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도행전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이경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modern people who met the age of change, can't live in the world without social welfare. Nowaday, Information, globalization, low employment, low growth, and aging society show us that the matter of welfare is not the one of the poor neighboring countries. Modern society's social welfare should get out of the classical and passive concept, so called optional welfare that gives benefits to the people of some class and become an universal one that support all the people. According to the changes, there has been studies at the church about the necessity that the church should participate at the social service program on the process of going toward the 2nd century missionary work by reestablishing the social missionary mission and renewal within the church. When we put the social welfare into practice, we should do it on the basis of christian thought which becomes the basic thought and spirit. Therefore, in order to inform that the present social welfare practice thought is based on the christian thought, we focused o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which, with the guide of Holy Spirit things, property and belongings were given to the widows, orphans, sick people, and the people who are pressured for their faith according to their necessities(ngs wer 2:44-45), and the crowd become united heartly and helped and served each other(Apostle 4:32-37). Above mentioned behaviors represents the christian thought. We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the christian thoughts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s follows. First, the love (the dignity of human) of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at of social welfare practice. Second, The serving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service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Third, Curing the sick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at of social welfare practice. Fourth, No poor people exist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equality of distribu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Fifth, Helping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means relief of social welfare practice. Sixth, Serving out something according to their necessities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that of social welfare practice. Seventh, Sharing the rice cake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that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Eighth, Getting together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association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Ninth, Taking pains and helping the weak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serving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Tenth, The blessed are the givers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the fortune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Namely, the christian thoughts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social welfare practice. I suggested the model of the study at the chart 5, chart 6, chart 7 ... chart 14 in detail about the analysis of the content that the basic thought and spirit for the social welfare practice was done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thought. Therefore, we could confirm at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though the situation of the age, structure, system, environment, custom and form can be different the thought doesn't change. That's, the social welfare practice began firstly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thought. So I propose to accomplish more active social welfare practice through the christian thought on the Acts of the Apostles by suggesting the definite basis: social welfare love (human dignity), service, healing, equal distribution, salvage, sharing, serving, for the christians, non christians, the weak, the need. 변화의 시대를 맞이한 현대인들은 이제 사회복지 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다. 정보화, 세계화, 저고용, 저성장, 고령화 등은 더 이상 복지의 문제가 가난한 이웃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복지는 일부 계층에게만 혜택을 주는 선택적 복지라는 고전적이고도 소극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서 모든 사람을 지원하는 보편적 복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선교 2세기를 향하는 과정 속에서 교회 자체 내의 갱신과 사회적 선교사명을 재정립 하면서 사회봉사에 관한 관심과 프로그램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교회가 참여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관한 연구는 교회 내에서 계속되어 왔다. 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서 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근원 사상, 정신이 되는 기독교사상을 바탕으로 되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 사회복지실천 사상이 기독교 사상에 토대가 된 사상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독교 사상을 대표 할 수 있는 성경중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성령의 인도로 과부, 고아, 병자, 어려움을 당하거나 신앙을 위해 핍박 받는 이들을 위해 물건을 통용하고 재산과 소유를 팔아서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누었고(행2:44-45), 무리들이 한마음과 한뜻이(행4:32-37) 되어 돕고 섬기는 것을 주장 한 사도행전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사도행전 기독사상과 사회복지실천 관계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첫째, 사도행전의 기독교 사상에 있어서 사랑(인간의 존엄성)과 사회복지실천의 사랑(인간의 존엄성). 둘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접대와 사회복지실천의 봉사. 셋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병자치료는 사회복지실천의 치유. 넷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가난한자 없음과 사회복지실천의 분배(평등). 다섯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부조는 사회복지실천의 구제. 여섯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눠 줌은 사회복지실천의 나눔. 일곱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가르침을 받아 떡을 떼며는 사회복지실천의 가르침. 여덟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함께 있어 서로 통용은 사회복지실천의 교제. 아홉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수고하여 약한 사람 도움은 사회복지실천의 섬김. 열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주는 자가 복이 있음은 사회복지실천 복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사도행전의 기독사상은 사회복지 실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근원 사상, 정신이 되는 기독교사상을 바탕으로 되어졌다는 입장을 자세하게 내용 분석하여 <표 5> <표 6> <표 7> ... <표 14>로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시대의 상황이나, 구조, 제도, 환경, 관습, 형태 등은 달라 질 수 있지만 정신, 사상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도행전 기독사상과 사회복지 실천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복지실천이 최초로 기독교 사상에서 이루어 졌다. 기독교, 기독교인, 비기독교인은 약한 자, 힘없는 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들을 위해 사회복지사랑(인간의 존엄성), 봉사, 치유, 분배(평등), 구제, 나눔, 가르침, 교제, 섬김, 복 실천 즉 사도행전에 나타난 기독교사상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을 정확한 근거로 제시하여 더욱더 역동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이루어 가기를 제언한다.

