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게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건해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는 4-50대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자기자비, 마음챙김 그리고 우울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생활스트레스를 예언변인으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를 매개변인으로, 우울을 결과변인으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40-50 대의 기혼 여성 250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비, 우울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고, 연구 모형에 제시된 직접 경로의 계수추정치를 알아보았다. 첫째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 변인들은 자기자비 및 마음챙김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낸 반면, 우울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와 마음챙김간의 상관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구조 방정식 검증결과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 모델의 적합도가 좋았다. 계수추정치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에서 자기자비로 가는 경로, 스트레스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그리고 스트레스에서 마음챙김으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마음챙김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하지만 자기자비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마음챙김은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매개 역할이 지지된 반면, 자기자비는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매개역할이 지지되지 못하였다. 연구 모형에서 주부 생활 스트레스가 마음챙김 및 자기자비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는 마음챙김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기혼 여성의 우울을 더욱 촉진시키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마음챙김이 자기자비를 활성화하여 우울에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자기자비, 마음챙김, 그리고 우울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그 경로를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영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최근 들어 연구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라는 두 개의 변인을 바탕으로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한데 있다. 둘째, 기혼여성의 우울과 관련하여 마음챙김과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기혼 여성의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라는 변인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치료적 개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 旣婚女性이 知覺한 家庭經營上의 Stress水準 및 關聯變因 考察

        김경아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통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이 혼재하는 현 상황속에서 현대 기혼여성들은 과거의 단순했던 가정관리 운영체제에서 벗어나 직접적인 스트레스원이라 할 수 있는 복잡한 생활환경의 변화와 직면하게 되었으며, 보다 다양해진 가족원의 욕구충족을 위해 더욱 더 합리적이고 다각적인 가정관리자의 역할수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기혼여성들이 가정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 정도와 요인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를 밝혀 봄으로써, 구체적으로 시사되는 문제점들을 조기에 진단하고 나아가 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가정관리능력의 저하방지와 기혼여성들의 정신건강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더불어, 현대 가정생활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기초적인 지표로서 앞으로의 가정관리 운영지침에 방향을 제시하고 가정의 행복구현이라는 가정학의 목표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제시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그 경향은 어떠한가? (2)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가정환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사회심리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인성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1990년 2·3월에 걸쳐 서울시에 거주하는 기혼여성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한 가정환경 변인 8문항 사회심리적 변인인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8문항 · 자원 인지도 16문항 · 심리적 만족도 9문항 · 인성변인인 일에 대한 자아정체감 7문항 그리고,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24문항이 사용되었다. 표집된 자료는 문항분석 ·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빈도 · 백분율 · 평균을 구하였으며, t검증 · F검증 ·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를 하여 유의도 검증을 한 후 끝으로, 단계별 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57.70점으로 그리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며, 추후검증 결과 하위영역별로는 ‘주부역할문제영역’과 ‘가사노동문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기혼여성의 스트레스 수준은 가족형태를 제외한 연령 · 결혼지속년수 · 학력 · 월평균 가계소득 · 사회경제적 지위 · 자녀수 · 취업여부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3)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사회심리적 변인에 따라 P <.001수준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4)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은 인성 변인에 따라서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5)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경영상의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한 예측변인으로는 자원 인지도 (β= -0.412) 와 심리적 만족도 (β= -0.406)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기혼여성이 가정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은 크게 심각한 편은 아니었지만, 하위영역 중에서 주부역할영역과 가사노동영역의 점수가 그중 높게 나타난 것은 여성이 결혼을 통해 부여받은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많은 스트레스 요인이 존재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이를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자원 인지도로 약51% (R²=.511) 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기혼여성 자신이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자원을 소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level and factors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on stress level. Also, it will be helpful to find out the suggested problems based on this study at earlier stage, to prevent the decrease of the home management ability and to improve the mental soundness of the married wom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the general tendancy of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is. (2) Whether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al variables in household background variables. (i.e. the age of married women, durations of marriage, level of education, income, socio-economic status, types of family, number of children, status of employment) (3) Whether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is different from the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the communication interaction, the resources perception and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4) Whether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is different from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the work identity. (5)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among the household background, the socio-psychological and the personal variables on the stress level percpe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 conducted questionaires from 650 married women who have been living in seoul as subjects. The statistics method for data analysis were used by the factor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ion, percentile,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a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neral tendancy of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 management was not too much serious. (2) As for the related variables, household background variables hav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on the stress level of married women except family type. (3) All the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management. (4) The level of work identity was the influencial factor on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at homemanagement. (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rried women's stress level at home management was greatly influenced by variables such as the resources perception and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se two variables account for 58% of the variance in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married wome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 think that methodological research should be tried to promote the resources perception and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addition to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 instrument to measure the stress of married women effectively.

