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잡이 굵기가 전완의 회내력과 회외력에 미치는 영향

        심영헌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전완의 회전근력의 최대 토크(peak torque), 총일량(total work), 평균 파워(average power)가 손잡이 굵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손잡이 굵기는 지름크기를 세 개(13㎝, 16㎝, 19㎝)로 나뉘어 Biodex System 3 Pro dynamometer 등속성 근력 검사(isokinetic test)를 사용하여 남성 21명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각각의 손잡이 굵기에서 2회씩 반복측정 후 평균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손잡이 굵기에 따른 전완의 회내력과 회외력 값들 중에서 최대 토크, 총 일량, 평균 파워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동일한 검사 속도에서 주어진 손잡이 굵기 간의 차이는 반복측정된 일요인 분산분석(one-way repeated ANOVA)으로 하였고, 각 손잡이 굵기에서 나타난 근력 값들에서 3개의 손잡이 굵기 군 간에 차이가 있는 집단을 알아내기 위하여 다중 비교 방법 중 본훼로니 수정법(Bonferroni's correction)을 이용하였다.Biodex System 3 Pro dynamometer를 이용하여 최소(13㎝), 중간(16㎝), 최대(19㎝) 손잡이 굵기에 대한 회내력과 회외력을 측정한 결과 각각의 손잡이 굵기에 따른 최대 토크, 총일량 그리고 평균 파워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최소나 최대 손잡이 굵기에 비해 중간 손잡이 굵기에서 최대 토크, 총 일량 그리고 평균 파워가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회외 동작시 최대 토크, 총일량 그리고 평균 파워는 중간과 최대, 중간과 최소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adj<0.05/3) 최대와 최소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adj>0.05/3). 반면에 회내 동작시에는 세 개의 손잡이 굵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adj<0.05/3).본 연구를 통하여 손잡이 굵기에 따라 전완의 회내력과 회외력의 최대 토크, 총 일량 그리고 평균 파워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통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도구의 손잡이 굵기를 고려하여 적용해야 함을 말한다. 또한, 적절하지 않은 손잡이 굵기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해야 하고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손잡이 굵기가 전완의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과 양손을 따른 비교 연구하여 적절할 손잡이 굵기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ip size on the maximal strengths of supination and pronation. Twenty-one healthy mal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we checked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in each grip size. The maximal isokinetic strength of supination and pronation were measured using Biodex System 3 Pro dynamometer.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was measured two times at 3 different grip sizes (13 ㎝, 16 ㎝, 19 ㎝). The forearm rotation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were compar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for three different conditions and each group relationship was measured using Bonferroni's correction. The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of pron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upin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for the 3 different grip sizes (p<0.01).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of medium grip siz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ximum and minimum grip siz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between maximum and medium and between minimum and medium grip size in supination strength (padj<0.05/3). But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m between maximum and minimum grip size(padj>0.05/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between maximum and medium, minimum and medium and between maximum and minimum grip size for pronation strength (padj<0.05/3).The supination and pronation strengths were influenced by grip size. Therefore grip siz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upper limb strength and function,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hand tools to minimalize the incidence of overuse disorders caused by supination and pronat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whether gender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trength between the right and left forearm supination and pronation strength.

