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균형성과표를 활용한 건설사업관리의 핵심성과지표 도출

        임우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파악하여 끊임없이 목표를 관리하여야 한다. 나아가 개선해야 할 부분을 보완하여 목표를 재설정하고 그에 맞도록 성과를 관리하여야 한다. 최근 건설 분야에서도 조직, 프로젝트 및 기업의 성과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설사업관리는 건설공사의 사업수행 단계는 물론 시설물 생애주기에 걸쳐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관리활동이 요구된다. 건설사업관리의 성과측정에 대해 국내의 많은 연구 대부분은 성과측정 모델의 기본적인 개념을 정립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건설현장 및 건설사업관리의 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여 성과관리시스템을 현장 실무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를 활용한 건설사업관리의 성과영역 및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여 객관적인 성과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성과측정의 세부내용에 대해 파악하고, 성과측정 방법 중 균형성과표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균형성과표를 활용하여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2) 연구의 범위 선정 후, 균형성과표와 4가지 관점의 관련문헌을 통해 정리 및 분석하여 균형성과표 관점별 측정관점 및 목표를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의 균형성과표 관점별 개념을 정리하였다. (3) 전문가를 대상으로 균형성과표 관점별로 건설사업관리 업무 적용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건설사업관리 8가지 업무 중 상위 3가지 업무를 건설사업관리의 성과영역으로 도출하였다. (4) 도출된 성과영역별로 관련문헌을 통해 식별한 핵심성과지표를 적용하여 성과영역의 목표와 부합되는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핵심성과지표의 설명을 보충하고 측정방법을 정량화하기 위한 측정방법을 구성하였다. (5) 도출된 핵심성과지표를 실제 사용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제공하기 위해 타당성 검토를 진행한 결과, 20개의 핵심성과지표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산정 기준을 통해 건설사업관리의 핵심성과지표 목표치를 설정하였다. 주요어 : 균형성과표(BSC), 핵심성과지표, 건설사업관리 Enterprises should set up realizable goals and continually control the goals from apprehending whether they can be realized or not so that the enterprises grow consistently. Furthermore, from supplementing parts to be improved, goals are reset and the result should be controlled in order to fit to them. Lately, a lot of discussions about the results of organizations, projects, and companies are being realized in construction field. Particularly, in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effective and professional control activities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facilities as well as the stage of business implementation of construction work are needed. About the result measurement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lots of most domestic researches stay in the level of establishing basic concepts. Also, sinc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field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were not reflected properly, it is in a situation that the result control system is not applied to on-site real works. Henc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fundamental data for measuring objective results from extracting result areas and core result indexes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using BSC (balanced score card). The study results are like the next. (1)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detailed contents of result measurement were grasped. The BSC among result measurement methods wa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was decided by using the BSC. (2) After choosing the study range, from arranging and analyzing it through literature connected with the BSC and four viewpoints, concepts by BSC viewpoint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was arranged based on measurement views by each BSC viewpoint and goals. (3) Targeting experts, by conducting a survey for task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by BSC viewpoint, top 3 tasks among 8 tasks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were extracted as a result area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4) The core result index coinciding with goals of the result area was extracted by applying the core result index distinguish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by each result area extracted. Moreover, measurement methods were formed to supplement explanations of each core result index and quantify the measurement methods. (5) At the result of progressing the check of validity to provide the extracted core result index as an evaluation tool for real use, 20 core result indexes were represented to be valid. Through the standard of result calculation, goal values of the core result index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ontrol were established.

