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기생충학분야 주요 저자들의 연구성과에 대한 SCI 인용분석 연구

        이수환 淑明女子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국내 학자들이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들이 국제적으로 얼마나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연구업적 평가에 있어서 주요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얼마나 발표하는가와 더불어 그러한 논문들이 얼마나 국제적으로 인용되고 있는지가 주요 평가항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EDLINE에 등재되는 한국 의학학술지 6종중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이하 KJP)를 발행하는 기생충학분야를 선정하여, 이 분야의 주요 저자들이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들이 SCI 학술지 논문들에 의하여 어느정도 인용되는가를 측정하여 보았다. 1963년 KJP 창간 이후 1996년 12월 발간된 100호에 이르기까지 KJP에 논문발표를 많이 한 저자 30명, 즉 생산성이 높은 연구자를 주요 저자로 정의하고, 이들이 1998년 중반까지 발표한 논문 1,810편을 대상으로 DIALOG를 통하여 SCISearch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생충학분야의 주요저자 30명중에는 출신학교와 재직기관이 서울대인 저자가 15명 (50.0%)으로 가장 많았고, 1998년 현재 40대와 60대의 저자가 가장 많았다. 30명중 26명은 의과대학의 기생충학 교실에 소속되어 있는 학자이고, 기생충학과 관련된 다른 분야에 재직하고 있는 저자는 4명 이었다. 2. 한국 기생학분야 주요저자 30명의 논문 1,810편 중 1,730편 (95.6%)이 학술지에 발표되었고, 80편 (4.4%)이 비학술지에 발표되었다. 학술지 논문중 한국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93.1%이고, 외국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6.9%에 해당한다. 3. 한국 기생충학분야 저자들이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는 학술지는 역시 KJP로, 30명 저자중 26명이 KJP에 가장 많은 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었다. 4. 한국 기생충학 연구자들이 많은 논문을 발표하는 외국학술지는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earch, Journal of Parasitology,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 Hygine, Parasitology, Japanese Journal of parasitology, Medical Progres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의 7종이다. 5. 연구대상 논문 1,810편중 359편이 1회 이상 SCI 학술지 논문들에의하여 인용되었다. 이들 359편은 1998년 7월말까지 총 1,222회 인용되었다. 한국 기생충학 논문들이 SCI에 인용된 평균 인용횟수는 0.7회이고, 인용된 논문들의 평균 인용횟수는 3.4회이다. 가장 높은 인용률을 보인 저자는 조승열로 발표논문의 46.8%가 SCI에서 1회 이상 인용되었다. 6. 한국 기생충학분야 주요저자 30명이 발표한 총 논문에 대한 평균 인용률은 19.8%였다. 한국학술지 발표 논문의 인용률은 18.7%, 외국학술지 발표 논문의 인용률은 48.7%로, 외국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이 2.5배정도 더 많이 인용되었다. 7. 인용된 논문들의 인용횟수는 1회 인용되는 논문이 48.5%로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홍성태가 1991년에 발표한 논문으로 1998년 7월말 현재까지 67회 인용되었다. 8. 한국 기생충학 주요저자 30명의 논문 중 24편이 1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었다. 이는 총 논문수 1,810편의 1.3%에, 그리고 인용된 논문 359편의 6.7%에 해당한다. 이들 24편 중에서 외국 공저자가 있는 논문은 9편 (37.5%) 이었다. 9. 한국 기생충학 논문을 인용하는 저자들의 국가별 인용횟수는 한국이 26.2%, 외국이 70.9%, 한국과 외국이 함께인 경우는 2.9%로, 외국저자가 인용하는 경우가 3배 이상이었다. 10. 기생충학 주요저자 30명의 논문발표 시작연대는 20대이다. 각 저자의 논문이 가장 많이 인용된 해를 그 저자의 연구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로 인정한다면 기생충학분야 주요 저자들이 가장 왕성하게 연구하는 시기는 40대이다. 11. 공저자수가 1명인 논문 (단독논문) 은 326편 (18.0%) 이었고, 한국 기생충학 학자들의 발표 논문의 평균 공저자수는 약 3.3명이었다. 각 저자별로 논문을 같이 발표한 공저자수는 논문수에 비례하였다. 외국인 공저자는 155명으로 연구대상 문헌의 총저자수 2,954명의 5.2%에 해당한다. 