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 전기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차시(茶詩) 연구

        하영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91

        김종직은 조선 전기 영남 성리학의 영수로 문하에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했으며, 조선 초기 영남 사림의 기반을 형성했다. 그의 문인 중 남효온, 유호인, 이목, 조위, 정희량 등은 김종직과 더불어 조선 선비 차의 맥을 잇는데 중추적 역할을 했다. 『점필재집』에 나타난 차시는 한시 1200여 수 중 차시 24수(首)와 문(文) 1제(題)이다. 김종직의 차시는 그의 전체 시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다. 그러나 그간 차시 24수와 문 1제를 전체 대상으로 삼아 분석한 연구는 없다. 특히 전통적으로 차가 지니고 있는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은 김종직이 추구한 도학 정신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김종직은 음다(飮茶) 방법으로 자차법으로 차를 마셨으며, 음다 방법의 표현으로 자(煮), 전(煎)자가 쓰였다. 사용한 다구로는 다조와 돌솥이 있다. 차시에 나타난 다구(茶具)와 다서(茶書) 또한 송․원과 문물 교역으로 인해 중국 다구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그의 차에 대한 많은 지식도 중국 다서를 통해서였다. 김종직 차시에 나타난 차의 종류와 다구를 통해서 평소 검소한 생활을 엿볼 수 있다. 김종직이 함양에서 목민관으로 지낸 5년간의 시기는 그의 생애에서 매우 중요하다. 『점필재집』 권7에서 권11 전반부까지 실려 있는 320여 수 중의 시는 모두 함양군 시절에 지은 시들이기 때문이다. 그 중 차시는 23수 중 9수가 실려 있다. 「다원(茶園) 2수」는 특히 김종직이 백성들을 생각하는 애민정신을 읽을 수 있다. 애민정신은 『소학』과 향음주례(鄕飮酒禮)와 향사례(鄕射禮), 양노례(養老禮)를 통해 인의(仁義)의 마음과 인간관계의 도리를 통해 새로운 사회기풍을 만들었다. 함양에서 펼친 후학 양성은 김굉필과 정여창을 제자로 맞으면서 사림파 도학의 형성을 이루는 시초가 되었으며, 김종직과 문인들의 절의정신은 선비차로 조선 중․후기 차 문화를 계승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김종직 차시에 나타난 차 정신은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가에서는 수기를 중시했다. 수양공부를 통해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사심 없는 맑은 마음 상태는 다선일미와 도학자가 성인에 이르는 길과 상통한다. 치인은 자신이 닦은 학문을 실천하는 것으로 선비정신의 기본적 덕목이었으며, 백성들을 위한 그의 실천적 모습에서 잘 나타나 있다. 김종직의 차시 연구는 앞으로 그의 사상과 조선 전기의 차 문화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Kim Jong-Jik, who was a leader of Neo-Confucianism in the Yeongnam region and a great writer of the day, educated many disciples and also built a solid foundation of Sarim, which means the Confucian scholar culture, in the Yeongnam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is disciples, including Nam Hyoon, Yu Hoin, Lee Mok, Jo Wi, and Jung Huiryang, played pivotal roles in maintaining the Confucian scholar's tea culture. In Jeompiljaejib which is a garland of Kim Jong-Jik, there are 1200 Chinese poems including 24 tea poems and 1 title of a tea poem. Kim Jong-Jik's tea poems account for small proportion among his Chinese poems. There is no study on 24 tea poems and 1 title of a tea poem in Jeompiljaejib. The idea of Daseonilmi, which is contained in tea culture, is the key to understand Kim Jong-Jik's moral philosophy. While Kim Jong-Jik served as governor in Hamyang for 5 years, he wrote 320 Chinese poems including 9 tea poems in Jeompiljaejib from volume 7 to early the chapters of volume 11. Kim Jong-Jik's spirit of love for the people, is well expressed especially in 2 Dawon poems. His spirit of love for the people, which is presented in Xiaoxue in forms of Hyangeumjurae, Hyangsarae, and Yangnorae, build a sound social ethos in human relations such as courtesy, humanity and justice. In Hamyang Kim Jong-Jik adopted Kim Goengpil and Jeong Yeochang as pupils This became the start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the moral philosophy of Sarim. The spirit of clearness and cloudiness and the spirit of integrity of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made Seonbi tea and Cheongdam tea, which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success of traditional tea culture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Kim Jong-Jik drank tea in a form of Jacha and expressed his method of drinking tea with the Chinese characters, Ja and Jeon in his poems. Tea utensils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used to signify tea in his poems in Jeompiljaejib, were influenced by Chinese tea utensils and Chinese tea books. We could see his frugality through tea utensils and tea drinking methods described in his tea poems. The tea sprit described in his tea poems are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In confucian culture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focuses on personal moral training and body cultivation. In addition, the spirit of governing people focuses on the practice of ethics and learning, which were cardinal virtues to Sunbi, who is a Confucian scholar. The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as a form of self-cultivati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tea spirit which is the path toward Daseonilmi. Kim Jong-Jik's tea poems contain the spirit of love for the people generated by the spirit of governing people. A study on Kim Jong-Jik's tea poems could be an important part in understanding his thoughts and tea 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점畢齋 金宗直의 詩文學 硏究

