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욕망과 계급의 기호학: 봉준호 감독 <기생충>의 이미지 연구

        왕정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봉준호가 연출한 <기생충>의 영상 세계는 독특한 욕망의 은유와 직관적인 사회 계층의 표현으로 제72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제92회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기생충>은 문화 간 전파를 이룬 고전적인 작품으로서 영상 기호와 계급, 권력, 욕망 등의 주제를 체계적으로 생성하여 계층과 욕망 분석을 위한 전형적인 텍스트가 되었다. <기생충>은 한국의 한 빈곤 계층 가정의 아들이 상류층 부잣집에서 가정교사를 하게 되는 것을 계기로 온 가족이 부잣집에 잠입해 상류층 사회에 기생하면서 벌어지는 우화적이고 황당무계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세계적 문제인 빈부 격차가 초래하는 결과뿐 아니라 빈자와 부자라는 대립적 인간성의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밝게 빛나는 사회 뒤에 숨겨져 알려지지 않은 어두운 면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영화 철학과 사회학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욕망과 계층의 관점에서 영화 <기생충>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영화의 주제인 인간적 욕망과 양극화된 계층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소개하고 기호학 및 욕망과 계급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봉준호 감독의 성장배경과 대표작을 소개하고 <기생충>의 텍스트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분석한 영화 텍스트와 영화 이론에 영상 기호를 결합하고 인물 기호, 장면 기호, 음성 기호에서 출발하여 영화 <기생충>에 담겨 있는 욕망의 기호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제4장에서는 <기생충>의 사회 계급을 탐구한다. 제3장에서 정리한 기호의 은유를 사회학에 접목하고 사회학과 영화 내용을 깊이 결합하여 의존 후의 사회 과정과 기생 상황에서의 사회적 배척, 약세에서의 사회적 대표를 통해 영화 속 사회 계급의 표현을 설명한다. 제5장에서는 <기생충>의 영상 언어를 분석하여 욕망 이론과 영화 미학을 영상 언어에 융합한다. 영화에서 욕망 표현에 사용된 권력화된 시각적 설계와 기괴한 청각적 예술 표현을 탐색하는 한편 영화에서 나타난 욕망 영상 언어의 독특한 미학적 특징을 정리한다. 제6장에서는 봉준호 감독의 창작 스타일과 시사점을 탐구한다. 앞의 몇 장에서 살펴본 바를 정리하고 <기생충>의 창작 스타일로 대표되는 봉준호 감독의 독특한 창작 스타일, 즉 사회 의식의 주입과 영화 철학의 해석을 요약한다. 또한 미래의 젊은 영화 창작자에게 주는 시사점을 되돌아본다. 제7장은 연구의 결론으로 전체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명확히 밝히는 한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여 후속 연구에 대해 건의와 시사점을 제시한다. With its unique metaphor of desire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social class, the visual world of Bong Joon-ho's The Parasite won the Palme d'Or at the 72nd Cannes Film Festival and the 92nd Academy Award.At the same time, Parasite, a classic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has a systematic generation of visual symbols and themes of class, power and desire, making it a typical text for the analysis of class and desire. The film "Parasite" tells the allegorical and absurd story of a poor family of the lower class in Korea who take the opportunity of their son's tutoring in a rich family of the upper class to infiltrate the rich family's home by hiding their identities and living as parasites in the upper class.The film not only reveals the consequences of the worldwide dispar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ut also reflects the human nature of the two opposing sides of the wealthy and the poor, so to speak, and uncovers the hidden dark side of a glamorous society.Based on the philosophy and sociology of cinema, this thesis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film Parasite in terms of desire and class, and explores the film's themes of human sexual desire and polarised representations of class in the film Parasite. This thesis consists of seven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need,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nd provides a prior study of semiotics and desire and class.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director Bong Joon-ho's upbringing, his representative works and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text of Parasite.In the third chapter, after a deep analysis of the film text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y of desire is used as a basis for an in-depth study of the symbols of desire in the film Parasite, based on the theories of desire combined with the symbols of images, starting with the symbols of characters, scenes and sounds.Chapter 4 is about social class in the film Parasite. This chapter introduces the symbolic metaphors that emerged in Chapter 3 into sociology, combining sociology with the content of the film in depth, illuminating the expression of social class in the film in terms of social processes after attachment, social exclusion under parasitism, and social representation in vulnerability.Chapter 5 is an analysis of the language of images in Parasite, incorporating theories of desire as well as film aesthetics into the language of images. It explores the visual design of power and the grotesque aural art used by the director in the representation of desire during filming, and draws out the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lm's image language under desire.Chapter 6 is about director Bong Joon-ho's unique creative style and inspiration. It is a summary and inspiration of the previous chapters, taking the creative style of The Parasite as a representative, and summarising the unique creative style of director Bong Joon-ho, i.e. the implantation of social consciousness and the interpretation of film philosophy. It also reflects on the inspiration for future young film-makers.Chapter 7 i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hich summarises the whole study and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points out its limit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and inspir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 한국 기생충 관리 사업의 초국적 네트워크, 1950~2000년대