      • 니콜라스 월터스톨프(Nicholas P. Wolterstorff)의 기독교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신영순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기독교 철학자로서 실천지향적인 교육사상을 정초한 니콜라스 월터스톨프(Nicholas P. Wolterstorff)의 기독교교육사상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월터스톨프의 생애와 사상 형성의 배경을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의 기초를 고찰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를 중심으로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의 기본 구조를 고찰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교육에 있어서 인간의 권리와 책임 문제, 제6장에서는 종교와 교육의 문제를 논하였다. 그리고 제7장에서는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이 기독교 교육을 포함하여 현대교육에 어떤 의미를 주고 있는지 그 함의점을 도출하였고 제8장에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서 실제적인 제언과 함께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자신이 성장하고 양육을 받은 개혁주의 신앙 전통과 칼빈대학에서의 개혁주의적 학문 훈련, 그리고 고통에 대한 자신의 특별한 체험을 통해 형성되었다.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이와 같은 몇 가지 요인과 경험들을 배경으로 하면서, 개혁주의 세계관, 통제신념, 이론과 실천의 상호 역동적 관계, 정의와 샬롬, 그리고 소명과 과업이라는 몇 가지 독특한 개념들이 사상의 기초석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상적 기초 위에서 월터스톨프는 인간의 총체적인 삶과 샬롬을 위한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이와 같은 교육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원리와 경향성 학습의 독특한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인간의 권리와 책임 문제와 관련하여 월터스톨프는 부모가 일차적인 교육적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간의 기본적 권리 차원에서 설득력 있게 논증하고 있다. 그리고 다원주의 사회의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신념 집단들이 견지하고 있는 종교의 자유를 어떻게 보장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공평의 의미를 분석하고 난 후, 공립학교는 확언적 공평을 추구함으로써 종교의 자유와 관련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 연구가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철저하게 성경적이며 개혁주의적인 세계관과 철학에 확고하게 기초하고 있다.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에는 창조와 타락과 구속, 자신의 용어로 표현한다면 긍정과 부정, 그리고 구속의 관점과 신념이 통제신념으로 일관성 있게 작용하고 있다.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특히 문화명령과 법의 개념을 강조하는 신칼빈주의 전통이 소홀히 하기 쉬운 죄와 악의 문제, 그리고 고통과 억압, 인간의 기본권을 스스로 지키지 못하는 사회 주변인들을 공의롭지 못하게 약탈하는 불합리한 사회적 구조의 문제들을 예리하게 분석하면서 교육적 과제를 제시해 주고 있다. 둘째,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기독교교육의 전통적 의미와 과제를 새로운 차원에서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주고 있다. 기독교교육은 전통적으로 실재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과 사물이 존재하는 질서와 양식에 대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을 교육적 활동의 의미와 과제로 인식해 온 경향성을 보여 왔다. 그러나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교육의 기본적 구조를 통해서 세상 속에서의 그리스도인의 당위적인 존재 방식을 위한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기독교교육의 실천지향적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셋째,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은 궁극적으로 정의와 샬롬(평화)에의 비전, 곧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통치를 통한 정의와 샬롬의 나라를 구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주제를 중심으로 일관성과 통일성을 가지고 전개되고 있다.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에 있어서 인간의 권리, 공교육에 있어서 종교의 자유 문제에 관한 모든 논의들이 단순히 명령, 과업, 책임의 차원에서만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일관성 있게 정의와 샬롬의 구현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지향하면서 논의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가장 본질적이고 기본적인 소명도 샬롬에의 부르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에서 미흡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면 그것은 구체성이 약하다는 점이다. 특히 교육과정에 관한 그의 논의는 관점과 함의점의 제시에 불과할 뿐 실질적인 교육과정의 틀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실천지향적 기독교 철학을 지향하고는 있지만 아쉽게도 그의 사고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연구의 면밀함에 있어 미진하다. 이와 같은 약점은 그가 기독교교육자이기는 하지만 철학자이지 교육학자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월터스톨프의 가치는 오히려 기독교교육자들이 실천적 지향점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을 때 철학자로서 기독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확고하게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찾아야 한다. 그가 제시한 관점과 방향을 기초로 기독교교육의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과업을 완성해야 할 과제는 동일한 비전을 추구하기를 원하는 기독교교육자들이 담당해야 할 과업이다. 이런 점에서 그는 기독교교육의 발전에 독특하게 공헌하였으며, 한국의 기독교교육 발전에도 괄목할 만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임이 분명하다.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실천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첫째, 월터스톨프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교육의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특히 그가 제시한 교육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해 낼 필요가 있다. 둘째, 월터스톨프가 주창한 경향성 학습의 방법을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도덕교육의 영역과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경향성 학습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여 적용하며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다원주의 사회에서 종교의 자유 및 공교육의 현장에서 종교교육에 관한 월터스톨프의 관점을 한국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교육에 있어서 인간의 권리와 공평에 관한 그의 관점은 기독교학교의 정체성 확인과 부모가 중심이 되는 기독교학교의 발전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임이 분명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icholas P. Wolterstorff's ideas on Christian Education. The study is divided into eight chapters: Chapter one introduces the main topic by indicating the problems, need for and aims of this study, and the methodological procedures used in it. Chapter two presents a brief biographical sketch of Wolterstorff's life, as background for his educational ideas. Chapter three provides an examination of the foundations on which he builds his Christian educational insights. Chapter four consists of a discussion of the basic structure of his Christian educational philosophy. Chapter five deals with his thoughts on huma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education. Chapter six discusses the subject of religion and education, especially religion in the public school and the place of the Christian school in contemporary pluralistic society. Chapter seven focuses on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is educational reflections on contemporary education in general and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in particular. Chapter eight draws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discoveries in this study and makes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olterstorff's early family life within the tradition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his academic training at Calvin College, familiarity with the cries of the oppressed people, and personal suffering resulting from the loss of his much loved son, Eric, played a decisive role in shaping the context for his distinctive ideas about Christian education. Given his background, his ideas on Christian education are based on the following foundational assumptions: a Reformed worldview, the notion of control beliefs, a dynamic understanding of theory and praxis, a bibical sense of justice and shalom, and a scriptural awareness of calling and task. Within the context of these basic parameters, Wolterstorff believes that the central aim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human life guided by shalom. He vigorously proposes that,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and arranged in a way that through such a curriculum this overall and central aim be achieved. As to the method of education, he suggests that 'tendency learning' be used as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developing responsible action. He thinks that such types of contemporary theories of education as maturation,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development are not effective and responsible strategies for shaping a student's learning tendencies. As to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education, he argues, logically, that parents have the primary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determine the character of education of their children. He analyzes the meaning of 'impartiality' as a way to secure religious freedom for groups of people who have different basic beliefs in the area of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He concludes with the suggestion that the public school should strive for an 'affirmative impartiality' with respect to the issue of religious freedom in such a society. The following are some general conclusions this draws from Wolterstorff's views on Christian education: First, his ideas on Christian education are firmly based on a biblical and reformed worldview and a reformed philosophy. The religious beliefs of creation, fall-into-sin, and redemption through Jesus Christ - or, to use Wolterstorff's terms, a unique dialectic of affirmation, negation and redemptive activity - are in a consistent way operative as control beliefs in his educational views. The ideas of cultural mandate and God as law-giver are not neg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Christian education. In great detail, he analyzes the problems of sin and evil, suffering and oppression, and the distorted social structures which exploit and do injustice to those who live at the periphery of society. Second, his insights into Christian education places the traditional meaning and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in a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There is a tendency to think that the main task and meaning of Christian education is exhausted merely by the activity of acquiring a Christian perspective on reality and seeking knowledge about the law-order of creation and how this order exists. Wolterstorff, however, stresses the need for a kind of education that teaches Christians how to live in the world an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 praxis-oriented form of Christian education. Third, his views of Christian education function within a coherent and unified vision of justice and shalom, i.e., a vision of God's kingdom on earth through the reign of the Lord Jesus Christ. His thoughts on such topics as the aim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human rights in education, and religious freedom in a public school or state schools - all these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ultural mandate, human tasks, human responsibility, and ultimately, a vision of justice and shalom. The latter is the most essential and fundamental calling of human beings. The study also points out that Wolterstorff's view on Christian education are not articulated in an educationally practical manner. His reflections on the curriculum remain at the abstract level of a general idea and perspective. As to its specific implications, he does not provide a practical curricular model. This is understandable, since he is not an expert in educational matters, but a philosopher. His contribution is that he has indicated a clear direction in which Christian education must move at a time when Christian educators are confused about what the direction in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It is now the task of Christian educators to elaborate on Worterstorff's vision by developing a practical curricular model and an educational method in terms of that vision. In this sense, he has made a distinct contribution to the cause of Christian education in North America and elsewhere. Beyond doubt, his thoughts on Christian education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develop Wolterstorff's views on Christian education in a concrete way, this following three further practical studies are recommended: First. How to put his views of Christian education into actual practice, and to do so by developing a curricular model that implements the vision of shalom and related aim of Christian education? Second. How to apply his method of 'tendency learning' in Christian education in the areas of moral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Third. How to incorporate his ideas about religious freedom and education in public schools, especially in the educational world of Korea's pluralistic society. His ideas about human rights and impartiality in education could result in some useful insights for the benefit of parent-controlled Christian schools and for the preservation of Christian identity of such schools.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연구 : 윤동주, 김현승, 박목월을 중심으로