        김영봉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7710

        이 논문은 조선 초기 문인인 점畢齋 金宗直의 생애와 시문학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김종직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性理學者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실상과는 다른 것이며, 그가 性理學者 또는 道學者로서 儒學淵源에까지 들게 된 것은 주로 그의 學脈을 이은 후대의 士林에 의해서 名分上으로 규정된 것이라는 점이 여러 자료를 통해서 드러난다. 김종직은 그가 世祖를 비판하기 위해 지었다고 알려진 <弔義帝文> 때문에 절의의 인물로 추앙되었지만, 그의 생전의 행적을 보면 전혀 세조를 불의의 인물로 여기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를 찬양하는 작품을 남기는 등 신하로서의 도리를 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弔義帝文>은 세조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儒家의 보편적 節義觀에 입각해서 지은 작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의 문학관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동시대의 문인인 徐居正과 成俔을 들어 서로 비교하면서, '김종직은 道學派로서 道를 중시하고 문학을 말단적인 것으로 하찮게 생각했으며, 徐居正과 成俔 등은 소위 詞章派로서 문학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당시의 문인들은 물론이고 그 후대의 문인들도 거의 대부분이 문학관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다. 즉 道主文從(道本文末)과 함께 經文一致의 문학관은 조선조 儒學者들의 보편적인 문학관이었던 것이다. 그는 조선 초기의 가장 뛰어난 시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그의 시가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풍격적 특성에 있다. 그의 詩風은 역동적이면서 호방한 기풍이 드러나는 雄渾美가 가장 두드러진다. 이는 후대의 평가자들이 그의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자주 언급한 요소이기도 하다. 다음으로는 雄渾美보다는 가볍지만 활달하면서도 흥이 살아 있는 爽快美가 또 하나의 특성으로 지적될 수 있다. 김석주가 '明月撥雲 茉蓉出水'라고 말한 평가에 들어 맞는 시풍이다. 이상의 두가지 시풍은 김종직의 외향적이고 활달하면서 내면으로는 흥을 간직한 그의 선천적 성격에서 유발된 시풍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들 수 있는 시풍은 한가하고 여유가 넘치는 安穩美이다. 앞의 두시풍에 비해서는 훨씬 고요하고 차분하게 가라앉은 분위기이다. 그러나 역시 밝은 기조를 유지한다. 이 점은 그가 근본적으로 자기 수양을 목표로 추구하는 유학자인데다 일신을 파란이나 굴곡이 없는 순탄한 관직 생활을 한 외부적 요인 때문에 생긴 후천적 기질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시풍을 요약하면 밝고 남성적인 '陽剛美'가 돋보이며, '恨'보다는 '興'을 주조로 하고 '沈鬱'보다는 '明朗'을 추구하는 속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김종직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자들이 주장한 것과는 달리, 사림파로서 勳舊官僚들과 대립적인 위치에 있었던 것이 아니고 그들과 폭넓은 친교를 유지했으며 그러한 내용을 많은 시로 남기고 있다. 그는 고향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서 이를 자주 시로 표현하였다. 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과거 그 지역을 기반으로 하였던 신라 왕조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대되어 많은 역사 유적·유물들에 대해서 시로 표현하였다. 여기에는 『三國史記』등 우리나라 역사서에 의한 정확한 지식이 바탕이 되었다. 김종직을 사림파로 인식하는 많은 연구들에서는 그가 관직 생활을 좋아하지 않고 遁世意識이 강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며, 그는 어렸을 때부터 과거 합격을 통하여 관직에 진출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시로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가문을 중흥시키려는 의지가 강했던 것과 연관이 있다. 그의 시에 있어서 표현적인 특질은 다양한 用事의 활용과 詩句의 치밀한 조직 등을 들 수 있으며, 표현면에서도 참신하고 공교한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표현적인 측면의 특질은 그가 '江西詩派'의 시풍에 상당한 관심이 있었다는 증거이다. 그의 시는 意境을 형상화하는데 있어 巨視的 관점의 묘사가 많은데, 이는 그의 雄渾한 시풍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김종직은 조선 전기 시문학의 흐름에 있어서 누구보다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인이다. '海東江西詩派'가 바로 뒤이어 출현하였는데, 김종직 자신이 강서시파에 경도했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해동강서시파의 한 사람인 鄭士龍이 김종직의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그 詩句에 일부러 표시를 해가면서까지 배우기에 힘썼다는 사실로 미루어 이미 김종직이 그 문을 열어 주었다고 평가할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hieve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Kim, Jong Jik(金宗直) whose pen name is Jumpiljae(점필제). Kim, Jong Jik has been known as a metaphysical Confucian and he was held in respect as the leader of so called 'Confucian School(士林波) who succeeded to the orthodox genealogy of Confucians. But it has been shown that this estimation of him was originated from the superficial estimation by his disciples in the next generation. That is, he was also a government official and literary man like Seo, Geo Jeong(徐居正)and Sung Hyun(成俔). Kim, Jong Jik was held in respect as a man of fidelity due to the writing of 'Jowoijemoon(弔義帝文)' which is known to be written to judge the King Sejo(世祖). But considering the trace of his life and the literary works that he left, we may know that he did not think of King Sejo as a man of immorality at all and that he fulfilled his faithful duty to King Sejo as a subject of hi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Jowoijemoon' should be considered a literary work which was written on the ground of general Confucian view of fidelity. His view point of literature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morality is the basic and literature is the end. And he insisted that Confucianism and literature have the same principle. This was the common view point on literature of the literary me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Seo, Geo Jeong and Sung Hyun were classified into the school which emphasizes literature and Kim, Jong Jik into the school which emphasizes Confucianism is thought to be incorrect. The reason his poems are praised highly is based on the feature of his personality and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his poems rests on the beauty of grandeur. This is a kind of poetical style which is energetic and open hearted and this is an important element of his poems that has been praised highly by the critics in the next generation. Next, the beauty of refreshment which is a little lighter than the beauty of grandeur is shown in his poems. The estimation that 'bright moon plows through clouds and lotus flowers appear on the water(明月撥雲 芙蓉出水)' is so applicable to his poems. These two kinds of poetical styles are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his innate nature which consists of the outward activity and inward pleasant. The third poetical style to be counted will be the beauty of comfort. Comparing with the two poetical styles stated above, this style has an atmosphere much more calm and quiet than those two styles. But this also contains a bright tone basically. This may be thought to be resulted from his Confucian feature seeking the aim of his principle throughout his life and his posterior characteristic acquired from his outward cause of his smooth official life without disturbance and trials.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above stated poetical styles, we would rather say that he was a pure literary man who sought pure literature rather than a literary man of Confucianism. Unlike the opinion that so many scholars have maintained so far, Kim, Jong Jik had not an opposite position against the traditional powerful government officials and subjects in those days but hi? maintained wide friendship with them, which are left in many poems of his. As he had a strong affection for his home town, he used to express it in his poems. His affection of home town was extended to the interest of Shilla Dynasty which was based on the area of his home town and so many historical relics and remains are expressed in his poems. The correct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was based on the poems. Many scholars insisted that as Kim, Jong Jik was a Confucian literary man, he disliked the official life and had a consciousness to a retired life. But this is thought to be different from the real fact and he had a strong intention to advance into a government official, which was shown in his poems. And this also shows that he had a strong intention to revive his family. He rejected Buddhism ideologically but he paradoxically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nks, He left so many poems which show his friendship with them. As a Confucian scholar, he felt suffering and expressed it in his poems whenever he saw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 『소학』 아동 교육의 현대적 의미

