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물관·미술관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홍숙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51

        현대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현대의 노인들은 보다 건강한 상태에서 노년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사회 전반의 생활수준과 교육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그들의 문화적인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문화예술을 누릴 노인들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늘어가는 노인인구에 비하여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노인복지시설이나 공공 문화시설도 열악한 실정이다. 노인의 기호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이 그리 많지 않고 따라서 노인들은 문화생활을 누릴 기회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박물관·미술관은 문화예술교육을 하기에 매우 적합한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노인의 문화예술 활동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물관·미술관을 통하여 노인들이 보다 더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창조적이며 주체적인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의 1장은 연구목적 및 의의와 방법을 제시하고, 2장에서는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국외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및 현황을 파악하고 박물관·미술관에서 특성화된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휘트니 미술관, 퀸즈 미술관, 북 캐롤라이나 해상박물관과 영국의 리버풀 미술관, 일본의 자원봉사제도 등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 문화향유 실태를 파악하고, 문화관광부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을 살펴보았다. 또한 박물관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현황과 현재 노인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은하문화학교’, 국립현대미술관의 ‘시니어미술강좌’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관련정책과 현황, 국내외 사례를 종합하여 박물관에서 노인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 문화예술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체계가 갖추어져야하며, 박물관들이 서로 협력하고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박물관 협력망 구축과 교육전문가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기본전제로 꼽았다. 또한 노인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킴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박물관에서 노인문화자원봉사를 활성화하는 것, 고용과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노인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는 것 등이 노인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박물관과 지역시설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노인복지시설이나 문화원 같은 지역시설과의 연계협력은 노인 대상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이상적인 체제를 갖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 전시와 연계된 교육프로그램, 박물관별 특성화된 프로그램 등 노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함으로서 노인들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화와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노인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적극적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제 역할을 다하고 주체적인 문화시민의 자세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관심과 역할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ience and the standard of living, the welfare of the aged is now rising as a pending problem throughout the world. Nowadays the old people face their senescence in a better health status than before, and accordingly, their cultural desire is now becoming various as elevating the standard of living and education. Nevertheless, the society has little understanding of the old people's rights to enjoy a cultural life, and there are short of public facilities being available to perform cultural-art events for senior. Also, there are few of organizations which can operate educational programs of culture and art suiting to the old people's taste. However, museums and art galleries have been furnishing adequate facilities for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lately, and the facilities can be used for senior's culture and art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puts on its goal to seek devices that senior can manage their own life creative and independent and experience more various cultural events through museums and art gallerie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chapter 1, the study's purpose and methods were presented. In the chapter 2, the defini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old people were considered. Also, the policy and the statu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old people being performed by other nations were examined, and the specified programs by museums and galleries were studied. The cases,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Queens Museum of Art, North Carolina Maritime Museum at Southport, National Museums Liverpool, the volunteering services in Japan, were analyzed. In the chapter 3,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ltural life for senior in Korea was grasped, and the related policy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as examined. Furthermor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senior by museums and the cases of 'Eun-Ha Culture School'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Senior Art Lecture'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were analyzed. In the Chapter 4, by synthesizing the related policy, actual condition and case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 device which can activate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senior was presented. For the activ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 support system by the government is definitely needed, and the mutual network between museums and the programs by specialists in education are the basic propositions for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Also, the device was found which can activate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promoting senior's social participation. For example, activating culture volunteering by senior, developing programs which can be connected to employment, activating senior communities are able to be the devices which can promote senior's social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this, it is needed to connect museums and regional facilities. The cooperation with the facilities for senior's welfare and culture centers would be helpful to provide an ideal system which can execute outreach program for senior. Finally, by developing and operating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for senior such as incorporating programs between generations,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exhibitions, and specialized programs by museums, it would be able to promote senior's social participation and bring a diversification and an improvement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is the time that the society's concern and role are needed for senior to manage their lives actively and independently.