위와 같이 종합해보면 한국 기생충학 분야는 KJP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문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상당히 인용이 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in how the world acknowledge the papers which is produced by Korean researchers. I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there are two major criteria. One is how often Korean scholars' articles ar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and the other is how often they are cited internationally. There are 6 Korean medical journals which can be searched in the MEDLINE, one of the most famous index data base for medical literature. This study was started by selecting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KJP), one of 6 Korean medical journals on MEDLINE. This study focused to check how often the papers of productive researchers are cited by SCI. This study chose 30 productive researchers after finding how many times they had published their articles in KJP from 1963 V.1 to 1996 V. 100. The results from researching 1810 papers up to 1998 through DIALOG, SciSearch are as follows; 1. Half of the 30 productive autors graduated from and works in 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26 of 30 productive authors belong to parasitology class in Medical Class. 4 are engaged in other field related to parasitology. 2. 1,730 of 1,810, total papers of 30 productive authors, were published in research Journal, whereas the others in non-research Journal.93.1% of them a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hereas 6.9% in foreign journals. 3. KJP is the most popular journal for the authors in which 26 have published their papers. 4. Foreign journals in which most papers of 30 authors was published are as follows; Arzneimittel-Forschung/Drug Research, Journal of Parasitology,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 Hygine,Japanese Journal of parasitology, Medical Progres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5. 359 of 1,810 papers were cited more than 1 time by research journal. The number of citation by SCI is 0.7. Cho seung yol shows the highest citation rate (46.8%). 6. The average citation rate of the 30 authors' papers was 19.8%. The rate on Korean journal is 18.7%, whereas on foreign journal is 48.7%. The foreign journal is cited more than 2.5 times than korean journal. 7. Of the cited papers, 48.5% were cited 1 time. It was Hong sung tae's papers in 1991 that was cited the most highly, It was cited 67 times up to July 1998. 8. 24 papers, 1.3% of total 30 autors' and 6.7% of cited papers(359) were cited more than 10 times, of whose 9 papers(37.5%) have foreign co-authors. 9. The citation number in SCI can be analyzed by country. Korea is 26.2%, foreign countries are 70.9%, Korea together with foreign country is 2.9%. The foreign authors were cited more than 3 times than Korean. 10. Most of 30 authors started to write their papers in their twenties.They are most productive in research in their forties,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year when his papers are cited the most. 11. 326 papers (18.0%) were written by one author. The average co-authors for the Korean parasitology papers are 3.3, which made us infer that the number of co-authors hav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tal papers. I came to my conclusion that the Korean parasitology researcher are not only very productive with KJP, but also cited very frequently internationally.

