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지역개발사업의 물리적 환경조성과 사회적 자본형성,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

        고진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Problems such as loss of function and economic erosion of rural communities continue due to the aging and hollowing out of the population. Various government-level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but this also indicated limitations in fundamentally improving the problems of rural areas. In particular, the physical environment due to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can find negative media reports and precedent research, and the issue of after-use of facilities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Meanwhile, social capital as a means of revitalizing the region, solving the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is being suggested as a solu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physical environment is created by policies for solving problems in rural areas, but assessment is negative, and social capital is being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problems in rural areas and revitalizing the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urban planning field is making efforts to promote social capital by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in order to revitalize the community and enhance the city sustainability.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o solve urban problems. Considering the above, it raises the question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se empirically whether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s no positive effect on rural communities.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in rural area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rural areas. Six villages in Hongcheon County and Hoengseong County were survey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tails of the project among the Chang-Jo-Juk Maeulmandeulgi sites whose project was completed from 2015 to 2018, and a total of 913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composition caused by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all factors except kindness were found to affect social capital, and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from all three groups separated by the project contents. This can be seen in the same context as the results of a precedent research in the urban planning field that the 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 social capital increase the interaction of residents with the cre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is helps to improve social capital.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the neighborhood and physical environment emphasized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s well as in rural area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all the factors of physical environmental composition due to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affect social sustainabili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sustainability, the physical environment enhances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village and its willingness to continue living and thus improves social sustainability. Third, social capital has been shown to affect social sustainability. This can be seen in the same context that social sustainability is the result of social capital, as in the precedent research and based on this, social capital is evaluated as an essential component for sustainable rural areas, and social capital is also closely related to social sustain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social capi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to solve social problems in rural areas, an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social capital through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rural areas.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the site was chosen only for Gangwon Province and the Chang-Jo-Juk Maeulmandeulgi,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or types of projects, and it could be pointed out that variables formed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 of urban planning field were not reflected in the opinions of the various experts. For future research, further discussion along with in-depth analysis of this is needed. 농촌지역사회는 인구의 고령화, 공동화로 인하여 농촌지역사회의 기능상실, 경제적 침제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농촌지역사회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농촌지역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데 한계를 나타냈다. 특히 농촌지역개발사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 조성은 부정적인 언론보도와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 있으며, 시설물의 사후활용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농촌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지역 활성화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이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농촌지역개발사업에서 물리적 환경조성은 농촌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들로 인하여 조성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이며, 사회적 자본은 농촌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그에 반해 도시계획 분야에서는 도시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근린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증진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물리적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상을 고려해 볼 때, 농촌지역개발사업의 물리적 환경 조성은 농촌사회에 긍정적 영향은 없는 것인가? 만약 있다면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연구의 의문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반 하여 본 연구는 농촌에서의 물리적 환경 조성과 농촌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농촌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사업이 시행되어 2018년까지 사업이 완료된 창조적 마을만들기사업 대상지 중 홍천군과 횡성군 내 6개 마을을 사업내용에 따라 3그룹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총 913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농촌지역개발사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조성 중 친절성을 제외한 모든 요소들이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내용에 따라 구분된 3그룹에서 모두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물리적 환경의 요소들이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리적 환경의 조성으로 인해 주민들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사회적 자본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도시계획 분야 선행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시계획 분야에서 강조한 근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농촌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그 중요성을 입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농촌지역개발사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조성의 모든 요소들이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지속가능성간의 관계는 물리적 환경이 마을에 대한 소속감과 거주 지속 의사 등을 높여주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선·이수기(2015)의 연구에서 말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자본이 만든 결과물이라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속가능한 농촌을 위한 필수요소로 평가받으며, 사회적 자본 또한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수단인 농촌지역개발사업에 있어서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하며, 농촌지역에 있어서도 물리적 환경의 개선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강원도 지역에 한정하여 대상지를 선택하였다는 점, 창조적 마을만들기사업을 시행한 대상지를 선택하였다는 점으로 인하여 지역사회의 특성이나 사업의 종류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차이점을 파악할 수 없었고, 도시계획분야의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한 변수를 농촌지역에 맞게 변경하는 과정에서 제한된 인원의 관계자의 의견을 통해 이루어져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등은 연구의 한계로 지적받을 수 있다. 향후 발전된 연구를 위해서 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논의의 확장이 필요하다.