      • 기혼여성의 성 역할 가치관이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 : 사건사분석 방법 적용

        황지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는 크게 확대되고 있지만, 기혼여성의 경력유지는 아직도 노동시장의 사회구조 요인, 성차별 구조, 여성의 태도와 가치관 등의 요인으로 부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경력유지 요인 중에서 최근에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족 내 역할 가치관인 성 역할 가치관에 주목하였다. 성 역할 가치관은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기혼여성의 성 역할 가치관이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성 역할 가치관이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를 활용하여 패널 자료의 장점을 살린 역동적인 종단 분석을 하였다. 기혼여성의 개인특성에 해당하는 인구학적 코호트, 학력 수준 등과 심리 사회적 요인인 가치관 중에서 가족 내 역할 가치관인 성 역할 가치관이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을 고려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기혼여성 중 첫 직장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으로 제한하여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집단별 차이 분석을 실행하였다. 사건사분석의 카플란마이어 방법(Kaplan-Meier method)으로 기혼여성의 경력유지 생존율을 분석하고, 콕스회귀분석(Cox regression analysis) 방법으로 기혼여성의 성 역할 가치관이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집단별 성 역할 가치관의 차이는 최근의 코호트일수록 학력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성 역할 가치관의 성 평등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대별 성 역할 가치관의 차이가 학력 수준의 차이보다 더 뚜렷하였는데 이는 동시대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이 더 크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기혼여성의 경력유지 생존 기간의 중위 수 추정값은 59개월로 분석되었고, 시각적인 추이로 기혼여성의 경력은 2년에서 5년 정도의 기간에 생존율이 가장 크게 하락하고, 8년 정도의 기간에 생존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징적으로 2~3년제 초대졸 집단의 생존율이 6~7년 정도의 기간에서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의 경우 최근 코호트일수록 경력을 유지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2~3년제 초대졸 집단이 경력을 유지할 확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기혼여성의 성 역할 가치관은 경력유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 평등인식이 높은 집단은 성 평등인식이 낮은 집단과 비교하여 경력유지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코호트의 성 평등인식이 낮은 집단과 비교하여 30대 이상 코호트의 성 평등인식이 높은 집단이 경력을 유지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나이가 많은 코호트의 높은 성 평등인식은 최근 코호트의 낮은 성 평등인식만큼도 경력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집단별 성 역할 가치관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기혼여성의 성 역할 가치관이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 역할 가치관에 대한 폭넓은 인식이 확장되고 정규교육이나 진로와 경력 상담의 현장에서 기혼여성의 경력유지를 위한 정책이나 전략 개입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Although women'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labor market has recently been greatly expanded, the career retention of married women is still sluggish due to factors such as social structure factors in the labor market, gender discrimination structure, and women's attitudes and values. This study focused on gender role values, which are family role values ​​that are rapidly changing in recent years, among the factors for maintaining the career of married women. Gender role valu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the labor market, but studies that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gender role values ​​on career retention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gender role values ​​on career retention,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of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to utilize the advantages of panel data. A dynamic longitudi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gender role values, which are family role values, on career maintenance among the demographic cohort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educational level, and values, which are psychosocial factors, the event history analysis method was applied and analyzed. The analysis target was limited to the group of married women who answered that they had their first job experienc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group-specific differe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the Kaplan-Meier method of event histor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areer retention survival rate of married women, and the Cox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married women's gender role values ​​on career reten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gender role values ​​of married women by group, the more recent the cohort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gender equality perception of the gender role value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in gender roles and values ​​by generation were more pronounced than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suggesting that contemporary socio-cultural influence is greater. Second, the median estimate of the career retention survival period of married women was analyzed to be 59 months, and as a visual trend, the survival rate of married women's careers fell the most in the period of 2 to 5 years, and the survival rate decreased the most in the period of about 8 years. showed that the survival rate remained stable. And characteristically, the survival rate of the first graduate group of 2-3 years showed a sharp decline in the period of about 6-7 years. Third,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it was analyzed that the more recent cohort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maintain their careers, and that the first graduate group of 2-3 years were the least likely to maintain their careers. Fourth, the gender role values ​​of married wome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retention, and the group with high gender equality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retention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obability of maintaining a career in the cohort over 30s with high gender equality awareness was lower than the group with low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the recent cohort.