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한과 북한에 대한 중국인의 정보공유에 관한 연구 : 포털사이트 바이두 지식검색 중심으로

        마초군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A Research about North and South Korea on Chinese -social Network Baidu MACHAOQU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China and North Korea are recognized as allies due to their shared identity as a socialist regime. North Korea has had many exchanges with China already even before it formalized its official diplomatic ties with i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changed after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o improve the diplomatic ti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both countries engaged in several cooperative partnerships to promote economic, cultural, and other social aspects which eventually led to China’s increasing interest o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long with other forms of online media in the Information Age, has produced a qualitative effect on people’s lifestyle and manner of sharing information. The importance of internet is highly emphasized in this age of information sharing – whereas, most of the information are acquired through the use of search engine sites. In the case of China, Chinese are considered one of the world’s fastest growing number of netizens. Many Chinese acquire needed information through search engine sites and this led to the increasing value of knowledge search services in the society’s economy. With this, it is only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Baidu -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nternet search portal in China. Baidu launched its knowledge search service in 2015 and since then, it has become China’s number 1 portal site – this signifies Baidu’s search service to have great influence. In this research,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s China’s internet knowledge search site Baidu and the results the services produces after searching about North Korea in certain keywords. This study wishes to identify the perceive value of China with regards to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values from the kind of questions and answers acquired through the search.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involving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are found to be abou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government and the information available are only about their leaders. But, it is very rare among Chinese citizens to know how the two Koreans think.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identify what type of information do Chinese exchange in social media and their value towards the North and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information and be of help in advancing the bilateral-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남한과 북한에 대한 중국인들에 정보공유에 관한 연구 -포털사이트 바이두 지식검색 중심으로 마초군 강원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중국은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 체제 이고 동맹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한중 수교 이후 중국과 남북한의 관계는 많이 변화 하였다. 수교 전 북한과 교류가 많지만 지금 중국과 한국은 협력 동반자 이자 경제, 문화, 사회 모든 면에서 관계를 증진시켜왔고 중국이 한국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증대 시켜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시민사회의 강대한 성장 정보화시대에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과 온라인 매체의 빠른 발전은 국민생활과 정보공유에 질적 변화를 일으켰다. 정보공유에서 인터넷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열린 정보의장으로 지식검색사이트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세계에서 네티즌 수가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 하는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지식검색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지식검색의 사용자수가 큰 폭으로 증가 하였고 지식검색서비스의사회적 경제적 가치도 급속히 높아 졌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최고의 인터넷 검색포털 바이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가 된다. 바이두는 2005년부터 지식검색서비스부분에서 중국에 대표적 포털사이트중 1위의 자리를 얻고 있고 바이두의 직식검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지식검색사이트인 중국 바이두 지식검색을 중심으로 지식검색상에서 남북한 관련된 정보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그리고 검색된 자료를 바탕으로 질문과 답변의 태도를 살펴보고 남북한 정보공유의 특징과 남북한에 대한 중국인들의 생각과 태도를 연구 하고자 한다. 남북한과 중국에 대한 기준 연구는 대부분 중국 공산당과 정부, 그리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중국 시민들은 남북한에 대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드물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 들이 한국과 북한에 대해 어떤 정보를 공유 했는지 한국과 북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갖고 있지를 알아 보고자한다. 또 한중 양국 교류와 정체계선에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는 것은 이 연구의 목표이다.

      • 黃海道·南韓地域 高句麗 石室墓 硏究

        한진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황해도·남한지역 고구려 석실묘에 대한 연구이다. 대동강유역·재령강유역·예성강유역·임진강유역·한강유역에 분포하고 있고 도면이 제시된 석실묘 중에서 고구려적 요소가 남아있는 석실묘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을 토대로 황해도·남한지역 고구려 석실묘의 변천 과정을 파악하고, 석실묘의 유입과 전개 과정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을 설정하기에 앞서 고구려 석실묘의 개념을 확립하기 위하여 고구려 석실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우절각과 장방형의 할석, 삼각고임식 천정뿐만이 아니라 목관의 출토 현황에서도 고구려 석실묘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인 고구려 석실묘는 총 100여기로 황해남도에서는 월정리, 월지리, 판륙리, 금강리, 평정리, 대추리에 분포하고, 황해북도에서는 대청리, 천덕리, 창매리, 송죽리, 장운리, 문화리, 성매리, 산북리, 금옥리, 공포리에 분포하며, 남한지역은 연천 강내리와 신답리, 가평 선천리, 성남 창곡동과 판교동, 용인 보정동과 신갈동, 화성 청계리, 춘천 방동리와 신매리, 천전리, 중도동, 만천리, 군자리, 홍천 역내리와 철정리, 양양 포월리, 충주 두정리와 단월동에 분포한다. 연구대상인 황해도·남한지역 고구려 석실묘의 도면을 통해 ①현실의 평면형태, ②현실 면적, ③연도형태, ④연도편재 등 유의미한 4가지 속성을 추출하였다. 이 중 연도 편재에서는 시간성을 확인하기 어려워 형식분류에 활용하지 않고 석실묘 축조의 경향성만을 확인하는 과정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현실 면적은 시간적 요소와 함께 위계적 요소도 반영되었던 속성으로 판단하여 현실 면적을 형식분류에 우선적인 속성보다는 형식 내의 세분하는 정도로 활용하였다. 현실의 평면형태와 연도형태는 시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 형식분류의 우선적인 속성으로 활용하였다. 형식분류로 황해도·남한지역 고구려 석실묘를 총 8가지 형식으로 분류하였으며, 순서배열과 현실의 평면형태와 연도형태의 시간성을 통해 일정한 형식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즉, 현실의 평면형태는 세장방형→장방형→방형으로 변화하고, 연도형태는 무연도형→Ⅰ자형→연도 시설형으로 변화하였다. 형식분류 상 8가지 형식에 대해 시기를 설정한 이후, 사료적으로나 무덤 내 변화 과정에서의 획기를 통해 단계를 설정하였다. 전축묘 축조의 단절과 덕흥리 벽화묘, 평양 사민 기사를 바탕으로 408년을 기준으로 1단계와 2단계를 분류하였다. 벽화묘의 변화 과정 상 현실의 평면형태가 방형으로 일원화가 되는 6세기 초·중엽을 기준으로 하여 2단계와 3단계로 분류하였다. 이후 단계마다 황해도·남한지역 고구려 석실묘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다. 황해도·남한지역에서는 고구려가 처음 점령한 이후로 석실묘가 축조되는 경향을 보인다. 초기의 석실묘는 횡구식 석실묘로 석실에서 연도의 조성이 보편적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석실묘는 연도가 조성되면서 Ⅱ형식이 등장한다. 