        권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고는 기독교 사상이 작자의 다수의 작품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윤동주, 김현승, 박목월 이 세 시인의 작품속에 각기 기독교 의식을 어떻게 수용했으며 시적 자세는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의식들이 어떤 표상 양식으로 드러났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세 시인의 기독교 사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윤동주의 경우 지금까지 시인의 외적 여건에 시점을 두고 하나의 선입관에 의한 평가들 즉 민족독립으로 인한 저항운동의 시세계로 일관되어 왔으며 근래에 와서 정신분석적이며 내면의식의 갈등으로 빚어진 시로서 평가하는 경향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보완적인 차원에서 기독교 정신에 의한 신앙심의 면모를 구축, 시사적 의의를 부여하는 탐구였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살핀 부분은 상반된 두가지의 평가들 속에 깊이 내재되어 있기에 부정할 수 없는 기독교 의식들을 살폈다. 특히 '슬픔', '부끄러움'의 이미지가 그의 시속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자신의 신념의 시적 이미지로서 드러낸 것이다. 윤동주의 시적 자세는 현실에 활달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내적으로만 인식한데서 출발한 것이었다. 윤동주가 기독교 의식을 수용하는 과정은 그의 사회적 경험과 신앙적 경험의 상실감에서 심화된다. 이 같은 상실감은 특유의 윤리적 책임을 절감하며 이를 시로 표상하는 것이 일종의 대 사회적 발언이 되었다. 결국 그의 시는 현실 결여 상태에 빠져 이를 역설의 양식으로 드러낸 것이다. 윤동주 시의 기독교 신앙 시로서의 대상을 살펴보면 원죄의식과 부활사상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그가 기독교인이 일차적으로 깨닫게 되는 죄인 의식에 사로잡혀 부활을 꿈꾸는 것이다. 김현승의 경우 기독교 의식의 수용양상은 숙명적인 것이다. 기독교 신앙을 신학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어려서부터 일상적 생활 양식으로 받아들였던 그가 서서히 신앙의 정체에 대해 회의와 알고 싶어 하는 욕구가 섞여 사색의 시인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그것이 그로 하여금 '고독'이라는 시적 대상과 만나게 한다. 이를 통해 그의 신앙적 갈등이 심화되고 시화되어 나타난다. 김현승은 자신의 생애에서 빚어지는 신과의 관계를 하나의 관념인 '고독의 끈'으로 이어갈 것을 갈망한 것이다. 그의 시는 신과 정면으로 대결하려는 양식으로 그 의식이 표상되어진다. 그리고 집요하게 파고드는 '고독'의 견고한 껍데기를 벗기는 작업으로서 시적인 성과를 얻는다. 그의 시에서는 기독교가 인간에게 줄 수 있는 시련의 과정을 읽을 수 있다. 하나의 명제에 대한 회의 이것이 신앙과 시의 이중구조로서 정신적 가치관과 미의식의 창출에 특출한 공헌을 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김현승은 신앙인으로서의 자아의 발견과 구원의 방법을 언어 양식에 담은 예가 된다. 수도자의 자세로 내면 깊이 사유와 모험의 시정신을 보여 준다. 그 시 정신이란 개인의 구원을 뜻한다. 그에게 있어서 '고독'은 자신의 신앙에 대한 객관적 상징인 것이다. 개인의 구원을 갈망하는 자세는 믿음(신에 대한)의 결핍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된다. 이 믿음의 결핍과 그로 인한 회의에서 그의 부활사상이 뒷받침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같은 흐름은 그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으로 기독교 의식을 드러내는 결과를 얻게된다. 박목월의 경우는 자연으로부터 자아의 눈을 뜨게 된다. 위의 두 시인과 다른 점이 바로 목월이 지니고 있는 자연관에서 비롯되어 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의 기독교의식 수용을 살피면 그 또한 김현승과 마찬가지로 신앙적 체험을 통한 기독교의식 수용이라기 보다는 어려서부터 지녀진 기독교 생활양식으로의 수용이 이뤄졌다. 따라서 김현승과 마찬가지로 시를 통해 자아인식이 이뤄진다. 그러나 그 대상에 있어 절대자가 창조한 자연을 통해 인식하고자 했던 점이 그의 작품세계에서는 더욱 부각되어진다. 초기시가 자연에 집중되어 있고 이는 중기에서 후기로 계속 이어지면서 멈춰지는 자연의 세계가 아니라 직선적인 기독교 세계관과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초기시의 관점은 자연 그리고 그 관계속에서의 위축되고 유한한 자아 발견이 이루어진다. 이는 중기 시에 이르러는 현실 세계에서 유한적인 자아를 인식한 세계인 동시에 가정과 고향(구원에의 갈망에서 추구된)으로 돌아 가려는 갈등과 방황의 세계가 그려진다. 후기에 이르러 더욱 기독교 사상이 확고히 나타난 본향의 세계로 귀의되게 된다. 이 세계는 구원이 실현되는 세계라 할 수 있다. 후기시가 보여주는 세계는 시와 신앙이 일원화된 세계로 인간의 한계상황이 신의 질서속에서 극복되며 존재의 근원적인 회의가 거세되는 구원으로서의 문학이 성취되는 것이다. 1940년대 전후의 암흑의 세월, 궁핍한 식민지 현실은 목월로 하여금 영원한 자유와 평화, 안식의 세계를 희구하는, 즉 영원한 세계 부활의 세계를 작품속에 드러냄으로 한계상황이 극복되기를 희구한 것이다. 목월의 후기시는 기독교적 세계관이나 인생관에 뿌리를 내려 본격적 신앙시인으로서 정신세계가 그려지며 초기시로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한 영원한 자유로운 세계에 대한 희구는 마침내 구원으로서의 표현양식에 이르게 된 것이다. 위 세사람을 통해 살펴 본 기독교 의식수용은 윤동주가 현실에 대한 좌절과 갈등의 내적인 대응 수단으로의 기독교 의식이, 김현승은 개인적 구원의 대상으로서 기독교를 의식, 박목월은 자연을 통한 기독교의 의식이 이뤄졌다. 표상 양상을 집약한다면 윤동주의 '슬픔과 부끄러움'의 이미지, '역설의 양식', '원죄의식과 구원사상', 김현승의 '고독'에서 보여주는 '신과의 대결양식', '개인의 구원사상', 박목월의 자연을 통한 '자아발견과 한계성 인식', '본향세계(구원의 세계)의 회귀'이다. 기독교의 중심 사상이라 할 수 있는 '구원'과 '부활' 사상이 이 세 시인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현대 기독교시의 내면에는 '구원'과 '부활' 사상이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는 현대 시상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세 사람의 시 세계를 기독교 사상에 의해 전개해 나가므로 현대시에 있어 민족적 자각 의식, 신앙적 구원, 부활로 이어지는 기독교 시로의 한 측면을 더욱 확대해 나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또 앞으로의 한국 기독교의 시연구는 우리 사회를 형성하는 모든 문화속에서 일관성있게 흐르는 기독교 사상을 더욱 체계화하여 영역 확대가 더욱 이루어 졌으면 한다. The present studies aimed to clarify the matter how Korean literature has accepted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Our literature, up to the Koryo dynasty, had accepted the absolute influence of buddism. In the Y dynasty, confucianism had influenced our literature and had been reflected in the literary thought. However since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to Korea after eighteenth century, its power have extended and it began to affect the Korean literature. It has passed just 200 years or more since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to Korea. During that time, having gone through many trials, christianity have now grown to influence considerably almost every field of Korean literature. The first part of this book was taken charge of by prof. So Jae Young. He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of christian acceptance historically in the titl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nd Korean Literature." In this part he examined it up to the literature of enlightened age. Then he presented critical theory as well as defending one about christianity, and established historical organization laying stress on the documents and literary works, the principal items are as follows; ○ Acceptance of Christianity and Resistance against it. ○ Introduced Literary Works of Christianity. ○ An Interpretation of "Hong gil Dong Jeon" and "Choon Hyang Jeon" as Christian Literary Works. ○ Literary Works in the Enlightened Age and Christianity. The second part was written by prof. Cho Kyu Ick. In the title of "Christianity and Traditional Poetry", he examined the christian in fluence on Korean traditional poetry. In this part he mainly analyzed the religious KASA(a kind of long poetry written in Ye dynasty and in the enlightened age) especially that of christianity, centering around the influence of psalm and others on Kasa in the enlightened age. The principal items are as follows; ○ Historical Development of Religous Songs ○ Formation and Structure of Christian Kasa ○ Interrelationships between Psalm and Traditional Songs. The third part, written by prof. Han Seung Ock in the title of "Christianity and Modern Novel," dealt with the matter how christianity influenced the modern novel. In this part he examined the general aspects of christianity which had been accepted in the modern novel, then analyzed and criticized the concrete works by listing them according to the writers. Especially he concentrated upon the 7 modern writers who wrote christian novels; Lee Kwang Soo, Kim Dong In, Jeon Young Taek, Yeom Sang Seop, Shim Hoon, Kim Dong Ri, and Hwang Soon Won. Prof. Kwon Yung Jin took charge of the fourth part. In the title of "Christianity and Modern Poetry", he examined almost all the modern poets and poems that had been influenced by christianity. here he devided the poems into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n Japanese imperlrialism. Then he dealt with the general problems of christianity, especially with several of the important poets; Yun dong Joo, Kim Hyun Seung, pak Doo Jin, Koo Sang, etc. The principal items are; ○ Presentations of Questions and Tendency of Existing Researches. ○ Formation and Tasks of Modern Christian Poems. ○ Concrete analysis about Modern Christian Poems. ○ General Investigation. Unifying the four studies above, we could present a digested "History of Christian Literature." Despite there being many indivisual literary studies a out the literature of christianity, general ones of it are rare. This book "Korean Literature and its Acceptance of Christianity" may have profound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is a regular 'History of Christian Literature' which has accomplished by collaboration in a mission school. In order to verify the existing results of studes, we appended "Bibliography of the Papers about Christianity" at the end of this book, so that researchers may consult it handily.