      • 혈청학적 복합진단항원용 간흡충 재조합 단백질 생산 및 검정

        신정국 중앙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47

        현재 간흡충증은 우리나라에서 감염율이 가장 높은 기생충성 질환이며 약 70-80만 명의 감염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간흡충증은 만성적 경과를 취해서 유행지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풍토병이다. 따라서 간흡충 감염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간흡충 감염자에 대한 혈청학적 진단에서 각 항원 단백질들은 특이도는 우수하였으나 민감도가 낮았다. 특히, 감염부하가 낮은 환자에 대한 진단율이 낮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혈청학적 진단용 항원이 필요하다. 민감도는 낮지만 특이도가 높은 재조합 단백질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생산하고 복합항원을 제조하여 혈청학적 진단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간흡충 cDNA library 제작하고 간흡충 특이 IgG 항체로 immunoscreening하여 양성 클론 45개를 정제하였다. 양성클론 중에서 open reading frame이 완전하고 pBlueScript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이 간흡충 감염혈청에 대하여 양성반응하는 10개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cDNA클론은 elongation factor-1 (EF-1), myosin regulatory light chain (MRLC), methylcrotonyl CoA carboxylase (CXL), tolloid (TLD), tropomyosin (Tm), phosphoglycerate kinase (PGK), 28 kDa glutathion S-transferase (28GST), 26 kDa glutathion S-transferase (26GST), migratory cell protein (MCP), repeatitive protein (RP)이었다.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선별된 cDNA클론의 coding region을 발현벡터에 subcloning하고 대장균을 형질변형시켰다. 대장균 배양액에 IPTG를 첨가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융합단백질 형태로 발현시키고 친화성칼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간흡충증, 폐흡충증, 유구낭미충증, 스파르가눔증 환자 혈청과 정상인의 혈청에 대하여 immunoblotting으로 재조합 단백질의 항원성을 검정하였다. 단일항원을 SDS-PAGE로 전개시키고 immunoblotting하였을 때, 재조합 단백질 Cs28GST와 Cs26GST는 간흡충 환자혈청 30% 및 10% 양성반응하였으며 다른 기생충 감염환자 및 대조군 혈청과 교차반응하지 않았다. 이 재조합 단백질들은 특이도가 높았으며 민감도는 낮았다. CsRP는 간흡충 환자혈청 80%와 양성반응하였으며 다른 기생충 감염환자 및 대조군 혈청 12 -21%와 교차반응하였다. 재조합 단백질 CsMRLC, CsCXL, CsTLD, CsTm, CsMCP는 간흡충증 환자혈청 25 - 45%와 양성반응하였으며 다른기생충 환자 혈청 10-43%와 교차반응하였다. 재조합 단백질 CsEF-1과 CsPGK는 간흡충증 환자 혈청뿐만아니라 다른 기생충감염자혈청 및 대조군 혈청 모두와 교차반응하였다. 재조합 CsPGK는 진단 kit의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이도가 우수한 재조합 단백질 Cs28GST와 Cs26GST 및 CsRP을 혼합하여 복합항원(cocktail antigen)을 제조하였다. Cs26GST와 Cs28GST의 복합항원은 민감도가 80%이고 특이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CsRP와 혼합하여 만든 복합항원은 민감도는 높았지만 특이도가 낮았다. 복합항원 Cs26GST+Cs28GST이 간흡충증에 대한 혈청학적 진단시약으로서 유용하였다.