이른바 횡혈식 석실묘가 황해도·남한지역에서 등장하기 시작하지만, Ⅰ형식의 평면형태를 답습하는 모습을 보인다. Ⅲ-1형식의 석실묘도 석실묘에서는 현실의 평면형태가 장방형으로 변화하기는 하나 현실면적은 여전히 소형인 점은 공통적이다. Ⅰ·Ⅱ형식의 석실묘 내부에서 관대가 1기 확인되기도 하며, 강내리 4호묘의 목관 복원도에서도 목관 1기가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1단계에서는 1인장이 우세했던 것으로 보인다. 2단계에서는 중형과 대형인 석실묘가 등장하기도 하며, 연도 시설형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현실의 평면형태는 장방형과 방형으로 조성되었으며, 방형의 평면형태를 가진 석실묘는 현실 면적이 대형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시기에서는 관대 2기가 축조되거나 군자리에서 사체 2기가 확인되면서 횡혈식 장법인 추가장이 직접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전 단계의 묘제와는 다른 경향성이며, 다른 장송의례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3단계에서는 현실의 평면형태가 방형이고, 현실 면적이 중형인 석실묘만이 축조되었다. 이는 벽화묘의 변화 과정이나 평양지역 무벽화 석실묘의 변화 과정과 일치하는 것으로 평양·집안지역과 동일한 묘제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벽화묘의 현실 면적이 대형인 것에 비하여 3단계의 석실묘는 중형으로 다른 점이 보인다. 황해도지역 Ⅰ형식 석실묘는 얇은 대형할석을 이용한 벽체 조성법, 현실 면적, 평면형태에서 유사한 점이 있는 요동지역 묘제에서 기원된 것으로 보인다. 벽체 조성법이 일반적인 고구려 석실묘 벽체 조성법과 다르기 때문이 요동지역에서 기원된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고구려 중앙지역에서도 요동지역과 유사한 벽체 조성법이 확인되며, 동일한 매장방식이 고구려 중앙 묘제에서 확인된 것을 보면, 유입 과정에 있어서는 고구려 중앙지역을 거쳐서 유입되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남한지역 석실묘는 대체로 2단계에 주로 축조되는데, 이전 단계와 동일 단계의 황해도지역 석실묘 특징이 확인된다. 이는 현실 면적이 황해도지역에서는 1단계, 남한지역에서는 2단계에 주로 축조되고, 2단계의 황해도지역에서는 대형 석실묘가 출현하였던 점을 볼 때, 지역적 위상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paper is a study about the stone chamber tombs of Goguryeo in the Hwanghae-do and South Korea regions. Out of the stone chamber tombs dispersed across the Daedong River basin, the Jaeryeong River basin, the Yeseong River basin, the Imjin River basin, and the Han River basin, in addition to the stone chamber tombs depicted on blueprints, those with Goguryeo-like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these research subjects, the study identified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he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in the Hwanghae-do and South Korea regions and their significance. Prior to establishing the research subjects,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hat a Goguryeo stone chamber tomb is. Current excavations of corner cut angles, rectangular broken stones, and ceilings with triangular supports as well as wooden coffins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Goguryeo stone chamber tombs—the subject of the study—number over 100, and these are dispersed across Woljeong-ri, Wolji-ri, Panryuk-ri, Geumgang-ri, Pyeongjeong-ri, and Daechu-ri in Hwanghaenam-do, as well as Daecheong-ri, Cheondeok-ri, Changmae-ri, Songjuk-ri, Jaun-ri, Munhwa-ri, Seongmae-ri, Sanbuk-ri, Geumok-ri, and Gongpo-ri in Hwanghaebuk-do. In South Korea, they are dispersed across Gangnae-ri and Sindap-ri in Yeoncheon, Seoncheon-ri in Gapyeong, Changgok-dong and Pangyo-dong in Seongnam, Bojeong-dong and Singal-dong in Yongin, Cheonggye-ri in Hwaseong, Bangdong-ri, Sinmae-ri, Cheonjeon-ri, Jungdo-dong, Mancheon-ri, Gunja-ri in Chuncheon, Yeongnae-ri and Cheoljeong-ri in Hongcheon, Powol-ri in Yangyang, and Dujeong-ri and Danwol-dong in Chungju. By using the blueprints of stone chamber tombs in the Hwanghae-do and South Korea regions, researchers were able to extract 4 significant properties—① the plane shape of the main chamber, ② the surface area of the main chamber, ③ the shape of the tomb entrance passage ④ the ubiquity of the tomb entrance passage. In particular, due to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temporality in terms of the ubiquity of tomb entrance passages, the study only used this property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trend of stone chamber tomb construction and not for classifying type. As the surface area of the main chamber was determined to be a property that reflects both temporal elements and hierarchical elements, it was used to subcategorize types rather than as an overriding property for the classification of type. Because the plane shape of the main chamber and the shape of the tomb entrance passage appear to possess temporality, they were used as overriding properties for classifying type. In terms of classification of type, the study was able to classify 8 different types of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in the Hwanghae-do and South Korea regions. By using temporality in connection with order of arrangement, the plane shape of the main chamber, and the shape of the tomb entrance passage, the study identified orderly changes in type. In short, the plan shape of the main chamber underwent changes from an elongated-rectangular shape→rectangular shape→square shape, while the shape of the tomb entrance passage changed from no tomb entrance passage→I-shaped passage→tomb entrance passage with facilities. Due to the rarity of artifacts excavated from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and the difficulty of actually observing these sites on account of their main range of distribution, it is impossible to chronologically record tombs using the present data.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he stone tombs by setting approximate periods for the 8 different types. After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in Hwanghae-do and South Korea was confirmed. The study confirmed distribution patterns using blank maps for each phase. Consequently, the study found the construction of tombs during phase 1 mainly dispersed across the water systems of the Hwanghae-do region, while during phase 2, large-scale stone chamber tombs were found in the Hwanghae-do region and small-scale stone chamber tombs in the South Korea region. For phase 3, the study confirmed the construction of tombs only in the Jaeryeong River basin area in the entire Hwanghae-do region. The Hwanghae-do and South Korea regions reveal a trend of stone chamber tomb construction after Goguryeo first occupied these regions. Early stone chamber tombs were horizontal entrance-style tombs, and the presence of a tomb entrance passage was not universal. Later, as tomb entrance passages appeared, typeⅡstone chamber tombs emerged. Although the so-called corridor entrance-style stone chamber tombs began appearing in the Hwanghae-do and South Korea regions, they appeared to imitate the plane shape of the typeⅠtomb. Even though the plane shape of the main chamber in the type Ⅲ-1 stone chamber tomb switched to a rectangular shape, the surface area of the main chamber was still small. The