      • 균형성과표의 도입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하진환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27

        균형성과표는 궁극적으로 기업성과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재무적 관점과 비재무적 관점을 포함하는 균형개념을 성과관리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우리나라 기업들이 균형성과표를 도입하여 시행함으로서 재무적 관점에서 어떠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활동의 결과인 재무적 관점에서 균형성과표를 도입하기 전과 도입한 후의 성과를 측정하여 균형성과표의 도입이 기업의 가치창출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를 도입한 기업들이 재무적 성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균형성과표를 도입한 민간기업과 공공기업 중에서 우수한 경영사례로 제시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재무자료를 수집하여 성장성 비율, 수익성 비율, 안전성 비율, 유동성 비율, 활동성 비율 등 요인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균형성과표 도입전,후의 성과분석 차이를 검토 하였다. 특별히 균형성과표 도입 2년 전과 2년 후의 재무비율을 분석한 이유는 표본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의 균형성과표 도입 시점이 2004년도 이므로 도입 직전과 도입 직후의 재무비율을 비교하는 것은 균형성과표 도입효과가 제대로 반영되었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도입 직전인 2003년도와 도입 직후인 2005년도를 제외하고 2002년도와 2006년도의 재무분석비율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가설은󰡒균형성과표 도입전,후의공공기업과,민간기업의 재무성과에는 차이가 있다󰡓로 설정하였으며 본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하여 설명 된다. 첫째, BSC를 도입한 전체기업중 성장성 분석에서 총자산증가율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안전성 분석에서는 고정장기적합율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BSC를 도입한 공공기업증 성장성분석에서는 총자산증가율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동성분석중 현금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BSC를 도입한 민간기업중 안전성 분석에서는 고정장기적합율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유동성분석에서는 유동비율과 현금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성과표 도입의 효과를 재무적 성과만을 고려하여 측정한다는 것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재무적 측정치 이외에 미래지향적이고 장기적인 예측지표 즉 고객 만족도, 종업원 만족도, 효율성, 지적재산권 도입정도, 혁신성과 등과 같은 비재무적 측정치를 새로운 평가지표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이 가지고 있는 아쉬운 점은 위와 같은 재무적 성과지표 보다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고려하지 않고 재무적 성과지표만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재무적 성과지표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이용한 연구까지 확장되어 기업성과 평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성과측정시스템으로서의 BSC는 재무성과 지표와 같이 과거에 이루어진 행위에 대한 결과물인 후행지표와 미래의 경제성과 동인인 선행지표로 이루어진 성과지표로서 과거의 결과물은 미래를 예측하는데 한계는 있지만 분명하게 재무성과와 BSC 도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 된다. 끝으로 BSC 도입의 최종목적은 기업의 성과 향상에 있음으로 본 논문이 기업의 재무 성과분석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균형성과표를 활용한 지식경영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문송국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기업들은 글로벌 경영환경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식자산이 부가가치 창출의 핵심이라 여기면서 대부분의 기업들이 지식경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도입하는 최고경영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지식을 창출, 저장, 배포, 공유를 하며, 지식경영을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연계시켜 조직의 가치를 실현하고, 과거 지향적인 재무적 성과지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포함하여 보다 효율적인 성과측정시스템을 도입 운영할 것인가는 모든 기업이 해결해야 할 고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지식경영의 성과측정에 관한 기존문헌 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좀 더 미래지향적인 균형성과표를 적용한 성과측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동종업계에서 높은 수준의 지식경영을 추진해 온 연구기업에 설문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성공요인과 성과요인간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효율적인 성과측정시스템을 마련하는데 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균형성과표의 관점에서 지식경영의 주요한 성공요인과 성과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단계별로 보면 지식경영의 성공요인과 성과측정요인에 관해 연구모형을 만들고 가설검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설문서를 기초로 기본통계분석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도 검증 및 개별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통하여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어떤 개별요인이 성공요인 및 성과요인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균형성과표를 통해 어떤 요인이 연구기업의 주요한 성공요인 및 성과요인인지 알아보고, 타 업종의 기업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기업의 사례를 통해 가설검증 및 모형을 마련하고 실증적 분석을 통해서 지식경영의 성공요인과 성과요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인가를 살펴봄으로써 균형성과표상의 성공요인이 관점별 성과측정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끼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까지 지식경영의 성과측정에 관한 논문내용을 보면 개별 성공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논문이 다수였으나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균형성과표상의 전체 성공요인이 각 관점별 성과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knowledge property is a main point of creating the value added, most major corporations are introducing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el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and confront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from position of chief executive officer, introducing more efficient outcome measurement system is an issue that the his or her enterprise must solve: how to create, store, distribute, and joint the knowledge, how to contact corporation`s vision and strategy to actualize the value of organization, how to overcome a limitation of the past oriented financial outcome index, and how to implicate the non-financial outcome index within the system. From this view of researches has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of the previous result measure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based on these studies, the outcome measurement program applied with more future intended balanced scorecard has been presented.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more efficient outcome measurement system with operating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based on a survey of research organization which promotes the knowledge management among similar kind business, and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 and outcome factor. Also, based on preceding study, critical successful cause and result cause are researched and analyzed in a view of balanced scorecard. Looking at the phases of research, study model of successful cause and result measurement caus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is prepared to confirm based on the hypothesis testing. Furthermore, based on the statement of question, feasibility is analyzed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of data`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individual factor Moreover, individual cause which affects on successful cause and result cause is researched with the regression analysis. Also the causes that lead to successful cause and result cause are researched through the balanced scorecar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other type of business is compared. This research shows successful cause of Balanced scorecard is suited positively; hypothesis testing and its models are prepared based on the experiments of research organization, and examine successful cause and result cause of knowledge management is statistically suited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How individual successful cause affects on corporate performance has been the usual topic of most recent thesis about result measurement of knowledge management. However, this thesis is abundantly significant because it shows how successful cause of balanced scorecard affects on each view of result measurement.