      •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 활성화 방안 질적 연구 :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 사례를 중심으로

        엄소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1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explore the solution in revitalizing th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rts in regional level for the elderly via case studying the '6090 Youth Choir' in Wonju, Gangwondo, which is a selected program as a part of the ‘Culture and Arts Supporting Scheme’ by Korean Culture and Arts Centers Association (KOCAC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ositive factor of participating in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2. How has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s for the elderly been changed in regions over time? 3. What are the current issues in order to achieve revitalising culture & arts education and what is the solution? In order to fulfil the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acquired the basic date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executed with 36 members of '6090 Youth Choir' along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on April 21, 2021. Then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3 weeks between April 28, 2021 and May 19, 2021 with 6 voluntary interviewees among the 36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tarts from the passion for arts education along with longings for arts. It tends to have a virtuous cycle that the pri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leads to the next participation in such education. The elderly gain their confidence and self-esteem through this education which creates the desire of enjoying more culture and art. This then leads them to maintain the health and energy which improves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by curating the elderly focused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is shown that the elderly start to create their own work participating in regional culture and arts events with it. It means that the role of the elderly in society can grow as well as accomplishing revitalizing their arts and culture.  However, as Korea is already experiencing an aging society,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has not achieved the milestones of the positive changes. Especially in Gangwon-do region where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is relatively high yet lacking the culture and arts policy has rather serious problem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6090 Youth Choir', an issue was addressed that there was a lack of a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of culture and arts, thus not enough opportunities were given to them, which can result in a preconception of how to enjoy culture and arts as an elderly. In the same manner, the need for intensive improvement was suggested since there was a lack of finding ways to participate in regional cultural events for the elderly as well as lack of thoughtful consideration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elderly in managing the program of '6090 Youth Choir'.  The aim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to maintain stable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which provide consistent support and developing new programs that are established based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effect of the elderly for the society participat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urthermore, through building the system that education can lead to regional revitalization, more elderly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ultural and arts and their role needs to be expanded as a consumer and creator of cultural business by making their own contents.  I expec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basic data that helps local authorities pay attention to participants' needs in order to manage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ncorporating each region's character as well as finding the solution to develop governments' supports and policies. 본 연구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프로그램인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가? 2. 노인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의 지역 문화예술 참여의 형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현재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1년 4월 21일 ‘6090청춘합창단’ 교육 참여자 36명과 사업담당자 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지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9일까지 3주간 2회에 걸쳐 36명의 교육 참여자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6인을 대상으로 1차, 2차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예술에 대한 동경과 예술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되고 이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다음 문화예술교육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구조를 띄고 있다. 노인은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욕구가 생성되며 이로 인하여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고 삶의 질이 상승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노인은 지역의 문화예술 행사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그 형태는 문화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역할의 다양성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사회적 역할의 증대가 문화예술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에서 한정된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모든 노인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노인 복지의 측면에서도 성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인 인구 비율은 높으나 문화예술 정책이 부족한 강원도 지역은 시스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6090청춘합창단’ 참여자의 경험에서 강원도 원주시의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참여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이에 따른 노인의 문화예술 향유 방법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마찬가지로 ‘6090청춘합창단’ 프로그램과 운영에 있어서 노인의 특성을 배려하지 못한 진행 방식과 적극적인 지역의 문화행사 참여 방법을 모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도있는 개선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노인에게 있어 문화예술 참여의 사회적 역할과 효과를 인지하고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 안정된 프로그램 유지를 이루는 것이 노인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갈 지향점이다. 또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보다 많은 노인이 지역의 문화예술에 참여하고 그들의 콘텐츠가 생성되어 문화산업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 노인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장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광역센터와 기초단위가 참여자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정책적 지원과 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노인문화활동 가치확충을 위한 전문화 연구

