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中고교 남자축구선수의 精神力 比較

        최성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정신력 각 하위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한·중 고등학교 축구선수 총 47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Loehr에 의해 개발한 정신력 측정 설문지 MTT(Mental Toughness Test)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자신감 요인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각성수준 조절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셋째, 한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시각화 및 심상조절능력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넷째, 한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주의 조절능력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다섯째, 한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동기유발 수준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여섯째, 한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일곱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남자축구선수들은 정신력하위요인인 태도조절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mental toughness between KOREA/CHINES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s were 202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and 273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CHINESE. The mental toughness was measured by MTT(Mental Toughness Tess) which was developed by Loehr(l982).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were strong than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CHINES in Self-confidence. Second, th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and CHINESE were resembled in Arousal Control. Third, th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were strong than CHINESE in Attention Control. Fourth, th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were strong than CHINESE in Visualization and Imagery Control. Fifth, th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were strong than CHINESE in Motivation. Sixth, th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of KOREA were strong than CHINESE in Positive Energy. Seventh, there were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Attitude Control between KOREA and CHINESE male high school soccer players.

      • 축구동호회 참여와 프로축구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관계

        안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동호회 참여와 성별에 따른 프로축구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여 축구 관람행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축구동호회 동호인, 일반인들 중 2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미 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22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빈도분석, 일변량 분산분석, 공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연령에 따른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차이는 성별과 연령에서 모두 경기상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서 남자 집단과 여자 집단 모두 40대가 경기상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동호회 참여여부에 따른 관람요인 및 관람 후 행동의 차이에서 남자 집단은 관람비용, 시설환경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참여자가 참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여자 집단은 관람 후 행동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축구 관람행동에 있어서 경기상황이 다시 관람하고자 하는 관람 후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프로축구의 경기력, 스타플레이어 등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축구동호회 동호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프로축구 관람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참여스포츠 증가와 함께 관람스포츠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otball participation and attendance factors of professional football and post-spectating behavior.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individuals who are involved (participants) and not involved (non-participants) in football activity. Among 240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a total of 277 responses were used in the study. SPSS 20.0 Version for windows us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one-way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factor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age. Second, the underlying differences between attendance factors and post-spectating behavior depending on actual participation in football were price and facility factors in men whereas post-spectating behaviors in women. Discussions were provided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 대학남자축구선수의 순발력 발현에 동원되는 하지 근력 특성

        신경준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ABSTRAC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recruited in male soccer players’ power expression in university Shin, Kyoung-Ju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ang, Jee-H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recruited in power expression, and to provide the basal data for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were 35 male soccer players in university.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was measured with isokinetic dynamometer at the angular velocity of 60°/sec. Power was measured with standing long jump and standing vertical jump. As a result, standing long jum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lexion strength in dominant side knee joint and extension strength in non-dominant side knee joint. Standing vertical jum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tension strength in non-dominant side knee joint. Muscular strength in ankle join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anding long jump and standing vertical jump.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uscular strengthening training for the specific muscle recruited in power expression should be included in training program for athletic performance improvement.

      • 10주간 달리기 기반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이 대학 남자 축구선수의 축구기술, 체력 및 표면 근전도에 미치는 영향