        김영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4

        본 논문은 소학 아동 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연구한 글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크게 네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기로 한다. 첫째 소학 이해를 위해 소학의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소학과 현대의 아동 개념을 분석할 것이다. 셋째 소학 아동 교육에 대해 현대적 시각으로 접근할 것이다. 넷째 소학 교육의 모델로서 김종직ㆍ김굉필ㆍ조광조의 소학 교육 실천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첫째, 소학은 주희가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고 인간의 도리와 사회의 질서 그리고 국가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자 하는 의도에서 교육과 교화의 목적으로 간행되고 보급된 텍스트로서 소학 교육의 핵심은 인간이 본래 가지고 태어난 착한 본성을 회복하고 사람과의 관계에서 사람의 도리를 자신이 스스로 자각하고 실천하여 자신을 넘어서 타자에게까지 확장하고 실천하는 데 있다. 둘째, 전통에서 아동의 개념은 설문해자ㆍ석명ㆍ옥편ㆍ주역ㆍ춘추곡량전주소ㆍ독예통고ㆍ대학ㆍ예기ㆍ논어ㆍ소학 등에 등장하는 ‘아(兒)’ㆍ‘영아(嬰兒)’ㆍ‘동(童)’ㆍ‘몽(蒙)’ㆍ‘유(孺)’ㆍ‘치(稚)’ㆍ‘동(董)’ㆍ‘몽(夢)’ㆍ‘해(孩)’ㆍ‘유(幼)’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 데, 그 의미는 주로 어른의 감독을 받아 잘못을 고치고 바로 잡아야 하며[董兒] 꿈을 꾸고 있는 것 같은 몽롱하고 어리석은 상태이며[童穉ㆍ童蒙ㆍ幼蒙] 아직 어미 젖과 같은 영양을 필요로 하는 신체적으로 작고 미발달하고 정신적으로 어리고 미성숙하여[乳幼兒ㆍ孺童ㆍ孺嬰ㆍ孺孩ㆍ孩提ㆍ孩童ㆍ尺童ㆍ幼子ㆍ少子ㆍ小童] 세상의 가치 있는 것을 익히고 배워야 하는[學童ㆍ少子ㆍ小童] 의미로 사용되었다. 현대의 아동은 생명을 가진 인격체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아동에 대한 ‘인격’이라는 말의 근거는 헌법과 초ㆍ중등 교육법에 “학생의 인권을 보장되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아동 복지법ㆍ아동 학대 방지법ㆍ인성 교육 진흥법 그리고 각 시도 교육청별 학생 인권 조례에 그 근거가 있다. 셋째, 소학 아동 교육을 현대적 시각으로 고찰한 것으로, 소학 아동 교육의 본질, 사회적 실천, 형식적 완성의 주제를 가지고 접근한다. 아동 교육의 본질은 아동이 착한 본성을 가진 성숙한 인격인으로 완성되는 일이다. 아동 교육의 사회적 실천을 위해서 아동은 ‘예절 교육’을 배워야 하며, 가정에서는 부모의 역할이 아동의 인격 완성과 인간 관계망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가정과 부모의 역할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동의 형식적 완성은 향교[현대의 학교]ㆍ교육과정ㆍ교사의 역할을 통해 ‘오륜’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소학 교육의 모델로서 김종직ㆍ김굉필ㆍ조광조의 사례를 살펴 보았다. 김종직은 소학을 학문의 본원(本源)으로 사도(師道)를 실천한 인물이다. 김굉필은 스스로 ‘소학 동자’가 되어 소학 가르침을 평생의 생활 지침으로 삼아 실천한 인물로 ‘가정 교육’과 ‘도덕 교육’을 강조하였다. 조광조는 김굉필의 제자로서 사노비를 면천시켜 줄 만큼 신분의 한계를 넘어 사람을 평등하게 대우해 주는 가르침을 보여 주며 백성을 사랑하는 사회 실천의 태도를 찾아 볼 수 있다. 소학 아동 교육의 출발점은 인류에 대한 근원적인 사랑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본 연구의 의의는 날로 삭막해져 가는 현대의 인류에게 인간다움과 ‘사람다움’에 대한 선한 본성과 바른 덕성의 확장인 인(仁: 사람다움)의 리프레쉬(Refresh) 과정일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modern meanings of children's education in Sohak. The study approached the topic from four major perspectives: firs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ohak for its understanding; second, it analyzes the modern concepts of children as well as those found in Sohak; third, it takes an approach to children's education in Sohak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fourth, it reviews the practice of Sohak education by Kim Jong-jik, Kim Going-pil, and Jo Gwang-jo as models of Sohak education. First, Zhu Xi published and distributed Sohak for education and enlightenment purposes to help individuals keep their own identities and set human duties, social order, and national discipline correctly. In Sohak, the essence of education is to restore one's innate good nature, realize and practice human duties in his or her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ir own, and thus expand their practice to others beyond him or