      • 춘원의 장편소설에 수용된 기독교 사상 연구 : 「무정」,「재생」을 중심으로

        車泫叔 단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논문은 춘원의 작가의식의 변모과정과 기독교 수용의 의미를 살펴보고 기독교 사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무정」·「재생」의 분석을 통하여 소설 내적인 의미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 근대소설 형성과정 속에서 기독교 사상의 영향관계를 살피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춘원은 동학(天道敎)의 인내천사상과 민족사상을 통하여 민족적 정체성과 실천의 방법을 제시받았다. 이러한 정신적인 바탕위에서 춘원은 톨스토이의 박애주의적인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춘원의 사상은 불교의 보살행과 윤회적인 생사관을 수용함으로써 대자적인 실천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상사적인 궤적은 곧바로 그의 소설작품에 반영되었다. 즉 춘원의 소설작품에서 살필 수 있는 종교사상은 천도교, 기독교, 불교를 통합하고자 하는 범종교적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춘원의 종교사상적인 모색과정은 근대사상을 확립하고자 하는 선각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춘원의 기독교 수용의 특징으로는 첫째로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를 박애주의, 인도주의, 무저항주의로 받아들였으며, 둘째로 제국주의를 합리화시키는 일본 교회의 의례(儀禮)에 대한 반감으로 일반적인 신앙생활을 거부했으며, 셋째로 자연주의 문예와 바이런 시와 다윈의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성경을 부정하고 반기독교적인 견해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춘원의 기독교 수용은 그가 기독교를 개인의 구원이나 회개의 신앙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민족을 계몽하고 개혁할 수 있는 선진사상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춘원이 받아들인 기독교는 믿음에 기초한 기독교이거나 제도적이고 현실적 기독교의 모습은 아니었다. 계몽을 위한 사상으로서의 수단, 즉 방법론 중의 하나로서 인식했던 것이다. 춘원은 기독교를 신앙의 차원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조선의 봉건질서의 극복과 외세의 침략을 극복하는 실천 사상으로 수용하였던 것이다. 즉 춘원은 기독교를 사회 개혁의 대안으로써 받아들였다고 볼 수 있다. 「무정」·「재생」은 톨스토이적인 박애사상과 예수의 아가페적인 사랑의 정신을 통하여 거듭나는 체험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정」은 봉건적 미망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당대 현실을 비판적 눈으로 그리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계몽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그 계몽의 논리 속에는 기독교 사상이 드러나 있다. 「재생」에서는 순영과 봉구의 사랑을 통하여 기독교적 희생정신의 의미가 잘 형상화 되고 있는데 이러한 희생정신을 통하여 민족 부활의 당위성 또한 드러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urse of change in Chunwon'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a meaning of acceptance of Christian thought, and an intra-novel meaning network by analyzing 『Mujeong 』 and 『Jaesaeng』with concrete revelation of Christian thought. It could possibly be a task of examining the effect of Christian thought in the process of appearance of Korean modern novels. Chunwon was given national identity and a practical method through the thought of Innaecheon ("A man is Heaven") and national thought of Donghak. On such a mental basis, he has accepted Tolstoi's philanthropic Christianity. Such Chunwon's thought developed into practice 'for itself' by accepting the concept of being a Buddhist saint and transmigrationism for life and death. This trace of thought history was directly reflected in his novels.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religious thought found in those novels is Pan-religious thought that was to integrate the Chondokyo religion, Christianity, and Buddhism. Such course of Chunwon's religious thought came from foresighted consciousness willing to establish modern thought. Chunwon's acceptance of Christianity is characterized first, by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as philanthropism, humanitarianism, and non-resistance influenced by Tolstoi; second, by rejection of general religious life as antipathy against ceremony of Japanese churches that rationalized imperialism; and third, by rejection of Bible and even an anti-Christian view influenced by naturalist literature, Byron's poetry, and Darwin's evolution theory. It demonstrates that Chunwon accepted Christianity not as belief for individual salvation or repentance but as advanced thought that could enlighten the nation and carry a reform. The Christianity accepted by Chunwon was neither Christianity based on belief nor institutional and realistic Christianity. He considered it as a means for enlightenment, that is, one of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Chunwon accepted Christianity as practical thought to overcome the feudal order of Chosun and foreign attacks rather than as a belief. Ultimately, it can be concluded that Chunwon accepted it as an alternative for social reform. 「Mujeong」 and 「Jaesaeng」 dealt with the theme of experiences of being reborn through Tolstoi's philanthropism and Jesus's agape. 「Mujeong」 described the contemporary reality that people failed to open their own eyes against feudalism in a critical way and stressed an enlightening spirit to overcome the reality. The Christian thought is revealed in the logic of enlightenment. 「Jaesaeng」 delivers the meaning of Christian spirit of sacrifice through the love between Sunyeong and Bonggu, which also reveals rightfulness of national resurrection.