        정준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한국의 기생충 관리 활동에 주목하여, 기생충을 둘러싼 초국적 네트워크 속에서 기술과학이 생산, 실행, 유통되는 과정을 살핀다. 냉전, 탈냉전과 같은 거시적인 지정학적 배경 가운데 일어난 사회적 조건들의 변화와 일본, 미국,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 등 다종다양한 네트워크의 연계를 한국의 기생충 관리 사업이라는 기술과학이자 지식체계를 만들어낸 중요한 배경으로 살피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해방 후 현대 한국의 사회, 정치, 경제적 변화 속에 보건의료 사업을 위치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보건의료 사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손꼽히는 기생충 관리 사업은 일반적으로 1969년부터 1995년까지 진행되었던 ‘기생충박멸사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총 연인원 3억 명 이상을 검사하고 투약했던 기생충박멸사업은 탈식민지 시기 한국의 국가 형성 과정에서 대중동원을 통해 이루어졌던 보건의료 사업의 일례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생충 관리 사업을 국경을 넘나들며 이루어진 기술과학의 순환과 전용의 과정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한국 기생충 관리 사업의 변천을 추동한 요인들을 초국적(transnational)인 맥락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초국적 기술과학 네트워크(transnational technoscience network)'를 통해 기생충학자들과 활동가, 지식과 기술, 도구, 기생충 등 다양한 행위자들 속에서 기생충 관리 사업의 성공과 실패가 어떻게 실천되고 의미를 얻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해방 후 기생충 감염은 미군정과 선교사들을 통해 문제화 되었으며, 한국 사람들의 초국적 이동을 통해 시각화 되었다. 기생충이 주요한 보건의료 문제라는 공동의 인식을 기반으로 기생충 관리 사업이 형성되는 과정은 국경을 넘어 일어난 인구 이동, 국제적인 개발협력 방침의 전환, 관리 기술의 전용, 대중들의 참여와 반발, 기생충 분포의 생태적 변화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지정학적 변화 속에서 이루어진 기생충 관리 사업의 국제적 교류는 사업을 체계화하고 현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했을 뿐 아니라, 사업의 대상과 방법, 내용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기생충 관리 사업에 참여한 기생충학자들과 활동가들은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집단검진 집단구충’이라는 공동의 기술과학 체계이자 지식 생산 기반을 구성했다. 동시에 이 연구는 이러한 지식 생산과 기술의 실천 과정에 일반 대중의 참여와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기생충 관리 사업을 초국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경험이 아시아라는 보다 넓은 지역적 범위와 영향력 속에서 나타난 것임을 보여준다. 이는 기술과학적 지식과 실천이 다양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며, 그러한 실천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시간이 기생충 관리 사업의 현재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었음을 의미한다. 기생충 관리 사업이란 의학자와 활동가, 대중 뿐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도구들, 기생충과 같은 생태적 환경들의 상호작용 가운데 형성된 산물이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한 국가의 경계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지역, 환경, 기생충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며 지속적으로 재구성되어 왔다. 기생충 관리에 대한 지식의 구성은 실험실이나 대학 내에서의 연구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생충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기생충 관리 사업에 참여하며 연관된 지식과 기술들을 구성해 나갔던 것처럼, 이러한 활동들은 현실의 대중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실험실에서 구성된 지식들이 외부의 현실과 만나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사회적, 문화적, 생태적 요인에 따라 그 지식의 실천을 변형해 왔다. 또한 기생충 관리 지식과 기술의 적용은 이러한 외부 환경의 반발과 저항에 대응하며 만들어졌다. 한국을 비롯해 여러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기생충학과 기생충 관리 사업은 이러한 지식들이 다양한 행위자와 조응하며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창이다.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from the 1950s to the 2000s, with emphasis on the process of technoscientific production, practice and circulation in a transnational network surrounding parasites. This is to plac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as technoscience and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among connection of various networks such as Japan, the United States,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nd Africa. Also this study looks into geopolitics that changed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as background.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locate the public health measures in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of modern Korea.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health care movement in Korea. This ‘Parasite Eradication Program' which was conducted from 1969 to 1995, involved testing and treating of 300 million people. This showed an example of a health care project that was conducted through mass mobilization during the post-colonial nation building period. This study tries to grasp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as a process of circulation and appropriation of technoscience that occurred across the border in the backdrop of geopolitics. This study employs transnational approach to contextualize factors that shaped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Based on this, through the ‘transnational technoscience network',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gram was practiced and gained meaning among various actors such as parasitologists, activists, knowledge, skills, tools, and parasites. After 1945, parasites was problematized by visualizing parasites in the Korean body through transnational movements of peopl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based on the common perception that parasites were a major health problem, was developed by interaction of trans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shift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transfer of management technologies, public participation and resistance, and ecological changes in parasite distribution. Transnational exchange allowed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to be systematized, but also had an major impact on the object, method and content of the project. In cooperation with Japan, Parasitologists and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formed a common system and a basis for knowledge production called the ‘Mass Testing, Mass Treatmen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 to show that th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the general publi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knowledge production and practice of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the public actively participated in knowledge production. They were not passive recipients of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 But parasitologists and activists continued to interact with them to change and adapt their knowledge in the course of program implementation. Analyzing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from transnational perspective shows that Korea's experience emerged from the wider geographical area and influence. This means that knowledge and practice were conducted in range of spaces, and that the space and time in which such practice is carried out allowed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to be currently relevant. This study looks at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as a product of transnational interactions among activists, public, technologies and tools, as well as ecological environments such as parasites in the geopolitical context.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 the previous historical analysis on public health programs, which was mainly looked at in a national context. Also this emphasis that the practice of knowledge has been continuously transformed by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that occurs across the borders. These interactions was not limited to national boundaries but continuously expanding their scope to new regions, environments, and parasites for re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about parasite control did not consist solely of research in a laboratory or university. Just as parasitologists continually engaged in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and built up the knowledge and skills involved, these activities aimed to be applied and practiced in the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where knowledge constructed in a laboratory meets external environment, researchers modified the practice according to appropriate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parasite control knowledge and technology was made in response to the resistance. The parasitology and parasite control program, which conducted across the nations, is a window to show how these knowledge was structured in coordination with variety of actors.