herself. Second,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oncepts of children in tradition with a focus on ‘Ah(兒)’ㆍ‘Yeonga(嬰兒)’ㆍ‘Dong(童)’ㆍ‘Mong(蒙)’ㆍ‘Yu(孺)’ㆍ‘Chi(稚)’ㆍ‘Dong(董)’ㆍ‘Mong(夢)’ㆍ‘Hae(孩)’ and ‘Yu(幼)’ in SeolmunhaejaㆍSeokmyeongㆍOkpyeonㆍJuyeokㆍChunchugokryangjeonjusoㆍDogyetonggoㆍDaehakㆍYegiㆍNoneo and Sohak. These concepts are usually used to imply that children should correct and rectify their wrongdoing under the supervision of grown-ups[Dongah(董兒)], are in a dream-like hazy and foolish state[Dongchi(童穉)ㆍDongmong(童蒙)ㆍYumong(幼蒙)], still require nutrition like breast milk for their small stature and physical underdevelopment and their childish and immature spirit[Yuyua(乳幼兒)ㆍYudong(孺童)ㆍYuyeong(孺嬰)ㆍYuhae(孺孩)ㆍHaeje(孩提)ㆍHaedong(孩童)ㆍCheokdong(尺童)ㆍYuja(幼子)ㆍSoja(少子)ㆍSodong(小童)], and need to learn and master valuable things in the world[Hakdong(學童)ㆍSoja(少子)ㆍSodong(小童)]. In modern times, there has been a strong trend of interpreting children as human beings with their own character. The foundation for the "character" of children can be found in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cluding the idea that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must be guaranteed. There is more basis found in the Children's Welfare Act, Act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Ordinances of Students' Human Rights at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level. Third, the study examines the view of children's education in Sohak from a modern perspective, taking an approach based on the topics of essence, social practice, and formal completion of children's education in Sohak. The essence of children's education is to promote the completion of childhood into mature individuals with a pleasant personality and good nature. For the social practice of children's education, children should receive courtesy education. At home, parental roles have huge impacts on the completion of children's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hich indicates that the role of family and parents serve as important factors. For the formal completion of children, ‘Oryun(五倫)’ is expected to expand through the roles of Hyanggyo[modern school], curriculums, and teachers. Fourth, the study looked into the cases of Kim Jong-jik, Kim Going-pil, and Jo Gwang-jo as models of Sohak education. Kim Jong-jik recognized Sohak as the root of learning and practiced his duties as a teacher for his pupils and other people. Kim Going-pil made himself a "Sohak Dongja" and practiced the teachings of Sohak as his lifelong guidelines, putting an emphasis on ‘family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One of Kim Going-pil's pupils, Jo Gwang-jo, practiced his lesson of treating people equally, regardless of their status limitations in actions such as freeing his private slaves. He demonstrated an attitude of loving people and practicing social good. The starting point of children's education in Sohak is fundamental love for mankind.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as a process of refreshing In(仁: being humane), which is an extension of good nature and virtue for being human and humane, for the mankind of the modern world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desolate each day.