        이민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Korea is expected to reach ultra aged society in 2026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medicine development. Followed by such aging society, it is inevitable to renew our socio-cultural awareness and access. In this context, cultural approach is needed to solve problems and to deal with new demands that occur in the aged society while securing a variety of social services and expertise. However, most studies are just dedicated to issues of the elderly regarding, senior welfare, lifelong education, recreation, and such.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elderly. First, cultural activities of the seniors create social values, cultural values, and industrial and economic contribution values. Through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 elderly can regain social roles that have been once lost and be granted and in this process they can solve psychological and mental problems. In addition, the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act as an intermediary connecting past and present so that the elderly can become the dependent members of society that can maintain creative lives. In terms of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can perform the role of economically active members for the local community contributing to the industry and economy of the society. In order to determine realization of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examples of the national project ‘Senior Programs in the Regional Culture Center’ were examined, in which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contributing to the success in senior job creation, expansion of cultural enjoyment in activities, opportun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generation cross-communication, voluntary and spontaneous cultural activities by virtuous cycle structure management. As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cultural center that performs the business on awareness and progress of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expertise of senior cultural activities needs to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First, the agencies and organizations that perform those programs must setup mid-and-long-term performance goals, philosophy, and strategy and develop professionals by educating people of the senior cultural activities. In other words,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workshops are needed to educate the lecturers of activities which enhance the artistic and cultural understanding a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m. In addition, more specialized senior cultural programs must be secured by planning the programs in-depth and i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leading program focused on beneficiary need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senior cultural activities must be considered by strengthening assessments and by improving supports and institutional networks. Finally, it is needed to establish ‘National Senior Creative Center’ or an operational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integrity of information in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s above. The center can perform as a base for the elderly to obtain cultural information and also a center to provide forums and cultural events with seniors related research, material development, and social discourse. By securing expertise on such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senior citizens can as proactive cultural members while they can take lead in the positive and creative lives. 의학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우리나라는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Ultra 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구고령화에 따라 우리는 사회문화적인 인식과 접근을 새롭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사회 서비스와 전문성을 확충하고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수요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복지, 평생교육, 여가활동 등의 관점으로 노인문제를 접근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노인들의 문화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고령화 사회 노인문화활동은 크게 사회적 가치, 문화적 가치, 산업 경제적 기여가치를 창출한다. 노인들은 문화를 통한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상실한 사회적 역할을 다시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심리적·정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 문화활동은 노인을 경제적 부양자가 아닌 문화권을 가진 사회 구성원으로써 창조적인 삶을 영위하고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간자로서 역할을 돕는다. 또한 성공적 노화의 관점에서 노인은 지역 활성화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으므로 산업 경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노인문화활동의 가치 실현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국정과제 대상 사업인 ‘지방문화원 어르신문화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본 결과, 노인문화활동은 선순환구조운영을 통해 노인문화향유기회 확대, 사회참여유도, 세대 간 소통, 일자리창출 및 자발적·자생적 문화활동 저변 확충 등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원의 노인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가치인식 및 확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 노인문화활동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수행기관·단체는 중장기적 성과를 고려한 이념과 전략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노인문화활동과 관련된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즉 노인이수자의 강사활동, 문화예술강사의 노인에 대한 이해 제고, 기획자들의 역량 강화 등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워크숍이 필요하다. 그리고 수혜자 욕구중심, 선도적 프로그램 등 다양한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심층화함으로써 노인문화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유관단체·기관의 네트워크 강화, 지원시스템 확충 및 평가 강화를 통해 노인문화활동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지원 할 수 있는 전담운영기관인 ‘국립노인창작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때 센터는 노인들의 정보 구심점이자 노인문화와 관련된 연구 및 교재개발, 사회적 담론 형성을 위한 포럼이나 문화행사 개최를 통해 노인문화활동이 거점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인문화활동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향후 노인들은 능동적 문화 활동자로 활동 할 수 있으며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노년의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람책 음악을 입다' 사례연구