      • 중국 샤오미 기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BSC와 GRA를 중심으로

        부경초 목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IT 기술 서비스는 사람들의 생활에서 점차 중요한 역할을 맞고 있다. 신흥 경제시스템 으로 서의 IT 기업들은 신속한 발전을 거두었고 중국 국민경제 발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인터넷+’라는 시대적 트렌드에 맞춰 수많은 기업들은 기존의 제조업, 공업, 실물 금융업으로부터 IT 기업으로 전향하였고 IT 기업의 성과 평가에 대한 연구는 해당 기업의 경제적 현황, 발전 잠재력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본문에서는 우선 논문의 주제 선택의 배경, 의미 및 국내외 연구 현황과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연구내용과 어려운 점을 정리해낸다. 그 다음 성과 평가 및 균형성과기록표의 이론에 대해 대체적으로 서술하고 균형성과기록표의 내용, 균형성 및 응용조건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그리고 샤오미의 기업 현황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시작으로 그에 적합한 균형성과기록표 평가시스템을 구축하고 계층 분석을 통하여 지표별 가중치를 산출하며 GRA으로 해당 평가시스템에 점수를 매긴다. 마지막으로 종합 평가결과를 유추해내고 그에 대해 분석하며 부족한 부분에 있어서 보완 방안을 제시한다. Research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Xiaomi Based on balanced Scorecard and Gray Association Analysis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et technology services are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people's lives. As an emerging economy, Internet enterprises have developed rapidly and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development of China's national economy. In the face of the era wave of "Internet +", more and more enterprises are transforming from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ial and physical financial industry to the Internet enterprise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onduct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search on the Internet enterprises and comprehensively measure the operating statu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enterprises. This paper first, this paper expounds the topic selection background, significanc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status and research methods, and sorts out the main research content and key points and difficulties. Secondly,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balanced scorecard theory overview, focusing on the content, balance and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balanced scorecard. Thirdly, the current situation of Xiaomi company is briefly introduced, and a set of applicabl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balanced scorecard is built for Xiaomi company. After the weight of each index is determined through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the gray correlation analysis method i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system. Finally,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analyzed, and further suggestions for the lack of performance.