      • 목사의 작품(소설) 속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수용 양상에 대하여 : 전영택목사를 중심으로

        박기환 호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7

        전영택에 대한 연구는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앞서 지적했듯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작품들과, 제목만 전하고 내용이 존재하지 않은 작품들, 정확한 발표연대나 발표기관 등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비점 때문에 본 考 에서는 "목사의 작품 속에 스며든 기독교 사상"에 한정하여 몇 작품만을 가지고 論 할 수밖에 없었다. 문학을 통하여 기독교 사상을 전할 수 있다는 나름대로의 증명(?)과 함께 기독교를 통해 새로운 문학세계의 창조와, 문학을 통한 기독교적 사랑의 구현이란 성과를 이룩한 이가 전영택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좋은 기독교 문학은 종종 하나님얘기를 내세우지 않으면서 하나님의 모습을 그리게 한다. 좋은 기독교 문학은 '사랑'이란 말없이 사랑하기를 체험케 하고, 빛이나 소금, 믿음. 소망. 사랑이란 말도 하지 않으면서 빛과 소금이 되는 인간을 그리고 믿음. 소망. 사랑의 삶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데서 기독교문학의 이상적인 형태를 찾을 수 있다. 전영택의 단편 '화수분'에는 성경구절이나 하나님이란 말은 한 구절도 없다. 죄와 수난. 참회. 징벌이나 복과 같은 어떤 진술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정과 결말 부분에는 사랑. 죽음. 부활의 의미가 상징적으로 형상화 되어있어 기독교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 문학은 하나님의 침묵을 진지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의 작품은 독자들의 기억에 남을 만한 기발한 내용은 아니었다할지라도, 그 속에는 인간애와 하나님 사랑을 은연중에, 때로는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특색이 있는 것이다. 그의 작품의 특징은 죽음의 문제와, 종교적 위선에 대한 비판, 그리고 회개를 통한 돌아옴으로 요약 할 수 있다. 죽음의 문제는 대속적인 의미로써 많은 사람에게 구원의 은총을 주고 있다. 당시 시대적인 배경인 식민지 시대의 슬픔을 대변하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죽음 자체를 슬픔으로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희망으로 남겨주는 여운을 주고 있다. 위선에 대한 비판도 그가 성직자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종교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냉철한 비판을 통하여 진정한 신앙을 제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다. 회개를 통한 돌아옴도 떠난 자가 처절한 모습으로 돌아올 때 조건 없는 사랑으로 맞이해 주는 모습에서 기독교적 사랑을 물씬 느끼게 해주고 있다. 작자는 이러한 문학적 방법으로 선교의 역할을 감당했다고 볼 수 있다. 목사의 작품답게 작품 속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주제는 용서. 사랑. 구원. 희망 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문학적인 입장에서 기독교의 선교의식이 지나치게 표현되어서 문학성의 결여라고 까지 평가할 수 있는 「크리스마스 새벽」이나 「한 마리의 양」 「생일파티」 등도 있지만, 은연중에 기독교 사상을 풍기는 「화수분」을 비롯한 「天痴?天才?」 등은 비기독교인에게도 정당한 평가를 받을 만한 좋은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다른 기독교 문학자들도 있지만, 이 시대에 기독교 사상을 잔잔히 공급하는 선교로써의 일익을 담당하는 "기독교 문학의 개척자"라는 대명사를 전영택에게 부여함으로 본考를 마무리한다.

      • 신소설 금수회의록 연구

        윤선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5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reveal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blossoming era's new age novel Animal Proceedings by assessing the diverse forms of thinking and cultural embodiments appearing in the novel. Although this work has received high praise for its originality as a beast fable, the main motive for its creati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to offer the readership words of teachings and enlightenment, rather than origination of a creative aesthetical form. All of the words of teachings presented by the author through the mouths of animals is a powerful criticism on the prevailing state of society at the time and concurrently a moral lesson to the people of that era on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So far, these words of teaching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raditional Confucian and Christian ideologies. In this study, the Christian aspects of the novel were first observed. The author's views in the novel are his revelational truths that are based on Christian thought and direct the reader to the absolute core of man and the ultimate destination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entire content of the novel also coincides with the traditionalistic standpoint. The problem is that these criticisms and utterances of encouragement reflect Confucian influences when they target specific issues of reality and reflect Christian influences when presenting a single,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line of thought. The Confucian aspects of the novel were considered next, particularly the Confucian traits of Animal Proceedings as criticisms against decadence of man and as a measure of things having gone wrong. Social decadence so perverse that man is no longer better than animals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accepted by Confucian values and was, rather, something that must be repented and remedied. For these reasons, the author attempts to awaken man through records from a meeting of animals. As such, the novel's Confucian traits come across thick, as the grandest ideological theme of the novel. Furthermore, the concept of heaven was dealt with. This concept is not a separate and superior entity as described in the Christian Creation precept, but rather a concept that has been considered part of a single unit that encompasses the world of man and of all things. Thus, the concept of heaven is depicted not a subject of perception but as the source of creation and source of man, which coincides with the traits of Confucian concept of heaven. Lastly, limitations of Animal Proceedings were studied. 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are given on any artwork or any era, it is possible to give a positive evaluation on this novel through ideal analysis, but the unexhaustiv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author reveals itself as the novel's limi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confusion of values at the time of writing. Furthermore, the numerous shortcomings in terms of defining this novel as a political satire can also be considered as its limitations. In summarizing this study, this novel can be concluded as an attempt to induce fundamental introspect and self-reflection to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pursued in the lives we lead. As such, Animal Proceedings is a novel that opened a new horizon of meaning towards true salvation in Korean literature. 본 연구는 개화기 신소설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다양한 사상과 문학적 형상화의 양상을 고찰하여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이 작품은 우화소설의 참신성이 높이 평가되기도 하지만, 주된 창작 동기는 독창적인 미적 형식의 창안보다도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전언의 제시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동물들의 입을 빌어 쏟아내는 그 교훈적 전언들은 모두, 한편으로는 당시 세태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면서 동시에 동시대인들이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가 하는 것에 대한 도덕적 가르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교훈적 전언들은 유교적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리하여 첫째,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안국선의 견해는 기독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내세운 계시적인 진리라고 할 수 있으며 해체되어 가는 전통사회 속에서 인간의 절대적인 중심과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금수회의록』에서 주장하고 있는 모든 내용은 전통주의적인 입장과도 상통하고 있다. 문제는, 그러한 비판과 권면의 발언들이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겨냥하고 있을 때는 유교적 전통 사상의 영향을 반영하는 반면에, 하나의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선을 제시할 때에는 기독교 사상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유교사상을 고찰하였다.『금수회의록』에 드러난 유교적 성격은 인간의 타락상을 비판하고 그릇됨을 지적하는 척도가 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유교적 도덕관에 비추어 금수만도 못하게 타락한 사람들의 세태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고, 회개하고 고쳐져야 하는 것이기에 금수회의라는 방법으로 사람의 각성을 촉구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작품의 유교적 성격은 매우 짙게 나타나면서 가장 큰 사상적 배경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天’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하늘’이라는 개념이 기독교의 천지창조 사상과는 또 다른 초월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만물의 세계와 함께 일원적으로 사유되어 온 것으로 지각의 대상이 아니며, 생성의 근원, 즉 인간을 생성시킨 근원으로 묘사되어 유교적인 天의 성격과 부합되는 것임을 논의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금수회의록』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어느 시대, 어느 작품이나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하듯, 이상의 구성 원리를 통해 분석해 본 작품의 평가는 그런대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이지만, 작가의 철저하지 못한 사상적 기반은 작품에서 크게 기독교적 성격과 유교적 성격으로 나누어 파악이 가능한 동시에 가치관의 혼란이라는 당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여 작품의 한계로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정치소설이라고 규정짓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기에 이 또한 한계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결국 이 작품은 우리가 삶에서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을 유도하고자 한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진정한 구원을 향한 의미의 지평을 열어 놓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사상 연구