      • 모발의 굵기ㆍ형태에 따른 성격 유형과 헤어스타일 태도

        조병순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모발의 굵기ㆍ형태가 성격유형과 헤어스타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고객에게 만족스런 미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기도ㆍ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 미용실에 내왕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모발의 굵기ㆍ형태에 따른 혈액형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모발의 굵기ㆍ형태가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고, 셋째 모발의 굵기ㆍ형태에 따른 헤어스타일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모발의 채취방법은 본 연구자의 미용실 고객을 중심으로 모발속의 미네랄 함량 검사 시 사용되어지는 부위인 후두부 지점을 선정하여 두피에서 떨어진 2cm이내 위치에서 염모와 백모를 제외하고 정상모를 채취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굵은 모발의 소유자는 비교적 0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는 모발의 소유자는 A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형태에서는 직모(直毛)의 소유자와 곡모의 소유자의 혈액형은 모두 A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의 유형을 살펴보면 굵은 모발의 소유자와 가는 모발의 소유자는 양성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통 모발의 소유자는 여성성이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모발 형태에 따른 성격유형에서는 직모의 소유자와 곡모(曲毛)의 소유자는 양성 성으로 나타났고, 굵은 모발의 소유자는 짧은 커트머리스타일과 단발머리스타일을 선호하였고, 가는 모발의 소유자는 층이 있는 긴 머리스타일과 층이 없는 긴 머리스타일과 올림머리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모발 형태에 따른 현재 헤어스타일 태도에서 직모의 소유자들의 헤어스타일 비율은 짧은 커트 머리스타일, 단발머리스타일, 층이 없는 긴머리 스타일순으로, 활동적인 짧은 커트머리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곡모의 소유자들은 층이 있는 긴 머리 스타일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런 결과로 굵은 모발의 소유자들은 0형의 혈액형이 많았고, 헤어스타일은 짧은 머리스타일을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나, 또한 직모의 소유자들도 짧은 머리 스타일을 가장 선호 하는 결과로 미루어 0형의 활동적인 특성 간편하고 활동적인 짧은 머리스타일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가는 모발의 소유자는 A형의 혈액형 비율이 높았고, 헤어스타일은 긴 머리 스타일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곡모의 소유자 또한 긴 머리스타일의 비율이 높게 조사된 결과, A형의 내성적인 영향이 부드럽고 움직임이 적은 긴머리 헤어스타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a satisfying beauty service to customer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Hair thicknessㆍform on personality and attitude of hair style. It executed a survey of customers within the age of 20~40 who come and go to beauty salons, dwell in Kyeong-gi and Seoul. First, it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blood types depending on Hair thicknessㆍform. Second, it investigated how Hair thicknessㆍform affects on types of personality. Third, it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Hair style attitude depending on Hair thicknessㆍform. We picked normal hairs for mineral test from our salon customers of the occipital region, except coloring hairs, white hairs. The hairs were picked 2cm off from the scalp. In the result, many people with thick hair were found to have the blood type O, and many people with thin hair were found to have the blood type A. Many people with straight hair and the wavy hair were found to have the blood type A. Also, in the types of personality the owners of thick hair and thin hair were highly found to have characters of both sexes, the owners of normal hair were highly found to have feminine characters. In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hair form, the owners of the straight hair and wavy hair appeared to have characters of both sexes. The owners of thick hair preferred short hair styles and bobbed hair styles. The owners of thin hair preferred long hair styles and up styles. In the attitude of hair style depending on hair form, the owners of the straight hair prefered short hair styles, bobbed hair styles, none layer long hair styles in that order. They prefered active and short hair styles best and the owners of the wavy hair prefer long layer hair styles. Many of the owners of thick hair appeared to have blood type O and preferred short hair styles. Also the owners of straight hair preferred short hair styles best. According to this result, O types are related to their characters which are active and convenient of their short hair styles. A high percentage of people with thin hair appeared to have the blood type A and preferred long hair styles best. Also a high percentage of the owners with wavy hair appeared to have long hair styles. According to this result, A type people who are introspective prefer soft and long hair styles which have less movement.