      • 균형성과표(BSC)를 이용한 수술실 간호부서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유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국민들의 의식수준 변화,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가와 병원간의 경쟁심화 등의 변화는 병원이 시스템 변화 없이는 존속할 수 없는 현실을 가져왔으며, 생산성의 향상이라는 경제원리에 따라서 간호도 최소한의 인력으로 최상의 서비스와 질을 제공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결과중심, 재무지표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1990년 노튼과 캐플런이 개발한 전략적 업적 평가의 한 기법인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함으로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수술실 간호부서의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연구의 고찰을 통해 개념적 준거틀을 형성하였고, 예비 성과평가지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부속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관리자들과의 2차례에 걸친 회의를 통해 수술실 간호부서의 비전과 4가지 시각에 따른 전략적 목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비전과 목표 및 문헌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예비로 개발된 성과평가지표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 타당도와 실무자 집단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한 후 최종 수술실 간호부서의 성과평가지표를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비 균형성과표(BSC) 구축을 위한 개념적 준거틀을 문헌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1단계 수술간호 대한 정의, 전개방향 및 역할묘사, 2단계 기업 비전의 수립, 3단계 전략적 목표수립, 4단계 측정지표개발, 5단계 인과관계 파악, 6단계 성과측정지표 완성으로 설정하였다. 2. 개념적 준거틀의 6단계에 따라 본 연구자와 수술실 간호관리자들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수술실 간호부서의 업무특성을 반영한 비전과 균형성과표(BSC)의 4가지 시각인 재무, 고객,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시각에 따른 11항목의 전략적 목표와 26항목의 측정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43항목의 인과관계를 연구자가 설정함으로서 예비 균형성과표(BSC)를 완성하였다. 3. 예비 균형성과표(BSC)에 대한 전문가집단과 실무자집단의 타당도 검증결과 전략적 목표와 측정지표에 관한 전체 37문항 중 전문가 타당도는 28문항이, 실무자 타당도는 36문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과관계에 관한 43문항 중에서는 전문가 타당도 결과 21문항, 실무자 타당도 결과 26문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위의 타당도 검증결과에 따라 측정지표 5문항을 삭제하였고, 2문항을 다른 시각의 측정지표로 수정하였으며 9문항을 추가 또는 수정함으로서 전략적 목표 11항목, 측정지표 26항목을 수립하였다. 또한, 타당하다고 인정된 인과관계 외에 측정지표가 추가, 수정됨에 따라 이에 대한 인과관계를 새로 설정하여 총 44항목의 인과관계를 수립함으로서 최종 성과평가지표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관리자에게 간호부서의 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 나가도록 하기 위한 전략개발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할 것이며, 간호부서의 생산성을 가시화 함으로서 간호사들을 동기부여 시키고 전체 병원조직에 기여하는 바를 올바르게 평가받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changed their systems to improve health care outcomes in the competitive hospital environment. Nurse managers are facing the increased pressure for them to prove the quality and cost effectiveness of nursing care provided, and the increased need of nursing service from consum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vision and strategic objectives for improving quality of nursing care and to develope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the perioperative nursing unit in the hospital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Development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the OR nurse managers and researcher built a committee to make a vision for the perioperative nursing unit, and developed a preliminary Balanced Scorecard. Second, vision statement , strategic objectives and performance indicators were made by the committee. Also,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m were set. After expert validity test by seven experts and nurse validity test by twenty OR nurses with minimum three years career on the preliminary Balanced Scorecar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sed. The fi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by th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It consisted of six stages : defining perioperative nursing, future direction and role description, making a vision, developing strategic objectives,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demonstrat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nd developing preliminary Balanced Scorecard. 2. The committee was organized by the researcher and OR nurse managers, made the vision statement, the eleven items of strategic objectives and twenty-six items of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four perspectives of Balanced Scorecard, which is, financial, customers, internal business processes and learning & growth. Ther esearcher completed Balanced Scorecard, setting up forty-tree items of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them. 3. The results of the validity test for the preliminary Balanced Scorecard supported twenty-eight items of expert validity test and thirty-six items of nurse validity test in thirty-seven items of strategic objectives and performance indicators. It also supported twenty-one items of expert validity test and twenty-six items of nurse validity test in forty-tree items of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ve items of performance indicators were deleted, eleven items were added or revised. Then, the fi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It consisted of eleven items of strategic objectives, twenty-six items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forty-four items of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added or revised performance in dicato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for nurse managers make the vision statement, and strategies to achieve the vision. It will also to motivate nurses manifest nursing unit's productivity, and be used to evaluating what they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 균형성과표 기반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 구축 및 적용 : Bayesian Belief Network 활용