      • 15~6世紀 智異山遊覽錄 硏究 : 金宗直의「遊頭流錄」,金馹孫의「續頭流錄」,曺植의「遊頭流錄」을 중심으로

        박언정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vel descriptions for an excursion" which are being scattered around in the individual collections during the Lee dynasty,s men of noble birth were mostly wet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bout their views of awareness for the nature. Especially, the Sa Rim scolars (土林派) who had been backed their ideals by the Sung Ri Studies (性理學) at the afterward of 15century was having great concern about nature and having get rid of narrow spaces of living, expressed their miraculous wills to-ward the nature. In this article to examine the character of Lee dynasty's literature about beauties of nature as a stepping stone, we have arranged the travel description for an excursion which are scattered around in the collections and analyzed the work of contents and process of the journey from which Du Yu Kee haeng Rok(頭流記行錄)is descrived by the Kim, Jong-Jik(金宗直 1431-1492) whom backed up the work from Mt, Du Ryu San and the work of Sok Du Yu Rok(續頭流錄) by Kim Il Son(金馹孫 1464-1498) and the work of Yu Du Yu Rok (游頭流錄) by Jo Sik (曺 植 1501-1572),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attained the conclusion as follows : Frist ; Mt. Du Ryu San is recognized as astonishing and miracul-ous place of experimental nature within the space of great nature that has infinite expanse. Second ; Mt. Du Ryu San is recognized as a paradise only could dream in a dream, that comparing it with fairly land me-taphor. Third ; By recollecting ancestor's relics, they could recognize the nature as historical places. Fourth ; Through the nature, they could find out precept which could paragon to the human being and also be recognized a place as a prediction to the human being's conscience. Fifth ; They could certainly recognize that by seeing the livings of poverty stricken people, the governor could be convinced their proprieties. Sixth ; In order to perform confucian idealism, they rejecte Buddhism' and felt to accomplish a way of saint's moral doctrines for the sake of the people. Seventh ; There appeared a stiff character of the classical scholar's attitude of confronting against reality deplored the depraved confucian scholar and expressed their resentment words on the face of rock of rocks, by seeing the image of the people. Eighth ; The recognition toward the nature through their above three works, they understood susceptive nature with status quo but, furthermore, they could recognize the nature as a object of a systematic relation with the human being and at last, could derstand that they seized the providence of naturs as a same principle so the human being. From the result of above items, we could realize that from first to fourth, Here were unified recognition of the three persons, but from fifth to sixth are restricted recognition to Kim, Jong- Jik (金宗直) and Kim, Il-Son (金馹孫) and seventh is only restricted to Jo, Sik (曺植) On the base of these results, comparison study for the general study of the travel description about mountain and travel description on the by the later term of the sositivism are going to be discussed on next subject.