      • 한국 기생충 관리 사업의 초국적 네트워크, 1950~2000년대

        정준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한국의 기생충 관리 활동에 주목하여, 기생충을 둘러싼 초국적 네트워크 속에서 기술과학이 생산, 실행, 유통되는 과정을 살핀다. 냉전, 탈냉전과 같은 거시적인 지정학적 배경 가운데 일어난 사회적 조건들의 변화와 일본, 미국,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 등 다종다양한 네트워크의 연계를 한국의 기생충 관리 사업이라는 기술과학이자 지식체계를 만들어낸 중요한 배경으로 살피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해방 후 현대 한국의 사회, 정치, 경제적 변화 속에 보건의료 사업을 위치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보건의료 사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손꼽히는 기생충 관리 사업은 일반적으로 1969년부터 1995년까지 진행되었던 ‘기생충박멸사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총 연인원 3억 명 이상을 검사하고 투약했던 기생충박멸사업은 탈식민지 시기 한국의 국가 형성 과정에서 대중동원을 통해 이루어졌던 보건의료 사업의 일례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생충 관리 사업을 국경을 넘나들며 이루어진 기술과학의 순환과 전용의 과정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한국 기생충 관리 사업의 변천을 추동한 요인들을 초국적(transnational)인 맥락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초국적 기술과학 네트워크(transnational technoscience network)'를 통해 기생충학자들과 활동가, 지식과 기술, 도구, 기생충 등 다양한 행위자들 속에서 기생충 관리 사업의 성공과 실패가 어떻게 실천되고 의미를 얻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해방 후 기생충 감염은 미군정과 선교사들을 통해 문제화 되었으며, 한국 사람들의 초국적 이동을 통해 시각화 되었다. 기생충이 주요한 보건의료 문제라는 공동의 인식을 기반으로 기생충 관리 사업이 형성되는 과정은 국경을 넘어 일어난 인구 이동, 국제적인 개발협력 방침의 전환, 관리 기술의 전용, 대중들의 참여와 반발, 기생충 분포의 생태적 변화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지정학적 변화 속에서 이루어진 기생충 관리 사업의 국제적 교류는 사업을 체계화하고 현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했을 뿐 아니라, 사업의 대상과 방법, 내용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기생충 관리 사업에 참여한 기생충학자들과 활동가들은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집단검진 집단구충’이라는 공동의 기술과학 체계이자 지식 생산 기반을 구성했다. 동시에 이 연구는 이러한 지식 생산과 기술의 실천 과정에 일반 대중의 참여와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기생충 관리 사업을 초국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경험이 아시아라는 보다 넓은 지역적 범위와 영향력 속에서 나타난 것임을 보여준다. 이는 기술과학적 지식과 실천이 다양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며, 그러한 실천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시간이 기생충 관리 사업의 현재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었음을 의미한다. 기생충 관리 사업이란 의학자와 활동가, 대중 뿐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도구들, 기생충과 같은 생태적 환경들의 상호작용 가운데 형성된 산물이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한 국가의 경계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지역, 환경, 기생충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며 지속적으로 재구성되어 왔다. 기생충 관리에 대한 지식의 구성은 실험실이나 대학 내에서의 연구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생충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기생충 관리 사업에 참여하며 연관된 지식과 기술들을 구성해 나갔던 것처럼, 이러한 활동들은 현실의 대중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실험실에서 구성된 지식들이 외부의 현실과 만나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사회적, 문화적, 생태적 요인에 따라 그 지식의 실천을 변형해 왔다. 또한 기생충 관리 지식과 기술의 적용은 이러한 외부 환경의 반발과 저항에 대응하며 만들어졌다. 한국을 비롯해 여러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기생충학과 기생충 관리 사업은 이러한 지식들이 다양한 행위자와 조응하며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창이다.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from the 1950s to the 2000s, with emphasis on the process of technoscientific production, practice and circulation in a transnational network surrounding parasites. This is to plac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as technoscience and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among connection of various networks such as Japan, the United States,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nd Africa. Also this study looks into geopolitics that changed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as background.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locate the public health measures in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of modern Korea.