        탄청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284

        As the first sport in the world, soccer is a complex and high consumption team sport conducted with interval modes. The college soccer players need to train in limited time together with facing the relatively heavy academic and life pressure. Furthermore, as a branch of interval training, sprint interval training is suitable to provide highest efficiency in a relatively short time with its high training intensity. The study object includes 22 male college soccer players, dividing into training group (11 players) and control group (11 players). The training group conducted twice a week sprint interval training program based on running, while the control group still carried out traditional football physical training with high intensity. The detection contents include: detection of soccer skills, which is divided into loughborough soccer passing test and loughborough soccer shooting test, physical strength detection that includes explosive power, speed, agility, balance, flexibility, aerobic capacity,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ed under the angular velocity of 60°/sec and 240°/sec),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testing the rectus femoris, medial femoral muscle and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during isokinetic test), All detection contents are tested by the same method before and after training. After 10 weeks of sprint interval training, and in the physical strength detection of the training group, Squat increased from 129.09±20.71 to 144.09±16.40, and countermovement jump increased from 36.56±3.35 to 38.09±3.99, as well as squat jump increasing from 34.61±4.42 to 38.39±3.27, modified lllinois change of direction test decreasing from 11.60±0.41 to 11.22±0.48. Besides, the 30 meter sprint test decreased from 4.40±0.08 to 4.33±0.10, and the aerobic capacity index HRMax increased from 192.18±6.94 to 203.36±11.21, as well as HHR increasing from 127.73±10.61 to 139.00±18.12, and increasing from 53.66±4.68 to 58.55±4.47. All data improved. Thus, sprint interval training can improve the explosive power, short-distance sprint speed and aerobic ability of college soccer players. During the detection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under the angular velocity of 60°/sec, the detection results of training group improv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vg. power between dominant leg flexor and extensor & flexor of non-dominant leg. Under the angular velocity of 240°/sec, the avg. power of the dominant leg extensor of the experiment group improv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sides, peak.torque and avg. power of dominant leg flexor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while the fatigue index decreas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Furthermore, peak.torque and avg. power of non-dominant leg flexor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while the fatigue index decreas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Thus, 10 weeks of sprint interval training can improve the lower limb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college soccer players. During the detection of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training group’s iEMG and RMS of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muscle and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improved under the angular velocity of 60°/sec. Among which, MPF and MF of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muscle decreas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and MPF of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also decreas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In addition, under the angular velocity of 240°/sec, iEMG and RMS of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muscle and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improved. Among which, MPF and MF of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muscle decreas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and MF of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also decreas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Therefore, college soccer players can recruit more muscle fibers during muscle contraction after 10 weeks of sprint interval training. Moreover, the time of sports fatigue of college football players can be prolonged. In conclusion, improving the physical strength and muscle strength of college soccer players, as well as improving their soccer skills and reducing training time will become an efficient sports method. Thus, 10 weeks of sprint interval training based on running can become a highly efficient training method for college soccer players to improve their soccer skills and physical strength. 