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cohort's high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retention as much as the low gender equality perception of the recent cohort. Therefore, this stud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gender role values ​​by group of married women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married women's gender role values ​​on career ret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roaden the awareness of gender role values ​​and set the direction of policy or strategic intervention for the maintenance of careers of married women in the field of regular education or career counseling. Key words: married women, gender role values, career retention, event history analysis, survival analysis,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 기혼직장여성의 일터영성과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관계: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민주연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직장과 가정생활의 병행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기 가장 어려운 계층인 기혼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 정도와 관련 변인들을 알아내고, 연구대상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 일터영성과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터영성과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관계가 마음챙김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세종, 청주지역에 거주하는 사기업 및 공공기관 재직 중이며, 주 30시간 이상 근무하는 기혼직장여성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24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5.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직장여성의 일터영성과 마음챙김의 평균 점수는 각각 3.63과 3.10으로 중간값인 3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고, 일과 삶의 균형의 평균 점수는 2.91로 중간값 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기혼직장여성의 개인적 특성변인 중 미취학자녀의 유무, 연령(40대 전후), 근무경력은 일터영성, 마음챙김, 일과 삶의 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기혼직장여성의 일터영성, 마음챙김,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변인 간의 관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미취학자녀 유무, 근무경력, 연령(40대 전후), 주관적 직무만족도를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일터영성과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일터영성을 높게 인식하는 기혼직장여성은 마음챙김의 수준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이 달라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경우, 일터영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기혼직장여성은 일과 삶의 균형이 높지만, 마음챙김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일터영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더라도 일과 삶의 균형은 낮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 기혼직장여성의 일터영성은 마음챙김이 높을 때, 일과 삶의 균형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직장여성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어가려면, 일터영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마음챙김을 잘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work-life balance and related variables for married working women, the most difficult class to achieve work-life balance in parallel with work-life bal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life balance. It also aimed to confirm how the relation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life balance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indfulness. To achieve these purposes, a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246 married working women married working women who work more than 30 hours a week, in order to measure their workplace spirituality, work-life balance, and mindfulness.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the work spirituality and mindifulness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were 3.63 and 3.10, respectively which are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median(3), while that of their work-life balance was 2.91, which is a little bit lower than the median(3). Second,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married working wome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nce, age, and work experience of preschool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place spirituality, mindfulness, and work-life bala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mindfulness, and work-life balance of married working women.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life balance was confirmed when controlling the presence of preschoolers, work experience, age (about 40s), and subjective job satisfaction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workplace spiritualtiy and work-life balance of married working wome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mindfulness.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mindfulness is high, married working women who are highly aware of workplace spirituality have a high i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while when the level of mindfulness is low, married working women who are highly aware of workplace spirituality is low i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lied that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married working women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when mindfulness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rried working women need to be more workplace spirituality and mindfulness in order to work-life balance.