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health care movement in Korea. This ‘Parasite Eradication Program' which was conducted from 1969 to 1995, involved testing and treating of 300 million people. This showed an example of a health care project that was conducted through mass mobilization during the post-colonial nation building period. This study tries to grasp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as a process of circulation and appropriation of technoscience that occurred across the border in the backdrop of geopolitics. This study employs transnational approach to contextualize factors that shaped th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Based on this, through the ‘transnational technoscience network',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gram was practiced and gained meaning among various actors such as parasitologists, activists, knowledge, skills, tools, and parasites. After 1945, parasites was problematized by visualizing parasites in the Korean body through transnational movements of people.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based on the common perception that parasites were a major health problem, was developed by interaction of trans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shift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transfer of management technologies, public participation and resistance, and ecological changes in parasite distribution. Transnational exchange allowed Korean parasite control program to be systematized, but also had an major impact on the object, method and content of the project. In cooperation with Japan, Parasitologists and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formed a common system and a basis for knowledge production called the ‘Mass Testing, Mass Treatmen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 to show that th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the general publi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knowledge production and practice of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the public actively participated in knowledge production. They were not passive recipients of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 But parasitologists and activists continued to interact with them to change and adapt their knowledge in the course of program implementation. Analyzing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from transnational perspective shows that Korea's experience emerged from the wider geographical area and influence. This means that knowledge and practice were conducted in range of spaces, and that the space and time in which such practice is carried out allowed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to be currently relevant. This study looks at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as a product of transnational interactions among activists, public, technologies and tools, as well as ecological environments such as parasites in the geopolitical context.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 the previous historical analysis on public health programs, which was mainly looked at in a national context. Also this emphasis that the practice of knowledge has been continuously transformed by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that occurs across the borders. These interactions was not limited to national boundaries but continuously expanding their scope to new regions, environments, and parasites for re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about parasite control did not consist solely of research in a laboratory or university. Just as parasitologists continually engaged in the parasite control program and built up the knowledge and skills involved, these activities aimed to be applied and practiced in the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where knowledge constructed in a laboratory meets external environment, researchers modified the practice according to appropriate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parasite control knowledge and technology was made in response to the resistance. The parasitology and parasite control program, which conducted across the nations, is a window to show how these knowledge was structured in coordination with variety of actors.