        노원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의료비 상승의 대안으로 도입된 가정간호사업은 최근 가정간호사업소의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가정간호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의료기관의 지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가정간호사업의 성과를 의료기관 경영진에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정간호사업의 운영지속을 위해 경영진에게 가정간호사업 성과를 제시하고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근 많은 의료기관에서 활용하는 균형성과표를 기반으로 한 성과평가지표와 인과관계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균형성과표 관점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전략적 목표간 인과관계를 수립하고 Bayesian belief network (BBN)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된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이 간호관리 실무에 적용 가능하도록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관리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의 관점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고, BBN을 활용하여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을 구축함으로서 적용 가능한 간호관리전략을 제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 연구대상은 가정간호 전문가집단, 가정간호 실무자집단이다. 본 연구는 4단계 연구로 1단계에서는 균형성과표 기반 가정간호사업 성과평가지표 (안)에 대해 전문가집단의 타당도 검증과 실무자집단의 현장적합도 평가를 거쳐 가정간호사업 성과평가지표 개발하였고 각 관점별, 전략적 목표별, 성과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2단계에는 문헌고찰과 전문가집단의 자문을 통하여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3단계에서는 BBN을 활용하여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을 검증하였고, 4단계에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이에 따른 간호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서술통계는 Stata 13.0을 사용하였고, 가중치 산정은 Make ItⓇ을 활용하였다. 또한,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의 검증과 시뮬레이션은 HUGIN 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균형성과표 기반 가정간호사업의 성과평가지표는 전문가집단의 타당도 검증과 실무자집단의 현장적합성 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4개의 관점에 대해 10개의 전략적 목표와 31개의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가정간호사업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 관점, 전략적 목표, 성과평가지표의 3개의 계층을 설정하여 쌍대비교를 통해 중요도를 설정하였다. 2.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 성과예측모델 (안)은 전문가집단의 검증을 통해 10개의 전략적 목표들 간의 21개 인과관계로 구성되었다. 3.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의 검증을 위해 BBN을 활용하여 타당성 검증과 민감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델의 타당성 검증은 가정간호사업의 수익 증대의 변화확률에 선행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과 수익 증대 확률을 10% 증가하기 위해서는 각 선행요인들의 변화폭을 어느 정도로 하여야 하는지 두 가지로 시행하였다. 가정간호사업 수익증대 변화 확률이 가장 높게 예측된 전략적 목표는 재무관점의 가정간호서비스 원가절감이 최대로 이루어졌을 때 (19.43%) 였고, 가정간호사업 수익증대 변화 확률이 가장 낮게 예측된 전략적 목표는 고객관점의 가정간호사업 이미지 향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55.33%)로 확인되었다. 수익 증대 확률을 10% 증가하기 위해서는 가정간호사업 외부고객 만족도를 현재보다 5.42%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성과예측모델의 민감성도 분석을 위해서 가정전문간호사의 역량과 동기부여를 강화하였을 경우에 가정간호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가능성 확률을 선정하여 변화시켰다.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간호사업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과 수익증대 확률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에 적용할 시뮬레이션은 성과예측모델의 최종 변수인 ‘가정간호사업 수익증대’의 선행요인 9개를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9개의 시뮬레이션 중 가정간호사업의 최종 성과로 본 가정간호사업 수익증대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예측되는 것은 시뮬레이션 6번 가정간호사업 이미지 10% 향상 (7.14%)이었다. 시뮬레이션 6번의 결과를 통해 높은 수준의 가정간호서비스 질이 가정간호사업의 이미지를 개선시키고, 이미지 개선을 통해 외부고객 만족도가 높아져 최종적으로 가정간호사업 수익증대로 이루어짐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호사업 성과예측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9개의 시뮬레이션 중 가장 높은 수익증대 확률을 나타낸 가정간호사업 이미지 10% 향상 시뮬레이션에 대한 간호관리전략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간호관리전략의 임상 적용을 통하여 가정간호사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Kaplan과 Norton (1992)의 균형성과표 기반으로 개발된 가정간호사업 성과평가지표를 임상에 적용함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발된 성과예측모델과 제시된 간호관리전략은 간호관리자의 가정간호사업 성과관리 시 기반이 되어, 가정간호사업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균형성과표 개발 연구들에선 제시되지 않았던 성과평가지표의 가중치와 인과관계의 확률을 제시함으로서 추후 연구 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간호관리자가 가정간호사업 성과 관리를 위하여 활용하는 중재전략을 제시하고 중재전략의 효과를 의료기관 경영자에게 재무적 성과의 수치로 제시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Home care nursing has been instituted as the alternative for increasing demand of medical service and medical expenses is declined. For the activation of home care nursing, it is needed not only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but also support of medical institution. For the support of medical institution, the performance of home care nursing can be adduced to the medical managements. As the performance of home care nursing can be presented and implicated, it is needed the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 and its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balanced scorecard using many medical institution.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with two aims; one is develop the KPI based on balanced scorecard and the other was to build a causal relationship of strategic objectives using Bayesian Belief Network (BBN).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will provide useful and can be improved performance by implicated the nursing management. This study included four steps as following.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the KPI derived on the basis of balanced scorecard by expert group and staff group and to estimate the weighted value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second step was to model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home care nursing b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group. The third step was to develop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home care nursing using BBN. Finally the fourth step was to suggest the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model simulation. In first step, KPIs of home care nursing were developed content validity test by expert group and usability test by staff group. Finally, it is composed to 4 perspectives, 10 strategic objectives, 31 KPIs. And then their weighted values were estim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second step,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home care nursing was composed to 21 causal relationships. In third step, validity and sensitivity analysis were tested. In validity test, strategic objective of the greatest probability variation for increasing revenue was the maximum cost reduction of home care nursing service in financial perspective and the smallest probability variation for increasing revenue was minimum image improvement of home care nursing in customer perspective. For 10% increasing revenue, external customer will be increased 5.42%. In sensitivity analysis, the probability of expert did not affect sensitively. In fourth step, 9 simulations were performed. Among 9 simulations, 10% image improvement was predicted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revenue.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image improvement. Consequently, KPIs of home care nursing will be estimated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lso,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home care nursing will be useful to increase performance.