      • 朝鮮時代 木造建築物 기둥과 서까래 굵기 比例에 關한 硏究 : 다포계 합각지붕 대웅전을 중심으로

        고정주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5

        우리나라 건축물은 대부분 목조이면서, 가구식 구조이다. 전체적으로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기둥은 수직부재로서 공학적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지붕을 구성하는 부재인 서까래(椽木)는 지붕의 곡을 잡아주고, 지붕의 하중을 받아 도리를 통해 대들보, 기둥, 기초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목조건축물 중 다포계 합각지붕으로 이루어진 대웅전 22동을 중심으로 기둥과 서까래 굵기에 관련이 있는 요소들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건축물의 平面比例는 3칸 건축물에 대한 도리칸(전면)과 보칸(측면)의 비례는 평균 1.37:1이며, 5칸 건축물에 대한 평면비례는 도리칸과 보칸이 평균 1.75:1의 비례를 가지고 있다. 또한 柱間比例는 3칸 건축물에서 어칸과 협칸의 비례는 평균 1:0.89이며, 5칸 건축물에서 어칸, 협칸, 퇴칸의 주칸비례는 1:0.95:0.87로 어칸에서 퇴칸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되어 있다. 둘째, 위치별 기둥굵기는 3칸 건축물에서 어칸평주가 귓기둥인 우주에 비해 54mm 가늘고, 측면평주에 비해 20mm 굵게 이루어져 있으며, 5칸 건축물에서는 어칸 평주가 귓기둥인 우주에 비해 71mm 가늘고, 협칸 평주와는 유사한 굵기를 가지며, 측면평주 보다는 58mm정도 굵게 이루어져 있다. 특히 어칸 평주가 측면 평주에 비해 3칸 건축물에서 20mm, 5칸 건축물에서 58mm 정도가 굵게 이루어져 있음을 알았다. 기둥 굵기에 따른 기둥 길이 및 처마 내밀기를 보면, 3칸 건축물에서 기둥 굵기와 기둥 길이는 평균 0.14:1의 비례를 가지고 있으며, 기둥 굵기가 굵은 건축물일 수 록 기둥 길이와 처마 내밀기가 길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5칸 건축물의 경우에는 기둥 굵기가 굵은 건축물이라도 기둥 길이와 처마 내밀기는 큰 변화 없이 일정한 내밀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장연 굵기는 마구리 굵기에 비해 평균적으로 3칸 건축물에서 27mm 정도 굵고, 5칸 건축물에서는 24mm 정도 굵게 이루어져 있다. 장연굵기와 처마부 내밀기 관계는 3칸 건축물에서는 장연 굵기가 굵은 건축물일 수 록 처마 내밀기도 길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5칸 건축물에서는 장연 굵기가 굵은 건축물이라도 처마 내밀기는 모두 유사한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장연 굵기와 장연 간격은 장연 굵기가 굵은 건축물일 수 록 장연 간격은 미미하게 넓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같은 굵기를 가진 건축물에서의 장연 간격은 큰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을 분석해 보면, 장연 굵기에 따라 장연 간격을 어떠한 법식 기준을 두고 설치 하였다기 보다는 건축물에 따라 축조당시 대목수의 경험에 의해 장연을 설치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기둥 굵기와 장연 굵기 비례는 3칸 건축물에서 1:0.44이며, 5칸 건축물에서도 1:0.44로 3칸 및 5칸 건축물 모두 같은 비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3칸 건축물에서 기둥 굵기 및 장연 굵기는 건물규모(면적)가 클 수 록 굵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비교적 규모가 큰 건축물이라도 기둥 및 장연 굵기가 평균치보다 현저하게 가늘게 이루어져 있는 건축물도 있었다. 또한 장연이 굵은 건축물은 대체적으로 굵은 기둥을 가지고 있으나, 같은 장연 굵기를 가진 건축물이라도 기둥 굵기가 150mm 이상 편차가 크게 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원인들을 분석해 보면, 기둥이나 장연은 자연목재를 곧게 치목하여 사용하지 않고 자연형상 그대로 살려 치목 설치한 건축물이 많아 기둥 및 장연 굵기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칸 건축물에서는 면적이 큰 건축물이라도 기둥 굵기나 장연 굵기가 거의 변함이 없는 굵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 다포계 합각지붕 대웅전의 기둥 굵기와 서까래 굵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다양한 분석으로 대상건축물에 따라 각각의 굵기 비례에 대한 범위를 찾고, 구조적인 요소와 의장적인 요소를 찾은데 대해 의의가 있다. Our country's building is mostly made of wood and household structure. As a whole, the pillar which composes a building has an important meaning from the engineering standpoint as vertical in construction of a building. Also, the rafter which consists roof set the line of roof and it plays a role in delivering girder, pillar, foundation through a beam by receiving a load of a roof. Therefore, when we analyze the relevant factors which is related with thickness of rafter and pillar by center of Daewongjeon 22 dong which consists of gable root among wooden buildings in Josun era, the result is as follow. At first, the plane proportion of a building with 3 Kan (chamber) proportion of purlin chamber (frontage) and girder chamber(flank) are 1.37:1 as average, and the plane proportion of a building with 5 chambers is 1.75:1 as average. Furthermore, the dwelling room proportion of a chamber and a gorge chamber from a building with 3 chambers is 1:0.89 as average. And, the dwelling room proportion of a chambers a gorge chamber, and the chamber from a building with 5 chambers are 1:0.95:0.87 respectively, it is formed more narrowly as it goes from Auh Kan to Te Kan. Secondly, in terms of thickness of pillar by location from a building with 3 chambers, Auh Kan commentary is thinner than Woju of back pillar about 54mm and thicker than side commentary about 20mm, from a building with 5 chambers. And Auh chamber commentary is thinner than Woju of back pillar about 71mm and it has similar thickness with Hyup chamber, which it is thicker than side commentary about 58mm. Especially, Auh chamber commentary is thicker than side commentary about 20mm from a building with 3 chamber and thicker about 58mm in a building with 5 chambers. When we look at the length of pillar and eaves by thickness of pillar, the thickness and length of pillar from 3 chambers building are average 0.14:1 proportion, and it turns out that it consists of a long length of pillar and eaves as it's a thicker building. Besides, in case of a building with 5 chambers, even it has the thick pillar of a building, and it's analyzed that the length of pillar and eaves are kept regularly without big change. Thirdly, the thickness of Jangyen is thicker than end pieces about 27mm in a building with 3 chambers, thicker about 24mm in a building with 5 chamb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Jangyen and eaves in a building with 3 chambers shows that as the thicker building of Jangyeon, eaves getting longer. Otherwise, even though thickness of Jangyen is thick, eaves keep a similar length in a building with 5 chambers. It tends to be wide slightly as a building has thick Jangyeon in terms of thickness and interval of Jangyeon. But, it is analyzed to show big variation in same thickness of building. It is assumed that Jangyen is built based on experience of carpenter according to building, instead of building interval of Jangyen based on certain rule along with thickness of Jangyen. Fifthly, proportion between thickness of pillar and Jangyen is 1:0.44 in a building with 3 chambers and 1:0.44 in building with 5 chambers. It was analyzed that it has same proportion for both a building with 3 chambers and 5 chambers. Moreover, as building scale is getting larger, thickness of pillar and Jangyen getting thick. However, even though it is a large scale building, there is a building which is thinner than average in terms of thickness of Jangyeon. Besides, most of large scale buildings generally have a thick pillar, but sometimes it shows big variation about 150mm even though it has same thickness of Jangyen. As we analyze this causes, it shows big variation as it posses more buildings which is built with nature of trimming timber without a trimming timber in case of pillar and Jangyeon. In a building with 5 chambers, even though the area is large, it is analyzed that the thickness of a pillar or jangyeon maintains constant thickness. Like this, there is a meaning which I tries to find out the scope on each proportion of thickness and discover a structural and decorative factor according to the building which based on various analysis factors which affects to thickness of pillar and rafter of Daewoongjeon in Josun era, found out the scope according to each thickness proportion of building.