      • 간흡충에서 분리된 pore-forming peptide 의 클로닝과 생물학적 특성분석

        이지윤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15

        간흡충증(clonorchiasis)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유행하는 기생충성 질환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민물고기를 생식하는 습관 때문에 5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넓은 유행지를 형성해왔으며 현재에도 대변검사로 진단되는 윤충 감염증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환이다(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Association of Health, 1997).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무성분열 증식과 유성생식을 번갈아 영위하는 흡충류의 일반적인 생활사를 영위한다. 종숙주의 분변에서 배출된 난원형 모양의 두꺼운 난각을 갖고 있는 충란이 담수에서 흘러 다니다가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왜우렁, Parafossarulus manchouricus)에 섭취된 후 패류 체내에서 miracidium, sporocyst 및 redia를 거쳐 발육하여 유미유충(cercaria)이 된다. 성숙된 유미유충은 제1중간숙주 체내를 빠져나와 물 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제2중간숙주인 잉어과 담수어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담수어 체내에서 유충 기관을 잃고 포낭에 싸인 피낭유충(metacercaria)이 된다(Higuchi, 1938). 종숙주는 이 피낭유충에 감염된 민물고기를 날로 섭취하면 감염된다(Chung et al., 1979). 종숙주에 섭취된 간흡충 피낭유충은 위의 소화액과 피낭유충의 작용으로 십이지장에서 탈낭한 후 유약유충이 총수담관을 경유하여 간내 담도로 이동하고 말단 소담관에서 성장한 후, 담도 중간부위로 이동하여 성충이 된다. 간흡충 감염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감염이 진행중일 때에는 권태감, 피로감, 식욕 부진, 복부불쾌감 등을 일으킨다. 중증 감염시 빈혈, 폐쇄성 황달을 일으키며 전신 중독증을 일으키기도 한다(Flavell, 1981). 또한 합병증으로 담석, 담관염을 일으킬 수 있다(Lee et al., 1981). 따라서 간흡충 감염의 조기 진단 및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성충은 담도에 지속적으로 물리적 자극과 대사산물, 분비물 등에 의한 화학적인 자극과 손상을 주어서 담도 상피세포를 파괴하고 담관벽에 섬유화를 일으키고 간실질 조직의 위축을 유발한다. 간흡충에 감염되면 담도에 물리적, 화학적 손상을 일으켜 담관 상피세포암의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Kim, 1984). 또한 충체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미세담도까지 병변이 확대되는 기전은 충체의 대사산물이 울체된 담즙을 따라 확산되기 때문이라고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전에는 특히 간흡충의 분비-배설물이 가장 강력한 항원으로 작용한다. Pore-forming peptide (PFP)는 거의 모든 동물의 세포에서 발견되며 미생물 등의 외래 생물에 대해 항생 작용을 하는 대체로 작은 분자이다(Boman, 1995). PFP는 외래 생물로 인해 자극을 받으면 체외로 분비(exocytosis)되고 외래 생물의 지질세포막에 구멍을 형성하여 손상을 주어 세포막을 경계로 물질의 이동과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pore를 통해 노폐물의 방출 및 영양분의 유입경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고있다. 이는 준비된 방어기전을 하는 선천성면역(innate immunity, nonadaptive immunity) 반응과 유사하며 목표물에 대한 특이성이 없고 항원 등외부자극에 접촉되자마자 발동된다. 많은 PFP는 세균을 비롯하여 효모, 곰팡이, 바이러스와 원충에까지 효과를 나타낸다(Boman, 1995; Ganz et al., 1999). 이러한 방어기전은 고등동물에서도 관찰되나 획득면역(adaptive immunity)의 발달이 미약한 하등동물에서 그 중요성이 더 크다. 이미 알려진 peptide들은 cecropin (나방; Hultmark et al., 1980), NK- lysin (돼지의 장; Andersson et al., 1995), magainin (개구리의 피부; Zasloff, 1987), andropin (초파리; Samakovlis et al., 1991), defensin (포유동물의 식세포; Lehrer et al., 1991) 등이 있으며 기생충에서는 amoebapore (Entamoeba hystolytica; Leippe et al., 1991), leishporin (Leishmania amazonesis, L. guyanensis; Noronha et al., 1996; Almeida- Campos et al., 2000), 편충 PFP (Trichuris trichiura; Drake et al., 1994), 간질 PFP (Fasciola hepatica; Reed et al., 2000)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도 개구리와 풍뎅이의 PFP에 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연구자들이 PFP를 숙주의 체세포에는 영향이 적고, 독성이 약하면서 외래 생물에 대해 뛰어난 항생 활성을 발휘하도록 합성 펩타이드를 만들어 항생제로 개발하고 있다(Leippe et al., 1994a; Andrä et al., 1996, 1999; Pütsep et al., 1999). 이미 MSI-78이라는 magainin은 피부와 눈의 감염에 대한 임상 시험을 마치고 FDA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두 종류의 다른 magainin은 항암물질로 개발을 하고 있다. 또한 PFP를 말라리아, 파동편모충 및 사상충 등에 대한 백신과 치료제로의 연구가 진행중이다(Ganz et al., 1999; Lee et al., 1998; Andreu, 1999; Boman, 1995) 본 연구에서는 간흡충 성충에서 클로닝된 유전자의 1차 구조에 근거하여 2차, 3차 구조를 예측하고 대장균에서 재조합 peptide를 생산하여 적혈구세포를 파열시키는 용혈능을 검정하며 혈청학적 진단항원으로서 유용도를 분석하여 생물학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간흡충으로부터 분비되는 물질을 분석하여 얻은 정보는 간흡충 감염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그중 간흡충의 PFP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정보는 기생충학뿐만 아니라 생물학, 의학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지견이 될 것이다.