      •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를 이용한 전략경영의 수립에 관한 연구 : P(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권동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정보화, 지식화 사회로 전환되면서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경영환경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인적자원, 정보, 그리고 지식 등과 같은 무형자산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기업경영 성과평가에 있어서 과거의 재무적 지표에만 의존해 온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전통적인 재무적 지표만으로는 기업의 성과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없다. 왜냐하면, 무형자산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가치창출을 위한 전략이 과거의 유형자산의 관리로부터 무형자산을 창출하는 지식기반전략 (Knowledge-Based Strategies)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정보화, 지식화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전략적인 관리도구에 대한 필요성을 감지하였다. 새로운 전략적인 관리도구 중에 하나가 Norton과 Kaplan(1992, 1996)이 제시한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이다. 서구의 많은 기업들은 균형성과표를 도입하여 그에 따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도 균형성과표를 이미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은 전략과 균형성과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들은 균형성과표를 성과평가의 도구로서만 이용하고 있다. 균형성과표를 전략과 연계시켜야만 경영진의 관리 초점이 분명해 지고, 기업의 자원이 전략적 목표에 집중화되기 때문에 전략의 성공확률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균형성과표를 이미 도입한 기업인 P(사)의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과 균형성과표를 연계시키는 균형성과표의 도출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P(사)의 균형성과표 도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그 균형성과표가 올바르게 수립되었는가를 총 3단계에 걸쳐서 분석하였다. 1단계에서는 비젼과 전략 목적간의 연계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2단계에서는 전략 목적의 관점별 매핑분석을 하였고,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관점별 전략목표와 성과지표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균형성과표가 올바르게 구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 관점별 전략목표와 성과지표들이 너무 많아서 조직구성원들이 자신의 직무가 어떻게 기업의 성과와 전략이행에 연계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너무 복잡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 전체가 기업의 전략을 알 수 있어야 하고, 자신의 성과가 기업의 성과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알 수 있어야 한다. 국내에서 많은 기업들이 균형성과표를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고려 중에 있는 현실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이미 균형성과표를 도입한 기업에게는 올바른 수정방안에 대해 제시하여주고, 균형성과표의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경영전략 프로세스를 반영하는 균형성과표를 구축하는데 지침이 될 수 있는 분석적인틀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the knowledge-based economy is advancing, intangible assets such as human resources,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increasingly important. Under the knowledge society,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company's competitiveness are intangible assets, not tangible assets. However most corporations are still dependent on conventional financial measures for the estimation of its valu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conventional financial measures are heavily biased toward the use of the tangible assets-oriented accounting system and accordingly are likely to misjudge corporation's performance and value. Clearly, the strategic focus for creating value has shifted from managing tangible assets to creating knowledge. Deployment of organization's intangible assets is now strategically more critical than physical assets. Accordingly, corporations increasingly recognize the need to have new strategic management tools suitable for management under this new knowledge-oriented environment. One of the new strategic management tools is the concept of the balanced scorecard suggested by Kaplan and Norton. It shows how diverse performance measures -- derived from the perspectives of financial performance, customer relations, internal business processes, and learning and growth, respectively -- should be logically mapped to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 case study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by Kaplan and Norton. A company identified as P was selected for this study. Specifically, the Company P's balanced scorecard was critically evaluated to see how well it fitted to the P's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e Kaplan-Norton's model.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linkage between P's vision and its strategic goals. Second, it analyzed the P's balanced scorecard to see how the performance measures were mapped to the strategies from each of the four perspectives: i.e., the financial perspective, the customer perspective, the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and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Finally,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objectives and measurement performance indicators. This study finds that the analytical framework suggested by Kaplan and Norton is not only conceptually sound but actually provides a practical guideline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company's balanced scorecard.