      • 陜川 赤中地域 經濟 活性化를 爲한 農村開發 方案에 關한 硏究

        곽충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Due to the change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 the country, including the opening of rice market,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is becoming lower than urban areas by the decrease of farming population and their incomes and deterioration of living conditions in rural area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evelop the strategy by farm villages to seek a way out in rural areas and give hope and vision to them. Market competitiveness of most farm villages has been weakened due to the aging of farming population and rice-focused agriculture, therefore, it is urgent to create new added value to increase the income of residents in the region. The strategy to establishment the plan for implementingresources circulation system in farm villages, producing and processing high-value added agricultural products and experiencing environment-friendly farm, and developing comprehensive welfare system in farm villages, in accordance with farm villages, and connect them to the government’s policy to support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ould largely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income in farm villages and realization of welfare farm villages. I propose a model development plan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arm villages in difficulties and desire to give new hope to farm villages by this research. 쌀 시장개방 등 국내 농업환경 변화에 따라 대부분의 농촌지역은 농가 인구 및 소득의 감소, 농촌 생활 여건의 악화 등 도시에 비해 삶의 질이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삶의 활로를 찾고 희망과 비전을 줄 수 있는 농촌 자체의 전략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대부분의 농촌이 농업 인구의 고령화와 쌀 중심의 농업으로 시장 경쟁력이 약화되어, 지역 주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하여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농촌의 실정에 맞게 농촌의 자원 순환 시스템의 구축과 고부가가치 농산물의 생산 가공 및 친환경 농촌체험, 농촌의 종합 복지시스템의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정부의 농어촌 지원정책과 연계하는 전략의 수립은 재정적으로 어려운 농촌의 소득증대와 보지농촌의 시현에 크게 이바지 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모범적인 개발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농촌에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 우리나라 農村小都市 開發戰略에 관한 硏究

        김기옥 全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2 국내석사

        RANK : 248703

        I. Introduction The object of this paper is in studying the strategy of rural center development which is one of new strategies of regional development, in an effort to reflect various problems in 1970s arisen from city and industry inclined growth and to overcome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between cultural and local areas and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it aims to develop the agropolis into the organic integrated society which has independent social, economic, cultural,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order through connective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eventually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I. Meaning and Function of Rural Center Rural center, as a central place of social activities of rural villagers, means town in rural areas which provides various services necessary for their daily lives and is characterized by its agriculture -dependency in terms of socio-industrial aspect and its connection with the central city. Rural center has such functions as connector-function to connect the central city with the back rural area, centerfunction to digest, evaluate and transform the external cultures or activities at regional level as a central place of rural society and point-function to expedite the rural development. III. Problems and Status of Rural Centers in Korea Rural center of which concept is not yet established definitely, forms about 70% of regions which have more than 100 thousand people. In spite that it covers most parts of the country and is the central place in rural society, it has revealed many problems such as decline of function of rural _ center, deficiency of agropolis planning, weakness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insufficiency of absorption power. The general survey of strategies of rural center development of ESCAP, Japan, India and Bangladesh will be helpful for our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V. The Strategy of Rural Center Development In a sens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gravity of spatial differentials arisen from intensive investment by space and industry, the integrated spatial development strategy in pursuit of long-term and concurrent approach integrated by space and sector will be one of the effective ways for rural development. The problems of rural areas arise not only from their own reasons but also complexly from their systems related to urban areas in space. It is transfer of administrative function of cities, filling up of rural fundamental desire and weakening of growth in metropolis that are necessary for the solution of those problems. V.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limitation and the problems of economypreferential development philosophy during the past 20 years and furthermore to search for the strategy of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get out from the "village" centered partiality of the Saemaul Undong an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regions.