      • 간흡충 성충 및 피낭유충 유전자 발현상 분석

        권오실 중앙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14

        정량적 real-time PCR 실험은 시료간의 RNA질, 반응을 시작하는 양 그리고 증폭효율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표준화 (normalization)를 해야한다.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reference 유전자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표적 유전자의 실험군간 상대적 발현양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발현양이 안정된 기준 유전자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흡충의 정량적 real-time PCR 실험용 reference 유전자를 비교-분석하여 선별하고자 하였다. 간흡충의 피낭유충 및 성충을 3 group으로 나누고 각각 total RNA를 추출하여 생물학적 반복 (biological triplicate) 실험을 실시하였다. 반응액에 SYBR Green I을 첨가하고 ABI prism 7000으로 정량적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간흡충 EST pool에서 선택한 reference 후보유전자 8개이었고 각 후보유전자의 C_(T)값은 2^(-ΔΔCt)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 실험에서 피낭유충과 성충 유전자 발현 비교에는 phosphoglycerate kinase, beta-actin, calcyphosine 유전자가, 피낭유충의 γ-ray 피폭 실험에서는 alpha-tubulin, small nuclear ribonucleoprotein, phosphoglycerate kinas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beta-actin, succinate dehydrogenase 유전자들이, 피낭유충의 담즙 처리 실험에는 small nuclear ribonucleoprotein과 phosphoglycerate kinase가 각각 reference 유전자로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확인된 간흡충의 발육단계별 발현량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reference 유전자는 phosphoglycerate kinase, beta-actin, calcyphosine이었다. 분석한 발육단계별 유전자 16개 중에서 성충에서 발현량이 더 많은 유전자는 28 kDa glutathione-S-transferase, fructose-1,6-bisphosphate 등 6개이었으며, 피낭유충에서 발현량이 더 많은 유전자는 endoplasmin, peptide chain release factor 3 등 10개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흡충을 이용한 정량적 real-time PCR 실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기준 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실험조건마다 실험을 통해서 기준 유전자를 3종 이상 선별하고 그 CT값의 평균을 2^(-ΔΔCt)법의 기준 유전자 C_(T)값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In analyses on gene expression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reference genes are employed to normalize a target gene expression. However, expression level of housekeeping genes is dependent on tissues, developmental stages and external stimuli. Validation on stability of reference genes at a given condition is prerequisite to compare and analyze relative expression level of target gen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Total RNA was independently extracted from three groups of C. sinensis metacercariae and adults. The Q-rt-PCR was performed using SYBR Green I and the ABI prism 7000. Eight candidate reference genes were retrieved from a C. sinensis EST pool. Amount of target mRNA was determined using 2^(-ΔΔCt) method. Reference genes evaluated good for comparison between developmental stages were phosphoglycerate kinase, beta-actin and calcyphosine, for γ-ray irradiation experiment were alpha-tubulin, succinate dehydrogenase, small nuclear ribonucleoprotein,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phosphoglycerate kinase and beta-actin, and for bile-treatment were small nuclear ribonucleoprotein and phosphoglycerate kinase. Through real-time PCR employing an average of the three reference genes as standard, 6 genes such as 28 kDa glutathione-s-transferase and fructose-1,6-bisphosphate were identified as overexpressed in the adult stage and 10 genes such as endoplasmin and peptide chain release factor 3 were in the metacercariae. Genes expressed higher in each developmental stage reflected well biological needs related to basic metabolism and adaptation to bile duct environment of C. sinensis in the final host. In conclusion, for quantitative comparison of C. sinensis gene expression using 2^(-ΔΔCt) method, most applicable normalization standard is an average of C_(T) values grow more than 3 reference genes validated at the same experimental settings.

      • 膽石의 細菌學的 및 奇生蟲學的 檢査

        배원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67 국내석사

        RANK : 247613

        The role of bacterial infection on the gall stone formation has been emphasized by many investigators. Moreover, in certain areas where particular parasites are heavily infested among population, the role of parasite also can be speculated. For the purpose to study the bacterial infection and parasites distribution in gall stone cases, author examined 34 clinical cases as following: 1) From bile samples 25 strains, and from stones 17 strains of microorganism belong to intastinal normal flora were isolated respectively. 2) The sensitivity test of isolated organism to common antibiotics were exhibited an usually accepted pattern. 3) Among the 34 stones, 7 samples contained Liver fluke eggs.

      • Molecular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repetitive peptides in Clonorchis sinensis

