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지능 시대 기술레짐 비판 : 기술비판이론의 확장적 재구성

        김현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 지능정보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사회문화를 분리키기는 이원론적 모더니티 하에서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을 유일한 합리성으로 포장하는 기술중립론적 기술신화 체제인 기술레짐을 해석하고 비판하며 나아가 대안적인 민주적 기술합리성과 기술정치학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구하며 구축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학의 구성주의 전통 하에서 앤드류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을 중심으로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 등을 도입하여 기술비판이론의 이론적 재구성과 문화연구적, 사회학적 확장을 도모하고 통합적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로써 오늘날 보다 정교해지고 심화된 기술중립론, 기술결정론, 기술 투명성 신화를 담지하는 인공지능 기술레짐과 새롭게 등장한 AI 기술합리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정립한다. 오늘날 과학기술과 그것의 혁신에 대한 지배적 견해는 기술 설계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배제시키고 기술을 투명하고 중립적이며 자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중립론은 기술해법만능주의, 기술지상주의와 함께 과학기술의 설계를 결정하는 기술레짐을 만들어 내며 기술권력 또는 기술관료제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유일한 합리성으로 간주되는 이 지배적 견해는 물질적 기술과 사회적 문화를 분리시키는 이원론적 모더니티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은 이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의 중심적이고도 문제적이며 논쟁적인 장소와 인공 사물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포착하고 비판하기 위해 기술비판이론의 재구성과 확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이 핵심적 자원임을 강조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고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구성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기술비판이론이 본질주의 기술철학을 비판하고 기술적 원리와 사회적 힘의 이분법을 극복하며 기술정치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성찰적 기술비판이론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논문은 기술비판이론이 기술레짐의 문화적 논리, 기술의 문화적 심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렉산더가 발전시킨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의 보충이 요청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으로 확장하기 위해서 기술의 문화 지평을 중시하는 문화이론들을 도입하고 이것의 기술비판이론적 함의를 밝힌다. 이로써 문화사회학은 기술레짐과 기술합리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비판이론과 문화사회학적 접근들이 모두 모더니티 기술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이론적 자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기술비판이론을 AI 문제에 관한 문화연구 및 사회이론으로 확장, 적용하여 AI 국면에서 기술레짐의 변동을 읽어내고 신종 AI 기술합리성의 문제를 드러낸다. 이에 생성형∙대화형 인공지능은 체계와 생활세계를 상호 침투시키고 매개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과 기술레짐을 생성, 확장시키고 새로운 기술합리성을 생성, 관철시키는 새로운 조절매체 권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이러한 테크노시스템이 기술적 시민주체들의 개입 지점이 될 수 있다는 양가적 가능성을 고려하면서 문화적 차원으로 보충되고 확장된 구성주의적 기술비판이론의 기술정치학적 의의를 드러낸다. This paper explores and build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rpreting and critiquing the technological regime, a techno-neutralist system of technological mythology that packages the value-neutr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under the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science and technology from society and cultur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further explores an alternative democratic technological rationality and technological politics. To this end, this research propose an integrated program of techno-cultural studies, focusing on Andrew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constructivist trad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introducing Durkheimian techno-cultural sociology to reconstruct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and expand it to cultural studies and sociology. In doing so, this study establish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AI technological regime and the emerging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which today contain more sophisticated and deepened techno-neutralism,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techno-transparency myths. The dominant 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innovation today is to exclud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from the design of technology and to consider technology as transparent, neutral, and autonomous. This techno-neutralism, along with techno-solutionalism and techno-terrestrialism, creates a technological regime that determines the desig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elps to consolidate the dominance of technocracy or techno-bureaucracy. This dominant view of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is based on a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material technology from socio-culture.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has become a central, problematic, and contested site and artifact of this technological myth and technological regime. This paper argues that a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s needed to capture and critique these technological myths and technological regimes in a theoretically sophisticated manner. To this end, it systematically elucidates and reconstructs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emphasizing it as a key resource. In doing so, it reveals tha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which critically embraces constructivism, is a reflectiv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hat can critique essentialist philosophies of technology, overcome the dichotomy of technical principles and social forces, and contribute to technological political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technocritical theory needs to be supplemented by Durkheimian cultural sociology of technology developed by Jeffrey Alexan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logic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he cultural depth of technology. It introduces cultural theories that emphasize the cultural horizons of technology and reveals their implications for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order to expand it into a deeper and more integrated cultural studies of technolgy research program. It is argued that cultur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echnological rationality. The results show that both critical theory and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es are useful theoretical resources for critically analyzing and overcoming modernity's technological myths. Finally, by extending and applying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o cultural studies and social theory on of AI issue, we read the fluctuation of technological regimes in the conjuncture of AI and reveal the problem of new kinds of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It is argued that generative and interactive AI is emerging as a new mediating power that creates and expands communication and technological regimes and creates and enforces new technological rationalities by interpenetrating and mediating the system and the living world. It also considers the ambivalent possibility that these technosystems can nevertheless paradoxically become points of intervention for technological citizens, revealing the technopolitical implications of a constructivis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supplemented and extended with a cultural dimension.