축구는 강한 하지 근력과 체력이 요구되는 단체 스포츠다. 대학 축구선수들은 제한된 훈련 시간 외에 학업과 생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은 인터벌 트레이닝의 한 갈래로 높은 훈련 강도와 총 운동시간이 지구성 트레이닝보다 짧은 특징이 있다. 이 트레이닝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최대 효율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연구 대상은 대학 남자 축구선수 22명으로 훈련집단(11명)과 통제집단(11명)으로 선정하였다. 훈련집단은 주 2회 달리기 기반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높은 강도의 축구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축구기술 검사는 러프버러 축구 패스 검사와 러프버러 축구 슈팅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체력검사는 순발력(벤치 프레스, 스쿼트 및 수직 반동 점프 검사, 스쿼트 점프 검사), 단거리 스프린트 능력(30미터 스프린트 검사), 민첩성(수정된 일리노이 민첩성 검사), 평형성(Y 밸런스 검사), 유연성(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검사), 유산소능력(요요 간헐적 회복 검사 레벨 2), 그리고 등속성 근력(각속도 60°/sec와 각속도240°/sec)과 표면근전도(등속성 검사 시 대퇴직근, 내측광근, 비복근 내측두)를 사용하였다. 모든 검사 내용은 훈련 전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측정 변인은 평균±표준편차(M±SD)로 표기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측정값에 대한 분석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과 종속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for PC(version 28.0)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10주간의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 후 훈련집단의 체력측정 내용 중 바벨 하프 스쿼트(kg)는 129.09±20.71에서 144.09±16.40으로 향상되었다. 수직 반동 점프(cm)는 36.56±3.35에서 38.09±3.99로 향상되었으며, 스쿼드 점프(cm)도 34.61±4.42에서 38.39±3.27로 향상되었다. 일리노이 민첩성 검사(sec)는 11.60±0.41에서 11.22±0.48로 감소하였으며, 30m 스프린트 검사(sec)도 4.40±0.08에서 4.33±0.10으로 감소하였다. 유산소능력 지표인 최대심박수율(bpm)은 192.18±6.94에서 203.36±11.21로 향상되었으며, 여유심박수(bpm)도 127.73±10.61 에서 139.00±18.12로 향상되었고, 최대산소섭취량()은 53.66±4.68에서 58.55±4.47로 향상되었다. 각 항목의 모든 검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은 대학 남자 축구선수들의 순발력, 단거리 스프린트 능력과 유산소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등속성 검사에서는 각속도 60°/sec에서 훈련집단 우성 다리 굴곡근 avg. power(watt) 및 열성 다리 신전근과 굴곡근의 avg. power(watt)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가 240°/sec인 상황에서 훈련집단 우성 다리 신전근 avg. power(watt)과 우성 다리 굴곡근 peak. torque(N⋅m) 및 avg. power(watt)가 향상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Fatigue Index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10주간의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을 통해 대학 남자 축구선수들의 하체 등속 근력이 증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표면근전도검사에서 훈련집단은 각속도 60°/sec에서 대퇴직근, 내측광근, 비복근 내측두의 적분 근전도(iEMG), 평균 제곱근(RMS)이 향상되었다. 대퇴직근, 내측광근의 평균 주파수(MPF), 중앙 주파수(MF)가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복근 내측두의 평균 주파수(MPF)가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각속도가 240°/sec인 경우에서 대퇴직근, 내측광근, 비복근 내측두의 적분 근전도(iEMG), 평균 제곱근(RMS)가 향상되었다. 대퇴직근, 내측광근의 평균 주파수(MPF), 중앙 주파수(MF)가 감소되었으며, 비복근 내측두의 중앙 주파수(MF)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10주간의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은 대학 남자 축구선수들의 근수축 운동 시 근섬유의 동원능력이 향상되고. 운동성 피로를 느끼는 시간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 남자 축구선수의 체력 및 근섬유 동원 능력 향상을 통한 축구기술의 개선과 함께 훈련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달리기 기반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축구선수들에게 효과적인 기술 및 체력 향상 중재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足球作为世界第一运动,是一项以间歇方式进行的复杂且消耗极高的团队运动。大学生足球运动员除了需要在有限训练时间内进行训练以外,还需要面对相对繁重的学业和生活压力。而冲刺间歇训练作为间歇训练的一个分支,具有较高的训练强度,非常适合在相对较短的时间内提供最大效率。研究对象为22名大学生男子足球队员,分为训练组(11名)和对照组(11名)。训练组进行每周两次的基于跑步的冲刺间歇训练计划,对照组依旧进行传统的足球高强度体能训练。检验内柔包括:足球技术检测分为拉夫堡足球通过测试(秒)和拉夫堡足球射门测试(分数),体力检测包括爆发力(卧推、半蹲、反向跳、深蹲跳、1RM)、速度(30米冲刺检测)、敏捷性(改良型伊利诺伊方向变换测试)、平衡性(Y-Balance)、柔韧性(坐体前屈)、有氧能力(YO-YO间歇恢复测试等级2)以及等速肌力(在角速度60°/秒和240°/秒的条件下进行检测)和表面肌电图(在等速测试时对股直肌、股内侧肌、腓肠肌内侧头进行检测)。所有检测内容均是在训练前后通过相同方法进行测试。资料处理方法进行了重复测定二元变量分析和从属t-鉴定。 经过10周的冲刺间歇训练后,训练组体力检测内容中杠铃半蹲(kg)从129.09±20.71提高到了144.09±16.40。反向跳(厘米)从36.56±3.35提高到了38.09±3.99。深蹲跳(厘米)从34.61±4.42提高到了38.39±3.27。改良型伊利诺伊方向变换测试(秒)从11.60±0.41降低到了11.22±0.48,30米冲刺测试(秒)从4.40±0.08降低到了4.33±0.10。有氧能力指标最大心率(bpm)从192.18±6.94提高到了203.36±11.21,心率储备(bpm)从127.73±10.61提高到了139.00±18.12,最大摄氧量从53.66±4.68提高到了58.55±4.47。各项数据均由提高,因此,冲刺间歇训练可以提高大学生足球运动员的爆发力,短距离冲刺速度和有氧能力。 在等速肌力的检测中,在角速度60°/秒情况下,训练组具有提高,其中在优势腿屈肌avg.power(watt)和非优势腿伸肌、屈肌的avg.power(watt)在统计学上出现了明显差异。在角速度240°/秒的情况下实验集团优势腿伸肌avg.power(watt)得到提高,统计上出现了明显的差异。优势腿屈肌peak.torque(N⋅m),avg.power(watt)得到提高,统计上出现了明显的差异,而Fatigue Index则得到下降,统计上出现了明显的差异。非优势腿屈肌的peak.torque(N⋅m), avg.power(watt)得到提高,统计上出现了明显的差异。Fatigue Index得到下降,统计上出现了明显的差异。因此,经过10周的冲刺间歇训练可以提高大学生足球运动员的下肢等速肌肉力量。 在表面肌电图检测中,训练集团在角速度60°/秒情况下股直肌,股二头肌,腓肠肌内侧头的iEMG、RMS得到提高。其中股直肌、股二头肌的MPF、 MF出现下降,统计上出现明显差异。腓肠肌内侧头的MPF出现下降,统计上出现明显差异。在角速度240°/秒的情况下股直肌、股二头肌、腓肠肌内侧头的iEMG,RMS得到提高。其中股直肌、股二头肌的MPF、MF出现下降,统计上出现明显差异。腓肠肌内侧头的MF出现下降,统计上出现明显差异。因此,经过10周的冲刺间歇训练可以使大学生足球运动员在进行肌肉收缩运动时可以募集更多的肌纤维。并且,使大学生足球选手受到运动性疲劳前的时间延长。 综上所述,冲刺间歇训练可以非常有效的提高大学生足球选手的身体素质、肌肉力量,并改善足球技术,减少训练时间。因此,为期10周的以跑步为基础的冲刺间歇训练项目应该成为大学生足球队员作为有效提高足球技术及身体素质的训练内容之一。