      • 접속방식에 따른 접지도체 굵기 산정에 관한 연구

        김충원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5

        전원설비를 비롯한 전기회로로 구성된 회로나 구조물등에 있어서 접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강전용이거나 약전용이거나 또는 보안용이거나 기능용이거나 모두 사람에 대해 혹은 전기,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설비 상호간에 대해 안전성은 물론 안정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건축물 시스템은 고층화, 대형화, 인델리전트화를 통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설비, 변전·배전설비 및 정보통신설비, 전산시스템, OA기기 그리고 보안 및 방범설비, 빌딩관리 시스템, 통합 감시 제어 시스템등 다양한 설비가 혼재되어 설치 운영되고 있어 안전성과 신뢰성이 바탕이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 중 하나가 접지 시스템 설비이다. 접지시스템 설비의 근본적인 목적은 내부고장이나 외부의 낙뢰 등에 의해 접지전류가 흐를 때 대지표면의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감전사고와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기설비의 기능향상은 물론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접지시스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성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 중 하나가 접지도체의 굵기 산정이다. 접지도체의 굵기는 굵은 것이 이상적이나 실제적으로 불가능 하므로 접지도체에 접속된 장비나 설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접지도체의 굵기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접지도체의 굵기를 결정하는 국외 규격은 재료의 특성값인 물리적 정수까지 적용하여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반면 수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고 JIS와 국내규격은 수식은 간단하나 제약조건이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지도체 굵기 산정 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접지도체의 접속방법에 따라 최대허용온도가 다르게 적용되므로 접지도체 굵기 산정 방식이 복잡하고 적용 방법이 상이하여 시공 현장에서 엔지니어들이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연구하고 제안하였다. 1. 새로운 접지도체 굵기 산정방범 제시 국내·외 접지도체 굵기 계산식에 대한 비교·검토를 하고 최소 자승법과 각 구간별 기울기, 도체전류 분류율을 이용하여 새로운 접지도체 굵기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2. 새로운 접지도체 굵기 산정방범 타당성 입증·분석 모델링한 수식과 국외의 규정을 온도변화에 따라, 고장전류크기 변화에 따라, 고장지속시간면화에 따라 비교하여 새로운 접지도체 굵기 산정방법의 타당성 입증하고 분석하였다. 3. 접속방식에 따른 접지도체 굵기 산정방법의 간이식 계시 압축접속방식, 경납땜방식, 발열용접방식과 같은 접속방식에 따른 접지도체 굵기 산정방법의 간이식을 제시하였다. 4. 접속방식에 따른 간이식의 타당성 입증·분석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간이식과 ANSI/IEEE 정식, JIS 정식,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정식을 고장전류크기변화에 따라, 고장지속시간변화에 따라 비교하여 접속방식에 따른 간이식의 타당성 입증하고 분석하였으며 사례연구를 통해 검증 하였다. The ultimate purpose of constructing the connection Types for circuits or structures made of electrical circuits including electrical source equipment is to study the means to secure safe movements, not to mention the safety to a man or between electrical, electronic, computer and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equipment, regardless whether it is strong electrical usage or weak electrical usage, or it is for safety or for function. Especially, recent structure systems must have a system that is based on security and trust because numerous items are installed and operated such as power equipment, power transfer, power distributor,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equipment, combined surveillance control system due to ideas of higher, larger and more intelligent.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and trust, one of the absolute necessary items is grounding system equipment. The underlying purpose of grounding system equipment is to secure safety, not to menti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by preventing shorts and equipment damage by restraining upward electrical potential from the ground when there is an internal malfunction or external thunder One of the necessary items for the construction of safe and efficient grounding system is the determination of grounding's thickness. Grounding conductor's thickness is more ideal when the conductor is thick, but since it is impossible in reality to make them thick, it is needed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within the range where it does not affect the connected equipments or item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can be applied for a wide range of items, because it incorporates the specific physical numbers, but it has the problem of having complex equations. However, the JIS and domestic equations are simple but have many constraints, so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re is an absolute need for new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determination equation. Also,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grounding conductor, the maximum allowed temperature is applied differently, and the determination of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equation is complex and application is difficult. So, there is much difficulty for the constructors at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nd suggested the following items. 1. Presentation of new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determination method By comparing and check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grounding conductor calculation method, minimum exponents method and using the tiltness of each sector, and the ratio of electricity potential of a solid item, new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determination method is presented. 2. The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the new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determination method By comparing the modeled equation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electric potential amount change and constant time change,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determination method is analyzed. 3. Presentation of simple grounding conductor thickness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connection methods such as compressed connection method, soldering method, heat connection method, simple equation of grounding connection determination method is presented. 4. The analysis of simple equation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By comparing the simple equa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ANSI/IEEE equation, JIS equation, equ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potential amount change, constant time change, the applicability of simple equ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method is analyzed and proved by case studies.

