Autonomous judgments are higher after 15 years old. In Lying, Autonomous judgments are much more after 12years old. The Intensity of publicity involved in problem situations has an effect on moral judgment of the deaf students. Also, Resulted quantitative differences have an effects on ghe judgments: accroding to quantity increased, the subjects who judged Autonomously reasoned convention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al judgment of the deaf student is much retarded in comparison to the normal students.

      • 聾學生 手話의 統辭 構造와 發達

        황도순 檀國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7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structure, syntactIc characterIstIc, Its development and Its length development of the sign language whIch Korean deaf students began to learn after entering the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s. For this purpose, the samples of sIgn language scenes from 66 deaf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6 students(3 male and 3 female) of each grade ranging from the 2nd grade of the elementary to the 3rd grade of the senior high course in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s, were recorded on viedeo tape and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Ingn language has ths same patterns as Korean language. ThIs result is supposed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Korean language. But the variants of the S+O+V structure which does not exist in Korean language are found. These variants are the unique syntactic structures appeared only in the sign language. According1y,the characteristIc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ign language is Pidgin sign Korean. Seco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Ign language are as follows. The simple sentences of the sign language have the sane patterns of the main and adjunctive components as Korean language. But the sIgn language is differnt from Korean language in that the case-markers representing the main components do not exist at all, and in that the main components are frequently omitted. Also, compared wIth Korean language, the sign language has a characteristics that the verb or adjective signs are used as a pre-nomInal or an adverbIal by Its original forms without a transformatIon marker. The complex and compound setence of the sign language have the same patterns of the syntactic structures as Korean language. But the suffIx or connectIon-ending word representing the complex and compound sentence are not found. The reason is that the sign language has not the suffIx or connection-ending signs representing the complex and compound sentences. This results means that the sign language sentences a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constraints of word order, and that Its basic structure is S+O+V. Accordingly, the syntactic rules of the sIgn language sentences are structur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language universals. Third, accordIng to the advance of grade level, the development of the syntactic structures of the sign language revealed a regular trends. The deaf students used various syntactic structures, and complex structures rather than simple ones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advance of grade level, In the low-grades of elementary course, the simple sentences appeared first and occupIed most of sentences From the high-grades of elementary course the simple sentence decreased continuosly, and In senior high course the compound one increased more and more. Among the simple sentences, the verb-sentence and noun-sentence appeared fIrst, followed by the adjective-sentence. Among the compound sentences, the coordinate connective sentence appeared first, and then the subordinate connective and complex sentences appeared.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deaf students is almost the same as hearing students. Fourth, the lengthes of the sIgn language sentenc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vance of the grade level. The length of the sign language sentence developed rapIdly In the high-grades of elementary course, but did slowly after that time. The length of the sign language sentences most frquently appeared was 1 to 3 words in the low-grades of elementary course, 1 to 6 words in the hIgh-grades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course, and 4 to 9 words in the senior high course .respectIvely. The mean lengths of words were 1.16 in the low-grades of elementary course, 4.18 in the high-grades of elementary course, 4.62 in the junior high course, and 6.10 in the senior high course, respectIvely. The length development of the sign language sentences with the deaf students is later than that of Korean language sentences with the hearIng students. But the reason is thought, not to be that the deaf students are more retarded than the hearing students, but to be that the deaf students'age exposed to the sign language is later.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교에 취학하면서 수화를 배우기 시작한 농학생들이 사용하는 수화의 통사 구조, 통사론적 특징, 통사 구조의 발달, 통사 구조의 길이 발달을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해서, 서울에 소재하는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2학년부터 고등부 3학년에 재학하는 농학생을 학년별로 6명씩(남3, 여3), 66명의 수화 장면을 녹화 ·분석하였다. 이 렇게 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화의 통사 구조에는 국어와 동일한 유형들이 있다. 이것은 국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그 구조에서는 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S+O+V의 변형 구조도 발견 되었다. 이것은 수화의 독특한 통사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화의 통사 구조 특징은 혼성 국어식 수화(Pidgin Sign Korean)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와같은 수화의 통사 구조에 나타나는 통사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수화 단문에는 국어와 동일한 유형의 주성분과 부속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성분을 나타내는 격표지 기호가 전혀 없으며, 주성분의 생략이 빈번하다는 점이 국어와 다른 특징으로 밝혀졌다. 수화의 용언이 부속 성분을 나타내는 전성 기호 없이 원형 그대로 관형어나 부사어로 사용된다는 점도 국어와 다른 특징으로 밝혀졌다. 수화 중문도 국어와 동일한 유형의 통사 구조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문올 표시하는 접미사나 연결 어미 기호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화문이 어순 제약 원리에 의하여 구조화되어 있으며, 그 기본 구조는 S+O+V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화문의 통사 규칙 역시 언어 보편성원리에 의하여 구조화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화의 통사 구조 발달에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농학생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다양한 통사 구조를 점점 많이 사용하며, 단순한 통사 구조보다는 복잡한 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부 저학년에서는 단문이 먼저 나타나서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초등부 고학년부터는 단문이 감소하석 고둥부에서는 중문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단문 중에는 동사문과 명사문이 먼저 나타나고 이어서 형용사문이 발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문 중에는 등위 접속문이 먼저 발달하고 이어서 종위 접속문과 복문이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농학생과 일반 아동의 통사 구조 발달이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수화문의 길이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길이는 초등부 고학년에서 급격히 발달하며, 그 이후에는 서서히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화문의 길이는 초등부 저학년에서 1-3단어, 초등부 고학년과 중학부에서 1-6단어, 고등부에서 4-9단어로 나타났다. 문장당 평균 단어수는 초등부 저학년에서 1.16단어, 초등부 고학년에서 4.18단어, 중학부에서 4.62단어, 고둥부에서 6.10단어로 나타났다. 농학생들이 사용하는 수화문의 길이 발달은 일반 아동의 문장 길이 발달에 비해 매우 늦다. 그러나 이것은 농학생들이 일반 아동에 비해 그만큼 지체되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이 연구의 대상이 된 농학생들이 수화에 노출된 시기가 늦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이해점검 읽기 지도와 어휘이해 읽기 지도가 농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어휘력과 독해력을 중심으로