      • 중국 남자 중학생의 축구 참여동기와 스포츠가치관이 참여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쉬성후이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271

        중국 남자 중학생의 축구 참여동기와 스포츠가치관이 참여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축구캠프에 참여한 남자 중학생의 참여동기와 스포츠가치관이 참여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중국 남자 중학생들의 축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중국 감숙성에 거주하는 남여 중학생 400명이며 설문지를 통하여 참여동기(24문항), 스포츠가치관(15문항), 참여지속의지(5문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스포츠 가치관, 참여지속의지의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단일요인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참여동기, 스포츠가치관, 참여지속의지 간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peason’s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참여동기와 스포츠가치관이 참여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중학생의 축구캠프 참여여부, 주당 축구 참가빈도, 축구캠프 참가 횟수, 연령, 학년에 따라 참여동기, 스포츠 가치관, 참여지속의지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축구캠프 참여동기, 스포츠가치관, 참여지속의지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축구캠프 참여동기는 참여지속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축구캠프 스포츠 가치관은 참여지속의지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Chines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ootball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ports values on their will to participate in sustain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ports values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hinese football training camps on their sustained will to participat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otball development of Chines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40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ansu Province, China.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ticipation motivation (24 questions), sports values (15 questions), and sustained will to participate (5 questions). The result analysis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values, and sustained will to participate, using independent specimen t-tests and single-factor decentralized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values, and sustained will to participat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ports values on participation sustained w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 in football training camp,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football training every week,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football training camp, age and grade, there are differences in atten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values and sustained will to participate.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values and persis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football summer camp. Third, the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football summer cam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participation. Fourth, the sports valu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otball training camp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participation. Key word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ootball training camp,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values, sustained will to participate