study identified one coffin platform inside typeⅠandⅡstone chamber tombs, and a reconstruction sketch of the wooden coffin in the no.4 tomb at Gangnae-ri confirmed a single wooden coffin. In short, it seems like single person burials were dominant during phase 1. During phase 2, medium and large-scale stone chamber tombs appear, and tomb entrance passage facilities also newly appear. The plane shape of the main chamber was built as rectangular and square shapes, and stone chamber tombs with a square-shaped plane were found to have main chambers with large surface areas. Two coffin platforms were built during this period and two bodies were confirmed at the Gunja-ri site, directly confirming the corridor entrance-style burial method, namely, added burial. This is a different trend of burial system from prior phases and is likely to have featured different funeral and burial rituals. The I-type stone chamber tomb in the Hwanghae-do area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tomb of the Liaodong area, which has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reality area, and planar shape using thin large stones. Since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Goguryeo stone chamber tomb wall construction method,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hat it originated in the Liaodong area. However, a wall construction method similar to that of the Liaodong area was confirmed in the central area of Goguryeo, and the same burial method was confirmed in the central tomb of Goguryeo, so it is believed that the inflow process passed through the central area of Goguryeo. Stone chamber tomb Shrine in South Korea is generally built in the second s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Shrine in Hwanghae-do area in the same stage as the previous stage are confirmed.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changes in regional status, given that the actual area was mainly built in the first stage in the Hwanghae-do area and the second stage in the South, and large stone chamber tombs appeared in the second stage in the Hwanghae-do area.

      • 탈북자에 대한 내국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심양섭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날로 다문화사회가 되어가는 한국 사회에 있어서 내국인(남한주민)의 탈북자 인식이 지니는 사회통합 관련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통일을 앞두고 탈북자를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들이 한국사회의 일부로서 통합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먼저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를 살펴보면, 탈북자 3만 명 시대를 맞으면서 점차 탈북자들의 생계급여 수급률이 감소하고 경제활동 참가율은 증가하는 등 주요 정착지표들은 개선되고 있으나 사회통합의 더 높은 단계인 기회평등과 소속감, 유대관계 심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탈북자 사회통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국인의 탈북자 인식 개선이 절실하다. 탈북자를 포함한 북한주민에 대한 남한주민 인식이 개선되지 않으면 통일 후 남북한 주민통합의 앞날도 험난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수용국 주민 인식에 관한 이론적 시각을 살펴보고, 이어 국내외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탈북자에 대한 남한주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결정하였다. 우선 정치적 요인으로는 대북인식과 대북정책 평가, 경제적 요인으로는 국가경제 전망과 경제상황 만족도 그리고 통일이익 기대, 문화적 요인으로는 국민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그리고 탈북자 접촉 경험,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성별과 세대 그리고 학력이 남한주민 탈북자 인식에 영향을 준다. 문화적 요인 중에서 국민정체성은 다시 민족적 정체성과 시민적 정체성으로 나뉘며, 다문화 수용성은 반다문화 정서로도 표출되면서 정치적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이 남한주민 탈북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그 영향력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한다. 다음으로 남한주민 탈북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남한주민 탈북자 인식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면, 첫째, 정치적 요인과 관련하여 남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정부 대북정책의 하위범주라고 할 수 있는 정부의 탈북자 정착 지원정책에 대한 비판이 점차 증대되어 가고 있다. 둘째, 경제적 요인과 관련하여서는 탈북자 유입 증가로 인한 한국사회의 경제적 부담을 우려하면서 대한민국 입국을 희망하는 탈북자에 대한 무조건 수용론에서 제한적·선별적 수용론으로 바뀌고 있다. 셋째, 문화적 요인과 관련하여 남한주민들은 탈북자 인식에 있어서 이중성을 드러낸다. 규범적으로는 탈북자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지만 현실적으로는 북한이라는 가난한 나라에서 오는 탈북자들에게 친밀감을 느끼지도 못하는 것이다. 넷째, 문화적 요인과 관련하여 남한주민들은 탈북자와의 관계 형성을 꺼리는 사회적 거리감도 상당히 드러낸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관련하여서는 여성일수록, 젊은 세대일수록 탈북자에 대한 호감도가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탈북자 수용에 소극적이다. 젊은 세대의 탈북자에 대한 낮은 호감도는 향후 정부 탈북자 지원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으므로 원인 규명과 함께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러한 남한주민 탈북자 인식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정부의 탈북자 정착 지원정책에 대한 비판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지금까지 경제적 지원에 맞추었던 탈북자 정책의 초점을 남북한 주민 통합으로 이동하는 근본적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한국 사회에서 반다문화정서가 고조되는 가운데 탈북자 특별지원에 대한 거부감도 커지고 있으므로 그러한 국민여론을 반영하는 동시에 탈북자 3만 시대에도 걸맞은 사회통합지향적인 정책으로 완전히 탈바꿈하지 않으면 안 된다. 둘째, 남한주민들의 인식이 탈북자에 대한 무조건 수용론에서 제한적 수용론으로 바뀌고 있으므로 이제부터는 탈북자 유입 증가의 경제적 영향을 정책적 측면에서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남한주민의 탈북자 인식이 이중적이고 남한주민의 탈북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크므로 탈북자 정착 지원정책을 전개함에 있어서 종래 민족적 시각 일변도였던 경향에서 탈피하여 민족적 시각과 다문화주의적 시각을 결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젊은 세대와 여성의 탈북자에 대한 친밀감이 낮고 고학력층은 탈북자 수용에 소극적이므로 이러한 집단을 비롯한 남한주민의 탈북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남북한 출신 주민 간의 상호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경주하여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분단 이후 70여 년간에 걸쳐 심화된 문화적 이질화를 고려하여 탈북자의 언어적응 및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고 남한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하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탈북자를 같은 문화권에서 온 사람들로 생각하여 사회적응의 기초교육을 소홀히 하고 바로 심화교육이나 직업교육으로 넘어가서는 안 된다. 그런 점에서 하나원은 물론이고 하나원 퇴소 후 탈북자를 교육하는 지역사회 하나센터의 탈북자 사회적응 교육프로그램도 재점검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사회적응의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중장기적 안목에서 사회적응의 기초를 튼튼히 하는 가운데 수준 높은 사회통합을 추구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 남한과 북한의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 : 중학교 1학년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이선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남한과 북한의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수학교육에서 변화를 보였으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북한은 중등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 기존에 없던 통계에 관한 내용이 중학교 1학년에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인 남한의 2015 수학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수학과 교수 요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와 통계 영역의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내용 영역 분포와 영역별 학습 요소의 지도 시기와 유무, 단원의 분포 및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둘째로 통계 영역은 단원 구성과 학습 내용 및 전개 과정의 측면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남한과 북한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내용 영역별 분포는 각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등의 다섯 가지 내용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반면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의 지도 시기와 유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지도 유무보다 지도 시기에 따라 내용 요소의 차이를 크게 보였다. 