      •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지속적 주민 참여 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 애착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주진 전남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저출산, 고령화, 인구 유출 등의 사회 문제로 인해 농촌지역은 점차 쇠퇴하고 있다. 특히 인구 감소로 인해 다수의 농촌지역은 인구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농촌지역 발전과 활성화, 그리고 농촌지역 주민들이 살기 좋은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농촌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해 조성된 시설과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가 저조하여 사업의 효과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추진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사례로 하여 향후 추진될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주민 참여 의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추진 방향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되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추진된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3개 지구로 설정하였다.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지속적 주민 참여 유도를 위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지역주민과 전문가 및 공무원 그룹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표적집단 면접법(FGI),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중요도 분석, 계층화 분석(AHP)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업 사전 인지도와 정부 정책 신뢰, 사업 만족, 지역 애착, 지속적 주민 참여 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농촌지역개발사업에 최초로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여러 개의 변수들을 통해 도출된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사전 인지도 요인이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지속적 주민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업 사전 인지도, 정부 정책 신뢰, 사업 만족과 지속적 주민 참여 의도 간 영향 관계에서 지역 애착 요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넷째, 농촌지역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중요도를 전문가 그룹과 공무원 그룹을 다각도로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개발사업 추진 시 지속적 주민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 공청회, 현수막 등 기존 안내방식을 벗어나 주민들에게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주민밀착형 정보전달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정책 정보 공개, 공약사항 이행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촌지역개발사업 계획 수립 시 지역 내 필요시설과 주민 희망시설 조사 등 사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 내에서 추진되는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추진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주민들의 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기획·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중앙정부에서는 원활한 농촌지역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신속한 지침 하달, 우수사례 워크숍, 현지밀착형 컨설팅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일곱째, 설명회·공청회, 추진위원회 등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추진의 모든 과정에 배후지역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덟째, 지속가능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해서는 지역 소득사업 확대 및 인건비 책정 한시적 허용 등 공모사업 가이드라인 및 지침 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농촌지역 발전을 위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사업계획 수립 시 주민 참여 방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문가와 공무원, 그리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조사·분석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만을 살펴보았고 연구 대상지역을 전라남도 함평군으로 한정하는 등의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농촌지역개발사업과 다수의 지역을 사례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어촌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개발사업 연구를 통해 농촌지역과의 비교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사례로 사업의 성과인 만족도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Rural areas in South Korea are gradually declining due to soc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 rates, an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outflow. In particular, many rural areas are classified as being at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due to the population decline.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by making large investments to develop and revitalize rural areas and create a good living environment for rural residents. However, in some regions, residents' participation in facilities and operation programs created through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low, indicating a lack of effectiveness in the projec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residents in future rural development projects using the example of previously implemented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their implementat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study focuses on three districts involved in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promoted in Hampyeong-gun, Jeollanam-do.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local residents,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The study employed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FGI),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mportance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s research method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ior awareness of projects,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business satisfaction, local attachment, and continuous resident participation inten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first time. Second, it confirmed that the prior awareness factor of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derived through various variable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Third,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ttachment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wareness of the project, government policy trust, project satisfaction, and continuous resident participation intention. Fourth, the study compared the importance of promot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from various angles between the expert group and the civil servant group.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increase residents'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 means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clearly to residents should be devised beyond the existing guidance methods such as briefing sessions, public hearings, and banners. Seco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measures such as policy information disclosure and implementing pledges to increase trust. Third, when establishing a rural development project plan, measures to increase project satisfaction, such as surveys of necessary facilities in the region and desired facilities for residents, should be devis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mo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rural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in the region. Fifth, it is necessary to plan and operate a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identity of local residents. Sixth, central government needs to provide policy support such as prompt guidance, best practice workshops, and local consultation to facilitate rural development projects. Seventh,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residents in the region to participate in all the processes of promoting rural hub revitalization projects such as briefing sessions, public hearings, and promotion committees. Eighth,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projects, guidelines for public projects, such as expanding local income projects and temporarily allowing labor costs, need to be revised. Finally, when restructuring rural spaces and establishing a regeneration project plan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residents' participation should be includ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research results on various aspects through surveys and analyses targeting experts, civil servant, and local residents. However, the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focusing only on projects to revitalize rural centers, amo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limiting the spartical scope of the study to Hampyeong-gun, Jeollanam-do.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examining various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multiple regions. In addition, comparative research o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targeting rural areas and fishing villages is recommende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which factors determine satisfaction, which is the desired outcome of the projects, us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as an example.