      • 봉준호 감독 <기생충>의 서사 특징에 대한 연구

        라한명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2019년 5월 25일 한국감독 봉준호의 영화<기생충>은 칸 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이 것은 한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화 대상을 받은 것이다. 수상 후에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바로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에서 공개적으로 글을 올려서<기생충>의 제작진에게 축하의 뜻을 전달했다. 2020년 2월 10일 <기생충>은 또다시 제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국제 영화상, 최우수 원작 각본상 4개 부문의 대상을 모두 거두어들여서 이번 아카데미에서 최대 승자가 되었다. 또한, 역사상 최초로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비영어 영화가 되었다. 영화는 지하실에 살아 있는 기택가족이 생존을 위해 상류층에 기생하여 뜻밖에 기생계획의 최대 걸림돌인 빈부격차와 계급갈등 때문에 빈부 두 가정의 비극적 갈등을 초래하는 스토리를 다룬다. 봉준호는 한국의 유명한 감독과 각본가이다. 미국 영화 언론매체는 봉준호 그 자체가 바로 하나의 영화 유형이라고 높이 평가한 적이 있었다. 다른 감독과 다른 것은 봉준호의 영화는 하층 생활, 계급 격차, 자본 착취 등 현실사회의 주제로 하층민의 형상화를 통해 시대적 상처 밑의 공동 기억을 밝여 낸다. 최근 몇 년간 봉준호 감독은 국제 영화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각종 유명 국제 영화제에서 관심을 많이 받고 상업 분야와 예술 영화 분야에도 영향을 크게 미친다. 본 논문은 주로 영화<기생충>의 서사 주제,서사 내용, 서사 구성, 시청각 언어, 영화적인 가치를 통해 봉준호 감독 영화의 특징을 분석하기로 한다.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총 7장으로 나뉜다. 서론인 제 1장은 논문 제목 선정의 연구 배경과 의미, 영화<기생충>의 연구현황, 연구 방법과 범위를 소개한다. 영화<기생충>의 서사 주제인 제 2장은 상류층에 기생하는 것을 주요 줄거리로 함, 인간적 욕구와 사회 현황의 갈등, 블랙코미디로 사회에 대한 비웃음의 세 부분을 포함한다. 영화<기생충>의 서사 내용인 제 3장은 주로 인물을 중심으로 한 서사, 줄거리를 중심으로 한 서사, 현실적인 제재를 중심으로 한 서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영화<기생충>의 서사 구성인 제 4장은 영화<기생충> 서사에 대한 서스펜스(suspense)분석, 디테일(detail)분석, 리듬(rhythm)분석으로 전개한다. 영화<기생충>의 시청각 언어인 제 5장은 다양화의 배경 소리, 언어 서사의 예술적인 매력, 감정 풍부한 색채 예술을 위주로 해서 시청각 언어를 통해 영화의 서사특징을 분석한다. 제 6장은 영화<기생충>의 상업 가치, 예술 가치와 문화 가치의 분석을 통해 사람들을 더 효과적으로<기생충>의 영화 의미와 영화가치를 이해하게 한다. 제 7장은 본 논문의 연구에 대한 총결과 <기생충>이 영화인들에게 준 가르침,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한다. <기생충>은 감독의 창작에 의한 작품으로 실증을 찾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 영화의 매력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해 매우 유감스럽다. On May 25, 2019, the film <Parasite> directed by South Korean director Bong Joon-ho won the Golden Palm at the Cannes Film Festival.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Korean film has won a trophy of the world's highest gold content film. After winning the award,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congratulated the <Parasites> crew immediately in public. On February 10, 2020, the <Parasite> won the 92nd Oscar for Best Film, Best Director, Best International Film, and Best Original Screenplay. As the biggest winner of this Oscar, it also became the first foreign language movie ever to win Best Picture at the Oscars. The film tells the story of a Kize family living in a semi-basement in order to survive in the upper society. Unexpectedly,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class contradictions became the biggest obstacle to the parasitic plan, and eventually caused the family of the rich and the poor to die. Bong Joon-ho is a famous director and screenwriter in South Korea. The American film media has given him a highly complimentary remarks. The American media said that `Bong Joon-ho is a type of movie in himself.' What makes him different from other directors is that Bong Joon-ho's film focuses on real society issues such as life at the bottom, class differences, capital exploitation and other issues, and uncovers the common memories of the trauma of the times through the shaping of the small people at the bottom. Director Bong Joon-ho has emerged in the international film industry in recent years. The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ave paid attention to him who has have great influence in the commercial field and the art film field. The thesis is divided into seven chapters, mainly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directed by Bong Joon-ho by analyzing the narrative theme, narrative content, narrative composition, audio-visual language and the value of the film <Parasitic>. The content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introducing the research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selected topic, the research status, research methods and scope of the film <Parasis>. The second chapter is the narrative theme of the film <Parasitics>, which includes three parts: the parasitic upper stream, the conflict between human needs and social status, and the mocking of society under black humor. The third chapter is the narrative content of the film <Parasitics>. This chapter mainly studies from three aspects: the narrative around the characters, the narrative around the plot, and the narrative around the realistic theme. The fourth chapter is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the film <Parasitic>. This chapter analyzes the narrative suspense, narrative details and narrative rhythm of the film <Parasitic>. The fifth chapter is the audio-visual language of the film <Parasitic>. Through the diversified background sounds, the artistic charm of the language narrative and the emotionally rich color ar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rough the audio-visual language. The sixth chapter i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mercial value, artistic value and cultural value of <Parasit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film <Parasite> effectively. The seventh chapter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ly, it summarizes the whole study. Secondly, the inspiration of <Parasite> to filmmakers. Finally, it analyzes the shortcomings of this study.

      • 한국과 일본의 기생충 질환 퇴치의 역사

        박영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거위가 없으면 말을 못 한다”, “거위가 없으면 밥맛이 없고 거위가 하나도 없으면 죽는다.”여기서 거위는 회충을 뜻한다. 회충을 비롯한 기생충은 오랜 세월 우리 조상들과 함께 해왔다. 기생충에 대한 과거 일반 대중의 인식은 예전부터 구전되어온 위의 두 문장으로 유추해 보건대 다른 질병에 비해 비교적 큰 피해를 주지는 않는, 또한 없애고 싶으나 없앨 수 없는 더불어 사는 생물이라는 관점이 주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농경사회로 특히 토양매개성 기생충 질환이 만연하였다. 하지만 1964년 ‘기생충박멸협회’라는 사단법인이 생겼고 1966년 ‘기생충 질환예방법’이 제정되어 전 국가적인 ‘기생충박멸운동’이 벌어지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기생충박멸운동은 환경개선, 보건 교육 및 계몽 운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러나 여러 사업들 중 주를 이룬 것은 기생충박멸협회에서 추진한 학교를 위주로 한 집단검사와 집단구충사업이었다. 국가적인 정책시행과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우리나라의 기생충 박멸운동은 성공을 거두게 된다. 우리나라의 기생충 박멸운동은 이보다 조금 앞선 시기에 기생충 질환에 대한 대비책을 시행했던 일본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의 1920년대 대변검사에 의한 기생충 충란 양성률은 73.8%에 달했으나 1931년 ‘기생충 질환예방법’을 제정하는 등의 노력으로 1943년에는 대변 검사상 충란 양성률이 41.1%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 말인 1945년 58.1%로 다시 상승했고 1949년에는 73.1%로 다시 1920년대 수준의 양성률을 보였다. 일본은 우리나라에 앞서 1958년 ‘학교보건안전법’을 제정하면서 이 법에 학생들을 위한 기생충 질환 대비책을 포함시켰고 한국의 기생충 박멸 운동과 유사한 ‘회충 제로 작전(回虫ゼロ作戦)’ 등의 사업을 통해 일 년에 2회 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한 단체 검변 및 양성자 대상 구충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터득한 전문지식을 1968년부터 1976년까지 시행된 토양전파기생충 관련 국가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나라에 전파했다. 우리나라는 기생충박멸협회가 생긴 1960년대 이후 기생충 감염률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1990년대 말에는 일본과 비슷한 수준인 2%대로 떨어졌다. 한국은 보다 먼저 기생충 질환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사업을 펼친 일본의 영향을 받아 1964년 기생충박멸협회의 설립, 1966년 기생충질환예방법 제정 및 공포를 시작으로 전국적인 박멸운동을 벌였고 일본과 비슷한 방식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 검변 및 구충사업 등을 실시했다. 일본제국주의의 기생을 경험하였던 한국은 전국적인 기생충 박멸운동의 과정에서 ‘기생충’만이 아닌 ‘기생하는 존재’에 대한 혐오의 감정을 가지게 된다. 기생충박멸운동 이전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되던 기생충이 혐오의 대상이 된 것은 언론매체를 통한 대중의 인식변화가 주효하였다. 기생충질환은 결핵, 성병과 함께 삼대민족독(三大民族毒)중 하나였으며 기생충박멸은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에서 ‘윌리엄 H. 맥닐’이 언급한 미시기생과 거시기생의 관점에서 한국은 미시기생(微視寄生) 개념의 기생충 질환만이 아닌 사회적 기생충의 박멸을 설파하며 인간기생충 박멸 강조기간을 설정해야 한다는 거시기생(巨視寄生)의 혐오에 관한 담론이 형성되었다.