단원분포 및 구성요소를 비교해본 결과,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는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단원 구성요소들을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한은 역량 함양을 강조함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며 대단원의 도입과 마무리에 구성되어 소단원을 제외한 대단원의 비중이 높았으며, 북한은 개념설명 및 정리에 초점을 두어 소단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통계 영역에 따른 단원 구성을 비교해본 결과 남한의 교과서는 2015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 영역 성취기준에 공학적 도구 활용을 추가하면서 ‘공학적 도구를 이용한 자료의 정리’란 소단원이 구성되어 있으나 북한 교과서에서는 공학적 도구의 활용에 관한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통계 단원의 학습 내용 및 전개 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먼저, 학습 소재를 살펴보면 남한 교과서는 단원에서 실생활 소재와 수학 교과 외의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활동별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반면 북한 교과서는 학교 내의 소재를 주로 활용하였다. 수학 용어를 살펴보면 남한은 ‘히스토그램’과 같이 외래어를 함께 사용하는 반면 북한은 이를 ‘빈도수분포기둥도표’이라고 표현하여 우리말을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자료수집 상황은 남한 교과서는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정리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북한 교과서는 남한보다 자료수집 상황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통계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다양한 상황의 과제를 제시하는 남한 교과서가 북한 교과서보다 두 배 이상의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 전개 과정에서는 남한은 ‘개념 열기’를 통해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후 주요 용어나 학습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며 각각의 과제가 독립적인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북한 교과서는 용어 설명과 ‘생각하기’, ‘해보기’ 가 정해진 순서 없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입 부분에 제시된 문제가 전개 정리 단계에서까지 계속 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맥락 속에서 각각의 상황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1900년대 남한산성 마을 배치의 복원에 관한 연구

        권준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Sanseong-ni Village in Namhansanseong (mountain fortress) was a new town planned to defend the south capital city of Joseon Dynasty through Momin policy (promotion of inhabitation) an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town where there was Haengung (the temporary palace) with Jongmyo (a royal ancestral shrine) and Sajik (an altar where ritual ceremonies were performed), serving as ‘Bojangji (a place for security)’ in which the king could take a refuge and fight for a long time thanks to its geographical advantage of location near the capital c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served as a base of anti-Japanese movement, so it has historically significant value. In recent years, as the value of Namhansanseong as one of the world heritages has been acknowledged, it was selected as a preferred candidate for UNESCO World Heritage on January 11, 2010 and selected as a preferred candidate for World Heritage through an announcement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n February 8, 2011. Yet, as currently Namhansanseong Village has transformed into an amusement area for tourism, restaurants came in and the appearance of the original village has been lost. Thus, now it is the time to restore the village with a historic value. This study dealt with Sanseongni Village in Namhansanseong and attempted to estimate the plots of Sanseong Village in the 1900s and restore its arrangement using cadastral and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Gwangju-bu Yang-an (Prefecture Land Register) and Jijeok Wondo (Land Registration Map) and photographic documents in Joseon Gojeok Dobo (Illustrated Book of Historical Remains). Chapter 2 looked into the establishment and background of Namhansanseong Village and the processes of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changes through changes in population, government offices and street network and described its overall history. Chapter 3 dealt with individual analyses of such as Gwangju-bu Yang-an, Jijeok Wondo and photographic documents in Joseon Gojeok Dobo. Roofing materials, scale and statistics of Gwangju-bu Yang-an were extracted and the status in Jijeok Wondo by land category; the locations of the plot of government offices were analyzed; the locations of the main government offices through photographic documents in Joseon Gojeok Dobo were analyzed; and the main roads and blocks of the plots were extracted to assign the details of Jijeok Wondo. Chapter 4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Gwangju-bu Yang-an and Jijeok Wondo to estimate the plots of Namhansanseong Village in the 1900s and drew roof framing plans through Gwangju-bu Yang-an, Jijeok Wondo and photographic documents by each plo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stored contents and the current cadastral statu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plots and the roads. Like above, this study attempted to restore the arrangement of Namhansanseong Village in the 1900s based on cadastral materials and literature data, understand the aspect of change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current cadastral maps and present a future direction of its restoration. 남한산성 안에 있는 산성리 마을은 조선시대 도성 이남을 방어하기 위해 모민정책을 통해 계획된 신도시였고, 종묘와 사직을 갖추고 있는 행궁이 있는 행정 군사도시로서 도성 인근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 때문에 유사시 왕이 피신하여 장기간 항전할 수 있는 ‘보장지’의 역할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항일운동의 거점 역할을 하기도 하였던 만큼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남한산성의 세계 유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1월 11일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우선추진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2월 8일 문화재청 발표를 통해 남한산성은 세계문화유산 우선추진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남한산성 산성리 마을은 관광 목적의 위락공간으로서 변모하여 음식점이 들어서고 본래의 마을 모습은 상실한 상태이다. 