      • 앤드류 핀버그의 기술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기술민주화 이론을 중심으로

        임병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4189

        본 논문은 북미의 기술철학자인 앤드류 핀버그의 기술철학을 그의 기술민주화 이론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그는 기술의 변형, 즉, 기술의 설계 과정에 일반인이 참여해서 기술을 좀 더 민주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기술의 디자인을 주장하는 이유는 그것이 곧 정치의 디자인 및 사회의 디자인, 문화의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에게 고전적 기술철학자들이 퍼뜨린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극복하기 위한 작업이기도 하며, 나아가 대안적 근대성을 확립하려는 그의 또 다른 문제의식과 직결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의 기술민주화 이론은 이론이 지니는 정치적, 사회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는 주로 그의 이론적 지형 안에서, 그리고 현실적 맥락 속에서 펼쳐진다. 그러나 본격적인 비판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이론에 대한 이해부터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본론의 1장은 그의 기술민주화 이론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 이론의 의의를 밝힌다. 이 과정에서 핀버그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기술민주화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역할 모델로서 ‘합의회의’를 소개한다. 그러나 이론의 당위성이 타당성을 보증해 주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2장에서는 핀버그의 기술민주화 이론의 두 근거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논의는 두 근거인 기술의 사회 구성주의와 비판이론의 내용을 설명한 뒤에 이를 바탕으로 핀버그의 기술민주화 이론을 비판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사회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은 손화철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본고는 그를 보강하면서 비판하고 있으며, 비판이론에 대한 비판은 마르쿠제의 비판이론을 염두에 두면서 행해진다. 핀버그의 기술민주화론은 두 개의 수준으로 구성된 그의 도구화 이론 중의 어느 한 수준이 현실적으로 발현된 형태이다. 따라서 3장에서는 그의 기술관을 집약해서 보여주고 있는 도구화 이론을 설명하고 그것을 본질주의적 기술철학과 대비시키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본질주의적 기술철학에 대한 설명이 앞선다. 핀버그가 자신의 사유를 전개시키면서 내내 의식하고 있는 것은 본질주의적 기술철학에 반하는 반본질주의적 태도이다. 그렇지만 그런 태도는 기술의 거대한 물줄기를 바꾸기에는 역부족하다.이렇게 핀버그의 기술민주화 이론을 비판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논문은 고전적 기술철학이나 핀버그의 입장 중 어느 한 쪽도 옹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기술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으면서도 그것에 대하여는 무관심한 채 살아가는 우리에게 당장 필요한 것은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지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문제적인 것은 이 둘의 입장을 대립시키거나 화해하려는 시도이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수사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별 기술에 대한 민주적 개량을 추구하면서도 기술의 미래 모습을 그려보는 사유의 운동성을 확보하는 것이야말로 기술에 대해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유일한 자세라고 생각된다. The present thesis is critically studying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developed by North American technological philosopher Andrew Feenberg focusing on his theory of democratizing technology. He asserts that common people must participate in design of technology to make technology more democratic. The reason is that the problem of designing of technology is linked with designing of politics, designing of society, and designing of culture. To him, this is trying to overcome the dystopian view of world which was disseminated by some classical philosophers of technology and, further, a work,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his critical mind of establishing an alternative modernity. However, despite of its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his theory of democratizing technology has a number of problematic theoretical aspects. The present critical study is done within the framework of his thought but in connection with actual life realities. But before advancing with the critique we should understand the contents of his theory.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is devoted to presenting Feenberg's theory of democratizing technology and clarifies its meaning. In this process the thesis introduces the 'Consensus Conference' as a role model to describe democratizing technology, even though Feenberg did not mention it. But what should be a guarantee the validity of the theory? Therefore, to answer this question,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body we critically review the two basic ideas of Feenberg's theory. First, these two fundamental ideas of the theory, namely, social constructivism of technology and Critical Theory are presented, and then they are critically discussed. The critique on social constructivism of technology will be done based on Son Hwa Chul's works, with this thesis both reinforcing his argument criticizing them. The critique on Critical Theory will be based upon Marcuse's critical theory. Feenberg's theory of democratizing technology is the realized form of one level of his Instrumentalization Theory which is constituted by two theory levels. Consequently, in the third chapter of the body, we will explain the theory itself, showing his condensed view of technology and contrasting it to the essentialist philosophy of technology. To do so, introduction of the essentialist philosophy of technology is offered first. The thing Feenberg always recognizes in his developing of speculation is anti-essentialism. Yet his anti-essentialist attitude is not enough to convert large flow of technology.Then what can we get from this critical study of Feenberg's theory of democratizing technology? This thesis supports neither Feenberg's nor the classical philosophy of technology's position, because the most needed thing at the moment to us is not choosing between the two, but right understanding of technology. We cannot live without it or be ignorant of it. The problem that we face occurs as we attempt to make the two positions either oppose each other or to reconcile. Since it turns out to be nothing but rhetoric. this attempt fails. Therefore, this thesis considers securing of the movement of speculation as the only posture we can take, which has the contents of pursuing democratizing specific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describing the future figure of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