        원성옥 단국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93

        본 연구에서는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와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가 농학생들의 어휘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와 농 학생들의 독해 관련 지식 수준과 두 지도 방법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에 소재한 청각장애 학교에 재학 중인 중등부 1,2,3학년과 고등부 1학년 학생 중에서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학생 22명, 독해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학생 11명, 하위인 학생 11명을 무선 할당하였다. 지도는 독해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학생과 하위인 학생을 혼합 편성한 11명을 하나의 집단으로 하여 14주동안 주 2회 총 28시간 동안 두 집단에게는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를 하였으며, 다른 두 집단에게는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를 하였다.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에서는 초인지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점검 전략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 및 시범을 보인 후에, 교사의 안내에 따라 읽기 전과 읽는 중, 읽은 후에 자신의 이해 정도를 점검하면서 글을 읽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에서는 맥락적 단서의 유형과 그에 따른 추론 방법을 익힌 후, 낯선 어휘의 의미를 맥락 단서를 통해 추론하고 정교화와 강화의 과정을 거쳐 어휘의 질적 확충을 꾀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두 지도 모두 점차 교사의 개입을 줄여가는 현시적 교수 모형에 따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맥락 단서를 이용한 어휘이해 지도를 받은 집단이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를 받은 집단보다 어휘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독해 관련 지식 수준에 따라서는 어휘력 향상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집단에서는 두 지도 방법에 관계없이 비슷하게 어휘력이 향상된 반면에, 독해관련 지식 수준이 하위인 집단에서는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를 받은 집단의 향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를 받은 집단에서는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셋째, 어휘력의 향상은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하우인 집단의 경우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가 더 효과적이었고,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집단에서는 두 지도 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를 받은 집단이 어휘이해 중심 지도를 받은 집단보다 독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다섯째,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집단이 하위인 집단에 비해 독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여섯째,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상위인 집단은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가, 독해 관련 지식 수준이 하위인 집단은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가 농 학생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농 학생들의 읽기 문제는 구문 지식의 부족 뿐 아니라, 어휘의 부족, 부적절한 읽기 전략의 사용 등 복잡하게 얽혀있다. 본 연구 결과,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가 농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이해점검 중심 읽기 지도가 농학생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독해 관련 지식이 빈약한 농 학생들에게는 맥락 단서를 이용한 어휘이해 중심 읽기 지도를 통한 어휘력의 향상이 독해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se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and word meaning inference strategy on the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skill of deaf students. as well as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two strategies and the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of deaf students. 22 students of high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and 22 of low level students were selected among the freshmen, juniors, and seniors from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freshmen from high school curriculum of a school for those with hearing difficulties located in Incheon city. The selected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ubject groups so that each subject group could have 11 of high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and 11 of low level. The total 44 subjects were applied the comprehension-monitoring teaching method and the word meaning inference one to after class twice a week for 14 weeks, 28 hours in total. The subject students were given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evaluation tests of the same kind before and after the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and the word meaning inference one applied. In the case of the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the students focused on reading activities, monitoring their understanding level before, in the middle of, and after read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instruction, after being provided with metacognitive information and the direct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concerning the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In the case of the word meaning inference strategy, the students focused on such activities as expanding their vocabulary in a qualitative way, inferring the meaning of strange words from given contextual clues an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ophistication and reinforcement, after learning about the patterns of contextual clues and their inference methods. The two kinds of teaching were conducted following the explicit instruction model, in which a teacher's interferences are getting smaller gradually. The analysis of covariance was adopt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two strategies and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on the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skills of the deaf students and to see what kind of interactive effects there were between the two strategies and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based on the questions and hypotheses of the study.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ich was applied the word meaning inference strategy using contextual clues to turned out to have improved their vocabular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at of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The influence of the former teaching method on vocabulary enhancement was 49.9%. Second, there were found no differences in vocabulary enhancement based on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To elaborate, the students of high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showed a similar degree of vocabulary increasement regardless the two strategies. And the students who had a low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and received word meaning inference teaching accomplished a great vocabulary improvement while those who had a low comprehension-related knowledge level and received comprehension-monitoring teaching hardly improved their vocabulary. That is,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was proved to have little influence on vocabulary enhancement. Third, in terms of increasing vocabulary, the group of low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benefited very much from the word meaning inference strategy, but that of high level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rategies. The influence of this interactive effect was 29.8%. Fourth, the group taught to use the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turned out to have improved their comprehen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at taught to use the word meaning inference strategy. The influence of the former strategy on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on was 45.6%. Fifth, the group of high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attain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omprehension than that of low level. The influence of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on comprehension development was 27.7%. Finally, it turned out that the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was more effective for the comprehension development of the group of high comprehension-related knowledge level while the word meaning inference one to that of low level group. The influence of this interactive effect was 83.2%, which was very big. The reading problems deaf students are suffering from are very interweaved among many factors including lack of syntactic knowledge, lack of vocabulary, and use of improper read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teaching the word meaning inference strategy had a great effect on deaf students' improving their vocabulary while teaching the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on their comprehension. And those deaf students with poor reading-related knowledge level could develop their comprehension by improving their vocabulary first from the meaning inference strategy using contextual clues.