따라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남한산성 마을의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남한산성의 산성리 마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광주부양안과 지적원도, 조선고적도보 사진자료 등 지적자료와 사료 등을 이용하여 1900년대의 산성마을의 필지를 추정하고 마을 배치를 복원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남한산성 마을의 발생과 배경을 알아보고, 인구의 변화, 관아의 변화 가로망의 변화의 관점으로 시대적 변화과정을 알아보며, 남한산성 마을의 일반론을 전개하였다. 3장에서는 광주부양안과 지적원도, 조선고적도보의 사진자료의 개별적 분석을 다루었다. 광주부양안에서 지붕재료와 규모 및 통계를 추출하고, 지적원도에서 지목별 현황과 관아의 필지 위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조선고적도보 사진자료를 내에 주요 관아 위치 파악과 더불어 주요 도로와 필지 구획을 추출하여 지적원도의 내용을 대입하였다. 4장에서는 광주부양안과 지적원도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1900년대 남한산성 마을의 필지를 추정하였고, 광주부양안과 지적원도, 사진자료를 통해 각 필지별 지붕 평면을 도출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복원된 내용과 현재의 지적을 비교 분석하여 필지변화와 도로변화를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지적자료와 문헌자료를 토대로 1900년대의 남한산성 마을의 배치를 복원함과 더불어 현재 지적도와 비교를 통해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南韓과 北韓의 經濟協力과 産業財産權 相互 保護方案 硏究 : 컴퓨터게임(Computer Game)關聯 技術分野를 中心으로

        문인찬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情報通信(IT) 技術分野는 南韓과 北韓의 경제협력 분야로서 南韓과 北韓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실제로 이 분야에서 적지 않은 경제협력 프로젝트가 수행되었고 지금도 수행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게임 관련 산업은 정보통신 기술과 사이버 문화가 접목되는 분야로서 21세기를 주도하는 산업이 될 것이다. 이 분야에서 北韓의 고급 전산인력 (프로그래머)들과 기반 기술, 南韓의 기술력과 자본, 세계시장에 대한 마케팅 노하우 그리고 南北韓의 문화자산이 결합된다면 놀라운 시너지 효과가 창출되리라고 본다. 南韓과 北韓의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여러 방면으로 제반 여건이 성숙되어야 한다. 특허권(Patent) 등의 산업재산권(Industrial property)과 컴퓨터프로그램(Computer program)과 데이터베이스 (Database) 등 신지식재산권(New intellectual Property)을 종합적으로 상호 보호하는 법적 보호장치는 필수적이라고 본다. 컴퓨터 게임의 콘텐츠(Contents)의 재료가 되는 원저작물과 시나리오 등에 대한 저작권(Copyright) 보호도 예외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南韓과 北韓은 지난 1980년도 비슷한 시기에 산업재산권 보호를 위한 파리협약(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에 각각 가입하였다. 그리고 특허협력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 등 여러 관련 조약 또는 협정에도 주도적으로 가입하였으며 근래에도 가입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는 南韓과 北韓 모두 자신의 권리를 스스로 주장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외국자본의 유치를 통한 국가경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도 산업재산권 등 지식재산권의 국제적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한 터에 이뤄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행보는 국내외적으로 각기 독립국가로서 주권행사의 차원에서 이뤄 놓은 업적으로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파리협약은 외국인을 자국민과 동등하게 산업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이익을 향유토록 하는 내국민대우의 원칙(Principle of national treatment or assimilation)과 각 국에서 부여된 특허는 타국에서 부여된 특허와는 독립적이라는 특허독립의 원칙과 출원순위 및 특허요건의 적용 등에 있어서 시간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일정한 요건 하에 최초 출원일을 각국에서의 출원일로 인정해주는 우선권(Right of priority)의 원칙 등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특허권(Patent), 실용신안권(Utility model). 발명자증(Inventor's certificate) 등 기술관련 산업재산권 분야에서는 이러한 파리협약의 부속 협정으로서 특허협력조약(PCT)이 발효되었고, 특허협력조약은 국제출원 단계를 일정부분 통일화하므로써 동맹국내 다수 국가에 대한 국제출원의 초기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파리협약과 특허협력조약에 근거하여 우선권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최초 출원일로부터 일정기간 (특허의 경우 1년)내에 후속 출원을 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이 北韓의 정치적 특수 상황 등을 감안하여 한반도 내에서의 일정한 유예기간(Grace Period)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南北韓간 산업재산권에 대한 의정서나 특별 협정 등 그 형식은 여러 가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선권 주장기간을 놓친 南韓과 北韓의 산업재산권 중 필요한 부분은 南韓과 北韓 상호간 인정해 줄 수 잇을 것이다. 南韓과 北韓의 경제협력의 산물로서 새로이 창출되는 산업재산권에 대한 보호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산업재산권과 신지식재산권 그리고 저작권까지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을 입법, 행정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南韓과 北韓 모두 필요하며 이들 시스템과 통합을 일구어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南北韓간 현재 수행되고 있는 경협 프로젝트는 대부분 중국이나 일본을 통한 우회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南韓과 北韓에 돌아 가야할 이익의 일정부분 손실을 제3국에 할애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궁극적인 경협 모델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한반도 또 요소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공통의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은 경협을 위한 최대 장점이라 할 것이다. 이제, 정치적인 이데올로기 보다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南韓과 北韓의 경제협력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수행하여야 할 때이다. 이를 위해, 南韓과 北韓은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상호 미비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 펼쳐지는 무한한 기회와 가능성 앞에 함께 손잡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즉, 산업재산권 보호 시스템은 이러한 경제협력과 경제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정보통신혁명시대에 특히 컴퓨터 게임 관련 기술과 관련 산업은 세계시장을 상대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경협과제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intereste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s the field of their economic cooperation. Presently, quite a few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had been carried out and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area. Especially, the computer game related industry is the field where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yber culture are integrated into each other, and it will be the leading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If North Korea's high class programmers and foundational technology; South Korea's technological advancement, sufficient capital resources and marketing know-hows; and cultural assets of both Koreas integrate, then tremendous amount of synergy effects will be created. In order for South and North Koreas to economically cooperate with each other, various conditions have to develop.