      •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애저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finds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by family life cycle stage in that the influential factor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mily life cycle stage that the married women belong to. 2000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as been used, and the subject of analysis is 10,460 women who are from 15 to 64 and marry for the first time, exclusive of women who are over 40 years old and have been delivered of the first baby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family life cycle stages. The analytic method is to compare both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in each stage of family life cycle. Besides, to compare employment conditions of married women in each stag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factors to influence economic activities of married women, logistic regression was fulfill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the Social Science(SPSS).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formation stage, major determinants were age, the number of additional expected children, home ownership, and whether their husbands had professional or administrative jobs. Second, during the extension stage, residential areas, age, children less than 6 years old, family pattern, and the number of income earners were the main causes. Third, during the completed extension stag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residential places, age, and educational status, were significant. And particularly, both the number of living children and whether children under 6 years old exist were important,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family life cycles. Moreover, number of household members, family incom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amily except for home ownership, and employment-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ll influential factors. Fourth, during the contraction stage, every variable except whether children less than 6 years old exist, whether additional children are expected, the number of additional children, number of household member, home ownership, and employment before marriage appeared substantial. Fifth, during the completed contraction stage, residential areas, the number of living children, and the number of income earners were significant, and in case of that husbands were employed, their wives had higher chances to obtain a job, which made a distinction with other cycles. Sixth, during the dissolution stage, residential areas, age, educational status, the number of additional expected children, number of household member, the number of income earners, family income, and employment before marriage influenced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this way, as the factors to affect women employment in each family life cycle are different, the method dependent of family life cycle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mote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Employment continuity of married women, therefore, should be reinforced, and policy measures to promote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each family life cycle are as follows. First, as one method to solidify employment continuity of married women in each family life cycle stage, part-time employment is required. Second, in order that married women harmonize both family responsibilities and employment simultaneously, through the extension of child-care leave scheme to private enterprises, the effort to settle the scheme should be maintained. Third, for employed women under the extension or completed extension stage, both childcare facilities management in a variety of time zone and infant-care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satisfy the desire of employed mothers so as to activate married womens employment. Fourth, for employment activation or re-employment of married women under the contraction stage, completed contraction stage, or dissolu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raining programs as the wome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appropriate jobs should be created as well. Fifth, in terms of womens perspective, not only the willpower to be independent financially through their own jobs but also the lifelong professionalism regardless with marriage or childbirth is requisite. Lastly, in a social organizations aspect, to encourage women to harmonize their jobs and family responsibilities, family friendly programs should be brought in a labor organization. Besides, to share housework such as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endeavor to eradicate patriarchal systems and custom deeply rooted in a society is imperative. 본 논문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결정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혼여성이 속해 있는 가족주기의 단계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에서 가족주기 단계별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결정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5∼64세 기혼여성 중 초혼으로서 가족주기 단계 구분에 있어 40세 이상이면서 첫 자녀 출산 전인 기혼여성을 제외한 10,460명이다. 분석방법은 가족주기 단계별 취업 부인과 비취업 부인간의 개인특성 및 가족특성을 비교하고, 가족주기 단계별 기혼여성의 취업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족주기 단계별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분석을 위해 SPSS 통계 팩케이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출산 전인 형성기에는 연령과 추가희망 자녀수, 자가소유 여부 등의 요인과 남편의 전문 사무직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자녀출산이 이루어지는 확대기에는 개인특성 중의 하나인 거주지역과 연령이 유의하였고, 자녀관련 변수로는 6세 미만 자녀유무가 유의하였다. 