      • 남자 축구선수의 슬관절 신근 및 굴근의 등속성운동 평가 : 중ㆍ고ㆍ대학 선수를 중심으로

        곽권진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evaluate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s and flexors in soccer players, 2) determine if subject's age, height, and body weight have effects on the results. Twenty one soccer players from middle school(13.3±0.5, N=7), high school(17.1±0.4, N=7), and college(22.7±1.0, N=7) were tested. Right foot was dominant foot of all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 CYBEX NORM(770) was used for the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an extensor at all angular velocities(30。/sec, 60。/sec, 120。/sec, and 240。/sec), the college and high school players showed higher peak torque than the middle school players(p<0.001). 2. In case of an extensor at all angular velocities, the college and high school players showed higher % peak torque than the middle school players(p<0.05 or p<0.01). 3. At 120。/sec and 240。/sec, the middle school players showed higher peak torque ratio in antagonists than the other groups(p<0.05 or p<0.01).

      •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남자 대학교 축구선수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원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53

        국문초록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남자 대학교 축구선수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의·과학전공 최 원 혁 지도교수 이 만 균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교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축구선수 18명은 카페인집단(9명)과 위약집단(9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카페인집단의 대상자는 4일의 카페인 섭취 제한 후 사전검사를 받고, 다시 4일의 카페인 섭취 제한 후 실험 1시간 전에 카페인을 섭취한 후 사후검사를 받았다. 위약집단의 대상자는 같은 방법으로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사후검사 전 카페인 대신 위약(cellulose 성분)을 섭취하였다. 카페인과 위약의 섭취는 이중맹검법(double blind method)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카페인의 섭취량은 체중당 6 mg이었다. 주요 종속변인은 유산소성 운동능력(최대산소섭취량, 탈진까지 운동시간, 무산소성 역치), 무산소성 운동능력(수직점프, 최대파워, 평균파워, 최소파워, 피로율), 그리고 등속성 근기능(최대힘효율, 체중당 최대힘효율, 총일량, 체중당 총일량)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카페인집단의 수직점프 기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2) 카페인집단의 최대파워, 평균파워, 그리고 최소파워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 카페인집단의 탈진까지 운동시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4) 카페인집단의 비주측 60°·sec-1에서의 최대힘효울, 체중당 최대힘효율, 총일량, 그리고 체중당 총일량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축구선수의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향상에 크게 공헌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Effects of acute caffeine ingestion on aerobic/anaerobic capacity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collegiate soccer players Won-Hyuk Choi Major in Sports Medicine and Science Graduated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Man-Gyoon Lee,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ingestion of caffeine on aerobic/anaerobic capacity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collegiate soccer players. Eighteen p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wo groups, i.e. caffeine group (n=9) and placebo group (n=9). All subjects in both group participated in pre-test without caffeine ingestion for four days. Subjects in caffeine group ingested caffeine capsule one hour before post test, whereas subjects in placebo group ingested cellulose capsule at the same time point. Caffeine or placebo was ingested by double blind method, and the amount of caffeine ingestion was 6 mg per body weight. Main dependa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aerobic capacity (i.e. VO2max, time to exhaustion, anaerobic threshold), anaerobic capacity (i.e. counter movement jump, peak power, average power, lowest power, fatigue ratio),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e. peak torqu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total work, and total work per body weight).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Counter movement jum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affeine group. 2) Peak power, average power, and lowest power obtained from the Wingate tes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affeine group. 3) Time to exhaustion measured during the maximal graded exercise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ffeine group. 4) Peak torqu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total work, and total work per body weight of non-dominant knee measured at 60°·sec-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affeine group. It was concluded that acute caffeine ingestion would contribute for improving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in male soccer players.