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have legal protection system to protect industri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 right; and New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computer program and database. etc. Moreover, protection for copyrights of original works and scenarios for computer contents cannot be an exception. In 1980, both Koreas joined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to protect Industrial Property Rights. And they have joined several other related treaties such as Patent Cooperation Treaty and various others and they still are joining more treaties. These processes are established by both Koreas under the realization of the need for international protection like Industrial Property Rights and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such achievements are accomplished by sovereignties of both Koreas as independent nations. The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Rights adopted principle of national treatment or assimilation which protects industrial property rights of foreigners in the same way and level as their citizens, and it also adopted principle of Patent Independence that makes domestic patents independent from patents given by foreign countries. Furthermore, they adopted priority right system, which approves the first application date is also the application date in other counties, to prevent any time related drawbacks on application order as well as application of patent requirements. Especially, areas of technology related Industrial property right like patent, utility model and inventor's certificate, took Patent Cooperation Treaty (PCT) into an effect as affiliating agreements of the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Paris convention). The PCT makes international application in ally nations easier by unifying certain parts on the international application level. Among Industrial Property Rights related international treaties, there exists the Patent Law Trea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ests in this treaty as the result of international efforts to unify Patent System of each nation, even though it is yet to be taken into effect, Because it [이후부분누락] However, there is a restriction that forces succeeding application to must come out within certain time period after the first application date (1 year [이후부분누락] Treaty. It will not be easy to claim international exception in such restri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lan to allow additional period to South and North Korea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ir [이후부분누락]agreement. Through this. South and North Koreas can approve certain necessary [이후부분누락]industrial property right as a product of South and Nor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must carefully assured. Also, in long-term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for both Koreas to have system that can administrate Industrial property right, new intellectual [이후부분누락]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carrying out by both Koreas in these days. mostly uses roundabout method through China and Japan. This is a practical plan but it cannot be the ultimate model for economic cooperation because both Koreas must suffer losses in certain parts. In a long-term point of view, plans to carry out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in the Korean peninsula or islands surrounding the peninsula must be made. Nowadays. South and North Koreas share more technical and cultural similarities than any other countries. Moreover, speaking same language is the biggest advantage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Now. it is time to examine and conduct South and Nor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in an economic view rather than political ideology. To do that. two Koreas must strive forward with infinite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in cyber space through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by fixing inadequate points and maximizing advantages on trust basis. That means, on top of the economic cooperation and economic growth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Right Protection, both Koreas should find ways to make profits. Computer Game technology related industry will bring such profits.

      • 남한산성 여장 축조기법의 특성과 보수기법 고찰

        박천범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남한산성은 경기도 광주시와 성남시 하남시를 아우르는 총 둘레 약 11.7Km의 성곽이다. 북한산성(北漢山城)과 더불어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 중의 하나로 조선시대 1626년(인조 4년)에 완공하여 방어시설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삼국시대 백제 온조왕대의 초축설(初築設)이 있으나 문헌자료만이 바탕이 될 뿐 실질적인 백제시기의 축성 흔적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 발굴조사와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축성한 주장성(晝長城)이 남한산성이었을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어 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남한산성은 크게 원성과 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성은 주변 봉우리를 연결하는 성벽이며 외성은 원성에 붙은 곳의 성벽을 말한다. 외성은 동북 모서리의 봉암성, 동쪽의 한봉성, 남쪽의 신남성이 있다. 원성은 1624년(인조2)에 개축을 시작하여 1626년(인조4)에 완성하였으나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증·개축을 해왔다. 외성은 이 보다 후에 증축하였는데 봉암성은 1686년(숙종12), 한봉성은 1693년(숙종19), 신남성동돈대는 1719년(숙종45), 신남성서돈대는 1753년(영조29)에 각각 쌓았다. 남한산성은 이후 여러 번 보수 및 개축의 과정을 거치며 산성의 기능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근대시기를 거치면서 산성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었고, 그 후 더 이상 보수 및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체성과 여장이 붕괴되었다. 이 후 문화재보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보수․정비사업이 실시되었으나 산간지대에 위치한 환경적인 특성으로 인해 전돌과 전돌 사이에 사용된 축성재료인 사춤재가 심하게 손상되었으며, 전돌의 침하, 탈락 및 부분적인 붕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근래에 복원 된 여장은 문화재보수용 전돌이 사용되었으나 전통 전돌과는 색상 및 입도에서 현저히 차이가 나며, 수분의 동결로 인한 파괴 현상이 발생하였다. 축성재료인 사춤재의 경우에도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빠르게 내구성이 저하되어 탈락과 붕괴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성곽 및 여장의 부분적인 보수가 단기적으로 재 발생되었다. 그 중 원형보존구간의 여장은 조선시대에 축조된 여장이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으로 원성구간의 80년대 이후 보수 구간의 여장과 상대적으로 손상정도가 빈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로 원형보존구간에 형태가 잘 남아있는 여장을 중심으로 여장의 축조유형과 특징을 찾는데 주력하였고, 봉암성 구간에 가장 일반적인 여장의 형태이자 보존 상태가 양호한 여장을 몇 군데 찾아내 실측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여장은 크기와 모양이 일정하지 않고, 지형과 용도에 따라 여장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재료는 대부분 유사하지만 타 유적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문헌조사 결과, 여장의 재료는 남한산성 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석을 전돌과 적절히 혼용하여 축조하였으며, 전돌과 석재 사이의 사춤재는 대부분 강회와 흙, 잡석의 혼합재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원성구간의 보수연혁이 있는 여장은 성문과 원성 평지에 사용된 평여장과 경사 여장이 있으며, 일반적인 쌓기 방법은 대부분 유사하나 부분별로 쌓기 방법과 사용 재료가 각기 다른 여장이 있다. 그 결과 붕괴현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산성 여장의 축조 기법을 규명하고 보수기법을 고찰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한 과거 축조부위를 도면과 사진자료로 기록하고, 조사된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여장의 손상요인을 파악한다. 또한 여장의 축조 기법을 조선시대 원형여장과 80년대 이후 보수연대별 여장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남한산성 여장의 축조기법을 정리하여 여장 손상요인과 보수 기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그리고 남한산성의 효율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한다.