가구특성으로 가족유형과 가구의 소득원 수가 부인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셋째, 확대완료기에는 거주지역, 연령, 교육수준 등 개인특성이 유의하였으며, 특히 현존자녀수 및 6세 미만 자녀유무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다른 가족주기와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가구원 수와 가구소득, 자가소유 여부를 제외한 가구관련 특성, 그리고 취업특성 모두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소기는 6세 미만 자녀유무, 추가자녀 희망여부 및 추가희망 자녀수, 가구원 수, 자가소유 여부 및 혼전취업 여부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축소완료기는 거주지와 현존자녀수, 소득원 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편이 취업중인 경우 부인의 취업확률도 높아 다른 가족주기단계와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남편과의 사별 이혼 별거로 인한 해체기 부인들은 거주지역과 연령, 교육수준, 추가희망자녀 수, 가구원 수, 소득원 수, 가구소득 및 혼전 취업여부가 이들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여성의 가족주기단계별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를 보임으로써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족주기단계별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취업 연속성을 강화하고, 각 가족주기단계별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혼여성의 가족주기단계별 취업의 연속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시간제 고용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둘째, 기혼 취업여성들이 가정과 직장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현재 법제화되어 있으나 그 활용도가 저조한 육아휴직제도를 보완하여 민간기업에도 확대되도록 동 제도의 정착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셋째, 확대기나 확대완료기 취업여성의 경우 가사와 자녀양육 등으로 탄력적인 근무시간을 희망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보육서비스 제공을 희망한다. 또한 그동안의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은 주로 유아를 중심으로 확충되어 왔으며, 영아보육시설의 공급확충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다양한 시간대의 보육시설 운영과 함께 영아보육시설 등을 확충하여 취업모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기혼여성의 취업을 활성화 하도록 한다. 넷째, 축소기나 축소완료기 및 해체기 기혼여성의 취업활성화 또는 재취업을 위해 이들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지원으로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적당한 일자리 창출이 요구된다. 다섯째, 여성들의 의식적인 측면에서의 자신의 일을 통해 경제적으로 자립하려는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며, 특히 결혼이나 출산 전까지가 아니라 평생 자기 일을 해나가겠다는 평생 직업의식이 요구된다. 여섯째, 사회조직의 차원에서 여성이 일과 가정생활을 조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노동조직에 가족친화적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가족 내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자녀양육 등 가사노동 부담을 공유할 수 있도록 뿌리깊은 가부장적 관념과 관행을 철폐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 결정요인 연구

        양사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혼여성 혹은 전업주부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지만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기혼취업여성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 필요성에 주목하여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변수들을 적용해보는 동시에, 동거부모의 존재와 같이 다루어지지 않은 변수들도 함께 고려한다. 여가는 개인이 휴식을 취하거나 자유 시간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될수록 여가 욕구 또한 늘어나게 된다. 최근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기혼여성들이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이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남녀평등 의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기혼취업여성들의 여가활동은 육아와 경제활동이라는 이중 부담 때문에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기혼여성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은 크게 가구구조, 사회경제적 요인, 주관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즉 자녀들의 존재와 성장, 기혼취업여성의 임금과 노동시간, 그리고 성 역할에 대한 인식 등에 따라 여가활동 시간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연구 결과에 따라 여가시간에 서로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2014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진 가구구조, 사회경제적 문제, 주관적 인식 등을 변수로 반영했다. 뿐만 아니라 가구구조에서 자녀만 다루어졌던 점을 확장하여 가구 내 동거부모의 존재가 여가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검증했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이 신체적으로 주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주관적 건강 만족도를 변수로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기혼여성들의 여가시간은 자녀의 성장에 따라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분석과정에서 가족생애주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듀발(Duvall, 1977)의 생애주기 이론을 수용하여 기혼취업여성을 형성기(25∼34세), 확산기(35∼44세), 수축기(45∼64세), 소멸기(65세 이상)로 나누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구조 요인에서는 (미)취학 자녀가 있고 자녀수가 많을수록 기혼취업여성의 여가활동을 제한하고 여가시간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동거부모의 존재 역시 기혼취업여성들의 여가시간을 억제하는 요인이 되었다. 사회경제적 변수 중에서 임금(개인소득)과 노동시간 등 연구마다 상반된 결론을 보여준 요소들이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과 부적 관계의 결과로 나타났다. 주관적 인식 변수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성 역할 태도나 가사분담의 문제는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여가활동 시간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관적 건강 만족도는 여가활동 시간과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의 양육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홍인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여성이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생물학적인 동시에 심리적인 경험이다. 여성의 삶에서 어머니가 된다는 것보다 영향력이 강하고 인생을 바꾸어놓는 경험은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심오한 경험을 비자발적 임신이라는 사태로 시작하는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의 양육체험을 탐구한다. 기혼여성의 비자발적 임신· 출산의 양상은 어떠한가?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의 양육체험의 구조와 그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에게 제공할 목회 돌봄(상담)은 어떠한가? 에 대한 질문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3~5세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 6명과의 면담에서 임신-출산–양육의 체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참여자들의 의식이 대상인 양육과 어떻게 상관관계를 맺으면서 의미화해 가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코딩하여 주제화한 결과 27개의 하위주제와 7개의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7개의 상위 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 인생의 변곡점을 맞이함’은 참여자들이 맞은 비자발적 임신 사태는 인생의 곡선에서 변곡점이 되는 경험을 나타낸다. 둘째, ‘만남: 양육의 주체가 됨’은 생물학적 모자관계로 태어남을 의미한다. 셋째, ‘수용: 엄마-됨’의 주제는 엄마란 출산과 동시에 되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타인인 아이를 만남으로 새로운 ‘나’가 드러남을 나타낸다. 넷째, ‘생존: 둘 다 살아남아야 함’은 엄마라는 새로운 정체성으로 살아남아야 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다섯째. ‘고통: 상상하지 못한 고됨’의 주제는 양육이 즐거움을 발견하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상상하기 어려운 고통의 시간임을 드러낸다. 실존적 시간, 신체, 공간, 관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여섯째, ‘독립: 미래를 내다봄’의 주제는 양육이 아이를 독립된 자아로 성장하도록 돕는 동시에 새로운 정체성으로 살아가는 엄마 또한 독립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두려움과 희망이 공존한다. 