      • 전남 함평지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행태와 IPA분석

        유선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농촌은 1970~80년대 경제성장기를 거치며 성장 위주 정책의 개발계획에서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었다. 농업은 산업화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로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상실하였고, 지역사회는 이촌 향도 현상으로 급격한 인구 감소를 경험하였다. 현재의 농촌은 낙후된 정주환경에 노령화된 인구만이 남아 지역사회의 침체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농촌사회의 붕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농촌지역개발사업이 시행되었다. 최근까지 진행된 사업들은 도시와의 격차를 좁히는 것을 목표로 하여 시설개발을 주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결국, 물적인 정비만으로는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할 수 없으며 농촌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민에 의한 주민참여형 지역개발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농촌지역개발사업에서 주민참여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참여방식, 참여주체, 참여기회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주민참여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농촌지역개발사업에서 주민참여를 개발방향의 중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주민의 참여가 저조한 상황에서 사업의 성과를 기대하기란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정부가 시행하는 사업 중 가장 큰 규모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의 행태를 분석하고, 사업에 참여함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그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주민참여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함평군의 사업이 완료된 2개의 권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T-Test분석, 다중응답분석,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남 함평군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완료된 모평권역과 가덕권역으로 선정하였다. 모평권역은 성공적인 사업 추진으로 평가에서 우수 권역으로 선정되었으며 정부 부처의 각종 상을 받았다. 가덕권역의 경우 비슷한 시기에 사업을 실시하였지만, 현재는 시설운영 측면과 조직 활동의 측면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권역이다. 지역적으로 인접하여 비슷한 조건을 가진 두 권역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차이는 주민참여 행태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예측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민참여 행태를 분석한 결과, 사업에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모평권역의 주민이 사업에 참여하는 기간이 더 길었으며, 참여하는 자세 역시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에 참여하는 이유와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두 권역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두 권역 모두 '마을개발에 관한 관심'과 '이웃 간의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사업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마을을 위한 사업에는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책임감도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은 '사업에 대한 정보의 부족'과 '생업으로 인한 참여 시간 부족', '사업에 대한 무관심', '추진주체와 이웃 간의 갈등'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사업과 추진주체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모평권역의 응답자가 사업이나 추진주체들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권역사업의 주요 추진주체와 사업의 선정에 있어 수요 조사방법을 설문한 결과 모평권역은 주민 스스로가 추진주체로써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였으며, 참여할 기회도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사업을 진행하면서 상반되는 두 그룹을 구분하여 T-Test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우선 중심이 되는 '거점마을'과 '그 외 마을'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사업에 대한 평가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추진위원과 추진위원장 및 사업과 관련한 소득사업 운영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추진 리더그룹'으로 구분하고, '일반주민'과의 사업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거점마을'과 '사업추진 리더그룹'이 사업에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세 번째, '일반주민'과 '추진위원 및 관련 사업 운영자'의 참여방식을 비교해 본 결과, '일반주민'은 수동적이며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한정된 폐쇄적인 형태로 참여하는 것이 드러났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직접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추진위원 및 관련 사업 운영자'의 참여가 훨씬 높았다. 네 번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IPA분석결과, '생산품을 통한 소득 증진', '사업 수행을 통한 즐거움', '농업 외의 다양한 활동 체험', '공동사업 수행을 통한 친목강화', '마을의 인구증가' 부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사업 수행 후 만족도도 높아 지속해서 투자와 관리가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반면 '마을의 숙원사업 해결', '경쟁력 있는 신규 사업의 유치'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만족도는 낮아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참여를 증진시키는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업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홍보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 주민의 생업과 생활패턴을 반영한 사업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 선진지 견학과 교육은 주민이 매력을 느끼는 사업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업을 이용하여 참여하는 주민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마일리지제도와 고령층의 주민을 배려하여 찾아가는 교육을 시행한다면 활발한 주민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소통채널의 확장이다. 현재의 추진 방식에서 주민이 추진 리더 및 지자체와 소통할 기회는 부족하다. 주민총회나 사업 설명회, 공청회 등을 제외하고는 일반주민이 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없다. 이는 사업과의 단절을 만들어 주민으로 하여금 무관심과 참여율 저조를 불러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추진 기간에도 정기적으로 주민총회를 개최하여 사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주민의 참여방식이 획일화되고 수동적이라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 주민과의 회의를 통하여 주민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인의 주민이 책임감을 가질 수 있는 각자의 역할을 부여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 농촌지역개발사업에 따른 개발논리의 차별적 수용과 행위양상 : 승일리를 중심으로