      • 남한의 정치변동에 대한 북한의 반응 연구

        이영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has its main purpose on North Korea's response toward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It is like to give consideration how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has influenced on North Korea's politics. For its analysis, 4·19 Revolution and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5·16 Coup d'etat and October Yushin have been used as examples of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respectively. It would find an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and North Korea's responses by analysing these selected cases. First, during 4·19 Revolution period, North Korea reorganized against to South Korea sabotage organization, shortly provided a proposal of the transitional federalism to South Korean government, and actively engaged in South-North student conference. Furthermore, the emphasized revolutionary capability on South Korea caused some modification of its revolution line and sought to construct the underground party in South Korea. Second, after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North Korean government suddenly stopped ongoing South-North talks and instead provided a reunification plan as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Koryo. In addition to that, Pyongyang planned a rise of anti-American movement in combination of 5·18 and anti-American sentiment and strived for strengthening the united front toward South Korea. Right after 5·16 coup de'tat, North Korea reorganized against to South Korea sabotage organization again, gave careful consideration of postponing ‘The First 7 Year Plan of People's Economic Development, and virtually approved defense and economic translational line Parallel Policy for Defense and Economy as the security threat had been raised. Pyongyang took concrete shape to ‘South Korea Revolution Theory’ in expectation of the empowerment of revolutionary capabilities on South Korea and at the same time, started its plan on building up the underground party in South Korea. Third, affected the amendment of North Korea's Socialist Constitution and decreased inducement of ongoing South-North talks. October Yushin also provided a momentum to have U.S.-North Korea contacts leading for official U.S.-North Korea talks. To sum up, this thesis is mainly looking into North Korea's response in several dimensions. First, North Koreas responses toward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were categorized into statement response and policy-institutional response, and then these were also classified into domestic, against to South Korea, international respons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ind a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and North Korea's responses. Nonetheless, North Korea's responses are not so sensitive to the "pattern" of political changes in South Korea. That is, North Korea's responses were not only influenced by South Korea's political changes but comprehensively considered awareness of South Korea, domestic affairs,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남한의 정치변동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분단체제하 남한에서 일어난 정치변동이 북한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서 남한의 정치변동 사례로 민주화운동에 해당하는 4·19혁명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그리고 권위주의정권 등장에 해당하는 5·16쿠데타와 10월유신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남한의 정치변동과 북한 반응 간의 연관성을 추적해보았다. 먼저 4·19혁명 시기 북한은 대남조직기구를 개편하고, 이어 과도적 연방제를 남한에 제의하였으며, 남북학생회담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아울러 대남 혁명역량이 강조되어 혁명노선의 수정을 야기하였으며, 남한 내 지하당 구축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겪은 후 북한은 당시 진행 중이던 남북대화를 중단시키고,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통일방안을 남한에 제의하였다. 또 북한은 5·18과 반미의식을 결합하여 반미운동의 고조를 꾀하였으며, 대남 통일전선을 강화를 시도한다. 5·16쿠데타 직후 북한은 대남조직기구를 개편하고, ‘인민경제발전 1차 7개년계획’을 연기할 것을 검토하였으며, 안보위협이 고조되자 국방·경제병진노선을 ‘사실상’ 채택한다. 그리고 남한 혁명역량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남조선혁명론’을 구체화시키기 시작했으며, 더불어 남한 내 지하당 구축을 본격화했다. 이어서 10월유신은 북한의 사회주의헌법 개정을 추동하였으며, 당시 진행 중이던 남북대화의 유인을 감소시켰다. 또한 미국과 직접대화를 위해 북미접촉을 시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남한 정치변동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언술적 반응과 정책·제도적 반응으로 분류하고, 이를 재차 대내, 대남, 대외로 구분하여 북한의 반응을 여러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정치변동과 북한의 반응 간의 상당한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반응은 언술적 대응과 정책·제도적 대응을 불문하고 남한 정치변동의 ‘유형’에 따라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북한의 반응은 남한의 정치변동이 북한에 가져다준 자극에 더하여 북한이 대남인식, 국내사정, 국제환경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반응이라는 형태로 표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조선시대 행궁의 역사와 풍수론 연구 : 남한산성행궁을 중심으로