      • 손가락 길이와 굵기에 어울리는 인조손톱의 형태와 계절색

        김채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725

        손가락 길이와 굵기에 어울리는 인조손톱의 형태와 계절색 김채희 화학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네일관리에 활용되는 연장길이별 어울리는 손톱모양과 손가 락 길이와 굵기에 어울리는 인조손톱연장길이 및 연장손톱모양에 어울리 는 인조손톱색상 (계절색)을 분석하여 손톱디자인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일관리를 받은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50대까지 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3번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연장손톱모양에 대한 선호도는 둥근형> 사각형> 타원 형> 화살촉형 순서였다. 손가락 길이비율이 증가할수록 짧은 인조손톱연 장길이 1.25의 선호도가 높았고, 손가락 굵기비율이 증가할수록 연장손톱 길이 1.5의 선호도가 높았다. 연장손톱길이에 따른 봄색 선호도는 연분홍 색> 계란색> 신록색> 귤색 순, 여름색 선호도는 파란색> 하늘색> 떡잎 색> 인주색 순, 가을색 선호도는 검붉은색> 갈색>호박색> 창포색 순, 겨울색 선호도는 진한 회색> 은회색> 북청색> 흰색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대, 직업, 결혼여부, 최종학력, 월평균소득, 월평균외모 투자관리비용, 네일관리관심도 및 정기적인 네일관리 여부에 따라 손톱 연장시 선호하는 손톱모양, 손가락 길이와 굵기별 선호하는 손톱연장길 이 및 선호 계절색은 차이가 있었다. 이런 결과는 고객들이 선호하는 손톱모양, 손톱연장길이 및 손톱색에 대한 정보뿐만아니라 고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선호하는 손톱모양, 손톱연장길이 및 손톱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정보도 제공한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네일아트 디자이너들에게 손톱모양, 손톱연장길이 및 손톱색 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본적 이론으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rtificial nail shapes and seasonal colors that match the length and thickness of your fingers Kim, Chae He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ed basic data related to nail design by analyzing the nail shape suitable for each extension length used in nail care, the artificial nail extension length suitable for the finger length and thickness, and the artificial nail color (seasonal color) suitable for the extension nail shape. . For this purpose, people in their 20s to 50s who had experience receiving nail car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The survey subjects' preference for extended nail shapes was in the following order: round > square > oval > arrowhead. As the finger length ratio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a short artificial nail extension length of 1.25 increased, and as the finger thickness ratio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an extension length of 1.5 increased. Spring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extended nail length is light pink > egg color > fresh green > tangerine color, summer color preference is blue > sky blue > cotyledon color > vermilion color, and fall color preference is dark red > brown > amber > iris color. , winter color preference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dark gray > silver gray > northern blue > white. However, preferred nail shape when extending nails, preferred nail shape by finger length and thickness depending on gender,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highest level of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appearance investment management cost, interest in nail care, and regular nail care. There were differences in extension length and preferred seasonal colors.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about customers' preferred nail shapes, nail extension lengths, and nail colors,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how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preferred nail shapes, nail extension lengths, and nail colors. According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hat can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s a basic theory that nail art designers should consider when deciding on nail shape, nail extension length, and nail color.