        현미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the 1990's, the problems of agriculture and farming area changed and criticisms on the existing rural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were raised. Therefore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changed its scope, goals, and the ways to implement. The scope of the project was changed from the nationwide unit into the village unit. The overall goals of the project changed from the expansion of food production and agricultural infrastructure to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increase in nonfarm income. For implementation, method was changed from government-sponsored top-down approach to bottom-up approach that emphasizes residents' participation. In spite of government's efforts, it is easy to see tha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side the village. This thesis starts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about this. As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ject changed to the bottom-up, the villagers had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to offer suggestions. The villagers were participating through such diverse ways as project briefing sessions, educational works and village meetings. However, these ways did not satisfy their roles of drawing opinions of the local residents. On the contrary, they were functioning as the education place of the government's development logic. The government was delivering the development logic through various ways. Different from what was known on the surface,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ends to follow Saemaeul Movement. Actually,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ject was done through the top-down approach. Whereas, in the past the physical control was the medium, but now disciplining by the education becomes much more important. Despite these government's efforts, the villagers didn't agree with and follow the government's development logic. That is to say, in 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control the villagers' independent thoughts and actions, they accepted the development at different levels according to their sociocultural situations. The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level of accepting the development logic. The actively-accepting group members, mostly the village leaders, were greatly interested in income increase because they were comparatively young and usually had unmarried children. They tried to accept the development that promises higher income. The selectively-accepting group members come mostly from farmers returned to rural areas from cities, many of them returned for the alternative life, and most of them were highly educated, so they tend to be critical of the government's development and the goals of the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passively-accepting group members, mostly older villagers, are indifferent to the development and had neither will of acceptance nor critical mind. Each group shows different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the nonfarm income generating business. Agreeing to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actively-accepting group had eagerly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the nonfarm income generating business. However, because the income was far less than they expected, their interests tended to decrease. The selectively-accepting group had the greatest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herefore, this group had been doing this agriculture actively,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project. On the other hand, this group estimated positive and negative parts of the nonfarm income business, and evaluated positively only what corresponds to their values. As they were critical of the nonfarm income business, the participation of this group was relatively low. The passively-accepting group participated in each project according to the overall mood of the village and this group was not apt to participate in it because of the old age. As the villagers accepted the government's development logic at different levels and they acted differently, this caused a group separation. Because all villagers didn't follow the ways encouraged by the project, the government considers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o be unsuccessful. In the meantime, the group separation in the farming village that still has the tendency toward the community, weakens the unity of the community and seems to cause conflicts.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villagers didn't consider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o be successful.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consider bottom-up implementation, accepting diverse opinions of the villagers rather than trying to educate the villagers. Then, the problems of the separation of the villagers could be solved.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degree of whether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is successful or not, not by its correspondence to the government's policy but by the villagers' situations such as the acceptance of the opinions of the villagers or the villagers‘ satisfaction. 1990년대 이후 농업·촌의 문제가 변하고 기존의 농촌지역개발사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지역개발사업은 사업의 범위, 내용, 추진방식에 있어서 변화를 겪게 된다. 사업의 범위는 전국에서 마을 단위로 바뀌었다. 이는 전국을 대상으로 한 획일적 사업추진에 대한 비판에서 이루어진 변화이자, 마을간 경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사업의 전반적인 내용은 식량증산 및 농업기반확충에서 친환경농업 및 농외소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추진방식은 정부주도의 하향식(Top-down)에서 주민참여를 강조하는 상향식(bottom-up)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획일적이고 강압적인 사업추진방식에 대한 비판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마을 내부를 살펴보면 여전히 많은 문제를 안고 있음을 쉽게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사업추진방식이 상향식으로 바뀌면서 마을주민들은 사업에 참여하고 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더욱 많아졌다. 주민들은 사업설명회, 교육사업, 마을회의 등 다양한 기회를 통해 사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표면적으로 다양한 참여의 장으로 인식되고 있는 여러 기회들이 실제로는 주민의견을 반영하는 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지 않았다. 오히려 정부가 그들의 개발논리를 주민에게 학습시키는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정부는 모든 주민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빈번히 개발논리를 전달하고 있었다. 겉으로 드러난 것과 달리 지금의 지역개발사업은 추진방식에 있어서 새마을운동을 답습하고 있었다. 