        빈경민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남한산성행궁을 중심으로 행궁의 역사와 풍수지리적 연구를 통해 조선 시대 행궁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고찰하는 데 있다. 남한산성행궁은 유사시 왕의 보장지로 건축되었지만, 평시에는 유수가 그 지방을 관리하였던 다목적 행궁이다. 최근까지 인근 도시민의 휴식처나 식당가로 인식되었지만, 남한산성은 백제,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까지 국가의 전략적 요충지였고 적의 침입 시 한 번도 패한 적이 없는 천혜의 요새였다. 특히 산성 내에는 행궁과 함께 조상의 신주를 모실 수 있도록 좌전과 우실을 갖추고 있어 왕이 머물 때 조상도 함께 모시어 국가 정사를 계속할 수 있는 보장지 역할을 하였고 평상시에는 정2품 유수가 지역을 관리할 정도로 국가 통치 차원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남한산성행궁은 인조 때 청나라와 긴장이 고조되고 이괄의 난을 겪은 후 남한산성 축성과 함께 축조되었다. 이후로도 숙종, 영조, 정조 등 여러 왕대에 걸쳐 증⦁개축을 하며 관리되어왔지만 일제 강점기에 광주부 읍치를 경안으로 이전하면서 행궁과 관아건물은 그 용도를 잃게 되었고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 현재의 행궁 건물은 1990년대 들어 국가유적지로서 남한산성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행궁터의 정비와 행궁의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고 2011년까지 내행전, 외행전, 좌전, 한남루 등 주요건물을 복원하였다. 이런 노력으로 2014년 6월 우리나라에서 11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약용은『민보의(民堡議)』에서 산성을 축성하는데 제일 좋은 입지조건으로 사면이 높은 봉우리이고 가운데 오목하니 파여 있는 고로봉 형이 최고라 하였는데 남한산성이 이와 같다 하였다. 이렇게 나성(羅城)형으로 둘러싼 보국 안의 남한산성행궁은 검단지맥의 근간을 이루는 청량산의 주봉에서 내려오는 주맥 선상에 위치하여 청량산의 강한 기운을 받고 있다. 『금낭경(錦囊經)』에 “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진다.”라고 하는데 고로봉 형의 보국 안에 있는 남한산성행궁은 현무, 청룡, 백호, 주작이 기가 흩어지지 않도록 훌륭한 역할을 하는 용진혈적(龍眞穴的) 자리라고 할 수 있다. 남한산성행궁 내 건물 중 신좌을향으로 자리한 외행전의 자리를 살펴보면 음래양수(陰來陽收)의 기울기 변화와 신입수한 용맥 중 가장 넓은 터와 외삼문 근처에서 용맥이 끝남을 알리는 전순을 근거로 보아 혈의 결지는 외행전에 자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 또한 분지 내 여러 곳에서 나와 한 곳으로 모여 나가는 다득일파(多得一破) 형국에 서출동류로 빠져나가 길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3요소인 배산임수와 전저후고, 전착후관 측면에서 보아도 모두 원칙에 부합한다. 음양오행의 조화를 중시하는 이기론적으로 검토하면 팔십팔향법은 정묘향(正墓向)으로 길격이고 사국수법은 왕궁(旺宮)에서 득수하고 절궁(絶宮)으로 파구하는 길격이다. 선천산법은 입수룡이 탐랑(貪狼)으로 길격이고 사국용법은 신입수룡이 관대룡(冠帶龍)으로 길격에 해당한다. 남한산성행궁 축조 당시에 직접적인 풍수적 검토기록을 찾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축조 당시 시대적으로 급박한 상황으로 풍수적 검토가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점검해 본 결과 남한산성행궁은 매우 좋은 자리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축조 당시의 풍수적 검토기록의 유무를 떠나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삶의 터전을 정하는 조상들의 지혜를 볼 수 있는 점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삼전도의 치욕으로 기억되던 남한산성이 이제 남한산성행궁의 생기를 받아 품격 있고 사랑받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남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남한산성, 남한산성행궁, 행궁, 풍수, 풍수지리, 세계문화유산

      • 남한산성 역사주제공원 개발방안연구

        강나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o achieve the purpose of developing a historical theme park, this paper focuses on three processes. First, build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Namhansansung theme park with the contribution of government publications, government documents related to theme park, and Namhansansung text books. Second, analyzing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it through the conduction of case study of some historic places like Korean Folk Village, Naganeupseong Folk Village, Haemiupseong, Suwonhwaseong, Hyoseok Folk Village and finally, based on the case study, developing Nanhansansung provincial park to Namhansansung theme park. Namhansansung is the best place to become a historical theme park. Some of the reasons are: First of all, it has a lot of history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e studied, therefore it has a potential to become a very popular place where people can learn more about Korean history. Second, it is conveniently located so people will get to it easily. Third, it is surrounded by valleys where people can relax and forget about their daily problems. As soon as people step on Namhansansung, they will be immersed in the past by looking at Joseon Dynasty period's style buildings. These are enough reasons to develop a historical theme park in Namhansansung. Conduct case studies of some historic places like Korean Folk Village for facilities and experiencing programs, Naganeupseong Folk Village for facilities, Haemiupseong for historic programs, Suwonhwaseong for facilities, historic programs and residents, and Hyoseok Folk Village for residents. Based on that, Develop Nanhansansung provincial park to Namhansansung historic theme park. Everytime I visit there, it is hard to know whether Namhansansung is a historical place or not. Except for some Cultural assets, Namhansansung cannot be described as an antique and rich of history place. Therefore, it is paramount that we keep restoring cultural assets and designing public facilities that match the history of Namhansansung. Besides that, create some new, historic and creative programs such as the 3E2G- Education, Eating, Entertainment, Getting and Grazing. Education- Study through the academy. Eating- Baeksuk-a chicken boiled with rice- is famous in Namhansansung, so try to make the food better and nice at Namhansansung restaurants. Entertainment- Learn through experience and organize new festival like "Chicken Festival". Getting- to remember this historical theme park, sell souvenirs that are designs of special characters or principal products of Namhansansung. Grazing- Play the ceremony of changing a chief of gatekeepers, Martial art in front of yeunmoogwan, and Madanggeuk and Musical like the creative musical "Namhansans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