      • 강원도 기생충감염 실태조사 및 예방관리체제의 발전방향

        박옥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Parasitic Infections and Improvement of Preventive Management System in Gangwon-do Ok-Hee Park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Public Administration Kwan Dong University Academic advised by professor MOON-KIL SONG,Ph.D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arasitic infections in Gangwon-do based on the data from nationwide survey for the prevalence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s in Korea from 1971 to 2004. And then epidemiological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estimate the exact status of parasitic infections in inhabitants and intermediate hosts in some areas of Gangwon-do. Total eggs positive rate of Gangwon-do was lower than that of whole country in 1970's, 1990's and 2004 except 1980's. Infection rates for Ascaris lumbricoides and Trichuris trichiura in Gangwon-do were very similar with those in whole country in 1970's and 1980's. However, infection rate of hookworms in Gangwon-do was always higher than that in whole country. Egg positive rate of Clonorchis sinensis of Gangwon-do was higher than that of whole country in 1970's, but it was always lower then that of whole country after 1980's. A total of 3,919 stool samples (one stool sample per an inhabitant) were colleceted from Chuncheon-shi, Inje-gun, Hongcheon-gun and Gosung-gun, and examined by the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c. Helminth eggs and protozoan cysts were detected in 46 inhabitants (1.2%). C. sinensis eggs were found in 31 (0.8%) stool samples, eggs of heterophyid flukes in 4 (0.1%), and Diphyllobothrium latum eggs in 3 (0.08%) persons. Total 4 kinds of human infecting trematode metacercariae, i.e C. sinensis, Metagonimus spp. Centrocestus armatus and Echinostoma hortense, were detected in freshwater fishes from Inje-gun, Hongcheon-gun and Chulwon-gun. Metacercariae of C. sinensis were found in only 3 Pungtungia herzi from Chulwon-gun, the average metacercarial number was 2 per infected fish. Those of Metagonimus spp. were detected in Zacco platypus from Inje-gun and Hongcheon-gun, and in 11 species of fish from Chulwon-gun. C. armatus metacercariae were found in Z. platypus, Zacco temminckii and Acheilognathus signifer. E. hortense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Coreoperca herzi. Metagonimus yokogawai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44 (55.7%) out of 79 sweetfish collected from 5 streams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The average metacercarial density was 116 per infected fish. No metacercariae were found in 14 sweetfish collected from Bukcheon in Gosung-gun. However, they were detected in 2 (13.3%) sweetfish from Mongpacheon in Kosung-gun, in 3 (30.0%) from Ssangcheon in Sokcho-shi, in 20 (100%) from Namdaecheon in Yangyang-gun, and in 19 (95.0%) from Yeonkokcheon in Gangnung-shi. No helminth larvae, plerocercoid of D. latum and metacercariae of trematode, were found in 81 fishes of 4 species, Hypomesus olidus, Acanthogobius flavimanus, Acanthopagrus schlegelii, and Tribolodon hakonensis, collected from Lake Hwajinpo. In questionnaire survey for inhabitants in Gosung-gun, 33.0% respondents have been eat raw freshwater fish, 43.5% have been recognize that clonorchiasis is caused by the eating raw freshwater fish, and 59.0% have been know that parasite infections are originated by the consumption of raw freshwater fish. Lots of respondents did not know that they were infected with parasites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they wanted to be taken antihelminthics regularly. They did not have awakening on the risk of parasite infections because of opportunities on the mass control program and health education for parasitic diseases were not given to them in the past. Conclusively, parasitic infections in Gangwon-do are no more public health problems of inhabitants by the following reasons. Although infection rates of intestinal helminth of Gangwon-do we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whole country in 1970' and 1980', they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whole country after 1990's. The Kangwon-Do area parasite infection far is showing 1.2% low-end infection rate which does not reach in nationwide average, also human body infection and intermediate host investigation of this research is showing a low-end infection rate, about reinfection about management and following management evaluation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point the remedy excellent extermination of insects effect the boy insect column cultivation rate does not decrease is the thing well in spite of on a large scale from the infected district. That about popularity area reexamination at the time of following management the revaluation program development necessity is about education and the treatment for an evaluation, becomes feed. Parasite infection remains the kindling and to be the same change which is environmental in compliance with the VIP of economy and social unstable etc. the unit only because being the possibility of being floating with the government from the hygienic agency according to fluctuation change of the parasite the infectious disease specialty manpower security will can be committed and infectious disease enterprising budget an evaluation result reflects opens to the public a measurement result about the result and applies a feedback when the result attention budget system which introduces, the many help will become is thought in parasite extirpation.