즉 사실상 사업추진방식은 여전히 하향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과거에는 강제력을 동원한 신체의 통제가 주가 되었던 반면, 지금은 다양한 교육을 통해 정신을 훈육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모두 개발논리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은 아니었다. 즉, 정부가 주민들의 주체적 사고와 행위를 제한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그들이 처한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준으로 개발논리를 수용하고 있었다. 주민들은 개발논리를 수용하는 정도에 따라 크게 세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마을 지도자층이 대부분인 적극적 수용층은 비교적 젊고, 미혼 자녀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 소득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고소득에 대한 기대를 심어주는 개발논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귀농인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선택적 수용층은 대안적인 삶을 꿈꾸며 귀농한 경우가 많고, 대부분이 고학력자인 만큼 정부의 개발논리와 사업내용에 대행 비판적 평가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노년층 주민들이 대부분인 소극적 수용층은 개발논리에 대해 무관심하고 별다른 수용의지나 비판의식 없었다. 각각의 집단이 지역개발사업의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는 친환경농업과 농외소득 창출 사업에 대해 서로 다른 행위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즉, 지역개발사업의 주요 내용인 친환경농업과 농외소득 창출사업에 대한 태도와 참여하는 정도, 적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적극적 수용층은 개발논리에 동의하며 친환경농업과 농외소득창출사업을 가장 열정적으로 추진하였으나 예상했던 것 보다 소득이 미미하자 점차 관심이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선택적 수용층은 대안적 삶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환경농업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사업과 관련해서든 무관하게든 적극적으로 친환경농업을 하고 있었다. 한편 농외소득창출사업에 대해서는 장·단점을 평가하여 가치관에 부합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참여 정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는데, 농외소득사업을 농업보다 강조하는 데 대한 비판적이고, 또한 대부분이 투입하는 노동력에 비해 매우 적은 소득만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소극적 수용층은 마을의 전체적 분위기에 따라 각각의 사업에 참여하기도 하고, 신체의 노령화를 이유로 불참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들은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든 참여하지 않는 경우든, 사업 자체에는 무관심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주민들이 개발논리를 서로 다른 수준으로 수용하고, 이에 따라 다르게 행위 하는 양상은 집단 간 분리를 가져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지역개발사업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모든 주민들이 개발논리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위 하지는 않음으로써 지역개발사업이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한편, 다소 공동체적 성향이 많이 남아있는 농촌마을에서 발생하는 주민 간 분리는 공동체적 유대를 약화시키고, 마을 내 갈등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이유로 주민들의 입장에서도 지역개발사업은 성공적으로 여겨지지 않고 있었다. 정부는 마을주민들에게 개발논리를 전달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는 진정한 상향식 추진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개발논리의 지속적인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간 분리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지역개발사업의 성공 여부를 정부정책에 부합하는 정도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주민 의견 수용이나 만족도 등 주민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 베트남 새농촌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성과연구 : 한국 새마을운동과의 비교와 적용전략

        부 티 후엔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program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ontents and performance of the 10-year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o find ways to achieve great success in the Vietnam Rural Development Movement by comparing the Korea Saemaul Movement with the Vietnam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in the 1970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tailed summary of the process conduc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Briefly reviewed traditional research on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fter presenting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with the introduction and presented the methods and scope of research. Chapter 2: First historically identified Vietnam's agricultural and rural reform policies prior to 2008, analyzed governance and implementation systems for the background and program of the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nd looked at the main contents of this chapter. Chapter 3: Evaluat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the 2010-2020 development process of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nd suggested limitations. Chapter 4: Sought to study the core success factors that led to the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which led to the main principles and business details of the Saemaeul Movement. Chapter 5: Compares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with the Korean Saemaul Movement to find ke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programs,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of the Korean Saemaul Movemen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2021-2025 development process, and the policy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Vietnam. Chapter 6: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compilation and discussion so far, we intend to conclude the application strategy for the new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it with the Vietnam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Saemaul Movement in Korea. In Vietnam, the national goal program for New rural development began in 2010 and was developed for rural areas nationwide. Since various aspects of rural residents' lives have been achieved for 10 years, social and economic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tems have greatly improved rural areas as the main goals of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Despite the above achievements, however, there are some notable limitations to the outcome of the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Some limitations are seen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s performance. As a result, although it contributed greatly economically and socially to the increase of income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in rural areas, it was found that it was still lacking in term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mental