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가지식정보 DB의 활용성에 기반을 둔 유통 모델 설계

        박영숙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51

        인터넷 보급 및 지식정보의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국가지식정보를 DB화 하는데 수억 원의 비용이 지출되고 있다. 보존가치가 높은 자료의 수집과 축적에 집중되어 활용성면에서 국민을 위한 폭넓은 지식정보 서비스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공공기관에서 생산하고 보유하고 있는 정보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나 활용되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국가가 보유한 국가지식정보DB의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유통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식정보의 활성화 및 국가와 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유통모델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우선 국가지식정보DB 이론적 배경 고찰과 국내외 활용현황 파악을 통해 국가지식정보의 활용성을 기반을 둔 유통모델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가지식정보의 정의와 국가지식정보의 활용 통해 국가지식정보의 수요를 살펴보았고, 해외 국가인 미국과 일본의 국가지식정보DB의 활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제3장에서는 국내 국가지식정보DB의 유통의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국가지식정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국가지식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온라인설문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가지식정보DB의 활용 방안 및 새로운 유통모델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였다. 해외 현황과 국내 실태 파악 및 온라인 설문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국가지식정보DB 활용방안 및 새로운 유통모델은 국가지식정보DB의 접근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통모델 지식정보DB의 매칭시스템을 통해 관심분야부터 국가지식정보DB의 활성화를 시킨 후 자연스럽게 국가지식정보DB의 대중화 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매칭 된 국가지식정보DB에는 출처가 명시되어 있고 출처를 클릭하면 콘텐츠를 제작한 기관으로 링크를 걸어 정부 기관과 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될 것으로 본다. 정부 기관은 국민들이 많이 클릭한 DB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링크를 통해 방문한 방문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공정보의 공개를 통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고, 국가지식정보의 활용으로 대민 서비스의 개선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민의 지식향상으로 말미암아 국가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이다. Hundreds of millions of won has been being spent on building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with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demand for knowledge information increasing. But the reality is that too much focusing on collecting and accumulating of worth-preserving data makes the DB not coverwide-ranging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people on usability basis. The information which public institutions produce and own, has a close relation to the people's lives in a country, but is not utilized widely. To cope with this problem, we are in a circumstances in whic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distribution model to utiliz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owned by nation. In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designed a new distribution model that can utiliz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and can be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country and the people. First of all, a distribution model based upon usability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has been presented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sability. In chapter 2, by considering a concept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and its utilization, the writer has examined the demand for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and has analyzed the usability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merica and Japan. Further in chapter 3, the writer ha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of the domestic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and conducted an online-survey of th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users, arranged the data. In chapter 4, measures for utilizing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and a new distribution model have been designed. And in chapter 5,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have been arranged. Presente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a domestic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sability and the result of the online-survey, measures for utilizing a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and a new distribution model mak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more accessible. Besides, through the matching system of a new distribution model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beginning with any field of interest, after utilizing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we can achieve an effect that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can be naturally popularized. Furthermore, because there are sources specified in matched national public knowledge DB, clicking the sources, you will be able to connect with the institution which produced the contents, matched national public knowledge DB and therefore, can be a useful link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the people.

      •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대가 산정기준에 대한 연구 : 지식정보DB 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정일영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51

        As an approach in solving the national problem of the IMF crisis in 1998, the National Database Project started building the database for public purposes while pushing ahead the knowledge based business. Since then, the systemized National Database Project such as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This National Database Project has been doing evaluations on the overall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obligatory audits on consignment basis and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today is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basic inspection points per section of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Standard. In the meantime, the method of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rate today follows, as a matter of fact, that of the software development audit price rate according to a notice of the Standard rate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However, database construction, especially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must focus on other major inspection points as per build types and objects differing from the software development audit, moreover, it requires additional input of materials due to quality inspections on built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also did an analysis on the cost per database construction section and on correlation of the audit price in order to derive fixed ratio in highly effective rating of the audit price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and designed the relevant linear regression and derived fixed ratio for four models through the result of each modulus estimate. Furthermore, in order for distinctiveness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Audit to be reflected to the fixed ratio of the audit price, this study focused on reasonable rating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Audit Price by calculating and reflecting the appropriate cost for applying quality inspection experts of each knowledge information field. This study aims at helping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to be achieved through making the best use and improving reliability of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rate of the reasonabl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which are to be evaluated by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Audit and to be finally serviced. 우리나라 국가DB사업은 1998년 IMF로 인한 범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화근로사업을 추진하며 공공 목적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하였다. 이후 지식정보DB 구축 사업과 행정정보DB 구축 사업으로 체계화된 국가DB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DB사업은 의무적으로 위탁감리를 통해 구축사업 전반에 거친 평가를 수행하여왔으며, 현행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감리는 정보시스템감리기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 영역별 기본 점검항목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현행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대가 산정방식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정보시스템 감리대가 산정기준 공지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감리대가와 같은 방식으로 산정되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구축 특히, 지식정보DB 구축은 소프트웨어 개발감리와 달리 구축유형 및 대상에 따른 감리중점항목이 상이하며 또한 구축데이터에 대한 품질검증으로 인한 추가자원의 투입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에 대한 감리대가를 분석하고 통계분석을 통한 유효성 높은 감리대가 산정에 고정비율을 도출하기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구성 별 사업비 분석 및 감리대가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선형회귀식을 설계하고 각 계수를 추정한 결과를 통해 4개 모형의 고정비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상의 감리대가 고정비율에 지식정보DB 구축 사업 감리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분야별 지식정보 품질점검 전문가 투입을 위한 적정 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현실적인 지식정보DB 구축 사업 감리대가를 산정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의 현실적인 감리대가 산정기준을 마련함으로서 지식정보DB 구축 사업 감리를 통해 검증되어지고 최종적으로 서비스되어지는 국가 정보자원의 활용도 극대화 및 신뢰성 향상을 통한 지식정보DB 구축 사업의 목적 달성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