      • 농학생에 대한 청각재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혜란 우석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의 현실은 보청기를 가지고 있는 아동이 농학교 전 재학생의 28.70%에 불과하다. 이 중에서도 보청기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는 24.00%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고, 이나마도 교육현장이나 가정에서 보청기 사용에 대한 바른지도가 되지 못하고 막연하게 보청기만 끼워 놓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효과를 거의 얻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들의 청각재활의 환경과 교육에서 어떤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 추구하려는 목적은 우리 나라 농학교와 농학교 재학생의 (1) 청각재활의 기초환경의 실태와 문제점을 밝히고 (2) 청력손실의 현황과 조치의 문제점을 밝히고 (3) 보청기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나아가서 효과적인 청각재활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청각장애아의 효율적인 청각재활을 위해 청각재활의 기초환경, 청력손실 현황과 그 조치, 그리고 보청기 사용에 관하여 10개 농학교와 이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재학생 및 재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직접 조사 및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결과, 밝혀진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재활의 기초 환경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1) 보청기 사용자가 적다 (2) 청각재활시 사용되는 학급의 실내소음 및 반향이 많다. (3) 시각적 환경이 부적절하다. (4) 청각재활기기 및 자료가 부족하다. (5) 교사의 청각재활 전문능력 수준이 부족하고 부모의 지식과 이해 또한 미흡하다. 둘째, 청력손실의 현황과 조치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1) 청력손실 발견시기도 늦고 발견후의 교육적 조치도 상당히 지연되고 있다. 셋째, 보청기의 사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1) 보청기 사용시기가 늦다. (2) 보청기 선택과정이 부적절하며 최적합한 보청기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3) 보청기 사용과 관리의 부적합으로 보청효과를 거의 얻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문제점에 대재된 주요원인은 ① 학교의 청각재활환경 구성에 대한 인식부족, ② 교사의 청각재활에 대한 전문능력 수준부족, ③ 청각장애아와 청각재활에 대한 부모의 이해와 인식 부족과 모순, ④ 검사와 훈련 프로그램의 미비, ⑤ 조기진단 시스템 부족, ⑥ 청력측정 및 평가, 청능훈련에 대한 전문가 현직연수부족, 그리고 ⑦ 교사양성과정에 있어서 전문성의 결여 등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청각재활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조기진단에 의한 조기발견 즉시 검사할 수 있는 측정·평가 제도의 정비 및 유아청력검사, 보청기 선택, 그리고 연계된 청능훈련을 실시할 수 있고 보청기 공급, 수리, 상담, 청각재활기기 및 자료를 개발 보급할 수 있는 종합청각센타가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농학교의 각 학급을 음의 차폐, 반향의 제거로 청능훈련실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청각재활 전문가 양성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양성과정에 있어서 전문성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며, 가정에서의 연계적이고 일관된 교육을 위하여 부모교육이 제도적·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청각재활의 긍정적 효과를 예증하고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청각재활의 의욕을 교사나 부모 그리고 학생이 가지도록 해야 한다.