      • 영화 ‘기생충(봉준호, 2019)’ 시각화 연구 : 태국 ADAPTATION 을 위한 프로덕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CHERDCHU PIMKWAN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thesis is a visualization study focusing on stages and a character design, of the director Bong Joon-ho's movie called “Parasite” (2019, Korea). The movie portrays the conflicts between two Korean families which arose from the social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is article uses the film’s visual structure as an experiment of the visual language through the production design proces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symbols used in the original screenplay were studied and recreated into a Thai version of “Parasite”. The script was changed from Seoul, South Korea to Bangkok, Thailand. While keep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e same as the original, a new visual style of the production was changed to fit Bangkok which includes the geography, weather, society, and culture of Bangkok.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magining the Thai version of Bong Joon-ho's 'Parasite' for academic purposes only. The reason that the original film Parasite was able to gain globally acclaimed is due th how the director expressed a story about the urbanization of Seoul and included a semi-underground household for the poor. It also expressed the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populations which is a global problem conceptual thinking of the global society, In this study, Bangkok was being used as the framework because it also has problems of urban society(e.g., the dichotomy of economic inequality, which can be indicated by massive slums in downtown such as Klong Toey slum). However, this kind of slums do not exist in Seoul. Thus, the original movie "Parasite"is appropriate to be translated to a Thai visualization that resembles th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the two cities. To visualize the text of the film Parasite, the artwork is utilised as a part of the composition in the director's mise-en-sene and background, so theat it can play a role as an element that leads the story of the movie. In this paper, the production design process was based on the script of the original movie, the meaning of the film and the structure of the text were analyzed while considered the intention fo directori Bong Joon-ho.On this basis, the visual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milies who were completely differen in social status was translated to be a set design, constume design, lighting design, characters' movement design, and camera's aspect ratio, angle, and movement of the camera. As for a visual style of a 'look'of the film,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ole and meaning of the elements that lead certain incidents in the movie (such as a line, smell, Native American, Chapaguri(Korean food), stone, and fruit allergy) and then applied to Bangkok society per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Also, the topographical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Bankok were included with the problems in the society that arose from the economic inequality if Thailand (such as the poor in the slums, the weallthy people, and their way of living)then the new version of Parsitie is created. In addition, environmental factor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ow the new version differentiates from the original, Thailand has a very different climate from Korea, the rainy season in Thailand is mor severe. The climate in Thailand is also hot and humid. Therefore, the visualization in this paper such as the effect of the rain, flloded areas, the reptiles that come with the flood, and the seaction of each character was altered from the original. In the end, the production design in simultaneously acting as invisible art as well as visible art which interacts with the camera lens, characters, and lighting. And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elements of the mise-en-scene that drives the storyelling of the film. 본 연구는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빈부격차의 양끝에 있는 두가족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2019, 한국)을 바탕으로 한 시각화 연구이다. 프로덕션 디자인이 캐릭터가 살아가는 영화세계를 구축하는 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영화 기생충이 가진 스토리텔링의 비주얼적 구조는 영화의 시각언어를 실질적으로 실험하고 연구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특징과 영화 속 중요한 상징들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해석의 가능성들에 주목하고 이들을 실제 프로덕션 디자인작업속에서 구체적으로 풀어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의 배경을 태국의 수도 방콕으로 가져와 원작 영화의 기본 컨셉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두 도시의 지리, 사회, 문화 등의 차이에서 오는 특징들을 셋업해나가며 프로덕션의 시각적 스타일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담아 보았다. 원작 영화 기생충이 세계적인 공감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서울이 가진 현대도시로서의 보편성과 반지하처럼 지역적, 문화적 특징에 따른 특수성을 동시에 성공적으로 성취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배경이 된 태국의 수도 방콕은 경제적 불평등의 양극화라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도시 중 하나로서 서울에서는 볼 수 없는 거대한 빈민촌이 현대적 빌딩숲과 함께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좀더 극명하게 빈부의 격차를 한눈에 바라보게 하며 영화기생충의 세계관에 보편적 공감대를 확보하게 하면서도 지리적 변화에 따른 원작과의 시각적 공통점과 차별화를 동시에 구축하기 위한 디자인 연구를 구체화시키는데 적합한 도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학문적 목적만을 위해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의 태국버전을 가상하여 진행된 것이다. 영화 기생충의 텍스트를 시각화를 위해 미술이 배경으로서만이 아닌 감독의 미장센 속에서 다른 요소들과 결합하며 영화의 이야기를 끌어가는 요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선 원작 영화의 대본을 기본으로 기생충의 의미, 텍스트의 구조, 배경, 인물, 비, 날씨, 분위기 등을 봉준호 감독의 작품의도를 함께 고려하며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가족의 관계가 가진 시각적 구조, 즉 수직적 구조와 데칼코마니 적 구조를 프로덕션 디자인의 전 과정을 통해 공간, 오브제, 의상, 카메라, 캐릭터, 빛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며 프로덕션의 시각적 스타일, 즉 'look'을 셋업하는 동시에 캐릭터가 살 수 잇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영화 기생충의 세계를 만들어 나갔다. 시각적 스타일로는 '강조, 생략, 은유, 표현'과 같은 키워드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보다는 영화적 리얼리티 안에서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즉, 사건을 끌어가는 선, 냄새, 인디언, 짜파구리, 수석, 과일 알레르기 같은 중요한 요소들의 역할과 상징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원작과 맞게 방콕사회에 대입하고, 방콕의 지형적, 건축적 특징에 대한 리서치와 태국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사회의 문제점, 빈민촌과 부유층의 구성원과 생활방섹에 대한 리서치를 통해 영화의 세계를 물리적으로 건축하며 영화적 리얼리티를 위해 영화 기생충의 세계를 만들어 나가고자 실험하였다. 이 시각화의 전과정은 이미지 맵, 장면 스케치, 미니어처, 3D 프로그램을 활용해 공간디자인, 캐릭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영화는 카메라의 렌즈로 촬영되어 화면의 투사되는 표현 매체이므로 화면비율이나, 빛과 카메라와의 관계를 고려하며 작업해 나갔다. 이와 동시에 방콕의 고온 다습한 기후를 영화의 분위기와 공기를 원작과 차별화하는 가장 큰 요소중의 하나로 고려하였다. 영화 기생충은 '비'를 갈등과 극의 전환을 끌어내는 가장 큰 요소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태국 우기의 장마비의 특징에서'비'의 밀도, 무게, 양 등의 변화로 인한 캐릭터의 반응과 환경적 변화를 프로덕션 디자인에 영향을 주도록 끌어내며 지역의 차이에 따른 개별적 특징을 부여하도록 고려하였다. 직접적으로 보이는 '비'뿐만 아니라 원작과의 기후적 차이 또한 '공기의 밀도, 빛, 이끼, 곤충, 동식물, 칼라, 피부'에서처럼 영화의 세계의 물성들과 텍스처를 변화시키며 태국 ADAPTATION에서 연구되는 '영화 기생충의 세계'에 보이는 동시에 보이지 않는 환경적 변화, 즉 ㄷ영화의 톤 앤 매녀를 차별화하며 만들어낼 것이다. 이는 프로덕션 디자인이 건축처럼 구체적으로 보이는 미술만이 아닌 보이지 않는 미술로서 동시에 역할하고 있음과, 미술이 카메라의 구도와 움직임, 캐릭터의 움직임, 빛과 같은 요소들과 함께 반응하며 영화의 스토리텔링을 끌어가는 미장센의 한 요소임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전남지역 닭의 외부 기생충 감염 실태 조사