      • 김종직의 한시연구

        정석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朝鮮 前期의 士大夫文人 金宗直(1431∼1492)의 詩世界를 考察하여 作品의 特徵的인 世界를 把握하고자 한다. 金宗直의 思想은 性理學의 실천과 敎化이다. 性理學의 실천이란 朱子家禮의 遵行과 小學의 德目을 실천한 것이다. 治人과 敎化는 첫째, 士林派들의 이상인 王道政治를 통한 百姓에 대한 교화이다. 둘째, 실천조항인 鄕射禮, 鄕飮酒禮, 養老宴을 실행하여 鄕村社會의 질서를 確立 하고자 하였다. 세째, 留鄕所 復立運動에서 鄕村社會의 秩序確立을 위한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는 士林思想으로 社會를 정신적으로 개조하려 하였다. 그의 이러한 理念은 시작품에도 투영되어 있다. 金宗直의 文學觀은 성리학에 바탕을 둔 道本文末論인다. 이는 朝鮮朝의 지배적인 效用的 文學觀이다. 그는 詞章擁護論을 배격하였고 經典의 이치에 충실한 문장이 진정한 문학이라고 하였다. 詩論은 詩가 비록 末節이지만 性情陶冶와 敎化에 필요한 效用的인 면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詩가 人間性을 獨自的으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機能이 아니라 도를 전하는 수단의 機能으로 이해한 것이다. 詩作에서는 用事와 點化를 체득하고 襲用하였지만 新意를 중시하였다. 愛民詩는 社會現實의 문제인 民生과 百姓의 질곡을 심도있게 詩로 형상화하였다. 그러므로 고향인 南과 權臣이 사는 中央의 北, 수탈하는 관리와 고통받는 民을 대비시켜 實寫化하였다. 非理와 矛盾이 克服된 社會를 志向한 것이 詩에 나타나 있다. 自然의 災害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실상과 이를 구제하고자 하는 의식세계가 詩에 반영되었다. 또, 百姓의 고통을 自我의 고통으로 同一視한 愛民意識이 內在되었다. 民弊를 제거하기 위해 治民敎化한 내용도 진솔하게 그리고 있다. 이와 같은 金宗直의 詩世界는 經世濟民하여 이상적인 王道政治를 구현하고자 한 의식의 소산이다. 金宗直이 詩의 소재를 周邊에서 見聞한, 土着的이고 固有한 것을 택한 점은 自主意識을 詩로혀 구현한 것이다. 懷古詩는 역사적인 史實이나 人物을 그 地方에 결부시켜 감회를 절제된 言語로 형상화하였다. 民俗詩는 작자가 援한 우리의 풍속에 대한 이해와 사랑으로 百姓들의 興趣와 애환을 적절한 言語를 구사하여 美的 感興을 고조시키고 있다. 風物詩는 고유한 토산물을 所材로 취하여 國土에 대한 强烈한 애착과 관심이 반영되었다. 紀行詩는 『遊頭流錄』에 收載된 漢詩를 살펴 보았다. 『遊頭流錄』은 自然만을 玩賞한 것이 아니다. 貢納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질곡을 실사하였고, 향토적인 情操가 반영되었다. 또한, 중국의 성현들이 높은 산을 登頂하여 經世濟民의 道義를 터득한 바도 본받고자 하였다. 『遊頭流錄』에는 31題 54首의 한시가 수록되었는데 『점필재집』에 33題 50首로 실려 있다. 3題 4首는 문집에도 없는 작품이며 두 책에 같이 收錄되어 있는 경우, 혹 글자가 몇 자 다르나 내용에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題目은 相異한 것이 많다. 紀行詩에서 自然을 玩賞한 시의 세계는 작자와 자연의 合一된 경지를 형상화하였다. 紇行中의 愛民詩는 旱災에 시달리는 백성과 이를 救援하고자 하는 작자 성정이 실사되어 있다. 金宗直의 詞는 憶秦娥·水調歌頭·滿江紅·一蘿金 4調 4결이 있다. 지금까지의 詞硏究에서도 言及되지 않았던 작품이다. 憶秦娥는 시각적인 遊戱의 동작과 내면적인 심적 갈등이 대비되어 詞中有畵의 경지에 있다. 水調歌頭는 旱災 民苦와 이를 구제하려는 성정이 투영되었다. 造物主가 感知하여 내린 비에 백성과 기쁨을 함께 하는 歡娛의 세계가 실시되었다. 滿江紅은 人生無常과 歡娛의 정취를 노래했지만 晉州의 지방적 情操가 반영되었다. 一蘿金(蝶戀花)은 親知의 慶事를 賀禮하고 신혼부부에게 주는 德談을 敍懷하였다. 4調 4결에 불과한 金宗直의 詞作品이지만 문학영역 幅은 물론 조선전기 시문학 一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Kim Chong-jik (1431-1492), is one of the gratest writers and Neo-Confucianists of the earlier Yi-dynasty. After research his thoughts of Neo-Confucianism and poetical life,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his poems. His thoughts of Neo-Confucianism is to put Neo-Confucianism into action, to educate and 'to rule over the people. To put Neo- Confucianism into action is to practice the disciplines of Seo Hak (小學) and to obey the Chu Ja Ka Rye (朱子家禮). His learning was based on Neo-Confucianism., To educate and to rule over the people is connected with his thoughts. It is as follows. Firstly, he needs t o educate and to rule over t h e people with the rule of right that Neo-Confucian Literati considered an ideal. Secondly, he made efforts to establish the village disciplines by practising Yang Ro Yeon (養老宴), Hyang Eum Chu Rye (鄕飮酒禮), Hyang Sa Rye (鄕射禮). Thirdly, he intended t o establish ;and organization for the village disciplines through the restoration movement of Ryoo Hyang So (留鄕所). His view on the Neo-Confucianism was contained in poems. His view of scholar coincide with Neo-Confucianism. This thoughts of practical literature ha been dominated during Yi-dynasty. Accordingly, he rejects the theory of literature's itself and insists that the literature must be substancial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Confucian scripture. He understands the poet is useful to cultivate virtue and to educate the people. Althought he values less for the poet than Confucianism, he regards the poet as practical in a sense to cultivate virtue and to educate the people. He also understands the poet is only a measure to deliver Neo-Confucianism not to express and communicate human mind independently. Even if he acquired the technique of writing a poem, he valued much for its contents than its technique. He was concerned about the real state of society and the affection of the people. So, these poems were reflected not only his efforts to settle the people through the order of Neo-Confucianism but also his thoughts to establish the rules of the right. In poems, he expressed himself keenly the people under fetters and sufferings. Also he disclosed the real state of the affairs between the exploited class in the region of the South and the exploit class in the region of the North. It can be found that he shared with the people in sufferings t o cultivate them as a public servant. Therefore, his poetical life was devoted to establish the rules of right. He expressed the spirit of independence by inherent surroundings that he had observed. In the retrospective poems, he restrains his feelings and considers a historical facts in relation to the country. He admired a man of history to inspire the people with the doctrine of self- respect for their own history. Even though in retrospective poems about ups and downs of fortune, he was not filled with deep sadness. In folk poems, he expressed himself with pertinent words the peoples joy and sorrow to the climax. In poems concerning a landscape, he reflects interest and eager Indeed attachment to his country through words or aesthetic sense. we are gradually intoxicated with the beauty of nature. In poems of his journey, he represents the affection toward his country. In lyrics (詞), he also reflects interest and the affection toward his country and the people. Through a close look into his poetical life, we can find the Neo-Confucian Literatis' poetical life of the earlier Yi-dynasty.