        박정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67

        현대사회에서 고령화로 인한 문제점 중 ‘세대 간의 갈등’은 사회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과제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한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기획자와 주 강사로 참가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노인예술 강사로 활동 한 본 연구자는 노인종합복지관의 현장에서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을 연구하였다. 전국의 노인종합복지관에 공지된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사람책 음악을 입다’를 기획하고 추진하며 노인과 청년이 만난 감정의 격동을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 이론을 중심으로 세대공감의 사례를 연구하며 참여자들이 만난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연구 진행 방향과 연구의 의의를 정립하였다. 두 번째, 세대공감의 연구와 정책, 전국의 노인종합복지관에 지원된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세 번째, 2019년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역 문화 플랫폼에 선정된‘사람책 음악을 입다’에 참가한 대불 노인복지관의 14명의 노인과 경북대 학생 8명의 세대공감 활동을 관찰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과 자료수집은 2018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이며 2019년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 동안 참여관찰을 통해 22명의 참여자를 관찰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하고 있는 두근두근 청춘제에 참가한 세대공감의 공연을 관찰하였다. 네 번째, ‘사람책 음악을 입다’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세대공감을 이루게 된 원인과 세대가 소통하며 만난 변화를 분석하고 세대공감의 가치에 대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연구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로써 노인문화예술교육을 이해하고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함으로써 서로 다른 세대가 만나는 삶의 변화에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세대가 소통해야 하는 필요성을 이해하고 고령화 사회 속 노인의 사회적 역할 부여에 문화예술교육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며 노인과 함께하는 세대공감 문화예술교육은 모든 공동체가 화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간의 구조관계 분석

        김남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간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은 웰에이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매개로 웰에이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매개로 순차적으로 웰에이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다수의 노인복지관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89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6.0과 AMO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웰에이징에 직접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가몰입은 우울에는 직접효과가 없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은 웰에이징에 직접효과가 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각각 웰에이징에 간접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가몰입은 우울을 매개로 웰에이징에 간접효과가 없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매개로 웰에이징에 순차적 간접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이 지각하는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웰에이징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하여, 웰에이징을 도울 수 있는 주요 예측변인이자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과 웰에이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웰에이징 증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구성하고 기획할 때 노인 맞춤형 심리·정서 및 사회·환경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 부천시 노인복지관과 거점경로당 사례를 중심으로 -

        안윤경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67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들이 주도적이고 생산적이며 활기찬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들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종속변수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독립변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만족도 영향 요인들인 ‘교육과정과 내용의 적실성’, ‘교육 강사진의 수월성’, ‘교육기관 강의시설 및 환경’, ‘교육과정 운영진의 전문성’ 등 4가지 개념변수로 구성하였다. 연구 가설은 이들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4가지를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는 부천시에 있는 3개 노인복지관과 2016. 7. 4일자로 행정개편이 되면서 기존 3개구 폐지 후 10개 행정복지센터 권역별 10개 거점경로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셨다. 분석결과 노인 문화예술프로그램 만족도 제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중 1순위는 교육과정 운영진의 전문성(β= 0.30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2순위는 교육 강사진의 수월성(β=0.186), 다음으로 교육 강의시설 및 환경(β= 0.135)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과정과 내용의 적실성(β=0.062)은 만족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주민자치센터나 문화재단, 도서관, 평생학습기관등 다양한 곳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노인들이 각각의 프로그램도 참여하고 있는 실정으로 복지관이나 거점 경로당만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기관으로 노인복지관이나 거점경로당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중요도는 의미가 있다. 가설검증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특별시 부천에 걸 맞는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만화나 미디어, 유네스코 지정 문화도시를 지향하는 부천시에 걸 맞는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둘째, 교사, 고위직 공무원 등 베이비부머 퇴직 예정자들을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과정이 입문이나 기초과정이라면 다음 단계, 중급 혹은 고급단계로 넘어 갈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교육기관 환경조성이 필수적이다. 교육기관 환경조성 시 노인복지관도 노인들만의 공간이 아닌 청년, 학생 등 세대가 어울러져 함께 만나고 배우는 장이 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되고 전문성이 검증된 수강생의 경우는 거점 경로당을 통한 강사 기회 제공 등 노인 강사 양성이 필요하다. 끝으로. 변화하는 시대,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개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교육 및 S/W 에 대한 스마트 교육환경 구축하고,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강사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기대 효과는 추후 노후생활의 풍요로움을 창조하며 활기찬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노인 정책을 기획해 집행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이 사회경제적인 주역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함에 있다. Abstract (By Yun Kyoung A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impact factors and suggest their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program’s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 for the elderly (seniors), to whom self initiated, productive, and active quality of life would be provided. To do thi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nd previous studies, the four important factors have been derived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program’s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 for the elderly. They are 1)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and its contents, 2) the excellence of instructors, 3) the lecture facility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centers, and 4)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management team. To testify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 survey samples have been collected from 150 senior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the educational program at both 3 senior welfare centers and 10 senior community centers within ten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in Bucheon city. The statistical result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shown as follow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management team(β= 0.306). The second and third ones are the excellence of instructors(β=0.186) and the lecture facility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centers(β=0.135). Finally,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and its contents does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 for seniors suitable to the Culture-Oriented Bucheon City(cartoon, media, and UNESCO design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management team should be advanced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for voluntary retired employees such as senior teachers and high level governmental officials, baby boomers’ generation. Thirdly, the lecture facility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centers should be greatly improved for providing learning community to all generations including youth and students with seniors. Fourthly, in regard to the excellence of instructors, the competent students from graduate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fairly selected and trained as an instructor. Finally, to cop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FIR), the new contents of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developed and excellent instructors should be cultivated for the understanding of FIR and SW education environment.