      • 농학생 대상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 습득 연구 :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을 기반으로

        이효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인 중·고등학생, 청인 중·고등학생,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Grammaticality Judgment Test, GJT)를 통해 의미적 기능에 따른 단일주어문과 주격중출문에서의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의 습득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단일주어문에서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단일주어문 전체 문항, 조사 ‘이/가’ 전체 문항, 조사 ‘은/는’ 전체 문항에서 청인 집단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 농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즉 모든 변수에서 청인과 농인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중국인 학습자와 농인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농인 집단이 청인 집단보다 중국인 학습자 집단과의 거리가 더 가까움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조사 ‘이/가’의 의미적 기능 중 신정보 기능 문항에서만 청인 집단이 다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조사 ‘은/는’의 모든 의미적 기능 문항에서는 청인 집단이 다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단, 조사 ‘은/는’의 의미적 기능 중 구정보 기능 문항에서는 청인 집단이 중국인 학습자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농인 집단과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조사 ‘은/는’의 다른 의미적 기능과 상이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농인 집단보다는 중국인 학습자 집단이 청인 집단과의 거리가 더 가까움을 추측할 수 있다. 셋째, 농인 집단과 구화인 집단의 학습자 변인을 제1언어 정체성 요인, 인공와우 수술 요인, 가정환경 요인으로 두고, 학습자 변인에 따라 단일주어문에서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을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격중출문에서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주격중출문 전체 문항에서 청인 집단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 농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둘째, 주격중출문의 유형에 따라 농인과 청인 집단은 서술절 내포문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중국인 학습자와 청인 집단은 소유 형용사 구문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농인과 중국인 학습자 집단 간의 거리가 청인 집단과의 거리보다는 가까움을 알 수 있다. 즉 농인과 중국인 학습자 집단의 습득 양상이 청인 집단에 비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두 집단이 소유 형용사 구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각 집단의 고유한 언어 습득 과정이 있으리라 추정된다. 셋째, 농인과 구화인 집단의 학습자 변인에 따라 주격중출문에서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을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일주어문과 주격중출문의 분석 결과에 따라 ‘농인 – 중국인 학습자 – 청인’ 순으로 집단 간 거리가 가까움을 추측할 수 있었고, 제1언어의 영향에 따라 농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 습득 양상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다만 구정보 기능과 소유 형용사 구문에 나타난 두 집단의 차이를 통해 각 집단의 고유한 언어 습득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i/ga’, ‘-eun/neun’ in single-subject structure and multiple-subject structure according to their semantic functions using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to the Deaf, the Hear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hinese Korean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acquisition of Korean ‘-i/ga’, ‘-eun/neun’ in single-subject structure. First, Hearing and Deaf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while Chinese learners and Deaf stud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t can be seen that Deaf students are closer to Chinese learners than Hearing students. Second, Hearing stud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only in the new information function of '-i/ga' and in all semantic functions of '-eun/neun'. However, in the old information function of '-eun/neun', Hearing studen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hinese learners. This suggests that Chinese learners are closer to Hearing students than Deaf student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rner variables of Deaf and Oral Speech students. The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i/ga' and '-eun/neun' in multiple-subject structure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learners and Deaf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nswer rates than Hearing students in the overall sum ques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ple-subject structure, Deaf and Hearing students bo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except the predicate clause structure, while Chinese learners and Hearing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except the possessive adjective structure. This predicts that the distance between Deaf students and Chinese learners is closer than that of Hearing students. However, since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sessive adjective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each group has its own distinctive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rner variables of Deaf and Oral Speech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distance between groups was closer in the order of 'Deaf students – Chinese learners – Hearing students', and supposed that each group has its own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