development of residents. So the key threshold has become an urgent point to improve in the next phase of the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Meanwhile, in the 1970s, the Korean Saemaul Undong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success program among the world's rural development models. The success factors of the Saemaul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spects, but the most important of them are mental reform,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Saemaul leaders, and the coopera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public institutions. Next, based on the comparative results of the two countries' programs,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ors: Examples include increas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oles, strengthening education and residents' capabilities, strengthening the role of professional leaders in the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securing investment funds, setting up and operating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promoting projects. Focusing on this study, the contents and achievements of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application strategy of the Korean Saemaul Movement were emphasized through a key comparison between the two countries' programs. On the other hand, he mentioned the results of the Vietnam program, but since he had been studying it only with data, he failed to show the full extent of the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If this study could have been studied at the succes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a practical example, the effect of this paper would have been increased. This is the limitation of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this study. Therefore, I hope that Korea's Saemaul Movement and Vietnam's Saemaul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analyzed in more diverse aspects as future research tasks in more detail. So, after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Korean Saemaul Movement, discovering the limitations of the Vietnam New Rural Construction Movement and suggesting ways to improve it will help develop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And I hope this research will later become a valuable research paper useful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rural development policies in Korea and Vietnam in the future. Keywords: New Rural Development, Saemaul Movement, Doi Moi Renovation, National Target Program on New Rural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시행된 10년 차 베트남 새농촌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성과에 대해 분석과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1970년대 한국 새마을운동과 베트남 새농촌개발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베트남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알아보며 베트남 농촌개발 운동에서 한국처럼 큰 성공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서였다.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운영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 5개 사업권역을 중심으로

        박수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농촌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행된 농촌지역개발사업들의 성공여부는 추진된 사업의 합리적인 운영관리에 크게 좌우된다는 인식 속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특히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일종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관심을 갖고, 이 사업을 추진했던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운영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해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2004년도에 쾌적하고 활력이 넘치는 살기 좋은 농촌모델을 창출하기 위해 도입된 사업으로, 2013년까지 전국 1,000개 사업권역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동일한 생활권 ? 영농권을 갖는 발전잠재력 있는 마을들을 1~3개 이상 연계해 추진하는 권역사업이며, 1 ? 2단계로 구분해 5년간 시행되는 장기사업이다. 사업내용에 있어서는 경관개선사업 및 소득기반확충사업 등의 물리적 사업과 주민자치역량강화사업 등의 비물리적 사업을 병행해 추진한다. 기존의 농촌지역개발사업과 비교해 상향식 종합개발사업 방식을 취한다는 특징이 있다. 상향식 종합개발사업은 사업 계획수립 및 추진, 운영관리 등 사업 전 과정에 거쳐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업방식이다. 또한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마을사무장제도를 도입해 사업관련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현장답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문제분석틀에 기준해 분석함으로써 사례지역의 사업운영관리상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문제분석틀은 본 연구의 특징 중 하나로, 문헌자료에 근거한 문제분석틀을 마련함으로써 객관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의 개선방안 역시 문제분석틀에 기초해 개선방향을 설정하고, 그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2010년에 포괄보조금제도가 도입되면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으로 통합되었는데, 통합 후의 사업내용을 검토해 개선방안 제시에 반영함으로써 좀 더 실현가능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따라 시설정비사업 측면의 문제점으로 ① 투명하고 공정한 수익배분을 위한 노력이 미흡하고, ② 시설물 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것을 확인하였고, 지역역량강화사업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③ 사업주체로서 적극적인 주민참여의 미흡, ④ 지자체 및 전문가 지원체계 미흡, 그리고 ⑤ 권역운영규정의 형식적 운용이 파악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시설정비사업 측면에서는 ① 상시 이용 가능한 상태 유지, ② 시설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주민 편의서비스 제공, ③ 주민소득 증대를 위한 방문객 유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지역역량강화사업 측면에서는 ④ 주민참여 분위기조성, ⑤ 주민별 역할부여를 통한 참여기회 제공, ⑥ 주민자치 여건마련을 위한 지자체 및 전문가 지원체계 확립 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는 사업운영관리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사례지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운영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해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사업 종료기한인 2017년까지 얼마 남지 않았지만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지 않으며, 사업운영관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사업운영관리는 사업종료 여부에 상관없이 사업 전 과정에 거쳐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업종료기한인 2017년까지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시의적으로 적절한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