      • 노인의 사회참여 확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구 : 공익(公益)을 넘어 공존(共存)으로

        손희영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4367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노인 문제’의 해결 방안을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으로 보고,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을 탐색해 보았다. 이것은 노인의 역할 회복과 세대 간 불통 문화 해소를 위한 노인 스스로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 기술적 참여 관찰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 단체 <예술 공동체 스케네>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과정(목적 ⟶ 목표 ⟶ 내용 ⟶ 활동 ⟶ 평가)을 통해 노인의 사회 참여 과정을 탐구하였다. 우리 사회는 급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이며 개인의 일생에서 노인으로 살아가야하는 물리적 시간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노년의 시간을 인생의 마무리가 아닌 성장과 발전의 시간으로 인식하고 교육을 통해 주제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고령시대의 바람직한 노인 교육의 방향을 학습참여 ⟶ 자발적 실천 ⟶ 사회적 관심 확장으로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교육적 연계를 위해 <예술 공동체 스케네>는 기존의 노인 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하는 기회 균등 차원의 공익(公益)을 위시한 공적(公的)지원을 바탕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한, 공존(共存)으로의 상호(相互)적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교육 내용도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경험 ⟶ 노인에 의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세대 간 소통 ⟶ 노인의 사회 참여 문화형성으로 노인과 노년에 대한 이해’로 순환구조화 하였다.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에 참여하는 것으로 자기 계발 및 예술을 즐기고 경험하며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학습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노인들은 동료들과의 만남을 통해 노년의 문화를 창출하며 이로 인한 문화예술과의 매개도 이루어졌다. 앞선 학습참여로 얻어진 지식과 경험을 ‘노인에 의한 교육’으로의 실천적 모색을 통해 어린 세대의 보육을 수행하는 지역의 ‘문화 보육자’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보살피는 돌봄을 넘어 문화예술을 매개로 돌보고 가르치는 ‘보육’을 수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보육 과정에서 다른 세대와의 교류를 통한 교감은 세대 간의 물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의미 있는 만남으로 상호 이어주는 통로가 된다. 이것은 특히, 과거 혈연 중심의 세대 공동체가 아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형태의 세대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렇게 노인들은 삶의 경험과 문화예술교육의 방법을 활용하여 살아오면서 쌓아온 지혜와 사회문화를 후세에 전승하게 된다. 노인의 능동적인 참여와 실천은 노인에 대한 우리의 인식 재고와 지위회복을 이끌어 우리 사회에 노인의 ‘사회 참여 문화’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을 능동적 활동 주체이자 사회적 존재로 이끌어 우리 사회 공존의 교두보이자 새로운 문화 매개자, 문화 보육자, 문화 전승자로 역할을 담당하게 하며 노인의 사회 참여가 실현됨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 노인을 위한 한국 전통무용 문화예술교육의 심미적 경험 탐색