        정학진 한양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85

        ABSTRACT A study on Christian thought in the Fictions of Kim Won- Il Chung, Hak Jin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of Kim Won- Il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Kim Won- Il, known as the leading author of division literature of the contemporary era, made his debut in 1966 when his 「1961. Algeria」 was selected by Daegu Daily Newspaper. He continued to present several short and medium-length stories until 1973 when began to spill out a number of series, including 「Soul of Darkness」, 『Sunset (1978)』, 『Winter Valley VOL 1. 2 (1987)』, 『House with Deep Garden (1988)』, and 『Celebration of Fire VOL 1-7 (1983-1997)』. He has earned the reputation as the best author of division literature of our time. No one would object to this reputation. Broadly discussing his latest Fictions, however, his Fictions since 1990 have been apart from the division literature. His latest Fictions not only explore the essential problems of humans, i.e. the memories of senior with past trauma and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memories, but also depict the story of a grandson who traces the footsteps of history in search of his root, the potential essence and ideal forms deep in human introversion, and the universal image of humankind. Therefore, he should not simply be discussed within the category of ‘division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which is an important topic of his Fictions.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have analyzed him within the frame of division literature, as mentioned above, while other studies have discussed 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for the disabled or existentialism. He was even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or eco-feminism. However, no study has approached his work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 Close to the 50th anniversary of his debut, this study would be rather significant. After the introduction, Chapter 2 analyzed all of Kim's Fictions in category. He has published 54 short stories, 15 medium-length stories, and 33 volumes of 16 full-length Fictions. These stories, when read carefull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a broad perspective. This study divided his Fictions not by time, but by type to analyze the stories into division stories, Christian stories, stories related to the disabled, and stories related to existentialism. The discussion also continued in reference to the six of his prose collections. Chapter 3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Why and for what does he write?” When Kim writes a story, he “writes what he must write, not what he wants to write”. This is a kind of obligation, or even a liability. He has spilled out himself through his Fictions as a pomegranate that unbearably overflows to break its chest into pieces. Many of his pieces have been written in atonement for his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His father was always someone to avoid for Kim. His father was a mysterious being like a ghost. His father appeared out of nowhere and disappeared before he knew it. His father was a 'scary and mysterious being' whom he could not boast to or talk about with his friends. He began writing for reconciliation with his father by exploring the memories of agony. His mother was harsh on Kim to be the head of the household due to the absence of his father. His antagonism and hatred toward his mother reached its limit, but Kim was an ethical gentleman and a Christian who could not hate his mother. Instead, he chose to take it out on the characters in the Fictions. These characters are mid-aged women like his mother. These women usually have negative images. In this respect, I discussed the mid-aged women who are the “substitute target”. Unlike how his mother wanted, however, “the eldest son in the place of father” became “the mother in the place of father”. While the father was absent and the mother lost her ability to ‘replace the father’, but there were other people to take the place of the mother: the sisters. Kim's Fictions always have the problem-solvers who help the weak with no 'ability to self-defense' because they are poor and lack education. I studied these sisters. Finally, Kim's literature has various communities. The Utopian communities that he actually dreamed of since younger are depicted to overcome the irrationality of reality. Most of them are Christian Utopias and I discussed how the Christian doctrines are reflected in his work. Chapter 3 wa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im's literature, while Chapter 4 discusse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I focused on Kim's literature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What would religion mean to him? I focused on how religion affects him and how he unravels this in his stories. First, Kim's perspective toward Christianity is warm and healthy. It is not unconditionally critical or blindly revealed. He has the balance without leaning toward one side. The medium- and full-length stories were more related to Christianity than division. What does this tell