      • 점畢齋 金宗直의 樂府詩 연구

        이연순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0

        본고는 15세기 후반의 文人 점畢齋 金宗直(1431-1392.세종17~성종23)의 문학 가운데 樂府詩의 작품세계를 고찰하고, 그에서 드러나는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점필재가 악부시를 창작하게 되는 배경을 살펴보았다. 점필재가 살았던 15세기 후반에는 禮樂思想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그 이념과 실제가 일치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館閣의 文學이 주도하면서 형식에 치우친 浮華한 文風으로 흐르는 양상이 드러났다. 점필재는 그러한 사회 문화적 현상에 대해 『小學』과 『禮記』의 학습을 강조하며, 修己的인 자세와 실천적 삶의 태도로서 성찰하고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예악의 이념과 실제가 일치하며, 부화함보다는 사실적이고 진솔한 내용을 추구하여, 禮樂의 情神을 담아 노래로 표현한 악부시를 창작하게 된다고 보았다. Ⅲ장에서 점필재 악부시의 작품 세계를 고찰하였다. 이들 작품은 당시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한국악부시의 유형이 조선 후기처럼 다양화되지 못하는 실정을 고려하여, 擬古樂府 와 新制樂府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의고악부의 경우, 점필재 개인의 심회를 표출하는 데 더욱 치중한 작품으로 <東武吟>과 <鳳臺曲>을, 그리고 그보다는 사회적 정감을 대변하여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고 창작한 <東城雀>과 <築城曲>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 작품은 중국의 시제를 의방하여 창작한 의고악부이면서도, 점필재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우리나라 현실의 문제와 지명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체적이며 자주적인 창작 정신이 발휘된 작품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전에 없던 새로운 제목과 詩意 써서 창작한 작품을 신제악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그 중에는 詠史性과 紀俗性을 포괄하는 특징을 지니며 경주지망에 전해오는 역사적 民俗, 民風과 인물을 雜言의 형태로 생생하게 노래한 《동도악부》 일곱 수(<會蘇曲>,<憂息曲>,<鵄述嶺>,<怛忉歌>,<陽山歌>,<碓樂>,<黃昌郞>)를 따로 분류하여 다루었다. 그 외에 밀양, 제주, 영남, 선산, 나주 등 각 지방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칠언 절구 齊言의 連作형태로 담은 공통점이 있는 작품 (<凝川竹枝曲>, <乇羅歌>,<九絶歌>,<十絶歌>,<錦城曲>)을 함께 다루었다. 마지막에서 잦은 渙韻과 구법의 다양함을 보이며 백성의 삶을 통해 현실인식을 반영한 <洛東謠>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들 개별 악부시 작품의 분석을 바탕으로 점필재 악부시의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점필재 악부시는 당시예악의 이념과 실제가 일치되지 않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그 사회문화적인 문제의 해결점을 주체적으로 찾고자, 옛 周代의 禮樂시행과 비견될 만한 우리나라 역사시대를 상고하여 작품화한 의의를 지닌다. 그것이 신라 시대 경주지방을 중심으로 전해오는 역사와 설화를 소재로 한 <동도악부>라고 보았다. 또한 이러한 주체적인 역사의식과 자주적인 상고정신을 바탕으로 악부시에 泳史性을 가미하여, 그 이전까지는 보이지 않던 영사성과 기속성이 혼합된 악부시를 창작하여, 후대 영사악부와 기속악부가 분화되어 창작되는 전통을 마련한 의의가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영사악부가 본격적으로 창작되는 조선 중기 이후와, 기속악부가 다량으로 선보이는 조선 후기와의 영향 관계를 고려하여 좀 더 면밀히 살펴보아야 할 과제가 남는다. 또한 점필재가 한시의 세계 안에서 악부시를 창작한 것이, 16세기 국문시가론을 펴고 연시조를 창작하는 사림들의 의식에 어떻게 닿아있는지에 대해서도 고구해 볼 과제로 남는다. This paper takes as its subject the Ak-Bu poetry of Jumpilje Kim Jong Jik(1431-1492) examining its significance. Chapter Ⅱ looks a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in those days. In Jumpilje's lifetime, Ye-Ak(禮樂) ideology conflicted with practice. Also Kwangak(館閣) literature lead, consequently it lean to formal and splendour style. Jumplije criticized this actual state, and pursuited not only unity with ideology and practice, but also realistic and sincerity contents through his life and literature. Then he attempted the creation of Ak-Bu poetry examply and originately. Chapter Ⅲ investigates the world of Jumpilje's Ak-Bu poetry. Jumpilje's Ak-Bu poetry is classified into two large groups. One is the imitation of acient literature Ak-Bu poetry(擬古樂府), and the other is a new style Ak-Bu poetry (新制樂府). The former, for the second time, grouped into two classes. One are works that <Dong Mu Um>(東武吟) and <Bong De Gok>(鳳臺曲) manifest a Jumpilje's private feelings. The other are different from this, <Dong Sung Jak>(東城雀) and <Cunk Sung Hang>( 築城行) show his social concern. They get the value of subjecthood and independence, because they use the name of a place native to korea and the actual matters of our own. In the same manner, the latter are classified into two kinds. The first is <Dong-Do Ak-Bu>(東都樂府), this recited the historical cultures, forks, customs and characters of Kyng Ju provance - the capital of Sila dynasty - that had handed down as an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This work is composed of seven independent articles. It is that <He So Gok>(會蘇曲), <Uh Sik Gok>(憂息曲), <Chi Sul Ryung>(鵄述嶺), <Dal Do Ga>(怛忉歌), <YAng Sna Ga>(陽山歌), <De Ak>(碓樂), and <Wang Chang Rang>(黃昌郞). Those articles have features that they make use of free form and structure, embody a right Ye-Ak(禮樂) culture. The rest work are five articles. It is that <Eung Chun Juk-Gi-Gok>(凝川竹枝曲), <Tak Ra Ga>(乇羅歌), <Gu Jul GA>(九絶歌), <Sib Jul Ga>(十絶歌), <Gum Sung Gok>(錦城曲). They dealt with history and present in each country that Mil-Yang, Che-Ju, Young-Nam, Sun-San, Na-Ju.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articles is that a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reality is showed, a seven word four-line stanza of Chinese poetry is used and plant consecutively. Chapter Ⅳ examines its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Jumpilje criticized split with Ye-Ak(禮樂) ideology and practice in those days, and search a solution of these matters as subjecthood attitude. As a result, he find a features of right Ye-Ak(禮樂) culture in the history of Sila. In the history of Ak-Bu poetry, Jumpilje's Ak-Bu poetry realized a right Ye-Ak(禮樂) culture. Also, it prepared the tradition of Ki-Sok Ak-Bu(紀俗樂府) poetry and Yeong-Sa Ak-Bu(詠史樂府) poetry.