        정재성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51

        고령화 사회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사회문제 중 하나이다. 인간은 누구나 성장, 성숙, 노화의 단계를 거쳐 발달하고 이중 노화 단계에 속하는 사람을 노인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고 있다. 노인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나타내며 이는 노인의 정서적 악화를 불러오고 심미성이 떨어지게 된다. 심미를 추구하는 인간의 마음은 시대를 넘어 인간 고유의 원초적 자아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예술 활동과 경험으로 이루어질 때 가능해진다. 그러나 심미는 단순히 예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학습자에게 눈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신체활동과 예술 활동을 통한 심미적 경험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무용 교육에서 심미적 경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노인을 위한 한국 전통무용 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심미적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연구목적에 부합한 심층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2022년 2월 17일부터 2022년 9월 28일까지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고 문헌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분석․해석하는 단계에서 자료의 정확성과 진실성을 확보하고 연구자의 주관적 오류나 편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전문가 회의를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수평화 작업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시행하였고 자료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도교수와 연구 다수경험자와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의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무용 교육에서의 인지적 측면의 심미적 경험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전통무용 교육에서의 정서적 측면의 심미적 경험은 행복감, 성취감, 회복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전통무용 교육에서의 사회적 측면의 심미적 경험은 소속감, 동료애,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 전통무용은 개인의 흥미와 주변의 권유로 신체적인 기능 향상을 위해 무리 되지 않는 활동 범위 안에서 교육활동이 이루어져 왔지만, 문화예술교육 측면에서 한국 전통무용 교육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며 노인들에게 심미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의 하나의 대안으로 역할과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무용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노인의 정서적 인식변화 연구