        김숙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오늘날 양계산업은 대형화 및 고밀도 집적사육 형태로 변화하면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외부기생충으로 인한 피해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닭 피부기생충에 대한 연구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잠재적으로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의 매개체로 작용하는 외부 기생충에 대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방제 대책이 없는 것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양계농가의 사육규모는 부업 수준을 벗어나 대규모 사육형태로 전업화됨으로써 효과적인 사양관리와 질병방제 대책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전남지역 양계농가를 대상으로 방문조사 및 병성감정 의뢰축에 대한 외부기생충 감염확인 등을 통하여, 사육규모 및 사육장의 형태에 따른 외부기생충의 감염상황을 조사하여, 이를 양계 질병예방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남지역 양계장 및 병성감정 의뢰축을 대상으로 실시한 닭 외부기생충 감염조사결과 총 99농가 중 63농가가 감염되어 63.6%의 감염률을 나타내었고, 감염된 외부 기생충 종류로는 닭붉은응애(Dermanyssus gallinae)와, 닭이(Menacanthus stramineus) 등 두 종류의 외부기생충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농가는 산란계 80농가, 육계 15농가, 토종닭 3농가, 종계 1농가 등이었으며, 산란계 80농가 중 63농가에 감염이 확인되어 78,8%의 감염률을 나타내었고, 육계, 토종닭, 종계농가에서는 외부기생충이 관할찰 되지 않았다. 사육규모별 감염률은 3만수 미만 농가에 75%, 3만- 6만수 농가는 53%, 6만 이상에 는 14%로 나타났다. 사육 형태는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의 두 가지로 구분되며, 모두 케이지 사육형태의 닭에서만 감염이 확인되었다. 기생충의 감염형태는 단일 감염이 61건(97%)으로 닭붉은응 (Dermanyssus gallinae) 60건, 닭이 (Menacanthus stramineus) 1건으로 나타났고, 닭붉은응애와 닭이가 중복감염된 것은 2건(3%)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에 닭 외부기생충으로 인한 감염이 모두 산란계농가에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의 육계농장에서 취하고 있는 평사사육 방식의 경우 입식에서 출하까지의 사육기간이 평균 8- 10주령으로 매우 짧은데다가 출하 후 대규모의 소독 및 살충제를 적용하고 있는 반면, 케이지 사육형태를 취하고 있는 산란계 농장의 경우 사육기간이 평균 1년 7개 월 정도로 길다는 점과 케이지 사육방식 및 약제독성으로 인한 산란율 저하우려 등의 특성상 살충제 및 소독제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양계농가에 지속적인 박멸작업에도 불구하고 근절이 되지 않는 외부 기생충에 대한 방제와 보다 효과적인 치료약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valence of hematophagous ectoparasites at poultry farms throughout Jeonnam Province were investigated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2002. A total of 99 poultry farms with an average of 35,000 heads per farms were visited for inspections, sampling and questionnaire interviews of owners. Birds grown in these farms were battery cage layers (n=80), floor-reared broilers(n=15), back-yard broilers(n=3), parent stock (n=1). The prevalent ectoparasites found were the red poultry mite (Dermanyssus gallinse) and the chicken body louse (Menacanthus stramineus). The two parasites were found only among battery cage layers(63/80, 78.8%) and none from other flocks. D. gallinse was found in 61 farms (61.6%) while M. stramineus was found from 2 farms (2%). Chickens from one farm were infested with both M. stramineus and D. gallinse.