        김태윤 중앙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598

        간흡충의 cDNA library로부터 항원 단백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단순 반복 염기 서열을 갖는 cDNA들이 추출되었다. 분자생물학적, 면역학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반복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현재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cDNA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CsRP12, CsIH25, CsIH40 그리고 CsIH50이라고 명명된 이들 clone들은 상호간에 2차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했다. 그 중에서 CsRP12 펩타이드는 여러 진핵 생물에서 분비되거나 표면에 위치하는 항원 단백질과 유사성을 나타냈다. CsRP12 단백질의 분자량은 19.8 kDa, 등전점은 8.67로 각각 계산되었다. 발현 vector인 pRSET을 이용하여 대장균으로부터 재조합 CsRP12 단백질을 생산하고, Ni-NT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융합 단백질의 분자량은 37 kDa이었고, 이는 예상하지 못했던 frameshift 현상이 대장균 내 발현 과정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재조합 단백질은 간흡충증 환자 혈청과 100%의 반응을 나타내었고, 폐흡충증 환자 혈청과는 21%, 고충증 환자 혈청과는 12%, 그리고 유구낭미충증 환자 혈청과는 18%의 교차반응을 보였다. 간흡충 피낭유충으로 실험 감염시킨 후 2주 간격으로 회수한 토끼 혈청 중 감염 후 8주 혈청에서부터 이 재조합 단백질과의 반응이 나타났다. 이 재조합 단백질로 면역시킨 마우스 혈청은 간흡충의 불용성 분획 중 37 kDa, 35 kDa, 30 kDa 그리고 17 kDa의 단백질과 반응하였다. CsRP12 단백질은 간흡충 성충의 mesenchymal tissue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특히 tegumental membrane의 최외곽 부위와 seminal vesicle 그리고 장 상피에 다량으로 분포하였다. 재조합 CsRP12 C-말단 단백질은 간흡충증 환자 혈청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CsRP12가 간흡충증의 혈청학적 진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항원단백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윤충류의 반복 펩타이드의 분자생물학적, 면역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 지견을 제시한다. In the course of screening antigenic proteins of Clonorchis sinensis, the cDNAs containing tandem repeats were isolated from cDNA library. Since the repetitive peptides are emerging as the molecular biological and immunological molecul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partly their molecular biological characters. The clones CsRP12, CsIH25, CsIH40, and CsIH50 represented similar secondary structure each other. CsRP12 peptide showed identities to various secretory and surface molecules of some eukaryotes. Molecular mass and isoelectric point of CsRP12 was estimated to be 19.8 kDa and 8.67, respectively. A recombinant CsRP12 protein was expressed in E. coli using an expression vector pRSET, and purified through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 The purified protein appeared as 37 kDa in molecular mass suggesting that an unexpected reading frameshift might occur in the course of bacterial translation of the mRNA. Recombinant CsRP12 protein reacted with 100% of clonorchiasis positive sera. Crossreactions to pargonimiasis, sparganosis and cysticercosis were 21%, 12% and 18%, respectively. Antibodies against recombinant CsRP12 protein appeared 8 weeks after the infection in a rabbit. A mouse immune serum raised against the recombinant CsRP12 recognized 37, 35, 30 and 17 kDa molecules in insoluble particulate fraction of C. sinensis lysate. The native CsRP12 protein was widely localized in mesenchymal tissue of C. sinensis adult worm. Especially, outer tegumental membrane, seminal vesicle and intestinal epithelium represented large amount of it. Recombinant CsRP12 C-terminal peptides revealed no specific antigenicity to clonorchiasis patients ser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RP12 is a secretory protein and a useful protein for serodiagnosis of human clonorchiasi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molecular biological and immunological information on helminth repetitive peptides.

      • Molecular and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fasciola hepatica nucleotide-sensitive chloride current-inducing protein

        송기선 중앙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598

        간질 cDNA library를 스크리닝하여 염소전류조절단백질(ICln-Fh)을 코딩하는 cDNA 클론을 정제하였다. 이 cDNA가 코딩하는 단백질은 아미노산 231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2차 구조가 동물의 ICln과 유사하였다. 재조합 ICln-Fh단백질에 대한 마우스면역혈청은 간질조단백질에서 단백질밴드 한 개와 반응하였다. 진핵세포발현용 재조합플라스미드는 Kozak sequence를 ICln-Fh의 첫 번째 ATG 코돈 앞에 넣어서 제작되었으며 실험관에서 cRNA로 합성되었다. 이 cRNA를 콜라젠분해효소로 처리하여 난포막이 제거된 개구리 난자에 주입하고 재조합 ICln-Fh를 발현시켰다. 염소이온전류를 2전극전압고정법으로 기록하였다. 전류가 발현되는 성공률은 전류를 기록하기에 앞서 개구리 난자를 배양온도보다 높은 36℃에서 짧은 시간 동안 배양할 경우에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ICln-Fh이 발현된 개구리 난자에서 세포종창으로 유발되는 염소이온전류는 촉발되지 않았다. ICln-Fh으로 인한 염소이온전류는 세포외 염소이온을 gluconic acid로 치환하였을 때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ICln-Fh으로 유발된 핵산에 민감한 염소이온전류 (ICln-Fh)는 외향성 전류이며 빨리 비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ICln-Fh은 간질의 염소이온전류를 유발시키는 단백질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