us? This shows his subconscious and essential interests in Christianity. His Christianity is close to 'pluralism' beyond ‘conservatism’ or ‘fundamentalism of religion'. He is always tolerant and open to other religions. The religions coexist peacefully without conflicts in his stories. Also, his stories often depict unavoidable deaths and the religion that surpasses death at the vertex of binary opposition. Religion has greater power when the power and fear of death is greater. Belief often asks him the question of theodicy that “Can you confess the God of justice in the world of irrationality?” This is the question asked by those who have 'interpreted the Bible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in Christianity for the last 2,000 year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characters who value 'now, here (hic et nunc)' and shout out 'in front of God (Coram Deo) and with God (Cum Deo)' despite the absence of God. In sum,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hristian thought reflected in Kim's Fictions. Keywords: Kim Won- Il's latest Fictions, Christian Thought, Pluralism, Division Literature, Theodicy, Conservatism, Problem-solver, Atonement, Community, Religion and Literature, Fundamentalism 국 문 요 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시각으로 김원일 문학의 의의를 조명하는 데 있다. 우리시대 대표적인 분단문학 작가로 알려진 김원일은 1966년 대구매일신보에 「1961. 알제리아」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이래 여러 편의 중, 단편 소설을 발표하다가 1973년 「어둠의 혼」을 기점으로 『노을』(1978), 『겨울골짜기 상, 하』(1987), 『마당 깊은 집』(1988), 『불의 제전1-7권』(1983-1997) 등 굵직한 분단문학을 쏟아내며 이 시대 최고의 분단문학 작가라는 찬사를 듣는다. 이 평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자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범박하게 그의 후기소설을 톺아보면 1990년 이후 작품들은 분단문학에서 많이 비껴간 것이다. 그의 작품세계는 후기로 넘어가면서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 예컨대 과거의 트라우마를 지닌 노인들이 겪는 기억과 그 기억을 재생하는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뿐만 아니라, 자신의 뿌리를 찾아 역사의 족적을 훑는 손자의 이야기라든지, 인간 내면 깊숙이에 잠재된 본질과 이상적인 형상, 그리고 보편적인 인간상의 구현 등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그를 단순히 ‘분단문학 작가’라는 범주로만 취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그의 소설 중에서 중요한 주제인 ‘종교’, 그중에서도 특히 ‘기독교’라는 시각(perspective)을 가지고 그의 작품들을 분석했다. 그간 기존의 선행연구는 전술(前述)했듯 그를 분단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분석해온 연구들이 제일 많고, 장애인이나, 실존주의 문학, 가족주의 문학 등의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심지어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이나, 에코 페미니즘적인 입장에서 그의 작품을 연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종교적인 입장으로 접근한 경우는 전무하다. 데뷔 50년이 다 되어가는 이 시점에 이런 그의 연구는 그 자체만으로도 적잖은 의의를 가질 것이라 믿는다. 이같은 서론을 지나 2장에서는 김원일 소설을 총 망라하여 주제별로 분석했다. 그는 지금껏 54편의 단편과 15편의 중편, 그리고 장편 16편 33권을 출간했는데 이를 정치(精緻)하게 읽다보면 큰 틀에서 공통점이 나온다. 그의 소설을 시기적이 아닌, 주제별로 나누어 단편과 중편, 그리고 장편 소설에 나타나는 분단관련 소설과 기독교관련 소설, 그리고 장애인과 관련된 부분들과 실존주의와 연관된 소설 등으로 분석했다. 또한 소설 이외의 6편의 산문집을 참고로 하여 논의를 이어갔다. 3장에서는 김원일 문학이 지니고 있는 특징들을 연구했다. “그는 왜, 무엇 때문에 글을 쓰는가?” 김원일은 작품을 쓸 때, “쓰고 싶은 이야기를 쓰는 작가가 아니라 써야만 하는 이야기를 쓰는 작가”이다. 일종의 의무감(義務感) 같은 것인데, 이것을 더 깊게 밀고가면 채무감(債務感)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더는 견딜 수 없는 생의 충일(充溢)로 자신의 가슴을 쪼개는 석류(石榴)처럼 그 또한 소설을 통해 자신을 쏟아 냈다. 그의 작품 중에는 아버지에 대한 ‘속죄의식’으로 쓴 작품이 많다. 그의 아버지는 김원일에게 언제나 기휘(忌諱)의 대상이었다. 신기하고도, 신비스러운 도깨비 같은 존재이다. 갑자기 왔다가 어느새 사라지는 그의 아버지는 동무들에게 자랑도, 발설해서도 안 되는 ‘무섭고도 신비한 존재’이다. 오랫동안 자신의 의식 속에만 묻어두었던 아픔을 그는 기억의 낟가리를 헤치며, 아버지와의 화해를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어머니는 가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그 가장의 십자가를 떠안으라고 맏이인 김원일에게 모멸스럽게 대했다. 그 어머니에 대한 적개심과 증오감이 극에 달했지만 크리스천이자 평생 번듯하게 살아온 그는 어머니를 미워할 수 없어, 소설 속 다른 인물로 어머니를 대신해 분풀이할 대상을 설정한다. 어머니 또래의 중년여성들이다. 이 여성들은 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이 면에서 필자는 ‘대리 타킷’이 된 중년여성들을 논했다. 그러나 결국 어머니의 바람과는 달리, ‘장남의 아버지 대체’는 ‘어머니의 아버지 대체’가 되고 말았다. 아버지는 부재하고, ‘대리가장’으로서의 어머니가 그 기능을 상실한 자리에 어머니를 대신할 인물로 등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누이들이다. 유독 김원일 소설에는 가난하고, 배우지 못해서 ‘자기방어의 능력이 없는’ 나약한 사람들을 돕는, 즉 문제적 현실의 해결사들이 등장한다. 이 누이들에 대해 연구했다. 끝으로 김원일 문학에는 여러 가지 공동체가 등장한다. 부조리한 현실의 극복 차원에서 그가 실제로 젊었을 때부터 꿈꾸었던 유토피아적 공동체가 많이 나온다. 대부분 기독교적 유토피아인데 이런 생각이 그의 작품 속에 어떻게 녹아있는지를 연구했다. 3장이 김원일의 일반적인 문학적 특징이라면, 4장에서는 김원일의 특수한 문학적 특징, 이를테면 “기독교적 시각”에서 본 김원일의 문학에 관심을 두었다. 그에게 있어 종교란 무엇일까? 그리고 그 종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는 작품 속에서 이런 사실들을 어떻게 풀어내고 있는지 하는 것에 주목했다. 먼저, 기독교에 대한 김원일의 시각은 따뜻하고 건강하다. 무조건적으로 비판하지도 않고, 맹목적으로 경도(傾倒)되지도 않는다. 어느 한쪽으로 깊이 치우치지 않는 균형감이 있다. 단편을 제외한 중편과 장편에서는 분단관련 작품보다 기독교에 연관된 작품들이 많았다. 이것은 기독교에 대한 그의 무의식적이고, 본질적인 관심을 드러내 준다. 그의 기독교는 ‘근본주의’나 ‘신앙의 원리주의’를 넘어서는 ‘종교다원주의’에 가깝다. 타종교에 대해서 늘 너그럽고 화해적이다. 그의 작품 안에서 종교들은 서로 부딪치지 않고 평화롭게 공존한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는 불가항력적인 죽음이 자주 등장하고 그 삶과 죽음의 이항대립적 꼭지점에는 죽음을 초극하는 신앙이 등장한다. 죽음의 권세와 두려움이 클수록 신앙은 위대한 힘을 발한다. 김원일에게 신앙은 “부조리한 세상에서 정의로운 신을 고백할 수 있는가?” 하는 신정론의 문제를 종종 제기하는데 이것은 지난 2천 년간 기독교에서 ‘실존론적 성서해석’을 해왔던 사람들이 또한 제기해온 문제이다. 신의 부재(不在)의 상황에서도 ‘지금, 여기(hic et nunc)’를 중시하며 ‘신(神) 앞에서(Coram Deo), 신(神)과 함께(Cum Deo)’를 외치며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을 연구의 대상에서 빼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김원일 소설 속에 나타나있는 기독교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했다. 주제어 : 김원일 후기소설, 기독교사상, 종교다원주의, 분단문학, 신정론(神正論), 보수주의, 문제의 해결사, 속죄의식, 공동체사상, 종교와 문학, 근본주의