      • 남곤의 경학·문장 병행의 학문관과 정치의식

        최민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고는 남곤을 사림이념에 동조하면서도 다른 길을 모색해 가는 인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세기 주자학에 입각한 정치, 사회운영의 실질화에 대한 대응이라는 관점을 제시했다. 남곤에 대한 분석을 통해 16세기 정치사적 대립의 성격을 확인하고자 했다. 남곤은 사림 이념에서 추구하는 주자학의 도덕적 가치에 충실한 정치·사회 운영을 긍정하면서 그 정치적 지향을 만들었다. 그는 김종직의 제자 중에서 문장을 연마한 인물로 관학파 도학을 긍정했다. 그는 의리·명분론을 통해 훈척신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견지하고 학연을 통한 정치세력화의 단초를 보였다. 그리고 속삼강행실도와 소학과 같은 주자학의 교화서의 편찬과 보급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조광조와 달리 공권력과 법제도를 중시하면서 집권체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방했다. 그의 생애를 통해 주자학의 해석과 그 활용을 두고 본격적으로 대립하기 시작하는 정치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남곤은 이색, 권근, 김종직으로 이어지는 도통의식을 긍정하였다. 그는 도의 수수관계에 대해 고문의 전수라는 문장을 제시하였다. 그의 문장 중시의 도통의식은 사대부라면 국가의 문치에 기여하는 유능한 관료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그의 지향은 전체 사회의 도덕성 함양을 중시하는 조광조 일파와의 대립을 유발했고 김굉필 문묘종사를 통해 드러났다. 남곤은 조광조 일파가 발의한 김굉필의 문묘종사를 반대하였다. 그는 김굉필의 학문을 주자학에서 이단이라 보는 심학에 비견하여 비판함으로써 김굉필의 문묘종사를 무산시켰다. 이는 곧 상호 다른 주자학의 인식이 본격적으로 정치운영에 대한 방법론의 차이를 내재하면서 이단 시비로 번진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남곤은 문장 중시의 도통의식을 견지하면서 문장 역시 주자학에 의거하여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는 문장이 천리에 종속되어 그것을 밝히는 것이라 함으로 도와 문장이 일치되는 도문일치론을 제시하였다. 남곤은 문장에 있어 철학성을 풍부하게 함으로 문장이 가지는 주자학에 대한 효용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를 토대로 경학과 문장은 병행해서 연마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그는 군주의 도덕성 함양이 본질인 성학 역시 문장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제술이 주된 시험 방식인 과거제 역시 정자와 주자가 배출되는데 공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관료로 문치에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능력인 문장이 주자학과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옹호한 것이었다. 그의 학문관과 문장 옹호는 조선의 학문이 주자학에 근거해 그 정당성을 마련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었다. 남곤의 정치의식은 주자학의 의리, 명분론에 충실하면서 당대 핵심적인 정치문제인 훈척신을 비판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소릉복위론이었다. 그의 소릉복위론을 통해 주자학의 의리, 명분, 인륜론을 제시함으로 정치적 현실론을 근거로 성장한 훈척신을 비판하였다. 그는 주자학의 의리, 명분, 인륜론의 논리를 통해 유자광과 같이 군주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쳐 공신으로 살아남은 인물을 비판했다. 그는 반정공신들이 신하로서 왕비를 폐위한 사건인 신씨복위론을 제기한 박상과 김정의 처벌을 반대하고 관철시켰다. 또한 그는 직접적으로 세조와 중종의 즉위와 관련된 노산군·연산군 입후를 주장하였다. 그의 훈척신 비판의식은 정치에 있어 주자학의 의리, 명분, 인륜론이 중요하다는 점을 환기시킨 것으로 향후 정치적 대립의 양상을 예견할 수 있다. 남곤은 그 자신이 주자학의 이념에 일정하게 동조한 만큼 붕당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론을 펼칠 수 없었다. 그는 점차 자신에게 군자소인변별론을 통해 도전해오는 조광조 일파에 대해 주자학에서 소인으로 인식하는 왕안석과 동일하다고 하였다. 그 역시 붕당의 핵심적 논리인 군자소인변별론을 활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펼친 것이었다. 그는 중종 14년 기묘사화 이후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공론, 세도로 제시하여 주자학의 절대적인 권위를 토대로 재상권력을 집중화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그의 정치적 반대파는 그의 정치형태가 재상독재를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고, 이를 공론의 이름으로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직접적으로 남곤 일파의 실각과 김안로의 정치적 성장과 연결된다. 그리고 김안로 역시 정치권력을 획득하면서 남곤과 같은 재상독재로 나아갔으며 윤원형 일파의 정치방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남곤의 정치방식은 비록 공론을 내세웠으나 재상독재 방식에 머무르는 등 공론·사림정치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남곤은 16세기 사상사, 정치사가 주자학의 이론과 이념에 종속되어 가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의 학문관과 정치의식은 주자학이 시대의 지도적인 이념으로 굳건해지는 모습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자학의 권위를 토대로 학파, 정치세력이 등장해 가는 과도기적 양상을 반영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