      •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학교급식 운영성과평가 측정지표 개발

        송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국내에서는 학교급식의 운영형태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부에서는 학교급식을 직영으로 모두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일부에서는 학교급식의 재원과 현 상황에서 직영으로의 전환에 어려움이 있음을 제시하며 위탁 운영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운영형태에 관한 논란에 앞서 어떤 운영프로그램으로 어떻게 학교 급식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지를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운영평가 지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의 실행을 위해 노튼과 캐플런이 개발한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하여 학교급식의 효율성 측면과 효과성의 측면의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문헌을 통해 균형성과표의 구축과정을 1단계 학교급식의 정의 및 급식 업무 영역에 대한 규정, 2단계 학교급식의 비젼 수립, 3단계 전략적 목표 수립, 4단계 핵심 성공요인의 도출, 5단계 핵심 측정 지표의 개발, 6단계 인과관계 구현, 7단계 예비 균형성과표(BSC)의 완성으로 설정하였다. 예비균형 성과표를 설문지 형태로 전환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지역의 교육청과 초등·중·고등학교 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급식소의 실무 영양사, 행정 책임자, 및 학교급식 관련 전문가 각 209명, 48명, 9명을 대상으로 4가지 시각별 전략적 목표, 12가지 핵심 성공요인과 39개의 측정지표 및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질문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시각의 핵심성공요인에서 재무적 시각의 "영업손실율=0"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핵심 측정지표에서는 재무 시각의 제조원가 비율/금액, 재해손실 건수/감소율, 급식참여율, 매출목표 달성율이 고객시각에서는 학생만족지수, 교직원만족지수, 잔반율, 교육수행건수/시간, 영양교육 평가 관리 지표, 고객클레임 건수/감소율, 고객클레임 처리건수/감소율, 학부모 만족지수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각에서는 영양요구량 충족비율, 영양관리 평가점수, 식중독 발생건수, 종사원 안전사고 건수, 위생점검 평가점수, 노동시간당 식수(생산성지수), 운영 관리 평가지수, 구매 관리 평가 지수, 업무 전산화 비율 학습 및 성장 시각에서는 종사원 이직율/결석율, 연간교육훈련건수, 종사원만족지수, 인적자원관리 평가지수, 연간메뉴관련 고객 피드백 건수, 급식직원/종사원 대상 급식정보 제공 지표, 학부모/학교대상 급식정보 제공지표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문헌연구와 타당성 검증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균형성과표(BSC)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거시적으로는 운영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학교급식의 총체적인 성과를 점검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제시하고 현재 운영형태가 학교 및 학생에게 기여하는 바를 바르게 평가 받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re have seen endless debates about operational types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in Korea. Some argue that school lunch programs must be self-operated by schools, whereas others call for outsourcing, citing the financial circumstances of resources available for the program and difficulties of adopting the self-operated management method at the moment. However, before debating about what is the best way to run school foodservice, it seems most urgent to present a guideline as to what is the best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schools with quality foodservice.Therefore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dices for measur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chool foodservice, and as a means of helping its implementation, balanced score card (BSC) approach developed by Norton and Kaplan was adop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chool lunch programs successfull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stablished BSC in seven phas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Phase 1 Defining a school foodservice and the scope of working field, Phase 2 Establishing the vision of a school foodservice, Phase 3 Setting a strategic goal, Phase 4 Identifying critical success factors(CSFs), Phase 5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s), Phase 6 Extracting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Phase 7 Completing a preliminary balanced score card (BSC). The preliminary balanced scored card was turned into a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o foodservice related people working a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other Office of Education including 16 Offices, 209 dietitians working at school cafeteria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48 school administrators both from self-operated and contract-managed, and 9 experts in areas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They were asked questions about strategic goals from 4 different perspectives, 12 CSFs, 39 KPIs, an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m. As a result, among the CSFs based on 4 different perspectives, all factors other than "zero sum on profit/loss"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turned out to be valid. In terms of KPIs, manufacturing cost percentage/amount, casualty loss count/reduction rate, school foodervice participation rate, and sales goal achievement rate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while student satisfactionindex, faculty satisfaction index, leftover ratio, nutrition educational performance count/time, index of evaluating nutrition education,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processed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and parent satisfaction index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Besides, nutritional requirement sufficient ratio, nutritional management score, food poisoning outbreak count, employee safety accident count, sanitary inspection score, meals per labor hour (productivity index), computerization ratio, operational management index, and purchas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were also found to be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business process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d growth, computerization ratio, employee turnover ratio/rate of absenteeism,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quantity, employee satisfaction index, human resource management index, annual menu-related customer feedback, foodservice information index for employees, foodservice information index for parents/schools were also found to be valid. The final balanced score card was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verification. The macroscop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dices for measuring overall performance of school lunch foodservice operations without putting any limitation on types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and to help correctly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types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to schools and students.