        민들례 순천향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용움직임과 연기표현을 융합시킨 사회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무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특히 노인들에게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서 나타날 수 있는 노인의 정서적인 인식변화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사례적용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노인들에게 사회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노인들의 정서적 인식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연구 결과 노인여성들은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참여한 후 얻게 된 삶의 구체적인 인식변화에 대하여 개인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신체활동과 생활리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었다고 답하였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움직임 표현의 상호인식에 따른 소통방법과 의식변화는 몸을 통해 다양한 표현방법과 의미 전달을 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건강에 대한 인식, 긴장감 해소,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등의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인식 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셋째,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참여자들은 긍정적인 사고, 적극적인 자기표현, 적응력, 능동적인 태도, 자발적인 참여 및 대인관계 형성을 갖게 되었다. 또한 자기 개발에 관심을 통해 동기를 유발하고 개발시킴으로서 자신의 의식변화에 대한 자긍심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넷째, 참여자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는 프로그램 과정을 수행하는 능력의 동기가 극대화 되어 자기 내적인 표현하고 자기발전과 기량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기관 복지사와의 면담을 통해 노인들은 무용을 통해 “자신감과 행복감을 얻은 것 같다.”, “타인과의 적응력이 높아지고 이해심이 생긴 것 같다.” 등의 변화들이 있어났다는 의견들을 제시하였다. 참여자들은 무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창작과정에 대한 인식에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바로 실제로 노인들이 기대하는 사회적 참여 및 성취감 고취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노인들이 작품표현이나 창작과정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면 자연스럽게 인식하였고, 창의적 동기나 능동적 참여, 자발적 참여형태를 갖추면서 자기발견의 계기를 마련해주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처럼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변화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지식활용능력배양, 수동적인 태도에서 능동적인 참여 등의 기대효과가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볼 때, 노인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 노인복지관 운영자와 노인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되어져야 하며, 노인을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무용교육프로그램 개선이 전반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의 자발적인 참여 형태를 갖추면서 자기발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연계되어 사회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져야 한다는 새로운 인식이 매우 중요한 과정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 비문해 여성노인의 대안적 문해교육 경험 연구 : <은빛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안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해교육이 ‘국가경쟁력’에 기여하기 위해 또는 무학의 한풀이인 ‘학교 졸업장 찍어내기’ 식의 교육이 아니라, 자신이 사는 동네에서 한글교육과 시민교육, 다양한 소모임 활동 참여경험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이 어우러진 대안적 문해교육의 사례를 알아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문해 여성노인이 <은빛학교>에 참여하는 삶의 맥락은 어떠한가?, 둘째, 비문해 여성노인의 <은빛학교>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이러한 <은빛학교> 참여 경험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연구자는 위의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Y시 소재 <은빛학교>에 3년 이상 학습경험이 있는 비문해 여성노인들이며, 6명을 대상으로 평균 1시간 30분 정도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한글교실의 보조교사로 참여관찰을 하며 면접, 학급문예집, 소모임 활동의 결과물인 영화 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관리팀장, 한글 교사의 면접 및 관련 신문기사, 관련 블로그 등을 보충자료로 활용하였다. 비문해 여성노인의 삶의 맥락은 학습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바꾸게 하는 동력이었다. 비문해 여성노인들의 삶은 ‘나 까막눈인데’, ‘대리만족’, ‘고군분투’로 표현할 수 있다. 그녀들의 삶은 가난-비문해-고통이 계속 돌고 돌지만 모두 부정성만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대리만족을 통한 봉사와 사회참여에 대한 욕구인 긍정성도 나타났고, 이런 욕구가 학습으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문해 여성노인의 <은빛학교> 참여 경험으로 ‘모든 면에서 지식을 얻는 곳’, ‘의기투합’, ‘이건 죽을 때까지 안 잊혀지지’, ‘만족이 없는 배움’으로 나타났다. 모든 면에서 지식을 얻는 곳인 <은빛학교>에서 수평적인 관계인 교사와 합의를 통한 의사결정은 공동체 의식이 만들어지며,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소모임의 쾌거로 이어지고 주변의 인정과 지지를 받는다. 이것은 학습자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이 되며 이런 경험을 통해 계속 <은빛학교>에 참여하길 갈망한다. 비문해 여성노인의 <은빛학교> 참여 경험의 특징으로 기관과 학습자의 견해 차이를 ‘이상과 현실’로 보았고, ‘우월한 사람들’은 비슷한 시기에 들어온 우월한 조건을 갖춘 두 사람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은빛학교>에 참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비문해 여성노인들이 대안적 문해교육 <은빛학교>에서 교육 당사자로 직접 참여한 경험을 연구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평생교육 차원에서 노인의 대안적 문해교육으로 <은빛학교> 사례의 중요성에 대해 알리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ase of community-based alternative literacy education which is combined with art and cultural program, Hangul program, citizenship program, and group activity. This study suppose that the purpose of literacy education for elderly is neither contributing to ‘national competitiveness’ nor ‘overissue the diploma’ as the expression of unschool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ntext of life of the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 <Silver School>? Second, what is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the <Silver School>? Thir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erience in <Silver School>? The case study method is used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ix illiterate elderly women who have three years of learning experience in <Silver School>. An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for an average of one hour and thirty minutes.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s an assistant teacher of the Hangul program. Through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researcher collects data such as interview, the collection of class works, and movies which are the result of group activities. An interview with management team leader and Hangul teacher, the newspaper articles, and blogs are collected as additional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xt of life of the elderly women is the driving force to change their lives through learning. The life of illiterate elderly women could be expressed as ‘I am illiterate’, ‘vicarious satisfaction’, and ‘struggle’. Their lives are the cycle of poverty, illiteracy, pain. However, not all of them are negativities, positive attitudes such as vicarious satisfaction and needs to voluntary 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also appeared. These desires are linked to learning. Second, the experience of illiterate elderly women in <Silver school> could be expressed as ‘a place to get knowledge in every way’, ‘mutual understanding’, ‘this is not forgotten until death’, and ‘learning without satisfaction’. <Siver school>, which is a place to get knowledge in every way, the sense of community is made through the decision-making with teachers. The teachers and the illiterate elderly women are in horizontal relationship. Also, the art and cultural program develop group activities. The achievement of these group activities are established and become an unforgettable memory for learners. These experiences made the learner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Silver School>.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iterate elderly women’s experience in <Silver School>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point of the institution and the learner is seen as ‘ideal and reality’. ‘Superior people’ shows the feature of participation between two people who come <Silver school> at a similar time.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the illiterate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d in alternative literacy education. Second,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Silver school> as an alternative literacy education for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