      • 남자 대학생들의 축구 기능 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

        유선화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087

        Self-concept refers to an individual's multidimensional perception of "self", and is believed to have four domains, that is,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self-concept. It has been suggested that physical self-concep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his/her own self-concep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otal self-concept by changing the physical self-concept positively. The results have suggested that; 1) physical self-concept can be enhanced through regular exercise, and 2) exercise group has a better physical self-concept than non-exerciser group. However, little study has relatively examined young collegiate students a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adolescent,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Furthermore, whether or not the skill levels could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concept on young students has not been scrutinized. If the physical self-concept significantly differs based upon their skill levels, it implies that the more exercise we do, the better self-concept we have. This, in turn, can result in exercise facilitation and improve exercise adherence mo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t skill levels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concept among male collegiate soccer players, social soccer players, and non-exercise students. 173 undergraduate students (M = 20.3, SD = 2.13 yr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competitive players, n=33; recreational players, n=87; non-exercisers, n=53). Korean version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was administered and their group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nducting one way ANOVAs on ten sub-factors of PSDQ.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s. 1-1) the order of group means in eight sub-factors was competitive players-recreational players-non exercisers as expected. 1-2) The order in body fat subfactor was competitive players-non exercisers-recreational players. It might be due to the conceptual difference that the recreational players and non-exercisers have. 1-3) The order in health subfactor was recreational players-non exercisers-competitive player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mpetitive players have suffered from small or big injuries. 2-1)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seven sub-factors(ps<.01), while those in three factors (body fat, external features, and self-esteem) were not. 2-2) As the body fat factor was not actually measured the body mass index, indifferent group means in this factor only represents subjects' cognition on the body fat, not the real body fat. It could be the main reason of the group difference in this factor. 2-3) Post hoc analyses on external features and self-esteem factors revealed no group differences. The reason of this indifference needs further research because the group difference can be fluctuated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sport and/or exercise styles(aerobic, anaerobic, or combined), etc. In conclusion, this study generally supports previous studies, but not in all factors. Most importantly it firstly revealed that physical self-concept is different based upon their skill levels. It implies that the more we exercise, the better physical self-concept we have. Resulta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ercise facilitation and to play a motivating role for exercise adherence/beginning as well. 자신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의미하는 자기개념은 학문적, 사회적, 정서적 및 신체적 자기개념으로 구성된다. 이 네 가지 하위요인 가운데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기개념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그 동안의 선행연구는 신체적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총체적 자기개념을 개선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간의 연구결과는 1) 정기적인 운동을 통하여 신체적 자기개념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2)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운동의 기능수준(선수-동아리-비운동자)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이 유의하게 다른지를 살펴 본 연구는 없었다. 만일 운동의 기능수준별로 신체적 자기개념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면 운동촉진과 운동 동기부여에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특히 미래 사회의 주인공이 되는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수(n=33), 동아리(n=87) 및 비운동 집단(n=53)으로 나누고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지(PSDQ)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PSDQ 하위요인에 대한 ANOVA 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 별로 나타난 집단 간 평균치는 체지방과 건강을 제외한 여덟 가지 요인에서 예상한 것과 같이 선수-동아리-비운동 집단의 순서로 나타났다. 선수-비운동-동아리 집단의 순으로 나타난 체지방 요인은 동아리와 비운동 집단의 의식차이에 의한 것이며 동아리-비참여-선수 순으로 나타난 건강요인은 선수들이 다른 집단보다 부상을 더 많이 당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체지방, 외모와 자기 존중감을 제외한 7 가지 요인에서였다. 체지방요인은 실제 체지방을 측정한 것이 아닌 피험자의 인식을 표시한 결과라서 실제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외모와 자기존중감 요인에서는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운동 종목이나 운동의 종류(유․무산소성, 복합운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운동을 자주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이나 비운동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신체적 개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추론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 연구결과는 다라서 운동촉진이나 운동실시에 대한 동기부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