      • 'Shine Muscat'과 'Kyoho' 포도 유목 및 성목의 액아 특성

        박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93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and the adult trees in order to find the cause of occurrence of non-bearing branches in 'Shine Muscat’ grapevines,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Kyoho’ grapevines, which had very few occurrences of non-bearing branches in the control. In addition,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young trees of 'Shine Muscat’ with or without gibberellin treatment for seedless production. In order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xillay bud, classified four types of bud (normal bud, main bud necrosis, accessory bud necrosis and whole bud necrosis)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inflorescence primordium was formed or not. According to the variety and age, the ratio of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from June 2018 to March 2019 differed monthly.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month of the maximum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In particular, despite the very low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in March before germination in 2019, the number of flowers generated in May was higher than that of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continued until just before germination. From June 2018 to March 2019, after forming up to 10 nodes of shoots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until the next year's environmental dormancy break, inflorescence primordium rates were compared monthly. Inflorescence primordium rarely occurred in June 2018 when the investigation began, regardless of the age of the tree, the variant (‘Shine Muscat’ or ‘Kyoho’), and even gibberellin treatment, but in July showed an increase in shoot growth. Since then, the growth was maintained until February (before and after the period of endodormancy), and then decreased. But it tended to increase again in March as it neared germination. In March 2019, the final investigation period,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was the lowest in the adult tree ‘Shine Muscat’, which is expected to have many occurrences of non-bearing shoots. On comparing the bud position, the sizes of the bud of the young tree of ‘Shine Muscat’ at 4.03 to 4.37 mm were smaller than that of ‘Kyoho’ at 4.63 to 5.80 mm. Moreover, it showed the same trend in the adult tree as in the previous experiment. On the other hand, on gibberellin treatment of the young tree of 'Shine Muscat’, it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untreated plot. Observation of the buds by location revealed that the first bud in ‘Shine Muscat’ was the largest. But the necrosis rates were the highest and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was the lowest.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of the first bud was always the lowest regardless of gibberellin treatment, so it was very likely that non-bearing shoots would occur. The young tree showed more than twice the rate of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in the 5th to 9th buds. The adult tree showed more than twice the rate of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in the 2nd and 10th bu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3rd to 9th buds. Therefore, in 'Shine Muscat’, pruning above the middle bud shows better results than did short pruning containing the first bud that had the lowest rate of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It is likely to be beneficial for flower development and yield. In terms of shoot vigor, the shoots were thicker and longer; and in terms of bud size, the buds were bigger than any others. In almost all plots, MBN rate increased in thicker shoots, whereas ABN rate decreased. No trend was observed in length. The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in ‘Shine Muscat’ was found to be reduced when the thickness was excessively thin or thick without gibberellin treatment. But in a gibberellin treated plot, the thicker shoot group’s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inner shoot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st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rate was found with shoot thickness of more than 11.5 m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dult tree of ‘Shine Muscat’, which lacks the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in March, just before bud germination, is expected to lack flowers after germination. Shoot vigor, too weak or too strong, was unhelpful during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during plant growth. On the other hand, on gibberellin treatment of fruit, strong vigor seemed to facilitate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Moreover, the reason for occurrence of non-bearing shoots in ‘Shine Muscat’, which does not display as much bud necrosis as ‘Kyoho’, is thought to be insufficient inflorescence primordium formation. The short pruning, which leaves only the first or second buds, will cause a higher occurrence of non-bearing shoots in 'Shine Muscat’. 본 연구는 ‘Shine Muscat’ 품종포도에서의 빈가지 발생원인을 구명하고자 유목과 성목의 액아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대조구로 빈가지 발생이 거의 없는 ‘Kyoho’ 품종포도와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유목 ‘Shine Muscat’ 품종에서 무핵과 생산을 위한 gibberellin 처리의 유무에 따른 비교를 함께 시행하였다. 액아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액아의 상태에 따라 정상눈, 주아괴사, 부아괴사 그리고 눈괴사 4가지로 분류하여 조사하였고, 화원기가 형성되었는지 또한 함께 조사하였다. 품종과 수령에 따라 2018년 6월에서 2019년 3월까지의 화원기형성률은 월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최대 화원기형성률을 나타낸 달도 차이가 있었다. 특히 2019년 발아 전 3월의 화원기형성률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5월에 발생한 신초의 화수 발생률은 화원기형성률에 비해 현저히 높아 발아 직전까지 화원기형성이 계속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2018년 6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신초가 10마디까지 형성된 후부터 이듬해 환경휴면 타파기까지 전 기간의 액아발달을 월별로 비교한 결과 화원기는 조사가 시작되는 2018년 6월에는 ‘Shine Muscat’ 품종이나 ‘Kyoho’ 품종의 유목과 성목 그리고 GA3 처리에 관계없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다음 달인 7월부터 분화하기 시작하여 신초 생장과 함께 증가하였다. 이후 내재휴면기 전후를 기점으로 2월까지 일정 기간 유지된 후 감소하였으나 신초 발아 시기에 가까워지는 3월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종 조사시기인 2019년 3월의 화원기형성률은 성목 ‘Shine Muscat’ 품종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빈가지 발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초 내 액아의 마디별 위치에 따른 비교에서는‘Shine Muscat’ 품종유목의 마디별 액아의 크기가 4.03~4.37mm로 ‘Kyoho’ 품종의 4.63~5.80mm보다 작았으며, 성목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앞의 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Shine Muscat’ 품종유목에 GA3을 처리한 경우에는 무처리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치별 액아의 특성은‘Shine Muscat’ 품종의 유목과 성목 모두 1번 액아의 크기가 가장 큰 반면, 괴사율이 높았으며 화원기형성률은 가장 낮았다. 특히 1번 액아의 화원기형성률은 GA3 처리와 관계없이 항상 가장 낮아 빈가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유목은 5~9번 액아에서 화원기형성률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성목에서는 2번 액아와 10번 액아에서 약 2배 높게 나타났으며, 3번 액아부터 9번 액아까지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Shine Muscat’ 품종 포도에서는 화원기형성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1번 액아를 포함하는 단초전정보다는 화원기형성률이 비교적 높은 중간 이상의 액아를 포함하는 중초전정 이상으로 전정을 하는 것이 꽃발생과 수량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지의 수세에 따른 비교에서 액아의 크기에서는 모든 조사구에서 가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그리고 길이가 길수록 커졌다. 액아의 괴사 측면에서는 거의 모든 조사구에서 가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주아괴사율은 증가했으나, 부아괴사율은 그 반대였으며 길이에서는 별다른 경향이 존재하지 않았다. 화원기형성률은 GA3을 처리하지 않은 ‘Shine Muscat’ 품종에서 굵기가 과도하게 얇거나 굵은 경우에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GA3을 처리한 처리구는 가지 굵기가 굵을수록 화원기형성률이 높아져 가장 굵은 11.5mm이상에서 화원기형성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GA3 처리를 통한 무핵화 재배 시 수세를 강하게 유지하여 주는 것이 화원기 발달에 유리하여 수량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발아직전 3월 화원기 형성이 미흡한 성목 ‘Shine Muscat’ 품종은 발아 후 꽃송이 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영양생장 중 신초의 수세가 지나치게 약하거나 과도하게 강할 경우에는 화원기 형성이 불량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과실에 GA3을 처리할 경우 과실이 비대한 만큼 수세를 강하게 재배하는 것이 화원기 형성이 원활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Kyoho’ 품종에 비해 액아의 괴사가 많지 않은 ‘Shine Muscat’ 품종의 빈가지 발생은 화원기형성이 미흡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1, 2번 액아만 남기는 단초전정은 ‘Shine Muscat’ 품종의 빈가지 발생을 더 유발할 것으로 판단된다.