      •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동적 균형성과표 개발 : K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함규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9727

        This study has grasped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score indices connected to strategy and the dynamic change mechanism in order to establish a dynamic balanced scorecard model for example enterprises in franchise industries. It is supposed to perform a system analysis research using a system dynamics methodology in order to establish a simulation model for a strategic evaluation based on this. Existing evaluation methods cannot measure the interaction between score indices and has a limit in expressing the effects of feedback changing depending on new strategy. In order to supplement such problems, it was supposed to prepare a cause and effect map between indices having influence on the strategic evaluation, to develop a dynamic balanced scorecard model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 on the basis of the presented cause and effect map, and to present suggestion points for the strategy evaluation through simulation. Research results have shown that effects are appearing in the order of the investment in IT and infrastructure in scenario 1, the investment in IT and marketing in scenario 2, the investment in marketing and R&D in scenario 3, the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in scenario 4, and the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and R&D in scenario 5. This shows that the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shows effects over a long period and the investment in IT is effective in a short period. The simulat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following expectation effects. First, it is possible to review a plan to grasp and solve the cause of a problem through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score indices in the dynamic balanced scorecard. Secondly, it is possible to confirm appropriateness for the strategic score evaluation through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score indices. Thirdly, this has deduced suggestion points to make strategic decisions through various simulations based on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score indices composing the dynamic balanced score card. Fourthly, this has provided a dynamic balance score card for the entire members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the strategy of enterprises.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being able to present a basis and standard to establish a dynamic balanced score card model depending on enterprises through a computer simulation program to perform score evaluation strategical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various score indices and being able to use its results for strategic decision-making in various aspects.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산업의 사례기업을 대상으로 동적 균형성과표(Dynamic Balanced Scorecard)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전략과 연계된 성과지표들 간의 인과관계와 역동적인 변화 메카니즘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략적 성과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이용한 시스템 분석 연구이다. 기존의 성과평가방법은 성과지표들 간의 상호작용을 측정하지 못하고 새로운 전략에 따라 변화되는 피드백의 영향을 나타내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략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들 간 인과지도를 작성하고, 제시된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동적 균형성과표 모형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전략적 성과평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시나리오 투자에 따라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시나리오 1인 IT와 인프라, 시나리오 2인 IT와 마케팅의 투자가 단기적인 효과가 가장 높았고, 시나리오 3인 마케팅과 연구개발의 투자가 중기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시나리오 4인 인적자원과 인프라, 시나리오 5인 인적자원과 연구개발의 투자가 장기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T 투자에 따른 효과가 단기에 나타나고 있고, 마케팅의 투자가 중기적인 효과, 인적자원의 투자에 따른 효과가 장기에 걸쳐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동적 균형성과표의 성과지표들 간의 인과관계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둘째, 성과지표간의 인과관계를 통해 전략적 성과평가를 위한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동적 균형성과표를 구성하는 성과지표들 간의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략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기업의 전략을 전 구성원이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동적 균형성과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양한 성과지표들의 변화에 전략적으로 성과평가를 할 수 있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에 따라 동적 균형성과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근거와 기준을 제시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되어질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