마지막 주제는 ‘소통: 지지자원이 필요함’이다. 참여자들은 아이와 친밀한 유대 형성을 위해 모성 경험을 인정해주는 사람들과의 교류가 필요했다.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의 양육체험은 자녀와의 상호주관적 관계 안에서 엄마-됨을 받아들이고 실존에 충실하면서 성장을 향해 가는 과정이었다. 다시 말해 양육체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환적으로 성장해 가는 엄마-되어감의 과정이었다. 모성은 아이가 태어나기 전부터 준비되어야 하지만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들은 임신기간 동안 모성을 준비하기보다는 태아를 외면하고 일상을 지내거나 다가올 자신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조차 힘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출산 후 아이를 만나 엄마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하며 심리적 엄마로 태어날 수 있었다. 그 시기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이후의 양육체험은 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들과 다르지 않은 양상을 보였다. 비자발적 임신으로 생긴 아이에 대한 죄책감은 과도한 책임감이 되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임신 중 양육을 위한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대부분 육아서나 육아 동영상을 활용하여 인지적 방식으로 양육에 접근하였다. 이에 심리적 엄마 이후 아이와의 정서적 교류를 지속하기 위해 관계적 엄마-되어감을 논의하였다. 양육은 자연스럽게 아이가 주목받는 사태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양육의 주체인 비자발적 임신·출산 기혼여성들에 주목하여 아이가 충분히 좋은 엄마의 돌봄을 받는 것처럼 어머니들에게도 충분히 좋은 엄마의 돌봄을 제공하는 상호 돌봄의 안아주기 환경을 논의한다. 여성주의 목회신학의 관점에서 ‘드러내기/경청’, ‘연대/임파워링’, ‘신학적 성찰/목회 돌봄 계획 수립’의 단계로 목회 돌봄(상담)의 방향을 제시한다. For a woman, being a mother is both a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 There will be no experience in her life more influential or life-changing than being a mother. This study explores the mothering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who begin these profound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involuntary pregnancy. Among such married women,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questions on the pattern of involuntary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ir mothering experiences, and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for this group. Six married women raising children whose ages ranged from 3 to 5 were interviewed on their lived experiences includ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nt noesis and parenting noema. As a result of coding and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seven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and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ransition: facing an inflection point in life' represents an involuntary pregnancy, a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becoming an inflection point in the curves of their respective lives. Second, 'Meeting: becoming the subject of parenting' means being born into a biological mother-child relationship. Third, the theme of 'acceptance: becoming a mother' indicates that motherhood does not coincide with childbirth, but that a new 'me' is revealed by meeting a meaningful other, a child. Fourth, 'Survival: both must survive' reveals the process of surviving with a new identity as a mother. Fifth, the theme of ‘Pain: unimaginable hardness’ reveals that parenting is not only a process of discovering pleasure, but it is a time of pain that is difficult to imagine. This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lived time, lived body, lived space, and lived human relation. Sixth, the theme of ‘Independence: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indicates that mothers living with new identities should become independent while helping their children grow into independent selves. Here, fear and hope coexist. The final theme is 'Communication: crucial resources for support.' Participants needed to interact with people who recognized the maternal experience to form close ties with their childre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married women with involuntary pregnancies and childbirth was a process of accepting the motherhood-to-child dynamic within a mutually subje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of moving toward growth while being faithful to their existence. In other words, the parenting experience was a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who grew up cyclically over time. Motherhood should be prepared for even before the child is born, but the married women turned a blind eye to the fetus to continue living their daily lives instead of accepting their upcoming changes and preparing for motherhood during pregnancy. Nevertheless, after the participants met the child after birth, they were able to acquire a new identity as a mother and are, in turn, reborn as psychological mothers. The timing of acquired motherhood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but the subsequent parenting experience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voluntary pregnant and childbirth married women. Many mothers felt sorry for their children that were born from an involuntary pregnancy, as they felt that they had not adequately prepared for the coming child. However, to make up for that fact, most of the mothers then approached parenting cognitively using parenting books or parenting video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ging an emotional bond with the child after growing into a psychological mother,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mother was further explored. Parenting naturally draws attention towards children, but this study focuses on involuntarily pregnant and childbearing married women, who are the main agents of parenting. This study thus shows that a holding environment of mutual care provides mothers with good enough mother care, just as children receive good enough mother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pastoral theology,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counseling) is also presented as the stages 'disclosure / listening', 'solidarity / empowering', and 'theological reflection / establishment of pastoral care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