      • 'Fuji'/實生 사과나무의 下垂된 結果枝 굵기에 따른 適正着果數 究明

        류진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92

        1. The diameter of the fruiting branch at 3cm ahead of branch base with one fruit was bigg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ruiting branches with 2∼5 fruits on the final measurement date of November 6th for the branches with 10.1-12.Omm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on the initial measurement date of May 22nd in 2001. 2. The yearly diameter increment for the fruiting branches of 12.1-14.Omm size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from the initial measurement on May 22nd to the final measurement on November 6^(th) 2001 of the fruiting branches with 2∼3 fruits was smaller than the diameter increment of the fruiting branches with 4∼6 fruits. However, the diameter sizes at 3cm ahead of branch base conformed with the MAFCOT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uit numbers on the branch. 3. The diameter increment of the fruiting branches of 14.1-16.Omm size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was smaller for the fruiting branches with 7 fruits than fruiting branches with 3∼6 fruits. The diameter size at 3cm ahead of branch base was smaller for the branch with 7 fruits than the branches with 3∼6 fruits and same results were shown for the branches of 16.1-18.Omm at 0.5cm ahead of shoot base on May 22nd 2001. 4. The yearly increment of the fruiting branch diameter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for the branch diameters from 8.1mm to 18.Omm was bigger in branch with thicker diameter over 14.1mm. 5. In all the investigated data, the diameters of the fruiting branches affected by difffrent diameter sizes and diffarent number of bearing fruits were the bigger the final diameters at 3cm ahead of branch bases when the bigger the initial diameters at 0.5cm ahead of branch bases. 6. The ramified fruiting branch numbers were larger for the branch diameter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of 14.1-16.Omm with 7 fruits and larger for the branches of 16.1-18.Omm with 6 and 8 fruits. 7. The thicker fruiting branches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showed longer total newly gown branches of all lengths in terminal buds as leaf buds and/or flower buds. 8. The smaller fruit numbers on the fruiting branches of 10.1-12.Omm at 0.5cm ahead of branch base showed the bigger the number of branches with terminal leaf buds only. 9. The appropriate fruit numbers of 'Fuji' fruits with over 300g average sizes were considered to be 3 fruits for branch diameter between 8.1-10.Omm, 4 fruits for branch diameter between 10.1-12.Omm, 5 fruits for branch diameter between 12.1-14.Omm, 6 fruits for branch diameter between 14.1-16.Omm, 8 fruits for branch diameter between 16.1-18.Omm, respectively.