      • 국내 사육곰의 기생충 감염과 충란 검사 방법에 관한 연구

        조경욱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6

        서울 경기 일원에서 사육중인 곰 240두를 대상으로 유효한 기생충란 검사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셀로판 후충도말법과 Formalin-Ether 원심침전법을 병행하여 장내 기생충란의 검출율과 표본수에 따른 충란의 검출기대율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국내 사육공의 기생충 감염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사육공의 기생충 감염율은 47.5%이었고, Ascaris spp.가 40.8%로 가장 높았으며, Taenia spp.가 27.1%, Opistorchis spp.가 5.8% 순으로 나타났다. 2. 충란검출기대율은 Agcaris spp.의 경우 CTS법에서 90.8%-92.9%로 나타났고, F-E법은 77.6%-84.7%로 나타나 비교적 낮았으며, Taenia spp.는 CTS법이 54.2-78.5%, F-E법은 39.6-60.0%로 나타났고, Opistorchis spp.는 CTS법에서 32.1-50.0%로 나타나 F-E법의 71.4-85.7%보다 낮은 검출율을 나타내어 Ascaris spp.와 Taenia spp.검출은 CTS법이 F-E법보다 우수하였다. 3. 곰의 종류별 감염상태는 흑곰이 가장 높아 57.1%로 나타났으며, 반달곰(53.2%), 백곰(50.0%), 불곰(32.8%), 말래이곰(25,0%)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기생충 종류별 곰의 감염상태는 Ascaris spp.는 말레이공이 100%, 불곰이 58.6%, 반달곰이 55.9%, 혹곰이 50.0%, 백곰이 28.6%순으로 나타났으며, Taenia spp.는 반달곰이 38.2%로 가장 높았으며, 불곰 34.5%, 백곰 28.6%, 흑곰 25.0%순이었고, Opistorchis spp.는 백곰이 가장 높아 42.8%, 이었고, 그 다음이 흑곰 25.0%, 불곰 6.9%, 반달곰 5.9%순으로 나타났다. 5. 사육장소별 기생충 감염상태는 동물원이 36,3%, 일반농가가 54.4%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efficient parasites egg examination of 240 heads of breeding bears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the Cellophane Thick-Smear technique(CTS) and the Formal 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F-E), investigate to compare the detectability of internal parasites with the expected egg detecta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mea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e of total parasitic infestation of breeding bears was 47.5% Ascaris spp. was 40.8%, the hightest, Taenia spp. 27.1%, and Opistorchis spp. 5.8% in each case. 2. The Expected Egg Detectability(EED) of Ascaris spp. by CTS technique was 90.8-92.9%, by F-E technique was 77.6-84.7%. In case of the EED of Taenia spp. by CTS technique was 54.2-78.5% and by F-E technique was 39.6-60.0%, by CTS technique for Opistorchis spp. was 32.1-50.0% and by F-E technique was 71.4-85.7%. In detecting Ascaris spp. and Taenia spp., CTS technique was better than F-E technique. 3. In the infestation rates of internal parasites of bear species, Black bears showed the highest infestation rates 57.1%, Moon bears(53.2%), Polar bears(50.0%), Brown bears(32.8%), Malayan sun bears(25.0%). 4. The infestation rates of the parasites in the collected specimen were 100% of Malayan sun bears, 58.6% of Brown bears, 55.9% of Moon bears, 50,0% of Black bears, 28.6% of Polar bears by Ascaris spp. In Taenia sp, Moon bears were the highest(38.2%), Brown bears 34.5%, Polar bears 28.6%, Black bears 25.0%. In opistorchis spp. Polar bears were the highest(42.8%)and Black bears 25.0%, Brown bears 6.9%, Malayan sun bears 5.9% in order. 5. In the infestation rates of breeding places, Zoo was 36.3%, and farm was 54.5%.

      • 한국 기생충학분야 주요 저자들의 연구성과에 대한 SCI 인용분석 연구

        이수환 淑明女子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국내 학자들이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들이 국제적으로 얼마나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연구업적 평가에 있어서 주요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얼마나 발표하는가와 더불어 그러한 논문들이 얼마나 국제적으로 인용되고 있는지가 주요 평가항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EDLINE에 등재되는 한국 의학학술지 6종중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이하 KJP)를 발행하는 기생충학분야를 선정하여, 이 분야의 주요 저자들이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들이 SCI 학술지 논문들에 의하여 어느정도 인용되는가를 측정하여 보았다. 1963년 KJP 창간 이후 1996년 12월 발간된 100호에 이르기까지 KJP에 논문발표를 많이 한 저자 30명, 즉 생산성이 높은 연구자를 주요 저자로 정의하고, 이들이 1998년 중반까지 발표한 논문 1,810편을 대상으로 DIALOG를 통하여 SCISearch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생충학분야의 주요저자 30명중에는 출신학교와 재직기관이 서울대인 저자가 15명 (50.0%)으로 가장 많았고, 1998년 현재 40대와 60대의 저자가 가장 많았다. 30명중 26명은 의과대학의 기생충학 교실에 소속되어 있는 학자이고, 기생충학과 관련된 다른 분야에 재직하고 있는 저자는 4명 이었다. 2. 한국 기생학분야 주요저자 30명의 논문 1,810편 중 1,730편 (95.6%)이 학술지에 발표되었고, 80편 (4.4%)이 비학술지에 발표되었다. 학술지 논문중 한국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93.1%이고, 외국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6.9%에 해당한다. 3. 한국 기생충학분야 저자들이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는 학술지는 역시 KJP로, 30명 저자중 26명이 KJP에 가장 많은 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었다. 4. 한국 기생충학 연구자들이 많은 논문을 발표하는 외국학술지는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earch, Journal of Parasitology,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 Hygine, Parasitology, Japanese Journal of parasitology, Medical Progres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의 7종이다. 5. 연구대상 논문 1,810편중 359편이 1회 이상 SCI 학술지 논문들에의하여 인용되었다. 이들 359편은 1998년 7월말까지 총 1,222회 인용되었다. 한국 기생충학 논문들이 SCI에 인용된 평균 인용횟수는 0.7회이고, 인용된 논문들의 평균 인용횟수는 3.4회이다. 가장 높은 인용률을 보인 저자는 조승열로 발표논문의 46.8%가 SCI에서 1회 이상 인용되었다. 6. 한국 기생충학분야 주요저자 30명이 발표한 총 논문에 대한 평균 인용률은 19.8%였다. 한국학술지 발표 논문의 인용률은 18.7%, 외국학술지 발표 논문의 인용률은 48.7%로, 외국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이 2.5배정도 더 많이 인용되었다. 7. 인용된 논문들의 인용횟수는 1회 인용되는 논문이 48.5%로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홍성태가 1991년에 발표한 논문으로 1998년 7월말 현재까지 67회 인용되었다. 8. 한국 기생충학 주요저자 30명의 논문 중 24편이 1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었다. 이는 총 논문수 1,810편의 1.3%에, 그리고 인용된 논문 359편의 6.7%에 해당한다. 이들 24편 중에서 외국 공저자가 있는 논문은 9편 (37.5%) 이었다. 9. 한국 기생충학 논문을 인용하는 저자들의 국가별 인용횟수는 한국이 26.2%, 외국이 70.9%, 한국과 외국이 함께인 경우는 2.9%로, 외국저자가 인용하는 경우가 3배 이상이었다. 10. 기생충학 주요저자 30명의 논문발표 시작연대는 20대이다. 각 저자의 논문이 가장 많이 인용된 해를 그 저자의 연구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로 인정한다면 기생충학분야 주요 저자들이 가장 왕성하게 연구하는 시기는 40대이다. 11. 공저자수가 1명인 논문 (단독논문) 은 326편 (18.0%) 이었고, 한국 기생충학 학자들의 발표 논문의 평균 공저자수는 약 3.3명이었다. 각 저자별로 논문을 같이 발표한 공저자수는 논문수에 비례하였다. 외국인 공저자는 155명으로 연구대상 문헌의 총저자수 2,954명의 5.2%에 해당한다. 위와 같이 종합해보면 한국 기생충학 분야는 KJP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문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상당히 인용이 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in how the world acknowledge the papers which is produced by Korean researchers. I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there are two major criteria. One is how often Korean scholars' articles ar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and the other is how often they are cited internationally. There are 6 Korean medical journals which can be searched in the MEDLINE, one of the most famous index data base for medical literature. This study was started by selecting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KJP), one of 6 Korean medical journals on MEDLINE. This study focused to check how often the papers of productive researchers are cited by SCI. This study chose 30 productive researchers after finding how many times they had published their articles in KJP from 1963 V.1 to 1996 V. 100. The results from researching 1810 papers up to 1998 through DIALOG, SciSearch are as follows; 1. Half of the 30 productive autors graduated from and works in 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26 of 30 productive authors belong to parasitology class in Medical Class. 4 are engaged in other field related to parasitology. 2. 1,730 of 1,810, total papers of 30 productive authors, were published in research Journal, whereas the others in non-research Journal.93.1% of them a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hereas 6.9% in foreign journals. 3. KJP is the most popular journal for the authors in which 26 have published their papers. 4. Foreign journals in which most papers of 30 authors was published are as follows;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earch, Journal of Parasitology,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 Hygine,Japanese Journal of parasitology, Medical Progres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5. 359 of 1,810 papers were cited more than 1 time by research journal. The number of citation by SCI is 0.7. Cho seung yol shows the highest citation rate (46.8%). 6. The average citation rate of the 30 authors' papers was 19.8%. The rate on Korean journal is 18.7%, whereas on foreign journal is 48.7%. The foreign journal is cited more than 2.5 times than korean journal. 7. Of the cited papers, 48.5% were cited 1 time. It was Hong sung tae's papers in 1991 that was cited the most highly, It was cited 67 times up to July 1998. 8. 24 papers, 1.3% of total 30 autors' and 6.7% of cited papers(359) were cited more than 10 times, of whose 9 papers(37.5%) have foreign co-authors. 9. The citation number in SCI can be analyzed by country. Korea is 26.2%, foreign countries are 70.9%, Korea together with foreign country is 2.9%. The foreign authors were cited more than 3 times than Korean. 10. Most of 30 authors started to write their papers in their twenties.They are most productive in research in their forties,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year when his papers are cited the most. 11. 326 papers (18.0%) were written by one author. The average co-authors for the Korean parasitology papers are 3.3, which made us infer that the number of co-authors hav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tal papers. I came to my conclusion that the Korean parasitology researcher are not only very productive with KJP, but also cited very frequently internationally.