      • 한국 개화기 문학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연구

        김병학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71

        This study examined how christian literature is reflected in our consciousness and has achieved literary modernity through the position Christian literature occupied in modern literary history. It centered o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al aspects of christian literature admitted by the literature of the opening time to western civilization of Korea and realistic adjustment to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Chapter Ⅱ reviewed the background of Christianity admission and the generation of christianity. Christian literature is based on scriptural Gospel in Christian faith and pursues universal art dealing with the process that when humans agree with God and recover their original being, they come to gain salvation. Christianity and literature are reciprocally complementary while having their independent areas. Chapter Ⅲ examined the thoughts of christian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poems and songs of the opening of Korea. There are twenty seven songs dealing with patriotism and independence published in Dong-lip-shin-mun」, a newspaper. Of these the ones that have christian tendency showed patriotism and independence based on love which is a central idea of christianity as follows: narrations of Creation, christian love and charity, praying and praise to the God, and empowerment of humans to govern the universe. The Christian songs published in 「Dae-han-mae-il-sin-bo」 imply a will to save the nation that was gradually declining with a help of the God, rather than a representation of serious faith. Of about forty songs published in 「Gyeong-hyang-sin-mun」, the Christian ones mainly deal with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And they sing the birth of the Jesus, faithful management of the given task, universal brotherhood and promotion of more serious faith. The hymn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form of Changga (vocal music) when Christianity was imported contributed a lot to the addition of western music to Korean music. The meters of the Changga were relatively free: rhymed verse of 7 · 5 developed by Yukdang, 8 · 6 which was mainly used in hymns, 7·7, 8·8, 6·6, and 8·7. The poems written in the early period of Choi Nam-seon are very representative with their conventional meters combined with a slight variation and use of onomatopoeic words. They presented a challenging disposition to inherit independent national consciousness, but in his later period of writing, his intention was not dissolved in the word of poems, being transformed into a conceptual vestiges. Lee Gwang-soo's works from his early period have a Christian tendency and somewhat succeeded in forming the images of the subjects, but christianity was not consciously deepened in the poems. Chapter Ⅳ reviewed the ideas of christianity through analysing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al aspects of the novels written in the flowering time of our country. First, the 「Mong-jo」 in which soul of an individual is relieved deals with salvation through faith to Jesus and the story is as follow: when two wives, who lost their husbands, were depressed they have a conversation in the form of questions and answers and they open their mind to chnstianity. The「Da-jeong-da-han」 pursues life focusing on a sacrificlal mind and God beyond self-salvation such as revolution against liberal exertion of power, revival of human right, patriotism, and destruction of superstition. In the 「Seong - san - myeong-gyeong」, the hero Shin Cheon-ong became a Christian and then read only the Bible and was engaged in Christian mission work. As a result, he joined the ideas of salvation focusing unity and absolutism of the God through a Christian dialectic based on the Western and Oriental religious principles. Second, the 「Go-mok-hwa」 which deals with the philanthropy practices of Christian charity and presented the idea of love living in the consciousness of the hero beyond unilateral preaching of christian doctrines. The 「Confession under the Moon 」 deals with self-awakening of the snobbish public servants, and the christian thinking of repentance. It forms the death of the Jesus at the Cross to relieve human beings from punishment, suggesting charity of christianity. The 「Bak-yeon-pok-po」 deals with practice of christian love and forgiveness, not worldly hatred or revenge. Third, the 「Tears」 is a family story representing Christian repentance. The hero regrets his past sin when listening to the preaching from Mayadaejwa and sheds tears. It is the practice of Christian love through repentance. In the 「Bu-byeok-ru」, the hero repents his sin and come to salvation through experience and confession in spite of adverse fortune and hardship. This work intended to reveal the corruption of the public servants, the evil customs of early marriage and keeping a concubine through the corrupted hero. Fourth, the 「Story of Go Young-gyu」 describes a relief of happy family. It has an intention to establish a model of modern family, and focuses on steady family life of the couple as christians. It presents a new model of family different from the type of family governed by feudalism. The 「The Standard Model of the Couple」 deals with preciousness of family relation based on christian love and perseverance of the couple who have standard family life based on christianity. Fifth, the 「Jae-bong-chun」inspired the idea of equality, the main characters reflect christian ideals presenting practical cases of human respect and the idea of equality beyond hierarchical class. Sixth, the 「Doubt record of the Beast」 criticizes and parodies reality it intends to find a way out of pessimistic society through inspiring protection of national authority and independence in disordered situation of the flowering time, reflecting moral view of christianity And it also reveals corruption of humans in terms of christianity. The 「Gyeong-se-jong」 is a fable that criticizes corruption of humans like 「the Doubt Record of the Beast」 and accommodates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positively to cure moral problems through Christian doctrine.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f Korea's opening to western civilization as a bridge in the progress of classical literature to modern, and an influence of results of studies on songs and novels containing christian ideas on the overall Korean literature.

      • 芥川龍之介の基督敎思想

        하태후 梅光女學院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8671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예술을 논할 때, 그의 심미적, 지적, 기독교 측면이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의 예술의 한편에는 윤리적, 종교적, 전인 적 측면도 있음을 놓쳐서는 안된다. 특히 그와 기독교 관계를 논할 때는 기 독교 취미, 엑조티시즘, 호사벽 등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쿠타가와 기독교 인식의 토대는 무엇보다도 <성서> 그 자체에 있 었고, 또 <인간존재> 그 자체에 있었던 것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가 무엇보다도 중히 여긴것은 도그마도 아니고, 제도로서의 교회나 신도의 신앙행 위도 아니었다. 그리스도라는 존재에서 '세계苦'그 자체를 짊어진 수난의 相인간존재 그 자체의 실존적 형상의 근원을 그는 발견했다. 그와 동시에 <믿 음>에 대해서는 어린 아이와 같은 순박한 <믿음>의 모습에 깊이 공감했다. 아쿠타가와와 기독교의 관계는 이 같은 전제 위에서만 바르게 논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토대 위에서 아쿠타가와의 기독교 관련 작품 24편을 서 장, 종장과 본론을 8장으로 나누어 논했다. 서 장 제 1 장 기독교에 대한 관심 제 2 장 악마와 <악> 제 3 장 순교와 배교 제 4 장 愚人에 대한 동경 제 5 장 <믿음>에 대한 비판 제 6 장 기독교와 일본의 풍토 제 7 장 <죄>의 인식 제 8 장 그리스도를 향한 응시 종 장 이 같이 아쿠타카와의 기독교 인식은 엑조틱한 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기독교를 종래 논자들이 논해 온 바와는 다른, 여러 측면에서 바라 보고 있다. 또 기독교 신앙에 대해서는 자신을 몰입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제 삼자의 입장에 서기도 하여, 기독교 신앙에 대한 공감과 조소를 동시에 보내는 실로 그 인식의 다양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아쿠타가와의 사상에 대한 시각이 중층적, 복안적 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의 작품의 일할을 넘게 차지하는 기독교 작품의 바른 해명이 그의 생애와사상을 논하는 가늠자가 된다고 보고, 본 논문은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을 통하여 그의 전 문학에 대한 평가의 척도를 찾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