      • 葡萄結果母技의 굵기와 길이가 新梢發育 및 果實의 品質에 미치는 影響

        김종현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47678

        우리 나라에서 많이 栽培되고 있는 Campbell early와 Dalaware 두 葡萄 品種에 短梢剪定을 많이 實施하여 왔다. 그러나 어느 程度의 굵은 結果母枝를 어느 程度 길이로 남기는 것이 좋은 品質의 葡萄를 多收穫할 수 있는가에 對해서는 확실한 成積이 없다. 따라서 本 試驗에서는 上記한 두 가지 品種을 共試하여 길이別, 굵기別, 處理가 나타내는 影響을 調査하고자 結果母枝의 굵기를 0.5 cm, 1cm, 1.5cm 主區로 處理하고 길이를 1마디, 3마디, 5마디, 7마디로 남겨서 細區로 處理하여 分割區 配置로 新梢의 發育, 果實의 品質, 收量 等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新梢의 直徑은 Campbell early에서는 結果母枝의 길이가 3>7>5>1>節 順으로 커졌으나, 結果母枝의 굵기에 따라서는 影響이 없었고, Delaware에서는 두 가지 處理가 모두 影響이 없었으며, 節間伸長量에는 두 品種 모두 影響이 없었다. 果粒重에 있어서는 Campbell early 結果母枝의 1㎝>0.5㎝>1.5㎝ 굵기 順으로 높았으나, 길이에는 影響이 없었고, Delaware에서는 어느것도 影響이 없었으며 두 品種 모두 糖度의 變化에도 影響이 없었으나, 果房重은 Delaware에서만 結果母枝 길이 順으로 增加되었다. 收量에서는 두 品種 같이 結果母枝의 길이가 길을수록 增加되었으나, Campbell early 7節 切斷區에서는 果房의 치밀도가 낮았다.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ameter and length of bearing grape vine on the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ameter of the shoot in Campbell early variety was affected by the length of bearing vine, three nodes was best and one node was poorest. The diameter of bearing vine of Delaware did not affect on the shoot diameter. 2. The diameter and the length of bearing vine of both variety did not affect on the node growth of shoot. 3. The diameter and the length of bearing vine showed no effect on the fruit cluster weight of Campbell early. 4. The berry weight of Campbell early was influenced by the diameter of bearing vine, in sequence of 1cm, 0.5cm and 1.5cm, in which 1cm diameter was best. However, the length of bearing vine in Campbell early, and the diameter and the length of bearing vine of Delaware did not influenced on the berry weight. 5. In sugar cont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and the lengths of bearing vine both in Campbell early and in Delaware. 6. The fruit yields were increased by the longer length on vin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vine both in Campbell early and in Delaware.

      • 비틀림이 교정용 스테인레스 강 와이어의 토오크 특성에 주는 영향

        송규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75

        브라켓에 삽입된 교정용 와이어로 전달되는 생체기계역학적인 힘(biomechanical force)은 치아이동을 위한 교정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다양한 교정 장치와 신소재 와이어가 소개되고 있지만, 각형 와이어를 브라켓 슬롯에 비틀어 삽입하여 발생되는 토오크 (torque)는 치근 이동과 치아의 3차원적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굽힘 (bending) 조건뿐 아니라 비틀림 (torsion) 조건에서 와이어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3차원적인 와이어의 응력 시스템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까지 다양한 재질의 교정용 와이어에 대한 인장 및 굽힘 조건 등에서의 일반적인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비틀림 정도에 따른 교정용 와이어의 토오크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형 스테인레스 강 교정용 와이어의 굵기와 제조사 차이 등이 비틀림 정도에 따라 와이어에 생성되는 토오크 특성에 주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여 적절한 토오크 적용을 위하여 스테인레스 강 와이어의 선택과 적용법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굵기 (.016 × .022”, .017 × .022”, .018 × .022”, .017 × .025”, .018 × .025” 및 .019 × .025”)의 각형 스테인레스 강 와이어 46 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14” 직선형 와이어를 25 mm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시편으로 준비하였고, 비틀림으로 형성된 시편의 토오크는 Torque gauge (Mark-10, Cedarhurst, NY, USA)로 측정하였는데, 지그에 고정된 와이어 실제 길이는 15 mm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측정 장치에 고정된 와이어 시편을 1.44o/sec 속도로 최대 90o까지 비틀림을 주면서 생성된 토오크 값을 컴퓨터로 기록하였으며, 각 실험군당 5 개 시편을 측정한 값으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실험군에서 와이어 시편을 30o까지 비틀림을 가한 경우 생성된 토오크는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5.5 - 10.5 N·mm 범위를 보여 임상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토오크 범위 내에 있었다. 2. 와이어 시편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와이어의 비틀림으로 생성된 토오크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p < 0.05), 비틀림 정도가 커질수록 와이어의 굵기와 생성된 토오크 값의 상관성이 높아졌다. 3. 교정용 스테인레스 강 와이어는 70o 이상으로 비틀림을 가할 경우 와이어가 소성 변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4. 국내·외 6 개 제조사에서 출시한 동일한 굵기의 와이어를 대상으로 10o 비틀림을 준 경우에는 제조사에 따라 평균 토오크는 다소 차이를 보여 2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지만, 비틀림 각도가 30o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제조사에 따른 토오크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