      • 光州地方 畜犬의 內部寄生蟲 感染實態와 公共場所의 寄生蟲卵에 의한 土壤汚染 調査

        이재일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2 국내석사

        RANK : 247806

        개의 養便 등에 의하여 土壤이 汚染되는 경우가 흔하고 그러한 土壤의 汚染은 公衆衛生上 重要한 意義를 갖는 것이다. 本 論文에서는 먼저 光州地方에서 飼育되고 있는 畜大의 內部寄生蟲 感染實態를 調査하고, 이어서 寄生蟲卵과 幼蟲에 의한 公共場所의 土壤 汚染狀況을 調査하였다. 畜犬의 內部寄生蟲 感染狀況을 보면 總 對象例數의 73.5%가 各種의 寄生蟲에 感染되어 있었는데 家畜病院의 患犬과 集團養犬場의 畜犬들이 比較的 높은 寄生蟲 感染率을 보였다. 寄生蟲 가운데 가장 높은 感染率을 보인 것은 犬蛔蟲(23.7%) 이었다. 개의 年齡과 寄生蟲 汚染의 關係를 보면 콕시디아, 吸蟲類 및 蛔蟲類는 어린 개에서 感染率이 높았고 條蟲類, 鉤蟲類는 成犬에서 感染率이 높았다. 光州一圓의 公共場所에서 採取한 總 608例의 土壤材料 가운데 30例(4.9%)에서 寄生蟲卵이 檢出되었는데, 蒐集場所別로 보면 公園(10.3%)과 步道(7.9%)의 흙에서 比較的 높은 檢出率을 보였다. 그 밖에 公共놀이터나 學校運動場에서는 蟲卵檢出率이 낮거나 전혀 檢出되지 않았다. 한편 檢出된 幼蟲은 大部分 線蟲類이었으며, 主로 公園의 흙에서 檢出되었다. 土壤에서 檢出된 蟲卵의 大部分은 Toxocara spp. 이었고, 특히 步道의 흙에서 이 蟲卵의 높은 檢出率(4.6%) 을 보였다. The frequent finding of soil contamination by dogs' feces are remarkable, and such soil contamination can be public health problem. On that account,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infection rate of common internal parasites in Kwangju dogs during January to March, 1982 in the first part of the present studies. Dogs' feces were collected from veterinary hospitals, houses, intensive dog-rearing places and footpaths. On the basis of egg couning, of 464 fecal samples, 73.5% were examination positive. And dogs from veterinary hospitals and intensive dog-rearing places have higher rates of infection than others. Of the parasites detected, Toxocara canis was the most commonly encountered. And ascarids, flukes and coccidia were more prevalent in pups than in mature dogs, whereas hookworms were detected less often in young dogs than in older ones. There were significant(p<0.01) differences between age categories for all parasites except tapeworms. In the second part of the present studies,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soil contamination in Kwangju public places during April to June, 1982.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lay areas, school yards, parks and footpaths. Of 606 sample, 30(4.9%) were positive for nematode ova. 10.3% of soil samples from parks and 7.9% from footpaths were found to contain nematode eggs. Of the helminthes eggs detected, eggs of Toxocara spp. were the most commonly encountered, and mostly from the soil of footpaths. No eggs were recovered from the soil of school yards; the level of soil contamination was low in public areas. Egg recovery rate of the soil to dogs' feces collected from footpaths was approximately 1:5. And the larvae demonstrated from the soil in the present study were nematode larvae, mainly recovered from p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